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350B1 - 차량의 다중레벨 과전류 진단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다중레벨 과전류 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350B1
KR102314350B1 KR1020190160878A KR20190160878A KR102314350B1 KR 102314350 B1 KR102314350 B1 KR 102314350B1 KR 1020190160878 A KR1020190160878 A KR 1020190160878A KR 20190160878 A KR20190160878 A KR 20190160878A KR 102314350 B1 KR102314350 B1 KR 102314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current
driver
voltage value
value
referenc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0766A (ko
Inventor
조범철
장두진
이건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0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350B1/ko
Publication of KR20210070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9Testing of circuits in sensor or actuator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의 다중레벨 과전류 진단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은, 차량에 탑재되는 솔레노이드 구동을 위한 드라이버(driver)에 과전류 발생 시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으로서, 차량에 탑재되는 드라이버(driver)의 On을 감지하면, 과전류 감지 시간값을 0으로 설정하는 초기화 단계; 상기 드라이버에 인가되는 전류의 전압값이 멀티플렉서(multiplexer)에 저장된 둘 이상의 기준 전압값과 비교하는 과전류 비교단계; 상기 과전류 비교단계에서 검출된 드라이버의 전압값이 멀티플렉서 내부에 저장된 특정 기준 전압값을 초과할 경우, 과전류 감지 시간값을 가산하는 과전류 인식단계; 및 과전류 인식단계에서 가산되는 과전류 감지 시간값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값을 초과할 경우, 검출 플래그(detection flag)를 발생시킨 후, 해당 드라이버를 Off시키는 드라이버 일시정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다중레벨 과전류 진단방법{Multi-Level Overcurrent Inspecting Meth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솔레노이드 구동을 위한 드라이버(driver)의 과전류 발생 시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둘 이상의 기준 전압값이 저장된 멀티플렉서(multiplexer)를 이용하여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에서 각종 구동부의 제어 회로에 SCB(Short Circuit Battery)가 발생하면, 과전류가 감지되어 구동 드라이버를 Off시킨다. 예를 들어 흡기 밸브 또는 배기 밸브의 제어(예를 들면, VVT, Variable Valve Timing 제어)에 적용되는 솔레노이드의 구동을 제어하는 드라이버를 보호하기 위해, 도 1과 같은 회로를 구성하여 해당 솔레노이드 드라이버를 OFF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의 빨간색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전류가 과전류인지 아닌지의 판단은 SCB 레벨값(Ith)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때, 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전류가 과전류인지 아닌지의 판단 기준은, 특정 레벨(SCB(Short Circuit Battery) 레벨)로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SCB(Short Circuit Battery) 레벨이 높을 경우, 중부하 조건으로 장기간 동작 시 과열로 인한 영향이 시스템 전체에 미쳐서 시스템의 다양한 기능이 OFF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의 주황색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에 인가되는 전류가, 최종 임계 전류값(Ith)을 넘지 않으면서 중부하로 장기간 동작 시 과전류는 감지되지 않지만, 과열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배터리는 14V이나, 차량의 안정성에 대한 요구로 인해 자동차 메이커는 최대 19V까지의 배터리 전압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시스템 설계를 요구받고 있다. 즉, 겨울철 저온 상황에서 배터리 충전 상태의 변동으로 인해 배터리 전원이 급속히 높아지는 상황이 초래될 수 있고, 이러한 상황을 보증해야 하는 자동차 메이커 입장에서는 SCB 레벨을 높게 설정하여, 자동차 전압 시스템을 구현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높이게 된다. 그리고, SCB 레벨이 높게 설정되면 차량 전장부분의 문제로 인해 전장부품이 SCB 레벨에 가까운 값으로 작동되는 중부하 조건에서의 운전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로 인해 과열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열로 인한 문제가 해소되기 위해서는, 중부하 조건이 중지된 상태로부터 긴 회복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시스템에 따라 SCB 레벨 이하에서도 드라이버의 ON시간 별 드라이버를 OFF 해야하는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아날로그 비교기를 적용하여 구현할 경우, 레이아웃 사이즈가 크게 증가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42568호 (2005년 05월 10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탑재되는 솔레노이드 구동을 위한 드라이버(driver)의 과전류 발생 시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에 탑재되는 솔레노이드 구동을 위한 드라이버(driver)에 과전류 발생 시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으로서,
차량에 탑재되는 드라이버(driver)의 On을 감지하면, 과전류 감지 시간값을 0으로 설정하는 초기화 단계;
상기 드라이버에 인가되는 전류의 전압값이 멀티플렉서(multiplexer)에 저장된 둘 이상의 기준 전압값과 비교하는 과전류 비교단계;
상기 과전류 비교단계에서 검출된 드라이버의 전압값이 멀티플렉서 내부에 저장된 특정 기준 전압값을 초과할 경우, 과전류 감지 시간값을 가산하는 과전류 인식단계; 및
과전류 인식단계에서 가산되는 과전류 감지 시간값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값을 초과할 경우, 검출 플래그(detection flag)를 발생시킨 후, 해당 드라이버를 Off시키는 드라이버 일시정지단계;를 포함하는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멀티플렉서에는 순차적으로 높아지는 전압수치를 가지는 둘 이상의 기준 전압값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과전류 인식단계에서 특정 기준 전압값을 초과할 경우, 그 다음으로 높은 전압수치를 가지는 기준 전압값을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다음으로 높은 전압수치를 가지는 기준 전압값을 초과할 경우, 이 시점을 기준으로 과전류 감지 시간값을 가산할 수 있다.
또한, 그 다음으로 높은 전압수치를 가지는 기준 전압값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 최초 초과한 시점을 기준으로 과전류 감지 시간값을 가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드라이버 일시정지단계 수행 이후, 해당 드라이버의 검출 플래그(detection flag)가 삭제되면, 해당 드라이버를 On시키는 드라이버 재구동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에 탑재되는 솔레노이드 구동을 위한 드라이버(driver)에 과전류 발생 시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으로서,
차량에 탑재되는 드라이버(driver)의 On을 감지하면, 아날로그 비교기의 출력값, 멀티플렉서(multiplexer)의 선택값 및 과전류 감지 시간값을 0으로 설정하는 초기화 단계;
상기 드라이버에 인가되는 전류의 전압값을 멀티플렉서에 저장된 둘 이상의 기준 전압값과 비교하는 과전류 비교단계;
상기 과전류 비교단계에서 검출된 드라이버의 전압값이 멀티플렉서 내부에 저장된 특정 기준 전압값을 초과할 경우, 아날로그 비교기의 출력값을 1로 변환하고, 멀티플렉서의 선택값을 1로 변환하며, 과전류 감지 시간값을 가산하는 과전류 인식단계; 및
과전류 인식단계에서 가산되는 과전류 감지 시간값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값을 초과할 경우, 검출 플래그(detection flag)를 발생시킨 후, 해당 드라이버를 Off시키는 드라이버 일시정지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과전류 비교단계에서 검출된 드라이버의 전압값이 멀티플렉서 내부에 저장된 모든 기준 전압값에 미달될 경우, 아날로그 비교기의 출력값, 멀티플렉서(multiplexer)의 선택값 및 과전류 감지 시간값을 0으로 설정하는 재차 초기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멀티플렉서에는 순차적으로 높아지는 전압수치를 가지는 둘 이상의 기준 전압값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과전류 인식단계에서 특정 기준 전압값을 초과할 경우, 그 다음으로 높은 전압수치를 가지는 기준 전압값을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다음으로 높은 전압수치를 가지는 기준 전압값에 미달될 경우, 비교기의 출력값을 0으로 변환하고, 이 시점을 기준으로 과전류 감지 시간값을 가산할 수 있다.
이 경우, 그 다음으로 높은 전압수치를 가지는 기준 전압값에 미달될 경우, 비교기의 출력값을 0으로 변환한 후, 최초 초과된 기준 전압값과 재차 비교하여, 최초 초과된 기준 전압값을 지속적으로 초과할 경우, 해당 드라이버에 인가되는 전압값이 최초 초과된 기준 전압값과 그 다음으로 높은 전압수치를 가지는 기준 전압값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그 다음으로 높은 전압수치를 가지는 기준 전압값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 최초 초과한 시점을 기준으로 과전류 감지 시간값을 가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드라이버 일시정지단계 수행 이후, 해당 드라이버의 검출 플래그(detection flag)가 삭제되면, 해당 드라이버를 On시키는 드라이버 재구동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초기화 단계, 과전류 비교단계, 과전류 인식단계 및 드라이버 일시정지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차량에 탑재되는 각종 솔레노이드 구동을 위한 드라이버(driver)의 과전류 발생 시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과전류 방지를 위한 회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과전류 진단방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방지를 위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진단방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진단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진단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진단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이하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동일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방지를 위한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진단방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진단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진단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S100)은, 차량에 탑재되는 솔레노이드 구동을 위한 드라이버(driver)의 과전류 발생 시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초기화 단계(S110), 과전류 비교단계(S120), 과전류 인식단계(S130) 및 드라이버 일시정지단계(S14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초기화 단계(S110)에서는, 차량에 탑재되는 드라이버(driver)의 On을 감지하면, 과전류 감지 시간값을 0으로 설정한다.
과전류 비교단계(S120)에서는, 드라이버에 인가되는 전류의 전압값을 멀티플렉서(multiplexer, 120)에 저장된 둘 이상의 기준 전압값과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렉서(multiplexer, 120)에는, 순차적으로 높아지는 전압수치를 가지는 둘 이상의 기준 전압값이 저장되어 있다.
과전류 인식단계(S130)는, 상기 과전류 비교단계(S120)에서 검출된 드라이버의 전압값이 멀티플렉서 내부에 저장된 특정 기준 전압값을 초과할 경우, 과전류 감지 시간값을 가산한다.
구체적으로, 과전류 인식단계(S130)에서 특정 기준 전압값을 초과할 경우, 그 다음으로 높은 전압수치를 가지는 기준 전압값을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 후, 그 다음으로 높은 전압수치를 가지는 기준 전압값을 초과할 경우, 이 시점을 기준으로 과전류 감지 시간값을 가산하게 된다.
반면, 그 다음으로 높은 전압수치를 가지는 기준 전압값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 최초 초과한 시점을 기준으로 과전류 감지 시간값을 가산함이 바람직하다.
드라이버 일시정지단계(S140)는, 과전류 인식단계(S130)에서 가산되는 과전류 감지 시간값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값을 초과할 경우, 검출 플래그(detection flag)를 발생시킨 후, 해당 드라이버를 Off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S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 재구동 단계(S15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라이버 재구동 단계(S150)는, 드라이버 일시정지단계 수행 이후, 해당 드라이버의 검출 플래그(detection flag)가 삭제되면, 해당 드라이버를 On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언급한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S100)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탑재되는 드라이버(driver)의 On을 감지하면, 초기화 단계(S110)에서, 아날로그 비교기(110)의 출력값(Comp_out), 멀티플렉서(multiplexer, 120)의 선택값(SEL) 및 과전류 감지 시간값(Vth1_Period, Vth2_Period)을 0으로 설정하게 된다.
이후, 과전류 비교단계(S120)가 실시되게 되는데, 센싱전압인 Vsen 전압과 최초 기준 전압값(Vth1) 전압을 비교하여 센싱전압인 Vsen 전압이 최초 기준 전압값(Vth1) 보다 낮을 경우, 출력값(Comp_out), 선택값(SEL), 과전류 감지 시간값(Vth1_Period, Vth2_Period)을 0으로 초기상태로 변환시킨다.
반면, 센싱전압인 Vsen 전압이 증가하여 최초 기준 전압값(Vth1) 보다 커지면, 과전류 인식단계(S130)가 수행된다. 이때, 출력값(Comp_out)이 0에서 1로 변환되고, 선택값(SEL)도 0에서 1로 변환된다. 이 시점부터 최초 과전류 감지 시간값(Vth1_Period)이 가산(counting)되기 시작하며, 이와 동시에 센싱전압 Vsen 전압을 다음 기준 전압갑(Vth2)과 비교하여 만약 센싱전압 Vsen 전압이 다음 기준 전압값(Vth2) 전압보다 작으면 출력값(Comp_out)을 0으로 변환하고 가산(counting)된 과전류 감지 시간값(Vth1_Period)과 기준 시간값(T_Vth1_time)을 비교한다.
최초 과전류 감지 시간값(Vth1_Period)이 최초 기준 시간값(T_Vth1_time) 보다 작을 경우, T_SEL_1 시간(도 4의 주황색 그래프 참조) 이후에 선택값(SEL)이 1에서 0으로 변환되고, 다시 T_SEL_0 시간 이후에 센싱전압(Vsen)과 최초 기준 전압값(Vth1)을 다시 비교한다.
만약 과전류 감지 시간값(Vth1_Period)이 최초 기준 시간값(T_Vth1_time) 보다 클 경우, 드라이버 일시정지단계(S140)가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센싱 전압값(Vsen)이 최초 기준 전압값(Vth1)과 그 다음 기준 전압값(Vth2) 사이에 있는 것이라 판단한 검출 플래그(detection flag)가 발생되고, 해당 드라이버(Driver)는 OFF 된다. 그 후, detection flag가 사라지면 드라이버 재구동 단계(S150)가 수행되어, 해당 드라이버(Driver)는 다시 ON 된다.
또한, 센싱 전압값(Vsen)을 그 다음 기준 전압값(Vth2)과 비교했을 때 센싱 전압값(Vsen)이 기준 전압값(Vth2) 보다 크면 그 다음 과전류 감지 시간값 (Vth2_Period)이 가산(counting)되기 시작한다.
그 다음 과전류 감지 시간값(Vth2_Period)이 그 다음 기준 시간값(T_Vth2_time) 보다 작을 경우, 최초 과전류 감지 시간값(Vth1_Period)이 가산(counting)되고 다시 센싱 전압값(Vsen)과 그 다음 기준 전압값(Vth2)을 비교한다.(도 6 참조)
그 다음 과전류 감지 시간값(Vth2_Period)이 그 다음 과전류 기준시간값(T_Vth2_time) 보다 커진 경우, 센싱전압(Vsen)이 그 다음 기준 전압값(Vth2) 보다 크다고 판단한 검출 플래그(detection flag)가 발생되고, 해당 드라이버(Driver)는 OFF 된다. 그 후, detection flag가 사라지면 Driver는 다시 ON 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진단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과전류 진단방법에서는, 과전류 비교단계(S120)를 통해 비교되는 기준 전압값이 4개로 설정되어있다. 기준 전압값을 4개로 설정함으로써 보다 더 세분화된 다중 레벨 과전류 진단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순서도에서 처리되는 방법과 흐름은 앞서 설명한 진단방법과 동일하다. 기준 전압값을 2개로 할 경우, 3개로 할 경우, 4개로 할 경우 더 나아가 N개로 할 경우 역시 앞서 설명한 진단방법과 동일하다. 기준 전압값의 갯수를 설정함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 가능함은 물론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SCB(Short Circuit Battery) 레벨이 높을 경우, 중부하로 장기간 동작 시 과열로 인한 영향이 시스템 전체에 미쳐서 시스템의 다양한 기능이 OFF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열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긴 회복시간이 필요했으며, 시스템에 따라 SCB 레벨 이하에서도 드라이버의 ON시간 별 드라이버를 OFF 해야하는 필요성이 존재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드라이버에 인가되는 전류가, 최종 임계 전류를 넘지 않으면서 중부하로 장기간 동작 시 과전류는 감지되지 않고 과열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초기화 단계, 과전류 비교단계, 과전류 인식단계 및 드라이버 일시정지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차량에 탑재되는 솔레노이드 구동을 위한 드라이버(driver)의 과전류 발생 시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종래 기술에 따른 과전류 방지를 위한 회로도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방지를 위한 회로도
110: 비교기
120: 멀티플렉서(multiplexer)
S100: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
S110: 초기화 단계
S115: 재차 초기화 단계
S120: 과전류 비교단계
S130: 과전류 인식단계
S140: 드라이버 일시정지단계
S150: 드라이버 재구동 단계

Claims (10)

  1. 차량에 탑재되는 솔레노이드 구동을 위한 드라이버(driver)에 과전류 발생 시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으로서,
    차량에 탑재되는 드라이버(driver)의 On을 감지하면, 과전류 감지 시간값을 0으로 설정하는 초기화 단계(S110);
    상기 드라이버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검출된 전압값을 멀티플렉서(multiplexer, 120)에 저장된 둘 이상의 기준 전압값과 비교하는 과전류 비교단계(S120);
    상기 과전류 비교단계(S120)에서 검출된 드라이버의 전압값이 멀티플렉서 내부에 저장된 특정 기준 전압값을 초과할 경우, 과전류 감지 시간값을 가산하는 과전류 인식단계(S130); 및
    과전류 인식단계(S130)에서 가산되는 과전류 감지 시간값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값을 초과할 경우, 검출 플래그(detection flag)를 발생시킨 후, 해당 드라이버를 Off시키는 드라이버 일시정지단계(S140);를 포함하되,
    상기 멀티플렉서(120)에는 순차적으로 높아지는 전압수치를 가지는 둘 이상의 기준 전압값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과전류 인식단계(S130)에서 상기 검출된 드라이버의 전압값이 특정 기준 전압값을 초과할 경우, 그 다음으로 높은 전압수치를 가지는 기준 전압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검출된 드라이버의 전압값이 그 다음으로 높은 전압수치를 가지는 기준 전압값을 초과할 경우, 이 시점을 기준으로 과전류 감지 시간값을 가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그 다음으로 높은 전압수치를 가지는 기준 전압값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 최초 초과한 시점을 기준으로 과전류 감지 시간값을 가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은,
    드라이버 일시정지단계 수행 이후, 해당 드라이버의 검출 플래그(detection flag)가 삭제되면, 해당 드라이버를 On시키는 드라이버 재구동 단계(S1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
  5. 차량에 탑재되는 솔레노이드 구동을 위한 드라이버(driver)에 과전류 발생 시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으로서,
    차량에 탑재되는 드라이버(driver)의 On을 감지하면, 아날로그 비교기(110)의 출력값, 멀티플렉서(multiplexer, 120)의 선택값 및 과전류 감지 시간값을 0으로 설정하는 초기화 단계(S110);
    상기 드라이버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검출된 전압값을 멀티플렉서에 저장된 둘 이상의 기준 전압값과 비교하는 과전류 비교단계(S120);
    상기 과전류 비교단계(S120)에서 검출된 드라이버의 전압값이 멀티플렉서 내부에 저장된 특정 기준 전압값을 초과할 경우, 아날로그 비교기(110)의 출력값을 1로 변환하고, 멀티플렉서(120)의 선택값을 1로 변환하며, 과전류 감지 시간값을 가산하는 과전류 인식단계(S130); 및
    과전류 인식단계(S130)에서 가산되는 과전류 감지 시간값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값을 초과할 경우, 검출 플래그(detection flag)를 발생시킨 후, 해당 드라이버를 Off시키는 드라이버 일시정지단계(S140);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플렉서에는 순차적으로 높아지는 전압수치를 가지는 둘 이상의 기준 전압값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과전류 인식단계(S130)에서 상기 검출된 드라이버의 전압값이 특정 기준 전압값을 초과할 경우, 그 다음으로 높은 전압수치를 가지는 기준 전압값을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검출된 드라이버의 전압값이 그 다음으로 높은 전압수치를 가지는 기준 전압값에 미달될 경우, 비교기(110)의 출력값을 0으로 변환하고, 이 시점을 기준으로 과전류 감지 시간값을 가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비교단계(S120)에서 검출된 드라이버의 전압값이 멀티플렉서 내부에 저장된 모든 기준 전압값에 미달될 경우, 아날로그 비교기(110)의 출력값, 멀티플렉서(multiplexer, 120)의 선택값 및 과전류 감지 시간값을 0으로 설정하는 재차 초기화 단계(S1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그 다음으로 높은 전압수치를 가지는 기준 전압값에 미달될 경우, 비교기(110)의 출력값을 0으로 변환한 후, 최초 초과된 기준 전압값과 재차 비교하여, 최초 초과된 기준 전압값을 지속적으로 초과할 경우, 해당 드라이버에 인가되는 전압값이 최초 초과된 기준 전압값과 그 다음으로 높은 전압수치를 가지는 기준 전압값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그 다음으로 높은 전압수치를 가지는 기준 전압값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 최초 초과한 시점을 기준으로 과전류 감지 시간값을 가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은,
    드라이버 일시정지단계 수행 이후, 해당 드라이버의 검출 플래그(detection flag)가 삭제되면, 해당 드라이버를 On시키는 드라이버 재구동 단계(S1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과열을 방지하는 과전류 진단방법.
KR1020190160878A 2019-12-05 2019-12-05 차량의 다중레벨 과전류 진단방법 KR102314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878A KR102314350B1 (ko) 2019-12-05 2019-12-05 차량의 다중레벨 과전류 진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878A KR102314350B1 (ko) 2019-12-05 2019-12-05 차량의 다중레벨 과전류 진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766A KR20210070766A (ko) 2021-06-15
KR102314350B1 true KR102314350B1 (ko) 2021-10-19

Family

ID=76412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878A KR102314350B1 (ko) 2019-12-05 2019-12-05 차량의 다중레벨 과전류 진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3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3065B2 (ja) 1995-04-05 2000-06-19 富士電気化学株式会社 過電流検出回路
JP2001338810A (ja) * 2000-05-29 2001-12-07 Denso Corp ソレノイド駆動回路及びその使用方法
JP2013258549A (ja) * 2012-06-12 2013-12-26 Renesas Electronics Corp ドライバ回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891Y1 (ko) * 1993-03-29 1998-12-15 유채준 모터 제어용 과전류 차단회로
US5621603A (en) * 1995-07-26 1997-04-15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Pulse width modulated solenoid driver controller
KR20050042568A (ko) 2003-11-03 2005-05-10 주식회사 네오탑 자동차용 컴퓨터 전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3065B2 (ja) 1995-04-05 2000-06-19 富士電気化学株式会社 過電流検出回路
JP2001338810A (ja) * 2000-05-29 2001-12-07 Denso Corp ソレノイド駆動回路及びその使用方法
JP2013258549A (ja) * 2012-06-12 2013-12-26 Renesas Electronics Corp ドライバ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766A (ko)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91175B (zh) 半桥驱动器故障诊断系统和方法
US9644562B2 (en) Injector driving apparatus
KR102156698B1 (ko) 프리휠링 다이오드의 극성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차량용 액추에이터 회로 및 안전 장치
US10088882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having multiple power supply routes for microcomputer core
US11815043B2 (en) Method for detecting a short circuit across a load
US20130229019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starter of a vehicle
KR101835184B1 (ko) 차동 비교기를 포함하는 속력 센서 인터페이스
KR102314350B1 (ko) 차량의 다중레벨 과전류 진단방법
US10003188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active converter connected to an electric machine, and means for implementing same
KR102037344B1 (ko) Dc-dc 전압 컨버터를 위한 진단 시스템
JP2014004996A (ja) 車両用の人体保護手段のためのトリガ手段を識別するための方法、診断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トリガ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人体保護手段のためのトリガ手段を識別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トリガするための装置
CN107407711B (zh) 用于优化润湿电流的方法以及适配的用于监测具有接触开关的传感器的设备
US9097743B2 (en) Method for assessing the ripple of a signal
US20130088236A1 (en) Battery-monitoring device
CN108362969B (zh) 识别连接在电路端子上的负载的状态的方法和电路装置
US20200371149A1 (en) Method for checking an output stage for controlling a load
US998562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active bridge rectifier during load shedding, rectifier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90036454A1 (en) Control system for transitioning a dc-dc voltage converter from a buck operational mode to a safe operational mode utilizing a task deadline monitoring application
CN109739152A (zh) 单火线电子开关全波自给取电控制电路
KR20190054149A (ko) 얼터네이터의 전압 컨트롤러
JP4329083B2 (ja) 車載電気負荷の駆動装置
CN103287357B (zh) 车辆控制装置、车辆控制系统以及车辆控制方法
US10528409B2 (en) Watchdog monitoring system that utilizes a disable application to monitor operation of an enable application
US10291012B2 (en) High side output driver
US8489285B2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triggering personal protection means for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