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978B1 - 회전 구동에 의해 수신부를 삽입하는 보청기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구동에 의해 수신부를 삽입하는 보청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4978B1 KR102314978B1 KR1020200055673A KR20200055673A KR102314978B1 KR 102314978 B1 KR102314978 B1 KR 102314978B1 KR 1020200055673 A KR1020200055673 A KR 1020200055673A KR 20200055673 A KR20200055673 A KR 20200055673A KR 102314978 B1 KR102314978 B1 KR 1023149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ring aid
- aid device
- user
- housing
- connect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3—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7—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ear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장치(hearing aid device)는 외부 소리 신호를 증폭함으로써 증폭된 소리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signal processing unit)를 수용하고, 사용자의 귓바퀴(auricle)에 착용 가능한 하우징; 하우징이 귓바퀴에 착용되는 동안 사용자의 외이도(ear canal)의 중심 축에 수직하게 정렬되는 회전 축(rotation axis)을 기준으로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부재(connection member); 및 증폭된 소리 신호를 연결 부재를 통해 수신하고, 증폭된 소리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부(re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하, 회전 구동에 의해 수신부를 삽입하는 보청기 장치에 관한 기술이 제공된다.
고령화 등의 이유로 국내 난청 인구는 연평균5%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다. 난청 인구의 증가에 따라 보청기의 이용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기존에는 환자 개개인의 귀 형상에 맞춰서 제작되는 '고막형' 또는 '귓속형' 타입의 보청기가 주로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보청기 장치를 귀 뒤쪽에 걸고 보청기의 수신부를 외이도에 위치시키는 '오픈형' 또는 '귀걸이형' 보청기의 성장세가 뚜렷하다. 귀걸이형 보청기의 경우 수신부가 기존의 장치에 비해 작지만 나머지 부분(예를 들어, 본체 하우징 등)의 폼 팩터가 커서 배터리 용량, 및 음향 출력 세기 등에서 고막형 보청기 및 귓속형 보청기에 비해 개선되는 강점이 있다. 수신부가 직접 피부에 닿지 않아 이물감이 적고 귀지 및 되울림에 의한 영향이 적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그러나 귀걸이형 보청기는 다른 타입의 보청기에 비해 수신부의 크기가 작으므로, 고령이거나 손떨림, 근력감소, 어깨 통증 등에 시달리는 환자는 귀걸이형 보청기의 수신부를 정확한 위치(예를 들어, 외이도)에 배치하는 행위를 수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경우 가족 등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초래되고, 더 나아가 타인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는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귀걸이형 보청기의 수신부를 올바른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장치는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이도에 수신부를 삽입 및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장치는 사용자의 귀 형상에 따른 치수를 갖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장치는 연결 부재에 대해 가변 가능한 회전 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장치(hearing aid device)는 외부 소리 신호를 증폭함으로써 증폭된 소리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signal processing unit)를 수용하고, 사용자의 귓바퀴(auricle)에 착용 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이 상기 귓바퀴에 착용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의 외이도(ear canal)의 중심 축에 수직하게 정렬되는 회전 축(rotation axis)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부재(connection member); 및 상기 증폭된 소리 신호를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증폭된 소리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부(re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청기 장치가 착용될 시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마주하는 제1 측면; 및 상기 보청기 장치가 착용될 시 상기 사용자의 상기 귓바퀴의 뒤를 마주하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축은, 상기 제1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평행하는 평면 및 상기 제2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평행하는 평면과 교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청기 장치가 착용되는 동안 상기 귓바퀴의 이륜각(crus of helix)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연결 부재를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 관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회전 관절을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회전 관절의 회전 구동을 제공 가능한 전기 모터 및 회전 구동을 위한 복원력을 제공 가능한 태엽 구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회전 축을 따라 연장하는 제1 파트; 상기 제1 파트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회전 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상기 회전 축에 교차하는 축을 따라 연장하는 제2 파트; 및 상기 제2 파트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평면에 교차하는 축을 따라 연장하여 상기 수신부와 연결되는 제3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수신부가 상기 외이도에 삽입된 동안, 이륜각(crus of helix) 및 이주(tragus)에 인접하게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에서 상기 제1 파트, 상기 제2 파트, 및 상기 제3 파트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는 상기 사용자의 귀 형상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 간의 제1 절곡 각도, 및 상기 제2 파트와 상기 제3 파트 간의 제2 절곡 각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사용자의 귀 형상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보청기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일측 귀에 착용되는 동안,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회전 축을 기준으로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수신부를 상기 사용자의 일측 귀의 외이도에 삽입하고, 상기 보청기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일측 귀에 착용되는 동안,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회전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수신부를 상기 외이도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연결 부재의 가동 동안 상기 사용자의 이주와 중첩하지 않는 궤적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회전 축 및 상기 하우징 간의 각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정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보청기 장치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의 가동 범위는, 상기 보청기 장치가 착용될 시 상기 회전 축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반대편에 대응하는 공간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에서 상기 하우징에 인접한 제1 부분의 강성 및 상기 수신부에 인접한 제2 부분의 강성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장치는 외이도에 수직하는 회전 축을 기준으로 연결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정교한 조작 없이 정확하고 편리하게 사용자의 외이도에 수신부를 삽입 및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장치는 사용자의 귀 형상에 따른 치수를 갖는 연결 부재를 통해, 해당 사용자에 최적화된 보청기 삽입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장치는 연결 부재에 대해 가변 가능한 회전 축을 통해 해당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보청기 삽입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장치의 예시적인 형상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장치의 구동을 도시한다.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는 착용 상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장치의 구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8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장치의 가변 회전 축을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장치의 예시적인 형상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장치의 구동을 도시한다.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는 착용 상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장치의 구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8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장치의 가변 회전 축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장치(100)는 하우징(110), 연결 부재(120), 및 수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보청기 장치(100)의 본체(main unit)를 수용하고, 연결 부재(120)를 통해 수신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사용자의 귓바퀴에 착용될 수 있는 형상(예를 들어, 귀걸이형(BTE, behind the ear) 타입 형상)으로서,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밑면이 착용시 사용자의 귓바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10)은 본체로서 신호 처리부(160)를 수용할 수 있고, 입력부(150) 및 회전 관절부(1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신호 처리부(160)(signal processing unit)는 외부 소리 신호를 증폭함으로써 증폭된 소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160)는 외부 소리를 검출하는 마이크로폰, 검출된 외부 소리로부터 대상 소리 신호(예를 들어, 음성 대역의 소리 신호)를 추출하는 마이크로칩, 추출된 대상 소리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신호 처리부(160)를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50)는 보청기 장치(100)를 개폐하라는 조작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귓바퀴에 착용된 보청기 장치(100)는 닫힘 상태에서 수신부(130)를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할 수 있다. 보청기 장치(100)는 닫힘 상태로부터 열림 상태로 전환하면서, 삽입됐던 수신부(130)를 뽑을 수 있다. 닫힘 상태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보청기 장치(100)에서 수신부(130)가 외이도에 대응하는 위치로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열림 상태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보청기 장치(100)에서 수신부(130)가 외이도 이외의 위치로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회전 관절부(140)는 연결 부재(12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관절부(140)는 연결 부재(120)가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 부재(120)와 결합될 수 있다. 회전 관절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연결 부재(120)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회전 축을 기준으로 연결 부재(120)가 회전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회전 관절부(140)의 회전 각도 범위가 제한될 수 있는데, 보청기 장치(100)는 회전 관절부(140)의 회전 구동이 최대 각도에 도달할 경우 시각적 피드백(예를 들어, "딸깍"과 같은 소리를 기계적인 구조 또는 전자적인 소리 재생) 및 촉각적 피드백(예를 들어, 진동)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입력부(150)는 필수적이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회전 관절부(140)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회전 관절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추에이터는 회전 관절을 통해 연결 부재(120)를 회전시킴으로써, 수신부(130)를 외이도에 삽입하거나 외이도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는 전기 모터 및/또는 태엽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모터는 회전 관절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을 제공 가능할 수 있다. 전기 모터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회전 명령이 인가되면, 인가된 회전 명령에 대응하는 회전 방향으로 연결 부재(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태엽 구조는 회전 구동을 위한 복원력을 제공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엽 구조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연결 부재(120)가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면 보청기 장치(100)가 열림 상태로 전환되고, 태엽 구조는 제1 회전 방향으로 연결 부재(120)를 회전시키려는 탄성력을 저장할 수 있다. 태엽 구조에 저장된 탄성력이 사용자 조작에 의해 릴리즈됨으로써, 태엽 구조는 연결 부재(120)를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액추에이터를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연결 부재(120)는 하우징(110) 및 수신부(130)를 연결하는 부재로서,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된 신호 처리부(160)에 의해 증폭된 소리 신호를 수신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120)는 내부에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120)의 일단은 하우징(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연결 부재(120)의 타단은 수신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부재(120)의 예시적인 형상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수신부(130)(receiver)는 증폭된 소리 신호를 연결 부재(120)를 통해 수신 하고, 증폭된 소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보청기 장치(100)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동안, 수신부(130)는 보청기 장치(100)가 열림 상태인 동안 외이도로부터 제거되고, 보청기 장치(100)가 닫힘 상태인 동안 외이도로 삽입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장치의 예시적인 형상을 도시한다.
도 2는 예시적인 보청기 장치에 대한 사시도(perspective view), 도 3은 해당 보청기 장치에 대한 측면도(side view), 도 4는 해당 보청기 장치에 대한 평면(290)도(top view)를 도시한다.
하우징(210)은 사용자의 귓바퀴(auricle)에 착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10)은 보청기 장치가 착용될 시 사용자의 머리를 마주하는 제1 측면(211), 및 보청기 장치가 착용될 시 사용자의 귓바퀴의 뒤를 마주하는 제2 측면(212)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의 밑면은 귓바퀴의 굴곡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보청기 장치가 착용될 시 하우징(210)의 밑면이 귓바퀴에 접촉할 수 있다.
연결 부재(220)(connection member)는 회전 축(241)(rotation axis)을 기준으로 하우징(2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 축(241)은 하우징(210)이 귓바퀴에 착용되는 동안 사용자의 외이도(ear canal)의 중심 축에 수직하게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축(241)은, 제1 측면(211)의 적어도 일부에 평행하는 평면(290) 및 제2 측면(212)의 적어도 일부에 평행하는 평면(290)과 교차할 수 있다.
연결 부재(220)는 회전 축(241)을 제공하는 회전 관절부(240)을 통해 하우징(21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 관절부(240)는 사용자 별 외이도 각도에 매칭하는 회전 축(241)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축(241)은 보청기 장치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제1 측면(211)에 평행하는 평면 및 제2 측면(212)에 평행하는 평면으로부터 멀어지게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별로 측두부 및 귓바퀴에 대해 외이도의 중심축이 이루는 각도(예를 들어, 외이도 각도)가 다를 수 있는데,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장치에서 연결 부재(220)의 회전 축(241) 및 하우징(210) 간의 각도는 상술한 외이도 각도에 최적화된 각도로 설계될 수 있다. 연결 부재(220)의 회전 축(241) 및 하우징(210) 간의 각도는 회전 축(241) 및 하우징(210)의 측면들(예를 들어, 제1 측면(211) 및 제2 측면(212))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일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서 후술하겠으나, 연결 부재(220)의 회전 축(241) 및 하우징(210) 간의 각도가 사용자에 의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220)는, 제1 파트(221), 제1 절곡부(201), 제2 파트(222), 제2 절곡부(202), 및 제3 파트(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221)는 하우징(210)의 상단부로부터 회전 축(241)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제2 파트(222)는 제1 절곡부(201)에 의해 제1 파트(221)로부터 절곡(bend)되어, 회전 축(241)을 포함하는 평면(290)에서 회전 축(241)에 교차하는 축(예를 들어, 평면(290) 상에서 회전 축(241)에 직교하는 축)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도 3에서 제1 파트(221) 및 제2 파트(222) 간의 제1 절곡 각도는 90도로 도시되었다. 제3 파트(223)는 제2 절곡부(202)에 의해 제2 파트(222)로부터 절곡되어, 평면(290)에 교차하는 축(예를 들어, 평면(290)에 직교하는 축)을 따라 연장하여 수신부(23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서 제2 파트(222) 및 제3 파트(223) 간의 제2 절곡 각도는 90도로 도시되었다. 참고로, 평면(290)은 연결 부재(220)에서 회전 축(241)의 기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가상의 평면(290)이다.
다만, 연결 부재(220)의 형상을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 파트(221)의 길이, 제2 파트(222)의 길이, 제3 파트(223)의 길이, 제1 파트(221) 및 제2 파트(222) 간의 각도(예를 들어, 제1 절곡 각도), 제2 파트(222) 및 제3 파트(223) 간의 각도(예를 들어, 제2 절곡 각도)는 사용자의 귀 형상에 기초하여 결정된 치수(dimension)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부재(220)는, 보청기 장치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관절부(240) 및 연결 부재(220)의 제1 파트(221)는 상호 탈착 가능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부재(220)의 교체를 통해 개별 사용자의 귀 형상에 매칭하는 치수를 갖는 연결 부재(220)가 보청기 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연결 부재(220)의 각 파트의 치수는 하기 도 7a 및 도 7b에서 설명한다. 아울러,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연결 부재(220)가 3개의 파트들 및 2개의 절곡부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연결 부재(220)는 모든 부분에서 동일한 재질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부분 별로 물성 및 재질 등이 상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220)에서 하우징(210)에 인접한 제1 부분의 강성 및 수신부(230)에 인접한 제2 부분의 강성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분(예를 들어, 제3 파트(223))의 강성은 제1 부분(예를 들어, 제1 파트(221))의 강성보다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부분이 제1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청기 장치 장착시 사용자의 외이도에 인접하게 되는 제2 부분이 부드러우므로, 사용자의 귀에서 외이도에 인접한 신체 부위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입력부(250)에 사용자 조작이 가해지는 경우, 회전 관절부(240)는 연결 부재(220)를 회전 축(241)을 기준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수신부(230)를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하거나 사용자의 외이도로부터 수신부(230)를 제거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열림 상태의 보청기 장치를 귓바퀴의 뒷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파지(grip)할 수 있고, 파지된 보청기 장치의 입력부(250)에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청기 장치의 수신부(230)를 직접 파지할 필요 없이, 보청기 장치의 하우징(210)만 파지하고 입력부(250)에 사용자 조작을 입력함으로써,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수신부(230)를 외이도로 삽입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 내지 도 4에서 입력부(250)가 하우징(210)의 제2 측면(212)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250)의 위치는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하우징(210)의 외면 뿐 아니라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장치의 구동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220)는 착용 동안 회전 관절부 및 액추에이터에 의한 회전 구동을 통해 수신부(230)를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하거나, 삽입됐던 수신부(230)를 외이도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220)는, 보청기 장치가 사용자의 일측 귀에 착용되는 동안,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회전 축(241)을 기준으로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수신부(230)를 사용자의 일측 귀의 외이도에 삽입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연결 부재(220)는 보청기 장치가 사용자의 일측 귀에 착용되는 동안,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회전 축(241)을 기준으로 제1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수신부(230)를 외이도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수신부(230)는, 연결 부재(220)의 가동 동안 사용자의 이주(tragus)와 중첩하지 않는 궤적(539)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수신부의 이동 궤적(539)은 회전 축(241)의 방향 및 연결 부재(220)의 형상과 치수 등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보청기 장치는 사용자의 귀 구조(예를 들어, 이주 등)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수신부(230)를 외이도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개별 사용자의 귀 구조에 대해 개인화된(personalized) 치수를 갖는 연결 부재(220)를 포함하는 보청기 장치를 이용하여, 편리하고 정확하게 수신부(230)를 외이도에 삽입할 수 있다.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는 착용 상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장치의 구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는 보청기 장치를 일측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청기 장치의 회전 관절부는 보청기 장치가 착용되는 동안 귓바퀴의 이륜각(crus of helix)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하우징 및 연결 부재를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륜각은 귀의 이륜(helix)이 머리와 연결되는 시작 부위를 나타낼 수 있다. 회전 관절부는 보청기 장치가 착용될 시 사용자의 머리 및 귓바퀴 사이에서 사용자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방향에서 사용자의 귀의 이륜각 너머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의 가동 범위는, 보청기 장치가 착용될 시 회전 축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머리의 반대편에 대응하는 공간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열림 상태의 보청기 장치를 도시하고, 도 7a 및 도 7b는 닫힘 상태의 보청기 장치를 도시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보청기 장치는 닫힘 상태 및 열림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부에 대한 조작일 수도 있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연결 부재에 외력을 가하는 수동 조작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도 5에서 상술한 궤적을 따라 수신부가 이동될 수 있다. 수신부는 회전 방향에 따라 외이도로부터 멀어지거나, 외이도로 접근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보청기 장치의 열림 상태를 각각 측면도 및 평면도로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보청기 장치의 연결 부재(620)는 닫힘 상태의 연결 부재(620)로부터 90도만큼 회전되어 열림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다만, 연결 부재(620)의 가동 범위를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닫힘 상태 대비 0도 초과 180도 이하의 회전 각도 범위 사이일 수 있다. 열린 상태에서는 보청기 장치의 연결 부재(620) 및 수신부(630)가 하우징(610)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사용자는 하우징(610)을 귓바퀴에 쉽게 착용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보정치 장치의 닫힘 상태를 각각 측면도 및 평면도로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닫힘 상태에서 하우징(710)에 결합된 연결 부재(720)는 사용자의 귀에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파트(722)는, 수신부(730)가 외이도(793)에 삽입된 동안, 이륜각(791)(crus of helix) 및 이주(792)(tragus)에 인접하게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닫힘 상태에서 제2 파트(722)는 이륜각(791) 및 이주(792) 사이의 공간(780)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파트(723)는, 수신부(730)가 외이도(793)에 삽입된 동안 외이도(793)의 중심 축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720)의 회전 축(741)은 외이도(793)의 중심축(794)에 수직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720)에서 제1 파트(721)의 길이(771), 제2 파트(722)의 길이(772), 및 제3 파트(723)의 길이(773)는 사용자의 귀 형상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파트(722)의 길이(772)는 개별 사용자의 이륜각(791)으로부터 이주(792)까지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3 파트(723)의 길이(773)는 이주(792)로부터 목표 삽입 위치까지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 파트(721)와 제2 파트(722) 간의 제1 절곡 각도, 및 제2 파트(722)와 제3 파트(723) 간의 제2 절곡 각도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귀 형상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8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장치의 가변 회전 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의 회전 축 및 하우징(810) 간의 각도는 사용자에 의해 조정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관절부(840)는 하우징(810)에 대해 회전 축이 가변 가능한 추가 관절을 통해 하우징(810)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평면도와 같이 회전축들(841, 842, 843)이 개별 사용자의 귀 구조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하우징(810)의 측면들에 대응하는 평면에 대해 회전축이 형성하는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관절부(840) 및 하우징(810)은 고정부(예를 들어, 나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회전축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고정부가 느슨하게 릴리즈될 수 있다. 고정부가 릴리즈된 상태에서, 회전 관절부(840) 및 하우징(810) 간의 각도가 조절 가능할 수 있다. 회전 관절부(840) 및 하우징(810) 간의 각도 조절이 완료된 후, 고정부가 다시 회전 관절부(840) 및 하우징(810) 간의 결합을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보청기 장치
110: 하우징
120: 연결 부재
130: 수신부
140: 회전 관절부
150: 입력부
160: 신호 처리부
110: 하우징
120: 연결 부재
130: 수신부
140: 회전 관절부
150: 입력부
160: 신호 처리부
Claims (15)
- 보청기 장치(hearing aid device)에 있어서,
외부 소리 신호를 증폭함으로써 증폭된 소리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signal processing unit)를 수용하고, 사용자의 귓바퀴(auricle)에 착용 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이 상기 귓바퀴에 착용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의 외이도(ear canal)의 중심 축에 수직하게 정렬되는 회전 축(rotation axis)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부재(connection member); 및
상기 증폭된 소리 신호를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증폭된 소리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부(receiver)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회전 축 및 상기 하우징 간의 각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정 가능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회전 축을 따라 연장하는 제1 파트;
상기 제1 파트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회전 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상기 회전 축에 교차하는 축을 따라 연장하는 제2 파트; 및
상기 제2 파트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평면에 교차하는 축을 따라 연장하여 상기 수신부와 연결되는 제3 파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수신부가 상기 외이도에 삽입된 동안, 이륜각(crus of helix) 및 이주(tragus)에 인접하게 정렬되는,
보청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청기 장치가 착용될 시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마주하는 제1 측면; 및
상기 보청기 장치가 착용될 시 상기 사용자의 상기 귓바퀴의 뒤를 마주하는 제2 측면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축은,
상기 제1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평행하는 평면 및 상기 제2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평행하는 평면과 교차하는,
보청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청기 장치가 착용되는 동안 상기 귓바퀴의 이륜각(crus of helix)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연결 부재를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 관절부
를 포함하는 보청기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회전 관절을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보청기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회전 관절의 회전 구동을 제공 가능한 전기 모터 및 회전 구동을 위한 복원력을 제공 가능한 태엽 구조 중 하나를 포함하는,
보청기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에서 상기 제1 파트, 상기 제2 파트, 및 상기 제3 파트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는 상기 사용자의 귀 형상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보청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 간의 제1 절곡 각도, 및 상기 제2 파트와 상기 제3 파트 간의 제2 절곡 각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사용자의 귀 형상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보청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보청기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일측 귀에 착용되는 동안,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회전 축을 기준으로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수신부를 상기 사용자의 일측 귀의 외이도에 삽입하고,
상기 보청기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일측 귀에 착용되는 동안,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회전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수신부를 상기 외이도로부터 제거하는,
보청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연결 부재의 가동 동안 상기 사용자의 이주와 중첩하지 않는 궤적을 따라 이동하는,
보청기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보청기 장치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보청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가동 범위는,
상기 보청기 장치가 착용될 시 상기 회전 축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반대편에 대응하는 공간 범위로 제한되는,
보청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에서 상기 하우징에 인접한 제1 부분의 강성 및 상기 수신부에 인접한 제2 부분의 강성은 서로 다른,
보청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5673A KR102314978B1 (ko) | 2020-05-11 | 2020-05-11 | 회전 구동에 의해 수신부를 삽입하는 보청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5673A KR102314978B1 (ko) | 2020-05-11 | 2020-05-11 | 회전 구동에 의해 수신부를 삽입하는 보청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14978B1 true KR102314978B1 (ko) | 2021-10-20 |
Family
ID=78267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5673A KR102314978B1 (ko) | 2020-05-11 | 2020-05-11 | 회전 구동에 의해 수신부를 삽입하는 보청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4978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272781B2 (ja) * | 2009-02-16 | 2013-08-28 | 明子 中谷 | 耳掛け型補聴器 |
-
2020
- 2020-05-11 KR KR1020200055673A patent/KR10231497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272781B2 (ja) * | 2009-02-16 | 2013-08-28 | 明子 中谷 | 耳掛け型補聴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282043B2 (ja) | 耳介用装置を備える眼鏡 | |
US6359993B2 (en) | Conformal tip for a hearing aid with integrated vent and retrieval cord | |
AU700444B2 (en) | Hybrid behind-the-ear and completely-in-canal hearing aid | |
US9894448B2 (en) | Hearing aid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member | |
US8023674B2 (en) | Connector for hearing assistance device having reduced mechanical feedback | |
US20090082801A1 (en) | Tool for inserting a receiver of a hearing apparatus into an auditory canal | |
DK2645744T3 (en) | Hearing instrument with flexible earplug tube connection | |
JP6144865B2 (ja) | プリント回路基板で形成された壁を有する聴覚補助装置 | |
JP2010068299A (ja) | イヤホン | |
US9118995B1 (en) | Earpiece auditory devices having improved ear tips | |
US20210099789A1 (en) | Hearing device | |
US8098866B2 (en) | Receiver device with manipulable sound outlet direction | |
US8379897B2 (en) | Hearing assistance device having reduced mechanical feedback | |
US20080285783A1 (en) | Earpiece for a hearing device with bayonet fitting | |
KR102314978B1 (ko) | 회전 구동에 의해 수신부를 삽입하는 보청기 장치 | |
JP5113553B2 (ja) | 接触型振動子及びこれを用いた聴取装置 | |
US8355519B2 (en) | Tool for fitting and removing a receiver of a hearing aid | |
WO2022226792A1 (zh) | 声学输入输出设备 | |
DK2592849T3 (da) | Høreindretning med et batterirum | |
US11388501B2 (en) | Earpiece with actuator | |
EP1968347A2 (en) | Contact vibrator and hearing device using the same | |
WO2014174849A1 (ja) | 音響機器 | |
CN107690118B (zh) | 具有薄膜的助听器电池抽屉 | |
US8233653B2 (en) | Receiver facility with a moveable receiver | |
JP7204224B2 (ja) | 聴音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