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0598B1 - 초기 우수 처리설비 - Google Patents

초기 우수 처리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0598B1
KR100750598B1 KR1020070003302A KR20070003302A KR100750598B1 KR 100750598 B1 KR100750598 B1 KR 100750598B1 KR 1020070003302 A KR1020070003302 A KR 1020070003302A KR 20070003302 A KR20070003302 A KR 20070003302A KR 100750598 B1 KR100750598 B1 KR 100750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edium
main body
rainwater
treatment facility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주)엔포텍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포텍,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filed Critical (주)엔포텍
Priority to KR1020070003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05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59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류나 부유물질 등이 비상월류수와 더불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구비되고 일측에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의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우수를 여과처리하기 위한 여재부, 상기 배출구 쪽 본체 바닥면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고 상기 여재부의 일단을 지지하는 유출웨어, 상기 유입구쪽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여재부의 일단을 지지하고 하단에는 유통로가 형성되어 우수를 상기 여재부와 본체 바닥면 사이로 유도하며 상단에는 우수가 월류되는 월류구가 형성된 내벽을 포함하는 초기 우수 처리설비를 제공한다.
여재부, 월류구, 방지판, 투수블럭, 포집판, 띠부재

Description

초기 우수 처리설비{STRUCTURE FOR TREATING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설비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설비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설비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설비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초기 우수 처리설비에 있어서 여재층의 오염 확인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여재층 오염 확인 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과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여재층 오염 확인을 위한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설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처리설비 11 : 본체
12 : 유입구 13 : 배출구
14 : 유출웨어 15 : 내벽
16 : 유통로 17 : 월류구
18 : 바스켓 20 : 여재부
21 : 함체 22 : 여재
23 : 홀 30 : 방지판
31 : 개방구 40 : 투수블럭
41 : 보조방지판 42 : 배출파이프
43 : 밸브 50 : 포집판
60,65,66 : 띠부재 61 : 여재입자
62 : 손잡이 63 : 리텐셔너
본 발명은 우수를 처리하기 위한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부유성 이물질의 월류를 방지하고 유지관리성을 높여 적절한 처리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초기 우수 처리설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분류식하수도의 보급이 진전됨에 따라 강우는 우수받이 및 우수관거 등 을 통해 포집되어 하천으로 그대로 방류되는 시스템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산업의 발달과 도시화의 진전으로 인하여 도시에서의 초기우수 유출수 특히 도로노면의 배수는 매우 오염상태가 심각한 상태로 여기에는 자동차의 운행으로 인한 타이어 가루, 자동차 매연, 대기오염으로 인한 각종 강하분진 등이 포함되어 있어 중금속과 최근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내분비계 장애물질(환경호르몬) 등이 고농도로 포함되어 있어 초기우수의 처리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최근 이용되고 있는 우수처리방식으로는 유입우수의 직선적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어 원심력에 의해 고형물을 침전시키거나, 스크린 등을 통해 조대한 고형물을 직접 거르는 형식의 처리방식과 소정의 오염물질을 거를 수 있는 여재층을 통과시키는 여과방식 등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에서 언급한 도로노면배수의 경우 그 입자가 매우 작아 스크린 및 원심력, 침전 등의 물리적 처리로는 처리효율이 매우 낮게 나타나 여과방식의 적용이 효율적이다. 이때의 여과방식은 처리수의 흐름을 여재의 하부에서 상부로 유도하는 상향류방식이 바람직한데, 이는 오염물질을 가급적 여층 깊이 침투시켜 여재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함이다.
그런데 종래 구조에 의하면 상향류방식은 유류 등과 같이 물보다 가벼운 물질은 여과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결과적으로는 강우량이 많아 처리용량 이상으로 유입될 경우 바이패스(By-pass;비상월류) 시킬 수밖에 없으며, 이때 처리되지 않은 유류 등은 무처리상태로 유출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오염물질이 여재 깊숙이 침투하지 못하고 여재 유입부에만 몰리는 경우 여재의 수명을 단축시켜 여재의 잦은 교체를 유발하게 되며, 여재케이싱부와 여재 내부의 오염물질 침투속도가 전혀 다른 양상을 보여 외부에서 여재의 잔존 수명을 관측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류나 부유물질 등이 비상월류수와 더불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초기 우수 처리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우 종료 후 처리설비 내의 수위를 낮출 수 있도록 하여 유지관리가 보다 용이한 초기 우수 처리설비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류 등 비중이 낮은 오염물질을 여재로 강제 공급하여 처리시킬 수 있도록 된 초기 우수 처리설비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재층의 내부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초기 우수 처리설비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처리설비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고 일측에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의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우수를 여과처리하기 위한 여재부, 상기 배출구 쪽 본체 바닥면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고 상기 여재부의 일단을 지지하는 유출웨어, 상기 유입구쪽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여재부의 일단을 지지하고 하단에는 유통로가 형성되어 우수를 상기 여재부와 본체 바닥면 사이로 유도하며 상단에 는 우수가 월류되는 월류구가 형성된 내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처리설비는 상기 내벽에 설치되어 월류구를 가로막고 하단이 개방되어 월류구와 연통되는 방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지판의 하단은 상기 월류구보다 아래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다량의 강우 유입에 따른 비상 월류시 유류 등과 같이 물보다 가벼운 오염물질이 상기 방지판에 의해 막혀 바로 상기 월류구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방지판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내벽과의 단면폭이 줄어드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처리설비는 상기 유출웨어의 하단에 상기 여재부와 본체 바닥면 사이로 유입된 우수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의 내부 수위를 적절히 낮출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유출웨어에 관통설치되는 배출파이프와, 상기 배출파이프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내부에 형성된 공극을 통해 우수가 유출되는 투수블럭일 수 있다.
또한, 본 처리설비는 상기 유출웨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부를 가로막고 하단은 개방되어 상기 배출부와 연통되는 부가방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여재부와 본체 바닥면으로 유입된 우수에 부유되는 유류 등의 오염물질이 배출부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처리설비는 상기 내벽의 하단에 설치되어 유통로의 상부를 가로막는 포집판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 내부의 수위 재상승시 우수에 부유되고 있는 유류 등의 오염물질은 상기 포집판에 의해 가로막혀 유통로를 통해 재 상승되지 못하고 상기 여재부로 강제 침투되어 처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처리설비는 상기 여재부 내부 오염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오염확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염확인부는 상기 여재부의 내부를 관통하고 소정길이로 연장된 띠부재와 상기 띠부재에 결합되는 여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띠부재는 상기 여재부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띠부재를 당겨 여재부 외측으로 인출하고 띠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여재의 상태를 확인함으로서 여재부 내부의 여재 오염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설비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설비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설비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설비(10)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고 일측면 상단에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2)가 형성되며 타측면 하단에는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3)가 설치된 본체(11)와, 상기 배출구(13)에서 이격되어 본체(11) 바닥면에 소정 높이로 수직설치되는 유출웨어(14), 상기 유입구(12)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본체(11) 내부에 수직설치되고 하단에는 유통로(16)가 형성되며 상단에는 우수가 월류되는 월류구(17)가 형성된 내벽(15), 상기 본체(11)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 이격되고 상기 유출웨어(14)와 상기 내벽(1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12)로 유입된 우수를 여과처리하기 위한 여재부(20), 상기 내벽(15)에 설치되어 월류구(17)를 가로막고 하단이 개방되어 월류구(17)와 연통되는 방지판(30), 상기 유출웨어(14)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내벽(15)의 유통로(16)를 통해 상기 여재부(20)와 본체(11) 바닥면 사이로 유입된 우수를 소량씩 배출시키기 위한 투수블럭(40), 상기 유출웨어(14)에 설치되어 상기 투수블럭(40)을 가로막고 하단은 개방되어 상기 투수블럭(40)과 연통되는 부가방지판(30), 상기 내벽(15)의 하단에 설치되어 유통로(16)의 상부를 가로막는 포집판(50), 상기 여재부(20) 내부 오염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오염확인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처리설비(10)는 상향류방식으로 유입구(12)를 통해 본체(11) 내부로 유입된 우수는 유통로(16)를 통해 여재부(20) 하부로 진행되어 여재부(20)를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하면서 여과처리되고 유출웨어(14)를 넘어 배출구(13)로 배출된다.
상기 본체(11)는 사각의 함체구조물로 중앙부에는 여재부(20)가 배치되며 양측면에 각각 유입구(12)와 배출구(13)가 설치된다.
상기 내벽(15)은 하단의 유통로(16)와 상단의 월류구(17)를 제외하고 상기 본체(11)를 수직으로 가로막는 구조물로 상기 유입구(12)를 통해 본체(11) 내로 유입된 우수는 유통로(16)를 통해 여재부(20)로 유입되거나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 월류구(17)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벽(15)과 본체(11) 사이에는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일차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형태의 바스켓(18)이 더욱 설치된다.
이에 우수는 스크린형태의 바스켓(18)을 거치면서 비교적 입자가 큰 이물질이 걸러진 후 유통로(16)를 통해 여재부(2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방지판(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류구(17)를 가로막는 판구조물로, 상단과 양 측단이 모두 막혀있고, 하단만이 개방되어 개방구를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지판(30)은 하단의 개방구가 상기 월류구(17)보다 상대적으로 밑에 위치하도록 하단이 월류구(17)를 지나 하부로 연장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우수의 유입이 많아져 비상월류가 이루어지는 경우 우수 상에 부유하고 있는 유류 등과 같은 부유성 오염물질은 월류구(17)를 막고 있는 방지판(30)에 의해 막혀 월류구(17)를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고 우수만이 방지판(30)의 하단 개방구를 통해 월류구(17)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방지판(30)의 하단에 형성되는 개방구의 면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지판(30)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방지판(30)과 내벽(15)과의 단면폭이 줄어드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개방구의 단면적을 최대한 작게 할 수 있게 되어 우수의 수위가 재상승할 때 상기 개방구를 통해 빠져나가는 유류 등의 오염물질 유출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여재부(20)는 상기 유출웨어(14)와 상기 내벽(15) 사이에 수평 배치되며 내부에는 여재가 충진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여재부(20)는 우수가 유입되는 격자형태의 함체(21)에 여재(22)가 충진되어 상기 유출웨어(14)와 내벽(15) 사이에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데, 이러한 구조 이외에 상기 유출웨어(14)와 내벽(15)에 설치되어 상하로 배치되는 타공판 사이에 여재가 충진된 구조 등 다양한 설치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여재부(20)의 상단은 상기 유출웨어(14)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하고 하단은 상기 내벽(15)의 유통로(16) 상단과 대응되는 높이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출웨어(14)는 그 상단이 상기 배출구(13)의 위치보다 높게 설치된 벽구조물로 우수는 여재부(20)를 지나 상기 유출웨어(14)의 상단을 넘어 배출구(13)로 흘러나가게 된다.
또한, 상기 유출웨어(14)의 하부에 설치되는 투수블럭(40)은 내부에 공극이 형성되어 공극 사이를 통해 우수가 매우 느린 유출속도로 흘러나갈 수 있는 구조로 상기 유출웨어(14)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본체(11) 내의 수위를 낮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바스켓(18) 등의 내부 설비의 유지관리가 보다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수블럭(40) 또한 보조방지판(41)에 의해 가로막혀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보조방지판(41)은 위에서 언급한 방지판(30)과 유사한 구조로, 상단과 양 측단이 모두 막혀있고, 하단만이 개방되어 개방구를 이루며, 상기 개방구는 상기 투수블럭(40)보다 상대적으로 밑에 위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투수블럭(40)을 통해 우수가 배출되는 경우에도 우수 상에 부유하고 있는 유류 등과 같은 부유성 오염물질은 상기 보조방지판(41)에 의해 막혀 투수블럭(40)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방지판(41) 또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보조방지판(41)과 내벽(15)과의 단면폭이 줄어드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집판(50)은 상기 내벽(15)의 유통로(16) 상단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판구조물로, 우수의 수위가 내벽(15)의 유통로(16) 아래로 낮아진 후 재 상승할 때 유통로(16)로 유입된 우수 상의 유류 등 오염물질을 막아 강제로 여재부(20)로 유입시키게 된다.
본 처리설비(10)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수블럭(40) 대신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출웨어(14)의 하단에 유출웨어(14)를 관통하는 배출파 이프(42)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파이프(42)에는 배출파이프(42)를 개폐하는 밸브(43)가 설치된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 상기 밸브(43)를 개방함으로서 상기 배출파이프(42)를 통해 우수를 배출시켜 수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배출파이프(42)는 선단이 아래로 절곡된 구조임이 바람직한데, 이는 우수 상에 부유하고 있는 유류 등의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5는 본 우수 처리설비(10)에 있어서 여재층의 오염 확인을 위한 오염확인부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7은 상기 오염확인부의 띠부재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상기 오염확인부는 상기 여재부(20)의 함체(21) 내부를 관통하여 소정길이로 연장된 띠부재(60)와 상기 띠부재(60)에 부착되는 오염확인용 여재입자(62)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여재부(20) 함체(21)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는 상기 띠부재(60)가 관통되는 홀(23)이 형성되어 상기 홀을 통해 띠부재(60)의 양단이 여재부(20) 함체(21) 내부를 지나 외측으로 인출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띠부재(60)는 유연성 있는 섬유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재질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띠부재(60)의 양 선단에는 상기 홀(23)에 걸리도록 하여 띠부재(60)의 이탈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62)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띠부재(60)를 일방향으로 당겨 여재부(20)의 함체(21) 외측 으로 인출하게 되면 여재부(20)의 함체(21) 내부에 있던 띠부재(60)가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띠부재(60)에 부착되어 있는 여재입자(61)의 상태를 확인함으로서 여재부(20) 내부의 여재 오염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오염확인부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염확인부는 여재부(20) 함체(21)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형성된 홀(23)을 통해 여재부(20) 내부를 관통하여 소정길이로 연장된 띠부재(60)와, 상기 띠부재(60)에 부착되는 오염확인용 여재입자(도 7의 61 참조), 상기 여재부(20)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띠부재(60)의 일단이 감겨지는 리텐셔너(63)를 포함한다.
상기 리텐셔너(63)는 하우징 내에 구비된 코일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풀려나간 띠부재(60)를 하우징 내부로 감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주지된 기술이므로 이하 그 자세한 구조에 대해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띠부재(60)의 자유단에는 손잡이(62)가 설치된다.
도 8과 도 9는 띠부재(60)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으로 도 8은 여재부 내의 여재와 대응되는 재료 그 자체로 이루어진 여재 지질의 섬유상 띠부재(65)를 도시하고 있고, 도 9는 내부에 여재입자(61)가 충진된 메쉬형태의 튜브구조로 된 띠부재(66)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도시된 구조 이외에 더욱 다양한 구조의 띠부재(60)가 본 오염확인부에 적용될 수 있으며, 띠 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인출시키는 구조면 모두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띠부재(60)를 통해 여재부(20) 내부의 여재(22)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여재(22)의 적정 교체 주기를 알 수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여재부(20)의 함체(21)에 여재(22)를 채우고 처리원수를 통과시키면 오염물질의 침투는 여재부(20) 벽면쪽과 중앙부에서 다른 양상을 보이게 된다. 즉 매끄러운 면이 있는 여재부(20) 벽면은 중앙부보다 빠르게 오염물질이 통과하게 되어 보다 조기에 폐색된다. 그러므로 우수가 벽면을 따라서 여과되지 않고 빨리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나 여재부 외부에서 내부의 상태를 알 수 없게 된다.
이에 여재부(20)의 중앙부에 상기와 같이 띠부재(60)를 여과방향에 따라 상하 혹은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설치함으로서, 일정기일 경과 후 상기 띠부재(60)를 여재부(20)로부터 당겨 인출하여 띠부재(60)에 부착된 여재입자(61)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여재부(20)를 적정하게 유지관리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띠부재(60)는 수동으로 양 선단을 잡아당기는 구조의 경우 일방향으로 당겨서 상태를 확인한 후 다시 반대방향으로 당겨 원위치 시킬 수 있으며, 리텐셔너(63)가 구비된 구조의 경우 띠부재(60)를 당기게 되면 코일스프링의 탄성복귀력이 띠부재(60)에 걸리게 되고 상기 띠부재(60)를 놓게 되면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띠부재(60)가 리텐셔너(63) 내부로 되감기면서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하, 본 처리설비의 작용에 대해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도면에 표시된 기름층은 우수에 부유하는 유류 등의 오염물질 이 이루는 층으로 이해할 수 있다.
유입구(12)를 통해 본 처리설비(10)의 본체(11) 내로 유입된 우수는 본체(11)와 내벽(15) 사이에 설치된 바스켓(18)을 지나면서 일차적으로 협잡물 등이 걸러진 후 내벽(15)의 유통로(16)를 통해 여재와 본체(11) 바닥면 사이로 유입된다.
그리고 여재부(20)를 거치면서 여재부(20) 내의 여재에 의해 여과 처리되고 처리된 우수는 유출웨어(14)를 넘어 본체(11)의 배출구(13)를 통해 배출처리된다.
다량의 우수가 계속 유입되어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우수는 내벽(15)의 상부에 형성된 월류구(17)를 통해 배출되는 데, 이 과정에서 상기 월류구(17)를 가로막고 있는 방지판(30)에 의해 우수에 부유하고 있는 유류 등의 오염물질의 유출이 방지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15)의 월류구(17)는 방지판(30)에 의해 가로막혀 있고 오직 방지판(30)의 하단 개방구를 통해서만 연통되어 있어서 우수 상에 부유하고 있는 유류 등의 오염물질은 방지판(30)에 의해 막히게 되고 오직 우수만이 상기 개방구를 통해 월류구(17)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량의 강우유입에 따른 비상월류시 유입된 유류 등과 같이 물보다 가벼운 오염물질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방지판(30)은 아래 개방구 쪽으로 갈수록 단면폭이 좁은 구조이므로, 수위 하강후 다시 수위가 상승할 경우에도 우수에 부유하고 있는 유류 등의 오염물질의 유출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입된 우수는 여재부(20)를 아래에서 위쪽으로 지나면서 여과 처리되며 강우 종료에 따라 우수의 유입이 중단되면 본체(11) 내부의 우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웨어(14)에 설치된 투수블럭(40)을 통해 천천히 배출되어 본체(11) 내에 잔존 수위를 낮추게 된다.
우수의 처리가 아래에서 위쪽으로 흐르는 상향류방식의 특징 중에 하나는 배출구(13)의 위치보다 유출웨어(14)의 높이가 높다는 점이다. 즉 여재부(20)의 상부로 처리수가 유출되기 때문에 유입되는 우수의 공급이 중단되면 처리설비(10)의 본체(11) 내부에는 여재부(20)의 상층부와 동일한 수위로 우수가 유지되어 평시에도 우수가 물이 차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 상향류방식의 설비의 경우 설비 내부에 우수가 차있어 유지관리가 곤란하며, 유입구(12) 쪽의 바스켓(18)도 상시 우수에 잠겨있어 유지관리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처리설비(10)는 상기와 같이 유출웨어(14)의 하단에 본체(11)의 유입구(12)와 배출구(13)를 직접 연결하는 투수블럭(40)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투수블럭(40)을 통해 우수를 천천히 배출시킴으로서 본체(11) 내부의 수위를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투수블럭(40)은 매우 느린 유출속도를 내는 공극을 갖은 구조물로, 청천시에 우수가 상기 투수블럭(40)을 통해 배출구(13)로 서서히 빠져나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우수에 부유하고 있는 유류 등의 오염물질은 상기 투수블럭(40)을 가로막고 있는 보조방지판(41)에 의해 막혀 유출이 방지된다.
즉, 유출웨어(14)의 투수블럭(40)은 보조방지판(41)에 의해 가로막혀 있고 오직 보조방지판(41)의 하단 개방구를 통해서만 연통되어 있어서 우수 상에 부유하고 있는 유류 등의 오염물질은 방지판(30)에 의해 막히게 되고 오직 우수만이 상기 개방구를 통해 투수블럭(40)으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청천시 수위를 낮추는 과정에서도 유류 등과 같이 물보다 가벼운 오염물질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2는 본 처리설비(10)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배출파이프(42)가 구비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배출파이프(42)가 구비된 구조 또한 배출파이프(42)에 설치된 밸브(43)를 개방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배출파이프(42)를 통해 본체(11) 내에 잔존하고 있는 우수가 천천히 배출되어 본체(11) 내부의 수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처리설비(10)는 청천시 본체(11) 내에 잔존하는 우수의 수위를 최대한 낮춤으로서 종래구조와 비교하여 설비 내부의 유지관리가 보다 수월해 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체(11) 내부 수위가 낮아진 이후 강우로 인해 수위가 재 상승하게 되면, 우수 상에 부유하고 있는 유류 등의 오염물질은 유통로(16) 상에 설치된 포집판(50)에 의해 강제로 여재부(20)로 투입되어 처리된다.
즉,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15)의 유통로(16)에 설치된 포집판(50)은 여재부(20) 하단에서 소정 길이 아래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여재부(20)와 본체(11) 바닥으로 유입된 우수의 수위가 점차적으로 상승되어 상기 포집판(50)까지 차오르게 되면, 우수 상에 부유하고 있는 유류 등의 오염물질은 상기 포집판(50)에 의해 가로막혀 본체(11)의 유입구(12)쪽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위가 계속 상승되면 우수 상의 오염물질은 여재부(20)로 강제 침투되는 것이다. 이후 지속적 강우유입으로 수위상승시 여과를 지속하게 되며 필터교체시 다른 오염물질과 함께 유류성분도 제거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수위 재 상승시 포집판(50)에 의해 여재부(20) 하단에서 포집판(50) 밑까지의 공간에 포집된 공기 또한 상기 포집판(50)에 의해 막혀 유입구(12) 쪽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여재부(20)를 통해서만 배출될 수 있는 데, 이에 따라 여재부(20)로 공기가 투입되어 오염물질 처리효과를 높이고 여재부(20)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작용효과를 얻게 된다.
즉, 여재부(20)에 여분의 공간을 두고 여재가 채워진 구조의 경우 본체(11) 내부의 우수의 수위가 낮아진 경우 습윤한 여재는 중력에 의해 가라앉았다가 우수의 유입시 상기 포집판(50)에 의해 포집된 공기의 부력으로 인하여 떠오르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때 여재의 교란에 의하여 오염물질이 여재부(20)에 깊게 침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재부(20) 내에 공간이 없이 여재가 채워진 구조의 경우에도 포집된 공기는 공기방울 형태로 여재의 간극사이로 빠져나가게 되며 이때 여재의 교란이 발생하고 오염물질에 의해 뭉쳐진 여재를(clogging 현상) 부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오염물질이 여재부(20) 깊숙이 침투하여 여재의 수명을 늘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작용효과는 정수시설 여과지에서 여재 표면의 오염물질에 의해 여재가 폐색될 경우 물세척과 공기세척을 함께 병행하여 세척효과를 늘려주는 현상과 유사한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처리설비에 의하면, 강우 유입에 따른 비상 월류시 유류 등과 같은 부유성 오염물질이 우수와 같이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서 오염물질 유출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향류 방식으로 우수 처리가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청정시 설비 내의 잔존 수위를 최대한 낮춰 내부 설비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잇점이 있다.
또한, 강우 유입에 따른 수위 재 상승시 유류 등의 부유성 오염물질을 강제로 여재부로 투입시켜 여과처리함으로서 수처리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강우 유입에 따른 수위 재 상승시 공기를 여재부로 투입시킬 수 있게 되어 공기에 의한 여재 세척작용으로 여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여재부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여재의 오염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여재의 적정한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13)

  1. 내부 공간이 구비되고 일측에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 바닥면에서 돌출되도록 수직설치되는 유출웨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직설치되고 하단에는 유통로가 형성되며 상단에는 우수가 월류되는 월류구가 형성된 내벽,
    상기 본체 바닥면에서 이격되고 상기 유출웨어와 상기 내벽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통로 유입된 우수를 여과처리하기 위한 여재부,
    상기 내벽에 설치되어 월류구를 가로막고 하단이 개방되어 월류구와 연통되는 방지판
    을 포함하는 초기 우수 처리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판의 하단은 상기 월류구 아래로 연장된 구조의 초기 우수 처리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판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내벽과의 단면폭이 줄어드는 구조인 초기 우수 처리설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웨어의 하단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내벽의 유통로를 통해 상기 여재부와 본체 바닥면 사이로 유입된 우수를 소량씩 배출시키기 위한 투수블럭을 포함하는 초기 우수 처리설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웨어에 설치되어 상기 투수블럭을 가로막고 하단은 개방되어 상기 투수블럭과 연통되는 부가방지판을 포함하는 초기 우수 처리설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웨어의 하단에 관통설치되어 상기 여재부와 본체 바닥면 사이로 유입된 우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파이프와, 상기 배출파이프에 설치되는 개폐용 밸브를 포함하는 초기 우수 처리설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의 유통로 상단에 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유통로의 상부를 차단하는 포집판을 포함하는 초기 우수 처리설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재부 내부 오염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오염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확인부는 상기 여재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연장된 띠부재와, 상기 띠부재에 결합되는 여재입자를 포함하는 초기 우수 처리설비.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여재부 외측면에 설치되어 내부의 코일스프링의 탄성복귀력으로 상기 띠부재의 일단이 감겨지는 리텐셔너를 포함하는 초기 우수 처리설비.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재부 내부 오염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오염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확인부는 상기 여재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여재와 대응되는 재질로 이루어진 섬유상 띠부재를 포함하는 초기 우수 처리설비.
  12.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재부 내부 오염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오염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확인부는 상기 여재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메쉬형태의 튜브구조로 된 띠부재와, 상기 띠부재 내부에 충진되는 여재입자를 포함하는 초기 우수 처리설비.
  13. 내부 공간이 구비되고 일측에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 바닥면에서 돌출되도록 수직설치되는 유출웨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직설치되고 하단에는 유통로가 형성되며 상단에는 우수가 월류되는 월류구가 형성된 내벽,
    상기 본체 바닥면에서 이격되고 상기 유출웨어와 상기 내벽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통로 유입된 우수를 여과처리하기 위한 여재부,
    상기 여재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연장된 띠부재와, 상기 띠부재에 결합되는 여재입자
    를 포함하는 초기 우수 처리설비.
KR1020070003302A 2007-01-11 2007-01-11 초기 우수 처리설비 Expired - Fee Related KR100750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302A KR100750598B1 (ko) 2007-01-11 2007-01-11 초기 우수 처리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302A KR100750598B1 (ko) 2007-01-11 2007-01-11 초기 우수 처리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0598B1 true KR100750598B1 (ko) 2007-08-20

Family

ID=38614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302A Expired - Fee Related KR100750598B1 (ko) 2007-01-11 2007-01-11 초기 우수 처리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059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019B1 (ko) 2008-10-13 2011-01-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합류식 하수도 월류수 처리를 위한 고속여과장치
KR101167963B1 (ko) 2009-09-22 2012-07-24 주식회사 일도엔지니어링 초기 우수에 포함된 오일과 슬러지를 중력에 의해 부상, 침전 및 여과시켜 처리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
CN103061404A (zh) * 2013-01-28 2013-04-24 戴文平 一种雨水分离调蓄系统的泄水装置
CN105464200A (zh) * 2015-11-10 2016-04-06 河南科技学院 一种城市绿地雨水资源储存装置
CN105756183A (zh) * 2016-04-19 2016-07-13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截流井斜置浮动拦渣装置
CN118704587A (zh) * 2024-07-22 2024-09-27 湖南省建筑设计院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雨水导流控制设备及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346B1 (ko) * 2003-07-08 2004-03-24 대현산업주식회사 오폐수 내의 협잡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346B1 (ko) * 2003-07-08 2004-03-24 대현산업주식회사 오폐수 내의 협잡물 제거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019B1 (ko) 2008-10-13 2011-01-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합류식 하수도 월류수 처리를 위한 고속여과장치
KR101167963B1 (ko) 2009-09-22 2012-07-24 주식회사 일도엔지니어링 초기 우수에 포함된 오일과 슬러지를 중력에 의해 부상, 침전 및 여과시켜 처리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
CN103061404A (zh) * 2013-01-28 2013-04-24 戴文平 一种雨水分离调蓄系统的泄水装置
CN103061404B (zh) * 2013-01-28 2014-04-09 戴文平 一种雨水分离调蓄系统的泄水装置
CN105464200A (zh) * 2015-11-10 2016-04-06 河南科技学院 一种城市绿地雨水资源储存装置
CN105464200B (zh) * 2015-11-10 2018-01-09 河南科技学院 一种城市绿地雨水资源储存装置
CN105756183A (zh) * 2016-04-19 2016-07-13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截流井斜置浮动拦渣装置
CN118704587A (zh) * 2024-07-22 2024-09-27 湖南省建筑设计院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雨水导流控制设备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275B1 (ko)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49567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및 비점오염 물질 저감방법
KR100750598B1 (ko) 초기 우수 처리설비
KR102373598B1 (ko) 처리수를 활용한 역세척 기능이 구비되는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2291065B1 (ko) 공간절감형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고효율 역세척 방법
KR101666864B1 (ko)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20120081116A (ko) 우수 여과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936331B1 (ko) 와류형 우수처리장치
JP5368142B2 (ja) 合流式下水道における越流水の処理システム
KR100825944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479462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136385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초기 우수 처리방법
KR101878395B1 (ko) 강우수 정화장치
KR101334884B1 (ko)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2488107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904287B1 (ko)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KR101053674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090033680A (ko) 우수처리시스템 및 우수처리방법
KR100605267B1 (ko) 우수처리장치
KR101138988B1 (ko) 자연친화적으로 설계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994248B1 (ko) 수처리 시스템
KR100762981B1 (ko) 도수로의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0975144B1 (ko) 다공성 여재를 이용한 하천수 여과장치
KR20010082482A (ko) 하상여과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