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345B1 - 조명 스탠드의 회동구조 - Google Patents

조명 스탠드의 회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345B1
KR102314345B1 KR1020210017416A KR20210017416A KR102314345B1 KR 102314345 B1 KR102314345 B1 KR 102314345B1 KR 1020210017416 A KR1020210017416 A KR 1020210017416A KR 20210017416 A KR20210017416 A KR 20210017416A KR 102314345 B1 KR102314345 B1 KR 102314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stand
pivot
suppor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애
김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엘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엘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엘케이
Priority to KR1020210017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05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keying means, i.e. for enabling the assembling of component parts in distinctive positions, e.g. for preventing wrong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6Pivoted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스탠드의 회동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 스탠드의 회동 구조에 탄성의 수지 소재를 구비하여 회동되도록 형성하여, 조명부재를 다양한 각도로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고, 조명 스탠드의 조명 각도를 간편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 스탠드의 회동 구조에 의해 원활한 회동과 안정된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조명 스탠드의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명 스탠드의 사용수명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 스탠드의 회동구조 { Swivel structure of lighting stand }
본 발명은 조명 스탠드의 회동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명부재를 다양한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조명 각도를 간편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 스탠드의 회동 구조에 의해 원활한 회동과 안정된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조명 스탠드의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 스탠드는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데스크 등의 적절한 곳에 위치시켜 사용하는 조명기기이다.
이러한 조명 스탠드는 실내의 부족한 조명을 확보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하도록 사용되고 있으며, 조명 스탠드를 사용하는 장소 및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형태로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다.
상기한 조명 스탠드는 주로 전구 및 LED 등의 조명이 발광되도록 하는 조명부재와, 조명부재에 전원을 공급하고 조명의 점멸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스탠드 본체와, 조명부재와 스탠드 본체를 연결,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스탠드 본체와 연결된 지지부재에 고정된 조명부재의 구조상의 문제에 따라, 조명의 각도를 조절하기 어렵기 때문에, 조명 스탠드의 사용에 상당한 제약이 따르고 불편한 문제가 나타나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탠드 본체에 결합된 지지부재 및 조명부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과 장치 등이 제시되었다.
이와 같은 조명 스탠드의 회동 구조에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1399호의 발명의 명칭 ‘ 스탠드형 조명장치 ’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발명은 지지부의 회동시에 조명부를 항상 수평상태로 유지하여 최적의 조명상태를 유지하며, 탄성부에 의해 조명부의 복원력을 부여할 수 있고, 지지대의 조작만으로 조명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하부 링크부와 상부 링크부 사이에 탄성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각 링크부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며, 하부 링크부와 상부 링크부 사이의 탄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탠드형 조명장치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다른 종래의 선행기술문헌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0378호의 고안의 명칭 ‘ 조명 스탠드 ’는, 램프가 설치되는 조명부를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로 구분되도록 구성하고, 필요시 제1 조명부가 지지부의 길이를 연장하는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조명을 비출 수 있는 높이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조명 스탠드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조명 스탠드의 회동구조는,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구조를 통해 각도를 조절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명의 각도 조절이 불편하였으며, 조명부재가 일정한 고정 상태로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조명 스탠드의 회동하는 구조는, 그 회동하는 결합구조가 취약하기 때문에, 조명 스탠드의 잦은 사용 및 장기간의 사용과정에서 고장이나 파손 등의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조명 스탠드의 사용 수명을 현저하게 단축시키는 단점이 나타나는 실정이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명 스탠드의 회동 구조에 연질의 탄성 수지재를 구비하여 회동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조명부재를 다양한 각도로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 스탠드의 조명 각도를 간편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조명 스탠드의 회동 구조에 의해 원활한 회동과 안정된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조명 스탠드의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명 스탠드의 사용수명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조명을 발광되도록 하는 조명부재와, 조명부재에 전원을 공급하고 조명의 점멸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스탠드 본체와, 스탠드 본체에서 조명부재를 회동시키도록 하는 회동부재로 구성된 조명 스탠드의 회동구조에 있어서,
회동부재는 스탠드 본체에 체결, 고정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에서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대를 형성하되,
지지대는 하부를 스탠드 본체에 결합, 고정되도록 형성하고, 상부는 회동대와 체결되도록 원호 형태로 돌출된 체결부를 구비하고;
회동대는 상부는 조명부재에 결합되도록 형성하고, 하부는 지지대에 체결,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명 스탠드의 회동 구조에 연질의 탄성 수지재를 구비하여 회동되도록 형성하여, 조명부재를 다양한 각도로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고, 조명 스탠드의 조명 각도를 간편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 스탠드의 회동 구조에 의해 원활한 회동과 안정된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조명 스탠드의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명 스탠드의 사용수명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명 스탠드의 회동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조명 스탠드의 회동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회동부재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회동부재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구 및 LED 등의 광원을 조명으로 발광되도록 하는 조명부재(100)와, 조명부재(100)에 전원을 공급하고 조명의 점멸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스탠드 본체(200)와, 스탠드 본체(200)에서 조명부재(100)를 회동시키도록 하는 회동부재(300)로 구성된다.
상기 조명부재(100)는 전구 및 LED 등을 광원으로 구비하고, 일정 조도를 유지하여 조명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조명부재(100)는 별도의 회동수단을 구비하여, 조명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탠드 본체(200)는 조명부재(1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하고, 조명의 점멸 및 점등 시간의 제어와 조명 밝기의 조절 등을 입력, 조작하도록 하는 별도의 컨트롤 스위치 등의 입력 및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부재(300)는 스탠드 본체(100)에 체결, 고정되는 지지대(310)와, 지지대(310)에서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대(320)를 형성한다.
상기 지지대(310)는 하부를 스탠드 본체(200)에 결합, 고정되도록 형성하고, 상부 중앙부위는 회동대(320)와 체결되도록 원호 형태로 돌출된 체결부(311)를 형성한다.
상기 체결부(311)는 양측면에 일정 깊이로 요입된 요입홈(312)과, 요입홈(312)의 중앙으로 관통된 통공(313)과, 요입홈(312)에 요입, 체결되도록 한 회동편(314)을 형성한다.
상기 요입홈(312)은 외주 부위로 반원의 형태로 확장된 다수 개의 요홈(312a)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회동편(314)은 환 형태로서, 유연하고 탄성이 있는 POM 아세탈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양한 수지 소재로 적용, 활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회동편(314)은 일측면에 돌출된 돌출구(314a)와, 상기 요홈(312a)에 요입되는 돌기(314b)를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회동대(320)는 상부는 조명부재(100)에 결합되도록 형성하고, 하부는 지지대(310)에 체결, 회동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회동대(320)는 종 방향으로 결합, 조립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하고, 하부에 회동편(314)의 돌출구(314a)를 요입, 고정시키도록 하는 체결홈(321)과, 좌우 양측의 한 쌍으로 구비된 회동대(320)를 볼트, 결합시키도록 상하부에 각각 결합구(322, 323))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 결합구(322)는 일측의 회동대(320)에 볼트공(322a)을 구비하고, 타측의 회동대(320’)에는 볼트공(322a)으로 관통된 볼트를 체결하는 고정부(322b)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 결합구(323)는 일측의 회동대(320)에 하부 볼트공(323a)을 구비하고, 타측의 회동대(320’)에는 체결부(311)의 통공(313)으로 관통되도록 하여 내부로 볼트를 체결하는 관통부(323b)를 구비한다.
미설명 부호 B는 볼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명 스탠드의 회동구조의 회동부재(300)는 상부에는 조명부재(100)를 조립, 결합되도록 하고, 하부는 스탠드 본체(200)에 체결, 고정되도록 하여, 스탠드 본체(200)에서 전원을 연결, 차단하는 제어 및 입력수단을 이용하게 되면, 조명부재(100)의 전구 및 LED 등의 광원을 일정한 조도로 점등시키도록 한다.
회동부재(300)를 이용하여 조명의 각도를 조절할 경우, 회동대(32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회동대(320)의 체결홈(321)에 요입, 고정된 돌출구(314a)에 의해, 회동편(314)이 지지대(310)의 요입홈(312) 내에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지지대(310)의 체결부(311)에 조립, 결합된 회동대(320)를 이동시키게 되면, 요입홈(312)에 요입된 탄성 소재의 회동편(314)이 회동함으로써, 적절한 각도 및 위치에 조명부재(100)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유연하고 탄성이 구비된 회동편(314)의 돌기(314b)는 요입홈(312)의 외주 부위에 구비된 다수 개의 요홈(312a)로 요입되면서, 돌기(314b)와 요홈(312a)에 의해, 지지대(310)에서 회동대(320)를 회동시키고, 적정한 조명 각도로 이동하게 되면 정지, 고정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회동대(320)는, 상하부에 각각 구비된 결합구(322, 323))를 통하여, 상부 결합구(322)는 각각의 회동대(320, 320’)에 볼트공(322a)과 고정부(322b)를 이용하여 볼트 조립하게 되고, 하부 결합구(323)도 각각의 회동대(320, 320’)에 하부 볼트공(323a)과 통공(313)으로 관통된 관통부(323b)를 이용하여 볼트 조립하여, 견고한 조립 및 결합구조의 회동부재(300)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명 스탠드의 회동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명 스탠드의 회동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회동부재를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동부재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명부재 200 : 스탠드 본체
300 : 회동부재 310 : 지지대
311 : 체결부 312 : 요입홈
312a : 요홈 313 : 통공
314 : 회동편 314a : 돌출구
314b : 돌기 320 : 회동대
321 : 체결홈 322 : 상부 결합구
322a : 볼트공 322b : 고정부
323 : 하부 결합부 323a : 하부 볼트공
323b : 관통부

Claims (5)

  1. 조명을 발광되도록 하는 조명부재(100)와, 조명부재(100)에 전원을 공급하고 조명의 점멸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스탠드 본체(200)와, 스탠드 본체(200)에서 조명부재(100)를 회동시키도록 하는 회동부재(300)로 구성된 조명 스탠드의 회동구조에 있어서,
    회동부재(300)는 스탠드 본체(100)에 체결, 고정되는 지지대(310)와, 지지대(310)에서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대(320)를 형성하되,
    상기 지지대(310)는 하부를 스탠드 본체(200)에 결합, 고정되도록 형성하고, 상부 중앙부위는 회동대(320)와 체결되도록 원호 형태로 돌출된 체결부(311)를 구비하며;
    상기 회동대(320)는 상부는 조명부재(100)에 결합되도록 형성하고, 하부는 지지대(310)에 체결, 회동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지지대(310)의 체결부(311)는,
    양측면에 일정 깊이로 요입된 요입홈(312)과, 요입홈(312)의 중앙으로 관통된 통공(313)과, 요입홈(312)에 요입, 체결되도록 한 회동편(314)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요입홈(312)은 외주 부위로 반원의 형태로 확장된 다수 개의 요홈(312a)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편(314)은 환 형태로서, 일측면에 돌출된 돌출구(314a)와, 상기 요홈(312a)에 요입되는 돌기(314b)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동대(320)는,
    종 방향으로 결합, 조립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하되, 하부에 회동편(314)의 돌출구(314a)를 요입, 고정시키도록 하는 체결홈(321)과, 좌우 양측의 한 쌍으로 구비된 회동대(320)를 볼트, 결합시키도록 상하부에 각각 결합구(322, 323))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동대의 상부 결합구(322)는 일측의 회동대(320)에 볼트공(322a)을 구비하고, 타측의 회동대(320’)에는 볼트공(322a)으로 관통된 볼트를 체결하는 고정부(322b)를 형성하며;
    하부 결합구(323)는 일측의 회동대(320)에 하부 볼트공(323a)을 구비하고, 타측의 회동대(320’)에는 체결부(311)의 통공(313)으로 관통되도록 하여 내부로 볼트를 체결하는 관통부(323b)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스탠드의 회동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17416A 2021-02-08 2021-02-08 조명 스탠드의 회동구조 KR102314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416A KR102314345B1 (ko) 2021-02-08 2021-02-08 조명 스탠드의 회동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416A KR102314345B1 (ko) 2021-02-08 2021-02-08 조명 스탠드의 회동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345B1 true KR102314345B1 (ko) 2021-10-19

Family

ID=7822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416A KR102314345B1 (ko) 2021-02-08 2021-02-08 조명 스탠드의 회동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3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176A (ko) * 2005-03-23 2006-09-27 주식회사 홍미 스탠드 지지구
KR20100016917A (ko) * 2008-08-05 2010-02-16 (주)보광라이팅 가로등 회전 어셈블리
KR20100052010A (ko) * 2008-11-10 2010-05-19 (주)대림엘이디라이팅 조명기구의 조사각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176A (ko) * 2005-03-23 2006-09-27 주식회사 홍미 스탠드 지지구
KR20100016917A (ko) * 2008-08-05 2010-02-16 (주)보광라이팅 가로등 회전 어셈블리
KR20100052010A (ko) * 2008-11-10 2010-05-19 (주)대림엘이디라이팅 조명기구의 조사각도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5584B2 (en) Rotatable lighting fixture
US20070064415A1 (en) Portable light having multi-mode reflector
RU2581042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4400886B2 (ja) 室内照明灯
CN101995001B (zh) 铰链机构及使用该铰链机构的照明装置
JP4281517B2 (ja) 照明器具
KR102314345B1 (ko) 조명 스탠드의 회동구조
TWI471501B (zh) 燈具
KR20160017469A (ko) 각도조절 가능한 조명등
KR200482442Y1 (ko) 조명용 스탠드
KR101831898B1 (ko) 조명위치조정이 가능한 실내용 엘이디등기구
JP2023527522A (ja) 調光機構、車両ランプモジュール、車両ランプ、及び車両
US8641226B2 (en) Flashlight lamp rotation structure
KR101605611B1 (ko) 휴대용 랜턴
CN210373188U (zh) 一种led台灯
US20070091593A1 (en) Positionable flashlight with dual light sources
JP3707931B2 (ja) 可変配光型照明器具
CN213272278U (zh) 灯具调节环机构及led筒灯
CN219222274U (zh) 灯具
KR200313761Y1 (ko) 전기스탠드의 각도조절장치
WO2023013159A1 (ja) 可搬型電気機器
CN218409682U (zh) 一种射灯
JP3110930U (ja) 電気スタンド
KR101030383B1 (ko) Led 스탠드형 힌지
CN210345090U (zh) 可调式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