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232B1 - 캐패시터용 전극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캐패시터 - Google Patents

캐패시터용 전극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캐패시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232B1
KR102318232B1 KR1020150040827A KR20150040827A KR102318232B1 KR 102318232 B1 KR102318232 B1 KR 102318232B1 KR 1020150040827 A KR1020150040827 A KR 1020150040827A KR 20150040827 A KR20150040827 A KR 20150040827A KR 102318232 B1 KR102318232 B1 KR 102318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carbide
carbide powder
electrode
capacit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4390A (ko
Inventor
홍승권
이혁수
조인희
박현규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0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232B1/ko
Priority to US15/560,964 priority patent/US20180082797A1/en
Priority to PCT/KR2016/002978 priority patent/WO2016153284A1/en
Publication of KR20160114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H01G11/38Carbon pastes or blends; Binders or additives there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H01G11/42Powders or particles, e.g. composi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24Electrod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the materials making up or comprised in the electrodes, e.g. form, surface area or porosit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powders or particles used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84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 H01G11/86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캐패시터용 전극 재료는 직경이 2 내지 50nm인 메조 포어(meso pore) 및 직경이 2nm 이하인 마이크로 포어(micro pore)를 포함하는 탄화규소 분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캐패시터용 전극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캐패시터{ELECTRODE MATERIAL AND CAPACITO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캐패시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패시터에 포함되는 캐패시터용 전극 재료에 관한 것이다.
슈퍼캐패시터(supercapacitor)는 일반 캐패시터에 비하여 급속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고, 수명이 길며, 효율이 높은 초고용량 캐패시터이다. 슈퍼캐패시터는 전극과 전해액의 계면에 전하가 배열되는 전기 이중층을 이용하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DLC), 전극과 전해액의 계면에서 가역적인 패러데이 산화/환원 반응에 의한 의사 캐패시턴스(pseudo capacitance)를 이용하는 의사 캐패시터(pseudo capacitor), 양극과 음극에 서로 다른 비대칭 전극을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캐패시터(hybrid capacitor)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의 전극 재료로 활성탄소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활성탄소의 전도율 및 비유전율이 낮아 대용량 구현에 한계가 있다. 활성탄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탄소에어로겔, 메탈 카바이드 유도 탄소 등이 시도되고 있으나, 높은 비용 및 저밀도로 인하여 셀 구현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높은 비유전율을 가지는 캐패시터용 전극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캐패시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캐패시터용 전극 재료는 직경이 2 내지 50nm인 메조 포어(meso pore) 및 직경이 2nm 이하인 마이크로 포어(micro pore)를 포함하는 탄화규소 분말을 포함한다.
상기 탄화규소 분말의 비표면적은 1500 내지 2500m2/g이며, 전도율은 60지멘스/c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메조 포어의 면적은 상기 메조 포어 및 상기 마이크로 포어의 면적의 45 내지 65%를 차지할 수 있다.
상기 탄화규소 분말은 β상일 수 있다.
상기 탄화규소 분말의 XRD 패턴은 2θ=35.6˚±1 ˚에서 (1, 1, 1) 면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캐패시터는 탄화규소 분말을 포함하는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탄화규소 분말은 직경이 2 내지 50nm인 메조 포어(meso pore) 및 직경이 2nm 이하인 마이크로 포어(micro pore)를 포함한다.
상기 탄화규소 분말을 포함하는 제1 전극, 상기 탄화규소 분말을 포함하는 제2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는 50 내지 200㎛일 수 있다.
상기 캐패시터의 비유전율은 100 내지 300F/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높은 비유전율을 가지는 캐패시터용 전극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캐패시터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높은 전도율 및 비표면적으로 인하여 비유전율이 높아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비용이 저렴한 전극 재료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코인형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를 나타낸다.
도 3은 각형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를 나타낸다.
도 4는 원통형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의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의 공극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의 공극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에서는 활성탄소에 형성된 공극을 도시한다.
도 10에서는 일반적인 다공성 탄화규소 분말에 형성된 공극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도 12는 도 11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탄화규소 분말의 XRD 패턴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을 이용하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도 1은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코인형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를 나타내며, 도 3은 각형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를 나타내고, 도 4는 원통형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DLC, 100)는 분리막(separator, 110) 및 분리막(110)으로 나뉘어진 전해질 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전극(120, 130)을 포함한다. 각 전극(120, 130)은 집전체(colletor, 140, 150)에 연결되며, 활물질(122), 바인더(binder, 124) 및 도전재(126)로 채워진다.
여기서, 분리막(110)은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셀룰로오스 및 유리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절연성 막일 수 있다. 분리막(110)은 다공성 막일 수 있다.
전극(120, 130)에 포함되는 활물질(122)은 높은 전도율을 가지는 다공성 물질일 수 있다. 활물질(122)의 전도율이 높고, 비표면적이 큰 경우, 비유전율이 높아지며, 셀의 축전 용량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전극(120, 130)에 포함되는 활물질(122)은 밀도가 높은 다공성 물질일 수 있다. 활물질(122)의 밀도가 높고, 비표면적이 큰 경우, 셀의 부피를 줄이면서도 고용량화할 수 있다.
전극(120, 130)에 포함되는 바인더(124)는 폴리머 계열의 수지, 예를 들어 폴리불화 비닐리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올레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비닐 알코올 및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인더(124)는 활물질(122)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바인더(124)와 활물질(122)이 이러한 수치 범위를 만족하면, 전기 저항의 증가 및 방전 용량의 저하를 막으면서도, 바인더(124)와 활물질(122) 간의 결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극(120, 130)에 포함되는 도전재(126)는, 예를 들면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탄소 섬유, 흑연 및 산화 루테늄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전재(126)는 활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도전재(126)가 이러한 수치 범위를 벗어난 경우, 셀의 정전 용량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전도성이 높은 활물질(122)이 사용되는 경우, 도전재(126)는 첨가되지 않을 수도 있다.
집전체(140, 150)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해질은 비수계 전해질 또는 수계 전해질일 수 있다. 비수계 전해질은, 예를 들면 테트라알킬포스포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를 용해한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용액, 테트라알킬암모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를 용해한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용액 또는 술포란 용액, 트리에틸메틸암모늄과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를 용해한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용액 등이 있다. 수계 전해질은, 예를 들면 수산화 칼륨 수용액,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등의 알칼리성 수용액이 있다.
전해질은 양이온과 음이온이 극성 용매에 혼합되어 녹아 있는 형태이다. 충전 시에 전압을 걸면 전극의 표면에 해리된 전해질 이온이 흡착하여 전기를 축적하고, 방전 시에 전해질 이온이 전극으로부터 이탈하여 중화 상태로 돌아온다.
이러한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는 자동차, 풍력 발전, 복사기, 에너지 하비스팅 시스템(energy harvesting system), 건설 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외형적 크기 또는 적용 분야에 따라 코인형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각형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및 원통형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코인형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는 한 상의 시트 형상의 전극(120, 130)이 분리막(11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전극에 전해액을 침투시킨 상태로 상하 금속 케이스(160) 및 절연 패킹(170)에 의해 외장 봉입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각형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는 알루미늄 집전극(140, 150)의 표면에 활물질을 도포시킨 한 쌍의 전극(120, 130)이 분리막(110)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로 단자(180)가 인출되어 있다. 각형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는 전극의 대향 면적이 넓고, 두께가 얇으므로, 전극의 확산 저항이 낮고 대용량화, 고출력화가 용이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원통형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는 알루미늄 집전극(140, 150)의 표면에 활물질을 도포시킨 한 쌍의 전극(120, 130)이 분리막(110)을 사이에 두고 감기며, 내부에 전해액을 침투시켜 알루미늄 케이스(190)에 삽입하고, 고무로 봉입한 구조(192)를 가진다. 알루미늄 집전극(140, 150)에는 리드 선(194)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외부로 단자가 인출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의 활물질로 탄화규소 분말을 사용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의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사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의 공극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의 공극을 확대한 도면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과 비교하기 위하여, 도 9에서는 활성탄소에 형성된 공극을 도시하며, 도 10에서는 일반적인 다공성 탄화규소 분말에 형성된 공극을 도시한다.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은 다공성이다. 이때, 탄화규소 분말은 β상을 포함하며, XRD 패턴은 2θ=35.6˚±1 ˚에서 (1, 1, 1) 면을 나타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은 직경(D1)이 2 내지 50nm인 메조 포어(meso pore) 및 직경(D2)이 2nm 이하인 마이크로 포어(micro pore)를 포함하며, 메조 포어를 중심으로 복수의 마이크로 포어가 분기될 수 있다. 그리고, 탄화규소 분말에 형성된 메조 포어의 면적은 메조 포어와 마이크로 포어의 전체 면적의 45 내지 65%를 차지할 수 있다. 메조 포어의 면적이 메조 포어와 마이크로 포어의 전체 면적의 45% 미만이거나, 메조 포어와 마이크로 포어의 전체 면적의 65%를 초과하는 경우, 탄화규소 분말의 비표면적이 1500m2/g 미만으로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탄화규소 분말의 전하 흡착을 위한 표면적이 줄어들게 되며, 셀 구현 시 비유전율이 100F/g 미만으로 낮아지고 축전 용량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의 비표면적이 1500 내지 2500m2/g이며, 탄화규소 분말의 전도율은 60지멘스/cm 이상이므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을 이용하여 셀을 구현할 경우 100 내지 300F/g의 비유전율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9에 도시된 활성탄소는 비표면적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과 유사하나, 전도율이 1 내지 10지멘스/cm이므로, 80 내지 120F/g 의 비유전율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을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의 전극 재료로 사용하면, 활성탄소에 비하여 높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의 경우, 비유전율은 활성탄소보다 높으나, 비용이 높아 실제 셀 구현에 한계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의 밀도는 3 내지 3.2g/cm3이나, 활성탄소에는 메조 포어 및 마이크로 포어뿐만 아니라 직경이 50nm 이상인 매크로 포어도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활성탄소의 밀도는 0.5 내지 0.7g/cm3로 낮게 나타난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을 전극 재료로 사용하는 경우, 활성탄소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셀의 부피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0과 같이, 탄화규소 분말과 금속 분말을 혼합하여 소결한 후, 에칭(etching)하여 금속 분말을 제거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일반적인 다공성 탄화규소 분말의 경우, 금속 분말이 제거된 자리에 공극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극의 사이즈는 마이크로 포어의 사이즈보다 크다. 이에 따라, 도 10과 같이 얻어진 다공성 탄화규소 분말의 비표면적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의 비표면적에 비하여 현저히 낮으므로, 비유전율도 낮게 나타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은 도 11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규소 분말(1400)이 준비된다. 여기서, 규소 분말(1400)의 직경은 500nm 내지 100㎛일 수 있다. 규소 분말(1400)은, 예를 들면 반도체 제조용 웨이퍼 생산 공정 또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실리콘 웨이퍼 폐기물을 분쇄하여 얻어질 수 있다. 규소 분말(1400)을 얻기 위하여 사용되는 웨이퍼는 XRD 패턴에서 주 피크로 2θ=28.4˚±0.1˚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준비된 규소 분말(1400)은 기화된다(S1400). 이를 위하여, 규소 분말(1400)이 수용된 반응기를 아르곤 또는 질소 등의 비활성 기체로 충진한 후, 1200 내지 1800℃에서 유지한다. 이때, 반응기는 밀폐된 상태에서 회전하며, 비활성 기체만 주입 및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규소 분말이 기화되어 Si 중 일부가 이탈되며, Si가 이탈된 자리에는 메조 포어 및 마이크로 포어가 형성된다.
그리고, 기화된 규소 분말(1410)은 탄화된다(S1410). 이를 위하여, 반응기의 온도가 1200 내지 1800℃에서 유지된 상태에서, 메탄 또는 에탄 가스를 주입한다.
이에 따라, 메조 포어 및 마이크로 포어가 형성된 탄화규소 분말(1420)을 얻을 수 있다. 단계 S1400에서 규소 분말의 기화 시 및 단계 S1410에서 규소 분말의 탄화 시에 반응기의 온도를 1200 내지 1800℃ 이내로 유지하면, 직경이 2 내지 50nm인 메조 포어(meso pore) 및 직경이 2nm 이하인 마이크로 포어(micro pore)를 포함하며, 메조 포어의 면적이 메조 포어 및 마이크로 포어의 면적의 45 내지 65%를 차지하는 탄화규소 분말을 얻을 수 있다. 반응기의 온도를 1200℃ 미만으로 유지하면, Si의 기화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메조 포어 및 마이크로 포어가 형성될 수 없다. 반응기의 온도가 1800℃를 초과하도록 유지하면, Si의 기화가 과도하게 일어나 매크로 포어의 면적이 넓어지므로, 비표면적이 1500m2/g으로 나타나게 된다. 또한, 반응기의 온도가 2000℃를 초과하도록 유지하면, 규소 분말이 녹게 되어, 공극이 없어지게 된다.
한편, 도 12는 도 11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탄화규소 분말의 XRD 측정 패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은 2θ=35.6˚±1 ˚에서 (1, 1, 1) 면을 나타내는 β상 탄화규소 분말임을 알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을 이용하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의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1500)는 분리막(separator, 1510) 및 분리막(1510)으로 나뉘어진 전해질 내에 배치되는 전극 쌍(1520, 1530)을 포함한다. 각 전극(1520, 1530)은 집전체(colletor, 1540, 1550)에 연결되며,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 및 바인더로 채워진다. 이때, 바인더는 폴리머 계열의 수지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인더의 첨가에 의하여 전기 저항이 증가되거나 방전 용량이 저하되는 문제를 막으면서도, 바인더와 탄화규소 분말 간의 결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도율이 높은 탄화규소 분말이 전극 재료로 사용되므로, 전극에는 도전재가 추가로 첨가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전극의 두께는 50 내지 200㎛이다. 전극의 두께가 50㎛ 미만이거나, 200㎛를 초과하면, 전자전달 속도가 떨어져 셀의 축전 용량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이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분말은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뿐만 아니라, 의사 캐패시터, 하이브리드 캐패시터 등 다양한 슈퍼캐패시터의 전극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500: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1510: 분리막
1520, 1530: 전극
1540, 1550: 집전극

Claims (9)

  1. 직경이 2 내지 50nm인 메조 포어(meso pore) 및 상기 메조 포어를 중심으로 분기되고 직경이 2nm 이하인 복수의 마이크로 포어(micro pore)를 포함하는 탄화규소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메조 포어의 면적은 상기 메조 포어 및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포어의 면적의 45 내지 65%를 차지하며,
    상기 탄화규소 분말의 밀도는 3 내지 3.2g/cm3인 캐패시터용 전극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규소 분말의 비표면적은 1500 내지 2500m2/g이며, 전도율은 60지멘스/cm 이상인 캐패시터용 전극 재료.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규소 분말은 β상인 캐패시터용 전극 재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규소 분말의 XRD 패턴은 2θ=35.6˚±1 ˚에서 (1, 1, 1) 면을 나타내는 캐패시터용 전극 재료.
  6. 탄화규소 분말을 포함하는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탄화규소 분말은 직경이 2 내지 50nm인 메조 포어(meso pore) 및 상기 메조 포어를 중심으로 분기되고 직경이 2nm 이하인 복수의 마이크로 포어(micro pore)를 포함하며, 상기 메조 포어의 면적은 상기 메조 포어 및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포어의 면적의 45 내지 65%를 차지하며,
    상기 탄화규소 분말의 밀도는 3 내지 3.2g/cm3인 캐패시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규소 분말을 포함하는 제1 전극,
    상기 탄화규소 분말을 포함하는 제2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
    을 포함하는 캐패시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는 50 내지 200㎛인 캐패시터.
  9. 삭제
KR1020150040827A 2015-03-24 2015-03-24 캐패시터용 전극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캐패시터 KR102318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827A KR102318232B1 (ko) 2015-03-24 2015-03-24 캐패시터용 전극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캐패시터
US15/560,964 US20180082797A1 (en) 2015-03-24 2016-03-24 Electrode material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PCT/KR2016/002978 WO2016153284A1 (en) 2015-03-24 2016-03-24 Electrode material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827A KR102318232B1 (ko) 2015-03-24 2015-03-24 캐패시터용 전극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캐패시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390A KR20160114390A (ko) 2016-10-05
KR102318232B1 true KR102318232B1 (ko) 2021-10-27

Family

ID=56978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827A KR102318232B1 (ko) 2015-03-24 2015-03-24 캐패시터용 전극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캐패시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082797A1 (ko)
KR (1) KR102318232B1 (ko)
WO (1) WO20161532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628B1 (ko) * 2018-12-07 2023-08-2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화학 소자
CN112614705B (zh) * 2020-11-03 2022-07-01 宁波工程学院 一种生长在碳纤维布上的锯齿状氮掺杂SiC纳米线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06546A1 (en) * 2000-06-09 2002-01-17 Nec Corporatio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nd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67932A4 (en) * 2003-07-03 2007-10-31 Univ Drexel CARBON DERIVED FROM NANOPOROUS CARBIDE WITH ADJUSTABLE POR SIZE
ES2935292T3 (es) * 2011-03-23 2023-03-03 Mespilus Inc Electrodo polarizado para desionización capacitiva de flujo continuo
KR101442813B1 (ko) * 2012-07-27 2014-09-23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다공성 탄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010739B (zh) * 2012-10-08 2020-11-10 麦克斯威科技公司 用于三伏超级电容器的电解质
KR101570981B1 (ko) * 2013-08-09 2015-11-2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진공 상태에서 열처리하여 제조된 카바이드 유도 탄소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06546A1 (en) * 2000-06-09 2002-01-17 Nec Corporatio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nd batter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 Kim et al., ‘Supercapacitive behavior depending on the mesopore size of three-dimensional micro-, meso- and macroporous silicon carbide for supercapacitors,’Phys.Chem.Chem.Phys.,2015, 17, 4424 (2015.01.05.)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390A (ko) 2016-10-05
WO2016153284A1 (en) 2016-09-29
US20180082797A1 (en) 2018-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 et al. The way to improve the energy density of supercapacitors: Progress and perspective
Choudhary et al. Asymmetric supercapacitor electrodes and devices
Que et al. Pseudocapacitance of TiO2− x/CNT anodes for high‐performance quasi‐solid‐state Li‐ion and Na‐ion capacitors
US9048025B2 (en) Electrode for electric storage device, electric storag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de for electric storage device
US20170263939A1 (en) Electrode material and energy storage apparatus
US20110043968A1 (en) Hybrid super capacitor
KR101089860B1 (ko) 슈퍼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TW201522219A (zh) 高電壓與高電容之活性碳以及碳爲主之電極
Liang et al. A Mechanically Flexible Necklace‐Like Architecture for Achieving Fast Charging and High Capacity in Advanced Lithium‐Ion Capacitors
TW201530583A (zh) 具有改良老化性能之超級電容器
KR20170101409A (ko) 울트라커패시터용 전극활물질의 제조방법, 상기 울트라커패시터용 전극활물질을 이용한 울트라커패시터 전극의 제조방법 및 울트라커패시터
KR101038869B1 (ko) 커패시터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JP2005129924A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用金属製集電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分極性電極並びに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KR101635763B1 (ko) 울트라커패시터 전극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울트라커패시터 전극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울트라커패시터
Saini A historical review of electrode materials and electrolytes for electrochemical double layer supercapacitors and pseudocapacitors
KR101166696B1 (ko) 슈퍼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2318232B1 (ko) 캐패시터용 전극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캐패시터
CN112655061B (zh) 电容器及电容器用电极
KR20130006957A (ko) 슈퍼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Tyagi et al. 11 Carbon Nanostructures from Biomass Waste for Supercapacitor Applications
KR101591264B1 (ko) 울트라커패시터용 전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울트라커패시터 전극의 제조방법
KR20110000099A (ko) 수퍼커패시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3165B1 (ko) 그래핀-활성탄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생성된 그래핀-활성탄 복합체
KR102348930B1 (ko) 전극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KR20200046546A (ko) 리그노셀룰로오스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부분결정성 활성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부분결정성 활성탄을 이용한 슈퍼커패시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