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403B1 - 압축기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403B1
KR102312403B1 KR1020150142725A KR20150142725A KR102312403B1 KR 102312403 B1 KR102312403 B1 KR 102312403B1 KR 1020150142725 A KR1020150142725 A KR 1020150142725A KR 20150142725 A KR20150142725 A KR 20150142725A KR 102312403 B1 KR102312403 B1 KR 102312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suction
elastic body
refrigerant
su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3235A (ko
Inventor
배상우
안혜림
윤영섭
이성명
임승택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2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403B1/ko
Publication of KR20170043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direct action on the fluid flow using absorptive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로홀(21)이 관통 형성된 탄성체(20)가 흡입포트(11)의 내부에 설치된다. 냉매의 압력 및 유량 변동에 따라 상기 탄성체(20)가 탄성 변형되면서 댐핑을 수행하여 맥동 발생이 방지된다. 장치의 구성이 단순하고 부품수가 적어 중량 및 제조비용이 감소된다.

Description

압축기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SUCTION DAMPING DEVICE OF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로 냉매가 흡입되는 리어헤드의 흡입포트에 설치되어 냉매의 흡입 맥동을 저감시켜 주는 압축기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실내 냉방 시스템에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다. 압축기에는 크게 냉매를 압축하는 구성이 왕복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왕복식과 회전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회전식이 있다. 왕복식에는 구동원의 구동력을 크랭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크랭크식, 복수의 피스톤이 연결된 사판에 전달하는 사판식, 워블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워블 플레이트식이 있고, 회전식에는 회전하는 로터리축과 베인을 사용하는 베인로터리식,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을 사용하는 스크롤식이 있다.
사판식 압축기는 고정 용량형 타입과 가변 용량형 타입이 있으며, 고정 용량형 타입은 풀리에 전자 클러치가 구비되어 압축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압축기의 구동 또는 정지시 차량의 RPM이 유동하여 안정적인 차량운행을 방해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자 클러치가 구비되지 않고, 차량의 엔진의 구동과 함께 항상 구동되며, 사판의 경사각을 변화시켜 토출 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 용량형 타입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는 일반적으로 냉매 토출량의 조절을 위하여 사판의 경사각 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가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판식 압축기는 크게 하우징(100), 회전축(200), 사판(300) 및 복수의 피스톤(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사판식 압축기의 외부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내부에 회전축(200)과 사판(300) 및 복수의 피스톤(400)을 수용하는 실린더실(110)이 형성되어 있고, 흡입 행정시 실린더실(110)로 냉매를 공급하는 흡입유로(121,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압축 행정시 실린더실(110) 내의 냉매가 배출되는 토출유로(1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유로(121,122)의 선단에는 외부에서 냉매가 유입되는 흡입포트(130)가 형성되어 있고, 흡입유로(121,122)에는 흡입체크밸브(500)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흡입체크밸브(500)는 흡입 냉매를 단속할 뿐만 아니라 흡입 냉매의 유량 및 압력 변동에 따른 맥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흡입 맥동 저감장치 즉, SDD(Suction Damping Device)로 지칭하고 있다.(이하, 압축기의 흡입유로에 설치된 흡입체크밸브를 흡입 맥동 저감장치로 지칭하기로 한다.)
회전축(200)은 외부 구동원의 회전 구동력을 압축기의 내부로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회전축(200)의 일단에 장착된 풀리(250)를 통해 외부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사판(300)은 회전축(200)의 회전 구동력을 피스톤(400)의 왕복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수단으로서, 회전축(200) 상에 경사진 상태로 장착되어 회전축(200)과 함께 회전한다. 이때, 사판(300)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슈(310)를 매개로 복수의 피스톤(400)이 장착되며, 피스톤(400)은 사판(30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실린더실(110)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 이동하게 된다.
사판(300)은 그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데, 도 2와 같이 회전축(200)에 대한 사판(300)의 경사각이 90°인 경우 사판(300)이 회전하여도 피스톤(400)이 왕복 운동하지 않으므로 냉매의 흡입, 압축, 토출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반대로, 도 1과 같이 사판(300)이 회전축(200)에 대해 경사지게 되면 피스톤(400)이 실린더실(110) 내에서 왕복 운동을 하면서 냉매를 흡입, 압축, 토출하게 된다.
흡입 맥동 저감장치(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511)가 형성된 원형 링 형상의 바디(510)와, 바디(510)에 결합된 원통형 부품으로서 측면에 복수의 토출구(521)가 형성된 케이스(520)와, 케이스(520)에 내장되어 상기 흡입구(511)를 개폐함으로써 흡입구(511)와 토출구(521)를 연결 및 차단하여 냉매 흐름을 단속하는 코어(530)와, 코어(53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5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코어(530)의 외주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코어홈(531)이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컨스위치가 on되어 압축기가 작동하면 코어(530) 전후의 압력차에 의해 코어(530)가 후퇴하면서 흡입구(511)가 개방되어 흡입구(511)로 유입된 냉매가 토출구(521)를 통해 토출되며, 이후 상기 흡입유로(122)를 거쳐 실린더실(110)으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에어컨스위치가 off되어 압축기가 정지하면 흡입구(511)에 냉매압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스프링(540)에 의해 코어(530)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흡입구(511)를 차단하므로 냉매의 흡입이 중단된다.
상기와 같이 흡입체크밸브 즉, 흡입 맥동 저감장치(500)를 통한 냉매의 흡입이 이루어질 때, 코어(530)가 스프링(54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흡입구(511)측 압력이 급격하게 변동되어도 스프링(540)에 의한 댐핑이 이루어지므로 압력 변동에 따른 충격이 완화되고 맥동 발생이 방지된다. 따라서 맥동에 의한 압축기의 진동 및 소음 발생이 방지되므로 압축기로부터 차량 실내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흡입 맥동 저감장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62109호에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는, 댐퍼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필수 구성인 코어와 스프링 이외에도 코어와 스프링이 설치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단부에 결합되어 흡입포트에 압입됨으로써 케이스의 설치 위치를 유지하는 금속 재질의 바디를 더 포함함으로써 부품수가 많고 중량이 무거웠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바디의 압입이 필요하므로 조립이 용이하지 않았고, 바디와 케이스가 잘 분리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장치의 길이가 길어서 리어헤드에서 설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한편, 자동차 개발의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는 연비 개선이며, 이에 차량에 탑재되는 각각의 장치들 역시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품수를 줄여 중량을 감소시키고, 더불어 제조비용 절감을 꾀하고 있다.
이는 에어컨 시스템의 일 구성인 압축기에 있어서도 동일하며, 이와 같은 개발 추세에 맞추어 흡입 맥동 저감장치 역시 중량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롭고 단순한 구성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감소하여 중량과 제조비용이 절감되도록 된 압축기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어헤드의 외부와 내측의 흡입실을 연통시키는 흡입포트와, 상기 흡입포트의 내부에서 흡입포트를 차단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유로홀이 관통 형성되며 흡입 냉매의 냉매 압력과 유량 변동에 따라 냉매 흐름에 탄성적으로 저항력을 부여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체는 평평한 박막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에 형성되는 유로홀은 직선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중간 부분에 원형의 유로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외측 테두리 부분에서 내측 유로홀 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외측 테두리 부분에서 내측 유로홀쪽으로 갈수록 흡입포트의 후방으로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가 흡입포트에 복수개 설치되고, 복수의 탄성체들에 형성된 유로홀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가 흡입포트에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탄성체들에 형성된 각 유로홀들이 탄성체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서로 다른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가 흡입포트에 복수개 설치되고, 복수의 탄성체들의 두께가 모두 서로 달라서 압축기의 전 작동 영역에 걸쳐 댐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 맥동 저감장치가 단순 구조의 탄성체로 구성됨으로써 부품수와 중량 및 제조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흡입 맥동 저감장치에 사용되던 바디와 케이스가 사용되지 않음으로써 조립시 바디를 압입하는 공정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조립이 용이해지고, 바디와 케이스가 상호 분리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또한 흡입포트의 내부에 탄성체만을 설치하면 되므로 종래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와 같이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므로 리어헤드에서 설치 공간을 확보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체 작동시 탄성체가 흡입포트의 내주면등 그 주변 부품에 충돌하지 않으므로 빠른 속도로 반복 작동할 경우에도 채터링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종래에는 코어가 바디에 충돌하는 소음이 발생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체를 복수개 배열하고, 각 탄성체의 유로홀 크기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거나 각 탄성체의 두께를 달리하여 탄성체의 탄성강도를 다양하게 구비함으로써 흡입 냉매의 압력 및 유량의 변동에 따른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압축기의 작동 전 구간에 걸쳐 고르게 댐핑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사판식 압축기의 구성도로서 사판이 경사진 상태의 도면.
도 2는 사판식 압축기의 구성도로서 사판이 직립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흡입 맥동 저감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맥동 저감장치의 일실시예로서 평판형 탄성체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리어헤드 흡입포트 부분의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맥동 저감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두께 가변형 탄성체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5의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는 리어헤드(10)의 외부와 내측의 흡입실을 연통시키는 흡입포트(11)와, 그 흡입포트(11)의 내부에서 흡입포트(11)를 차단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유로홀(21)이 관통 형성되며 흡입 냉매의 냉매 압력과 유량 변동에 따라 냉매 흐름에 탄성적으로 저항력을 부여하는 탄성체(20)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체(20)는 얇은 평판형 박막 형태로서, 테두리 부분이 흡입포트(11)의 내주면에 형성된 설치홈(12)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흡입포트(11)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유로홀(21)은 탄성체(20)의 중간 부분을 직선으로 가로지르는 슬릿(slit)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냉매는 상기 유로홀(21)을 통해 흡입포트(1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리어헤드(10)의 흡입실로 공급된다.
냉방 부하 증감에 따라 상기 흡입포트(11)를 통과하는 냉매의 압력과 유량이 변동되는데, 냉매 압력과 유량 변동에 따라 상기 탄성체(20)는 실선으로 도시된 평판 형상으로부터 점선으로 도시된 흡입포트(11)의 후방쪽으로 변형된 형상 사이를 반복적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급격한 냉매의 압력과 유량 변동에 따른 충격을 완충한다.
따라서, 냉매의 압력과 유량의 급격한 변동에 의한 맥동 발생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맥동 발생이 방지됨으로써 맥동에 의해 유발되는 압축기의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압축기로부터 냉매파이프를 통해 실내쪽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댐퍼 역할을 하는 탄성체(20)가 평평한 박막 형상을 가짐으로써 가장 단순한 구조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맥동 저감장치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20)의 반경 방향 내측에 원형의 유로홀(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체(20)의 두께는 외측 테두리 부분에서 유로홀(21)이 형성된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질 수 있다. 즉, 탄성체(20)의 테두리 부분 두께(a) > 탄성체(20)의 반경 방향 내측부 두께(b)의 관계가 성립한다.
또한 상기 탄성체(20)는 반경방향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냉매 흐름 방향 즉, 흡입포트(11)의 후방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입포트(11)에는 냉매의 흐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탄성체(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탄성체(20)가 설치되는 경우, 각 탄성체(20)들의 유로홀(21)의 면적은 흡입포트(11)의 전방쪽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즉, 냉매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감소되는 특징을 갖는다. 즉 상대적으로 전방에 배치된 탄성체(20)의 유로홀(21)의 면적이 크고 후방에 배치된 탄성체(20)의 유로홀(21) 면적이 작다.
또한 복수의 탄성체(20)가 설치되는 경우, 각 탄성체(20)들의 유로홀(21)은 탄성체(20)의 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편심량을 가지고 이격 형성된다. 즉, 각 탄성체(20)마다 유로홀(21)이 탄성체(20)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거리가 다른데, 그 이격 거리는 냉매 흐름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탄성체(20)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이 아니고 불규칙적으로 증감된다.
상기와 같이 내측에 원형의 유로홀(21)이 형성된 탄성체(20)의 경우, 냉매는 유로홀(21)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시키면서 흡입포트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유로홀(21)의 면적은 냉매 압력과 유량에 따라 탄성적으로 증감되므로 냉매 압력 및 유량 변동에 대한 댐핑이 이루어진다. 이때 유로홀(21)이 형성된 내측 부분이 외측 부분에 비해 냉매 흐름 방향을 따라 흡입포트의 후방으로 휘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 변형에 따른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도 댐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탄성체(20)의 두께가 외측 테두리 부분에서 내측 유로홀(21)쪽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면, 냉매 압력 및 유량 변동에 따른 탄성체(20)의 변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유로홀(21)의 확장도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냉매의 압력과 유량 변동이 작은 경우에도 댐핑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냉매의 압력과 유량 변동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여 댐핑 기능을 수행하는 흡입 맥동 저감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20)의 형상이 외측 테두리 부분에서 내측 유로홀(21)쪽으로 갈수록 흡입포트(11)의 후방으로 휘어진 형상을 가질 경우에도 탄성체(20)가 냉매 흐름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냉매 압력과 유량 변동이 미미한 작동 구간에서도 한층 향상된 댐핑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20)는 기본적으로 다음 관계를 만족한다. 탄성체(20)의 테두리 부분 두께(a)는 유로의 직경(D)/2 보다 작다. 탄성체(20)의 반경 방향 내측 부분의 두께(b) 역시 유로의 직경(D)/2 보다 작다. 또한 유량이 없을 때의 상기 유로홀(21)의 직경(c)는 유로의 직경(D)보다 작다. 또한 탄성체(20)의 테두리 부분에서 유로홀(21)까지의 거리(L)은 유로의 직경(D)보다 작다.
한편, 상기 탄성체(20)는 압축기의 냉매 처리 성능(용량)에 따라 적절한 댐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나 이상 즉, 복수개로 설치 가능하다.
탄성체(20)를 복수개 설치할 때는 냉매 흐름 방향을 따라 즉, 흡입포트(1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소정 간격으로 탄성체(20)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탄성체(20)가 설치되고, 각 탄성체(20)들에 형성된 유로홀(21)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감소되면, 흡입포트(11) 입구쪽의 냉매 압력 및 유량이 갑자기 증가하더라도 냉매가 점진적으로 면적이 감소하는 유로홀(21)들을 통과하면서 댐핑 작용도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보다 효율적인 댐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양한 크기의 유로홀(21)이 존재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주파수 영역에서 진동 및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복수 탄성체(20)들의 유로홀(21)들이 중심으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이격거리를 가지고 편심 형성된 경우, 유로홀(21)을 통한 파동의 전파 방향이 각 탄성체(20) 마다 상이하므로 냉매를 매개로 한 진동 및 소음의 전달 경로를 분산시킴으로써 진동 및 소음 전달량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맥동 저감장치는 탄성체(20)의 테두리 부분 두께(a)와, 탄성체(20)의 반경 방향 내측부 두께(b)와, 냉매 유량이 없을 때의 유로홀(21)의 직경(c)을 조절하여 압축기의 각 작동조건에 최적화된 댐핑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탄성체(20) 배열시 탄성체(20)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각 탄성체(20)의 탄성 강도가 모두 다르므로 냉매 저유량시에는 작은 탄성 강도를 가지는 탄성체(20)가 댐핑 작용을 수행하고 냉매 고유량시에는 큰 탄성 강도를 가지는 탄성체(20)가 댐핑 작용을 수행함으로써 압축기의 작동 구간 전체에 걸쳐 고른 댐핑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맥동 저감장치는, 상기 탄성체(20)의 탄성 변형에 의해 댐핑 기능이 수행되고, 그에 따라 맥동 발생이 저감 및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흡입 맥동 저감장치가 단순 구조의 탄성체(20)에 의해 구현되므로 흡입 맥동 저감장치의 부품수 및 중량이 감소되고, 이에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 흡입 맥동 저감장치의 케이스와 바디와 같은 부품이 사용되지 않음으로써 부품수와 중량이 크게 감소되고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종래 장치의 바디와 케이스가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조립시 바디를 압입하는 공정이 폐지되므로 조립 공정이 용이해지고, 바디와 케이스가 서로 분리되는 문제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즉 흡입 맥동 저감장치가 하나의 소재로만 제작 가능하므로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부품 간의 결합에 따른 문제(조립성, 조립 상태 안정성)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체(20)는 그 크기를 작게 형성하기 용이하고, 복수개가 설치되는 경우라도 짧은 거리 내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흡입 맥동 저감장치가 차지하는 설치 공간이 크게 감소한다. 따라서 리어헤드에서 흡입 맥동 저감장치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작동은 상기 탄성체(20)의 변형과 복원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탄성체(20)의 변형 및 복원시 탄성체(20)가 그 주변의 부품에 충돌하는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탄성체(20)가 빠른 속도로 반복 작동할 때도 채터링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리어헤드 11 : 흡입포트
12 : 설치홈 20 : 탄성체
21 : 유로홀

Claims (9)

  1. 회전축에 설치된 사판과, 사판에 연동되는 복수의 피스톤과, 피스톤이 삽입된 실린더보어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후면에 밸브플레이트를 개재한 상태로 장착되고 압축기 외부에서 공급된 냉매가 경유하여 실린더보어로 흡입되는 흡입실과 실린더보어에서 토출된 냉매가 경유하여 압축기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실이 형성된 리어헤드를 포함한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리어헤드(10) 내측의 흡입실과 압축기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흡입포트(11)와,
    상기 흡입포트(11)의 내부에서 흡입포트(11)를 차단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유로홀(21)이 관통 형성되며, 흡입 냉매의 냉매 압력과 유량 변동에 따라 냉매 흐름에 탄성적으로 저항력을 부여하는 탄성체(2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20)는 중간 부분에 원형의 유로홀(2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20)가 흡입포트(11)에 복수개 설치되고, 복수의 탄성체(20)들에 형성된 유로홀(21)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0)는 평평한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0)에 형성되는 유로홀(21)은 직선형 슬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0)는 외측 테두리 부분에서 내측 유로홀(21)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0)는 외측 테두리 부분에서 내측 유로홀(21)쪽으로 갈수록 흡입포트(11)의 후방으로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
  7. 삭제
  8. 회전축에 설치된 사판과, 사판에 연동되는 복수의 피스톤과, 피스톤이 삽입된 실린더보어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후면에 밸브플레이트를 개재한 상태로 장착되고 압축기 외부에서 공급된 냉매가 경유하여 실린더보어로 흡입되는 흡입실과 실린더보어에서 토출된 냉매가 경유하여 압축기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실이 형성된 리어헤드를 포함한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리어헤드(10) 내측의 흡입실과 압축기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흡입포트(11)와,
    상기 흡입포트(11)의 내부에서 흡입포트(11)를 차단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유로홀(21)이 관통 형성되며, 흡입 냉매의 냉매 압력과 유량 변동에 따라 냉매 흐름에 탄성적으로 저항력을 부여하는 탄성체(2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20)는 중간 부분에 원형의 유로홀(2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20)가 흡입포트(11)에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탄성체(20)들에 형성된 각 유로홀(21)들이 탄성체(2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서로 다른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
  9. 회전축에 설치된 사판과, 사판에 연동되는 복수의 피스톤과, 피스톤이 삽입된 실린더보어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후면에 밸브플레이트를 개재한 상태로 장착되고 압축기 외부에서 공급된 냉매가 경유하여 실린더보어로 흡입되는 흡입실과 실린더보어에서 토출된 냉매가 경유하여 압축기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실이 형성된 리어헤드를 포함한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리어헤드(10) 내측의 흡입실과 압축기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흡입포트(11)와,
    상기 흡입포트(11)의 내부에서 흡입포트(11)를 차단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유로홀(21)이 관통 형성되며, 흡입 냉매의 냉매 압력과 유량 변동에 따라 냉매 흐름에 탄성적으로 저항력을 부여하는 탄성체(2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20)는 중간 부분에 원형의 유로홀(2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20)가 흡입포트(11)에 복수개 설치되고, 복수의 탄성체(20)들의 두께가 모두 서로 달라서 압축기의 전 작동 영역에 걸쳐 댐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
KR1020150142725A 2015-10-13 2015-10-13 압축기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 KR102312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725A KR102312403B1 (ko) 2015-10-13 2015-10-13 압축기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725A KR102312403B1 (ko) 2015-10-13 2015-10-13 압축기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235A KR20170043235A (ko) 2017-04-21
KR102312403B1 true KR102312403B1 (ko) 2021-10-15

Family

ID=58705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725A KR102312403B1 (ko) 2015-10-13 2015-10-13 압축기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4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5536A (ko) * 2020-02-19 2021-08-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사판식 압축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477B1 (ko) * 2008-01-10 201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소음 저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886B1 (ko) * 2013-09-23 2019-07-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맥동 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477B1 (ko) * 2008-01-10 201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소음 저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235A (ko) 2017-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805B1 (ko) 흡입체크밸브
KR101995886B1 (ko)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맥동 저감장치
EP2865893B1 (en) Valve assembly for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JP2007333131A (ja) 差圧弁
KR102312403B1 (ko) 압축기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
CN107061276B (zh) 旋转压缩机
KR101883174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US4836754A (en) Turbulence generating device adjacent the inlet end of each discharge port of a multi-cylinder piston-type compressor for providing internal pulsation and noise suppression
KR20130092876A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765946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20130092879A (ko) 압축기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KR20170045589A (ko) 차량용 에어컨 압축기의 토출밸브
KR102073110B1 (ko) 가변 사판식 압축기용 토출체크밸브
KR102118600B1 (ko) 압축기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
KR101259676B1 (ko) 차량용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CN107559204B (zh) 旋转式压缩机的压缩机构以及旋转式压缩机
KR102118601B1 (ko) 압축기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
KR102103440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2524602B1 (ko) 가변식 압축기용 체크 밸브
KR101389637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741840B1 (ko) 압축기
KR101763979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20110098215A (ko)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
KR20130025647A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20170043236A (ko) 압축기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