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523B1 - 노이즈 제거 기능을 구비한 고속 키보드장치 - Google Patents

노이즈 제거 기능을 구비한 고속 키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523B1
KR102313523B1 KR1020200039478A KR20200039478A KR102313523B1 KR 102313523 B1 KR102313523 B1 KR 102313523B1 KR 1020200039478 A KR1020200039478 A KR 1020200039478A KR 20200039478 A KR20200039478 A KR 20200039478A KR 102313523 B1 KR102313523 B1 KR 102313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s
noise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1962A (ko
Inventor
윤해진
Original Assignee
윤해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해진 filed Critical 윤해진
Priority to KR1020200039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523B1/ko
Priority to PCT/KR2021/004017 priority patent/WO2021201608A1/ko
Publication of KR20210121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키를 인식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MCU)과 입력 키를 일대일 직접 연결 방식으로 구현하여 키의 동작 반응에 대해 입력 지연을 최소화함으로써 고속 키보드를 구현하고, 키의 누름 동작에 따른 채터링(바운스) 노이즈를 제거하여 부품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노이즈 제거 기능을 구비한 고속 키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키보드의 개별 키와 일대일 병렬방식 직접 연결 방식을 이용하여 모든 키를 실시간 지연 없이 동작 상황을 인식하고, 키 정보를 고속 전송 방식인 USB 하이 스피드(High Speed) 방식으로 컴퓨터 본체에 전송함으로써, 고속 키보드를 구현하며, 개별 키의 조작시 기계적인 스위치(SW)가 접점과 접속할 때, 채터링 노이즈를 제거하여 채터링 노이즈에 의해 발생하는 스파크의 제거로 개별 키의 수명단축을 방지함으로써 키보드의 수명 연장을 도모한다.

Description

노이즈 제거 기능을 구비한 고속 키보드장치{High-speed keyboard device with noise removal function}
본 발명은 노이즈 제거 기능을 구비한 고속 키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를 인식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MCU)과 입력 키를 일대일 직접 연결 방식으로 구현하여 키의 동작 반응에 대해 입력 지연을 최소화함으로써 고속 키보드를 구현하고, 키의 누름 동작에 따른 채터링(바운스) 노이즈를 제거하여 부품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노이즈 제거 기능을 구비한 고속 키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보드(keyboard)는 PC의 입력장치 중 하나로서,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하거나, 게임이나 각종 애플리케이션에서 유용한 단축키와 특수 명령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키보드는 일반적으로 매트릭스 회로를 기반으로 구성되고 키의 입력을 인식한다.
도 1은 매트릭스 회로를 기반으로 한 키보드의 키 회로 구성도이다.
입력 키의 인식을 위해, 가로 화살표의 맨 윗줄(PORTA_0)에만 신호를 인가하고, 세로 화살표로 키(SW1 - SW8)의 상태를 신호(PNB.0 - PNB.7)로 읽어들이고, 이어, 가로 화살표의 두 번째 줄(PORTA_1)에만 신호를 인가하고, 세로 화살표로 키(SW9 - SW16)의 상태를 신호(PNB.0 - PNB.7)로 읽어들이고, 이어, 가로 화살표의 세 번째 줄(PORTA_2)에만 신호를 인가하고, 세로 화살표로 키(SW17 - SW24)의 상태를 신호(PNB.0 - PNB.7)로 읽어들인다.
이후, 읽어들인 모든 SW 신호를 합쳐 눌러진 키를 인식하고, 인식 정보를 USB Full Speed 방식으로 컴퓨터 본체에 전달한다.
이러한 키보드는 가로 화살표를 선택할 수 있는 초당 횟수는 몇 메가 횟수(M/s) 이상 될 수는 없으며, 키 스위치와 그의 회로의 한계에 따라 제한된다. 초당 수 키로 횟수(K/s)가 최대이다.
즉, 임의의 키보드가 가로 21칸 × 세로 6줄로 배열된 매트릭스 회로를 사용할 경우, 입력 주기를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키보드마다 가로 칸과 세로줄이 상이할 수 있으나, 대부분은 대동소이하다.
초당 1000회를 키 입력 스캔한다고 가정하면, 1000회/21칸 = 약 47번이 키 전체 입력 주기가 된다.
따라서 키보드 상에서 키 1개는 초당 47번의 입력을 감지하게 되며, 동작에 대한 반응을 컴퓨터에 전송하는 한계는 초당 47번의 주기에 묶이게 된다.
전체 키를 읽기 위한 주기는 키 배열이 넓어질수록 초당 읽을 수 있는 횟수는 더 제한되어, 초당 읽을 수 있는 횟수가 더 줄어든다.
이와 같이 키보드를 매트릭스 회로로 구현하면, 간단한 회로로 많은 키를 확장하여 구성할 수 있는 점, 키 수량 대비 적은 제어 라인 수로 구현할 수 있는 점, 제조 단가가 싸다는 점 등의 장점이 있다.
반면, 한 번에 모든 키를 실시간 확인할 수 없으며, 한순간 한 번에 한 줄의 키 그룹만 인식 가능하여 전체 키를 인식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모든 키의 상태(온/오프 상태)를 확인하려면 순차적으로 모든 라인을 읽은 이후에 판단 가능하므로, 키의 동작에 대한 반응 인식의 속도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인식 신호를 PC로 전송하는 방식이 일반적인 키보드가 사용하는 USB Full Speed(12Mbps)로 매트릭스 회로의 인식 신호를 PC에 전송하는 속도로는 적합하나, 이러한 신호 전송 방식은 결과적으로 컴퓨터가 키보드의 키의 반응 인식속도가 느리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매트릭스 회로를 이용하는 키보드는 키 입력 후 컴퓨터까지 전송하는 과정의 시간이 14ms 정도가 소요되며, 이는 초당 71Hz로 요즈음 고성능 모니터 144Hz, 250Hz 등 게임 모니터의 주사율보다 그 속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게임용으로는 점점 부적합해지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키보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SW)의 누름 및 땜(온/오프) 동작에 따른 채터링(바운스) 현상이 발생하는 데, 이때, 스위치(SW)의 기계적인 접점(a, b)에서 양쪽 전압 차에 의해 스파크가 발생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부품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여기서 채터링 현상은 스위치의 기계적인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서, 온/오프가 한 번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동작이 끝나기 전까지 접점이 붙었다 떨어졌다를 반복하다 안정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키보드의 기능 향상을 위해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은 2축 이상의 출력 값을 갖는 가속도 센서, 마이크로컨트롤러, 통신 포트 및 통신 케이블로 구성되어, 일반적인 컴퓨터 게임 조작자가 3차원 공간상에서 손의 움직임으로 행하는 전·후·좌·우 등의 방향지시 동작을 상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해 인식한 후 상기 지시의 방향에 해당하는 키보드 방향키의 스캔 코드를 상기 방향 지시의 정도만큼 컴퓨터에 반복 입력하여 게임 조작자가 기존의 방향 키를 조작한 것과 같은 효과가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조작자의 손동작에 의해 게임을 실행하는 재미를 더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도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방향지시 동작을 인식하는 것은 가능하나, 매트릭스 방식으로 키보드 입력 값을 읽는 방식이므로 일반적인 매트릭스 방식의 키보드가 갖는 단점을 그대로 내포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97701(2005.09.28. 등록)(컴퓨터 키보드이 방향키를 대신하는 동작인식 입력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키보드의 단점과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키를 인식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MCU)과 입력 키를 일대일 직접 연결 방식으로 구현하여 키의 동작 반응에 대해 입력 지연을 최소화함으로써 고속 키보드를 구현하고, 키의 누름 동작에 따른 채터링(바운스) 노이즈를 제거하여 부품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노이즈 제거 기능을 구비한 고속 키보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제거 기능을 구비한 고속 키보드장치"는,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하는 키와 복수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부; 상기 키부의 개별 키와 일대일 직접 연결 방식으로 연결되어 인식지연을 제거한 상태에서 조작 키를 인식하고, 인식한 조작 키의 채터링 노이즈를 제거하여 조작 키의 수명을 연장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에서 인식한 키 정보를 USB 방식으로 컴퓨터 본체에 전송하는 USB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메인 컨트롤 유닛은 상기 키부의 개별 키를 그룹화하여 키를 인식하고, 인식한 조작키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복수의 키 입력 및 노이즈 제거부; 상기 복수의 키 입력 및 노이즈 제거부와 연동하여 조작 키를 인식하고, 인식한 조작키에 대응하는 노이즈 제거신호를 발생하며, 인식한 키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노이즈 제거신호는 조작 키가 눌러졌을 때 또는 떨어졌을 때에 채터링 노이즈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조작 키의 양단 접점에 동일한 전위를 갖는 전압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복수의 키 입력 및 노이즈 제거부 중 각각의 키 입력 및 노이즈 제거부는 상기 키부의 개별 키를 16개 단위로 그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메인 컨트롤 유닛은 상기 키부의 개별 키와 일대일 직접 연결 방식으로 연결되어, 키부의 전체 키를 동시에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복수의 키 입력 및 노이즈 제거부는 조작 키의 인식시 개별 키의 양단 접점이 동일한 전위의 전압이 유지되도록 개별 키로 노이즈 제거신호를 출력하여 접점의 전위차로 인해 발생하는 스파크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를 인식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MCU)과 입력 키를 일대일 직접 연결 방식으로 구현하여 키의 동작 반응에 대해 입력 지연을 최소화함으로써 고속 키보드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키의 누름 동작에 따른 채터링(바운스) 노이즈를 제거하여 부품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키보드 키의 인식 속도의 향상으로 인식된 키 정보를 본체로 전송하는 방식도 USB 고속 전송(High Speed)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컴퓨터가 입력 키의 인식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고속 키보드를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키보드에 구현된 매트릭스 회로의 예시도,
도 2는 종래 키보드의 키 조작시 발생하는 채터링과 키 인식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제거 기능을 구비한 고속 키보드장치의 제1 실시 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채터링 노이즈 제거에 따른 키 인식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제거 기능을 구비한 고속 키보드장치의 제2 실시 예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 기능을 구비한 고속 키보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 기능을 구비한 고속 키보드장치의 구성도로서, 키부(10), 메인 컨트롤 유닛(20) 및 USB 통신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키부(10)는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하는 키와 복수의 기능키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키 조작 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하는 키와 복수의 기능 키 중 각각의 키를 개별 키라고 한다.
메인 컨트롤 유닛(MCU)(20)은 상기 키부(10)의 개별 키와 일대일 직접 연결 방식으로 연결되어 인식지연을 제거한 상태에서 조작 키를 인식하고, 인식한 조작 키의 채터링 노이즈를 제거하는 신호를 키부(10)에 출력하여 조작 키의 수명을 연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메인 컨트롤 유닛(20)은 상기 키부(10)의 개별 키(예를 들어, 제1 키 내지 제105 키)를 그룹화하여 키를 인식하고, 인식한 조작키의 채터링 노이즈를 제거하는 복수의 키 입력 및 노이즈 제거부(22 - 22+N), 상기 복수의 키 입력 및 노이즈 제거부(22 - 22+N)와 연동하여 조작 키를 인식하고, 인식한 조작키에 대응하는 노이즈 제거신호를 발생하며, 인식한 키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21)를 포함한다. 여기서 노이즈 제거신호는 조작 키가 눌러지거나 떨어졌을 때 양단 접점의 전위가 동일한 전위를 갖는 전압일 수 있다. 상기 개별 키는 105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컴퓨터 본체나 노트북과 같은 컴퓨터에 사용되는 키보드에 구비된 서로 상이한 개수의 개별 키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키 입력 및 노이즈 제거부(22 - 22+N) 중 각각의 키 입력 및 노이즈 제거부는 상기 키부의 개별 키를 16개 단위로 그룹화할 수 있다. 여기서 개별 키를 16개 단위로 그룹화한 것은 메인 컨트롤 유닛(20)의 입/출력포트(I/O 포트)가 통상 16개 단위의 입출력을 갖기 때문이며, 입/출력포트의 입출력 개수가 메인 컨트롤 유닛별로 상이하면 그에 대응하게 개별 키의 개수를 묶어 그룹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20)은 상기 키부(10)의 개별 키(제1키 내지 제 105키)와 일대일 직접 연결 방식으로 연결되어, 키부의 전체 키를 동시에 인식한다.
상기 복수의 키 입력 및 노이즈 제거부(22 - 22+N)는 조작 키의 인식시 개별 키의 접점에 흐르는 전위와 동일한 전위의 전압을 개별 키로 출력하여 접점의 전위차로 인해 발생하는 스파크(spark)를 제거할 수 있다.
USB 통신모듈(30)은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20)에서 인식한 키 정보를 고속 전송 방식인 USB 하이 스피드(High Speed) 방식으로 컴퓨터 본체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USB 하이 스피드 방식은 480Mbps의 속도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제거 기능을 구비한 고속 키보드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하는 키와 복수의 기능키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키 조작 신호를 발생하는 키부(10)의 개별 키(제1키 내지 제105키)와 메인 컨트롤 유닛(MCU)(20)은 일대일 직접 연결 방식으로 연결된다.
즉, 메인 컨트롤 유닛(20)은 상기 키부(10)의 개별 키(예를 들어, 제1 키 내지 제105 키)를 소정 개수로 그룹화하여 키 입력 및 노이즈 제거부(22)를 일대일 직접 연결 방식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실시 예로 개별 키 16개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하였다.
키부(10)의 특정의 개별 키(예를 들어, 제1키)를 사용자가 누르면, 해당 개별 키의 기계적인 스위치(SW)가 접점 a와 접점 b를 연결한다. 접점 a와 접점 b가 기계적인 스위치(SW)에 의해 상호 연결되면, 접점 a에 인가된 전압이 접점 b를 통해 출력신호로 키 입력 및 노이즈 제거부(22)에 입력된다.
키 입력 및 노이즈 제거부(22)는 상기 입력신호를 기초로 키 인식을 한다. 여기서 출력신호는 전압으로서, 전기적인 하이신호(3.3V 또는 5V)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의 키 입력 및 노이즈 제거부(22 - 22+N)는 그룹화된 개별 키의 누름 조작을 인식한다.
제어부(20)는 복수의 키 입력 및 노이즈 제거부(22 - 22+N)를 동시에 스캔하여 키 인식신호(디지털 하이신호)를 발생한 개별 키를 인식한다.
여기서 제어부(20)는 개별 키와 매트릭스 방식의 연결이 아니고 개별 키와 일대일(1:1) 병렬방식으로 집적 연결되므로, 한 번에 모든 개별 키를 인식한다.
개별 키와 일대일 병렬방식 직접 연결 방식을 이용한다는 것은 결과적으로 키부(10)의 모든 키를 실시간 지연 없이 동작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이며, 이로써 키 인식 시간을 기존 매트릭스 방식에 비하여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키부(10)의 특정 키의 조작을 인식하면, 제어부(21)는 키 정보를 생성하여 USB 통신모듈(30)에 전달한다.
상기 USB 통신모듈(30)은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20)에서 출력되는 키 정보를 고속 전송 방식인 USB 하이 스피드(High Speed) 방식으로 컴퓨터 본체에 전송한다. 여기서 USB 하이 스피드 방식은 480Mbps의 속도를 갖는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하는 12Mbps를 갖는 USB 풀 스피드 방식에 비하여 약 40배 이상의 빠른 전송 속도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컴퓨터가 키를 인식하는 시간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개별 키와 일대일 병렬방식 직접 연결 방식을 이용하여 모든 키를 실시간 지연 없이 동작 상황을 인식하고, 키 정보를 고속 전송 방식인 USB 하이 스피드(High Speed) 방식으로 컴퓨터 본체에 전송함으로써, 고속 키보드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개별 키의 조작시 기계적인 스위치(SW)가 접점a 와 접점 b를 접속할 때, 채터링 노이즈를 제거하여 채터링 노이즈에 의해 발생하는 스파크에 의해 개별 키의 수명을 단축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제어부(21)는 복수의 키 입력 및 노이즈 제거부(22 - 22+N)를 통해 특정의 개별 키의 조작(누름 상태)을 인식하면, 개별 키의 조작 인식과 동시에 입력포트의 입력을 차단하고, 동시에 출력 포트를 통해 키가 오프된 상태였을 때의 a 접점과 동일한 전위를 갖는 전압을 채터링 노이즈가 발생되는 시간동안 해당 개별 키의 출력신호로 출력하여 전압을 노이즈 제거신호로 출력한다. 여기서 조작된 개별 키가 제1 키라고 가정한다. 즉, 개별 키의 조작이 최초 감지되면 즉시 해당 개별 키의 노이즈 제거신호를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되는 노이즈 제거신호는 키 인식을 한 키 입력 및 노이즈 제거부(예를 들어, 22)를 통해 제1 키와 연결된 연결 라인을 통해 제1 키의 접점 b로 출력된다. 다시 말해, 키가 오프 상태였을 때의 접점 a의 신호의 전위와 동일한 신호를 접점 b에 전압으로 출력(OUT)한다. 이에 따라 기계적인 스위치(SW)가 연결하는 접점 a와 접점 b는 온/오프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양단 접점의 전위는 동일하게 되어, 전위차에 의해 발생하는 채터링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채터링 노이즈의 제거는 결과적으로 전위차에 의해 발생하는 스파크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고, 스파크의 제거는 해당 기계적인 스위치의 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통상, 스파크는 기계적인 접점의 열화 등을 발생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채터링 노이즈 제거신호에 채터링(바운스)를 제거한 결과의 파형이다. 도 4의 오른쪽 상부 화면은 기존과 같이 스위치의 누름 동작에 따른 접점 b의 채터링 현상에 따른 개별 키 인식 파형과 메인 컨트롤 유닛에서 접점 b로 출력하는 노이즈 제거신호를 확인하도록 개별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오른쪽 하부 화면은 스위치 채터링과 메인 컨트롤 유닛의 노이즈 제거신호가 출력된 후, 스위치 채터링 신호와 노이즈 제거신호가 합쳐진 실제 신호가 접점 b에서 측정된 신호를 나타낸 파형이다. 메인 컨트롤 유닛에서 출력되는 노이즈 제거신호에 출력 시점에서 기계적인 스위치의 채터링이 제거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3은 키가 눌러졌을 때 하이신호가 인식 신호로 출력되는 상태이며, 도 5는 키가 눌러졌을 때 로우신호가 인식 신호로 출력되는 상태이다. 키가 눌러졌을 때 출력되는 신호만 상이하며, 나머지 동작은 도 3의 동작 방식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별 키와 일대일 병렬방식 직접 연결 방식을 이용하여 모든 키를 실시간 지연 없이 동작 상황을 인식하고, 키 정보를 고속 전송 방식인 USB 하이 스피드(High Speed) 방식으로 컴퓨터 본체에 전송함으로써, 고속 키보드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개별 키의 조작시 기계적인 스위치(SW)가 접점 a 와 접점 b의 양단에서 발생되는 채터링 노이즈를 제거하여 채터링 노이즈에 의해 발생하는 스파크를 억제할 수 있어, 개별 키의 수명단축을 방지함으로써 키보드의 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 키부
20: 메인 컨트롤 유닛
21: 제어부
22 - 22+N: 키 입력 및 노이즈 제거부
30: USB통신모듈

Claims (5)

  1.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하는 키와 복수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부;
    상기 키부의 개별 키와 일대일 직접 연결 방식으로 연결되어 인식지연을 제거한 상태에서 조작 키를 인식하고, 인식한 조작 키의 채터링 노이즈를 제거하여 조작 키의 수명을 연장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 및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에서 인식한 키 정보를 USB 방식으로 컴퓨터 본체에 전송하는 USB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은 상기 키부의 개별 키를 그룹화하여 키를 인식하고, 인식한 조작키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복수의 키 입력 및 노이즈 제거부; 상기 복수의 키 입력 및 노이즈 제거부와 연동하여 조작 키를 인식하고, 인식한 조작키에 대응하는 노이즈 제거신호를 발생하며, 인식한 키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이즈 제거신호는 조작 키가 눌러졌을 때 또는 떨어졌을 때 조작 키의 양단 접점에 동일한 전위를 갖는 전압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제거 기능을 구비한 고속 키보드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은 상기 키부의 개별 키와 일대일 직접 연결 방식으로 연결되어, 키부의 전체 키를 동시에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제거 기능을 구비한 고속 키보드장치.
  5. 청구항 1에서, 상기 키부의 각각의 개별 키는 사용자가 누르거나 땔 때에 기계적인 스위치(SW)의 접점 a와 접점 b가 연결되고 떨어질 때, 입력 키의 인식 신호인 출력신호로 전기적인 하이신호 또는 로우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제거 기능을 구비한 고속 키보드장치.




KR1020200039478A 2020-03-31 2020-03-31 노이즈 제거 기능을 구비한 고속 키보드장치 KR102313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478A KR102313523B1 (ko) 2020-03-31 2020-03-31 노이즈 제거 기능을 구비한 고속 키보드장치
PCT/KR2021/004017 WO2021201608A1 (ko) 2020-03-31 2021-03-31 노이지 제거 기능을 구비한 고속 키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478A KR102313523B1 (ko) 2020-03-31 2020-03-31 노이즈 제거 기능을 구비한 고속 키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962A KR20210121962A (ko) 2021-10-08
KR102313523B1 true KR102313523B1 (ko) 2021-10-15

Family

ID=77929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478A KR102313523B1 (ko) 2020-03-31 2020-03-31 노이즈 제거 기능을 구비한 고속 키보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13523B1 (ko)
WO (1) WO202120160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5621A (ja) * 2009-04-29 2012-10-22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キーボードスキャンを改良し構成要素を削減した移動電話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8009B1 (ko) * 1997-05-27 1999-09-01 윤종용 채터링(Chattering)노이즈에 의한 키 오동작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020014159A (ko) * 2000-08-16 2002-02-25 김재명 전화기 키패드, 컴퓨터 키보드 위치 및 배열 액세스에관한 조작 방법
KR200397701Y1 (ko) 2005-07-20 2005-10-06 배경미 컴퓨터 키보드의 방향키를 대신하는 동작인식 입력장치
KR101739337B1 (ko) * 2017-01-16 2017-05-24 (주)아이테오솔루션즈 키보드 및 마우스 전용 usb포트 보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스 접근 제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5621A (ja) * 2009-04-29 2012-10-22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キーボードスキャンを改良し構成要素を削減した移動電話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962A (ko) 2021-10-08
WO2021201608A1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5910B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110316725A1 (en) Scanning circuit and method for keyboard
KR102313523B1 (ko) 노이즈 제거 기능을 구비한 고속 키보드장치
CN101957805A (zh) 支持n键同时输入的ps/2转usb键盘转接器
CN1185566C (zh) 具有盲文输入功能的键输入设备
CN104423616B (zh) 输入装置及控制单元
US11720183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active input element and corresponding input element, input arrangement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3455456A (zh) 一种键盘宏功能上传的方法和装置
KR20010107446A (ko) 한글을 숫자 키패드에 배열하는 방법
KR100558476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라이트 패턴 데이터발생방법
CN107305442B (zh) 输入设备及其控制方法
CN109407857B (zh) 键盘系统、嵌入式控制器及键盘系统中发送扫描码的方法
KR101176280B1 (ko) 투 클릭 모오스코드가 할당된 기본자판 영역내의 터치 또는 다수의 기본자판 영역 간의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US20190250815A1 (en) Input Accepting Device
KR1007222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및 동작방법
JP2006074075A (ja) 差動シリアル・ディジタル出力a/d変換手段および撮像装置
US20050068303A1 (en) Key inputting circuit of electronic device
KR100628070B1 (ko) 키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465834B1 (ko) 시리얼 인터페이스 장치
KR10044237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 스캔장치 및 방법
EP0427364A2 (en) An encoding circuit for a keyboard
KR102116333B1 (ko) 고무접점 스위치를 구비한 적외선 리모컨의 허상키 현상 제거 방법
WO1985000713A1 (en) Keyboard input devices
RU2030298C1 (ru) Клавиатура
SU103723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