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344B1 - 공기살균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살균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344B1
KR102317344B1 KR1020200024570A KR20200024570A KR102317344B1 KR 102317344 B1 KR102317344 B1 KR 102317344B1 KR 1020200024570 A KR1020200024570 A KR 1020200024570A KR 20200024570 A KR20200024570 A KR 20200024570A KR 102317344 B1 KR102317344 B1 KR 102317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ing
light
sterilization module
ster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7995A (ko
Inventor
이중수
이순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9724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84775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엔테크
Priority to KR1020200024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344B1/ko
Priority to PCT/KR2020/009912 priority patent/WO2021029572A1/ko
Publication of KR20210017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995A/ko
Priority to KR1020210133553A priority patent/KR102432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 면적 대비 공기 접촉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구조를 통해 살균 및 정화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으며, 자외선을 확산시킴으로써 자외선 조사량을 증대시켜 살균 및 정화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살균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타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며 내벽면이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빛반사층이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표면에 광촉매 코팅층이 형성되는 복수의 살균 부재 및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며 광촉매 반응을 위한 자외선을 방출하는 UV광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살균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Air sterilization module and air purifier using it}
본 발명은 공기살균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세균, 바이러스와 같은 이물질과 악취를 제거하고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살균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장치는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섬유질의 필터를 사용하는 필터 방식이나, 음이온을 이용하는 이온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필터 방식은 정기적으로 필터를 교체해 주어야 함과 아울러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초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서는 고가의 필터를 사용해야 하므로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바이러스나 세균은 효과적인 제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온 방식은 상대적으로 이물질 제거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외의 방식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26236호(2018.2.6.공고)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공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공기 살균기를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들도 여전히 이물질의 제거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근래에 자외선을 이용한 광촉매 방식이 효과면에서 우수하다는 이유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최상의 효과를 확보할 수 있는 최적 설계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26236호(2018.2.6.공고)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과 실정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단위 면적 대비 공기 접촉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구조를 통해 살균 및 정화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살균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외선을 확산시킴으로써 자외선 조사량을 증대시켜 살균 및 정화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살균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조립성 및 유지보수에 유리하도록 하는 공기살균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공기살균모듈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타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며 내벽면이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빛반사층이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표면에 광촉매 코팅층이 형성되는 복수의 살균 부재 및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며 광촉매 반응을 위한 자외선을 방출하는 UV광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 부재는 단면이 '
Figure 112020021060083-pat00001
' 형태로 절곡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유동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 부재는 그 양단부의 상하부가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는 상하 돌출부에 고정되며,
상기 UV광은 상기 살균 부재의 양단부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 부재는 상하 2단으로 구성되며, 상측 살균 부재는 단면이 '∧'이고 하측 살균 부재는 '∨'인 절곡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유동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측 살균 부재는 그 양단부의 상부가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는 상 돌출부에 고정되며,
상기 하측 살균 부재는 그 양단부의 하부가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는 하 돌출부에 고정되며,
상기 UV광은 상기 살균 부재의 양단부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타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며 내벽면이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빛반사층이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설치되고 광촉매 코팅층이 형성되는 한 쌍의 살균 부재 및
상기 케이싱 내부 중앙의 한 쌍의 살균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광촉매 반응을 위한 자외선을 방출하는 UV광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살균 부재 각각은;
자외선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재질의 본체;
상기 본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이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 유동 광촉매 반응 홀; 및
상기 공기 유동 광촉매 반응 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광촉매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유동 광촉매 반응 홀은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복수 개로 서로 접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본체에 형성되는 공기 유동 광촉매 반응 홀은 경사지게 형성되되 서로 기울기값을 달리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본체에 형성되는 공기 유동 광촉매 반응 홀은 지그재그 형태로 공기의 유동방향이 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타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며 내벽면이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빛반사층이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강제 회전하는 팬으로 이루어지는 살균 부재 및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며 광촉매 반응을 위한 자외선을 방출하는 UV광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 부재의 팬은 자외선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후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광촉매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기살균모듈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최하단에 구비되는 실내기를 유입하는 공기 유입구,
상기 공기 유입구 상측에 배치되는 메시로 이루어진 에어 필터,
상기 에어 필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헤파 필터,
상기 헤파 필터 상측에 배치되는 공기살균모듈,
상기 공기살균모듈 상측에 배치되는 카본 필터,
상기 카본 필터 상측에 배치되어 공기의 강제 유동을 수행하는 팬 박스 및
상기 팬 박스 상부에 형성되어 청정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인 공기살균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는 단위 면적 대비 공기 접촉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구조를 통해 살균 및 정화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자외선을 확산시킴으로써 자외선 조사량을 증대시켜 살균 및 정화 효율을 추가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으며,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 조립성 및 유지보수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모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개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모듈의 제1실시예의 살균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모듈의 제1실시예의 응용례를 도시한 부분절개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모듈의 제1실시예의 응용례의 살균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모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모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모듈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모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개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모듈의 제1실시예의 살균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모듈의 제1실시예의 응용례를 도시한 부분절개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모듈의 제1실시예의 응용례의 살균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모듈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타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며 내벽면이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빛반사층이 형성되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표면에 광촉매 코팅층이 형성되는 복수의 살균 부재(20)와,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위치하며 광촉매 반응을 위한 자외선을 방출하는 UV광(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케이싱(10)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광촉매 코팅층과 접촉하여 광촉매반응을 통해 내재하는 유기물질, 황화수소, 암모니아, 질산가스, 황산가스 등을 제거하며 아울러 발생된 광전자로 먼지 등을 대전시켜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싱(10) 내 빛반사층을 통해 UV광(30)으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을 외부로의 소실을 방지함으로써 광화학반응 효율을 증대시키게 되며, 더욱이 상기 살균모듈은 단위 체적당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광화학반응의 발생 효과를 증대시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살균 부재는 단면이 '
Figure 112020021060083-pat00002
' 형태로 절곡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유동홀(20')이 구비된다. 이러한 형태의 복수의 살균 부재(20)를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연속적으로 배치함으로써 통과하는 공기는 굴곡진 공간을 지그재그로 이동하면서 유동거리를 증가시켜 1차로 상기 살균 부재(20)와의 접촉기회를 증가시키게 되고, 공기의 일부는 상기 복수의 유동홀(20')을 통과하여 2차로 접촉기회를 증가시키게 되며, 살균 부재(20) 사이를 지그재그로 유동하는 공기와 유동홀(20')을 통과하여 유동하는 공기의 충돌에 의한 와류로 인해 공기의 유동거리는 더욱 증가되어 3차로 접촉기회를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살균 부재(20)들에 비해 공기와 살균 부재(20)의 접촉기회는 현저히 증가하게 되며 이는 곧 작은 체적에도 높은 광화학반응 효율이 구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살균 부재(20)는 그 양단부의 상하부가 상기 케이싱(10)에 구비되는 상하 돌출부에 고정되며, 상기 UV광(30)은 상기 살균 부재(20)의 양단부 외측에 배치됨으로써, 구조를 간단히 하여 단일 모듈화를 용이하게 하며 UV광(30)으로부터의 광전달이 저해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살균 부재(20)에 전달되게 된다.
또한, 응용례로서, 상기 살균 부재(20)는 상하 2단으로 구성되며, 상측 살균 부재(20)는 단면이 '∧'이고 하측 살균 부재(20)는 '∨'인 절곡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유동홀이 구비되게 된다. 이를 통해 앞서 설명한 형태와 같이 공기의 유동거리를 현저히 증대시킴과 아울러 보다 적극적인 형태로 공기 유동의 방향전환와 와류 형성을 통해 공기와 살균 부재(20)의 접촉기회를 증가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측 살균 부재(20)는 그 양단부의 상부가 상기 케이싱(10)에 구비되는 상 돌출부에 고정되며, 상기 하측 살균 부재(20)는 그 양단부의 하부가 상기 케이싱(10)에 구비되는 하 돌출부에 고정되며, 상기 UV광(30)은 상기 살균 부재(20)의 양단부 외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광촉매 코팅층은 TiO2, ZnO, WO3, Fe, Fe2O3, Fe3O4 등과 이것의 산소가 결핍된 형태인 TiO2-x, ZnOx, WO3-x, Fe, Fe2O3-x, Fe3O4-x 그리고 Ag, Pd, Pt, Rh, PdO 등이 함께 사용되게 된다. 또한 오존의 제거를 위한 Mn, MnO2, MnO2-x, Mn2O3, Mn3O4, MnCl2, Mn(NO3)2, MnSO4, Mn(CH3COO)2, Fe, Ce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고, 촉매의 지지체로서 Al2O3, SiO2 등과 함께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모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모듈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타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며 내벽면이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빛반사층이 형성되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 내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설치되고 광촉매 코팅층이 형성되는 한 쌍의 살균 부재(20)와, 상기 케이싱(10) 내부 중앙의 한 쌍의 살균 부재(20) 사이에 설치되어 광촉매 반응을 위한 자외선을 방출하는 UV광(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살균 부재(20) 각각은 자외선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재질의 본체(21)와, 상기 본체(21)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이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 유동 광촉매 반응 홀(22)과, 상기 공기 유동 광촉매 반응 홀(22)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광촉매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서는 단위면적 및 체적당 공기와 광촉매 코팅층의 접촉 면적 및 효율과, 자외선의 광촉매 코팅층에 방사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되어 공기 살균 효과를 배가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합성수지재인 본체(21)에 단순히 천공 작업과 코팅 작업을 통해 간단히 살균 부재(20)의 제작이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증대되고 유지에 있어서도 비용이 들지 않으면서 효과적인 살균 부재(20)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동 광촉매 반응 홀은 경사지게 설치되고 여러 단으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의 체류기간을 늘이고 자외선의 조사 면적을 더욱 넓힘으로써 공기와 광촉매 코팅층의 접촉 면적 및 효율과, 자외선의 광촉매 코팅층에 방사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21)는 복수 개로 서로 접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본체(21)에 형성되는 공기 유동 광촉매 반응 홀(22)은 경사지게 형성되되 서로 기울기값(a,b)을 동일하게 그리고 달리하여 구성함으로써, 단위 체적에 대해 최대로 집적된 모듈을 구성할 수 있어 적은 공간에도 높은 광촉매 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각각의 본체(21)에 형성되는 공기 유동 광촉매 반응 홀은 지그재그 형태로 공기의 유동방향이 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모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모듈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타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며 내벽면이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빛반사층이 형성되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강제 회전하는 팬(23)으로 이루어지는 살균 부재(20)와,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위치하며 광촉매 반응을 위한 자외선을 방출하는 UV광(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살균 부재(20)의 팬(23)은 자외선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후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광촉매 코팅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보다 효율적인 광촉매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광촉매 코팅층을 강제로 구동시킴으로써 공기와의 접촉기회를 증대하고 이를 통해 광촉매 반응의 기회를 아울러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팬(23)의 회전속도는 공기 유동이 지나치게 증대되지 않는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팬(23)에 의한 강제 공기 유동 방향은 공기살균모듈의 공기 유동 방향과 다르게 하여 공기의 체류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모듈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모듈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공기살균모듈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모듈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는 최하단에 구비되는 실내기를 유입하는 공기 유입구(40)와, 상기 공기 유입구(40) 상측에 배치되는 메시로 이루어진 에어 필터(50)와, 상기 에어 필터(50)의 상측에 배치되는 헤파 필터(60)와, 상기 헤파 필터(60) 상측에 배치되는 공기살균모듈과, 상기 공기살균모듈 상측에 배치되는 카본 필터(70)와, 상기 카본 필터(70) 상측에 배치되어 공기의 강제 유동을 수행하는 팬 박스와, 상기 팬 박스 상부에 형성되어 청정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통해, 실내 공기는 공기 유입구(40), 에어 필터(50), 헤파 필터(60), 공기살균모듈, 카본 필터(70), 팬 박스, 공기 배출구를 유동하여 배출되면서 청정된 공기로 배출되는데, 에어 필터(50)를 통해 큰 입자의 이물질이 1차로 제거되며, 헤파 필터(60)를 통해 미세먼지가 제거되며, 공기살균모듈과 카본 필터(70)를 거침으로써 초미세먼지,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 유해가스 등이 최종적으로 완벽히 제거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인 공기살균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는 단위 면적 대비 공기 접촉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구조를 통해 살균 및 정화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자외선을 확산시킴으로써 자외선 조사량을 증대시켜 살균 및 정화 효율을 추가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으며,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 조립성 및 유지보수에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10: 케이싱
20: 살균 부재 20': 유동홀
21: 본체 22: 공기 유동 광촉매 반응 홀
23: 팬
30: UV광
40: 공기 유입구
50: 에어 필터
60: 헤파 필터
70: 카본 필터
80: 팬 박스
90: 공기 배출구

Claims (4)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타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며 내벽면이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빛반사층이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표면에 광촉매 코팅층이 형성되는 복수의 살균 부재 및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며 광촉매 반응을 위한 자외선을 방출하는 UV광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살균 부재는 단면이 '
    Figure 112021024022692-pat00011
    ' 형태로 절곡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유동홀이 구비되며,
    상기 UV광은 상기 살균 부재의 양단부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살균모듈
  2.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타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며 내벽면이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빛반사층이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표면에 광촉매 코팅층이 형성되는 복수의 살균 부재 및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며 광촉매 반응을 위한 자외선을 방출하는 UV광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살균 부재는 상하 2단으로 구성되며, 상측 살균 부재는 단면이 '∧'이고 하측 살균 부재는 '∨'인 절곡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유동홀이 구비되며,
    상기 UV광은 상기 살균 부재의 양단부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살균모듈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공기살균모듈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최하단에 구비되는 실내기를 유입하는 공기 유입구,
    상기 공기 유입구 상측에 배치되는 메시로 이루어진 에어 필터,
    상기 에어 필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헤파 필터,
    상기 헤파 필터 상측에 배치되는 공기살균모듈,
    상기 공기살균모듈 상측에 배치되는 카본 필터,
    상기 카본 필터 상측에 배치되어 공기의 강제 유동을 수행하는 팬 박스 및
    상기 팬 박스 상부에 형성되어 청정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살균모듈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4. 삭제
KR1020200024570A 2019-08-09 2020-02-27 공기살균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2317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570A KR102317344B1 (ko) 2019-08-09 2020-02-27 공기살균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PCT/KR2020/009912 WO2021029572A1 (ko) 2019-08-09 2020-07-28 공기살균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20210133553A KR102432453B1 (ko) 2020-02-27 2021-10-08 공기살균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244A KR102084775B1 (ko) 2019-08-09 2019-08-09 공기살균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20200024570A KR102317344B1 (ko) 2019-08-09 2020-02-27 공기살균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244A Division KR102084775B1 (ko) 2019-08-09 2019-08-09 공기살균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553A Division KR102432453B1 (ko) 2020-02-27 2021-10-08 공기살균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995A KR20210017995A (ko) 2021-02-17
KR102317344B1 true KR102317344B1 (ko) 2021-10-26

Family

ID=747583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570A KR102317344B1 (ko) 2019-08-09 2020-02-27 공기살균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20210133553A KR102432453B1 (ko) 2020-02-27 2021-10-08 공기살균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553A KR102432453B1 (ko) 2020-02-27 2021-10-08 공기살균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73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353B1 (ko) * 2021-05-27 2023-10-26 주식회사 조은환경 플라즈마 탈취기
KR102593597B1 (ko) * 2023-02-21 2023-10-24 신예진 광촉매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357Y1 (ko) * 2003-06-17 2003-09-29 주식회사 인디스 광촉매필터유니트 및 그를 적용한 공기정화기
KR100985123B1 (ko) 2008-11-12 2010-10-05 (주)선영에스티 광촉매 기능을 갖는 축류팬형 선풍기
KR101697901B1 (ko) 2016-06-08 2017-01-18 이성헌 적층식 광촉매 공기 정화기
KR101796496B1 (ko) 2016-11-16 2017-11-10 주식회사 도경21 광촉매가 코팅된 공기청정기 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648A (ko) * 2000-04-10 2001-10-19 김동현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청정 유니트 및 공기 청정 유니트를갖는 공기 청정 장치
KR20100029668A (ko) * 2008-09-08 2010-03-17 권대웅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광촉매 공기청정펜
KR101826236B1 (ko) 2016-05-03 2018-02-06 주식회사 세스코 자외선 공기 살균기
KR102250587B1 (ko) * 2018-07-25 202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살균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357Y1 (ko) * 2003-06-17 2003-09-29 주식회사 인디스 광촉매필터유니트 및 그를 적용한 공기정화기
KR100985123B1 (ko) 2008-11-12 2010-10-05 (주)선영에스티 광촉매 기능을 갖는 축류팬형 선풍기
KR101697901B1 (ko) 2016-06-08 2017-01-18 이성헌 적층식 광촉매 공기 정화기
KR101796496B1 (ko) 2016-11-16 2017-11-10 주식회사 도경21 광촉매가 코팅된 공기청정기 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170A (ko) 2021-10-14
KR20210017995A (ko) 2021-02-17
KR102432453B1 (ko)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4775B1 (ko) 공기살균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JP6317495B1 (ja) 空気清浄装置
KR102432453B1 (ko) 공기살균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US8557188B2 (en) Unitized photocatalytic air sterilization device
CN109069684B (zh) 空气净化装置
US20180147523A1 (en) Wet air purifier
US202001662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hotoelectrochemical air purification
KR20190021826A (ko) 공기살균정화장치
CN110799792A (zh) 流体处理装置
KR102527926B1 (ko) 광촉매 메디아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JP7278582B2 (ja) 光触媒による流体清浄化構造、および該流体清浄化構造に用いる光触媒ユニット
JP2007130468A (ja) 空気清浄器
KR100541026B1 (ko) 광촉매 필터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1434738B1 (ko) 다수의 광촉매 세트가 하나의 케이스에 설치된 정화 장치
KR20210001194U (ko) 광촉매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JP2005253799A (ja) 流体の浄化装置
JP2001190646A (ja) 光触媒清浄装置
US20050008549A1 (en) Photocatalytic lamp
JP2005343427A (ja) 車載型空気清浄装置
KR102212654B1 (ko) 플라즈마 살균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KR102473213B1 (ko) 360도 전방향 밀폐형 공기살균기
KR101351174B1 (ko) 광촉매를 이용한 정화필터
JP3749721B2 (ja) 空気浄化装置
KR102218721B1 (ko) 플라즈마 살균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KR20210150627A (ko) 광촉매 코팅된 다중 격벽 구조의 공기 살균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