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147B1 -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147B1
KR102314147B1 KR1020190101691A KR20190101691A KR102314147B1 KR 102314147 B1 KR102314147 B1 KR 102314147B1 KR 1020190101691 A KR1020190101691 A KR 1020190101691A KR 20190101691 A KR20190101691 A KR 20190101691A KR 102314147 B1 KR102314147 B1 KR 102314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lter
fluid
fiber
outl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2324A (ko
Inventor
김중삼
조남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스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스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스엔텍
Priority to KR1020190101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147B1/ko
Publication of KR20210022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9/00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전처리하는 전처리부; 상기 전처리부로부터 전처리된 유체를 전달받고, 섬유여재에 유체를 통과시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를 포함하되, 상기 여과부는, 콘크리트구조부와, 상기 섬유여재로 마련되는 필터부와, 상기 섬유여재를 세척하는 세척부와, 상기 콘크리트구조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여과부의 세척시 역세척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필터부를 수용하는 외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부는, 유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유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유체가 상기 콘크리트구조부로 유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유입공이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부의 모서리에 2개의 측면과 1개의 저면을 구비하여 설치되고, 스크린 타입으로 마련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1차스크린부와, 상기 유출공이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부의 모서리에 2개의 측면을 구비하여 설치되고, 스크린 타입으로 마련되어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부로 유출되는 유체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2차스크린부와, 상기 유출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유출공과 상기 2차스크린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공에서 상기 유출공 방향으로 발생되는 단락류를 방지하는 도류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류벽부는, 하부 일측에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섬유여재는, 복수개의 판형으로 마련되어 단면이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과 수직하게 층을 이루도록 적층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유체가 유출되는 방향을 따라 섬유사의 굵기가 감소되도록 형성되어 적층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필터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역세척수를 분사하는 액체노즐과, 상기 필터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기체를 분사하는 기체노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역세공정에서 사용된 역세척수와 여과공정에서 여과된 물이 혼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르면, 여과공정에서 여과된 물와 사용된 역세척수가 혼합된 이후 여과장치를 빠져나와 우수관로로 유출됨으로써 방류수역이 오염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USING FIBER FILTER}
본 발명은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역세척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주거지, 도로, 주차장, 건축현장, 농지, 산림지, 건축현장, 매립장 등과 같이 오염물질의 배출지역이 광범위한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의 경우, 오염물질의 배출지점이 불분명하기 때문에 특정 시설에 별도의 처리장치를 설치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이러한 비점오염원을 근원으로한 오염물질은 광범위한 지표면에 잔존해 있다가 우천시 빗물과 함께 하천 또는 지하수 등으로 유입되어 심각한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비점오염을 해결하기 위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은 자연형과 장치형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중, 장치형은 다시 저감 방식에 따라 여과형, 와류형, 스크린형, 섬유여과형, 응집 침전 처리형, 생물학적 처리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섬유여과형 장치는 오염제거를 위해 섬유여재(纖維濾(過)材, fiber filter media)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오염수가 섬유여재를 통과함에 따라 오염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섬유여재에 걸러지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섬유여과형 장치의 운전은 여과공정과 역세공정으로 나누어진다. 여과공정에서는 여과펌프를 이용하여 압력차로 섬유여재 외부에서 내부로 여과를 실시한다. 역세 공정에서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공기 및 물을 이용하여 섬유 다발에 부착된 이물질을 1차적으로 이탈시킨 다음, 역세척수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최종적으로 세척, 배출하는 과정으로 실시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섬유여과형 장치는 섬유여재의 세척 후에 세척에 사용된 역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이 없는 바, 여과공정에서 여과된 물와 사용된 역세척수가 혼합된 이후, 여과장치를 빠져나와 우수관로로 유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역세척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전처리하는 전처리부; 상기 전처리부로부터 전처리된 유체를 전달받고, 섬유여재에 유체를 통과시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를 포함하되, 상기 여과부는, 콘크리트구조부와, 상기 섬유여재로 마련되는 필터부와, 상기 섬유여재를 세척하는 세척부와, 상기 콘크리트구조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여과부의 세척시 역세척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필터부를 수용하는 외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부는, 유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유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유체가 상기 콘크리트구조부로 유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유입공이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부의 모서리에 2개의 측면과 1개의 저면을 구비하여 설치되고, 스크린 타입으로 마련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1차스크린부와, 상기 유출공이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부의 모서리에 2개의 측면을 구비하여 설치되고, 스크린 타입으로 마련되어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부로 유출되는 유체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2차스크린부와, 상기 유출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유출공과 상기 2차스크린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공에서 상기 유출공 방향으로 발생되는 단락류를 방지하는 도류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류벽부는, 하부 일측에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섬유여재는, 복수개의 판형으로 마련되어 단면이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과 수직하게 층을 이루도록 적층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유체가 유출되는 방향을 따라 섬유사의 굵기가 감소되도록 형성되어 적층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필터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역세척수를 분사하는 액체노즐과, 상기 필터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기체를 분사하는 기체노즐을 포함하는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여과부는, 상기 필터부를 수용하며 상기 외벽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케이지부는, 일측면 및 타측면이 메쉬타입으로 마련되거나, 일측면 및 타측면에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마련되거나, 프레임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역세공정에서 사용된 역세척수와 여과공정에서 여과된 물이 혼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르면, 여과공정에서 여과된 물와 사용된 역세척수가 혼합된 이후 여과장치를 빠져나와 우수관로로 유출됨으로써 방류수역이 오염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심층여과가 실시되므로 여과 지속시간이 증대되는 동시에 여재폐색으로 인한 수두손실 증가가 최소화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부를 외벽부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유지 관리의 용이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처리부에서 여과부로 유체 유입시 단락류를 방지하여 전처리부에서의 이물질 침강 효율을 최대화 하고, 이물질의 여과부로의 유입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의 여과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의 여과부의 여과공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의 여과부의 역세공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의 필터부와 케이지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의 필터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의 전처리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의 여과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의 여과부의 여과공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의 여과부의 역세공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의 필터부와 케이지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의 필터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의 전처리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100)는 전처리부(110)와 여과부(120)와 기전부(130)를 포함한다.
전처리부(110)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 즉, 오염수가 후술하는 여과부(120)에 유입되기 전에 이를 전처리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여과부(120)에 연통된다.
전처리부(110)는 보다 상세하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1)와, 1차스크린부(112)와, 2차스크린부(113)과, 도류벽부(114)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1)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유체가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며 유체가 여과부(120)로 유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된다. 베이스부(111)는 통상적으로 콘트리트 구조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유체가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베이스부(111)의 유입공측에는 후술하는 1차스크린부(112)가 설치되며, 유출공측에는 후술하는 2차스크린부(113)가 설치된다. 한편, 베이스부(111)에는 잔류수 및 역세공정시 후술하는 여과부(120)에서 유입되는 역세수를 배제하기 위한 펌프가 설치되는데, 펌프는 후술하는 기전부(130)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1차스크린부(112)는 스크린 타입으로 마련되어 외부에서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제거하는 것으로서, 유입공 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1차스크린부(112)는 3개의 스크린으로 마련되어, 측면 2개, 저면 1개로 마련되어 유입공측 모서리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1차스크린부(112)는 상술한 바와 같은 스크린타입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매쉬타입 또는 타공판 타입으로도 마련될 수 있다.
2차스크린부(113)는 스크린 타입으로 마련되어 수용공간에서 여과부(120)로 유출되는 유체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제거하는 것으로서, 유출공 측에 설치된다. 2차스크린부(113)에 따르면, 1차스크린부(112)를 통과한 유체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여과부(120)로 유입되기 전에, 2차적으로 다시 한번 제거될 수 있다. 한편, 2차스크린부(113)는 상술한 바와 같은 스크린타입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매쉬타입 또는 타공판 타입으로도 마련될 수 있다.
도류벽부(114)는 철판 등으로 마련되어 유입공에서 유출공 방향으로 발생되는 단락류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2차스크린부(113)와 유출공 사이에 배치된다. 도류벽부(114)의 하측 부분에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류벽부(114)에 의하면, 전처리부(110)에서 여과부(120)로 유체 유입시 단락류가 방지되어 전처리부(110)에서의 이물질 침강 효율이 최대화 되고, 이물질의 여과부(120)로의 유입을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과부(120)는 상술한 전처리부(110)로부터 전처리된 유체를 전달받고, 섬유여재에 유체를 통과시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전처리부(110)에 연통된다.
여과부(120)는 보다 상세하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구조부(121)와, 필터부(122)와 세척부(123)와, 외벽부(124)와 케이지부(125)를 포함한다.
콘크리트구조부(121)는 여과부(120)의 외형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필터부(122)와 세척부(123)와 외벽부(124)와 케이지부(125)를 수용하며, 베이스부(111)에 형성된 유출구를 통해 유체를 전달받도록 마련되되,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작된 구조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러한 재질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콘크리트구조부(121)에는 잔류수 및 역세공정시 필요한 역세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가 설치되는데, 펌프는 후술하는 기전부(130)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필터부(122)는 섬유여재로 마련되어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케이지부(125)에 설치되며, 외벽부(124)에 수용된다. 이러한 필터부(122)에 따르면, 여과공정이 실시됨에 따라 유체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여과공정에 따라 여과된 유체는 후술하는 외벽부(124)를 따라 넘치게 되어, 외벽부(124)와 콘크리트구조부(121) 사이 공간으로 유출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22)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상호 마주하는 부분에서 후술하는 외벽부(124) 측을 따라 섬유여재의 굵기가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22)는 유체가 유입된 후, 유출되는 방향을 따라 섬유여재의 굵기가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122)는 장치의 용량 등에 따라 한쌍이 아닌 일측에만 설치되는 방식으로도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122)에 따르면, 섬유여재의 굵기에 따라, 심층여과가 실시되므로 여과 지속시간이 증대되는 동시에 여재폐색으로 인한 수두손실 증가가 최소화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필터부(122)에는 역세척시 필터부(122)를 인장 이완 시킬 수 있는 액추에이터 또는 장치내 수위 변동에 의해 작동 되는 인장 이완장치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액추에이터에 따르면, 역세척시 필터부(122)의 세척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세척부(123)는 상술한 필터부(122)를 구성하는 섬유여재를 세척하는 것으로서, 필터부(122)의 상측에 설치되어 역세척수를 분사하는 액체노즐(123a)과 필터부(122)의 하측에 설치되어 기체를 분사하는 기체노즐(123b)을 포함한다.
세척부(123)에서 분사되는 역세척수 및 기체에 따르면, 필터부(122)를 구성하는 섬유여재에 개재되는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부(124)는 여과부(120)의 세척시 역세척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필터부(122)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구조부(121) 내부에 배치되며, 상술한 전처리부(110)에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외벽부(124)에 따르면, 필터부(122)가 외벽부(124)에 의해 콘크리트구조부(121) 내부에서 다시 수용되기 때문에, 역세공정시 필터부(122)에서 개재된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척수가 여과공정에서 여과된 유체가 혼합되는 것이 방지된다.(여과공정에서 여과된 유체는 콘크리트구조부(121)와 외벽부(124) 사이에 수용됨) 이러한 외벽부(124)의 기능에 따르면, 여과공정에서 여과된 물와 사용된 역세척수가 혼합된 이후 여과장치를 빠져나와 우수관로로 유출됨으로써 방류수역이 오염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케이지부(125)는 필터부(122)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외벽부(124)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지부(125)에 따르면, 필터부(122)를 외벽부(124)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유지 관리의 용이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케이지부(12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22)로 유체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일측면 및 타측면이 메쉬타입으로 마련되거나, 일측면 및 타측면에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프레임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
기전부(130)는 콘크리트구조부(121) 및 베이스부(111)에 설치되는 펌프 및 잔류감지센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적인 장치, 역세척수 공급을 위한 파이프 및 밸브, 역세공정시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여과부(120)의 상측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 전처리부(110)와 여과부(120)와 기전부(1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100)에 따르면, 역세공정에서 사용된 역세척수와 여과공정에서 여과된 유체가 혼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르면, 여과공정에서 여과된 유체와 사용된 역세척수가 혼합된 이후 여과장치를 빠져나와 우수관로로 유출됨으로써 방류수역이 오염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100)에 따르면, 심층여과가 실시되므로 여과 지속시간이 증대되는 동시에 여재폐색으로 인한 수두손실 증가가 최소화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100)에 따르면, 필터부(122)를 외벽부(124)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유지 관리의 용이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100)에 따르면, 전처리부(110)에서 여과부(120)로 유체 유입시 단락류를 방지하여 전처리부(110)에서의 이물질 침강 효율을 최대화 하고, 이물질의 여과부(120)로의 유입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110 : 전처리부
111 : 베이스부
112 : 1차스크린부
113 : 2차스크린부
114 : 도류벽부
120 : 여과부
121 : 콘크리트구조부
122 : 필터부
123 : 세척부
123a : 액체노즐
123b : 기체노즐
124 : 외벽부
125 : 케이지부
130 : 기전부

Claims (5)

  1.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전처리하는 전처리부;
    상기 전처리부로부터 전처리된 유체를 전달받고, 섬유여재에 유체를 통과시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를 포함하되,
    상기 여과부는,
    콘크리트구조부와, 상기 섬유여재로 마련되는 필터부와, 상기 섬유여재를 세척하는 세척부와, 상기 콘크리트구조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여과부의 세척시 역세척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필터부를 수용하는 외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부는,
    유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유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유체가 상기 콘크리트구조부로 유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유입공이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부의 모서리에 2개의 측면과 1개의 저면을 구비하여 설치되고, 스크린 타입으로 마련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1차스크린부와, 상기 유출공이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부의 모서리에 2개의 측면을 구비하여 설치되고, 스크린 타입으로 마련되어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부로 유출되는 유체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2차스크린부와, 상기 유출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유출공과 상기 2차스크린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공에서 상기 유출공 방향으로 발생되는 단락류를 방지하는 도류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류벽부는,
    하부 일측에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섬유여재는,
    복수개의 판형으로 마련되어 단면이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과 수직하게 층을 이루도록 적층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유체가 유출되는 방향을 따라 섬유사의 굵기가 감소되도록 형성되어 적층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필터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역세척수를 분사하는 액체노즐과, 상기 필터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기체를 분사하는 기체노즐을 포함하는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필터부를 수용하며 상기 외벽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지부를 더 포함하는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부는,
    일측면 및 타측면이 메쉬타입으로 마련되거나, 일측면 및 타측면에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마련되거나, 프레임 구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5. 삭제
KR1020190101691A 2019-08-20 2019-08-20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2314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691A KR102314147B1 (ko) 2019-08-20 2019-08-20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691A KR102314147B1 (ko) 2019-08-20 2019-08-20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324A KR20210022324A (ko) 2021-03-03
KR102314147B1 true KR102314147B1 (ko) 2021-10-18

Family

ID=75151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691A KR102314147B1 (ko) 2019-08-20 2019-08-20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1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534B1 (ko) * 2023-03-24 2023-09-20 주식회사 에코스타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083B1 (ko) * 2006-02-24 2006-06-21 병 조 최 가변 필터 여과장치
KR101555257B1 (ko) * 2015-01-27 2015-09-24 주식회사 에코너지 부상성 입상여재를 이용한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904890B1 (ko) * 2018-05-30 2018-10-10 주식회사 대금지오웰 비점 오염 저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951A (ko) * 2014-05-30 2015-12-11 해동에이앤씨 유한회사 Geo-Textile 섬유필터 여재를 이용한 AOS TYPE 유수분리 및 초기우수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083B1 (ko) * 2006-02-24 2006-06-21 병 조 최 가변 필터 여과장치
KR101555257B1 (ko) * 2015-01-27 2015-09-24 주식회사 에코너지 부상성 입상여재를 이용한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904890B1 (ko) * 2018-05-30 2018-10-10 주식회사 대금지오웰 비점 오염 저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324A (ko) 202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275B1 (ko)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700931B1 (ko) 스크린과 섬유볼 여재의 역세척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136385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초기 우수 처리방법
KR101692678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여과 및 역세척 장치
KR101242378B1 (ko) 부유체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2371298B1 (ko) 자동 역세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2361496B1 (ko) 비점오염 여과장치
KR101736743B1 (ko) 자동 역세척 및 정체수 처리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자동 역세척장치
KR102314147B1 (ko)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2488107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2009847B1 (ko) 비점오염 저감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53163B1 (ko) 초기우수 내 오염물 및 합류식 하수관 내 오염물 처리장치
KR102116758B1 (ko) 빗물 전처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빗물 재이용 장치
KR102555069B1 (ko) 효율적인 역세척이 가능한 컴팩트한 구조의 비점오염 저감 시설 및 그 역세척 방법
KR100750598B1 (ko) 초기 우수 처리설비
KR101560158B1 (ko) 역세척 초기 우수 처리장치
CN107265568A (zh) 一种可清洗的循环过滤污水处理方法
KR101846252B1 (ko) 설비구조 및 여과기능을 개선시킨 비점오염원 단계별 저감장치
CN103566764B (zh) 一种道路清洗扫路车的回收污水循环再生利用装置及方法
KR101936331B1 (ko) 와류형 우수처리장치
KR101151908B1 (ko) 초기우수와 오염하천수를 동시에 처리 가능한 시설 및 그 처리방법
KR102198811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200220279Y1 (ko) 폐수처리용 여과장치
KR20230065482A (ko) 계단식 스크린을 구비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764721B1 (ko) 역세척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그 자동 역세척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