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815B1 -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학습하는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학습하는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815B1
KR102314815B1 KR1020200094065A KR20200094065A KR102314815B1 KR 102314815 B1 KR102314815 B1 KR 102314815B1 KR 1020200094065 A KR1020200094065 A KR 1020200094065A KR 20200094065 A KR20200094065 A KR 20200094065A KR 102314815 B1 KR102314815 B1 KR 102314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electronic device
result information
st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진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94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8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10Requirements analysis; Specific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5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if the computing system is on, off, available, not avai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6Software re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40Transformation of program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67/3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에 매칭되는 명령 코드의 수행에 따라 결과 정보를 생성하며, 전자 장치의 상태가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경우에, 전자 장치의 상태를 결과 정보에 따른 상태로 변화시키는 알고리즘을 나타내도록 적응 코드를 생성하는,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학습하는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 및 방법{DYNAMIC RE-ADAPTIVE CODE SYNTHESIS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USER INTERAC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학습하는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따른 결과를 학습하는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등의 지능적 서비스에 이용되는 전자 장치는 내장 가능한 명령 코드의 영역이 작고, 명령 코드가 한 번 내장되면 변경이 어려운 특성이 존재한다. 이로 인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Edge) 등의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원활한 지능적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 장치의 상용화 및 활성화에 제약이 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에 명령 코드가 내장되는 내장형 시스템은 코드메모리 크기의 제약, 한 번 코드가 전자 장치에 내장되면 수정하기 힘든 정적인 특성 및 각각의 장치마다 서로 다른 다양한 코드를 내장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내장형 시스템은 사용자 인지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학습하여, 사용자 인지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자 장치로부터 나타나는 임의의 상태에서의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따른 결과를 학습하여, 동일한 상태에서 전자 장치가 학습된 제어를 수행하는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에 따라 명령 코드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를 이용한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에 매칭되는 명령 코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명령 코드의 수행에 따라 변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상태 정보와 상기 결과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상기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를 상기 결과 정보에 따른 상태로 변화시키는 알고리즘을 나타내도록 적응 코드를 생성하는 서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따라, 이전에 생성된 상기 적응 코드로부터 나타나는 상태 정보와 동일한 상태 정보에 대해, 이전에 생성된 상기 적응 코드로부터 나타나는 결과 정보와 다른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적응 코드에 변화된 결과 정보가 적용되도록 재적응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응 코드의 결과 정보와 상기 재적응 코드의 결과 정보에 대해 사전에 설정되는 비율에 따라, 상기 재적응 코드에 의해 상태 정보로부터 변화되도록 설정된 결과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적응 코드를 전달받아 저장하되,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에 매칭되는 명령 코드는 수정 불가능하도록 저장하며,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적응 코드는 수정 가능하도록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에 따라 명령 코드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를 이용한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에 매칭되는 명령 코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명령 코드의 수행에 따라 변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상태 정보와 상기 결과 정보를 서버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상태 정보와 상기 결과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상기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를 상기 결과 정보에 따른 상태로 변화시키는 알고리즘을 나타내도록 적응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응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따라, 이전에 생성된 상기 적응 코드로부터 나타나는 상태 정보와 동일한 상태 정보에 대해, 이전에 생성된 상기 적응 코드로부터 나타나는 결과 정보와 다른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적응 코드에 변화된 결과 정보가 적용되도록 재적응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응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적응 코드의 결과 정보와 상기 재적응 코드의 결과 정보에 대해 사전에 설정되는 비율에 따라, 상기 재적응 코드에 의해 상태 정보로부터 변화되도록 설정된 결과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적응 코드를 전달받아 저장하되,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에 매칭되는 명령 코드는 수정 불가능하도록 저장하며,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적응 코드는 수정 가능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학습하는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전자 장치로부터 나타나는 임의의 상태에서의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따른 결과를 학습하여, 동일한 상태에서 전자 장치가 학습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2는 도1의 전자 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3은 도1의 서버 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4는 도2의 전자 제어부가 서버 장치에 상태 정보와 결과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5는 도3의 서버 제어부에서 적응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6은 도2의 전자 제어부에서 적응 코드에 재적응 코드를 적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1)은 전자 장치(100) 및 서버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장치(200)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서버 장치(200)에 임의의 정보를 전달하거나, 서버 장치(200)로부터 임의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복수개의 전자 장치(100)를 구분할 수 있도록 식별 주소가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 MAC 주소(MAC Address), 블루투스(Bluetooth) 식별자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식별자 등의 네트워크 주소가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온도 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습도 센서 등의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정보를 사전에 설정되는 목표에 도달하도록 제어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에 따라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정보에 대한 목표가 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은 사용자의 모션, 버튼 입력, 음성 입력 등의 행동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에어컨(100b)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전자 장치(100)는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일련의 알고리즘에 의해 설정된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냉장고(100c)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전자 장치(100)는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가 사전에 설정되는 온도를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고장으로 판단하는 등의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정보를 사전에 설정되는 목표에 도달하도록 제어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는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 측정된 정보에 대해 목표로 설정된 정보 및 전자 장치(100)의 제어 상태 등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로 마련되는 단말기 등의 장치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종 전자 장치(1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 장치(100)는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사물로부터 측정되는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자동으로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장치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에 매칭되는 명령 코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명령 코드의 수행에 따라 변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태 정보는 전자 장치(100)에 마련된 센서 등으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상태 정보는 전자 장치(100)가 제어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태 정보는 전자 장치(100)에 의해 측정되거나, 전자 장치(100)가 제어되는 상태 등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명령 코드는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수행되는 제어를 나타내는 알고리즘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때, 명령 코드는 C++, C#, JAVA, Python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에어컨(100b)인 경우에, 명령 코드는 사용자의 상승 버튼 입력에 따라 목표 온도를 1도 높이도록 마련된 프로그래밍 언어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명령 코드는 사용자에 의해 전자 장치(100)에 입력되는 상호작용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제어를 나타내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결과 정보는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전자 장치(100)가 명령 코드에 의한 제어를 수행하여 변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결과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에어컨(100b)의 상승 버튼 입력의 상호작용이 발생한 경우에, 상태 정보가 측정된 시점에서의 목표 온도로부터 1도 높아진 목표 온도를 나타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간격 동안 발생한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따라 변화된 상태를 결과 정보로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간격 동안 사용자에 의해 에어컨(100b)의 상승 버튼 입력이 3회 발생하고, 에어컨(100b)의 하강 버튼 입력이 1회 발생한 경우에, 상태 정보가 측정된 시점에서의 목표 온도로부터 2도 높아진 목표 온도를 결과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시점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간격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상호작용이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간격이 경과된 시점에서, 명령 코드의 수행에 따라 변화된 상태를 결과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결과 정보는 서로 다른 상호작용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서 서로 다른 명령 코드가 수행되어, 변화된 하나 이상의 상태를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측정된 상태 정보와 생성된 결과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서버 장치(20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장치(100)로부터 상태 정보와 결과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에서 측정된 상태 정보와 전자 장치(100)에서 생성된 결과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서버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가 전달받은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경우에, 전자 장치(100)의 상태를 결과 정보에 따른 상태로 변화시키는 알고리즘을 나타내도록 적응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응 코드는 C++, C#, JAVA, Python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적응 코드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가 임의의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경우에 수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적응 코드는 하나 이상의 명령 코드의 조합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결과 정보가 사전에 설정되는 결과 정보에 매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에서 이용되는 명령 코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이때, 서버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의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Software) 별로 이용되는 명령 코드가 구분되도록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에서 측정되는 상태 정보가 전자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경우에 적응 코드가 실행되도록 적응 코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때, 서버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의 결과 정보가 전자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결과 정보에 도달하도록 서버 장치(200)에 저장된 명령 코드를 조합하여 적응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적응 코드는 전자 장치(100)에서 측정되는 상태 정보와 적응 코드에 설정된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적응 코드의 제어를 수행하는 비교문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또한, 적응 코드는 전자 장치(100)에서 측정되는 상태 정보가 적응 코드에 설정된 복수개의 상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상태 정보와 동일한 경우에 해당 상태 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분기문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적응 코드는 전자 장치(100)에서 나타나는 결과 정보와 적응 코드에 설정된 결과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적응 코드에 설정된 임의의 명령 코드를 실행하는 비교문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또한, 적응 코드는 전자 장치(100)에서 나타나는 결과 정보가 적응 코드에 설정된 복수개의 결과 정보 중 어느 하나의 결과 정보와 동일한 경우에 해당 결과 정보에 따라 적응 코드에 설정된 임의의 명령 코드를 실행하는 분기문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생성된 적응 코드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장치(200)로부터 적응 코드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서버 장치(200)로부터 적응 코드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때, 전자 장치(100)는 사전에 설정되는 명령 코드와 서버 장치(200)로부터 전달받은 적응 코드를 분리 또는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측정되는 상태 정보가 적응 코드에 설정된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경우에, 적응 코드에 따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에 매칭되는 명령 코드는 수정 불가능하도록 저장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서버 장치(200)로부터 전달받은 적응 코드는 수정 가능하도록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서버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에서,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따라, 이전에 생성된 적응 코드로부터 나타나는 상태 정보와 동일한 상태 정보에 대해, 이전에 생성된 적응 코드로부터 나타나는 결과 정보와 다른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에, 적응 코드에 변화된 결과 정보가 적용되도록 재적응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버 장치(200)는 생성된 재적응 코드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장치(200)로부터 재적응 코드를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따라, 이전에 생성된 적응 코드로부터 나타나는 상태 정보와 동일한 상태 정보에 대해, 이전에 생성된 적응 코드로부터 나타나는 결과 정보와 다른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에, 해당 적응 코드를 일시적으로 격리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측정된 상태 정보와 결과 정보를 서버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응 코드를 격리하는 것은 해당 적응 코드에 따른 제어가 수행되지 않도록 적응 코드의 상태를 이용 불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격리된 적응 코드와 해당 적응 코드에 대해, 서버 장치(200)에서 생성된 재적응 코드를 합성하여, 적응 코드를 갱신 또는 수정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적응 코드의 결과 정보와 재적응 코드의 결과 정보에 대해 사전에 설정되는 비율에 따라, 재적응 코드에 의해 상태 정보로부터 변화되도록 설정된 결과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에 설정되는 비율은 적응 코드의 결과 정보와 재적응 코드의 결과 정보의 차이의 60%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전자 장치(100)는 동일한 상태 정보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상호작용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적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사전에 설정되는 비율은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주기에 따라 적응 코드의 결과 정보가 지수 함수의 형상을 따라 재적응 코드의 결과 정보로 변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전에 설정되는 비율은 임의의 수학적 계산에 따라 적응 코드의 결과 정보가 재적응 코드의 결과 정보를 추종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결정된 결과 정보를 적응 코드에 적용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수정이 완료된 적응 코드의 격리 상태를 해제하여, 전자 장치(100)에서 해당 적응 코드에 따른 제어가 수행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2는 도1의 전자 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전자 장치(100)는 전자 센서부(110), 전자 저장부(120), 전자 입력부(130), 전자 제어부(140) 및 전자 통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센서부(11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전자 센서부(110)는 명령 코드의 수행에 따라 변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센서부(110)는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간격 동안 발생한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따라 변화된 상태를 결과 정보로 생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제어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시점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간격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 센서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상호작용이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간격이 경과된 시점에서, 명령 코드의 수행에 따라 변화된 상태를 결과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저장부(120)는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에 매칭되도록 마련되는 명령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저장부(120)는 서버 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적응 코드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때, 전자 저장부(120)는 사전에 설정되는 명령 코드와 서버 장치(200)로부터 전달받은 적응 코드를 분리 또는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저장부(120)는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에 매칭되는 명령 코드는 수정 불가능하도록 저장될 수 있으며, 전자 저장부(120)는 서버 장치(200)로부터 전달받은 적응 코드는 수정 가능하도록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저장부(120)는 서버 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재적응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전자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에 매칭되는 명령 코드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제어부(140)는 전자 센서부(110)로부터 측정되는 상태 정보가 적응 코드에 설정된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경우에, 적응 코드에 따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따라, 이전에 생성된 적응 코드로부터 나타나는 상태 정보와 동일한 상태 정보에 대해, 이전에 생성된 적응 코드로부터 나타나는 결과 정보와 다른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에, 해당 적응 코드를 일시적으로 격리할 수 있으며, 전자 제어부(140)는 측정된 상태 정보와 결과 정보가 서버 장치(200)에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제어부(140)는 적응 코드의 결과 정보와 재적응 코드의 결과 정보에 대해 사전에 설정되는 비율에 따라, 재적응 코드에 의해 상태 정보로부터 변화되도록 설정된 결과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제어부(140)는 결정된 결과 정보를 적응 코드에 적용할 수 있으며, 전자 제어부(140)는 수정이 완료된 적응 코드의 격리 상태를 해제하여, 전자 장치(100)에서 해당 적응 코드에 따른 제어가 수행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통신부(150)는 측정된 상태 정보와 생성된 결과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전자 통신부(15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장치(200)로부터 적응 코드 또는 재적응 코드를 전달받을 수 있다.
도3은 도1의 서버 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서버 장치(200)는 서버 저장부(210), 서버 제어부(220) 및 서버 통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저장부(210)는 전자 장치(100)에서 이용되는 명령 코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이때, 서버 저장부(210)는 전자 장치(100)의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Software) 별로 이용되는 명령 코드가 구분되도록 저장될 수 있다.
서버 제어부(22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가 전달받은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경우에, 전자 장치(100)의 상태를 결과 정보에 따른 상태로 변화시키는 알고리즘을 나타내도록 적응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220)는 전자 장치(100)에서 측정되는 상태 정보가 전자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경우에 적응 코드가 실행되도록 적응 코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때, 서버 제어부(220)는 전자 장치(100)의 결과 정보가 전자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결과 정보에 도달하도록 서버 저장부(210)에 저장된 명령 코드를 조합하여 적응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220)는 전자 장치(100)에서,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따라, 이전에 생성된 적응 코드로부터 나타나는 상태 정보와 동일한 상태 정보에 대해, 이전에 생성된 적응 코드로부터 나타나는 결과 정보와 다른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에, 적응 코드에 변화된 결과 정보가 적용되도록 재적응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3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장치(100)로부터 상태 정보와 결과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서버 통신부(230)는 생성된 적응 코드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도4는 도2의 전자 제어부가 서버 장치에 상태 정보와 결과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전자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에 매칭되는 명령 코드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을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전자 저장부(120)는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에 매칭되도록 마련되는 명령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전자 센서부(11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전자 센서부(110)는 명령 코드의 수행에 따라 변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센서부(110)는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간격 동안 발생한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따라 변화된 상태를 결과 정보로 생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제어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시점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간격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 센서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상호작용이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간격이 경과된 시점에서, 명령 코드의 수행에 따라 변화된 상태를 결과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통신부(150)는 측정된 상태 정보와 생성된 결과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도5는 도3의 서버 제어부에서 적응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서버 통신부(23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장치(100)로부터 상태 정보와 결과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 제어부(22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가 전달받은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경우에, 전자 장치(100)의 상태를 결과 정보에 따른 상태로 변화시키는 알고리즘을 나타내도록 적응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서버 제어부(220)는 전자 장치(100)에서 측정되는 상태 정보가 전자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경우에 적응 코드가 실행되도록 적응 코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때, 서버 제어부(220)는 전자 장치(100)의 결과 정보가 전자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결과 정보에 도달하도록 서버 저장부(210)에 저장된 명령 코드를 조합하여 적응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 저장부(210)는 전자 장치(100)에서 이용되는 명령 코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이때, 서버 저장부(210)는 전자 장치(100)의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Software) 별로 이용되는 명령 코드가 구분되도록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서버 제어부(220)는 전자 장치(100)에서,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따라, 이전에 생성된 적응 코드로부터 나타나는 상태 정보와 동일한 상태 정보에 대해, 이전에 생성된 적응 코드로부터 나타나는 결과 정보와 다른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에, 적응 코드에 변화된 결과 정보가 적용되도록 재적응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6은 도2의 전자 제어부에서 적응 코드에 재적응 코드를 적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전자 통신부(15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장치(200)로부터 적응 코드 또는 재적응 코드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전자 제어부(140)는 적응 코드의 결과 정보와 재적응 코드의 결과 정보에 대해 사전에 설정되는 비율에 따라, 재적응 코드에 의해 상태 정보로부터 변화되도록 설정된 결과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따라, 이전에 생성된 적응 코드로부터 나타나는 상태 정보와 동일한 상태 정보에 대해, 이전에 생성된 적응 코드로부터 나타나는 결과 정보와 다른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에, 해당 적응 코드를 일시적으로 격리할 수 있다.
전자 제어부(140)는 결정된 결과 정보를 적응 코드에 적용할 수 있으며, 전자 제어부(140)는 수정이 완료된 적응 코드의 격리 상태를 해제하여, 전자 장치(100)에서 해당 적응 코드에 따른 제어가 수행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상에서 진행되므로, 도 1의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방법은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600),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610), 상태 정보와 결과 정보를 서버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620) 및 적응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600)는 전자 장치(100)가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610)는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에 매칭되는 명령 코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며, 명령 코드의 수행에 따라 변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태 정보와 결과 정보를 서버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620)는 전자 장치(100)가 상태 정보와 결과 정보를 서버 장치(200)에 전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적응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630)는 서버 장치(200)가 상태 정보와 결과 정보를 수집하여, 전자 장치(100)의 상태가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경우에, 전자 장치(100)의 상태를 결과 정보에 따른 상태로 변화시키는 알고리즘을 나타내도록 적응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
100: 전자 장치
200: 서버 장치

Claims (8)

  1.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에 따라 명령 코드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를 이용한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에 매칭되는 명령 코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명령 코드의 수행에 따라 변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상태 정보와 상기 결과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상기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를 상기 결과 정보에 따른 상태로 변화시키는 알고리즘을 나타내도록 적응 코드를 생성하는 서버 장치를 포함하는,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따라, 이전에 생성된 상기 적응 코드로부터 나타나는 상태 정보와 동일한 상태 정보에 대해, 이전에 생성된 상기 적응 코드로부터 나타나는 결과 정보와 다른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적응 코드에 변화된 결과 정보가 적용되도록 재적응 코드를 생성하는,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응 코드의 결과 정보와 상기 재적응 코드의 결과 정보에 대해 사전에 설정되는 비율에 따라, 상기 재적응 코드에 의해 상태 정보로부터 변화되도록 설정된 결과 정보를 결정하는,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적응 코드를 전달받아 저장하되,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에 매칭되는 명령 코드는 수정 불가능하도록 저장하며,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적응 코드는 수정 가능하도록 저장하는,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
  5.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에 따라 명령 코드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를 이용한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에 매칭되는 명령 코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명령 코드의 수행에 따라 변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상태 정보와 상기 결과 정보를 서버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상태 정보와 상기 결과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상기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를 상기 결과 정보에 따른 상태로 변화시키는 알고리즘을 나타내도록 적응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따라, 이전에 생성된 상기 적응 코드로부터 나타나는 상태 정보와 동일한 상태 정보에 대해, 이전에 생성된 상기 적응 코드로부터 나타나는 결과 정보와 다른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적응 코드에 변화된 결과 정보가 적용되도록 재적응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적응 코드의 결과 정보와 상기 재적응 코드의 결과 정보에 대해 사전에 설정되는 비율에 따라, 상기 재적응 코드에 의해 상태 정보로부터 변화되도록 설정된 결과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적응 코드를 전달받아 저장하되,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에 매칭되는 명령 코드는 수정 불가능하도록 저장하며,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적응 코드는 수정 가능하도록 저장하는,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방법.

KR1020200094065A 2020-07-28 2020-07-28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학습하는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314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065A KR102314815B1 (ko) 2020-07-28 2020-07-28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학습하는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065A KR102314815B1 (ko) 2020-07-28 2020-07-28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학습하는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815B1 true KR102314815B1 (ko) 2021-10-20

Family

ID=78267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065A KR102314815B1 (ko) 2020-07-28 2020-07-28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학습하는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8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751A (ko) * 2015-06-19 2016-12-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방법, 이를 수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744998B1 (ko) * 2011-08-26 2017-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프로그래밍 제어모듈 및 이를 이용한 리프로그래밍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0190A (ko) * 2018-11-22 2020-05-2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
KR20200084294A (ko) * 2019-01-02 2020-07-10 (주)카네비컴 핫스팟 추출을 이용하여 코드 블록을 탐색하는 운용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운용 플랫폼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998B1 (ko) * 2011-08-26 2017-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프로그래밍 제어모듈 및 이를 이용한 리프로그래밍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49751A (ko) * 2015-06-19 2016-12-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방법, 이를 수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060190A (ko) * 2018-11-22 2020-05-2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
KR20200084294A (ko) * 2019-01-02 2020-07-10 (주)카네비컴 핫스팟 추출을 이용하여 코드 블록을 탐색하는 운용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운용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59074A1 (en) Inference server and environment controller for inferring via a neural network one or more commands for controlling an appliance
CN108293068A (zh) 诸如用于物联网设备(IoT)设备的测量交换网络
US7440735B2 (en) Virtual wireless transmitter
US9992613B2 (en) Method for connecting a field device to an operating unit and a field device
KR20190119967A (ko)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CN108518820A (zh) 空调器控制方法、终端、空调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A3035593A1 (en) Training server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redictive model for controlling an appliance
CN110057039B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588912A1 (en)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context information
CN110687815B (zh) 设备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JP2018077819A (ja) 人格に基づくサービス配信
CN105187480A (zh) 配置文件获取方法、装置及系统
KR102314815B1 (ko)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학습하는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 및 방법
US11144019B2 (en) Environment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 in an area based on concurrent BLE requests
US1098942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lectronic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CN114114933B (zh) 物联网设备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5182761B (zh) 指定操作触发方法及装置
US20210410226A1 (en) Environment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 in an area based on concurrent ble requests
CN113110655B (zh) 一种农产品智能监测方法和系统
CN112152885B (zh) 设备控制方法、装置、家电设备和遥控设备
US10321270B2 (en) Reverse-beacon indoor positioning system using existing detection fields
JP7252893B2 (ja) サウンド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90114966A (ko) 사용자 친화적 주거환경의 협업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네트워킹 방법
KR100873905B1 (ko) 지그비를 이용한 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90354877A1 (en) Method and environment controller for validating a predictive model of a neural network through interactions with the environment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