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676B1 - 차량용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676B1
KR101259676B1 KR1020100057755A KR20100057755A KR101259676B1 KR 101259676 B1 KR101259676 B1 KR 101259676B1 KR 1020100057755 A KR1020100057755 A KR 1020100057755A KR 20100057755 A KR20100057755 A KR 20100057755A KR 101259676 B1 KR101259676 B1 KR 101259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late
plate body
valve
protrusion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7690A (ko
Inventor
이정재
신인철
임권수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7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676B1/ko
Publication of KR20110137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67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프레스 공정시 형성된 홈에 돌기부가 끼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플레이트와 그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형 판상의 밸브플레이트 몸체(21c)와,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21c)의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21c)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공(21')과,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21c)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21c)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복수의 돌기부(21a), 그리고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21c)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돌기부(21a)와 대응되는 위치에 원기둥 형상으로 요입 형성되는 복수의 홈(2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돌기부(21a)의 직경(D2)은, 상기 홈(21b)의 직경(D1)과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밸브플레이트 적층시 밸브플레이트들이 서로 끼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밸브플레이트의 제조 또는 조립 공정시 발생되는 지연이나 기계 오류를 최소화하고, 밸브플레이트의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VALVE PLATE FOR COMPRESSOR OF VEHICLE}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프레스 공정시 형성된 홈에 돌기부가 끼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플레이트와 그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공조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압축기는 증발기로부터 증발이 완료된 냉매를 흡입하여 액화하기 쉬운 고온과 고압상태로 만들어 응축기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압축기에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피스톤 등이 왕복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왕복식과, 스크롤 등이 회전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회전식이 있다. 왕복식에는 구동원의 구동력을 크랭크를 사용하여 다수개의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크랭크식, 사판이 설치된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사판식, 워블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워블 플레이트식이 있다. 회전식에는 회전하는 로터리축과 베인을 사용하는 베인로터리식, 회전스크롤과 고정스크롤을 사용하는 스크롤식이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사판식 압축기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압축기(10)의 골격과 외관을 프론트헤드(11), 전방실린더블록(12) 및 후방실린더블록(12'), 그리고 리어헤드(13)가 형성한다. 이들은 상기 프론트헤드(11), 전방실린더블록(12), 후방실린더블록(12') 및 리어헤드(13)의 순서로 배열되어 결합된다.
상기 프론트헤드(11)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는 토출실(11a)이 형성된다. 상기 토출실(11a)은 각각 전방실린더블록(12)을 향하여 개구된다. 상기 토출실(11a)은 대략 링형상의 영역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토출실(11a)은 상기 전방실린더블록(12)의 각각의 실린더보어(12a)와 아래에서 설명될 밸브어셈블리(20)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헤드(11)에는 그 중심을 관통하여 축통공(O)이 형성된다. 상기 축통공(O)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축(14)이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전방실린더블록(12) 및 후방실린더블록(12')은 각각 상기 프론트헤드(11)와 리어헤드(13)에 결합된다. 상기 전방실린더블록(12) 및 후방실린더블록(12')의 내부에는 상기 축지지공(15)을 중심에 두고 축지지공(15)의 형성방향으로 원통 형상의 실린더보어(12a)가 다수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실린더보어(12a)는 상기 전방실린더블록(12) 및 후방실린더블록(12')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보어(12a)와 상기 축지지공(15)은 각각 흡입통로(15')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흡입통로(15')는 회전축(14)의 내부를 통해 전달된 냉매가 상기 실린더보어(12a)로 각각 전달되게 한다.
상기 전방실린더블록(12) 및 후방실린더블록(12')에는 각각 상기 프론트헤드(11) 및 리어헤드(13)의 토출실(11a,13a)과 연통되게 토출통로(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통로는 실린더보어(12a) 내에서 압축된 냉매를 외부로 토출하는 통로역할을 한다.
상기 프론트헤드(11)와 전방실린더블록(12)의 사이 및 상기 리어헤드(13)와 후방실린더블록(12')사이에는 토출실(11a 또는 13a)과 실린더보어(12a) 사이에서 냉매의 유동을 제어하는 밸브어셈블리(20)가 구비된다. 즉, 상기 밸브어셈블리(20)는 상기 실린더보어(12a)에서 토출실(11a 또는 13a)로의 냉매 유동을 제어한다.
상기 밸브어셈블리(20)에는 밸브플레이트(21)가 구비된다. 상기 밸브플레이트(21)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플레이트(21)에는 각각의 실린더보어(12a)와 대응되는 위치에 토출공(21')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헤드(11)와 마주보는 상기 밸브플레이트(21)의 일면 및 상기 리어헤드(13)와 마주보는 상기 밸브플레이트(21)의 일면에는 토출밸브(22)가 구비된다. 상기 토출밸브(22)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서 상기 실린더보어(12a)의 내부 압력에 따라 탄성변형되어 상기 토출공(21')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밸브플레이트(21) 중 상기 토출통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연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공은 상기 토출통로와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방실린더블록(12) 및 후방실린더블록(12')은 서로 결합되는 면에 요입된 부분이 형성되어 사판실(16)을 구성한다. 상기 사판실(16)에는 회전축(14)에 설치된 사판(17)이 회전가능하게 위치된다.
상기 프론트헤드(11)와 전방실린더블록(12) 및 후방실린더블록(12')의 중앙을 관통해서는 회전축(14)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4)의 내부에는 냉매가 유동되는 유로(14')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14')는 상기 회전축(14)의 내부에 회전축(14)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4)의 외면에는 입구(14a)와 출구(14b)가 형성된다. 상기 입구(14a)는 상기 사판실(16)과 유로(14')를 연결시키는 것이고, 상기 출구(14b)는 상기 전방실린더블록(12) 및 후방실린더블록(12')의 흡입통로(15')와 연결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출구(14b)의 위치는 각각의 실린더보어(12a)에서 진행되는 냉매의 압축순서에 맞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회전축(14)의 일측에는 축시일(18)이 삽입되어 상기 프론트헤드(11)의 축통공(O)의 내면에 밀착된다. 상기 축시일(18)은 상기 회전축(14)과 상기 축통공(O) 사이로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축시일(18)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4)에는 대략 원판 형상의 사판(17)이 회전축(14)의 연장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사판(17)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슈(19)가 설치된다. 상기 슈(19)는 상기 사판(17)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보어(12a)의 내부에는 피스톤(30)이 직선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30)은 상기 실린더보어(12a)의 내부와 대응되는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양단이 각각 전방실린더블록(12) 및 후방실린더블록(12')의 실린더보어(12a)에 위치된다. 즉, 하나의 피스톤(30)의 각각의 양단이 실린더보어(12a) 내에서 냉매를 압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피스톤(30)은 그 중간 부분이 상기 슈(19)와 결합되어 있어, 상기 사판(17)의 회전에 따라 직선왕복운동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30)이 왕복 운동함에 따라 상기 밸브플레이트(21)와 밀착되는 밀착면 상에는 상기 토출공(2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된 돌출부(31)가 상기 피스톤(3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30)이 왕복 운동하여 냉매를 압축할 때 상기 토출공(21')에 의한 원기둥 형상의 사체적이 존재하게 되는데, 상기 돌출부(31)는 이와 같은 사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압축기의 압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리어헤드(13)는 상기 후방실린더블록(12')의 일면에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리어헤드(13)에는 토출실(13a)이 형성된다. 상기 토출실(13a)은 대략 링형상의 영역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토출실(13a)은 각각 후방실린더블록(12')을 향하여 개구된다. 상기 토출실(13a)은 상기 후방실린더블록(12')에 형성된 실린더보어(12a)들과 밸브플레이트(21)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풀리(40)는 상기 프론트헤드(1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풀리(4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풀리(40)는 엔진의 구동력을 벨트(미도시)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된다.
상기 풀리(40)에는 필드코일(41)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필드코일(41)은 전원이 인가되면 흡인자속을 발생시켜 아래에서 설명될 디스크(46)가 풀리(40)의 마찰면(40')에 밀착되게 한다.
한편, 상기 회전축(14)의 일단부에는 허브(43)가 설치되고, 상기 허브(43)에는 댐퍼(44)가 구비된다. 상기 댐퍼(44)는 상기 회전축(14)과 풀리(40) 사이의 동력전달 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상기 댐퍼(44)에는 상기 풀리(40)의 마찰면(40')과 마주보는 위치에 디스크(46)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압축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엔진의 구동력이 벨트를 통해 상기 풀리(40)에 전달되면, 상기 풀리(40)는 회전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필드코일(41)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풀리(40)의 마찰면(40')에 상기 디스크(46)가 밀착되지 않으므로, 상기 회전축(14)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공조시스템의 가동 필요성이 발생하여 압축기가 구동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또는 차량의 제어시스템이 공조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제공한다. 공조시스템의 동작이 시작되고 냉매가 압축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필드코일(41)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상기 필드코일(41)이 흡입자속을 발생시킨다.
상기 필드코일(41)에 전원이 인가되면, 필드코일(41)의 흡인자속에 의해 상기 디스크(46)는 상기 풀리(40)의 마찰면(40')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풀리(40)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축(14)으로 상기 디스크(46), 댐퍼(44) 및 허브(43)를 통해 전달된다.
이와 같이 회전축(14)으로 풀리(40)의 회전력이 전달되면, 상기 회전축(14)이 회전하면서 피스톤을 직선왕복운동시켜서 냉매의 압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14)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14) 내부의 유로(14')가 상기 출구(14b)와 흡입통로(15')를 통해 상기 실린더보어(12a)와 연결된다. 이와 같은 유로(14')와 실린더보어(12a)의 연결은 상기 사판실(16) 내로 흡입된 냉매가 상기 실린더보어(12a)로 전달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실린더보어(12a)로 냉매가 흡입되는 것은 상기 피스톤(30)이 해당되는 실린더보어(12a)에서 하사점에 위치할 때이다. 이와 같이, 상기 실린더보어(12a)에 냉매가 전달되면, 해당되는 상기 실린더보어(12a)의 상기 피스톤(30)이 상기 밸브플레이트(2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냉매의 압축이 일어난다.
이와 같이, 냉매가 상기 실린더보어(12a) 내에서 압축되면, 상기 실린더보어(12a) 내부의 압력은 상대적으로 높아져 상기 토출실(11a)(13a)로 냉매가 토출된다. 상기 토출실(11a)(13a)로 토출된 냉매는 외부의 토출구를 통해 응축기(미도시)쪽으로 전달된다.
상기 토출구를 통해 응축기로 전달된 냉매는 응축기(미도시), 팽창변(미도시), 그리고 증발기(미도시)를 거쳐 다시 압축기로 전달된다. 압축기에서 냉매는 위에서 설명된 과정을 반복하여 압축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압축기의 상기 밸브플레이트(21)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플레이트(21)는 대략 원판 형상의 금속성 밸브플레이트 몸체(21c)로 형성된다.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21c)에는 각각 상기 실린더보어(12a)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토출공(21')이 형성된다. 상기 토출공(21')은 상기 토출밸브(22)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그리고 또한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21c)에는 돌기부(21a)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21a)는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21c)의 일면으로부터 적어도 두 개 이상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21a)는 상기 토출밸브(22)에 형성되는 고정홀(22a)이 끼워지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토출밸브(22)가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 A-A에 대한 상기 밸브플레이트(21)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플레이트(21)의 상기 돌기부(21a)는 상기 토출밸브(22)가 고정되는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21c)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토출공(21')은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21c)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밸브플레이트(21)는 원형 판상의 밸브플레이트 몸체(21c)로 성형된 후 상기 토출공(21')을 형성하기 위한 천공 공정과, 상기 돌기부(21a)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스 공정 등을 거치게 된다. 특히 상기 돌기부(21a)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스 공정에서는 상기 돌기부(21a)가 형성되는 반대편을 프레스 기계로 압축하기 때문에, 상기 돌기부(21a)의 반대편에는 홈(21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프레스 공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으로 형성한 밸브플레이트 몸체(21c)를 고정플레이트(300)에 고정된 다이(200) 위에 고정한 후, 프레스(100)로 압축력을 가하여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21c)를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프레스(10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21c)에 형성될 돌기부(21a)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또한 상기 다이(200)에는 상기 돌기부(21a)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대응홈(200a)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상기 프레스(100)가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21c)를 압축하면,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21c)가 압축력에 의하여 소성 변형되어 상기 대응홈(200a)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상기 대응홈(200a)의 형상에 대응하는 돌기부(21a)가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프레스(100)에 의해 압축되어 형성된 상기 홈(21b)과 상기 돌기부(21a)의 직경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밸브플레이트(21)에 상기 돌기부(21a)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돌기부(21a)와 상기 홈(21b)이 서로 같은 폭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밸브플레이트 제조 공정 또는 압축기 조립 공정 상의 필요에 의해 복수의 밸브플레이트(21)를 적층하면 상기 홈(21b)에 상기 돌기부(21a)가 끼어 빠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에 따라 밸브플레이트(21)의 조립 공정 투입이 지연되거나, 적층된 밸브플레이트(21)를 분리하는 기계 작동에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홈(21b)과 상기 돌기부(21a)가 끼어 서로 분리되지 않는 복수의 적층된 밸브플레이트(21)들을 각각으로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인력이 요구되는 등 제조단가 상승 요인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용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에 돌기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프레스 공정에서 형성된 홈의 직경과 돌기부의 직경을 달리하여 복수의 밸브플레이트 적층시 밸브플레이트들이 서로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플레이트와 그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밸브플레이트의 제조 또는 조립 공정시 발생되는 지연이나 기계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밸브플레이트와 그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원형 판상의 밸브플레이트 몸체와;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공과;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복수의 돌기부; 그리고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돌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원기둥 형상으로 요입 형성되는 복수의 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직경은, 상기 홈의 직경과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기부의 직경은, 상기 홈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의 높이는, 상기 홈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A) 금속판으로부터 원형 판상의 밸브플레이트 몸체를 성형하는 단계와; (B)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복수의 토출공을 관통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C)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를 원기둥 형상으로 요입된 대응홈을 갖는 다이 위에 고정하고, 상기 대응홈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프레스로 압축하여, 상기 대응홈에 대응하는 형상의 돌기부와, 상기 프레스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및 그 성형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밸브플레이트의 프레스 공정에서 형성된 홈의 직경과 돌기부의 직경을 달리하여 복수의 밸브플레이트 적층시 밸브플레이트들이 서로 끼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밸브플레이트의 제조 또는 조립 공정시 발생되는 지연이나 기계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및 그 성형방법에 의하면 밸브플레이트의 제조 또는 조립 공정에서의 지연이나 오류, 추가 작업 인력의 요구를 방지함으로써 제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압축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축기에 구성되는 밸브플레이트의 형상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밸브플레이트의 선A-A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일반적인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의 돌기부 형성을 위한 프레스 공정시의 밸브플레이트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의 돌기부 형성을 위한 프레스 공정시의 밸브플레이트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가 적층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의 돌기부 형성을 위한 프레스 공정시의 밸브플레이트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가 적층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21)는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형상 및 구성을 갖는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플레이트(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21a)의 직경이 홈(21b)의 직경과 다르게 형성된다는 점에서 종래기술과 차이가 있다.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밸브플레이트(21)도 대략 원판 형상의 금속성 밸브플레이트 몸체(21c)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21c)에는 각각 상기 실린더보어(12a)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토출공(21')이 형성된다. 상기 토출공(21')은 상기 토출밸브(22)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21c)에는 돌기부(21a)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21a)는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21c)로부터 적어도 두 개 이상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21a)는 토출밸브에 형성되는 고정홀이 끼워지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토출밸브가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돌기부(21a)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스 공정에서 상기 돌기부(21a)가 형성되는 반대편을 프레스 기계로 압축하기 때문에, 상기 돌기부(21a)의 반대편에는 홈(21b)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21c)에 상기 돌기부(21a)를 형성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의 원판상으로 형성된 밸브플레이트 몸체(21c)는 고정플레이트(300)위에 고정된 다이(200) 위에 놓여진다. 이때 상기 다이(200)에는 상기 돌기부(21a)와 대응되는 형상의 대응홈(200a)이 형성됨으로써, 프레스(100)가 위에서 압축력을 가하면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21c)가 소성 변형되면서 상기 대응홈(200a)으로 밀려들어가 상기 돌기부(21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대응홈(200a)은 상기 돌기부(21a)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진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대응홈(200a)의 직경(D2)은 상기 프레스(100)의 직경(D1)과 다른 값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응홈(200a)의 직경(D2)은 상기 프레스(100)의 직경(D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대응홈(200a)의 직경(D2)과 같은 값을 갖는 상기 돌기부(21a)의 직경(D2)은 상기 프레스(100)의 직경(D1)과 같은 값을 갖는 상기 홈(21b)의 직경(D1)보다 작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홈(21b)의 직경(D1)은 상기 돌기부(21a)의 직경(D2)보다 0.2mm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밸브플레이트(21)에 상기 돌기부(21a)를 형성한 후, 복수의 밸브플레이트(21)를 적층하더라도 상기 홈(21b)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다이(200)의 높이(db)는 상기 프레스(100)의 압축력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홈(21b)의 깊이(da)보다 더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프레스(100)의 직경(D1)이 상기 대응홈(200a)의 직경(D2) 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대응홈(200a)의 깊이(db)를 더 깊게 함으로써, 상기 밸브플레이트(21)의 프레스에 의한 소성 변형을 보다 원활히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밸브플레이트(21)를 적층하더라도 하측에 적층된 밸브플레이트(21)의 돌기부(21a)가 상측에 적층된 밸브플레이트(21)의 홈(21b)에 끼지 않고 그 내부로 완전히 삽입됨으로써, 밸브플레이트의 적층 높이를 줄일 뿐 아니라 밸브플레이트(21)가 서로 끼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압축기 11: 프론트헤드
11a: 토출실 12: 전방실린더블록
12': 후방실린더블록 12a: 실린더보어
13: 리어헤드 14: 회전축
14a:입구 14b: 출구
15: 축지지공 15': 흡입통로
16: 사판실 17: 사판
18: 축시일 19: 슈
20: 밸브어셈블리 21: 밸브플레이트
21': 토출공 22: 토출밸브
22a: 토출리드 30: 피스톤
31: 돌출부 40: 풀리
40': 마찰면 41: 필드코일
43: 허브 44: 댐퍼
46: 디스크

Claims (3)

  1. 원형 판상의 밸브플레이트 몸체(21c)와,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21c)의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21c)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공(21'),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21c)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21c)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복수의 돌기부(21a), 그리고
    상기 밸브플레이트 몸체(21c)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돌기부(21a)와 대응되는 위치에 원기둥 형상으로 요입 형성되는 복수의 홈(21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21)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직경(D2)은 상기 홈의 직경(D1)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높이(db)는 상기 홈의 깊이(da)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KR1020100057755A 2010-06-17 2010-06-17 차량용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KR101259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755A KR101259676B1 (ko) 2010-06-17 2010-06-17 차량용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755A KR101259676B1 (ko) 2010-06-17 2010-06-17 차량용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690A KR20110137690A (ko) 2011-12-23
KR101259676B1 true KR101259676B1 (ko) 2013-05-09

Family

ID=45503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755A KR101259676B1 (ko) 2010-06-17 2010-06-17 차량용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6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2979A (ko) 2013-09-23 2015-04-0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20190124673A (ko) 2019-10-25 2019-11-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왕복식 압축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3112A (ja) 2009-03-24 2010-10-07 Toyota Industries Corp 圧縮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3112A (ja) 2009-03-24 2010-10-07 Toyota Industries Corp 圧縮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2979A (ko) 2013-09-23 2015-04-0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20190124673A (ko) 2019-10-25 2019-11-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왕복식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690A (ko) 201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805B1 (ko) 흡입체크밸브
KR101259676B1 (ko) 차량용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KR101983698B1 (ko) 사판식 압축기
KR20120134859A (ko) 압축기
KR102547593B1 (ko) 가변 용량 사판식 압축기
KR20120133034A (ko) 압축기용 밸브 유니트
KR102547594B1 (ko) 가변 용량 사판식 압축기
KR101599547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1721255B1 (ko) 압축기
US20100092311A1 (en) Displacement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1960441B1 (ko) 압축기용 체크밸브
JP7160001B2 (ja) ピストン式圧縮機
KR101487025B1 (ko) 압축기
KR101166286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1221311B1 (ko) 사판식 압축기
KR20130027263A (ko) 압축기
KR101541917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261136B1 (ko) 압축기
KR101660537B1 (ko) 압축기
KR101463259B1 (ko) 압축기
KR101654129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0863231B1 (ko) 압축기용 피스톤 구조
KR102032397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1515643B1 (ko) 압축기
KR100927830B1 (ko) 밸브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