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722B1 -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 Google Patents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722B1
KR102313722B1 KR1020200183890A KR20200183890A KR102313722B1 KR 102313722 B1 KR102313722 B1 KR 102313722B1 KR 1020200183890 A KR1020200183890 A KR 1020200183890A KR 20200183890 A KR20200183890 A KR 20200183890A KR 102313722 B1 KR102313722 B1 KR 102313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body
power generation
floating
photovoltaic power
floa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식
김용영
신현수
이동엽
김병진
성연준
Original Assignee
(주)테크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윈 filed Critical (주)테크윈
Priority to KR1020200183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722B1/ko
Priority to US17/157,167 priority patent/US11312456B1/en
Priority to JP2021028163A priority patent/JP7054959B1/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횡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주부력체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부력체를 포함하되 종 방향으로 배열된 2 이상의 단위 라인; 상기 주부력체의 저면이 상기 보조부력체의 저면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상기 주부력체 및 상기 보조부력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인접한 상기 단위 라인에 포함된 2 이상의 상기 보조부력체를 종 방향으로 연결하는 발판;을 포함하고, 상기 주부력체 및 상기 보조부력체의 적어도 일 말단은 각각 이들 중 2 이상을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 말단에 구비된 제3 체결부를 포함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A FLOATING STRUCTURE FOR SOLAR POWER GENERATING ON WATER}
본 발명은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는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전기화학소자이다.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발전시키는 최소 단위를 셀(cell)이라 하고, 복수의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태양광 모듈이라 한다.
태양광 발전소는 복수의 태양광 모듈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상태로 장착된 구조물의 집합체이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소는 일반적으로 육상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막대한 부지구입 및 시공 비용이 소요되고, 주로 야산을 깎아 부지로 사용하게 되므로 환경이 파괴된다. 또한, 육상에 설치하게 되면 여름철의 경우 지열에 의해 태양광 모듈이 가열되어 태양광 모듈들이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없고, 이는 태양광 모듈의 발전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태양광 모듈을 호수, 강, 연못, 댐, 해양 등의 수상에 설치하는 수상태양광 발전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수상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부표와 함께 수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태양광 모듈이 배치된 복수의 수상태양광 발전 부유 구조물을 이용한 발전시스템이다.
상기 부유 구조물들은 서로 견고한 상태로 연결되어야 한다. 상기 부유 구조물은 태양광 모듈을 고정한 상태로 수면에 떠있는 태양광 모듈 고정용 주부력체와, 상기 주부력체의 부력을 보완하고 필요 시 태양광 모듈의 주변을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수면에 설치되는 보조부력체를 포함하며, 상기 주부력체 및 상기 보조부력체는 소정의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주부력체 및 상기 보조부력체는 그 중 일부가 물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연결된 부력체들이 이루는 내측 공간에는 물이 가둬지게 된다. 이러한 내측 공간에 갇힌 물은 이동, 흐름, 순환 등이 차단되므로 상기 내측 공간으로 유입된 오염물이 상기 내측 공간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정체되는 문제가 있고, 이러한 오염물이 태양광 모듈에 부착되는 경우 에너지 생산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온이 상승하는 하절기의 경우, 태양광 모듈의 온도 상승 및 주변 복사열의 증가로 인해 수상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이루는 부력체의 인접부에 녹조가 발생, 심화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러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해상에 적용되는 경우, 호수, 저수지와 같은 담수에 적용된 경우에 비해 기후 변화, 파도의 강도, 높이 등에 따라 태양광 모듈을 지지하는 부력체에 인가되는 하중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통상 플라스틱 또는 합성 수지로 제조된 부력체가 파도와 같은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 손상될 우려가 있고, 상기 부력체가 크게 파손되는 경우 태양광 모듈에 제공되는 부력, 지지력이 상실되어 태양광 모듈이 수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상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주변에 발생할 수 있는 환경 오염의 우려를 불식시킴과 동시에, 외력에 대한 저항성, 내구성이 개선된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횡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주부력체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부력체를 포함하되 종 방향으로 배열된 2 이상의 단위 라인; 상기 주부력체의 저면이 상기 보조부력체의 저면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상기 주부력체 및 상기 보조부력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인접한 상기 단위 라인에 포함된 2 이상의 상기 보조부력체를 종 방향으로 연결하는 발판;을 포함하고, 상기 주부력체 및 상기 보조부력체의 적어도 일 말단은 각각 이들 중 2 이상을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 말단에 구비된 제3 체결부를 포함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부력체의 저면은 상기 단위 라인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요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부력체의 저면은 상기 단위 라인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요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요입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은 상기 보조부력체의 저면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단위 라인에 포함된 상기 주부력체 및 상기 보조부력체를 횡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체결부의 연장선과 상기 지지부가 이루는 각도(θ)는 90°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인접한 상기 단위 라인을 종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중 상기 주부력체 및 상기 보조부력체와 대향하는 양 측단은 각각 상호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ㄷ자형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체결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 면은 적어도 하나의 요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길이가 상이한 2 이상의 금속판이 적층된 리프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중심부에서 양 말단 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수지제 리프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판 및 상기 보조부력체는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4 체결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체결부 중 2 이상이 중첩된 부위에 삽입되고, 제1 헤드부, 생크부(shank) 및 제1 나사부(thread)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헤드부, 생크부(shank) 및 제1 나사부(thread)를 관통하는 중공의 내벽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중공의 원주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2 이상의 보강리브가 구비된 연결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은 상기 생크부의 외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생크부를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직경은 상기 제1 나사부의 직경보다 클 수 있고, 상기 보강부재의 일 말단은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면서 상기 제1 나사부까지 연장된 테이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타 말단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핀의 상기 제1 헤드부를 보강하는 보강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은 상기 보강리브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생크부를 보강하는 코어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어보강재는 제2 헤드부 및 상기 제2 헤드부에서 연장된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드부 중 상기 제1 내지 제3 체결부 중 적어도 하나와 대향하는 면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은 상기 제1 나사부에 체결된 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너트 중 상기 제1 내지 제3 체결부 중 적어도 하나와 대향하는 면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의 내주면은 제2 나사부 및 상기 제2 나사부보다 직경이 큰 평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은, 주부력체, 보조부력체, 상기 주부력체의 저면이 상기 보조부력체의 저면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상기 주부력체 및 상기 보조부력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2 이상의 단위 라인이 병렬 배치되고, 인접한 상기 단위 라인에 포함된 2 이상의 상기 보조부력체를 상호 연결하는 발판을 포함함으로써, 수상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주변에 발생할 수 있는 환경 오염의 우려를 불식시킴과 동시에, 외력에 대한 저항성,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의 각 구성을 체결하는 연결핀 및 상기 연결부재의 소재, 구조 등을 통해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의 외력에 대한 저항성, 내구성을 더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A-A' 방향에서 바라본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 방향에서 바라본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C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2의 D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 방향에서 바라본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9의 C'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지지부를 나타낸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을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의 보강부재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연결핀을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연결핀을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와 코어보강재를 포함하는 연결핀을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 및 너트를 나타낸다.
도 20은 도 11의 E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은, 횡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주부력체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부력체를 포함하되 종 방향으로 배열된 2 이상의 단위 라인; 상기 주부력체의 저면이 상기 보조부력체의 저면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상기 주부력체 및 상기 보조부력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인접한 상기 단위 라인에 포함된 2 이상의 상기 보조부력체를 종 방향으로 연결하는 발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주부력체 및 상기 보조부력체의 적어도 일 말단은 각각 이들 중 2 이상을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재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 말단에 구비된 제3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방향에서 바라본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은, 횡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주부력체(10)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부력체(20)를 포함하되 종 방향으로 배열된 2 이상의 단위 라인(U)이 병렬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주부력체(10)의 저면이 상기 보조부력체(20)의 저면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상기 주부력체(10) 및 상기 보조부력체(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0) 및 를 포함할 수 있고, 인접한 상기 단위 라인(U)에 포함된 2 이상의 상기 주부력체(10) 및/또는 보조부력체를 종 방향으로 연결하는 발판(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부력체(10)는 그 상부에 설치되는 태양광 모듈을 고정, 지지하는데 필요한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주부력체(10)의 적어도 일 말단은 후술할 연결핀이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체결부(10a, 도 11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부력체(20)는 그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발판(40)을 고정, 지지하는데 필요한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보조부력체(20)의 저면은 상기 주부력체(10)의 저면보다 h1 만큼 높게 위치할 수 있고, 상기 h1은 상기 주부력체(10) 및 상기 보조부력체(20)의 건현을 확보할 수 있는 범위로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부력체(20)는 그 저면이 (해)수면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위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보조부력체(20)와 (해)수면 사이의 공간(도 1의 경로 (1))으로 물 및/또는 공기가 이동, 순환될 수 있다. 상기 보조부력체(20)의 적어도 일 말단은 후술할 연결핀이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체결부(20a, 도 11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부력체(10) 및 상기 보조부력체(20)의 규격, 소재, 형태, 구조 등은 상호 동일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주부력체(10)의 저면이 상기 보조부력체(20)의 저면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단일의 상기 단위 라인(U)에 포함된 상기 주부력체(10) 및 상기 보조부력체(20)를 횡 방향으로 연결하고/연결하거나, 단일의 상기 연결부재(30)는 인접한 2 이상의 상기 단위 라인(U)을 종 방향으로 연결하되 상기 단일의 연결부재(30)에 의해 종 방향으로 연결된 상기 단위 라인(U)에 포함된 상기 주부력체(10) 및 상기 보조부력체(20)를 횡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단일의 상기 연결부재(30)의 양 말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3 체결부(33a, 도 10 참고)에 인접한 2개의 단위 라인(U)에 포함된 각각의 상기 주부력체(10) 및 상기 보조부력체(20)의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10a, 20a, 도 11 참고)가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의 구축에 필요한 연결부재의 수와 그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0) 또한 (해)수면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위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연결부재(30)와 (해)수면 사이의 공간(도 1의 경로 (2))으로 물 및/또는 공기가 이동, 순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0)의 적어도 양 말단은 후술할 연결핀이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3 체결부(32, 33, 33a, 도 6, 도 7, 도 10, 도 11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40)은 인접한 상기 단위 라인(U)에 포함된 2 이상의 상기 보조부력체(20)를 상호 연결하여 작업자에 대해 상기 단위 라인(U) 간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발판(40)은 그 저면이 (해)수면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위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발판(40)과 (해)수면 사이의 공간(도 1의 경로 (5))으로 물 및/또는 공기가 이동, 순환될 수 있다.
상기 발판(40) 및 상기 보조부력체(20)는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4 체결부(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4 체결부는 상기 발판(40) 및 상기 보조부력체(20)가 상호 적어도 1개의 축, 바람직하게는, 2개의 축, 더 바람직하게는 3개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4 체결부는 상기 발판(40) 및 상기 보조부력체(20)가 상호 3개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발판(40) 및 상기 보조부력체(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40) 및 상기 보조부력체(20)에 6자유도(6 Degrees Of Freedom)가 확보될 수 있으므로 외력 및 그에 따른 응력에 대한 저항성과 내구성이 더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주부력체(10) 및/또는 상기 보조부력체(20)는 그 내부 공간이 비어 있는 플라스틱 사출물,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사출물,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은 하나 이상의 격벽으로 구획되어 상기 주부력체(10) 및/또는 상기 보조부력체(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내부 공간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상기 주부력체(10) 및/또는 상기 보조부력체(20)가 전체적으로 부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내부 공간 중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내부 공간 전체를 임의의 부력체로 충진함으로써 상기 주부력체(10) 및/또는 상기 보조부력체(20)의 표면이 파손되더라도 상기 주부력체(10) 및/또는 상기 보조부력체(20)가 전체적으로 부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A-A' 방향에서 바라본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주부력체(10)의 저면은 상기 단위 라인(U)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요입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요입부(11)는 그 상면이 (해)수면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위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상면과 (해)수면 사이의 공간(도 1의 경로 (3))으로 물 및/또는 공기가 이동, 순환될 수 있다. 상기 제1 요입부(11)는 상기 주부력체(10)의 내구성과 건현을 고려하여 적절한 규격으로 설계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B-B' 방향에서 바라본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주부력체(10)의 저면은 상기 단위 라인(U)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요입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2 요입부(12)는 상기 제1 요입부(11)와 조합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2 요입부(12)는 상기 제1 요입부(11)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요입부(12)는 그 상면이 (해)수면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위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상면과 (해)수면 사이의 공간(도 1의 경로 (4))으로 물 및/또는 공기가 이동, 순환될 수 있다. 상기 제2 요입부(12)는 상기 주부력체(10)의 내구성과 건현을 고려하여 적절한 규격으로 설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 및 제2 요입부(11, 12)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은 상기 보조부력체(20)의 저면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부력체(20)의 저면은 상기 주부력체(10)의 저면보다 h1 만큼 높게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요입부(11, 12)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은 상기 보조부력체의 저면보다 h2 만큼 높게 위치할 수 있다.
해상에서 상기 주부력체(10) 및/또는 상기 보조부력체(20)의 건현은 기후 변화, 파도의 강도, 높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특히, 극한 기후 조건에서는 이러한 건현을 적절히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건현을 확보하기 위해 해수면 아래로 잠기는 부분의 부피를 늘리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주부력체(10) 및 상기 보조부력체(20)의 저면이 모두 해수면 아래로 잠기는 경우, 상기 단위 라인(U)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물과 공기가 원활하게 이동, 순환할 수 없으므로 해수 오염에 따른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상기 주부력체(10)와 상기 보조부력체(20)의 저면, 및 상기 제1 및/또는 제2 요입부(11, 12)의 상면의 높이를 상기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극한 기후 조건에서도 상기 주부력체(10)의 저면, 상기 보조부력체(20)의 저면, 및 상기 제1 및/또는 제2 요입부(11, 12)의 상면이 순차적으로 해수면 아래로 잠기도록 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주부력체(10) 및 상기 보조부력체(20)의 저면이 해수면 아래로 잠긴 상태에서 건현을 적절히 확보하면서도 상기 제1 및/또는 제2 요입부(11, 12)를 통해 물과 공기를 적절히 이동, 순환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C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단위 라인(U)에 포함된 상기 주부력체(10) 및 상기 보조부력체(20)를 횡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재(30)는 지지부(31) 및 상기 지지부의 양 말단에 구비된 제3 체결부(32, 3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체결부(32, 33)의 연장선(L)과 상기 지지부(31)가 이루는 각도(θ)는 90° 이하,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3 체결부(32, 33)의 연장선(L)과 상기 지지부(31)가 이루는 각도(θ)는 상기 주부력체(10) 및/또는 상기 보조부력체(20)의 규격, 상기 주부력체(10) 및/또는 상기 보조부력체(20)의 적어도 일 말단에 구비된 제1 및/또는 제2 체결부의 위치, 상기 연결부재(30) 중 상기 지지부(31)의 길이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각도(θ)가 90° 초과이면 상기 지지부(31) 및 상기 지지부의 양 말단에 구비된 체결부(32, 33)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 상기 체결부(32, 33)가 과도하게 절곡될 수 있고, 이러한 과도한 절곡은 절곡부의 강도를 현저히 저하시킬 수 있고, 장기간 동안 상기 절곡부에 퇴적된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도 7은 도 2의 D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보조부력체(20)의 상기 제2 체결부(20a)는 상기 연결부재(30)의 상기 제3 체결부(33a)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2 및 제3 체결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통공에 소정의 연결핀(50)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연결핀의 나사부에 소정의 너트(60)가 체결될 수 있다. 필요 시 상기 연결핀(50)의 헤드부 및/또는 너트(60)의 기밀성과 그에 따른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는 와셔(70)가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너트 간 임의의 위치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와셔(70)의 표면은 후술할 체결부의 요홈, 연결핀의 돌기, 및/또는 너트의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요철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핀(50) 및 상기 너트(6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 방향에서 바라본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은, 횡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주부력체(10)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부력체(20)를 포함하되 종 방향으로 배열된 2 이상의 단위 라인(U)이 병렬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주부력체(10)의 저면이 상기 보조부력체(20)의 저면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상기 주부력체(10), 상기 보조부력체(20) 및 상기 단위 유닛(U)을 동시에 연결하는 연결부재(30')를 포함할 수 있고, 인접한 상기 단위 라인(U)에 포함된 2 이상의 상기 주부력체(10) 및/또는 보조부력체를 종 방향으로 연결하는 발판(4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단일의 상기 연결부재(30')가 인접한 상기 주부력체(10) 및 상기 보조부력체(20)를 횡 방향으로 연결할 뿐만 아니라 인접한 상기 단위 유닛(U)을 종 방향으로 동시에 연결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재(30')는 지지부의 양 말단에 구비된 제3 체결부(33a)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체결부(33a)의 연장선(L)과 지지부가 이루는 각도(θ)는 0°일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30')의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체결부(33a)는 동일 평면 상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0') 중 상기 주부력체(10) 및 상기 보조부력체(20)와 대향하는 양 측단은 각각 상호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ㄷ자형 절곡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ㄷ자형 절곡부(35)는 상기 주부력체(10) 및 상기 보조부력체(20)의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10a, 20a)가 삽입되는, 바람직하게는, 끼움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10a, 20a) 및 상기 연결부재(30')의 결합력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ㄷ자형 절곡부(35)가 상기 연결부재(30')의 양 측단의 전(全) 영역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30')의 강도 및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1은 도 9의 C'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재(30')의 좌측에 위치하되 상향 절곡된 상기 ㄷ자형 절곡부(35)에 상기 보조부력체(20)의 상기 제2 체결부(20a)가 끼워지고, 상기 연결부재(30')의 우측에 위치하돠 하향 절곡된 상기 ㄷ자형 절곡부(35)에 상기 주부력체(10)의 상기 제1 체결부(10a)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체결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통공에 소정의 연결핀(50)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연결핀의 나사부에 소정의 너트(60)가 체결될 수 있다. 필요 시 상기 연결핀(50)의 헤드부 및/또는 너트(60)의 기밀성과 그에 따른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는 와셔(70)가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너트 간 임의의 위치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연결핀(50) 및 상기 너트(6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30, 30')의 상기 지지부(31)는 금속판, 바람직하게는, 기설정된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일 수 있다. 상기 부유 구조체가 해상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금속판이 탄성을 가지지 않으면 기후 변화, 파도의 강도, 높이 등에 따라 상기 주부력체(10) 및/또는 상기 보조부력체(20)에 인가되는 하중을 적절히 완충할 수 없고, 이러한 하중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연결부재(30, 30')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상기 연결부재(30, 30')가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부재(30, 30')의 파손이 연쇄적으로 일어나는 경우, 상기 부유 구조체의 유지보수에 대한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지지부를 나타낸다. 도 12(a)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31)는 길이가 상이한 2 이상의 금속판이 적층된 리프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프스프링에 포함된 단일의 금속판 또한 기설정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리프스프링에 포함된 금속판은 그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한 다른 금속판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금속판의 적층 위치와 그에 따른 리프스프링의 부위별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작용 하중 영역에 따른 스프링 상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도 12(b)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31)는 중심부에서 양 말단 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수지제 리프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31)의 중심부의 두께를 말단의 두께에 비해 두껍게 설계함으로써 기후 변화, 파도의 강도, 높이 등에 따라 상기 지지부(31)에 인가되는 인력 및/또는 척력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두께 구배는 도 7(a)에서와 같이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는 형태 및/또는 직선 형태로 연속적으로 부여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단차를 통해 불연속적으로 부여될 수도 있다.
상기 수지제 리프스프링은 섬유강화 플라스틱(FRP)을 포함하는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수지제 리프스프링은 제조 상 금속제 리프스프링과는 달리 스프링의 길이에 따라 단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단일의 판이면서도 금속제 리프스프링과 동등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고, 경량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1)가 길이가 상이한 2 이상의 금속판이 적층된 리프스프링으로 이루어지거나, 중심부에서 양 말단 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수지제 리프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지지부(31) 중 두꺼운 중심부는 상기 연결부재(30, 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적절히 완충하여 상기 부유 구조물의 내구성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을 나타낸다. 도 7, 도 11,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연결핀은 상기 제1 내지 제3 체결부(10a, 20a, 32, 33, 33a) 중 2 이상이 중첩된 부위에 삽입될 수 있고, 일정한 영역으로 구비된 제1 헤드부(50a), 생크부(shank)(51) 및 제1 나사부(thread)(5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헤드부(50a), 생크부(51) 및 제1 나사부(52)를 관통하는 중공의 내벽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중공의 원주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2 이상의 보강리브(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생크부(51) 및 상기 보강리브(53)는 상기 연결핀(40)의 강도를 높여줌으로써 외력에 의해 상기 연결핀(50)이 파손되는 것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53)는 그 두께와 길이가 상기 생크부(51)의 범위만큼 확대되어 상기 연결핀(50)에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의 보강부재를 나타낸다. 도 15(a)를 참고하면, 상기 연결핀(50)은 상기 생크부(51)의 외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생크부(51)의 강성을 더 보강하는 원통형의 보강부재(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54)는 상기 연결핀(50)의 상기 생크부(51)에 삽입되거나, 상기 생크부(51)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연결핀(50)을 보강하는 것으로, 상기 보강부재(54)의 규격은 상기 생크부(51)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부재(54)의 직경, 구체적으로, 외경은 상기 제1 나사부(52)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54)가 상기 생크부(5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보강부재(54)의 내경은 상기 생크부(51)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5(b)를 참고하면, 상기 보강부재(54)의 다른 실시예로서 삿갓형 보강부재(55)가 상기 생크부(51)의 외주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삿갓형 보강부재(55)는 하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보강플랜지(55a)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핀(50)의 상기 제1 헤드부(50a)를 덮어줌으로써 상기 연결핀(50)의 상기 제1 헤드부(50a)의 강성을 더 보강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54, 55)는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54, 55)는 원통형의 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핀(50) 중 상기 생크부(51)에 삽입되거나 상기 생크부(51)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생크부(51)의 강성을 더 보강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연결핀을 나타낸다.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핀(50)은 상기 생크부(51)의 내측에 상기 보강리브(53)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연결핀(50)의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생크부(51)와 이를 포함하는 상기 연결핀(50)의 전체적인 강성을 더 보강하는 코어보강재(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보강재(56)는 핀 형상의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연결핀(50)의 상기 중공에 삽입 및 고정되어 상기 연결핀(50)의 내부를 보강할 수 있다.
도 16(a)를 참고하면, 상기 코어보강재(56)는 원판형의 제2 헤드부(56a)와 상기 제2 헤드부에서 연장된 원통형의 몸체부(56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b)를 참고하면, 상기 코어보강재(56)의 상기 몸체부(56b)는 상기 보강리브(53)가 이루는 상기 연결핀(50)의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핀(50)의 내부를 더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코어보강재(56)의 상기 제2 헤드부(56a)를 압입하여 상기 코어보강재(56)를 상기 연결핀(50)의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연결핀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17(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보강재를 나타내고, 도 17(b)는 상기 코어보강재가 상기 연결핀에 결합되는 방식을 나타내며, 도 17(c)는 상기 코어보강재가 상기 연결핀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7(a)를 참고하면, 상기 코어보강재(57)는 원판형의 제2 헤드부(57a), 상기 제2 헤드부(57a)에서 연장된 원통형의 몸체부(57b), 및 상기 몸체부(57b)의 단부에 단턱(57c)이 형성되어 상기 보강리브(53)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부(57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57e)는 상기 몸체부(57b)의 단부가 상기 몸체부(57b)의 중심 방향으로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절개부(57d)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7(b) 및 도 17(c)를 참고하면, 상기 코어보강재(57)는 상기 몸체부(57b)는 상기 절개부(57d)가 오므려진 상태로 상기 연결핀(50)의 상기 중공에 삽입되고, 완전히 삽입된 상기 몸체부(57b)의 상기 절개부(57d)가 오므려지기 전의 원형을 회복하면서 상기 고정부(57e)가 상기 보강리브(53)의 단부가 걸려 고정됨에 따라 상기 코어보강재(57)가 상기 연결핀(50)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코어보강재(57)는 단부에 형성된 고정부(57e)를 통해 상기 연결핀(50)에 삽입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와 코어보강재를 포함하는 연결핀을 나타낸다.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핀(50)은 상기 생크부(51)의 외주면에 상기 보강부재(54)가 삽입되거나 상기 보강부재(54)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생크부(51)의 내측에 상기 코어보강재(56)가 삽입되어 상기 생크부(51)를 보강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연결핀(50)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생크부(51)를 감싸는 상기 보강부재(54)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연결핀(50)의 내측을 보강하는 상기 코어보강재(5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생크부(51)와 상기 보강부재(54)는 상기 연결핀(50)의 외측을 보강할 수 있고, 상기 보강리브(53)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연결핀(50)의 상기 중공에 삽입 및 고정된 상기 코어보강재(56)는 상기 연결핀(50)의 내측을 보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연결핀(50)의 전단 강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 및 너트를 나타낸다. 도 19(a)를 참고하면, 상기 보강부재(54)의 일 말단은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면서 상기 제1 나사부(52)까지 연장된 테이퍼부(54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부(54a)는 상기 연결핀(50)을 상기 제1 내지 제3 체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함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50()의 상기 제1 나사부(52) 및 상기 생크부(51)의 외주면에 구비된 상기 보강부재(54)가 순차적으로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핀(50)과 상기 체결부의 결합력을 더 보강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1의 E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고하면, 상기 제1 헤드부(50a) 중 상기 제1 내지 제3 체결부(10a, 20a, 32, 33, 33a) 중 적어도 하나와 대향하는 면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50b)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3 체결부(10a, 20a, 32, 33, 33a)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 면은 적어도 하나의 요홈(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헤드부(50a)에 구비된 상기 제1 돌기(50b)는 상기 연결핀(50)이 상기 체결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의 적어도 일 면에 포함된 상기 요홈(21)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핀(50) 및 상기 체결부를 상호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연결핀(50)이 상기 체결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유격 및/또는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체결부(10a, 20a, 32, 33, 33a)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 면이 기설정된 규격 및 간격으로 형성된 2 이상의 요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체결부(10a, 20a, 32, 33, 33a)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 면은 이러한 요홈의 사이에 기설정된 규격 및 간격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를 필연적으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를 상호 적층 내지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제1 체결부의 일 면에 형성된 요홈은 상기 제2 체결부 중 상기 요홈과 대향하는 일 면에 형성된 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연결핀(50)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주부력체 및 상기 보조부력체를 기설정된 위치로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9(b)를 참고하면, 상기 연결핀(50)은 상기 제1 나사부(52)에 체결된 너트(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너트 중 상기 제1 내지 제3 체결부 중 적어도 하나와 대향하는 면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6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너트(60)의 내주면은 상기 연결핀(50)의 상기 제1 나사부(52)와 상호 체결되는 제2 나사부(62) 및 상기 제2 나사부(62)보다 직경이 큰 평활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너트(60) 중 상기 제1 내지 제3 체결부 중 적어도 하나와 대향하는 면에 구비된 상기 제2 돌기(61)는 상기 너트(60)가 상기 연결핀(5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의 적어도 일 면에 포함된 상기 요홈(21)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60) 및 상기 체결부를 상호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너트(60)가 상기 체결부와 체결된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유격 및/또는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평활부(63)의 직경은 상기 제2 나사부(62)의 직경보다 크므로, 상기 너트(60)가 상기 연결핀(50)의 상기 제1 나사부(52)를 지나 상기 생크부(51) 및/또는 상기 보강부재(54)까지 진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핀(50)의 상기 생크부(51) 및/또는 상기 보강부재(54)에 체결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의 전체 두께가 상기 생크부(51) 및/또는 상기 보강부재(54)의 높이보다 작더라도 상기 너트(60)가 상기 체결부와 접촉하는 위치까지 진입하여 상기 체결부를 완전히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주부력체 11: 제1 요입부
12: 제2 요입부 20: 보조부력체
30, 30': 연결부재 31: 지지부
10a: 제1 체결부 20a: 제2 체결부
32, 33, 33a: 제3 체결부 21: 요홈
35: ㄷ자형 절곡부 40: 발판
50: 연결핀 50a: 제1 헤드부
50b: 제1 돌기 51: 생크부
52: 제1 나사부 53: 보강리브
54: 보강부재 54a: 테이퍼부
55: 삿갓형 보강부재 55a: 보강플랜지
56: 코어보강재 56a: 제2 헤드부
56b: 몸체부 57: 코어보강재
57a: 제2 헤드부 57b: 몸체부
57c: 단턱 57d: 절개부
57e: 고정부 60: 너트
61: 제2 돌기 62: 제2 나사부
63: 평활부 70: 와셔

Claims (20)

  1. 횡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주부력체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부력체를 포함하되 종 방향으로 배열된 2 이상의 단위 라인;
    상기 주부력체의 저면이 상기 보조부력체의 저면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상기 주부력체 및 상기 보조부력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인접한 상기 단위 라인에 포함된 2 이상의 상기 보조부력체를 종 방향으로 연결하는 발판;을 포함하고,
    상기 주부력체 및 상기 보조부력체의 적어도 일 말단은 각각 이들 중 2 이상을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 말단에 구비된 제3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부력체의 저면은 상기 단위 라인에 대해 각각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요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체결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 면은 적어도 하나의 요홈을 포함하는,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요입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은 상기 보조부력체의 저면보다 높게 위치하는,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단위 라인에 포함된 상기 주부력체 및 상기 보조부력체를 횡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체결부의 연장선과 상기 지지부가 이루는 각도(θ)는 90° 이하인,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인접한 상기 단위 라인을 종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중 상기 주부력체 및 상기 보조부력체와 대향하는 양 측단은 각각 상호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ㄷ자형 절곡부를 포함하는,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길이가 상이한 2 이상의 금속판이 적층된 리프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중심부에서 양 말단 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수지제 리프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및 상기 보조부력체는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4 체결부에 의해 결합되는,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체결부 중 2 이상이 중첩된 부위에 삽입되고,
    제1 헤드부, 생크부(shank) 및 제1 나사부(thread)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헤드부, 생크부(shank) 및 제1 나사부(thread)를 관통하는 중공의 내벽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중공의 원주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2 이상의 보강리브가 구비된 연결핀을 더 포함하는,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은 상기 생크부의 외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생크부를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직경은 상기 제1 나사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보강부재의 일 말단은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면서 상기 제1 나사부까지 연장된 테이퍼부를 더 포함하는,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타 말단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핀의 상기 제1 헤드부를 보강하는 보강플랜지를 포함하는,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은 상기 보강리브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생크부를 보강하는 코어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보강재는 제2 헤드부 및 상기 제2 헤드부에서 연장된 몸체부를 포함하는,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드부 중 상기 제1 내지 제3 체결부 중 적어도 하나와 대향하는 면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를 포함하는,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은 상기 제1 나사부에 체결된 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너트 중 상기 제1 내지 제3 체결부 중 적어도 하나와 대향하는 면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의 내주면은 제2 나사부 및 상기 제2 나사부보다 직경이 큰 평활부를 포함하는,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KR1020200183890A 2020-12-24 2020-12-24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KR102313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890A KR102313722B1 (ko) 2020-12-24 2020-12-24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US17/157,167 US11312456B1 (en) 2020-12-24 2021-01-25 Floating structure for solar power generating on water
JP2021028163A JP7054959B1 (ja) 2020-12-24 2021-02-25 水上太陽光発電用浮遊構造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890A KR102313722B1 (ko) 2020-12-24 2020-12-24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722B1 true KR102313722B1 (ko) 2021-10-19

Family

ID=78228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890A KR102313722B1 (ko) 2020-12-24 2020-12-24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12456B1 (ko)
JP (1) JP7054959B1 (ko)
KR (1) KR10231372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6891A1 (ja) * 2015-02-27 2016-09-01 京セラ株式会社 フロート装置および水上用太陽電池装置
KR20160108974A (ko) * 2015-03-09 2016-09-21 지피엘(주) 수상 태양광 발전용 플로트 및 부력 구조물
KR102017295B1 (ko) * 2019-02-15 2019-09-02 (주)테크윈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JP2020036398A (ja) * 2018-08-27 2020-03-05 株式会社マルナカ 太陽光パネル固定構造とそれに使用する固定具
KR20200048208A (ko) * 2018-10-29 2020-05-08 주식회사 네모이엔지 수상 설치용 태양광 패널 지지체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P222698A0 (en) * 1998-03-10 1998-04-02 Yeomans, Allan James Buoyant support means for radiant energy collecting apparatus
JP2001189486A (ja) * 1999-12-28 2001-07-10 Kawasaki Steel Corp 水上設置用太陽電池発電装置
JP2002118275A (ja) * 2000-10-05 2002-04-19 Kawasaki Steel Corp 水上設置用太陽電池発電装置
JP4916169B2 (ja) * 2005-12-26 2012-04-11 株式会社クレハエンジニアリング 水上設置用太陽光発電装置およびその連結体
GB0808459D0 (en) * 2008-05-09 2008-06-18 Ngm Sustainable Developments L Floating buildings
JP2010074130A (ja) * 2008-08-18 2010-04-02 Toshiaki Ota 太陽光発電による電力発生装置
KR101450846B1 (ko) * 2014-01-16 2014-10-17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KR101765057B1 (ko) * 2017-02-20 2017-08-09 주식회사 북극곰 해상용 태양광발전장치
HRP20231111T1 (hr) * 2017-03-10 2023-12-22 Romande Energie Sa Solarna prostirka
WO2019026128A1 (ja) * 2017-07-31 2019-02-07 東亜電設工業株式会社 太陽光発電用フロート及び太陽光発電用架台
JP7181450B2 (ja) * 2018-02-07 2022-12-01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フロート集合体
EP3760532B1 (en) * 2018-02-26 2023-12-13 Sunny Rich Agric. & Biotech Co., Ltd. Floating type solar power generation equipment stage device
US11279450B2 (en) * 2019-06-29 2022-03-22 Christian Peter Sheerer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connecting plural stand-up paddle boards together to form an extended floating platfor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6891A1 (ja) * 2015-02-27 2016-09-01 京セラ株式会社 フロート装置および水上用太陽電池装置
KR20160108974A (ko) * 2015-03-09 2016-09-21 지피엘(주) 수상 태양광 발전용 플로트 및 부력 구조물
JP2020036398A (ja) * 2018-08-27 2020-03-05 株式会社マルナカ 太陽光パネル固定構造とそれに使用する固定具
KR20200048208A (ko) * 2018-10-29 2020-05-08 주식회사 네모이엔지 수상 설치용 태양광 패널 지지체
KR102017295B1 (ko) * 2019-02-15 2019-09-02 (주)테크윈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12456B1 (en) 2022-04-26
JP2022101422A (ja) 2022-07-06
JP7054959B1 (ja) 202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29656B2 (ja) 太陽発電設備
ES2728322T3 (es) Sistema de soporte de turbina eólica flotante
KR20190002833U (ko) 광발전 모듈을 위한 지지 장치 및 광발전 시스템
KR101849935B1 (ko)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
EP2058222A1 (en) Special platform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solar energy
CN216232870U (zh) 一种海上漂浮光伏系统
US20160368576A1 (en) Floating marine structure having floats
US20210214056A1 (en) Floatable array ready solar module moun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of solar energy collection
JP2024506124A (ja) 関節連結式浮遊構造体
KR102209209B1 (ko) 복합소재가 적용된 추적식 해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313722B1 (ko)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KR102410262B1 (ko) 무천공 태양광발전 수상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25370A (ko)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물
KR102140120B1 (ko) 일체형 해양 태양광 발전 장치
KR102640092B1 (ko) 태양광 발전 장치
KR20200132021A (ko) 수상 구조물용 다중 부력체
KR102239490B1 (ko) 수상용 태양전지 모듈 장치
KR20190014367A (ko) 에어캡(뽁뽁이)이 있는 부력체와 에어캡이 없는 부력체를 혼용한 수상태양광시스템
KR102576584B1 (ko) 수상 태양광발전 구조체
KR102209442B1 (ko) 조립형 계류시설
KR102364660B1 (ko) 수해상 태양광 모듈 설치용 단위 부력체 및 이를 적용한 수해상 태양광 시스템의 부력구조
KR102618422B1 (ko) 수상 태양광 발전용 강성 구조체
KR101971094B1 (ko) 에어캡(뽁뽁이)이 있는 부력체 및 그 부력체를 이용한 수상태양광시스템
KR20180040403A (ko) 수상 태양광발전용 부유체
WO2022019845A1 (en) Modular floating structure for floating solar photovoltaic power 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