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133B1 -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이용한 엑스선 방출 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이용한 엑스선 방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133B1
KR102316133B1 KR1020140121099A KR20140121099A KR102316133B1 KR 102316133 B1 KR102316133 B1 KR 102316133B1 KR 1020140121099 A KR1020140121099 A KR 1020140121099A KR 20140121099 A KR20140121099 A KR 20140121099A KR 102316133 B1 KR102316133 B1 KR 102316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erminal
ray
ray source
cathode electrode
anod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4367A (ko
Inventor
김태우
이수봉
백인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텍
Priority to PCT/KR2015/00326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152640A1/ko
Priority to US15/301,469 priority patent/US11039525B2/en
Priority to EP15772475.8A priority patent/EP3128532B1/en
Priority to CN201580028998.9A priority patent/CN106463319B/zh
Publication of KR20150114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GX-RAY TECHNIQUE
    • H05G1/00X-ray apparatus involving X-ray tubes; Circuits therefor
    • H05G1/02Constructional details
    • H05G1/04Mounting the X-ray tube within a closed housing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KTECHNIQUE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IRRADIATION DEVICES; GAMMA RAY OR X-RAY MICROSCOPES
    • G21K1/00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 G21K1/02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using diaphragms, collim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16Vessels; Containers; Shields associat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16Vessels; Containers; Shields associated therewith
    • H01J35/165Vessels; Containers; Shields associated therewith joining connectors to the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61B6/512Intraora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5/00X-ray tubes
    • H01J2235/02Electrical arrangements
    • H01J2235/023Connecting of signals or tensions to or through the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5/00X-ray tubes
    • H01J2235/06Cathode assembly
    • H01J2235/062Cold 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5/00X-ray tubes
    • H01J2235/16Vessels
    • H01J2235/165Shielding arrangements
    • H01J2235/166Shielding arrangements against electromagnetic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X-Ray Techniques (AREA)

Abstract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엑스선 소스 장치를 이용한 엑스선 방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방출 장치는,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가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 장착부를 가지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는,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전자 방출원이 구비된 캐소드 전극; 전자의 충돌에 의해 엑스선을 방출하는 타켓면을 갖는 애노드 전극; 및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캐소드 전극과 연결된 캐소드 전극 단자부 및 상기 애노드 전극과 연결된 애노드 전극 단자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되,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와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가 노출되는 방향, 높이, 크기 및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서로 다른,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와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된 제1 및 제2 연결단자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이용한 엑스선 방출 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X-RAY USING REPLACEABLE X-RAY SOURCE CARTRIDGE}
본 발명은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엑스선 소스 장치 및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이용한 엑스선 방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전자 방출원이 구비된 캐소드 전극과 그에 대향하는 애노드 전극을 가지고, 이들 전극과 연결되는 단자가 그 몸체 또는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엑스선 소스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방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질병진단을 위하여 의료기관에서 사용되는 엑스선 소스 장치는 엑스선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자 방출원으로 텅스텐 소재의 열음극을 사용하고 있으며, 고전압을 적용하여 텅스텐 필라멘트를 가열하여 전자를 방출시키고 방출된 전자를 애노드 전극 측의 타켓에 충돌시켜 엑스선을 발생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하지만, 텅스텐 필라멘트 기반의 열음극 엑스선 소스 장치는 전자를 발생시키는 데에 많은 전력이 소모되며, 발생되는 전자가 스파이럴 구조를 갖는 텅스텐 표면에서 무작위로 방출되기 때문에 방출된 전자 중 실제로 애노드 전극 측의 타켓에 충돌하여 엑스선을 방출시키는 전자들은 전체의 약 5% 이하에 불과할 정도로 효율이 극히 낮은 실정이다. 또한 텅스텐 필라멘트의 가열 및 냉각을 위해 일정시간의 인터벌(interval)이 요구되며, 펄스형태로 엑스선을 방출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여 필요 이상의 다량의 엑스선이 조사되어 치과 임플란트 검사 등과 같은 치과 치료용으로 이용되는데 제약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열음극 엑스선 소스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냉음극 전자 방출원으로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엑스선 소스 장치, 특히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엑스선 소스 장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엑스선 소스 장치는 종래의 텅스텐 필라멘트 기반의 열음극 엑스선 소스 장치와는 달리 전자 방출 메카니즘이 전계방출(electric field emission) 방식으로서, 기존의 열전자 방출 방식과 다르다.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엑스선 소스 장치는 텅스텐 필라멘트 기반의 열음극 엑스선 소스 장치에 비해 낮은 전압의 인가로 전자 방출이 가능하고, 방출되는 전자가 탄소나노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방출되기 때문에 애노드 전극 측의 타켓을 향한 전자의 방향지향성이 우수하여 엑스선 방출 효율이 매우 높다. 또한 펄스형태의 엑스선을 방출시키는 것이 용이하여 저선량으로 엑스선 영상획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엑스선 동영상의 촬영이 가능하여 치과 임플란트 검사 등과 같은 치과 치료용으로 활용도가 매우 높다.
다만,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엑스선 소스 장치는 전자 방출원을 갖는 장치 내부가 고진공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나, 내부에서의 가스 발생 등으로 인해 고진공 상태의 유지가 어려우므로 수명이 짧다. 또한 절연 효과가 미흡하여 절연 신뢰성 저하에 따라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완벽한 절연을 위해서는 서지(surge)보호기와 같은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여 엑스선 소스 장치의 크기나 경제적인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절연체로 실리콘 고무를 포함하는 실리콘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절연 효과를 높여 엑스선 소스 장치의 수명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엑스선 소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엑스선 소스 장치의 캐소드 전극과 애노드 전극의 단자가 상기 엑스선 소스 장치 외부의 연결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필요 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엑스선 방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방출 장치는,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가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 장착부를 가지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는,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전자 방출원이 구비된 캐소드 전극; 전자의 충돌에 의해 엑스선을 방출하는 타켓면을 갖는 애노드 전극; 및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캐소드 전극과 연결된 캐소드 전극 단자부 및 상기 애노드 전극과 연결된 애노드 전극 단자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되,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와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가 노출되는 방향, 높이, 크기 및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서로 다른,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와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된 제1 및 제2 연결단자부를 구비한다.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와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는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해 서로 다른 높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와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은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다수의 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와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는 각각 상기 다수의 면 중 서로 다른 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와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와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체는 동시에 다수의 엑스선 소스 장치가 장착되도록 다수의 카트리지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엑스선 소스 장치 중 선택된 하나가 상기 본체의 엑스선 조사 경로에 정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는 다수의 카트리지 장착부가 마련된 회전식 로더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식 로더의 방향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엑스선 소스 장치가 엑스선 조사 경로에 정렬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동시에 다수의 엑스선 소스 장치가 장착되는 다수의 카트리지 장착부; 및 상기 다수의 엑스선 소스 장치로부터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방출된 엑스선 빔이 엑스선 조사 경로를 통해 소정의 범위에 조사되도록 조절하는 멀티 콜리메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엑스선 소스 장치가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엑스선을 방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엑스선 소스 장치의 캐소드 전극과 애노드 전극의 단자가 상기 엑스선 소스 장치 외부의 연결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필요 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가 제공된다. 엑스선 방출 장치에서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엑스선 소스 장치를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엑스선 방출 장치의 유지 관리 부담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와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의 카트리지 장착부에서 전극 단자부 구조와 연결단자부 구조의 효과적인 결합을 통해 이들 사이의 기계적 결합과 전기적 연결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엑스선 소스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아래쪽에서 본 모습을 보인다.
도 4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엑스선 소스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다.
도 6은 상기 도 5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아래쪽에서 본 모습을 보인다.
도 7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이용한 엑스선 방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2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가 그에 대응되는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와 (a)분리된 상태 및 (b)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다.
도 9는 상기 도 5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가 그에 대응되는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와 (a)분리된 상태 및 (b)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보인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보인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보인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보인다.
도 14는 상기 도 10a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와 호환되는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의 실시예를 보인다.
도 15는 상기 도 14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에서 카트리지 장착부의 다양한 예를 보인다.
도 16은 상기 도 11 (a)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와 호환되는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의 실시예를 보인다.
도 17은 상기 도 11 (a) 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와 호환되는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다.
도 18은 도 12 (b)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와 호환되는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의 실시예를 보인다.
도 19는 도 13 (b)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와 호환되는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의 실시예를 보인다.
도 20은 다수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가 장착되는 엑스선 방출 장치의 실시예를 보인다.
도 21은 다수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가 장착되는 엑스선 방출 장치의 실시예를 보인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엑스선 소스 장치(10)(이하, 엑스선 소스 장치라 한다)는 관 형상의 몸체(11), 몸체(11)의 제1단부에 형성되고 엑스선을 발생하는 타겟면(12a)을 구비하는 애노드 전극(12), 및 몸체(11)의 제2단부에 형성되고 타겟면(12a)과 대향하는 면에 나노 구조물(13a)이 형성된 캐소드 전극(13)을 구비하는 엑스선 소스 장치로서, 애노드 전극(12)와 캐소드 전극(13)의 적어도 일부분은 서로 다른 높이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엑스선 소스 장치(10) 외부의 연결단자부와 접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소스 장치(10)는 캐소드 전극(13)과 애노드 전극(12)의 전압차에 의해 나노 구조물(13a)로부터 전계방출되는 전자가 애노드 전극(12)의 타겟면(12a)에 충돌되어 몸체(11)의 윈도우(11a)로 엑스선이 방출되는 구조이다.
몸체(11)는 엑스선 소스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측면의 일부에는 애노드 전극(12)의 타켓면(12a)으로부터 방출되는 엑스선이 외부로 조사되는 윈도우(1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관 형상으로서 애노드 전극(12), 캐소드 전극(13), 후술하는 게이트 전극(14) 및 집속 전극(15)의 외면을 감싸 외부와 구분된 진공영역을 정의한다.
몸체(11)는 유리 또는 실리콘 등의 절연 물질일 수 있으며, 몸체(11)가 절연 물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엑스선 소스 장치(10)를 1차로 절연하는 역할을 겸한다. 그리고 윈도우(11a)는 베릴륨(Be),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N), 알루미늄베릴륨 합금(AlBe), 산화규소(SixOy), 티타늄(Ti)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애노드 전극(12)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11)의 지름 바깥쪽으로 확장되어 후술하는 캐소드전극(13)과 동일한 방향으로 노출되고, 그 노출된 부분이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를 이루는 구조이다. 그러나, 애노드 전극(12)과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애노드 전극(1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별도의 애노드 단자 전극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애노드 전극(12)은 캐소드 전극(13)과 전압차를 형성하는 역할과 동시에 나노 구조물(13a)로부터 방출된 전자에 의한 충돌로 엑스선을 방출하는 타켓의 역할을 겸한다. 이를 위해 애노드 전극(12)은 몸체(11) 내부를 향한 일면에 나노 구조물(13a)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충돌하는 타겟면(12a)을 구비한다. 상기 타겟면(12a)은 상기 윈도우(11a) 쪽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캐소드 전극(13)과의 간격이 가까워지는 경사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애노드 전극(12)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엑스선이 방출되는 영역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12)의 타켓면(12a)은 텅스턴(W), 구리(Cu), 몰리브덴(Mo), 코발트(Co), 크롬(Cr), 철(Fe), 은(Ag), 탄탈륨(Ta) 또는 이트륨(Y) 등의 타겟 재질로 이루어진 타겟막이 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애노드 전극(12)에 별도의 타겟막이 형성되지 않고 애노드 전극(12) 자체가 텅스턴(W), 구리(Cu), 몰리브덴(Mo), 코발트(Co), 크롬(Cr), 철(Fe), 은(Ag), 탄탈륨(Ta) 또는 이트륨(Y) 등의 타겟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타겟면(12a)에 나노 구조물(12)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가 충돌되면 엑스선이 생성 및 방출된다.
캐소드 전극(13)은 몸체(11) 내부의 제2단부에 애노드 전극(12)과 대향하게 배치되고, 애노드 전극(12)을 향하는 일면에 전자를 방출하는 나노 구조물(13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캐소드 전극(13)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로서 전술한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와 동일한 방향으로 노출된 구조이를 갖는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캐소드 전극(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캐소드 단자 전극을 더 구비하여, 상기 캐소드 단자 전극의 일부가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와 동일한 방향으로 노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한 구성은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는 캐소드 전극(13) 자체의 일부분일 수도 있고, 상기 캐소드 전극(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단자 전극의 일부분일 수도 있다.
캐소드 전극(13)은 도핑된 실리콘(Si) 웨이퍼 또는 전도성이 높은 금속이나 합금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나노 구조물(13a)은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섬유, 나노와이어, 그래핀, 또는 나노다이아몬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현재까지는 전자 방출원을 이루는 나노 구조물로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경우의 전자방출 효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나노 구조물(13a)을 이루는 것으로서 탄소나노튜브는 캐소드 전극(13)의 상부에 직접 성장시켜 형성되거나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를 캐소드 전극(13)의 상부에 도포한 다음 소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를 직접 성장시키는 공정은 캐소드 전극(13) 표면에 촉매 금속 패턴을 형성하고 화학기상증착(CVD)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캐소드 전극(13)에 뾰족하게 돌출된 팁(tip)을 형성하고, 그 표면에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킴으로써 전자 방출원으로서의 나노 구조물(13a)을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소스 장치(10)는 캐소드전극(13)과 애노드전극(12) 사이에 게이트 전극(14)이 추가된 3극 구조나, 게이트 전극(14)과 애노드전극(12)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집속 전극(15)이 더 추가된 4극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엑스선 소스 장치(10)의 몸체(11)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제거하여 고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게터(getter) 전극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게이트 전극(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캐소드 전극(13)의 나노 구조물(13a)에 가깝게 배치된다. 게이트 전극(14)에는 캐소드 전극(13)의 전압보다 높고, 애노드 전극(12)의 전압보다 낮은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나노 구조물(13a)과의 사이에 전계를 형성한다. 이를 통해 상기 나노 구조물(13a)로부터의 전자 방출을 유도함과 동시에 전자의 방출량을 제어한다. 이러한 게이트 전극(14)으로는 메쉬(mesh) 형태의 금속 그리드(grid)가 적용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4)으로서 다수의 상기 나노 구조물(13a)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구멍을 가지는 금속판이 적용될 수도 있다.
집속 전극(15)은 음전하를 띤 전자와 같은 음(-)의 전위로 전기장을 형성하여 나노 구조물(13a)로부터 방출된 전자를 집속하며, 이는 광학계에서 광을 집속하는 광학 렌즈의 역할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 집속 전극(15)은 링(ring) 형상으로서 집속 전극(15)은 알루미늄(Al), 또는 텅스텐(W) 중 어느 하나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표면은 알루미나(Al2O3) 또는 텅스텐 옥사이드(WO3) 중 어느 하나의 절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집속 전극(15)의 형태 및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 전극(14)과 집속 전극(15)은 각각 캐소드 전극(13)과 절연되도록 캐소드 전극(13)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되거나, 캐소드 전극(13) 외부에 형성된 별도의 단자를 통해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는 캐소드 전극(13)과 별도로 캐소드 단자 전극이 마련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엑스선 소스 장치(10)는 몸체(11)의 외면을 감싸는 절연체(20)를 더 포함하며, 몸체(11)가 1차로 절연하면, 절연체(20)가 2차로 절연하여 절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절연체(20)는 실리콘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실리콘 화합물은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에 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폴리염화비닐, 폴리플루오르화 비닐리덴,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공중합체, 플루오르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혼합한 화합물일 수 있다.
엑스선 소스 장치(10)의 전자 방출원으로 나노 구조물(13a), 특히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방출된 전자의 에너지 준위가 낮으므로, 전자가 애노드 전극(12) 측의 타켓면(12a)에 충돌할 때까지 전자를 충분히 가속하기 위하여 캐소드 전극(13)과 애노드 전극(12) 사이에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 이와 같은 큰 전위차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절연체로 절연내력이 높은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로 이루어진 절연체를 사용하는 경우 캐소드 전극과 애노드 전극 사이의 고전압차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엑스선 소스 장치의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0)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소스 장치(10)에 열전도체(30), 차폐층(40), 및 하우징(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열전도체(30)는 애노드 전극(12)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부에 밀착되어 전자가 타겟면(12a)에 충돌함에 따라 애노드 전극(12)에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애노드 전극(12) 외측에 별도의 애노드 단자 전극이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애노드 단자 전극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차폐층(40)은 절연체(20)의 외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형성되며, 납, 텅스텐 또는 실리콘폴리머와 황산바륨을 혼합한 시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폐층(40)을 형성함으로써 엑스선이 윈도우(11a)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방출되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다.
하우징(50)은 세라믹,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 등의 절연재질로 이루어지고, 엑스선 소스 장치 및 차폐층(40)을 감싸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0)의 외관을 형성한다.
하우징(50)에는 제1홀(50a) 및 제2홀(50b)이 형성되어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와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를 각각 노출시킨다. 이들은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와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가 서로 다른 높이에서 동일한 방향을 향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즉,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는 하우징(50) 일 측의 제1홀(50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는 하우징(50)에서 상기 제1홀(50a)과 같은 방향을 향해 다른 깊이로 형성된 제2홀(50b)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제1홀(50a)의 깊이를 t1, 제2홀(50b)의 깊이를 t2라 하면 t1<t2인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제1홀(50a) 및 제2홀(50b)의 넓이는 특별한 제한 없이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의 일부와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가 서로 다른 높이에서 동일한 방향을 향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외부 연결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이러한 구조로 인해 후술하는 엑스선 방출 장치에서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0)를 카트리지 장착부에 끼우는 것만으로 엑스선 소스 장치의 방향을 정렬하고 전기적인 접속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와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는 동일 방향을 향하여 서로 다른 높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절연효과를 높이는 데에도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가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보다 높은 위치에서 노출되나, 캐소드 전극(13)과 애노드 전극(12)의 위치 및 형태 등의 구조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하게 변형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아래쪽에서 본 모습을 보인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는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0)의 하우징(50) 저면에 형성된 제1홀(50a)을 통해 노출되고, 전술한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는 상기 하우징(50) 저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깊게 형성된 제2홀(50b)을 통해 노출된 것을 볼 수 있다.
전술한 게이트 전극(14)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단자부(14T)와 전술한 집속 전극(15)에 연결된 집속 전극 단자부(15T)는 상기 하우징(50)의 저면에서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의 일측에 형성된 별도의 단자 홀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 캐소드 전극(13)을 관통하되 캐소드 전극(13)과 절연되도록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과 동일한 방향으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엑스선 소스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소스 장치(100)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소스 장치(10)와 비교하여, 애노드 전극(12)의 상부에 애노드 단자 전극(121)이 별도로 마련되고, 캐소드 전극(13)의 하부에 돌출된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캐소드 단자 전극(131)이 별도로 마련되고, 이들 사이에 절연체(20)가 개입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애노드 단자 전극(121)의 일부분인 애노드 전극 단자부(121T)와 캐소드 단자 전극(131)의 일부분인 캐소드 전극 단자부는 서로 다른 높이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외부로 노출된 것을 알 수 있다. 캐소드 단자 전극(131)의 형상은 후술하는 외부 연결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형상이라면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하게 변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소드 단자 전극(131)은 상기 캐소드 전극(1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1)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소스 장치(100)에 열전도체(30), 차폐층(40), 및 하우징(50)을 더 포함한다.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0)와 달리 하우징(50) 저면에 애노드 전극 단자부(121T)를 노출시키는 제2홀(50b)만이 형성되고,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캐소드 단자 전극(131)의 일부인 캐소드 전극 단자부(131T)는 돌출된 형상으로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121T)와 동일한 방향으로 외부로 노출된다.
열전도체(30) 및 차폐층(40)에 관한 사항은 상기 도 2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다만, 도 5에서는 열전도체(30)가 하우징(50)의 외부로 노출되어 방열효율을 높인다는 점에 차이가 있는데, 이는 도 2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도 5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아래쪽에서 본 모습을 보인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1)의 하우징(50) 저면을 통해 다수의 캐소드 전극 단자부(131T)가 노출되어 있으며, 게이트 전극 단자부(14T) 및 집속 전극 단자부(15T)도 그 주변으로 노출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때, 외부로 드러나는 것은 아니나 상기 게이트 전극(14)과 집속 전극(15)은 캐소드 전극(13) 및 캐소드 단자 전극(131)과 각각 절연되며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 단자부(14T) 및 집속 전극 단자부(15T)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이용한 엑스선 방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이용한 엑스선 방출 장치(701)(이하, 엑스선 방출 장치라 한다.)에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0)가 장착되고, 이로부터 발생된 엑스선이 피검체에 조사된다. 카트리지 장착부(700)의 구성에 따라서는 상기 도 2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0) 대신 도 5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1)가 장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방출 장치는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0)와 본체(701)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701)는 상기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0)가 결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700)를 구비한다. 엑스선 소스 장치(600)는 상기 본체(701)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입력 신호를 받고, 전계방출 등의 결과로 발생된 엑스선을 상기 윈도우(11a)를 통해 방출한다. 상기 본체(701)는 상기 윈도우(11a)에 대응되는 윈도우 대면부(751)를 가져, 방출된 엑스선이 전방으로 조사되도록 한다. 한편, 나노 구조물로 이루어진 전자 방출원의 수명이 다하여 상기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0)의 기능이 저하되면, 간단하게 새로운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0)로 교체할 수 있다.
상기 본체(701)의 카트리지 장착부(700)는 상기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700a)을 갖는다. 상기 수용공간(700a)의 내측에는 상기 제1홀(50a)에 대응되는 제1연결구조(710)와 상기 제2홀(50b)에 대응되는 제2연결구조(720)가 마련된다. 상기 제1연결구조(710)의 상단에는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와 접속되는 제1연결단자부(711T)가 배치되고, 상기 제2연결구조(720)의 상단에는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와 접속되는 제2연결단자부(721)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공간(700a)의 내측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게이트 전극 단자부 및 집속 전극 단자부에 대응되는 제3연결단자부 및 제4연결단자부도 마련될 수 있다.
도 8은 상기 도 2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가 그에 대응되는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와 (a)분리된 상태 및 (b)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다.
도 8(a)는 상기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0)와,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에서 상기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0)가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700)을 보인다.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0)의 구성에 관해서는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의 카트리지 장착부(700)는 캐소드 전극(130)과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제1연결단자부(711T)가 형성된 제1연결구조(710)와 애노드 전극(120)과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외부 전극으로서 제2연결전극(721)이 형성된 제2연결구조(720)를 포함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연결구조(710, 720)는 제1 연결단자부(711T) 및 제 2 연결단자부(721)이 각각의 상면에 형성되고 서로 다른 높이로 동일 방향을 향하는 기둥 또는 돌기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연결구조(710)와 제2연결구조(720)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연결구조(710)와 제2연결구조(720)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2연결단자부(721)이 형성된 제2연결구조(720)의 높이가 제1연결단자부(711T)가 형성된 제1연결구조(710)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높이에서 동일방향을 향해 외부로 노출된 캐소드 전극(130) 및 애노드 전극(120)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제1연결구조(710)와 제2연결구조(720) 중 적어도 하나와 엑스선 소스 장치의 제1홀(50a)과 제2홀(50b) 중 적어도 하나에는 서로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끼움돌기와 끼움홈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엑스선 소스 장치(600)는 제1홀(50a)에 삽입된 제1연결구조(710) 및 제2홀(50b)에 삽입된 제2연결구조(720)를 통하여 카트리지 장착부(700)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캐소드 전극 단자부(130T)는 제1연결단자부(711T)와 애노드 전극 단자부(120T)는 제2연결단자부(721)와 각각 연결됨에 따라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0)은 카트리지 장착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1연결구조(710) 및 제2연결구조(720)는 높이가 서로 다르므로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0)의 체결방향을 쉽게 알 수 있고, 장착하는 동작 자체로 방향이 정렬되며, 제1연결 전극(711)과 제2연결 전극(721)은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이격되어 있으므로 절연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0)는 카트리지 장착부(700)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엑스선 소스 장치의 전자 방출원을 이루는 나노 구조물의 수명이 다하면 새로운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로 교체가 가능하여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9는 상기 도 5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가 그에 대응되는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와 (a)분리된 상태 및 (b)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다.
도 9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1)가 구비된 엑스선 발생 장치는 도 8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카트리지 장착부(700)의 제1연결구조(710)의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된 점에 차이가 있다. 이는 제1연결구조(710)가 체결될 캐소드 전극 단자부(131T)가 양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제1연결구조(710)의 형상뿐만 아니라 제2연결구조(720)의 형상은 서로 대응되는 캐소드 전극 단자부(131T)와 애노드 전극 단자부(121T) 또는 그 주변부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보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2)는 내부 구성 측면에서는 상기 도 2 또는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들(600, 601)과 같거나 유사할 수 있다. 다만, 하우징(50) 외부로 드러나는 단자들의 배치, 크기 및 형상 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2a)의 하우징(50) 저면(54)에는 캐소드 전극 단자부(132T)를 노출시키는 제1홀(52a)과 애노드 전극 단자부(122T)를 노출시키는 제2홀(52b)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홀(52a)과 제2홀(52b)은 모양과 깊이는 서로 같고,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2a)가 장착될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의 카트리지 장착부에는 상기 제1홀(52a) 및 제2홀(52b)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연결구조가 구비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2a)를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에 장착할 때 각각의 홀(52a, 52b) 크기에 맞는 연결구조를 찾아 맞추는 것만으로, 장치의 정렬과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캐소드 전극 단자부(132T)와 애노드 전극 단자부(122T)를 서로 혼동하여 장착하는 착오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의 저면(54)에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언급된 게이트 전극 단자부(14T) 및 집속 전극 단자부(15T)도 노출될 수 있는데, 이들의 위치, 모양 및 크기에 대한 별다른 제약은 없다. 이점은 이하에서 도 10b 및 도 10c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2b)의 하우징(50) 저면(54)에는 캐소드 전극 단자부(133T)를 노출시키는 제1홀(53a)과 애노드 전극 단자부(123T)를 노출시키는 제2홀(53b)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홀(53a)과 제2홀(53b)은 깊이는 서로 같으나, 모양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홀(53a)과 캐소드 전극 단자부(133T)는 원형으로, 제2홀(53b)과 애노드 전극 단자부(123T)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2b)를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에 장착할 때 각각의 홀(53a, 53b) 모양에 맞는 연결구조를 찾아 맞추는 것만으로, 장치의 정렬과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0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2c)의 하우징(50) 저면(54)에는 캐소드 전극 단자부(134T)와 애노드 전극 단자부(124T)를 포함하는 전극 단자부 그룹(TG)이 상기 하우징(50)의 중심축(C)으로부터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2c)를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에 장착할 때, 상기 전극 단자부 그룹(TG)을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134T) 및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124T)에 각각 대응되는 제1 및 제2 연결단자부를 포함하여 그에 대응되는 연결단자부 그룹에 맞추는 것으로 장치의 정렬과 전기적 접속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장착 시의 결합 방향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구조물(55)을 하우징(50)의 저면(54)에 인접하게 설치하여, 더 정확하게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보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5a, 605b, 605c)는 내부 구성 측면에서는 상기 도 2 또는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들(600, 601)과 같거나 유사할 수 있다. 다만, 하우징(50) 외부로 드러나는 단자들의 배치, 크기 및 형상 등에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5a, 605b, 605c)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0)은 외관을 형성하는 다수의 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와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는 각각 상기 다수의 면 중 서로 다른 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은 전체적으로 상면(53)과 저면(54) 그리고 측면(56)을 갖는 원통 형상을 띨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와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는 각각 상기 상면(53)과 상기 저면(5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먼저,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5a)에서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는 상기 하우징(50)의 상면(53)을 통해 노출된다. 상기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내부 구조를 참고하면, 엑스선 소스 장치(605a) 내부에서 애노드 전극이 상부에 위치하므로 그 일부 또는 그와 연결된 단자 전극을 상기 상면(53)을 통해 노출하는 것이 고전압의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경로를 짧게 하는 데에 유리하다. 한편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는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와 반대편인 상기 하우징(50)의 저면(54)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이때, 게이트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게이트 전극 단자부(14T)와 집속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집속전극 단자부(15T)는 상기 상면(53)과 상기 저면(54)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이들의 배치는 도 11의 (a)에 도시된 것과 반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5a)를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에 장착함에 있어서, 윈도우(11a)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면(53)과 저면(54)만 구분하여 장착하면 상기 게이트 전극 단자부(14T)와 상기 집속전극 단자부(15T)를 각각에 대응되는 연결단자에 접촉시키는 것만으로도 상기 윈도우(11a)가 향하는 방향을 정렬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5b)에서 전술한 게이트 전극 단자부(14T)와 집속 전극 단자부(15T) 모두 하우징(50)의 저면(54)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원통 형상인 상기 하우징(50)의 측면(56)에는 그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그 장착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구조물(55)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도면 및 이하의 도면에 도시된 가이드 구조물(55)은 모두 돌출된 형태이나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가이드 구조물(55)이 마련된 경우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의 카트리지 장착부에도 그에 대응되는 구조물이 필요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11의 (c)를 참조하면,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5c)에서 그 상면(53)으로 노출된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가 상기 상면(53)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된 돌기구조(53p)를 포함한다. 나머지 전극 단자부들(13T, 14T, 15T) 및 가이드 구조물(55)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도 11의 (b)의 엑스선 소스 장치(605b)와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상면(53)과 저면(54)의 구별을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보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6a, 606b)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0) 역시 원통형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와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상면과 상기 저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상면과 저면에 교차하는 방향인 상기 측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데, 일 예로서 상기 하우징(50)의 상면(53)을 통해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가 노출되고,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는 그 측면(56)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50)의 저면(54)에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언급된 게이트 전극 단자부(14T) 및 집속 전극 단자부(15T)도 노출될 수 있는데, 이들의 위치, 모양 및 크기에 대한 별다른 제약은 없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가 원통형 하우징(50)의 측면(56)에 노출되어 있는데,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6a)를 본체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할 때,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13T)의 방향을 맞추는 것으로 그 윈도우(11a)의 방향을 정렬하고, 게이트 전극 단자부(14T) 및 집속전극 단자부(15T)의 전기적 연결도 확보할 수 있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측면(56)에 전술한 가이드 구조물(55)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구조물(55)의 일부분에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구조물(55)는 카트리지 장착 방향을 안내함과 동시에 전기적 접속을 확보하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보인다.
상기 도 13은 엑스선 소스 장치(607a, 607b, 607c)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와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가 원통형 하우징(50)의 측면(56)을 통해 노출된 예들을 보인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7a)의 하우징(50) 측면(56)에는 상부에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가 노출되고, 하부에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가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이트 전극 단자부(14T)와 상기 집속 전극 단자부(15T) 역시 상기 측면(56)에 노출될 수 있는데, 이들의 위치에 대한 제약은 없으나,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보다는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내부 구조상으로나 전기적 절연성 확보 측면에서 유리하다.
도 13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측면(56)에 상기 도 11의 (b)를 참조하여 전술한 가이드 구조물(5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c)를 참조하면, 상기 도 12의 (b)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를 상기 가이드 구조물(55)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와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가 원통 형상인 하우징(50)의 중심축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상기 도 10a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와 호환되는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의 실시예를 보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702)는 상기 도 10a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2a)가 결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762)를 구비한다. 엑스선 소스 장치(602a)는 상기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702)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입력 신호를 받고, 전계방출 등의 결과로 발생된 엑스선을 상기 윈도우를 통해 방출한다. 상기 본체(702)는 상기 윈도우에 대응되는 윈도우 대면부(751)를 가져, 방출된 엑스선이 전방으로 조사되도록 한다.
상기 본체(702)의 카트리지 장착부(762)는 그 바닥면(772)에 제1연결단자부(732T)와 제2연결단자부(722T)를 갖는다. 상기 제1 및 제2연결단자부(732T, 722T)는 상기 도 10a의 캐소드 전극 단자부(132T) 및 애노드 전극 단자부(122T)에 각각 대응된다. 즉, 전술한 엑스선 소스 장치(602a)에 대하여 서로 같은 방향 및 서로 같은 높이에서 각각 대응되는 전극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배치 및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바닥면(772)에는 전술한 엑스선 소스 장치의 게이트 전극 단자부와 집속전극 단자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제3 연결단자부(714T) 및 제4 연결단자부(715T)도 배치될 수 있다.
도 15는 상기 도 14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에서 카트리지 장착부의 다양한 예를 보인다.
먼저, 도 15의 (a)는 상기 도 14에 도시된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702)의 카트리지 장착부(762)를 보이는데, 그 바닥면(772)에서 전방의 엑스선 방출 경로(770)에 가까운 쪽에 전술한 제1 연결단자부(732T)가 배치되고, 그 반대쪽에 전술한 제2 연결단자부(722T)가 배치된다. 상기 제1 연결단자부(732T)는 그 모양은 원형으로 공통되나, 그 평면적인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서 상기 제2 연결단자부(722T)와 쉽게 구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연결단자부(732T)와 상기 제2 연결단자부(722T)는 상기 바닥면(772)으로부터 약간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전술한 상기 도 10a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2a)에 형성된 홀(52a, 52b) 들의 크기에 각각 대응되게 돌출된 제1 및 제2 연결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연결단자부(714T) 및 제4 연결단자부(715T)에 대해서는 상기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702)는 상기 엑스선 방출 경로(770) 상에 콜리메이터(77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콜리메이터(771)는 전술한 엑스선 소스 장치의 윈도우를 통해 방출된 엑스선 빔의 조사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5의 (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다른 본체(702b)는 그 카트리지 장착부(762b)의 바닥면(772b)에 서로 모양이 다른 제1 연결단자부(733T)와 제2 연결단자부(723T)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연결단자부(733T)는 원형이고, 제2 연결단자부(723T)는 사각형일 수 있는데, 이는 비제한적인 하나의 예로서 상기 도 10b에 도시된 엑스선 소스 장치(602b)에 대응되는 것이다. 엑스선 소스 장치 바닥면의 캐소드 전극 단자부 및 애노드 전극 단자부의 모양에 대응되는 것이면 어떠한 모양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바닥면(772b)에는 전술한 엑스선 소스 장치의 게이트 전극 단자부와 집속전극 단자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제3 연결단자부(714T) 및 제4 연결단자부(715T)도 배치될 수 있다.
도 15의 (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다른 본체(702c)는 그 카트리지 장착부(762c)의 바닥면(772c)에 그 모양과 크기가 서로 같은 제1 연결단자부(734T)와 제2 연결단자부(724T)를 가질 수 있다. 이들은 제3 및 제4 연결단자부(714T, 715T)와도 그 모양과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4 연결단자부(734T,724T,714T,715T)는 전술한 도 10c의 엑스선 소스 장치(602c)의 전극 단자부 그룹(TG)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닥면(772c)의 중심으로부터 어느 한쪽으로, 예컨대 엑스선 조사 경로(770)의 반대쪽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장착부(762c)의 측벽(782) 중 일부분에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 장착 시의 결합 방향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구조물(755)을 상기 바닥면(772c)에 인접하게 설치하여, 더 정확하게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구조물(755)은 전술한 엑스선 소스 장치(602c)의 가이드 구조물(55)에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도 16은 상기 도 11 (a)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와 호환되는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의 실시예를 보인다.
도 16 및 도 11 (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705)는 전술한 도 11 (a)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5a)를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카트리지 장착부(765)를 갖는다.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765)의 상부에는 그 위를 덮는 덮개부(765d)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765d)는 상기 본체(705)와 힌지 결합되어 개폐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카트리지 장착부(765)의 바닥면(775)에는 상기 엑스선 소스 장치(605a)의 저면에 배치된 캐소드 전극 단자부 및 게이트 전극 단자부에 대응되는 제1 연결단자부(713T) 및 제3 연결단자부(714T)가 배치되고, 상기 덮개부(765d)에 상기 엑스선 소스 장치(605a)의 상면에 배치된 애노드 전극 단자부 및 집속전극 단자부에 대응되는 제2 연결단자부(712T) 및 제4 연결단자부(715T)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단자부 들의 배치 형태는 엑스선 소스 장치(605a)의 전극 단자부들이 상면과 저면에 배치된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도 11 (b) 또는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구조물(55)을 갖는 엑스선 소스 장치(605b,605c)와의 호환성을 위해서는,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765)의 측벽에 장착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구조물(785)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구조물(785)는 일 예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은 상기 도 11 (a) 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와 호환되는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다.
도 17 및 도 11 (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705a)는 그 배면, 즉 엑스선 조사 경로의 반대쪽에 오목한 홈 형태의 카트리지 장착부(765a)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765a)에는 일 예로 상기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엑스선 소스 장치(605a)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엑스선 소스 장치(605a)는 그 상면과 저면에 각각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와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765a)의 상단과 하단에도 역시 이들에 대응되도록 각각 제2 연결단자부(712T) 및 제1 연결단자부(713T)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765a)에는 엑스선 소스 장치(605a)의 윈도우(11a)에 대응되는 윈도우 대면부(751)가 마련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게이트 전극 단자부와 집속전극 단자부에 대응되는 제3 및 제4 연결단자부 역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765a)에 마련된다.
도 18은 도 12 (b)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와 호환되는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의 실시예를 보인다.
도 18 및 도 12 (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706)는 전술한 도 12 (b)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6b)를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카트리지 장착부(766)를 갖는다.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766)의 상부에는 전술한 도 16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그 위를 덮는 덮개부(765d)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765d) 역시 상기 본체(706)와 힌지 결합되어 개폐될 수도 있다.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766)의 측벽에는 카트리지형의 엑스선 소스 장치(606b)의 가이드 구조물(55)에 맞물려 카트리지 장착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구조물(786)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구조물(786)은 일 예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766)의 가이드 구조물(786) 아래쪽에는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에 대응되는 제1 연결단자부(713T)가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 장착부(766)의 바닥면(776)에는 상기 엑스선 소스 장치(606b)의 저면에 배치된 게이트 전극 단자부(14T) 및 집속전극 단자부(15T)에 대응되는 제3 연결단자부(714T) 및 제4 연결단자부(715T)가 배치되고, 상기 덮개부(765d)의 안쪽에 상기 엑스선 소스 장치(606b)의 상면에 배치된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에 대응되는 제2 연결단자부(712T)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단자부 들의 배치 형태는 엑스선 소스 장치(606b)의 전극 단자부들이 상면과 저면 및 측면에 배치된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9는 도 13 (b)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와 호환되는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의 실시예를 보인다.
도 19 및 도 13 (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707)는 전술한 도 13 (b)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7b)를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카트리지 장착부(767)를 갖는다.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767)의 상부는 오픈되고, 그 측면(796)에는 상기 도 16 또는 도 18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구조물(78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796)에 캐소드 전극 단자부(13T) 및 애노드 전극 단자부(12T)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연결단자부(713T) 및 제2 연결단자부(712T)가 배치되고, 게이트 전극 단자부(14T) 및 집속전극 단자부(15T)에 대응되는 제3 및 제4 연결단자부(714T, 715T)도 상기 측면(796)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단자부 들의 배치 형태가 상기 엑스선 소스 장치(607b)의 전극 단자부들의 배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0은 다수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가 장착되는 엑스선 방출 장치의 실시예를 보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방출 장치(708)에는 다수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0)가 동시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엑스선 방출 장치(708)는 일 예로서 리볼버 권총에 탄알을 장전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다수의 엑스선 소스 장치(600)가 장착되는 회전식 로더(loader)(77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식 로더(778)는 다수의 카트리지 장착부(788)를 가지고, 실린더형 공간(768) 내에서 회전축(798)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식 로더(778)는 선택된 하나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0)의 윈도우(11a)가 엑스선 조사경로(770)에 정렬되면,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회전시킬 때까지 일시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엑스선 조사경로(770)에는 엑스선 조사범위를 조절하는 콜리메이터(77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사용중이던 엑스선 소스 장치(600)에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회전식 로더(778)를 돌려 즉시 새로운 엑스선 소스 장치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엑스선 소스 장치(600)의 외형 및 전극 단자부 배치 형태와 그에 대응되는 카트리지 장착부(788)의 수용공간 형상 및 연결단자부 배치 형태는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21은 다수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가 장착되는 엑스선 방출 장치의 실시예를 보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방출 장치(709)에는 다수의, 예컨대 두 개의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600a, 600b)가 동시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동시에 장착되는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의 수만큼 카트리지 장착부(769a, 769b)가 마련된다. 상기 두 엑스선 소스 장치(600a, 600b)는 각각 그 윈도우(11a)가 엑스선 조사 경로(770)를 향하도록 장착되는데, 상기 엑스선 조사 경로(770) 내에는 멀티 콜리메이터(78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멀티 콜리메이터(781)는 상기 두 엑스선 소스 장치(600a, 600b)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또는 양쪽으로부터 방출된 엑스선이 상기 엑스선 조사 경로(770)를 통해 소정의 조사 범위에 조사될 수 있도록 조절한다.
한편, 상기 엑스선 방출 장치(709)에는 상기 두 엑스선 소스 장치(600a, 600b) 중 어느 한쪽을 선택적으로 구동하거나, 양쪽을 동시에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9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799)는 전술한 멀티 콜리메이터(781)와도 연결되어 이들이 연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99)는 이러한 기능 외에도 기본적으로 엑스선 소스 장치의 각각의 전극 단자부에 인가할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각각의 연결단자부에 제공한다.
이상에서 전극 단자부 및 연결단자부는 도전체인 전극 단자와 연결단자뿐만 아니라 그 주변의 돌출 되거나 오목한 형상을 갖는 구조를 함께 지칭하는 것으로, 전극 단자부와 연결단자부가 서로 대응된다는 것은 그 위치와 높이, 크기 및 모양 등이 도전체인 전극 단자와 연결단자가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갖춰진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방출 장치 본체는 전원공급부와 제어부 등을 포함한다. 전원공급부는 내장 또는 외장의 배터리를 포함하거나, 외부 전원을 기기에서 활용 가능하게 변환하는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기본적으로 엑스선 소스 장치의 각각의 전극 단자부에 인가할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각각의 연결단자부에 제공한다.
10, 100: 엑스선 소스 장치
11: 몸체 20: 절연체
12: 애노드 전극 121: 애노드 단자 전극
12T, 121T: 애노드 전극 단자부 12a: 타겟면
13: 캐소드 전극 131: 캐소드 단자 전극
13T, 131T: 캐소드 전극 단자부 13a: 나노 구조물
14: 게이트 전극 14T: 게이트 전극 단자부
15: 집속 전극 15T: 집속 전극 단자부
30: 열전도체 40: 차폐층
50: 하우징 55: 가이드 구조물
600,601,605a~c, 606a~b, 607a~c: 엑스선 소스 장치
700: 카트리지 장착부 701: 엑스선 방출 장치
710: 제1연결구조 720: 제2연결구조

Claims (10)

  1. 엑스선 방출 장치로서,
    엑스선 소스가 카트리지 타입으로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를 제공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엑스선 소스는,
    전자 방출원이 구비된 캐소드 전극;
    전자의 충돌에 의해 엑스선을 방출하는 타겟이 구비된 애노드 전극; 및
    상기 캐소드 전극과 상기 애노드 전극을 서로 대향되게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절연하고, 상기 캐소드 전극과 상기 애노드 전극에 각각 연결되는 캐소드 전극 단자부와 애노드 전극 단자부를 제공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와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엑스선 소스의 장착 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와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에 각각 대응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와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 높이, 크기, 모양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엑스선 방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와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는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해 서로 다른 높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엑스선 방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와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외부로 노출되는,
    엑스선 방출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다수의 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와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는 각각 상기 다수의 면 중 서로 다른 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엑스선 방출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와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외부로 노출되는,
    엑스선 방출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전극 단자부와 상기 캐소드 전극 단자부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외부로 노출되는,
    엑스선 방출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동시에 다수의 상기 엑스선 소스가 장착되도록 다수의 상기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엑스선 소스 중 선택된 하나가 상기 본체의 엑스선 조사 경로에 정렬되는,
    엑스선 방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다수의 장착부가 마련된 회전식 로더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식 로더의 방향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엑스선 소스가 엑스선 조사 경로에 정렬되는,
    엑스선 방출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동시에 다수의 상기 엑스선 소스가 장착되는 다수의 상기 장착부; 및
    상기 다수의 엑스선 소스로부터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방출된 엑스선 빔이 엑스선 조사 경로를 통해 소정의 범위에 조사되도록 조절하는 멀티 콜리메이터를 포함하는,
    엑스선 방출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엑스선 소스가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엑스선을 방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엑스선 방출 장치.
KR1020140121099A 2014-04-01 2014-09-12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이용한 엑스선 방출 장치 KR102316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3266 WO2015152640A1 (ko) 2014-04-01 2015-04-01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방출장치
US15/301,469 US11039525B2 (en) 2014-04-01 2015-04-01 Cartridge-type X-ray source apparatus and X-ray emission apparatus using same
EP15772475.8A EP3128532B1 (en) 2014-04-01 2015-04-01 Cartridge-type x-ray source apparatus and x-ray emission apparatus using same
CN201580028998.9A CN106463319B (zh) 2014-04-01 2015-04-01 筒式x射线源装置和使用它的x射线发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499 2014-04-01
KR20140038499 2014-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367A KR20150114367A (ko) 2015-10-12
KR102316133B1 true KR102316133B1 (ko) 2021-10-22

Family

ID=5434709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145A KR20150114368A (ko) 2014-04-01 2014-09-12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엑스선 소스 장치 및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이용한 엑스선 방출 장치
KR1020140121083A KR20150114366A (ko) 2014-04-01 2014-09-12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엑스선 소스 장치 및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이용한 엑스선 방출 장치
KR1020140121099A KR102316133B1 (ko) 2014-04-01 2014-09-12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이용한 엑스선 방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145A KR20150114368A (ko) 2014-04-01 2014-09-12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엑스선 소스 장치 및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이용한 엑스선 방출 장치
KR1020140121083A KR20150114366A (ko) 2014-04-01 2014-09-12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엑스선 소스 장치 및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이용한 엑스선 방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39525B2 (ko)
EP (1) EP3128532B1 (ko)
KR (3) KR20150114368A (ko)
CN (1) CN10646331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08301A (ko) 2022-12-30 2024-07-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배열 엑스레이장치
KR20240108300A (ko) 2022-12-30 2024-07-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엑스레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4315B (zh) * 2018-03-22 2022-02-11 宁波蓝野医疗器械有限公司 髙频便携式口腔x射线机
US10910190B2 (en) * 2019-01-10 2021-02-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X-ray tube
EP3742468A1 (de) * 2019-05-20 2020-11-25 Siemens Healthcare GmbH Dosismodulation
KR102330120B1 (ko) * 2021-01-28 2021-11-23 어썸레이 주식회사 식물에 전자기파를 조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9449A (ja) * 2010-09-30 2012-04-19 Canon Inc X線管の製造方法、及びx線管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97356C (de) 1929-03-10 1930-05-12 C H F Mueller Akt Ges Wechselvorrichtung fuer Roentgenroehren
FR2622757B1 (fr) * 1987-10-30 1989-12-08 Thomson Cgr Dispositif emetteur de rayons x de type compact
JPH0729487A (ja) 1993-07-12 1995-01-31 Toshiba Corp X線管の組立方法
JP4762436B2 (ja) 2001-05-16 2011-08-31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カソードユニット及び開放型x線発生装置
JP2006086001A (ja) 2004-09-15 2006-03-30 Shimadzu Corp X線管装置
KR100702148B1 (ko) 2004-12-30 2007-03-30 한국전기연구원 단층영상과 입체 표면영상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엑스선단층 촬영장치
KR100711186B1 (ko) * 2005-10-07 2007-04-24 한국전기연구원 탄소나노튜브를 전계방출원으로 이용한 분해ㆍ조립이가능한 엑스선관
US9259291B2 (en) 2007-10-03 2016-02-16 Cyber-Implants, LLC Assisted dental implant treatment and replication system
US20100036233A1 (en) 2008-08-08 2010-02-11 Michigan State University Automatic Methods for Combining Human Facial Information with 3D Magnetic Resonance Brain Images
KR101068680B1 (ko) 2010-02-03 2011-09-29 한국과학기술원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
JP5645449B2 (ja) * 2010-04-14 2014-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X線源及びx線撮影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9449A (ja) * 2010-09-30 2012-04-19 Canon Inc X線管の製造方法、及びx線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08301A (ko) 2022-12-30 2024-07-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배열 엑스레이장치
KR20240108300A (ko) 2022-12-30 2024-07-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엑스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39525B2 (en) 2021-06-15
KR20150114368A (ko) 2015-10-12
CN106463319B (zh) 2018-09-28
KR20150114367A (ko) 2015-10-12
US20170111984A1 (en) 2017-04-20
KR20150114366A (ko) 2015-10-12
EP3128532A1 (en) 2017-02-08
CN106463319A (zh) 2017-02-22
EP3128532A4 (en) 2017-11-29
EP3128532B1 (en)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6133B1 (ko)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이용한 엑스선 방출 장치
US8295440B2 (en) Super miniature X-ray tube using NANO material field emitter
US20190221398A1 (en) Electron emitting construct configured with ion bombardment resistant
US11183357B2 (en) MBFEX tube
KR101876076B1 (ko) 디지털 광원장치
KR20160118637A (ko) 전계 방출 엑스선 소스 장치
KR20140106291A (ko) 평판형 엑스선 발생기를 구비한 엑스선 영상 시스템, 엑스선 발생기 및 전자 방출소자
KR101986413B1 (ko) 전자방출 소스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엑스레이 소스
KR102047436B1 (ko) 엑스레이 소스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엑스레이장치
WO2011052971A2 (ko) 탄소나노튜브 실을 이용한 엑스레이 발생 장치
JP2005243331A (ja) X線管
CN101523543A (zh) 具有由吸气材料制成的离子偏转和收集设备的x射线管
JP2020526867A (ja) 小型電離放射線源
JP2020526866A (ja) 電離放射線を生成するための小型放射源、複数の放射源を含むアセンブリ及び放射源を製造するためのプロセス
KR101837593B1 (ko)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x-선 튜브를 이용한 켈로이드 및 피부암 치료용 x-선 근접 치료 시스템
KR102131665B1 (ko) 듀얼 엑스레이 소스유닛 및 듀얼 엑스레이장치
WO2015152640A1 (ko)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방출장치
KR20160102748A (ko) 전계 방출 엑스선 소스 장치
KR20160089123A (ko)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749858B1 (ko) 일체형 디지털 광원장치
US10147581B2 (en) X-ray tube including hybrid electron emission source
KR102646636B1 (ko)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
KR102136062B1 (ko) 전계 방출형 토모신테시스 시스템
KR102646635B1 (ko)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
KR101971653B1 (ko) 환부 삽입용 x-선 튜브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x-선 근접 치료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