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710B1 -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710B1
KR102317710B1 KR1020200062439A KR20200062439A KR102317710B1 KR 102317710 B1 KR102317710 B1 KR 102317710B1 KR 1020200062439 A KR1020200062439 A KR 1020200062439A KR 20200062439 A KR20200062439 A KR 20200062439A KR 102317710 B1 KR102317710 B1 KR 102317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unit
secondary coil
ignition
terminal
frequency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균
Original Assignee
센서나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서나인(주) filed Critical 센서나인(주)
Priority to KR1020200062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7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3/00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 F23Q3/006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at least two simultaneously operating switches on the input side, e.g. "double forward" or "double (switched) flyback"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따른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 즉, 철심형 트랜스의 무게 및 부피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전자식 트랜스를 기본으로 한다. 이때, 본 명세서에 따른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는 전자식 트랜스의 문제점인 고주파 특성으로 인해 출력단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방전 품질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승압된 전압을 저주파로 변환시킨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른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는 저주파변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누설 전류 문제를 어스 접지(Earth Ground)와 섀시 접지(Chassis Ground) 즉, 회로내 2개의 접지를 따로 형성하여 극복한다.

Description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SPARK GENERATING APPARAYUS FOR LIGHTING}
본 발명은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긴 점화 단자에도 불구하고 전류 누설이 방지되는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스렌지 또는 보일러와 같은 장치는 그 내부에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 장치를 가지고 있다. 점화 장치는 단자 끝에서 스파크를 일으켜서 연료를 연소시키는바, 고압의 전기를 이용하여 스파크를 일으킨다. 따라서, 입력 전압을 공기로 절연된 두 단자 사이에서 스파크가 일어날 수 있을 정도로 승압을 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입력 전압을 상승시키는 대표적인 트랜스는 철심형 트랜스(누설형) 및 전자식 트랜스가 존재한다. 철심형 트랜스는 보빈에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승압시키고자 하는 권선비율만큼 감아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철심형 트랜스는 저주파 특성에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일반적인 가스렌지 또는 보일러와 같은 가정용 제품에 공급되는 220V/60Hz 전기를 고려할 때, 승압이 일어나는 보빈과 스파크가 발생하는 출력 단자 사이가 멀어도 저주파 특성으로 인해 스파크가 충분히 잘 발생한다. 다만, 보빈의 재질이 철이라서 변압기 전체 무게가 무거우며, 전류 누설의 가능성이 있다. 전자식 트랜스는 철 재질의 보빈이 없기 때문에 무게가 가볍고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전자식 트랜스는 고주파 동작 특성을 가지는바, 승압이 일어나는 코일과 스파크가 발생하는 출력 단자 사이가 멀어질 경우 스파크가 충분히 발생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자식 트랜스의 고주파 특성으로 인해, 주변 기기에 고주파 노이즈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철심형 트랜스의 장점과 전자식 트랜스의 장점만을 가진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가 필요하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7-0043936호 (1997.07.31)
본 명세서는 종래 기술에 비해 향상된 성능을 가진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상기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는, 교류 전압 입력단과 섀시접지단에 연결된 접지회로부; 상기 접지회로부에 연결된 고주파스위칭회로부; 상기 고주파스위칭회로부에 연결된 1차 코일; 상기 1차 코일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2차 코일; 상기 2차 코일과 연결된 저주파변환회로부; 및 상기 저주파변환회로부에 연결된 출력단;을 포함하는 스파크발생장치로서, 상기 접지회로부는 상기 교류 전압 입력단에 연결된 제1 캐패시터와 상기 섀시접지단에 연결된 제2 캐패시터와 V결선을 형성하여 상기 V결선의 중심점을 전기적 중성점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차 코일 및 상기 저주파변환회로부의 저전위가 상기 V결선의 중심점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주파스위칭회로부의 저전위가 상기 섀시접지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주파스위칭회로부는, 플라이백 방식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는 상기 접지회로부와 상기 고주파스위칭회로부 사이에 연결된 정류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류회로부의 저전위가 상기 섀시접지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주파변환회로부는 상기 2차 코일과 병렬로 연결된 캐패시터; 및 상기 2차 코일의 고전위와 상기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단은 상기 저주파변환회로부에 포함된 다이오드와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제1 단자; 및 상기 V결선의 중심점에 연결된 제2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주파변환회로부는 상기 2차 코일과 각각 병렬로 연결된 2개의 캐패시터; 및 상기 2차 코일의 고전위와 상기 2개의 캐패시터 사이에 각각 연결된 2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2개의 다이오드는 상기 2차 코일과 연결된 전극 배치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단은 상기 저주파변환회로부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다이오드와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제1 단자; 및 상기 저주파변환회로부에 포함된 다른 나머지 다이오드와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제2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종래 철심형 트랜스의 단점이 전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종래 전자식 트랜스의 단점인 고주파 특성으로 인해 긴 출력 단자에 불구하고 방전 성능이 낮아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주변기기에 미치는 고주파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의 각 구성을 블럭으로 표시한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실물 외관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이하 '당업자')에게 본 명세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연결된"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 즉, 철심형 트랜스의 무게 및 부피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전자식 트랜스를 기본으로 한다. 이때, 본 명세서에 따른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는 전자식 트랜스의 문제점인 고주파 특성으로 인해 출력단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방전 품질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승압된 전압을 저주파로 변환시킨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른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는 저주파변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누설 전류 문제를 어스 접지(Earth Ground)와 섀시 접지(Chassis Ground) 즉, 회로내 2개의 접지를 따로 형성하여 극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의 각 구성을 블럭으로 표시한 참고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100)는 교류 전압 입력단(L)과 섀시접지단(N)에 연결된 접지회로부(110), 상기 접지회로부(110)에 연결된 고주파스위칭회로부(120), 상기 고주파스위칭회로부(120)에 연결된 1차 코일(NP), 상기 1차 코일(NP)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2차 코일(NS), 상기 2차 코일(NS)과 연결된 저주파변환회로부(150) 및 상기 저주파변환회로부에 연결된 출력단(1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100)는 어스 접지(Earth Ground)와 섀시 접지(Chassis Ground) 즉, 회로내 2개의 접지를 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100)는 가스렌지 또는 보일러와 같은 제품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교류 전압 입력단(L)과 섀시접지단(N)은 상기 상용 전력 공급을 위한 2개의 단자가 될 수 있으면, 상기 섀시접지단(N)은 2개의 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지회로부(110)는 상기 교류 전압 입력단(L)에 연결된 제1 캐패시터(C1)와 상기 섀시접지단(N)에 연결된 제2 캐패시터(C2)와 V결선을 형성하여 상기 V결선의 중심점을 전기적 중성점(F.G)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V결선의 중심점은 상기 가스렌지 또는 보일러의 외부를 둘러싼 금속 케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100)에서 상기 상기 V결선의 중심점이 어스 접지(Earth Ground)를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어스 접지(Earth Ground)를 '
Figure 112020052540776-pat00001
'로 도시하고, 섀시 접지(Chassis Ground)를 '
Figure 112020052540776-pat00002
'으로 도시하겠다.
한편, 본 명세서에 따른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는 가정용 가스렌지 또는 보일러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교류 전압 입력단(L)에 입력되는 전압은 220V/60Hz인 예시를 중심으로 설명하겠다. 그러나 본 본 명세서에 따른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가 상기 예시 전압 특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100)에서 입력 전압이 어떻게 승압되어 출력단에서 방전되어 스파크를 발생시키는지 간단하게 흐름을 설명하겠다. 먼저, 상기 교류 전압 입력단(L)을 통해 전압이 입력되면, 접지회로부(110)를 거쳐서 상기 고주파스위칭회로부(120)에 입력된다. 상기 고주파스위칭회로부(120)에서 입력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로 특성이 바뀌어지고, 상기 1차 코일(NP)에 인가된다. 상기 1차 코일(NP)과 2차 코일(NS)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으나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2차 코일(NS)에 유도기전력이 발생하여 원하는 수준으로 전압으로 승압된다. 이후 2차 코일(NS)과 연결된 저주파변환회로부(150)를 통해 승압된 전압의 주파수 특성이 낮아져서 출력단(160)에 인가된다. 이때, 낮아진 주파수 특성을 통해 출력단(160)이 2차 코일(NS)로부터 상당히 긴 거리를 가지고 있어도 충분히 스파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누설 전류가 발생할 수 있는 장소는 승압된 전류가 흐르는 2차 코일(NS) 및 저주파변환회로부(150)이다. 따라서, 상기 2차 코일(NS) 및 상기 저주파변환회로부(150)의 저전위는 상기 V결선의 중심점에 연결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고주파스위칭회로부(120)의 저전위는 상기 섀시접지단(N)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는 상기 접지회로부(110)와 상기 고주파스위칭회로부(120) 사이에 연결된 정류회로부(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류회로부(121)는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기 위한 저항(R1), 캐패시터(C8) 및 다이오드(D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주파스위칭회로부(120)는 플라이백(flyback) 방식일 수 있다. 상기 고주파스위칭회로부(120)가 플라이백(flyback) 방식 동작하도록 자화인덕터(NB), 스위칭소자(Q1)를 포함할 수 있다.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또는 플라이백 컨버터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식이므로 상세한 동작 원리는 생략하도록 하겠다. 한편, 상기 정류회로부(121)의 저전위는 상기 섀시접지단(N)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따른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는 입력과 출력이 전기적으로 절연된 플라이백 방식으로서 상용주파수(50Hz~60Hz)에 동기하여 매우 큰 피크값을 가진 고조파가 포함된 입력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지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정류회로부(121)는 고조파방지 및 역률개선용 및 인덕턴스(L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류회로부(121)는 맥류보완을 위한 캐패시터(C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고주파스위칭회로부(120)는 플라이백 방식 동작을 위한 소자 자화인덕터(NB) 및 스위칭소자(Q1)에 적절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DC/DC 컨버터를 위해 R3, R4, R5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주파스위칭회로부(120)는 온도 보상용 다이오드(D3, D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주파스위칭회로부(120)는 스위칭소자(Q1)의 고주파 발진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캐패시터(C3, C4) 및 저항(R2)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회로의 안정적 동작을 위한 캐패시터(C5, C6)가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저주파변환회로부(150)는 상기 2차 코일(NS)을 통해 출려된 전압의 주파수를 낮추기 위해 상기 2차 코일과 병렬로 연결된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주파변환회로부(150)는 역류 방지를 위해 상기 2차 코일의 고전위와 상기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에 포함된 출력단(160)은 스파크가 발생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두 개의 출력 단자 제1 단자와 제2 단자가 필요하다. 본 명세서의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는 상기 두 개의 출력 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만 상기 저주파변환회로부(150)에 연결된 이른바 '출력 1폴(pole)형'과 상기 두 개의 출력 단자 모두 상기 저주파변환회로부(150)에 연결된 이른바 '출력 2폴(pole)형'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는 '출력 1폴(pole)형'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제2 실시예는 '출력 2폴(pole)형'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실물 외관 예시도이다.
도 4의 (a)는 '출력 1폴(pole)형'이고, 도 4의 (b)는 '출력 2폴(pole)형'이다.
제1 실시예인 '출력 1폴(pole)형'의 경우, 상기 저주파변환회로부(150)는 상기 2차 코일(NS)과 병렬로 연결된 캐패시터(C7) 및 상기 2차 코일(NS)의 고전위와 상기 캐패시터(C7) 사이에 연결된 다이오드(D2)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단(160)은 상기 저주파변환회로부(150)에 포함된 다이오드(D2)와 캐패시터(C7) 사이에 연결된 제1 단자 및 상기 V결선의 중심점에 연결된 제2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인 '출력 2폴(pole)형'의 경우, 상기 저주파변환회로부(150)는 상기 2차 코일(NS)과 각각 병렬로 연결된 2개의 캐패시터(C101, C102) 및 상기 2차 코일(NS)의 고전위와 상기 2개의 캐패시터(C101, C102) 사이에 각각 연결된 2개의 다이오드(D101, D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2개의 다이오드(D101, D102)는 상기 2차 코일(NS)과 연결된 전극 배치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단(160)은 상기 저주파변환회로부(150)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다이오드(D101)와 캐패시터(C101) 사이에 연결된 제1 단자 및 상기 저주파변환회로부(150)에 포함된 다른 나머지 다이오드(D102)와 캐패시터(C102) 사이에 연결된 제2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
110 : 접지회로부
120 : 고주파스위칭회로부
121 : 정류회로부
130 : 1차 코일
140 : 2차 코일
150 : 저주파변환회로부
160 : 출력단

Claims (8)

  1. 교류 전압 입력단과 섀시접지단에 연결된 접지회로부; 상기 접지회로부에 연결된 고주파스위칭회로부; 상기 고주파스위칭회로부에 연결된 1차 코일; 상기 1차 코일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2차 코일; 상기 2차 코일과 연결된 저주파변환회로부; 및 상기 저주파변환회로부에 연결된 출력단;을 포함하는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로서,
    상기 접지회로부는,
    상기 교류 전압 입력단에 연결된 제1 캐패시터와 상기 섀시접지단에 연결된 제2 캐패시터와 V결선을 형성하여 상기 V결선의 중심점을 전기적 중성점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 코일 및 상기 저주파변환회로부의 저전위가 상기 V결선의 중심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스위칭회로부의 저전위가 상기 섀시접지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스위칭회로부는, 플라이백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지회로부와 상기 고주파스위칭회로부 사이에 연결된 정류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정류회로부의 저전위가 상기 섀시접지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변환회로부는,
    상기 2차 코일과 병렬로 연결된 캐패시터; 및
    상기 2차 코일의 고전위와 상기 2차 코일과 병렬로 연결된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단은
    상기 저주파변환회로부에 포함된 다이오드와 2차 코일과 병렬로 연결된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제1 단자; 및
    상기 V결선의 중심점에 연결된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변환회로부는,
    상기 2차 코일과 각각 병렬로 연결된 2개의 캐패시터; 및
    상기 2차 코일의 고전위와 상기 2개의 캐패시터 사이에 각각 연결된 2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다이오드는 상기 2차 코일과 연결된 전극 배치가 서로 반대이며,
    상기 출력단은
    상기 저주파변환회로부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다이오드와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제1 단자; 및
    상기 저주파변환회로부에 포함된 다른 나머지 다이오드와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
KR1020200062439A 2020-05-25 2020-05-25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 KR102317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439A KR102317710B1 (ko) 2020-05-25 2020-05-25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439A KR102317710B1 (ko) 2020-05-25 2020-05-25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710B1 true KR102317710B1 (ko) 2021-10-27

Family

ID=78286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439A KR102317710B1 (ko) 2020-05-25 2020-05-25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71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8633A (ja) * 1992-01-13 1993-09-24 Eaton Corp 燃料用バーナの火花点火方法および火花点火装置
KR970043936U (ko) 1995-12-08 1997-07-31 동양매직주식회사 가스렌지 점화용 연속 고압 스파크발생회로
KR20030067897A (ko) * 2002-02-08 2003-08-19 최진민 보일러 점화제어장치
JP2004347312A (ja) * 2003-02-13 2004-12-09 Ngk Spark Plug Co Ltd 燃焼器具用放電点火装置
JP2005024182A (ja) * 2003-07-02 2005-01-27 Yokogawa Denshikiki Co Ltd 点火装置
KR102020560B1 (ko) * 2018-03-19 2019-09-10 센서나인(주) 휴대용 점화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8633A (ja) * 1992-01-13 1993-09-24 Eaton Corp 燃料用バーナの火花点火方法および火花点火装置
KR970043936U (ko) 1995-12-08 1997-07-31 동양매직주식회사 가스렌지 점화용 연속 고압 스파크발생회로
KR20030067897A (ko) * 2002-02-08 2003-08-19 최진민 보일러 점화제어장치
JP2004347312A (ja) * 2003-02-13 2004-12-09 Ngk Spark Plug Co Ltd 燃焼器具用放電点火装置
JP2005024182A (ja) * 2003-07-02 2005-01-27 Yokogawa Denshikiki Co Ltd 点火装置
KR102020560B1 (ko) * 2018-03-19 2019-09-10 센서나인(주) 휴대용 점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2268A (en) Low-pressure discharge lamp, particularly fluorescent lamp high-frequency operating circuit with low-power network interference
US4560908A (en) High-frequency oscillator-inverter ballast circuit for discharge lamps
Ho et al. A comparative study on dimming control methods for electronic ballasts
US4453109A (en) Magnetic transformer switch and combination thereof with a discharge lamp
JPS62290917A (ja) 力率改善回路網
US5828186A (en) Ignition scheme for a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US4701671A (en) High-frequency oscillator-inverter ballast circuit for discharge lamps
US5534753A (en) High-pressure discharge lamp igniting circuit in which the voltage-raising network includes inductors
KR102317710B1 (ko) 점화용 스파크발생장치
KR100458997B1 (ko) 회로장치
CN209748878U (zh) 具有保护功能的电子镇流器
KR100375849B1 (ko) 전자렌지
US4609852A (en) Lamp ballast with near unity power factor and low harmonic content
CN219322270U (zh) 一种电源装置及其电源控制电路
JP2000517471A (ja) 回路装置
RU2035275C1 (ru)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я для дуговой сварки
KR100301963B1 (ko) 정출력형고압방전등용전자식안정기
RU17249U1 (ru) Устройство пускорегулирующее электронное для газоразрядных осветительных ламп
RU208228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жигания и питания газоразрядной лампы выпрямленным током
RU1738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итания газоразрядной лампы
KR200261316Y1 (ko) 자기식 안정기
JPH08149816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CN2179688Y (zh) 可防止光柱串珠的电子霓红灯变压器
Vaclavik et al. Aspects of energy consumption in large lighting systems
KR200168236Y1 (ko) 보일러점화용고주파트랜스포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