KR102318292B1 - Apparatus for collecting sludge of underwater car type having sludge shredding func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llecting sludge of underwater car type having sludge shredd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292B1
KR102318292B1 KR1020210062993A KR20210062993A KR102318292B1 KR 102318292 B1 KR102318292 B1 KR 102318292B1 KR 1020210062993 A KR1020210062993 A KR 1020210062993A KR 20210062993 A KR20210062993 A KR 20210062993A KR 102318292 B1 KR102318292 B1 KR 102318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crushing
bogie
sludge collection
collection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9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승원
Original Assignee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filed Critical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210062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29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2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car-type sludge collector with a sludge collection car that moves in front and back directions by a driving device to collect the sludge on the floor to a sludge collection hopper, comprising: a crushing module for reciprocating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to crush the aggregated sludge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a passive crushing car located in front of the sludge collection car, and having one end part coupled to the crushing module; and a pulley support for supporting a first pulley provided on an upper part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One end part of a wire connected to the first pulley is provided with a weight, and the other end part of the wire is coupled to the crushing car. The crushing car is pushed forward by the sludge collection car moving forward by the driving device, and moves backward by the weight descending by its own weight in a free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crushing module reciprocates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crushing car.

Description

슬러지 파쇄기능이 구비된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 {APPARATUS FOR COLLECTING SLUDGE OF UNDERWATER CAR TYPE HAVING SLUDGE SHREDDING FUNCTION}{APPARATUS FOR COLLECTING SLUDGE OF UNDERWATER CAR TYPE HAVING SLUDGE SHREDDING FUNCTION}

본 발명은 슬러지 파쇄기능이 구비된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정수장에서 침전된 원수의 슬러지를 수집하고, 수집된 슬러지를 파쇄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truck-type sludge collector equipped with a sludge crushing function, and to an underwater vehicle-type sludge collector having a function of collecting sludge of raw water settled in a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crushing the collected sludge.

정수장은 수원(水原)으로부터 송수되어 온 원수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 정수하는 시설로, 통상 급속 정화법에 의해 약품을 이용하여 원수의 슬러지를 침전시키고 있다.A water purification plant is a facility that purifies water to improve the quality of raw water sent from a water source, and sludge of raw water is usually precipitated using chemicals by a rapid purification method.

침전지에 슬러지가 침전되면 상등수는 정수처리장으로 배출되고, 침전지의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슬러지는 슬러지수집기에 의해 슬러지수집호퍼로 이송하여 수집된다.When the sludge settles in the sedimentation basin, the supernatant water is discharged to the water treatment plant, and the sludge deposited at the bottom of the sedimentation basin is transferred to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by the sludge collector and collected.

이러한 슬러지수집기는 한국특허등록번호 제0368170호 및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194154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에 의해 와이어를 매개로 전후방으로 이동하되, 전방의 슬러지수집호퍼 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스크레이퍼가 아래로 내려와 침전지의 바닥을 긁어 슬러지를 슬러지수집호퍼로 이송시킴으로써 슬러지수집호퍼에 슬러지를 수용케 할 수 있다. 이때, 슬러지수집기가 반대인 후방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스크레이퍼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368170 an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94154, these sludge collectors move forward and backward through a wire by a driving device, but when moving toward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in front, the scraper moves downwards. Sludge can be accommodated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by coming down and scraping the bottom of the settling tank and transferring the sludge to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At this time, when the sludge collector moves to the opposite rear side, the scraper may be mov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슬러지수집호퍼에 수집된 슬러지는 슬러지배출배관을 통해 외부의 농축조로 배출될 수 있다.The sludge collected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can be discharged to the external thickener through the sludge discharge pipe.

이때, 슬러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응집제의 투여로 침전된 것이어서, 슬러지수집호퍼에 수집된 슬러지는 응집제에 의해 더욱 뭉쳐지고 단단해져, 슬러지배출배관으로 쉽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sludge is precipitated by the administration of the coagulant, as described above, the sludge collected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is further agglomerated and hardened by the coagulan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easily discharged to the sludge discharge pipe.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요 기술의 제시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present a necessary technology for solving these problem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2262호 2011.06.10.등록Registered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42262 2011.06.10.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슬러지를 슬러지수집호퍼로 수집하되, 별도의 추가적인 구동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슬러지수집호퍼 내 경화된 슬러지를 파쇄할 수 있는 슬러지 파쇄기능이 구비된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collects sludge with a sludge collection hopper, but does not use a separate additional driving device, and has a sludge crushing function capable of crushing hardened sludge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type sludge collecto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장치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바닥의 슬러지를 슬러지수집호퍼에 수집하는 슬러지수집용대차를 가진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수집호퍼 내 왕복운동하여, 상기 슬러지수집호퍼 내 응집된 슬러지를 파쇄하기 위한 파쇄모듈, 상기 슬러지수집용대차의 전방에 위치하되, 일단부에 상기 파쇄모듈과 결합된 피동형의 파쇄용대차, 및 상기 슬러지수집호퍼의 상부에 마련된 제1 풀리를 지지하는 풀리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풀리에 연결된 와이어의 일단부는 무게추가 마련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에는 상기 파쇄용대차가 결합되며, 상기 파쇄용대차는,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슬러지수집용대차에 밀려 전방으로 이동하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자유상태에서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상기 무게추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파쇄모듈은, 상기 파쇄용대차의 이동에 연동하여 왕복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udge collection truck having a sludge collection cart that mov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y a driving device to collect the sludge on the bottom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reciprocating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A crushing module for crushing the coagulated sludge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by movement, a passive type crushing cart that is located in front of the sludge collection cart, and is coupled to the crushing module at one end, and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A pulley support for supporting the first pulley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is provided, one end of the wire connected to the first pulley is provided with a weight,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coupled to the crushing bogie, and the crushing bogie is, the driving It moves forward by being pushed by the sludge collection bogie moving forward by the device, and moves backward by the weight descending by its own weight in a free state where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the shredding module is for the shredding It provides an underwater sludge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reciprocates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bogi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슬러지수집호퍼의 상기 슬러지수집용대차를 향한 면은, 하향경사진 경사면이되, 상기 파쇄모듈은, 상기 경사면을 향하여 돌출형성된 파쇄돌기를 일면에 가진 판상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urface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facing the sludge collection cart is a downward inclined surface, and the crushing module may be a plate-shaped plate having a crush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inclined surface on one surface. hav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파쇄모듈은, 상기 파쇄용대차의 이동방향에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rushing module may be coupled to be rotatable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rushing bogi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파쇄용대차의 이동방향에 따라 형성된 레일을 더 포함하되, 상기 레일은, 상기 파쇄용대차가 상기 슬러지수집호퍼의 상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슬러지수집호퍼의 상부에까지 연장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further comprising a rail formed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hredding bogie, wherein the rail is formed to exte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so that the shredding bogie is movabl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can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는, 상기 파쇄용대차의 전방측 말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ther end of the wire may be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crushing bogi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풀리지지대는, 상기 제1 풀리의 하부에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2 풀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풀리는, 상기 파쇄용대차의 직상부에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ulley support further includes a second pulley to which the wire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ulley, wherein the second pulley is spaced apart from the directly upper portion of the crushing bogie. .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슬러지수집호퍼의 상기 슬러지수집용대차를 향한 면은, 하향경사진 경사면이되, 상기 제1 및 제2 풀리는, 상기 경사면의 상측 가장자리 부근 위에 배치되어, 전방으로 이동한 상기 파쇄용대차는 상기 슬러지수집호퍼의 상부 개구부 위에 위치하고, 후방으로 이동한 상기 파쇄용대차는 상기 경사면의 상측 가장차리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urface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facing the sludge collection cart is a downward inclined surface, and the first and second pulleys are disposed above the upper edge of the inclined surface, and moved forward. The crushing bogie may be located above the upper opening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and the crushing bogie moving to the rear may be located near the upper edge of the inclined surfac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파쇄모듈은, 상기 파쇄용대차의 전방측 말단부에 하향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rushing module may be downward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crushing bogi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는, 슬러지수집호퍼 내 수집되어 응집된 또는 경화된 슬러지를 별도의 추가적인 구동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파쇄할 수 있다.The underwater cart-type sludge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rush the sludge that is collected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and aggregated or hardened without using a separate additional driv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는, 파쇄모듈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면상 가압하여 파쇄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슬러지를 동시에 파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derwater truck-type sludge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rush a large amount of sludge at the same time because it crushes the sludge by pressing the sludge in a plane using a crushing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가 설치된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를 정면과 측면에서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용대차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용대차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모듈이 젖혀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submerged truck-type sludge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submerged truck type sludge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and the side, respectively.
3 to 4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rushing bogi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forward.
5 to 6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rushing bogi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o the rear.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rush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ur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ubmerged sludg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가 설치된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를 정면과 측면에서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submersible sludge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ubmersible sludge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and the side, respectively .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는, 슬러지수집호퍼(2) 내에서 왕복운동하여, 슬러지수집호퍼(2) 내 응집된 또는 경화된 슬러지(s)를 파쇄하기 위한 파쇄모듈(110)과, 슬러지수집용대차(10)의 전방에 위치하되, 일단부에 파쇄모듈(110)과 결합된 피동형의 파쇄용대차(12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submerged truck-type sludge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iprocates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and the sludge aggregated or hardened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s) but located in front of the crushing module 110 and the sludge collection bogie 10 for crushing, a passive type crushing bogie 120 coupled with the crushing module 110 at one end can be included. have.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쇄용대차(1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에 결합된 파쇄모듈(110) 역시 슬러지수집호퍼(2)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파쇄모듈(110)과 슬러지수집호퍼(2) 내벽에 사이에 개재된 슬러지(s)를 가압하거나, 파쇄모듈(110)에 가해진 충격 등으로 파쇄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rushing cart 120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crushing module 110 coupled thereto also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so that the crushing module 110 ) and the sludge (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or may be crushed by an impact applied to the crushing module (110).

슬러지수집호퍼(2)는 침전조(1)의 바닥에 움푹파여 소정 크기의 공간을 가진 것으로, 슬러지수집용대차(10)의 일측에 마련된 스크레이퍼(scraper)에 의해 수집된 슬러지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is recessed in the bottom of the settling tank 1 to have a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sludge collected by a scrap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ludge collection cart 10 can be accommodated therein. have.

슬러지수집호퍼(2)는 슬러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면, 그 형상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슬러지수집용대차(10)를 향한 내벽은, 하향경사진 경사면(2a)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forms a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sludge therein, bu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inner wall facing the sludge collection cart 10 is inclined downwar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the inclined surface 2a.

즉, 슬러지수집호퍼(2)의 경사면(2a)은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부 개구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슬러지수집호퍼(2)가 위치한 방향을 전방으로 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at is, the inclined surface (2a)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may have a shape that is inclined backward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upper opening surface gradually widens toward the upper side. For reference, in this specifica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is located is determined forward, and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is.

슬러지수집용대차(10)는 침전조(1)의 바닥에 전후방향으로 마련된 한 쌍의 레일(21) 위에 안착될 수 있고, 레일(21) 상에 안착된 슬러지수집용대차(10)는 레일(21)에 의해 이동이 가이드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sludge collection bogie 10 may be seated on a pair of rails 21 provid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bottom of the settling tank 1, and the sludge collection bogie 10 seated on the rail 21 is a rail ( 21), the movement is guided so that it can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이때, 슬러지수집용대차(10)는 구동장치(5)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각종 풀리의 조합 및 이에 연결된 와이어를 매개로 전달받고,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ludge collection bogie 10 may receive the power generated by the driving device 5 through a combination of various pulleys and wires connected thereto, and may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received power.

스크레이퍼(11)는 슬러지수집용대차(10)의 전방에 마련되어, 슬러지수집용대차(10)가 전방에 위치한 슬러지수집호퍼(2) 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스크레이퍼(11)가 아래로 내려와 침전지(1)의 바닥을 긁어 슬러지를 슬러지수집호퍼(2)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되, 반대로 슬러지수집용대차(10)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스크레이퍼(11)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방으로 든 상태일 수 있다.The scraper 11 is provided in front of the sludge collection cart 10, and when the sludge collection cart 10 moves to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located in the front, the scraper 11 comes down and Scrape the floor so that the sludge can be transferred to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but on the contrary, when the sludge collection cart 10 moves backward, the scraper 11 may be in a state of being lifted upwar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전방으로 이동하는 슬러지수집용대차(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침전조(1)의 바닥에 전후방향으로 마련된 레일(21)을 따라 이동하되, 움푹 패인 슬러지수집호퍼(2)에 빠지지 않도록, 최대 슬러지수집호퍼(2)의 상부 개구부의 가장자리까지만 접근할 수 있을 뿐, 슬러지수집호퍼(2)의 상부로 이동하지 않는다.The sludge collection cart 10 moving forward moves along the rail 21 provid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n the bottom of the settling tank 1, as described above, so as not to fall into the recessed sludge collection hopper 2, Only the edge of the upper opening of the maximum sludge collection hopper (2) can be accessed, but it does not move to the upper part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이때, 스크레이퍼(11)에 의해 수집된 슬러지는 경사면(2a)을 따라 흘러 슬러지수집호퍼(2) 내 수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ludge collected by the scraper 11 may flow along the inclined surface 2a and be accommodated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

한편, 파쇄용대차(120)는 슬러지수집용대차(10)의 전방에 위치하되, 침전조(1)의 바닥에 마련된 레일(21)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파쇄용대차(1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은, 슬러지수집용대차(10)가 안착된 레일(21)로부터 연장 형성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슬러지수집용대차(10)가 안착된 레일(21)과 구분되는 별도의 레일일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rushing bogie 120 is located in front of the sludge collection bogie 10, it may be seated on the rail 21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ettling tank (1). Here, the rail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rushing bogie 120 may be formed extending from the rail 21 on which the sludge collection bogie 10 is se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ludge collecting bogie 10 is It may be a separate rail separated from the seated rail 21 .

이에 따라, 구동장치(5)의 구동력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는 슬러지수집용대차(10)는 그 앞에 위치한 파쇄용대차(120)를 전방으로 밀어, 파쇄용대차(120)를 전방으로 이동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용대차(120)는 피동형으로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해 직접 이동하지 않고, 외력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ludge collection bogie 10 moving forward with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device 5 pushes the shredding bogie 120 located in front of it forward, so that the shredding bogie 120 can be moved forward. have. That is, the crushing bogi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sive type and does not move directly by a separate driving device, but can be moved passively by an external force.

결국, 레일(21)을 따라 이동하는 파쇄용대차(120)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슬러지수집용대차(10)와 상호 연동하여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파쇄용대차(120)는 슬러지수집용대차(10)와 다르게, 슬러지수집호퍼(2)의 상부 개구부 위로 이동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crushing bogie 120 moving along the rail 21 can move forward in interlocking with the sludge collection bogie 10 moving forward, and the crushing bogie 120 is the sludge collecting bogie Unlike (10), it can move over the upper opening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레일(21)은, 슬러지수집호퍼(2)를 향하여 침전조(1) 바닥 위에 마련되되, 슬러지수집호퍼(2)의 상부 개구부의 가장자리까지만 형성되지 않고, 전방으로 더 연장형성되어, 슬러지수집호퍼(2)의 상부 개구부의 반대편 가장자리까지 연장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 pair of rails 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settling tank 1 toward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and are formed only up to the edge of the upper opening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It is not formed, and is formed to extend further forward, and can be formed to extend to the opposite edge of the upper opening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구체적인 일 예로, 슬러지수집호퍼(2)가 침전조(1)의 일측 내벽에 형성되어 있을 때, 침전조(1)의 바닥에 슬러지수집호퍼(2)를 향하여 마련된 레일(21)은 침전조(1)의 상기 일측 내벽까지 연장형성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whe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one side of the settling tank 1, the rail 21 provided toward the sludge collecting hopper 2 on the bottom of the settling tank 1 is the It may be formed to extend to the inner wall of the one side.

레일(21)의 적어도 일부는 슬러지수집호퍼(2)의 상부 개구부에까지 연장형성됨으로써, 파쇄용대차(120)는 레일(21)을 따라 이동하여 슬러지수집호퍼(2)의 상부 개구부 위에 위치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rail 21 is formed to exten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so that the crushing bogie 120 moves along the rail 21 and can be located above the upper opening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have.

한편, 파쇄모듈(110)은, 파쇄용대차(120)에 하향 결합되어 슬러지수집호퍼(2) 내 슬러지 수용공간에 위치할 수 있고, 파쇄용대차(120)의 이동에 따라 파쇄모듈(110) 역시 이에 상응하여 이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rushing module 110 is coupled downwardly to the crushing cart 120 to be located in the sludge receiving space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an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rushing cart 120, the crushing module 110 You can also move accordingly.

파쇄용대차(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슬러지수집호퍼(2)의 상부 개구부의 위에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며, 이에 결합된 파쇄모듈(110) 역시 이에 상응하여 슬러지수집호퍼(2) 내 수용공간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파쇄모듈(110)의 이동 범위를 최대한으로 하기 위해, 파쇄모듈(110)은 파쇄용대차(120)의 전방측 말단부에 하향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b) 참고).The crushing cart 120, as described above, is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top of the upper opening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and the crushing module 110 coupled thereto is also accommodated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correspondingly. Since it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space, in order to maximize the movement range of the crushing module 110 moving forward and backward, the crushing module 110 is preferably coupled down to the front end of the crushing cart 120 ( see Fig. 2(b)).

즉, 전방으로 최대 이동한 파쇄용대차(120)에 결합된 파쇄모듈(110)은 슬러지수집호퍼(2)의 일측 내벽에 근접하도록 위치함으로써, 파쇄용대차(120)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파쇄모듈(110)이 슬러지수집호퍼(2)의 경사면(2a)을 향하여 이동할 때, 슬러지수집호퍼(2) 내 슬러지를 최대한 수집하여, 경사면(2a) 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That is, the crushing module 110 coupled to the crushing bogie 120 that has moved the maximum forward is located close to the inner wall of one side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so that the crushing bogie 120 is crushed as it moves backward. When the module 110 moves toward the inclined surface 2a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the sludge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can be collected as much as possible, and it can be guided toward the inclined surface 2a.

또한, 이와 반대로, 파쇄용대차(12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침전조(1)의 벽면(2b)과 파쇄모듈(110) 사이에 개재된 슬러지를 파쇄할 수도 있다.Also, on the contrary, even when the crushing cart 120 moves forward, the sludge interposed between the wall surface 2b of the settling tank 1 and the crushing module 110 may be crush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파쇄모듈(110)은 파쇄용대차(120)에 하향 결합되되, 파쇄용대차(120)의 이동에 연동하여 슬러지수집호퍼(2) 내 수용공간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슬러지수집호퍼(2) 내 응집된 슬러지를 파쇄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crushing module 110 is downwardly coupled to the crushing bogie 120, and by moving forward and backward in the accommodating space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crushing bogie 120, It is possible to crush the coagulated sludge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구체적으로, 파쇄모듈(110)은 이동에 따라 슬러지수집호퍼(2) 내 슬러지를 수집하여 슬러지수집호퍼(2) 내 경사면(2a)으로 유도시킴으로써, 파쇄모듈(110)과 경사면(2a) 사이에 개재된 슬러지에 충격을 가하여 슬러지를 파쇄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crushing module 110 collects the sludge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according to the movement and guides it to the inclined surface 2a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so that between the crushing module 110 and the inclined surface 2a. The sludge can be crushed by applying an impact to the interposed sludge.

즉, 이를 위해 파쇄모듈(110)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러지 파쇄시 대향하는 경사면(2a)과 상응하는 판상의 플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for this purpose, the crushing module 110, as shown in FIG. 2(a), is preferably a plate-shaped plat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2a facing the sludge crushing.

다만, 파쇄모듈(110)은 경사면(2a)과의 사이에 개재된 슬러지를 가압하거나 충격을 가할 때, 응집된 또는 경화된 슬러지를 용이하게 파쇄시킬 수 있도록, 파쇄모듈(110)의 경사면(2a)과 대향하는 면에는 돌출형성된 파쇄돌기(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However, when the crushing module 110 pressurizes or applies an impact to the sludge interposed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2a and the inclined surface 2a, the crushing module 110 can easily crush the agglomerated or hardened sludge. ) and may have a protruding crushing projection (not shown) on the opposite surface.

파쇄돌기의 형상은 판상의 플레이트에 소정의 돌출 높이를 가진 돌기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돌기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대략 날개 형태의 블레이드가 다수 마련된 것일 수 있다.The shape of the crushing protrus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protrusion having a predetermined protrusion height on the plate-like plate, but the crushing protrus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bstantially wing-shaped blades protruding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수평방향의 블레이드는 파쇄된 슬러지가 돌출된 블레이드 위에 쌓일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상기 블레이드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bla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accumulate crushed sludge on the protruding blade, in order to prevent this problem in adva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blade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파쇄용대차(120)에 중력방향으로 하향 결합된 파쇄모듈(110)은, 파쇄용대차(1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파쇄용대차(120)의 이동방향에 따라, 즉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rushing module 110 coupled downward in the gravity direction to the crushing bogie 12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crushing bogie 1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rushing bogie 120 Accordingly, that is, it can be hinged to be rotat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파쇄용대차(120)의 전방측 말단부에는 파쇄용대차(120)의 폭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힌지축(121a, 121b)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힌지축(121a, 121b)에 파쇄모듈(110)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도 2(a) 및 2(b) 참고).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rushing bogie 120 may be provided with hinge shafts 121a and 121b in the width direction or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rushing bogie 120, the hinge shaft 121a, The crushing module 11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121b) (see FIGS. 2(a) and 2(b)).

파쇄용대차(120)의 힌지축(121a, 121b)에 결합된 파쇄모듈(110)은 힌지축(121a, 121b)을 중심으로 하단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다.The crushing module 110 coupled to the hinge shafts 121a and 121b of the crushing bogie 120 may have a lower end bent forward or backward around the hinge shafts 121a and 121b.

파쇄용대차(120)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와 연동하여 파쇄모듈(110) 역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파쇄모듈(110)이 슬러지수집호퍼(2)의 경사면(2a) 위로 이동할 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울어진 경사면(2a)에 따라 파쇄모듈(110)은 하측 말단부는 전방으로 젖혀질 수 있다.As the crushing bogie 120 moves to the rear, the crushing module 110 can also move rearward in conjunction with this, and when the crushing module 110 moves over the inclined surface 2a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FIG. As shown in 7, the lower end of the crushing module 110 according to the inclined inclined surface 2a can be folded forward.

결국, 소정 크기 이상의 무게를 가진 파쇄모듈(110)은 경사면(2a) 위로 이동할 때, 자중으로 경사면(2a)과의 사이에 개재된 슬러지를 면상 가압하여, 파쇄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슬러지를 동시에 파쇄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crushing module 110 having a weight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moves over the inclined surface 2a, it presses the sludge interposed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2a and the inclined surface 2a with its own weight and crushes it. can be crushed

즉, 파쇄모듈(110)의 이동으로 슬러지수집호퍼(2) 내 슬러지를 충격하여 1차 파쇄할 수 있고, 경사면(2a) 위로 이동한 파쇄모듈(110)은 자중으로 슬러지를 면상 가압하여 2차 파쇄할 수 있다.That is, by the movement of the crushing module 110, the sludge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can be impacted to primary crushing, and the crushing module 110 moved above the inclined surface 2a pressurizes the sludge with its own weight to make the secondary crushing. can be crushed

물론, 파쇄모듈(110)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도, 파쇄모듈(110)과 대향하는 슬러지수집호퍼(2)의 내측 벽면(2b)과의 사이에 개재된 슬러지를 면상 가압하여, 파쇄할 수도 있다.Of course, even when the crushing module 110 moves forward, the sludge interposed between the crushing module 110 and the inner wall surface 2b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opposite to the crushing module 110 can be crushed.

이 경우, 파쇄모듈(110)의 파쇄 효과를 높이기 위해, 파쇄모듈(110)의 상기 벽면(2b)과 대향하는 면에도 마찬가지로 돌출형성된 상기 파쇄돌기를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enhance the crushing effect of the crushing module 110 , the crush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similarly to the surface opposite to the wall surface 2b of the crushing module 110 may be provid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파쇄용대차(120)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슬러지수집용대차(10)에 의해 가압되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슬러지수집용대차(10)가 구동장치(5)의 동력으로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파쇄용대차(12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자유상태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crushing bogie 120 is pressurized by the forward moving sludge collection bogie 10 to move forward, but the sludge collecting bogie 10 is the power of the driving device 5 . When moving backward, it can be in a free state in which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o the crushing bogie 120 .

피동형의 파쇄용대차(120)는 자유상태에서 스스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파쇄용대차(120)를 후방으로 후퇴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는 소정 크기 이상의 무게를 가진 무게추(150)를 포함할 수 있다.Since the passive-type crushing bogie 120 cannot move by itself in a free state, in order to retreat the crushing bogie 120 to the rear, the underwater bogie-type sludge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eighs more than a predetermined size. It may include a weight 150 with.

구체적으로, 슬러지수집호퍼(2)의 상부에는 제1 풀리(141a, 141b)가 마련될 수 있고, 제1 풀리(141a, 141b)의 외주면에 감긴 와이어(wire)의 일단부에는 상기 무게추(150)가 결합될 수 있며,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에는 상기 파쇄용대차(120)가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pulleys 141a and 141b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and one end of the wire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ulley 141a, 141b has the weight ( 150) may be coupled, and the crushing bogie 120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wire.

소정의 무게를 가진 무게추(150)는 자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하강하며, 하강하는 무게추(150)에 의한 장력에 의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자유상태의 파쇄용대차(120)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weight 150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descends in the direction of gravity by its own weight, and the crushing bogie 120 in a free state in which external force does not act due to the tension by the descending weight 150 moves backward. can

슬러지수집호퍼(2)의 상부에 제1 풀리(141a, 141b)를 지지하기 위해, 침전조(1)의 적어도 어느 한 내벽에 설치된 풀리지지대(130)에 상기 제1 풀리(141a, 141b)는 고정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the first pulleys (141a, 141b) on the upper part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the first pulleys (141a, 141b) are fixed to the pulley support 130 installed on at least one inner wall of the settling tank (1). can be

풀리지지대(130)에 고정된 제1 풀리(141a, 141b)는 무게추(150)의 이동방향인 상하방향을 파쇄용대차(120)의 이동방향인 전후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것으로, 무게추(150)에 의해 중력방향의 힘이 파쇄용대차(120)에 수평방향으로 작용될 수 있도록, 제1 풀리(141a, 141b) 이외에 상기 제1 풀리(141a, 141b) 하부에 제2 풀리(142a, 142b)를 추가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pulleys 141a and 141b fixed to the pulley support 130 are for converting the vertical direction, which i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weight 150, to the front-back direction, which i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crushing bogie 120, the weight ( 150) so that the force in the gravity direction can be applied to the crushing bogie 1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to the first pulleys (141a, 141b), the second pulley (142a)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pulley (141a, 141b),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rovide 142b).

이때, 제2 풀리(142a, 142b)는 파쇄용대차(120)의 직상부에 이격 위치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파쇄용대차(120)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되, 상기 제1 및 제2 풀리(141a, 141b, 142a, 142b)는 대략 슬러지수집호퍼(2)의 경사면(2a)의 상측 가장자리 부근 위에 배치되어, 침전조(1)의 내측 벽면(2b)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풀리(141a, 141b, 142a, 142b)까지의 이격거리 내 파쇄용대차(120)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방으로 이동한 파쇄용대차(120)는 슬러지수집호퍼(2)의 상부 개구부 상에 위치하도록 하고, 반대로 후방으로 이동한 파쇄용대차(120)는 슬러지수집호퍼(2)의 상측 가장자리 부근까지 후퇴하여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pulleys (142a, 142b) ar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rushing bogie 12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rushing bogie 120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but the first and second pulleys ( 141a, 141b, 142a, 142b are approximately disposed above the upper edge vicinity of the inclined surface 2a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and the first and second pulleys 141a, 141b, 142a, 142b)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crushing bogie 120 to be retracted within the separation distance. That is, the crushing bogie 120 moved forward is positioned on the upper opening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and the crushing bogie 120 moved to the rear is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edge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on the contrary. It can be retracted and positioned.

여기서, 무게추(150)와 파쇄용대차(120)를 연결하는 와이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 배치된 제1 및 제2 풀리(141a, 141b, 142a, 142b)의 외주면에 감기도록 마련되되, 와이어의 일단부는 무게추(150)에 결합되고, 와이어의 타단부는 파쇄용대차(120)의 전방측 말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wire connecting the weight 150 and the crushing bogie 120 is provided to b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pulleys (141a, 141b, 142a, 142b) arranged vertically as described above. , One end of the wire is coupled to the weight 150, the other end of the wire may be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crushing bogie (120).

이에 따라, 무게추(150)가 자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하강하면, 파쇄용대차(120)의 전방측 말단부에 연결된 와이어는 당겨져, 슬러지수집호퍼(2)의 경사면(2a)의 상측 가장자리 부근에 파쇄용대차(120)의 전방측 말단부가 위치하도록, 파쇄용대차(120)는 후퇴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weight 150 descends in the direction of gravity by its own weight, the wire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crushing bogie 120 is pulled, near the upper edge of the inclined surface 2a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crushing bogie 120 is located, the crushing bogie 120 is retrac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의 동작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면,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용대차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용대차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underwater bogie-type sludge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by step, FIGS. 5 to 6 are views showing a state that the crushing bogi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o the rear.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러지수집용대차(10)가 구동장치(5)의 동력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면, 앞에 위치한 파쇄용대차(120)를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파쇄용대차(120)에 하향 결합된 파쇄모듈(110) 역시 슬러지수집호퍼(2) 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벽면(2b)과의 사이에 개재된 슬러지를 파쇄시킬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3 , when the sludge collection bogie 10 moves forward by the power of the driving device 5 , the crushing bogie 120 located in front can be pressed forward. At this time, the crushing module 110 downwardly coupled to the crushing cart 120 may also move forward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to crush the sludge interposed between it and the wall surface 2b.

이때, 전방으로 이동하는 파쇄용대차(120)는 그 전방측 말단부를 작용점으로 이에 연결된 와이어를 전방으로 당김으로써, 무게추(15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rushing bogie 120 moving forward pulls the wire connected thereto as an action point at the front end thereof, so that the weight 150 is moved upward, as shown in FIG. 4 .

한편, 그 이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러지수집용대차(10)가 후방으로 후퇴하게 되면, 위치에너지를 가진 무게추(150)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파쇄용대차(120)의 전방측 말단부에 연결된 와이어를 매개로 제2 풀리(142a, 142b)를 향하여 당김으로써, 파쇄용대차(12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at, as shown in FIG. 5, when the sludge collection bogie 10 retreats to the rear, the weight 150 with potential energy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the crushing bogie 120 By pulling toward the second pulley (142a, 142b) via the wire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shredding bogie 120, as shown in FIG. 6, is moved to the rear.

마찬가지로, 파쇄용대차(120)에 하향 결합된 파쇄모듈(110) 역시 슬러지수집호퍼(2) 내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경사면(2a)과의 사이에 개재된 슬러지를 파쇄시킬 수 있다.Similarly, the crushing module 110 downwardly coupled to the crushing cart 120 can also move backward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2 to crush the sludge interposed between it and the inclined surface 2a.

이때, 파쇄모듈(110)은 힌지축(121a, 121b)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중력 방향이 아닌 경사면(2a)을 따라 하단부가 전방으로 젖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파쇄모듈(110)은 경사면(2a)과의 사이에 개재된 슬러지를 자중에 의해 면상 가압하여, 많은 양의 슬러지를 동시에 파쇄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rushing module 110 may be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s 121a and 121b, and the lower end may be tilted for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2a rather than in the direction of gravity. In this case, the crushing module 110 is an inclined surface ( The sludge interposed between 2a) and the sludge can be pressed flat by its own weight, and a large amount of sludge can be crushed at the same time.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scope, and equivalent concept of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 침전조 2: 슬러지수집호퍼
2a: 경사면 2b: 벽면
21: 레일 3: 슬러지배출배관
10: 슬러지수집용대차 11: 스크레이퍼
110: 파쇄모듈 120: 파쇄용대차
121a, 121b: 힌지축 130: 풀리지지대
141a, 141b: 제1 풀리 142a, 142b: 제2 풀리
150: 무게추 s: 슬러지
1: Sedimentation tank 2: Sludge collection hopper
2a: slope 2b: wall
21: Rail 3: Sludge discharge pipe
10: Sludge collection bogie 11: Scraper
110: crushing module 120: crushing cart
121a, 121b: hinge shaft 130: pulley support
141a, 141b: first pulley 142a, 142b: second pulley
150: weight s: sludge

Claims (8)

구동장치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바닥의 슬러지를 슬러지수집호퍼에 수집하는 슬러지수집용대차를 가진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수집호퍼 내 왕복운동하여, 상기 슬러지수집호퍼 내 응집된 슬러지를 파쇄하기 위한 파쇄모듈;
상기 슬러지수집용대차의 전방에 위치하되, 일단부에 상기 파쇄모듈과 결합된 피동형의 파쇄용대차; 및
상기 슬러지수집호퍼의 상부에 마련된 제1 풀리를 지지하는 풀리지지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풀리에 연결된 와이어의 일단부는 무게추가 마련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에는 상기 파쇄용대차가 결합되며,
상기 파쇄용대차는,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슬러지수집용대차에 밀려 전방으로 이동하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자유상태에서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상기 무게추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파쇄모듈은, 상기 파쇄용대차의 이동에 연동하여 왕복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
In the water truck type sludge collector having a sludge collection cart that moves forward and backward by a driving device to collect the sludge on the bottom in a sludge collection hopper,
a crushing module for reciprocating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to crush the aggregated sludge in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But located in front of the sludge collection trolley, a passive shredding bogie coupled to the shredding module at one end; and
a pulley support for supporting a first pulley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including,
One end of the wire connected to the first pulley is provided with a weight, and the crushing bogie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wire,
The crushing bogie is pushed forward by the sludge collection bogie moving forward by the driving device, and moves backward by the weight descending by its own weight in a free state where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crushing module is a submersible sludge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reciprocates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crushing bogi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수집호퍼의 상기 슬러지수집용대차를 향한 면은, 하향경사진 경사면이되,
상기 파쇄모듈은, 상기 경사면을 향하여 돌출형성된 파쇄돌기를 일면에 가진 판상의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urface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facing the sludge collection cart is a downward inclined surface,
The crushing module is a submersible sludge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late-shaped plate having a crushing projection protruding toward the inclined surface on one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모듈은, 상기 파쇄용대차의 이동방향에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rushing module is a submersible sludge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be rotatable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crushing bogi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용대차의 이동방향에 따라 형성된 레일을 더 포함하되,
상기 레일은, 상기 파쇄용대차가 상기 슬러지수집호퍼의 상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슬러지수집호퍼의 상부에까지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ail formed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rushing bogie,
The rail is a submersible sludge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xtended to the upper part of the sludge collecting hopper so that the crushing cart is movable from the upper part of the sludge collecting hopp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는,
상기 파쇄용대차의 전방측 말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other end of the wire,
An underwater bogie-type sludge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crushing bogi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지지대는, 상기 제1 풀리의 하부에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2 풀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풀리는, 상기 파쇄용대차의 직상부에 이격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ulley support further comprises a second pulley to which the wire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ulley,
The second pulley is an underwater bogie type sludge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crushing bogi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수집호퍼의 상기 슬러지수집용대차를 향한 면은, 하향경사진 경사면이되,
상기 제1 및 제2 풀리는, 상기 경사면의 상측 가장자리 부근 위에 배치되어, 전방으로 이동한 상기 파쇄용대차는 상기 슬러지수집호퍼의 상부 개구부 위에 위치하고, 후방으로 이동한 상기 파쇄용대차는 상기 경사면의 상측 가장자리 부근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urface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facing the sludge collection cart is a downward inclined surface,
The first and second pulleys are disposed on the vicinity of the upper edge of the inclined surface, the shredding bogie moved forward is located above the upper opening of the sludge collection hopper, and the shredding bogie moved rearward is near the upper edge of the inclined surface Underwater truck-type sludge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in th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모듈은,
상기 파쇄용대차의 전방측 말단부에 하향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rushing module is
An underwater bogie-type sludge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ownward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crushing bogie.
KR1020210062993A 2021-05-14 2021-05-14 Apparatus for collecting sludge of underwater car type having sludge shredding function KR1023182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993A KR102318292B1 (en) 2021-05-14 2021-05-14 Apparatus for collecting sludge of underwater car type having sludge shredd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993A KR102318292B1 (en) 2021-05-14 2021-05-14 Apparatus for collecting sludge of underwater car type having sludge shredd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292B1 true KR102318292B1 (en) 2021-10-27

Family

ID=78287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993A KR102318292B1 (en) 2021-05-14 2021-05-14 Apparatus for collecting sludge of underwater car type having sludge shredd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29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721B1 (en) 2022-04-05 2022-10-21 주식회사 삼영이앤티 Bogie-type sludge collection device
KR102457722B1 (en) 2022-04-05 2022-10-21 주식회사 삼영이앤티 Sludge collection system of the bogie type sludge collection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813U (en) * 1993-08-19 1995-03-20 Cooling system of continuous casting machine drawing roller
KR100753873B1 (en) * 2007-02-12 2007-09-03 (주)효성엔바이로 Sludge collector having a sludge mixing part in a settling pond
JP2008114124A (en) * 2006-11-01 2008-05-22 Sumitomo Heavy Industries Environment Co Ltd Sludge scraping apparatus
KR101042262B1 (en) 2010-11-19 2011-06-17 중앙종합기계(주) Sludge treatment equipment for filtration plant having apparatus for agitating
KR101202920B1 (en) * 2011-11-23 2012-11-19 강흥묵 Apparatus for Removing Adhesive Foreign From Inner Wal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813U (en) * 1993-08-19 1995-03-20 Cooling system of continuous casting machine drawing roller
JP2008114124A (en) * 2006-11-01 2008-05-22 Sumitomo Heavy Industries Environment Co Ltd Sludge scraping apparatus
KR100753873B1 (en) * 2007-02-12 2007-09-03 (주)효성엔바이로 Sludge collector having a sludge mixing part in a settling pond
KR101042262B1 (en) 2010-11-19 2011-06-17 중앙종합기계(주) Sludge treatment equipment for filtration plant having apparatus for agitating
KR101202920B1 (en) * 2011-11-23 2012-11-19 강흥묵 Apparatus for Removing Adhesive Foreign From Inner Wal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721B1 (en) 2022-04-05 2022-10-21 주식회사 삼영이앤티 Bogie-type sludge collection device
KR102457722B1 (en) 2022-04-05 2022-10-21 주식회사 삼영이앤티 Sludge collection system of the bogie type sludge collec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8292B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sludge of underwater car type having sludge shredding function
GB2566852A (e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fertilizer device based on big data
CN210788575U (en) Mobile environment-friendly device
KR100894174B1 (en) Sludge collector
CN205060858U (en) Ore delivery belt cleaning device
CN205633807U (en) Garbage compressor
CN102249062B (en) Bin translation device of refuse transfer station
CN112473973A (en) Multistage reducing mechanism is used in building processing
CN105819132A (en) Garbage compressor
CN108160194B (en) Solid waste from village disposition equipment
CN201342286Y (en) A sewage water automatic processing equipment
KR200331708Y1 (en) device of removal floating matters
CN205633806U (en) Rubbish compressor feed mechanism
CN208927680U (en) Sludge mud scraper
CN206613226U (en) A kind of skimmer device
KR20060066157A (en) Sludge collector using transfer car
CN113477311A (en) Intelligent building construction is with construction waste classification recovery unit
CN210259806U (en) Multifunctional garbage truck
CN218151227U (en) Power station is with blocking dirty device
CN108407367B (en) Automatic compaction treatment facility of municipal domestic waste
CN205471011U (en) Transfer station for compressing garbage
CN204280453U (en) A kind of pressed refuse transfer post and waste transportation railway carriage thereof
CN216584238U (en) Integration is grid device for sewage treatment pump station
CN212442469U (en) Feed mechanism of sand-stone separator
CN217375841U (en) Garbage truck pushing mechanism and garbage tru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