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190A -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190A
KR20200060190A KR1020190021991A KR20190021991A KR20200060190A KR 20200060190 A KR20200060190 A KR 20200060190A KR 1020190021991 A KR1020190021991 A KR 1020190021991A KR 20190021991 A KR20190021991 A KR 20190021991A KR 20200060190 A KR20200060190 A KR 20200060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data
iot device
virtualization
integrated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지만
허만우
김용민
이예나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00060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04L67/1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감지하고 플랫폼과 연결을 수립하는 가상화 디바이스 커넥터;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가상화 디바이스 모니터;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을 변환하여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 출력하는 가상화 디바이스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MANAGEMENT APPARATUS OF INTERNET OF THINGS DEVICE}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기종 사물인터넷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있는 사물인터넷 환경에 적용 가능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물인터넷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사물인터넷 시스템에서 제어하는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센서 또는 액추에이터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받은 명령에 따라 물리적인 동작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사물인터넷 서비스 사용자는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사물인터넷 시스템이 스마트해져감에 따라 각각의 사물인터넷 디바이스가 원격 서버로부터 명령어를 전달받거나 특정한 동작을 반복하기도 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는 다양하고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대량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정보와 이벤트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이기종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전송, 데이터 보안을 고려한 통합 관리 플랫폼이 필요하다.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플랫폼을 포그컴퓨팅 혹은 엣지컴퓨팅 기술과 접목한 프레임워크들이 제안되고 있다. 기존에는 적절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이웃 집합을 찾는 알고리즘을 내재한 온라인 비서 프레임워크가 제안된 바가 있다. 한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지연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컴퓨팅 자원의 적절한 분배가 가능하게 만든다.
포그컴퓨팅에서 오케스트레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워크가 제안된바 있다. 프레임워크는 정책 저장소, 정책 리졸버, 정책 결정자, 정책 수행자 등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모듈들을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그 밖에도 설정한 정책을 저장하고 불러오거나 사용자 인증 기능 및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국제 표준 oneM2M을 적용한 포그컴퓨팅 시스템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표준에 따른 메시지에 기반하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하고 저장소를 통해 관리하는 서버 프레임워크가 제안된바 있다.
포그컴퓨팅 시스템에 모니터링, 분석, 제어 세가지 프레임워크를 통합하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다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통합 플랫폼이 제안된바 있다.
ParaDrop 프레임워크는 엣지컴퓨팅 프레임워크 중 하나로, 개발자들에게 사용자 영역 내에 있는 컴퓨팅 리소스를 활용 가능하게 한다. 개발자들은 가상화된 컴퓨팅 리소스를 정책에 맞게 설계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존 연구들은 포그컴퓨팅 및 엣지컴퓨팅 기술과 접목하여 사용자 친화적이고 사용자에게 더 가까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 혹은 컴퓨팅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연구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와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 및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도 많이 제안되고 있으나, 해당 프레임워크에서 지원하는 디바이스 외에 적용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는 한정적이며, 이기종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가상화 기술을 통해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디바이스들을 플랫폼 상에서 가상화 디바이스(VoT)로 관리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가상화 기술을 통하여 이기종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감지하고 플랫폼과 연결을 수립하는 가상화 디바이스 커넥터;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가상화 디바이스 모니터;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을 변환하여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 출력하는 가상화 디바이스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상화 디바이스 커넥터는 상기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자원을 논리 자원으로 가상화하여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상기 가상화 디바이스 커넥터는 연결을 수립할 때, 연결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데이터 및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메타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가상화 디바이스 모니터는 상기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집하는 데이터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가상화 디바이스 컨트롤러는 상기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전달하고자 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 따라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가상화 디바이스 모니터를 통하여 수집되는 데이터 및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및 이벤트 정보의 시각화 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모니터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및 이벤트 정보를 조합하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간의 연계 관계 및 사용자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가상화 디바이스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모듈 업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는 여러 가지 기종의 사물인터넷 디바이스가 하나로 연결되는 환경에서 가상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플랫폼을 통해 기종에 상관없이 통합적으로 디바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은 사용자에게 연결된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 및 이벤트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수집된 정보에서 새로운 정보를 생성하거나 사용자 패턴을 추출하여 자동화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여러 기종의 디바이스를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이기종 디바이스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도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플랫폼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아비으 통합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1)는 복수개의 센서 또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2)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게이트웨이상에 위치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디바이스(2)들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1)를 통해 플랫폼 상에서 가상화 디바이스(VoT, Virtual Of Things)로 관리되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1)는 가상화 기술을 통하여 이기종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1)는 가상화 디바이스 관리자(10), 데이터 베이스(20), 데이터 모니터 모듈(30), 데이터 분석 모듈(40),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50) 및 모듈 업데이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상화 디바이스 관리장자치(10)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를 가상화 디바이스로 가상화하여 플랫폼상에서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상화 디바이스 관리자치(10)는 새로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의 연결 수립, 연결된 가상화 디바이스(2)에서 생성된 데이터 또는 이벤트의 모니터링, 연결된 가상화 디바이스(2)로의 제어 명령 전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화 디바이스 관리자(10)는 가상화 디바이스 커넥터(11), 가상화 디바이스 모니터(12), 가상화 디바이스 컨트롤러(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상화 디바이스 커넥터(11)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를 감지하고 플랫폼과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가상화 디바이스 커넥터(11)는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의 하드웨어 자원을 논리 자원으로 가상화하여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가상화 디바이스 커넥터(11)는 네트워크에 새로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가 연결되면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를 가상화하여 플랫폼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가상화 디바이스 커넥터(11)는 연결을 수립할 때, 연결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의 데이터 및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메타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가상화 디바이스 커넥터(11)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의 하드웨어적인 자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논리적인 자원으로 가상화하며 연결된 디바이스(2)의 데이터 및 이벤트 정보를 등록하여 플랫폼 상에서 이기종 디바이스(2)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메타 데이터는 리소스(resource), 데이터(data), 함수(Func)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타 데이터의 리소스, 데이터, 함수 정보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별로 다양한 구조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화 디바이스 커넥터(11)는 연결이 수립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2)별로 가상화 디바이스(VoT)를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가상화 디바이스 모니터(12)는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로부터 데이터 및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할 수 있다. 가상화 디바이스 모니터(2)는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집하는 데이터를 판별할 수 있다. 가상화 디바이스 모니터(2)는 주기적으로 연결된 디바이스(2)들로부터 데이터 및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디바이스(2)의 종류별로 데이터 구조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화 디바이스 모니터(12)는 가상화 디바이스 커넥터(11)를 통하여 연결되었을 때 데이터 베이스(20)에 저장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집된 데이터 및 이벤트 정보가 어떠한 정보인지 판별하여 데이터 베이스(2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화 디바이스 모니터(12)는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리소스, 데이터, 함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20)에 저장된 메타 데이터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메타 데이터를 전달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를 판별할 수 있다.
가상화 디바이스 컨트롤러(13)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을 변환하여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0)로 출력할 수 있다. 가상화 디바이스 컨트롤러(13)는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어명령을 전달하고자 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에 따라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가상화 디바이스 컨트롤러(13)는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을 통하여 입력된 제어명령을 전달 대상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0)에 적합하게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가상화 디바이스 컨트롤러(13)는 데이터 베이스(20)에 저장된 메타 데이터를 참조하여 제어명령을 변환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20)는 가상화 디바이스 모니터(12)를 통하여 수집되는 데이터 및 이벤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20)에 저장된 데이터 및 이벤트 정보는 데이터 모니터 모듈(30)을 통해 사용자가 생성된 데이터를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분석 모듈(40)을 통해 새로운 정보를 생성하거나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모니터 모듈(30)은 데이터 베이스(20)에 저장된 데이터 및 이벤트 정보의 시각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모니터 모듈(30)은 데이터 베이스(20)에 저장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모니터 모듈(30)은 저장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데 필요한 타임스탬프 기능 및 정렬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모니터 모듈(30)은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분석 모듈(40)은 데이터 베이스(20)에 저장된 데이터 및 이벤트 정보를 조합하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간의 연계 관계 및 사용자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할 수 있다. 즉, 데이터 분석 모듈(40)은 복수개의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에서 생성된 데이터 및 이벤트 정보를 조합하여 새로운 의미있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분석 모듈(40)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들의 사용 시간을 분석하여 유사한 시간대에 사용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를 분류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분석 모듈(40)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들의 전력 사용량을 분석하여 유사한 전력 사용 패턴을 나타내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들을 분류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분석 모듈(40)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들의 사용 시간을 분석하여 상시로 사용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와 특정 시간대에만 사용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을 분류하고, 사용자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 모듈(40)은 분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제어명령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분석 모듈(40)은 특정 시간대에 사용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를 그룹으로 분류하여 온오프할 수 있는 제어명령을 추천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분석 모듈(40)은 전력 사용량이 특정 기간에 집중될 때, 상시로 사용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의 전력을 오프할 수 있는 제어명령을 추천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 모듈(40)은 새로운 제어명령을 데이터 모니터 모듈(30)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데이터 분석 모듈(40)은 새로운 제어명령을 가상화 디바이스 컨트롤러(13)로 전달하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가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50)은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가상화 디바이스 컨트롤러(13)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를 제어하기 위하여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50)을 통해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50)은 사용자가 플랫폼과 연결되어 있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사용자는 저장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메타 데이터를 통해 실제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와 어떠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은 가상화 디바이스 컨트롤러(13)로 전송되어 디바이스(2)에 맞는 제어명령으로 변환되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로 전송된다.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50)은 다양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50)은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50)의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데이터 모니터 모듈(50)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모듈 업데이터(60)는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의 소프트웨어 모듈 업데이트를 확인할 수 있다. 모듈 업데이터(60)는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모듈 업데이터(60)는 주기적인 업데이트 외에 플랫폼에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에 결함이 생겼을 시 디바이스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수동으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데이터 모니터 모듈(60)을 통해 결함이 생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를 확인하고, 수동 업데이트를 통해 결함을 수정할 수 있다.
도3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면, 가상화 디바이스 커넥터(11)는 사물인터넷 플랫폼과 같은 네트워크에 새로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인 스마트 자물쇠(3), 스마트 전구(4), 스마트 의료기기(5)가 연결될 시 플랫폼과의 연결을 수립한다.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는 가상화 디바이스 관리자(10)를 통해 가상화되어 관리되며, 실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메타 데이터로 저장된다.
예를 들면, 스마트 자물쇠(3)의 메타 데이터 구조는 cpu, memory를 포함하는 리소스 정보, isLock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 Lock() 등을 포함하는 함수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전구(4)의 메타 데이터 구조는 cpu, memory를 포함하는 리소스 정보, ison, brightness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 Switch(), Adjusbright() 등을 포함하는 함수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의료기기(5)의 메타 데이터 구조는 cpu, memory를 포함하는 리소스 정보, heartrate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 GetHeartrate(), Alarm() 등을 포함하는 함수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이 수립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는 가상화 디바이스 관리자(10)를 통해 가상화하여 관리되기 때문에, 기종에 상관없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플랫폼 상에서 통합으로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가상화 디바이스 모니터(12)는 기종에 상관 없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이벤트 정보를 수집한다. 수집된 데이터 및 이벤트는 저장된 메타 데이터를 통해 실제 데이터로 해석되어 데이터 베이스(20)에 저장된다.
데이터 베이스(20)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는 데이터 모니터 모듈(30)을 사용하여 사용자 관점에서 편리하게 수집된 데이터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 모듈(40)은 수집된 데이터에서 새로운 의미있는 데이터를 생성해내거나, 사용자 패턴을 추출하여 자동화된 사물인터넷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분석 모듈(40)은 스마트 자물쇠(3)가 열리는 Lock(0)이벤트가 발생된 이후 스마트 전구(4)가 온되는 Switch(1)이벤트가 발생되면, 스마트 자물쇠(3)가 열린 후에는 스마트 전구(4)가 턴온된다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간의 연계관계와 사용자 패턴을 학습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 모듈(40)은 학습을 통하여 스마트 자물쇠(3)가 열린 이후 스마트 전구(4)를 턴온시킬 수 있는 제어명령을 사용자가 모니터링 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가상화 디바이스 컨트롤러(13)로 출력하여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직접 제어하려 할 때 디바이스 컨트롤러 모듈(50)을 사용한다. 디바이스 컨트롤러 모듈(50)은 저장되어 있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메타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가 특정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와 어떤 상호작용이 가능한지 표시한다. 가상화 디바이스 컨트롤러(13)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을 변환하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물리적인 자원을 가상화하여 플랫폼 상에서 논리적인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는 플랫폼에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데이터 및 이벤트 자원들을 논리적으로 표현하여 이기종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들에서 생성되는 자원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는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여러개의 센서와 액추에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와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하며, 수집된 정보를 통해 새로운 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디바이스를 연결하거나 연결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업데이트하고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감지하고 플랫폼과 연결을 수립하는 가상화 디바이스 커넥터;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가상화 디바이스 모니터;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을 변환하여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 출력하는 가상화 디바이스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 디바이스 커넥터는 상기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자원을 논리 자원으로 가상화하여 연결을 수립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 디바이스 커넥터는 연결을 수립할 때, 연결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데이터 및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메타 데이터로 저장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 디바이스 모니터는 상기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집하는 데이터를 판별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 디바이스 컨트롤러는 상기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전달하고자 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 따라 변환하여 출력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 디바이스 모니터를 통하여 수집되는 데이터 및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및 이벤트 정보의 시각화 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모니터 모듈을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및 이벤트 정보를 조합하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간의 연계 관계 및 사용자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을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가상화 디바이스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을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모듈 업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
KR1020190021991A 2018-11-22 2019-02-25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 KR202000601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45576 2018-11-22
KR1020180145576 2018-1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190A true KR20200060190A (ko) 2020-05-29

Family

ID=70912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991A KR20200060190A (ko) 2018-11-22 2019-02-25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01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7733A (zh) * 2020-07-11 2020-11-10 深圳新贝奥科技有限公司 基于集成平台的设备集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314815B1 (ko) * 2020-07-28 2021-10-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학습하는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 및 방법
WO2022059826A1 (ko) * 2020-09-18 2022-03-24 주식회사 포에스텍 디지털 트윈 환경 기반의 융합형 스마트-IoT 커넥티드 미들웨어 장치 및 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7733A (zh) * 2020-07-11 2020-11-10 深圳新贝奥科技有限公司 基于集成平台的设备集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314815B1 (ko) * 2020-07-28 2021-10-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학습하는 동적 재적응 코드 합성 시스템 및 방법
WO2022059826A1 (ko) * 2020-09-18 2022-03-24 주식회사 포에스텍 디지털 트윈 환경 기반의 융합형 스마트-IoT 커넥티드 미들웨어 장치 및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4789B2 (en) Data collection of event data and relationship data in a computing environment
US11636928B1 (en) Facilitating computerized interactions with EMRS
US10333861B2 (en) Modular cloud computing system
US11018959B1 (en) System for real-time collection, processing and delivery of data-telemetry
KR20200060190A (ko)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통합 관리 장치
US1142285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loud application optimization
CN106575243A (zh) 管理程序托管的虚拟机取证
US11967418B2 (en) Scalable and traceable healthcare analytics management
US20120054332A1 (en) Modular cloud dynamic application assignment
US9569251B2 (en) Analytics platform spanning a subset using pipeline analytics
US9929969B1 (en) Tenant-bas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s
CA3174819A1 (en) Dynamic automation of selection of pipeline artifacts
US8745503B2 (en) Graphical interface for managing server environment
CN113632112A (zh) 增强的集成模型多样性和学习
CN112486491A (zh) 页面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5051718B (zh) 用于监视-挖掘-管理循环的方法和系统
Parihar et al. From Smart Devices to Smarter Systems: The Evolu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ings (AIoT) with Characteristics, Architecture, Use Cases and Challenges
US2023040321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loud application optimization
US9354909B2 (en)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JP7389881B2 (ja) 資産変更事項のクラウド反映前の視覚化及び管理に対する方法及びこれをサポートする装置
US20230031872A1 (en) Enhanced platform and processes for scalability
US20220269523A1 (en) System and method of code execution at a virtual machine allowing for extendibility and monitoring of customized applications and services
US202203825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optimized intelligent product notifications
CN113449037B (zh) 基于ai的sql引擎调用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11797623B2 (en) Microapp recommendations for networked application function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04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108

Effective date: 2021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