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960B1 - 비틀림 방지 호스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 - Google Patents

비틀림 방지 호스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960B1
KR102317960B1 KR1020200081051A KR20200081051A KR102317960B1 KR 102317960 B1 KR102317960 B1 KR 102317960B1 KR 1020200081051 A KR1020200081051 A KR 1020200081051A KR 20200081051 A KR20200081051 A KR 20200081051A KR 102317960 B1 KR102317960 B1 KR 102317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water
filter
hot water
angl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중현
Original Assignee
백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중현 filed Critical 백중현
Priority to KR1020200081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960B1/ko
Priority to KR1020210017005A priority patent/KR20220003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이 통과하며 정수가 이루어지는 세디먼트(Sediment)형 정수필터; 상기 정수필터가 내부에 수용 설치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된 필터 설치홀이 구비되는 필터 설치관; 수온 및 토수량 조절을 위한 카트리지가 상측으로부터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상하로 개방된 소정의 설치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제1수전 몸체부 및 상기 제1수전 몸체부 일측로부터 배관 형태로 분기되어 내부에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카트리지에 연결되는 수전 핸들 조작에 의해 조절되어 상기 카트리지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소정의 배출공간을 형성하며, 단부에 상기 필터 설치관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2수전 몸체부를 포함하는 수전 몸체; 상기 필터 설치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필터를 통해 정수를 거친 물이 토출되도록 하는 토수구; 냉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냉수용 앵글밸브 및 온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온수용 앵글밸브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수전 몸체부의 하측으로부터 각각의 타단이 수용 삽입되어 상기 카트리지 일측에 연결되는 냉수 호스; 및 온수 호스;를 포함하는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을 비롯해, 해당 수전 내 구비되는 비틀림 방지용 냉수 호스와 온수 호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틀림 방지 호스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 {HOSE FOR PREVENTING TORSION AND WATER PURIFYING FILTER INTEGRATED FAUCET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비틀림 방지 호스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용 수전금구는 상수도사업소로부터 보내진 정수를 사용하기 위한 마지막 밸브로서의 역할 수행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수도공급 라인 상의 배관 노후화로 인한 노후화 및 물탱크의 위생 상태에 따라 신뢰할 수 없는 수돗물을 쉽게 사용하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기도 하다.
이에 따라, 수전을 통해 사용되는 물의 상태에 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시중에는 수전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필터링하여 더욱 깨끗한 정수로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수전의 토수구 앞 쪽에 별도의 필터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기술들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이 경우 수전에 토수구와 별개로 샤워헤드와 같은 장비가 추가 설치되거나 복수의 토수 경로를 갖추고 있을 경우 모든 토수 경로 상에 각각의 필터를 장착시키지 않는 한 하나의 토수구를 통해서만 정화된 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나 토수구 앞쪽에 툭 튀어 나와 장착되는 필터가 수전 전체의 미관을 저해시키기도 했다.
이와 관련하여 수전금구로부터 제공되는 물이 정수로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78354호의 "정수기능을 갖는 수전구"(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정수 기능을 구비한 수전의 경우, 앞 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복수의 모든 토수구를 통해 제공되는 물에 일괄적으로 정수 기능을 부여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수전 전체적인 외관을 망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정수 기능을 구비한 수전의 경우, 수전의 설치를 수행함에 있어서 냉수 혹은 온수의 공급을 위해 연결되는 각종 호스들을 설치함에 상당한 어려움이 존재하였으며, 수전이 설치되는 싱크대와 같은 가구 내부의 좁은 공간환경을 고려하면 해당 수전의 설치 용이성 확보 여부는 큰 문제로 작용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토수구를 통해 물이 토출되기 바로 직전에 우선적으로 정수 기능의 제공이 가능하며, 정수기능의 부가를 통해 수전의 외관을 망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수전 자체의 설치 용이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수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정수필터 내장형 수전은, 물이 통과하며 정수가 이루어지는 세디먼트(Sediment)형 정수필터; 상기 정수필터가 내부에 수용 설치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된 필터 설치홀이 구비되는 필터 설치관; 수온 및 토수량 조절을 위한 카트리지가 상측으로부터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상하로 개방된 소정의 설치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제1수전 몸체부 및 상기 제1수전 몸체부 일측로부터 배관 형태로 분기되어 내부에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카트리지에 연결되는 수전 핸들 조작에 의해 조절되어 상기 카트리지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소정의 배출공간을 형성하며, 단부에 상기 필터 설치관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2수전 몸체부를 포함하는 수전 몸체; 상기 필터 설치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필터를 통해 정수를 거친 물이 토출되도록 하는 토수구; 냉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냉수용 앵글밸브 및 온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온수용 앵글밸브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수전 몸체부의 하측으로부터 각각의 타단이 수용 삽입되어 상기 카트리지 일측에 연결되는 냉수 호스; 및 온수 호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수필터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의 세디먼트 필터부; 상기 세디먼트 필터부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세디먼트 필터부의 일단 측 개방공간을 막는 제1캡부; 상기 세디먼트 필터부의 타단에 고정 설치되고, 중앙에 개방된 출수홀이 마련되어 상기 세디먼트 필터부 내측 중공으로 이동되어 정수를 거친 물이 타단 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필터는 상기 카트리지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제2수전 몸체부의 상기 배출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제1캡부에 의해 외측으로 퍼지며 상기 세디먼트 필터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통과되며 정수가 이루어진 뒤 상기 제2캡부의 상기 출수홀을 통해 상기 토수구로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필터 설치관은, 내측에 상기 필터 설치홀이 마련되는 배관구조로서 상기 제1캡부가 일단측을 향하고 상기 제2캡부가 타단측을 향하도록 상기 정수필터가 상기 필터 설치홀에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제2수전 몸체부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토수구가 연결되는 필터 설치부; 및 상기 필터 설치부의 일정 영역이 상기 필터 설치홀을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하도록 투명한 창 형태로 대체되어 마련되는 필터 관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수 호스 및 온수 호스는, 냉수 또는 온수의 이동을 위한 이동홀이 내부에 마련되는 호스부; 상기 호스부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냉수용 앵글밸브 또는 온수용 앵글밸브에 상기 호스부를 연결시키는 비틀림 방지 연결부; 및 상기 호스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카트리지에 상기 호스부를 연결시키는 카트리지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틀림 방지 연결부는, 상기 호스부의 전단 측으로부터 상기 이동홀에 후단 측 일부 영역이 삽입 고정되며, 내부에 중공의 제1연통홀이 구비되는 이음매 부분;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호스부 전단 측으로부터 노출된 전단 일측 외주면상의 둘레에 끼움 결함되는 고리 부분;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구비된 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측면 일부가 상기 고리 부분과 접하되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호스부 전단 측으로부터 노출된 전단에 단턱 형태로 형성된 걸림 구조에 회전 가능하도록 놓여 설치되는 회전체 부분; 소정의 탄성을 갖춘 재질로 마련되며 내부에 중공의 제2연통홀이 구비된 판 형상의 패킹 부재로서,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호스부 전단 측으로부터 노출된 전단에 접하며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제1연통홀과 상기 제2연통홀이 대응되어 연통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패킹 부분; 및 내부에 중공의 너트 개방홀이 구비된 너트 부재로서, 후단 측 상기 너트 개방홀의 일부에 해당하는 제1영역이 내측 방향으로 함입되어 상기 회전체 부분과 상기 패킹 부분이 삽입 수용되는 설치영역으로 마련되고, 전단 측 상기 너트 개방홀의 나머지에 해당하는 제2영역이 내측면에 상기 냉수용 앵글밸브 또는 온수용 앵글밸브와 암수 결합을 통한 고정 연결을 이루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영역으로 마련되는 너트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 부분과 너트 부분은 상호 연결되어 상기 너트 부분의 회전운동과 상기 회전체 부분의 회전운동이 상호 연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비틀림 방지 연결부 내 상기 너트 부분은 회전운동 시, 상기 이음매 부분과 상기 호스부의 회전운동을 연동시키지 않고 상기 냉수용 앵글밸브 또는 온수용 앵글밸브와 암수 결합을 통한 상기 냉수 호스 또는 온수 호스의 고정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비틀림 방지 연결부는,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제1연통홀 내에 장착되는 물 이동량 조절을 위해 내장 설치되는 6L 이하 규격의 레귤레이터에 해당하는 유량 조절부분;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정수필터 내장형 수전에 구비되는 비틀림 방지 호스는, 냉수 또는 온수의 이동을 위한 이동홀이 내부에 마련되는 호스부; 상기 호스부의 전단에 설치되어 냉수용 앵글밸브 또는 온수용 앵글밸브에 상기 호스부를 연결시키는 비틀림 방지 연결부; 및 호스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수전 몸체 내에 설치되는 카트리지에 상기 호스부를 연결시키는 카트리지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틀림 방지 연결부는, 상기 호스부의 전단 측으로부터 상기 이동홀에 후단 측 일부 영역이 삽입 고정되며, 내부에 중공의 제1연통홀이 구비되는 이음매 부분;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호스부 전단 측으로부터 노출된 전단 일측 외주면상의 둘레에 끼움 결함되는 고리 부분;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구비된 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측면 일부가 상기 고리 부분과 접하되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호스부 전단 측으로부터 노출된 전단에 단턱 형태로 형성된 걸림 구조에 회전 가능하도록 놓여 설치되는 회전체 부분; 소정의 탄성을 갖춘 재질로 마련되며 내부에 중공의 제2연통홀이 구비된 판 형상의 패킹 부재로서,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호스부 전단 측으로부터 노출된 전단에 접하며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제1연통홀과 상기 제2연통홀이 대응되어 연통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패킹 부분; 및 내부에 중공의 너트 개방홀이 구비된 너트 부재로서, 후단 측 상기 너트 개방홀의 일부에 해당하는 제1영역이 내측 방향으로 함입되어 상기 회전체 부분과 상기 패킹 부분이 삽입 수용되는 설치영역으로 마련되고, 전단 측 상기 너트 개방홀의 나머지에 해당하는 제2영역이 내측면에 상기 냉수용 앵글밸브 또는 온수용 앵글밸브와 암수 결합을 통한 고정 연결을 이루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영역으로 마련되는 너트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 부분과 너트 부분은 상호 연결되어 상기 너트 부분의 회전운동과 상기 회전체 부분의 회전운동이 상호 연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수전의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제조사에 따른 토수구의 단부 규격 차이에 상관없이 모든 수전에 적용 가능한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수전에 마련된 토수구의 개수 혹은 위치에 상관없이 내장된 정수필터를 통해 토수 바로 직전에 정수 기능을 수행하여, 일괄적으로 정수를 모든 토수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셋째, 특수한 연결구조를 단부에 갖춘 온수 호스 및 냉수 호스를 통해 싱크대 밑과 같은 좁은 수전 설치 환경에서도 쉽고 간단하게 수전의 설치를 진행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의 구성별 구조 및 연결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의 구성별 구조 및 연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 내 냉수 호스 및 온수 호스의 전단에 설치되는 비틀림 방지 연결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10)은 정수필터(100); 필터 설치관(200); 수전 몸체(300); 토수구(400); 거름망(500); 수전 설치수단(600); 냉수 호스(700) 및 온수 호스(700);를 포함한다.
정수필터(100)는 물이 통과하며 정수가 이루어지는 세디먼트(Sediment)형 필터 부재로서,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디먼트 필터부(110), 제1캡부(120), 제2캡부(130) 및 필터 패킹부재(140)를 포함한다.
우선, 세디먼트 필터부(1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110H)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의 세디먼트(Sediment) 필터 자체로서, 실질적인 정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여기서, 세디먼트 필터부(110)의 외측으로부터 중공(110H)이 마련된 내측으로 물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정수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제1캡부(120)는 세디먼트 필터부(110)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어 세디먼트 필터부(110)의 일단 측 중공(110H)의 개방공간을 막는 캡 부재로서, 여기서의 일단이란 수전의 설치가 완성되었을 시 물이 우선적으로 유입되는 수전 몸체(300) 측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제2캡부(130)는 세디먼트 필터부(110)의 타단에 고정 설치되고, 중앙에 개방된 출수홀이 마련되어 세디먼트 필터부(110) 내측 중공으로 이동되어 정수를 거친 물이 타단 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캡 부재로서, 여기서의 타단이란 수전의 설치가 완성되었을 시 물이 정수를 거친 뒤 중공(110H)을 통해 배출되는 토수구(400) 측 방향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필터 패킹부재(140)는 소정의 탄성을 갖춘 O-링 타입의 패킹부재로서, 아래 설명될 필터 설치관(200) 내부에 세디먼트 필터부(110)를 비롯해 세디먼트 필터부(110) 양 단에 연결된 제1캡부(120)와 제2캡부(130)의 연결 구조체가 삽입 설치됨에 있어 상호 설치 결합력을 높이고 이탈 방지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궁극적으로 정수필터(100)와 필터 설치관(200) 간의 틈 사이에 패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필터 설치관(200)은 정수필터(100)가 내부에 수용 설치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된 필터 설치홀(200H)이 구비되는 배관으로서, 필터 설치부(210)와 필터 관찰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필터 설치부(210)는 내측에 필터 설치홀(200H)이 마련되는 배관구조의 필터 설치관(200) 몸체로서, 제1캡부(120)가 일단측(물의 이동방향 기준 전단측)을 향하고 제2캡부(130)가 타단측(물의 이동방향 기준 후단측)을 향하도록 정수필터(100)가 필터 설치홀(200H)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필터 설치홀(200H)에 정수필터(100)가 삽입 설치된 필터 설치부(210)는 일단(물의 이동방향 기준 전단)이 아래 설명될 제2수전 몸체부(320)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물의 이동방향 기준 후단)에 아래 설명될 토수구(400)가 연결되어 결과적으로 제2수전 몸체부(320)와 토수구(400)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의 배관이 괸다.
또한, 필터 관찰부(220)는 필터 설치부(210)의 일정 영역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설치홀(200H)을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하도록 투명한 창 형태로 대체되어 마련되는 구성으로, 필터 설치부(210)에 삽입 설치된 정수필터(100)의 오염상태를 확인하고 교체주기를 사용자가 쉽게 체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찰 창에 해당한다.
수전 몸체(300)는 수전(100) 전체 구조상 중심이 되는 하우징 구조로서, 제1수전 몸체부(310)와 제2수전 몸체부(320)를 포함하고, 제1수전 몸체부(310) 내부의 설치공간(310H)과 제2수전 몸체부(320) 내부의 배출공간(320H)이 상호 연통되어 하나의 내부 개방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우선, 제1수전 몸체부(310)는 수온 및 토수량 조절을 위한 카트리지(330)가 상측으로부터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상하로 개방된 소정의 설치공간(310H)이 내부에 마련되는 몸체 영역이다.
여기서, 카트리지(330)는 상측에 형성된 개방 유로 조절바의 상하, 좌우 조절을 통해 온수, 냉수 공급 경로 중 특정 경로의 이동을 위한 개폐정도가 달라지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온수가 토출될지 냉수가 토출될지, 그리고 토출되는 물이 얼마나 토출될지 등을 정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카트리지(330)의 개방 유로 조절바 위로는 고정 너트(340), 카트리지 커버(350), 수전 핸들(미도시)등이 연결되며, 수전 핸들을 사용자는 상하로 들어 토수량을 조절하고 좌우로 돌려 수온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제2수전 몸체부(320)는 제1수전 몸체부(310) 일측로부터 배관 형태로 분기되어 내부에 설치공간(310H)과 연통되어 카트리지(330)에 연결되는 수전 핸들 조작에 의해 조절되어 카트리지(330)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소정의 배출공간(320H)을 형성하며, 단부에 필터 설치관(200)의 일단이 연결되는 몸체 영역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결과적으로 정수필터(100)는 도2의 확대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330)를 통해 배출되어 제2수전 몸체부(320)의 배출공간(320H)으로 유입된 물이 제1캡부(120)에 의해 외측으로 퍼지며 세디먼트 필터부(1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통과되며 정수가 이루어진 뒤 중공(110H)을 거쳐 제2캡부(130)의 출수홀(130H)을 통해 토수구(400)로 이동되도록 한다.
토수구(400)는 필터 설치관(200)의 타단에 연결되어 정수필터(100)를 통해 정수를 거친 물이 토출되도록 하는 수전 헤드몸체 부분으로, 정수된 물이 토출되기 전 추가적인 이물질 거름을 진행하기 위해 별도의 거름망(500)이 추가 설치될 수 있다.
실시에 따라 필터 설치관(200)과 토수구(400)는 일체를 형성하는 형태로 마련되어 필터 설치관(200)의 일단측으로부터 정수필터(100)가 필터 설치홀(200H)에 삽입 설치된 상태로 제2수전 몸체부(320)에 연결되도록 구현 가능하다.
또한, 필터 설치관(200)과 토수구(400)는 각각 구분되는 구성으로 분리되어 마련되되 상호 체결이 가능한 구조를 갖추거나, 일체로 마련되어 하나의 구성으로 합쳐지는 구조를 갖추는 경우 내부에 설치된 정수필터(100)의 오염에 따란 교체주기 및 물의 출수 상태의 확인을 위해 일부 또는 전체가 투명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수전 설치수단(600)은 수전 몸체(300)를 싱크대 혹은 세면대와 같은 별도의 설치 환경 상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설치 볼트부(610)와 설치 너트부(620)로 이루어진다.
설치 환경 상에 미리 마련된 별도의 수전 설치홀에 수전 몸체(300)에 연결된 설치 볼트부(610)를 관통 시킨 뒤, 설치 너트부(620)를 조여 고정력을 제공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치 환경 상에 수전 몸체(300)를 고정 설치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냉수 호스(700) 및 온수 호스(700)는 설치되는 앵글밸브의 위치만 다를 뿐 구성 및 구조적 특징이 모두 통일하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하나의 호스로서 합쳐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냉수 호스(700)는 냉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냉수용 앵글밸브에 일단(물의 이동방향 기준 전단)이 연결되고, 온수 호스(700)는 온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온수용 앵글밸브에 일단(물의 이동방향 기준 전단)이 연결된다.
또한, 냉수 호스(700) 및 온수 호스(700) 각각의 타단은 제1수전 몸체부(310)의 하측으로부터 성치공간(310H)으로 수용 삽입되어 카트리지(330) 하부 일측에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냉수용 앵글밸브 및 온수용 앵글밸브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냉수 호스(700) 및 온수 호스(700)의 일단으로부터 유입 이동되어 타단으로 배출되어 카트리지(330)를 거친 뒤 카트리지(330)의 상태에 따라 최종 배출량 및 배출 여부를 결정짓게 된다.
이와 같은 냉수 호스(700) 및 온수 호스(7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부(710), 비틀림 방지 연결부(720), 카트리지 연결부(730)를 포함한다.
우선, 호스부(710)는 냉수 또는 온수의 이동을 위한 이동홀(710H)이 내부에 마련되는 호스 부재 자체이다.
다음으로, 비틀림 방지 연결부(720)는 호스부(710)의 전단(물의 이동방향 기준)에 설치되어 냉수용 앵글밸브 또는 온수용 앵글밸브에 호스부(710)를 연결시키는 구성이다.
마지막으로, 카트리지 연결부(730)는 호스부의 후단(물의 이동방향 기준)에 설치되어 카트리지(330)에 호스부(710)를 연결시키는 구성이다.
수전의 설치에 있어 무엇보다 냉수 호스(700) 및 온수 호스(700)의 설치가 매우 힘든 작업에 해당하는데, 이는 수전을 설치하는 환경 자체가 좁고 어두운 공간이 대부분이고 이를 작업하는 설치자 역시 호스를 하나의 공구를 이용해 고정되도록 잡은 상태에서 연결용 너트를 다른 공구를 이용해 조여서 고정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10)에 구비되는 냉수 호스(700) 및 온수 호스(700)는 호스부(710)의 비틀림 방지 연결부(720)가 마련되어 비틀림 방지 연결부(720)만을 회전 운동을 통해 조여 호스부(710)의 비틀림 없이 간단하게 고정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 및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를 위해, 비틀림 방지 연결부(720)는 너트 부분(721), 호스 가이드(722), 이음매 부분(723), 회전체 부분(724), 고리 부분(725), 패킹 부분(726) 및 유량 조절부분(727)을 포함한다.
우선, 이음매 부분(723)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부(710)의 전단 측으로부터 이동홀(710H)에 후단 측 일부 영역이 삽입 고정되며, 내부에 중공의 제1연통홀(723H)이 구비되는 하나의 니플 부재이다.
이와 같은 이음매 부분(723)은 호스부(710)의 전단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 고정되거나, 실시에 따라 별도의 부착 구조, 수단 혹은 물질을 통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너트 부분(721)의 회전 운동을 통한 조임 과정에서 연동되지 않고 결과적으로 호스부(710)의 비틀림이 방지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고리 부분(725)은 이음매 부분(723)의 호스부(710) 전단 측으로부터 노출된 전단 일측 외주면상의 둘레에 끼움 결함되는 고리 형태의 구조체로서, 자체적인 패킹의 기능과 동시에 아래 설명될 회전체 부분(724)이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회전체 부분(724)은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구비된 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측면 일부가 고리 부분(725)과 접하되 이음매 부분(723)의 호스부(710) 전단 측으로부터 노출된 전단에 단턱 형태로 형성된 걸림 구조(723A)에 회전 가능하도록 놓여 설치되는 구조체이다.
다음으로, 패킹 부분(726)은 소정의 탄성을 갖춘 재질로 마련되며 내부에 중공의 제2연통홀(726H)이 구비된 판 형상의 패킹 부재로서, 이음매 부분(723)의 호스부(710) 전단 측으로부터 노출된 전단에 접하며 이음매 부분(723)의 제1연통홀(723H)과 제2연통홀(726H)이 대응되어 연통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다음으로, 너트 부분(721)은 내부에 중공의 너트 개방홀(721H)이 구비된 너트 부재로서, 물의 이동방향 기준 후단에 형성되는 제1영역과 전단에 형성되는 제2영역 두가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너트 부분(721)은 물의 이동방향 기준 후단에 형성되는 제1영역은 측 너트 개방홀(721H)의 후단 측일부에 해당하는 부분이 중심에 둘레측으로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함입되어 앞 서 설명한 회전체 부분(724)과 패킹 부분(726)이 삽입 수용되는 설치영역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너트 부분(721)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1영역에서 회전체 부분(724) 외측과 너트 부분(721)의 내측은 상호 연결되어 너트 부분(721)의 회전운동을 통한 조임일 수행될 시 이에 상호 연동되어 회전체 부분(724)의 역시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너트 부분(721)은 물의 이동방향 기준 전단에 형성되는 나머지 제2영역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에 냉수용 앵글밸브 또는 온수용 앵글밸브와 암수 결합을 통한 고정 연결을 이루기 위한 나사산(721N)이 형성되는 결합영역으로 마련된다.
이를 통해 비틀림 방지 연결부 내 상기 너트 부분은 회전운동 시, 이음매 부분(724)과 호스부(710)의 회전운동을 연동시키지 않고 냉수용 앵글밸브 또는 온수용 앵글밸브와 암수 결합을 통한 냉수 호스(700) 또는 온수 호스(700)의 고정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호스 가이드(722)는 호스부(710)의 전단 측 외주면을 둘러 싸도록 설치되는 별도의 가이드 부재로서, 호스부(710)의 조작을 돕는 역할과 함께 구조적으로 실시에 따라 너트 부분(721)의 후단 측을 걸림 결합하는 구조를 갖추어 너트 부분(72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유량 조절부분(727)은 이음매 부분의 제1연통홀(723H) 내에 장착되는 물 이동량 조절을 위해 내장 설치되는 6L 이하 규격의 레귤레이터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
100 : 정수필터
110 : 세디먼트 필터부 110T : 세디먼트 필터부의 중공
120 : 제1캡부 130 : 제2캡부
140 : 필터 패킹부재 130H : 출수홀
200 : 필터 설치관
210 : 필터 설치부 220 : 필터 관찰부
200H : 필터 설치홀
230, 240, 250 : 설치관 패킹부재
300 : 수전 몸체
310 : 제1수전 몸체부 310H : 설치공간
320 : 제2수전 몸체부 320H : 배출공간
330 : 카트리지 340 : 고정너트
350 : 카트리지 커버
400 : 토수구
400T : 토출공간
500 : 거름망
600 : 수전 설치수단
610 : 설치 볼트부 620 : 설치 너트부
700 : 냉수 호스, 온수 호스
710 : 호스부
710H : 이동홀
720 : 비틀림 방지 연결부
721 : 너트 부분
721H : 너트 개방홀 721N : 나사산
722 : 호스 가이드
723 : 이음매 부분
723H : 제1연통홀
724 : 회전체 부분 725 : 고리 부분
726 : 패킹 부분
726H : 제2연통홀
727 : 유량 조절부분
730 : 카트리지 연결부

Claims (7)

  1. 정수가 이루어지는 세디먼트(Sediment)형 정수필터;
    상기 정수필터가 내부에 수용 설치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된 필터 설치홀이 구비되는 필터 설치관;
    수온 및 토수량 조절을 위한 카트리지가 상측으로부터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상하로 개방된 소정의 설치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제1수전 몸체부 및 상기 제1수전 몸체부 일측로부터 배관 형태로 분기되어 내부에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카트리지에 연결되는 수전 핸들 조작에 의해 조절되어 상기 카트리지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소정의 배출공간을 형성하며, 단부에 상기 필터 설치관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2수전 몸체부를 포함하는 수전 몸체;
    상기 필터 설치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필터를 통해 정수를 거친 물이 토출되도록 하는 토수구;
    냉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냉수용 앵글밸브 및 온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온수용 앵글밸브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수전 몸체부의 하측으로부터 각각의 타단이 수용 삽입되어 상기 카트리지 일측에 연결되는 냉수 호스; 및 온수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필터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의 세디먼트 필터부;
    상기 세디먼트 필터부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세디먼트 필터부의 일단 측 개방공간을 막는 제1캡부;
    상기 세디먼트 필터부의 타단에 고정 설치되고, 중앙에 개방된 출수홀이 마련되어 상기 세디먼트 필터부 내측 중공으로 이동되어 정수를 거친 물이 타단 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필터는 상기 카트리지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제2수전 몸체부의 상기 배출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제1캡부에 의해 외측으로 퍼지며 상기 세디먼트 필터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통과되며 정수가 이루어진 뒤 상기 제2캡부의 상기 출수홀을 통해 상기 토수구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필터 설치관은,
    내측에 상기 필터 설치홀이 마련되는 배관구조로서 상기 제1캡부가 일단측을 향하고 상기 제2캡부가 타단측을 향하도록 상기 정수필터가 상기 필터 설치홀에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제2수전 몸체부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토수구가 연결되는 필터 설치부; 및
    상기 필터 설치부의 일정 영역이 상기 필터 설치홀을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하도록 투명한 창 형태로 대체되어 마련되는 필터 관찰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수 호스 및 온수 호스는,
    냉수 또는 온수의 이동을 위한 이동홀이 내부에 마련되는 호스부;
    상기 호스부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냉수용 앵글밸브 또는 온수용 앵글밸브에 상기 호스부를 연결시키는 비틀림 방지 연결부; 및
    상기 호스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카트리지에 상기 호스부를 연결시키는 카트리지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틀림 방지 연결부는,
    상기 호스부의 전단 측으로부터 상기 이동홀에 후단 측 일부 영역이 삽입 고정되며, 내부에 중공의 제1연통홀이 구비되는 이음매 부분;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호스부 전단 측으로부터 노출된 전단 일측 외주면상의 둘레에 끼움 결함되는 고리 부분;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구비된 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측면 일부가 상기 고리 부분과 접하되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호스부 전단 측으로부터 노출된 전단에 단턱 형태로 형성된 걸림 구조에 회전 가능하도록 놓여 설치되는 회전체 부분;
    소정의 탄성을 갖춘 재질로 마련되며 내부에 중공의 제2연통홀이 구비된 판 형상의 패킹 부재로서,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호스부 전단 측으로부터 노출된 전단에 접하며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제1연통홀과 상기 제2연통홀이 대응되어 연통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패킹 부분; 및
    내부에 중공의 너트 개방홀이 구비된 너트 부재로서, 후단 측 상기 너트 개방홀의 일부에 해당하는 제1영역이 내측 방향으로 함입되어 상기 회전체 부분과 상기 패킹 부분이 삽입 수용되는 설치영역으로 마련되고, 전단 측 상기 너트 개방홀의 나머지에 해당하는 제2영역이 내측면에 상기 냉수용 앵글밸브 또는 온수용 앵글밸브와 암수 결합을 통한 고정 연결을 이루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영역으로 마련되는 너트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 부분과 너트 부분은 상호 연결되어 상기 너트 부분의 회전운동과 상기 회전체 부분의 회전운동이 상호 연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비틀림 방지 연결부 내 상기 너트 부분은 회전운동 시, 상기 이음매 부분과 상기 호스부의 회전운동을 연동시키지 않고 상기 냉수용 앵글밸브 또는 온수용 앵글밸브와 암수 결합을 통한 상기 냉수 호스 또는 온수 호스의 고정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호스부의 전단과 상기 비틀림 방지 연결부는 유일하게 상기 이음매 부분을 통해서만 상호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
  2. 수온 및 토수량 조절을 위한 카트리지가 상측으로부터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상하로 개방된 소정의 설치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제1수전 몸체부 및 상기 제1수전 몸체부 일측로부터 배관 형태로 분기되어 내부에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카트리지에 연결되는 수전 핸들 조작에 의해 조절되어 상기 카트리지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소정의 배출공간을 형성하며, 단부에 필터 설치관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2수전 몸체부를 포함하는 수전 몸체;
    냉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냉수용 앵글밸브 및 온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온수용 앵글밸브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수전 몸체부의 하측으로부터 각각의 타단이 수용 삽입되어 상기 카트리지 일측에 연결되는 냉수 호스; 및 온수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냉수 호스 및 온수 호스는,
    냉수 또는 온수의 이동을 위한 이동홀이 내부에 마련되는 호스부;
    상기 호스부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냉수용 앵글밸브 또는 온수용 앵글밸브에 상기 호스부를 연결시키는 비틀림 방지 연결부; 및
    상기 호스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카트리지에 상기 호스부를 연결시키는 카트리지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틀림 방지 연결부는,
    상기 호스부의 전단 측으로부터 상기 이동홀에 후단 측 일부 영역이 삽입 고정되며, 내부에 중공의 제1연통홀이 구비되는 이음매 부분;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호스부 전단 측으로부터 노출된 전단 일측 외주면상의 둘레에 끼움 결함되는 고리 부분;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구비된 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측면 일부가 상기 고리 부분과 접하되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호스부 전단 측으로부터 노출된 전단에 단턱 형태로 형성된 걸림 구조에 회전 가능하도록 놓여 설치되는 회전체 부분;
    소정의 탄성을 갖춘 재질로 마련되며 내부에 중공의 제2연통홀이 구비된 판 형상의 패킹 부재로서,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호스부 전단 측으로부터 노출된 전단에 접하며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제1연통홀과 상기 제2연통홀이 대응되어 연통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패킹 부분; 및
    내부에 중공의 너트 개방홀이 구비된 너트 부재로서, 후단 측 상기 너트 개방홀의 일부에 해당하는 제1영역이 내측 방향으로 함입되어 상기 회전체 부분과 상기 패킹 부분이 삽입 수용되는 설치영역으로 마련되고, 전단 측 상기 너트 개방홀의 나머지에 해당하는 제2영역이 내측면에 상기 냉수용 앵글밸브 또는 온수용 앵글밸브와 암수 결합을 통한 고정 연결을 이루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영역으로 마련되는 너트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 부분과 너트 부분은 상호 연결되어 상기 너트 부분의 회전운동과 상기 회전체 부분의 회전운동이 상호 연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비틀림 방지 연결부 내 상기 너트 부분은 회전운동 시, 상기 이음매 부분과 상기 호스부의 회전운동을 연동시키지 않고 상기 냉수용 앵글밸브 또는 온수용 앵글밸브와 암수 결합을 통한 상기 냉수 호스 또는 온수 호스의 고정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
  3. 수온 및 토수량 조절을 위한 카트리지가 상측으로부터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상하로 개방된 소정의 설치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제1수전 몸체부 및 상기 제1수전 몸체부 일측로부터 배관 형태로 분기되어 내부에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카트리지에 연결되는 수전 핸들 조작에 의해 조절되어 상기 카트리지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소정의 배출공간을 형성하며, 단부에 필터 설치관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2수전 몸체부를 포함하는 수전 몸체;
    냉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냉수용 앵글밸브 및 온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온수용 앵글밸브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수전 몸체부의 하측으로부터 각각의 타단이 수용 삽입되어 상기 카트리지 일측에 연결되는 냉수 호스; 및 온수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냉수 호스 및 온수 호스는,
    냉수 또는 온수의 이동을 위한 이동홀이 내부에 마련되는 호스부;
    상기 호스부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냉수용 앵글밸브 또는 온수용 앵글밸브에 상기 호스부를 연결시키는 비틀림 방지 연결부; 및
    상기 호스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카트리지에 상기 호스부를 연결시키는 카트리지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틀림 방지 연결부는,
    상기 호스부의 전단 측으로부터 상기 이동홀에 후단 측 일부 영역이 삽입 고정되며, 내부에 중공의 제1연통홀이 구비되는 이음매 부분;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호스부 전단 측으로부터 노출된 전단 일측 외주면상의 둘레에 끼움 결함되는 고리 부분;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구비된 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측면 일부가 상기 고리 부분과 접하되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호스부 전단 측으로부터 노출된 전단에 단턱 형태로 형성된 걸림 구조에 회전 가능하도록 놓여 설치되는 회전체 부분;
    소정의 탄성을 갖춘 재질로 마련되며 내부에 중공의 제2연통홀이 구비된 판 형상의 패킹 부재로서,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호스부 전단 측으로부터 노출된 전단에 접하며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제1연통홀과 상기 제2연통홀이 대응되어 연통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패킹 부분; 및
    내부에 중공의 너트 개방홀이 구비된 너트 부재로서, 후단 측 상기 너트 개방홀의 일부에 해당하는 제1영역이 내측 방향으로 함입되어 상기 회전체 부분과 상기 패킹 부분이 삽입 수용되는 설치영역으로 마련되고, 전단 측 상기 너트 개방홀의 나머지에 해당하는 제2영역이 내측면에 상기 냉수용 앵글밸브 또는 온수용 앵글밸브와 암수 결합을 통한 고정 연결을 이루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영역으로 마련되는 너트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비틀림 방지 연결부 내 상기 너트 부분은 회전운동 시, 상기 이음매 부분과 상기 호스부의 회전운동을 연동시키지 않고 상기 냉수용 앵글밸브 또는 온수용 앵글밸브와 암수 결합을 통한 상기 냉수 호스 또는 온수 호스의 고정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호스부의 전단과 상기 비틀림 방지 연결부는 유일하게 상기 이음매 부분을 통해서만 상호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방지 연결부는,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제1연통홀 내에 장착되는 물 이동량 조절을 위해 내장 설치되는 6L 이하 규격의 레귤레이터에 해당하는 유량 조절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
  7. 냉수 또는 온수의 이동을 위한 이동홀이 내부에 마련되는 호스부;
    상기 호스부의 전단에 설치되어 냉수용 앵글밸브 또는 온수용 앵글밸브에 상기 호스부를 연결시키는 비틀림 방지 연결부; 및
    호스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수전 몸체 내에 설치되는 카트리지에 상기 호스부를 연결시키는 카트리지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틀림 방지 연결부는,
    상기 호스부의 전단 측으로부터 상기 이동홀에 후단 측 일부 영역이 삽입 고정되며, 내부에 중공의 제1연통홀이 구비되는 이음매 부분;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호스부 전단 측으로부터 노출된 전단 일측 외주면상의 둘레에 끼움 결함되는 고리 부분;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구비된 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측면 일부가 상기 고리 부분과 접하되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호스부 전단 측으로부터 노출된 전단에 단턱 형태로 형성된 걸림 구조에 회전 가능하도록 놓여 설치되는 회전체 부분;
    소정의 탄성을 갖춘 재질로 마련되며 내부에 중공의 제2연통홀이 구비된 판 형상의 패킹 부재로서,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호스부 전단 측으로부터 노출된 전단에 접하며 상기 이음매 부분의 상기 제1연통홀과 상기 제2연통홀이 대응되어 연통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패킹 부분; 및
    내부에 중공의 너트 개방홀이 구비된 너트 부재로서, 후단 측 상기 너트 개방홀의 일부에 해당하는 제1영역이 내측 방향으로 함입되어 상기 회전체 부분과 상기 패킹 부분이 삽입 수용되는 설치영역으로 마련되고, 전단 측 상기 너트 개방홀의 나머지에 해당하는 제2영역이 내측면에 상기 냉수용 앵글밸브 또는 온수용 앵글밸브와 암수 결합을 통한 고정 연결을 이루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영역으로 마련되는 너트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 부분과 너트 부분은 상호 연결되어 상기 너트 부분의 회전운동과 상기 회전체 부분의 회전운동이 상호 연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비틀림 방지 연결부 내 상기 너트 부분은 회전운동 시, 상기 이음매 부분과 상기 호스부의 회전운동을 연동시키지 않고 상기 냉수용 앵글밸브 또는 온수용 앵글밸브와 암수 결합을 통한 상기 호스부의 고정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호스부의 전단과 상기 비틀림 방지 연결부는 유일하게 상기 이음매 부분을 통해서만 상호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에 구비되는 비틀림 방지 호스.
KR1020200081051A 2020-07-01 2020-07-01 비틀림 방지 호스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 KR102317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051A KR102317960B1 (ko) 2020-07-01 2020-07-01 비틀림 방지 호스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
KR1020210017005A KR20220003442A (ko) 2020-07-01 2021-02-05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051A KR102317960B1 (ko) 2020-07-01 2020-07-01 비틀림 방지 호스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005A Division KR20220003442A (ko) 2020-07-01 2021-02-05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960B1 true KR102317960B1 (ko) 2021-10-26

Family

ID=782687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051A KR102317960B1 (ko) 2020-07-01 2020-07-01 비틀림 방지 호스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
KR1020210017005A KR20220003442A (ko) 2020-07-01 2021-02-05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005A KR20220003442A (ko) 2020-07-01 2021-02-05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79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9821B2 (ja) * 2000-10-06 2004-09-29 株式会社早川バルブ製作所 浄水器を有した水栓
KR200460745Y1 (ko) * 2011-05-16 2012-06-04 (주)씨앤비마스터 샤워기 헤드 조립체
KR20140001581U (ko) * 2012-09-07 2014-03-17 오교선 샤워 헤드
JP3209783U (ja) * 2017-01-26 2017-04-06 共栄バルブ工業株式会社 管接続継手
KR101917803B1 (ko) * 2017-04-18 2019-01-29 (주)제이원프라임 호스 꼬임 방지구조를 갖는 호스 연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9821B2 (ja) * 2000-10-06 2004-09-29 株式会社早川バルブ製作所 浄水器を有した水栓
KR200460745Y1 (ko) * 2011-05-16 2012-06-04 (주)씨앤비마스터 샤워기 헤드 조립체
KR20140001581U (ko) * 2012-09-07 2014-03-17 오교선 샤워 헤드
JP3209783U (ja) * 2017-01-26 2017-04-06 共栄バルブ工業株式会社 管接続継手
KR101917803B1 (ko) * 2017-04-18 2019-01-29 (주)제이원프라임 호스 꼬임 방지구조를 갖는 호스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442A (ko) 202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0309B2 (en) Wall shower bar assembly
CA2492802C (en) Pull-out faucet
US20020035752A1 (en) Pivotal dual-head shower fixture
US10161118B2 (en) Faucet
KR102317962B1 (ko) 비틀림 방지 호스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필터 내장형 욕조수전
KR102317960B1 (ko) 비틀림 방지 호스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
KR102409111B1 (ko)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
JP2008208582A (ja) 湯水混合水栓
KR20160050219A (ko) 조립형 정수시스템
CA2979011C (en) Variable dual flow fitting
KR101323625B1 (ko) 토출구 교체기능을 갖는 수전금구
KR102096797B1 (ko) 개량형 관붙이 앵글밸브
EP4026423B1 (en) Watering device
KR102290122B1 (ko) 정수 필터 기능을 갖춘 수전금구
JP3758401B2 (ja) 水栓装置
JP3747165B2 (ja) シリンダ式弁装置
JP4700420B2 (ja) サーモ型湯水混合水栓
JP3713224B2 (ja) 水栓取替方法
CN210240654U (zh) 一种水龙头
KR20120004030U (ko) 복수 방향의 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
JP2004076382A (ja) 浄水機能付水道用コンセント
KR101339338B1 (ko) 수전금구용 카트리지
JP4487134B2 (ja) 湯水混合栓
KR200485285Y1 (ko) 수전용 어댑터
KR200428170Y1 (ko) 직수 분배용 밸브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