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830B1 - 포장용 박스 - Google Patents

포장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830B1
KR102314830B1 KR1020200002677A KR20200002677A KR102314830B1 KR 102314830 B1 KR102314830 B1 KR 102314830B1 KR 1020200002677 A KR1020200002677 A KR 1020200002677A KR 20200002677 A KR20200002677 A KR 20200002677A KR 102314830 B1 KR102314830 B1 KR 102314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dy
bent
gap
spaced apart
out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9477A (ko
Inventor
곽경선
이회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컬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컬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컬리
Priority to KR1020200002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830B1/ko
Publication of KR20210089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503Tray-like elements formed i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5035Paper elements
    • B65D5/5045Tubular lining and suppor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65D81/38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기능을 가지는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포장용 박스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박스본체와, 상기 박스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측에 대상체가 안착되며 상기 대상체와 상기 박스본체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박스본체의 내주면과 일정 갭을 형성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박스본체와 대상체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할 수 있어 대상체를 보온 또는 보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용 박스{PACKING BOX}
본 발명은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 기능을 가지는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냉이 요구되는 음식물 등의 내용물을 저장 또는 운반하기 위하여 스티로폼, 비닐 등의 재질로 제작된 포장용 박스 또는 팩에 내용물을 삽입하고, 아이스팩을 함께 넣어서 저장 또는 운반되고 있다.
하지만, 스티로폼으로 제작된 포장용 박스는 보온 및 보냉 효과가 뛰어나고 가볍다는 장점으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분리수거가 어렵고 환경오염의 주범이다.
스티로폼은 쉽게 작은 조각으로 부서지는데, 이러한 미세한 스티로폼 알갱이는 PCB, DDT, PAH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흡착하고, 이것이 먹이사슬을 통해 다른 생물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결국 인간에게 영향을 미친다.
또한, 내용물과 함께 배송되는 아이스팩은 소비자가 일반 쓰레기로 쉽게 버리는데, 이러한 아이스팩도 환경오염의 주범이다.
아이스팩은 습기를 머금고 있어서 소각장에서 잘 타지 않으며, 매립할 경우 냉매를 둘러싼 비닐 등으로 인해 완전히 분해되는 데에 500년 이상이 소요된다.
또한, 아이스팩 안에는 젤 형태의 고흡수성 폴리머라는 화학물질이 들어 있고, 터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세플라스틱을 활용하여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아이스팩의 내용물인 화학물질과 미세플라스틱이 하천으로 흘러 들어간다면 수질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포장용 박스로 스티로폼을 사용하지 않고, 아이스팩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보냉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포장용 박스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003061호 (2013.05.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박스본체와 대상체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대상체를 보온 또는 보냉할 수 있도록 단열 기능을 가지는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박스본체; 및 상기 박스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측에 대상체가 안착되며, 상기 대상체와 상기 박스본체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박스본체의 내주면과 일정 갭을 형성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수단은, 대상체가 안착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길이 방향의 양측단에서 연장되어 절곡되게 마련되고, 단부가 상기 박스본체의 내측면에 접촉하되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박스본체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제1 측면부; 및 상기 바닥부의 폭 방향의 양측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면부와 공간을 형성하도록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1 측면부의 단부에 대응되는 높이에서 다시 절곡되어 공기층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부를 상기 박스본체의 바닥면에서 이격되게 배치시키는 제2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측면부는, 사다리꼴 형태로 마련되어 길이가 짧은 일측변이 상기 바닥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측면부는, 사다리꼴 형태로 마련되어 길이가 짧은 일측변이 상기 바닥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측면부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내측부; 및 사다리꼴 형태로 마련되어 길이가 긴 타측변이 상기 내측부의 타측변에 연결되고, 상기 내측부와 마주보게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되 상기 내측부와 갭을 가지도록 이격되는 외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내측부의 타측변의 길이가 상기 외측부의 타측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면부가 서로 마주보는 상기 내측부의 양측단을 덮으면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외측부의 사이에 배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부는, 상기 바닥부와 상기 박스본체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측부보다 길게 형성되어 단부가 상기 박스본체의 내부에 안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가 서로 마주보면서 갭을 가지도록 이격시키는 절첩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2 측면부는, 사다리꼴 형태로 마련되어 길이가 짧은 일측변이 상기 바닥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측면부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는 외측부; 사다리꼴 형태로 마련되어 길이가 긴 타측변이 상기 외측부의 타측변에 연결되고, 상기 외측부의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되 상기 내측부와 갭을 가지도록 이격되는 내측부; 상기 바닥부의 일영역이 절취되어 상기 외측부와 연결되고, 상기 외측부가 절곡시 상기 바닥부에서 이탈하여 상기 외측부의 일측변에서 돌출되어 상기 박스본체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부; 및 상기 내측부의 일측변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가 이탈되어 상기 바닥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부를 체결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내측부의 일측변의 길이가 상기 외측부의 일측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면부가 서로 마주보는 상기 내측부의 양측단을 덮으면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외측부의 사이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가 서로 마주보면서 갭을 가지도록 이격시키는 절첩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박스에 따르면, 박스본체와 대상체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할 수 있어 대상체를 보온 또는 보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박스본체와 지지수단을 종이 재질로 제작하여 이를 재활용할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박스에서 제1 실시예에 의한 지지수단을 발췌하여 접혀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박스에서 제1 실시예에 의한 지지수단을 발췌하여 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박스에 제1 실시예에 의한 지지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박스에서 제2 실시예에 의한 지지수단을 발췌하여 접혀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박스에서 제2 실시예에 의한 지지수단을 발췌하여 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박스에 제2 실시예에 의한 지지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포장용 박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박스(10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박스본체(200)와, 상기 박스본체(200)의 내부에 배치되어 대상체(미도시)가 안착되는 지지수단(300)을 포함한다.
상기 박스본체(200)는 상기 지지수단(300)과 대상체를 내부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되고, 상기 지지수단(300)과 대상체가 내부에 수용된 후에는 절첩선(FL)을 따라 직각으로 접어서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포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박스본체(200)는 측면 부분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하 방향은 서로 개방되게 제작된 후 포장이 필요한 경우 하측 부분(220)을 절첩하여 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수단으로 폐쇄하고, 내부에 상기 지지수단(300)과 대상체를 삽입한 후 상측 부분(210)을 절첩하여 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수단으로 폐쇄하여 포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300)은 상기 박스본체(200)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측에 대상체(미도시)가 안착되며, 상기 대상체와 상기 박스본체(200)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박스본체(200)의 내주면과 일정 갭을 형성한다.
즉, 상기 지지수단(300)에 의해 상기 대상체가 상기 박스본체(200)의 내주면과 접촉하지 않고 이격 배치되고, 상기 지지수단(300)과 상기 박스본체(200)에 의해 형성된 갭에 공기층이 형성되어서 단열할 수 있어 대상체를 보온 및 보냉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박스본체(200)와 상기 지지수단(300)은 종이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특히 양면골판지 또는 이중양면골판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은 입체도형을 펼쳐서 평면에 나타내는 전개도 형태로 제작되고, 접히는 부분에 절첩선이 형성되게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수단은 평면 형태로 제작 및 보관되고, 사용시에는 절첩선 부분을 절곡하여 입체 형태로 제작하여 상기 박스본체에 삽입하여 사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수단은 2가지 실시예로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실시예에 의한 지지수단은 아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상기 포장용 박스에서 제1 실시예에 의한 지지수단을 발췌하여 접혀진 상태 및 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포장용 박스에 제1 실시예에 의한 지지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에 의한 상기 지지수단(300)은 상기 박스본체(200)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측에 대상체가 안착되며, 상기 대상체와 상기 박스본체(200)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박스본체(200)의 내주면과 일정 갭(G)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수단(300)은 대상체가 안착되는 바닥부(310)와, 상기 바닥부(310)의 둘레를 따라 절곡되게 연결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제1 측면부(320) 및 제2 측면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310)는 대상체가 안착되게 평판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측면부(320)와 상기 제2 측면부(330)에 의해 상기 박스본체(200)와 이격되어 갭(G)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갭(G)에 공기가 채워지면서 공기층인 단열층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측면부(320)는 상기 바닥부(310)의 길이 방향의 양측단에서 연장되어 절곡되게 마련되고, 단부가 상기 박스본체(200)의 내측면에 접촉하되 상기 바닥부(310)는 상기 박스본체(200)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측면부(320)는 사다리꼴 형태로 마련되어 길이가 짧은 일측변(321)이 상기 바닥부(310)에 연결되고, 타측변(322)은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측면부(320)의 일측변(321)에는 상기 바닥부(310)와 절곡되게 절첩선(FL)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측면부(330)는 상기 바닥부(310)의 폭 방향의 양측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면부(320)와 공간인 갭(G)을 형성하도록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1 측면부(320)의 단부에 대응되는 높이에서 다시 절곡되어 공기층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부(310)를 상기 박스본체(200)의 바닥면에서 이격되게 배치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측면부(330)는 상기 바닥부(310)에 절곡되게 연결된 내측부(340)와, 상기 내측부(340)에서 절곡되어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부(350), 그리고 상기 내측부(340)와 상기 외측부(350) 사이를 연결하는 절첩부(36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부(340)는 사다리꼴 형태로 마련되어 길이가 짧은 일측변(341)이 상기 바닥부(310)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측면부(320)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공간을 형성한다.
즉, 상기 내측부(340)와 상기 제1 측면부(320)가 상기 바닥부(3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내측 공간을 형성하고, 형성된 내측 공간에 대상체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부(340)의 일측변(341)에는 상기 바닥부(310)와 절곡되게 절첩선(FL)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부(350)는 사다리꼴 형태로 마련되어 길이가 긴 타측변(352)이 상기 내측부(340)의 타측변(342)에 연결되고, 상기 내측부(340)와 마주보게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되 상기 내측부(340)와 갭(G)을 가지도록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부(350)는 상기 바닥부(310)와 상기 박스본체(200)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측부(340)보다 길게 형성되어 단부가 상기 박스본체(200)의 내부에 안착된다.
즉, 상기 외측부(350)의 길이(L2)가 상기 내측부(340)의 길이(L1)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부(350)가 상기 내측부(340)와 마주보게 배치되면, 상기 외측부(350)의 단부인 일측변(351)이 상기 박스본체(200)의 내부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부(310)를 상기 박스본체(200)와 갭(G)을 가지도록 이격 배치시켜 공기층인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부(350)는 상기 박스본체(200)와 이격되어 갭(G)을 형성하도록, 상기 박스본체(200)의 내측면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제2 측면부(330)는 상기 박스본체(200)와 상기 외측부(350) 사이에 1차 갭(G)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부(350)와 상기 내측부(340) 사이에 2차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측면부(330)에 의해 2중 공기층이 형성되어 2중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첩부(360)는 상기 내측부(340)와 상기 외측부(350)를 연결하고, 상기 내측부(340)와 상기 외측부(350)가 서로 마주보면서 갭(G)을 가지도록 이격 배치시킨다.
즉, 상기 내측부(340)의 타측변(342)이 상기 절첩부(360)의 일측변에 연결되고, 상기 외측부(350)의 타측변(352)이 상기 절첩부(360)의 타측변에 연결되며, 상기 절첩부(360)를 중심으로 상기 내측부(340)와 상기 외측부(350)가 서로 마주보게 절곡된다. 따라서, 상기 절첩부(360)를 통하여 상기 내측부(340)와 상기 외측부(350)가 갭(G)을 가지도록 이격 배치되어 공기층인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첩부(360)와 연결되는 상기 내측부(340)의 타측변(342)과 상기 외측부(350)의 타측변(352)에는 상기 절첩부(360)와 절곡되게 절첩선(FL)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제2 측면부(330)는 상기 내측부(340)의 타측변(342)의 길이가 상기 외측부(350)의 타측변(35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외측부(350)의 타측변(352)이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단턱(35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측부(350)가 폭 방향으로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측면부(320)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내측부(340)의 양측단을 덮으면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외측부(3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부(340)는 길이가 짧은 일측변(341)이 하측에 배치되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내측부(340)의 양측단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측면부(320)는 상기 내측부(340)의 경사변을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측면부(320)는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박스본체(200)와 멀어지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박스본체(200)와 갭(G)을 형성하여 공기층인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지지수단(300)은 상기 제1 측면부(320)와 상기 제2 측면부(330)를 통하여 대상체가 안착되는 상기 바닥부(310)를 상기 박스본체(200)의 바닥면 및 내측면과 갭(G)을 가지도록 이격 배치시키고, 상기 갭(G)에는 공기가 채워져 공기층인 단열층이 형성되어 상기 박스본체(200)의 외부와 열 이동을 최소화하여 대상체를 보온 또는 보냉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보냉 효과를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상기 갭(G)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보냉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포장용 박스에서 제2 실시예에 의한 지지수단을 발췌하여 접혀진 상태 및 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포장용 박스에 제2 실시예에 의한 지지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 의한 상기 지지수단(400)은 상기 박스본체(200)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측에 대상체가 안착되며, 상기 대상체와 상기 박스본체(200)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박스본체(200)의 내주면과 일정 갭(G)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수단(400)은 대상체가 안착되는 바닥부(410)와, 상기 바닥부(410)의 둘레를 따라 절곡되게 연결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제1 측면부(420) 및 제2 측면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410)는 대상체가 안착되게 평판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측면부(420)와 상기 제2 측면부(430)에 의해 상기 박스본체(200)와 이격되어 갭(G)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갭(G)에 공기가 채워지면서 공기층인 단열층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측면부(420)는 상기 바닥부(410)의 길이 방향의 양측단에서 연장되어 절곡되게 마련되고, 단부가 상기 박스본체(400)의 내측면에 접촉하되 상기 바닥부(410)는 상기 박스본체(200)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측면부(420)는 사다리꼴 형태로 마련되어 길이가 짧은 일측변(421)이 상기 바닥부(410)에 연결되고, 타측변(422)은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측면부(420)의 일측변(421)에는 상기 바닥부(410)와 절곡되게 절첩선(FL)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측면부(430)는 상기 바닥부(410)의 폭 방향의 양측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면부(420)와 공간인 갭(G)을 형성하도록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1 측면부(420)의 단부에 대응되는 높이에서 다시 절곡되어 공기층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부(410)를 상기 박스본체(200)의 바닥면에서 이격되게 배치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측면부(430)는 상기 바닥부(410)에 절곡되게 연결된 외측부(440)와, 상기 외측부(440)에서 절곡되어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부(450)와, 상기 외측부(440)와 상기 내측부(450) 사이를 연결하는 절첩부(480)와, 상기 박스본체(200)의 바닥면에서 안착되는 지지부(460), 그리고 상기 내측부(450)를 체결 고정하는 체결부(47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측부(440)는 사다리꼴 형태로 마련되어 길이가 짧은 일측변(441)이 상기 바닥부(410)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측면부(420)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공간을 형성한다.
즉, 상기 외측부(440)와 상기 제1 측면부(420)가 상기 바닥부(4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내측 공간을 형성하고, 형성된 내측 공간에 대상체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부(440)의 일측변(441)에는 상기 바닥부(410)와 절곡되게 절첩선(FL)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부(450)는 사다리꼴 형태로 마련되어 길이가 긴 타측변(451)이 상기 외측부(440)의 타측변(442)에 연결되고, 상기 외측부(440)의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되 상기 내측부(450)와 갭(G)을 가지도록 이격된다.
또한, 상기 외측부(440)는 상기 박스본체(200)와 이격되어 갭(G)을 형성하도록, 상기 박스본체(200)의 내측면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제2 측면부(430)는 상기 박스본체(200)와 상기 외측부(440) 사이에 1차 갭(G)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부(440)와 상기 내측부(450) 사이에 2차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측면부(430)에 의해 2중 공기층이 형성되어 2중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첩부(480)는 상기 외측부(440)와 상기 내측부(450)를 연결하고, 상기 외측부(440)와 상기 내측부(450)가 서로 마주보면서 갭(G)을 가지도록 이격 배치시킨다.
즉, 상기 외측부(440)의 타측변(442)이 상기 절첩부(480)의 일측변에 연결되고, 상기 내측부(450)의 타측변(452)이 상기 절첩부(480)의 타측변에 연결되며, 상기 절첩부(480)를 중심으로 상기 외측부(440)와 상기 내측부(450)가 서로 마주보게 절곡된다. 따라서, 상기 절첩부(480)를 통하여 상기 외측부(440)와 상기 내측부(450)가 갭(G)을 가지도록 이격 배치되어 공기층인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첩부(480)와 연결되는 상기 외측부(440)의 타측변(442)과 상기 내측부(450)의 타측변(452)에는 상기 절첩부(480)와 절곡되게 절첩선(FL)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460)는 상기 바닥부(410)의 일영역이 절취되어 상기 외측부(440)와 연결되고, 상기 외측부(440)가 절곡시 상기 바닥부(410)에서 이탈하여 상기 외측부(440)의 일측변(441)에서 돌출되어 상기 박스본체(200)의 바닥면에 안착된다.
즉, 상기 지지부(460)는 상기 바닥부(410)의 일영역이 절취되어 형성된 구성이고, 일측단은 상기 외측부(440)의 일측변(441)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외측부(440)가 절곡되면 상기 외측부(440)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바닥부(410)에서 이탈하여 하측으로 돌출 배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부(460)와 상기 외측부(44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절첩선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외측부(440) 각각에 2개씩 형성되어 총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바닥부(410)를 상기 박스본체(2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배치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수량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470)는 상기 내측부(450)의 일측변(451)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460)가 이탈되어 상기 바닥부(410)에 형성된 홈(411)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부(450)를 체결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외측부(440)가 절곡되면서 상기 외측부(440)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바닥부(410)에서 상기 지지부(460)가 이탈되면, 그 자리에 상기 홈(411)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부(440)와 마주보게 내측을 향하여 상기 내측부(450)가 절곡되면, 상기 내측부(450)의 일측변(451)에 구비된 상기 체결부(470)가 상기 홈(411)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외측부(440)와 상기 내측부(450)는 절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절첩부(480)를 통하여 상기 외측부(440)와 상기 내측부(450)는 갭(G)을 가지도록 이격 배치되며, 상기 갭(G)에 공기가 채워져 공기층인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측면부(430)는 상기 외측부(440)의 타측변(442)의 길이가 상기 내측부(450)의 타측변(45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측부(440)가 폭 방향으로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측면부(420)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내측부(450)의 양측단을 덮으면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외측부(4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부(450)는 길이가 짧은 일측변(451)이 하측에 배치되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내측부(450)의 양측단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측면부(420)는 상기 내측부(450)의 경사변을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측면부(420)는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박스본체(200)와 멀어지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박스본체(200)와 갭(G)을 형성하여 공기층인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지지수단(400)은 상기 제1 측면부(420)와 상기 제2 측면부(430)를 통하여 대상체가 안착되는 상기 바닥부(410)를 상기 박스본체(200)의 바닥면 및 내측면과 갭(G)을 가지도록 이격 배치시키고, 상기 갭(G)에는 공기가 채워져 공기층인 단열층이 형성되어 상기 박스본체(200)의 외부와 열 이동을 최소화하여 대상체를 보온 또는 보냉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보냉 효과를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상기 갭(G)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보냉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포장용 박스 200 : 박스본체
300 : 지지수단 310 : 바닥부
320 : 제1 측면부 330 : 제2 측면부
340 : 내측부 350 : 외측부
360 : 절첩부 400 : 지지수단
410 : 바닥부 420 : 제1 측면부
430 : 제2 측면부 440 : 외측부
450 : 내측부 460 : 지지부
470 : 체결부 480 : 절첩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박스본체; 및
    상기 박스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측에 대상체가 안착되며, 상기 대상체와 상기 박스본체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박스본체의 내주면과 일정 갭을 형성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대상체가 안착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길이 방향의 양측단에서 연장되어 절곡되게 마련되고, 단부가 상기 박스본체의 내측면에 접촉하되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박스본체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제1 측면부; 및
    상기 바닥부의 폭 방향의 양측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면부와 공간을 형성하도록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1 측면부의 단부에 대응되는 높이에서 다시 절곡되어 공기층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부를 상기 박스본체의 바닥면에서 이격되게 배치시키는 제2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부는,
    사다리꼴 형태로 마련되어 길이가 짧은 일측변이 상기 바닥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측면부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는 외측부;
    사다리꼴 형태로 마련되어 길이가 긴 타측변이 상기 외측부의 타측변에 연결되고, 상기 외측부의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되 상기 외측부와 갭을 가지도록 이격되는 내측부;
    상기 바닥부의 일영역이 절취되어 상기 외측부와 연결되고, 상기 외측부가 절곡시 상기 바닥부에서 이탈하여 상기 외측부의 일측변에서 돌출되어 상기 박스본체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부; 및
    상기 내측부의 일측변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가 이탈되어 상기 바닥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부를 체결 고정하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내측부의 일측변의 길이가 상기 외측부의 일측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면부가 서로 마주보는 상기 내측부의 양측단을 덮으면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외측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가 서로 마주보면서 갭을 가지도록 이격시키는 절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KR1020200002677A 2020-01-08 2020-01-08 포장용 박스 KR102314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677A KR102314830B1 (ko) 2020-01-08 2020-01-08 포장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677A KR102314830B1 (ko) 2020-01-08 2020-01-08 포장용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477A KR20210089477A (ko) 2021-07-16
KR102314830B1 true KR102314830B1 (ko) 2021-10-19

Family

ID=77150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677A KR102314830B1 (ko) 2020-01-08 2020-01-08 포장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83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902Y1 (ko) * 2002-10-19 2003-03-11 심영숙 간단한 완충구조를 갖는 포장용 상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3061U (ko) 2011-11-15 2013-05-24 김수일 농산물 포장박스
KR200478361Y1 (ko) * 2013-12-26 2015-09-22 김남일 완충재가 구비된 포장상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902Y1 (ko) * 2002-10-19 2003-03-11 심영숙 간단한 완충구조를 갖는 포장용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477A (ko) 2021-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461B1 (ko)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갖는 포장용 박스
US20150158656A1 (en) Thermal container, thermal liner for same and dies for making the thermal liner
KR101743354B1 (ko)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갖는 포장용 박스
US9139319B2 (en) Packaging systems and methods for cold chain shipments
US20150191291A1 (en) Thermally insulated package
EA014562B1 (ru) Упаковочный блок с трубчатыми секциями
AU2022204133A1 (en) Packaging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sub units, and a sub unit
KR102314830B1 (ko) 포장용 박스
KR102349563B1 (ko) 포장용 박스
KR102434656B1 (ko) 종이 포장 박스
CA2006438A1 (en) Collapsible shipping carton
JP4766733B2 (ja) 電気調理器用包装装置
KR102547830B1 (ko) 보냉 기능을 갖는 조립식 종이박스
KR102328598B1 (ko) 포장상자용 보냉상자
JP4918290B2 (ja) パルプモールド緩衝材
KR102106020B1 (ko) 포장용 박스 및 이 포장용 박스의 제조방법
WO2019063051A1 (en) TRANSPORT BOX
JP2005280728A (ja) 保冷性収容箱
US20010030194A1 (en) Collapsible transport container
US20070056763A1 (en) Cable containment system
JP2007084120A (ja) 段ボール製梱包体及びこれを備えた梱包装置
KR20230000382U (ko) 속박스가 구비되는 보냉포장박스
KR20230155236A (ko) 보온·보냉 및 완충기능을 갖는 포장박스
KR101783934B1 (ko) 전선 정리함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용 박스 및, 그 이용방법
KR102448055B1 (ko)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