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175B1 - 비중 자동 측정기 - Google Patents

비중 자동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175B1
KR102312175B1 KR1020200038851A KR20200038851A KR102312175B1 KR 102312175 B1 KR102312175 B1 KR 102312175B1 KR 1020200038851 A KR1020200038851 A KR 1020200038851A KR 20200038851 A KR20200038851 A KR 20200038851A KR 102312175 B1 KR102312175 B1 KR 102312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specific gravity
cartridge
detection un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1695A (ko
Inventor
박상규
이만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렉스로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렉스로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렉스로직
Priority to KR1020200038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175B1/ko
Publication of KR20210121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9/00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 G01N9/02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by measuring weight of a known volum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9/00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 G01N9/02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by measuring weight of a known volume
    • G01N2009/022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by measuring weight of a known volume of solids
    • G01N2009/026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by measuring weight of a known volume of solids the volume being determined by amount of fluid displac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ㆍ제약 등의 제조 분야에서 제품이나 원료의 비중을 측정하기 위한 비중 측정기에 관한 기술로서, 카트리지(cartridge)에 적치된 다수의 시료를 하나하나 연속적으로 인출하여 시료의 비중을 자동으로 측정함으로써, 제품이나 원료의 품질검사가 신속하고 용이하며, 또한 작업자가 비중 검사가 필요한 장소로 휴대 및 운반하여 사용이 편리한 비중 자동 측정기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보드에 설치되고, 시료가 탑재되는 복수개의 카트리지; 상기 보드에 설치되며, 시료의 비중을 측정하는 검출유닛; 상기 카트리지의 일측에 배치되고, 카트리지에 탑재된 시료를 인출하여 검출유닛에 탑재하는 로딩유닛; 및 상기 검출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비중 측정이 완료된 시료를 검출유닛에서 인출하여 카트리지에 탑재하는 언로딩유닛;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비중 자동 측정기 {Specific gravity automatic meter}
본 발명은 화학ㆍ제약 등의 제조 분야에서 제품이나 원료의 비중을 측정하기 위한 비중 측정기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카트리지(cartridge)에 적치된 다수의 시료를 하나하나 연속적으로 인출하여 시료의 비중을 자동으로 측정함으로써, 제품이나 원료의 품질검사가 신속하고 용이하며, 또한 작업자가 비중 검사가 필요한 장소로 휴대 및 운반하여 사용이 편리한 비중 자동 측정기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비중 측정기(specific gravity meter)는 고체ㆍ액체ㆍ기체 등의 측정물에 따라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며, 대부분 액체 비중계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보통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를 이용하여 물체의 질량과 그것이 액속에 있을 때 받는 부력으로부터 액체의 비중을 측정하는 형식이다.
이중에서 고체용 측정기는 대부분 욜리천칭(Jolly balance)이 이용되고, 액체는 베스트팔비중계(Westphal balance), 애리오피크노미터(areopycnometer), 액체비중계(hydrometer) 등이 이용되며, 기체는 유리천칭이 이용되고 있다.
근래 화학ㆍ제약 등의 제조 분야에서 여러가지 원료를 혼합하여 생산되는 제품(실리콘, 약품 등)은 제조공정에서 품질의 요구 조건을 기준으로 품질검사가 실시되며, 품질검사 중에서 제품의 특성 및 원료의 혼합비율에 따라 완제품과 원료의 비중 측정이 실시된다.
종래 금이나 백금의 순도 또는 고무나 플라스틱 등 고형물의 비중을 측정하기 위한 비중 측정장치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7805호(비중 측정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덮개체로 이루어지는 공중 탑재 부재를 개폐할 필요가 있고, 그 개폐 조작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공중 탑재 부재의 개폐 동작에 의해 계량장치 내부에 충격을 주어 계측값에 미묘한 차이나 오류를 발생시켜 비중의 측정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들을 해소하는 기술이다.
또한 종래 액체의 액면 높이와 비중을 측정하기 위한 비중 측정장치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1961호(액면높이 및 비중 측정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액면 높이 측정용 부표와 비중 측정용 부표를 프로브 샤프트를 통과시키는 코어 봉으로 결합하여 액면 높이와 비중을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비중 측정용 부표의 구조를 개선하여 중량을 적게 함으로써, 액체 표면 위로 잘 뜨도록 하여 측정할 수 있는 액체의 밀도범위가 넓은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 선행기술에서 고형물의 비중을 측정하기 위한 비중 측정장치는 크기가 작아 운반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작업자가 핀셋(pincette)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시료를 하나씩 탑재해 비중을 측정하는 방식으로서,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측정 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다수의 시료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비중 자동 측정장치가 제공되고 있으나, 이는 기기의 구동 방식에서 공압이나 또는 유압장치를 사용하므로, 부피가 크고 휴대 및 운반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495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196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526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780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2754호.
본 발명은 종래 선행기술에서 제시된 "비중 측정장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제품이나 원료의 비중 검사가 신속하고 용이하며, 구동 방식을 개선하여 공압이나 또는 유압장치를 사용하지 않아 부피가 작게 제작되므로, 작업자가 휴대 및 운반하여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이 저렴하게 소요되는 비중 자동 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의 시료가 적치된 카트리지에서 시료를 하나하나 연속적으로 인출하여 시료의 비중을 측정하고, 측정이 완료된 시료를 별도의 카트리지에 적치하여 측정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비중 자동 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보드에 설치되고, 시료가 탑재되는 복수개의 카트리지; 상기 보드에 설치되며, 시료의 비중을 측정하는 검출유닛; 상기 카트리지의 일측에 배치되고, 카트리지에 탑재된 시료를 인출하여 검출유닛에 탑재하는 로딩유닛; 및 상기 검출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비중 측정이 완료된 시료를 검출유닛에서 인출하여 카트리지에 탑재하는 언로딩유닛;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카트리지는 보드의 상부 양측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보드에 부착된 베어링 하우징의 상부에 각각 회전가능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검출유닛은 카트리지 사이에 배치되고, 보드의 상부에 하우징이 위치하는 한편 하우징의 하부에 시료가 탑재되는 홀더가 매달려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로딩유닛은 그립이 집게 형태로 작동하여 시료를 파지하며, 상기 그립이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 작동하고, 모터를 통해 좌우 상하로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언로딩유닛은 로딩유닛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동하고, 좌우 상하 및 회전 작동하는 그립이 검출유닛의 홀더에서 비중 측정이 완료된 시료를 인출하여 카트리지에 탑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의 시료가 적치된 카트리지에서 시료를 하나하나 연속적으로 인출하여 시료의 비중을 측정하고, 측정이 완료된 시료를 별도의 카트리지에 적치하여 측정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제품이나 원료의 비중 검사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존 비중 측정장치의 구동 방식을 개선하여 공압이나 또는 유압장치를 사용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게 제작됨으로써, 작업자가 휴대 및 운반하여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이 저렴하게 소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비중 자동 측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비중 자동 측정기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주요 구성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내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주요 구성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내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주요 구성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내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주요 구성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내부 측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서 로딩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검출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서 언로딩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은, 보드(B)에 설치되고, 시료(S)가 탑재되는 복수개의 카트리지(10)(10a); 상기 보드(B)에 설치되며, 시료(S)의 비중을 측정하는 검출유닛(20); 상기 카트리지(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카트리지(10)에 탑재된 시료(S)를 인출하여 검출유닛(20)에 탑재하는 로딩유닛(30); 및 상기 검출유닛(20)의 일측에 배치되며, 비중 측정이 완료된 시료(S)를 검출유닛(20)에서 인출하여 카트리지(10a)에 탑재하는 언로딩유닛(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비중 자동 측정기는 보드(B)의 내측부에 카트리지(10)(10a)ㆍ검출유닛(20)ㆍ로딩유닛(30)ㆍ언로딩유닛(40) 등의 주요 구성품이 배치되고, 그 외부에 도면에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케이스(100)가 감싸여 설치되는 한편 모든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와 디스플레이(200)가 배치된다.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복수개의 카트리지(10)(10a)는 비중 측정이 필요한 시료와 측정이 완료된 시료가 각각 별도로 탑재되는 기능으로서, 상기 카트리지(10)(10a)는 도면에서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바닥에 놓이는 보드(B)의 상부 양측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보드(B)에 부착된 베어링 하우징(11)(11a)의 상부에 각각 회전가능케 설치된다.
상기에서 카트리지(10)(10a)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부 가장자리 둘레에 다수의 시료(S)가 방사상으로 끼워져 탑재되며, 벨트가 장착된 풀리(12)와 모터(13)의 구동으로 각각 회전 작동된다.
즉, 카트리지(10)(10a)와 베어링 하우징(11)(11a) 사이에 각각 풀리(12)가 배치되어 카트리지(10)(10a)의 샤프트에 결합 설치되고, 베어링 하우징(11)(11a)의 후방측에 각각 모터(13)의 설치되는 한편 상기 풀리(12)와 모터(13)의 구동축 풀리에 벨트가 감겨 설치되므로, 모터(13)의 구동에 따라 카트리지(10)(10a)가 각각 회전 작동한다.
상기에서 모터(13)는 카트리지(10)(10a)를 정확한 각도로 회전시켜 일측 카트리지(10)에 탑재된 시료(S)를 설정된 위치에 배치하거나, 또는 측정이 완료된 시료(S)가 타측 카트리지(10a)의 설정된 위치에 탑재될 수 있도록 스텝 모터(step motor)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비중 측정이 필요한 시료(S)는 작업자가 일측 카트리지(10)에 끼워 탑재하고, 비중 측정이 완료된 시료(S)는 타측 카트리지(10a)에 끼워져 탑재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검출유닛(20)은 시료(S)의 비중을 측정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검출유닛(20)은 도면에서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서로 이격된 카트리지(10)(10a) 사이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며, 보드(B)의 상부 양측에 수직상으로 프레임(22)이 부착 설치되고, 그 상부에 하우징(21)이 위치한다.
상기에서 하우징(21)은 시료(S)의 비중을 검출하는 연산부가 내장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21)의 하부에 시료(S)가 탑재되는 홀더(23)가 매달려 설치되며, 상기 홀더(23) 아래에 시료(S)를 물속에 투입시키는 검출수조(24)가 배치되는 한편 검출수조(24)의 외부에 물이 수용된 수조(25)가 배치된다.
상기에서 홀더(23)는 시료(S)가 검출수조(24)의 물속에 장애를 받지않고 쉽게 투입되도록 철사 등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검출수조(24)는 모터(26)의 구동으로 레일(27)을 따라 상하 이동하여 홀더(23)에 탑재된 시료(S)를 물속에 투입시킴으로써, 시료(S)의 비중을 검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물이 수용된 수조(25)는 보드(B)의 상부에 놓여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조(25)의 내부에 검출수조(24)가 안치된 상태에서 모터(26)의 구동으로 상하 이동하며, 상기 모터(26)는 하우징(21)의 상부에 배치되고, 보드(B)와 하우징(21) 사이에 수직상으로 레일(27)이 배치된다.
따라서, 검출유닛(20)은 홀더(23)에 시료(S)가 탑재되면, 모터(26)의 구동으로 수조(25) 내부에서 검출수조(24)가 레일(27)을 따라 상승하여 홀더(23)에 탑재된 시료(S)를 검출수조(24)의 물속에 투입시킴으로써, 시료(S)의 비중을 검출하고, 비중 측정이 완료되면, 다시 모터(26)가 역으로 구동하여 검출수조(24)가 원위치로 복구하며, 상기 검출수조(24)의 상하 이동거리는 감지센서를 통해 제어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로딩유닛(30)은 일측 카트리지(10)에 탑재된 시료(S)를 하나하나 인출하여 검출유닛(20)에 탑재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로딩유닛(30)은 도면에서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일측 카트리지(10)와 검출유닛(20) 사이에 배치되고, 좌우 상하 및 회전 작동하는 그립(31)이 카트리지(10)에 탑재된 시료(S)를 인출하여 검출유닛(20)의 홀더(23)에 탑재한다.
시료(S)를 카트리지(10)에서 인출하는 그립(31)은 모터를 통해 집게 형태로 작동하여 시료(S)를 파지하며, 모터(32)의 구동으로 회전 작동하고, 모터(33)(36)를 통해 좌우 상하로 이동하여 시료(S)를 검출유닛(20)의 홀더(23)에 탑재하게 된다.
상기에서 로딩유닛(30)은 양측 카트리지(10)(10a) 사이에 수평레일(35)이 배치되고, 상기 수평레일(35)에 가이드블럭(35a)이 끼워져 좌우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블럭(35a)의 상부에 수직레일(34)이 설치되는 한편 수직레일(34)의 상부에 모터(33)가 배치된다.
한편 수직레일(34)에 가이드블록이 설치되어 모터(33)의 구동으로 상하 이동하며, 상기 상하 이동하는 가이드블록에 모터(32)가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모터(32)의 전방측에 그립(31)이 좌우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에서 수평레일(35)을 따라 좌우 이동하는 가이드블럭(35a)은 모터(36)와 풀리(37)를 통해 이동하며, 상기 모터(36)는 수평레일(35)의 중간 부분에 결합 설치되고, 풀리(37)는 수평레일(35)의 양측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에서 풀리(37)와 모터(36)의 구동축 풀리에 벨트가 감겨 설치되고, 상기 벨트에 가이드블럭(35a)이 고정 설치됨으로써, 모터(36)의 구동으로 가이드블럭(35a)이 수평레일(35)을 따라 좌우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로딩유닛(30)은 집게 형태로 그립(31)이 작동하여 시료(S)를 파지하고, 상기 그립(31)이 모터(32)를 통해 회전 작동하는 한편 모터(33)(36)의 구동으로 좌우 상하로 이동하여 카트리지(10)에 탑재된 시료(S)를 인출해 검출유닛(20)의 홀더(23)에 탑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언로딩유닛(40)은 비중 측정이 완료된 시료(S)를 검출유닛(20)의 홀더(23)에서 인출하여 카트리지(10a)에 탑재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언로딩유닛(40)은 도면에서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타측 카트리지(10a)와 검출유닛(20) 사이에 배치되고, 좌우 상하 및 회전 작동하는 그립(41)이 검출유닛(20)의 홀더(23)에 탑재된 시료(S)를 인출하여 타측 카트리지(10a)에 탑재하게 된다.
상기에서 언로딩유닛(40)은 로딩유닛(30)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동하는 것으로서, 집게 형태로 그립(41)이 작동하여 시료(S)를 파지하고, 상기 그립(41)이 로딩유닛(30)과 동일하게 모터(32)의 구동으로 회전 작동하고, 모터(33)(36)를 통해 좌우 상하로 이동하여 시료(S)를 타측 카트리지(10a)에 탑재하게 된다.
언로딩유닛(40)은 로딩유닛(30)의 설명에서 언급한 수평레일(35)에 가이드블럭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블록에 로딩유닛(30)과 동일하게 수직레일ㆍ모터ㆍ가이드블록ㆍ모터ㆍ그립(41)이 배치되며, 로딩유닛(30)과 동일한 구동 방식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중 자동 측정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작업자가 비중 측정이 필요한 다수의 시료(S)를 일측 카트리지(10)에 방사상으로 끼워 탑재하고, 케이스(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측정기를 작동시키면, 도면에서 도 7 및 도 8과 같이, 먼저 일측 카트리지(10)가 회전 작동하여 탑재된 시료(S)를 설정된 위치로 배치하고, 로딩유닛(30)의 그립(31)이 최초 설정된 위치에서 카트리지(10)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편 하강 및 회전 작동한 다음, 집게 형태로 작동하여 카트리지(10)에 탑재된 시료(S)를 파지한다.
다음은, 그립(31)이 시료(S)를 피지한 상태에서 역으로 상승 및 회전 작동하고, 검출유닛(20)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한 후, 다시 하강 및 회전 작동한 다음, 시료(S)의 파지상태를 해제하여 검출유닛(20)의 홀더(23)에 시료(S)를 탑재하며, 이후 그립(31)이 다시 역으로 회전 및 상승 작동하여 최초 설정된 위치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도면에서 도 9와 같이, 검출유닛(20)의 홀더(23)에 시료(S)가 탑재되면, 모터(26)의 구동으로 검출수조(24)가 상승하여 홀더(23)에 탑재된 시료(S)를 물속에 투입시켜 비중을 검출하고, 측정이 완료되면 검출수조(24)가 하강하여 최초 설정된 위치로 복귀한다.
이후, 도면에서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언로딩유닛(40)의 그립(41)이 최초 설정된 위치에서 하강 및 회전 작동한 다음, 검출유닛(20)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편 집게 형태로 작동하여 홀더(23)에 탑재된 시료(S)를 파지하고, 다시 역으로 회전 및 상승 작동한 다음, 타측 카트리지(10a)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타측 카트리지(10a)는 측정기의 작동과 동시에 회전 작동하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고, 언로딩유닛(40)의 그립(41)이 이동 후, 하강 및 회전 작동한 다음, 시료(S)의 파지상태를 해제하여 타측 카트리지(10a)에 측정이 완료된 시료(S)가 탑재되며, 이후 그립(41)이 역으로 회전 및 상승 작동하여 최초 설정된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1사이클 측정과정이 완료되고, 카트리지(10)에 탑재된 시료(S)에 따라 측정과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의 시료가 탑재된 카트리지에서 시료를 하나하나 연속적으로 인출하여 시료의 비중을 측정하고, 측정이 완료된 시료를 별도의 카트리지에 탑재하여 측정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제품이나 원료의 비중 검사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존 비중 측정장치의 구동 방식을 개선하여 모터를 적용함에 따라 공압이나 또는 유압장치를 사용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게 제작됨으로써, 작업자가 휴대 및 운반하여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이 저렴하게 소요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10a): 카트리지 11(11a): 베어링 하우징
12: 풀리 13: 모터
20: 검출유닛 21: 하우징
22: 프레임 23: 홀더
24: 검출수조 25: 수조
26: 모터 27: 레일
30: 로딩유닛 31: 그립
32: 모터 33: 모터
34: 수직레일 35: 수평레일
36: 모터 37: 풀리
40: 언로딩유닛 41: 그립
100: 케이스 200: 디스플레이
B: 보드 S: 시료

Claims (7)

  1. 보드(B)에 설치되고, 시료(S)가 탑재되는 복수개의 카트리지(10)(10a); 상기 보드(B)에 설치되며, 시료(S)의 비중을 측정하는 검출유닛(20); 상기 카트리지(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카트리지(10)에 탑재된 시료(S)를 인출하여 검출유닛(20)에 탑재하는 로딩유닛(30); 및 상기 검출유닛(20)의 일측에 배치되며, 비중 측정이 완료된 시료(S)를 검출유닛(20)에서 인출하여 카트리지(10a)에 탑재하는 언로딩유닛(40);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유닛(20)은 카트리지(10)(10a) 사이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며, 보드(B)의 상부 양측에 수직상으로 프레임(22)이 부착 설치되고, 그 상부에 하우징(21)이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21)은 시료(S)의 비중을 검출하는 연산부가 내장 설치되고, 하부에 시료(S)가 탑재되는 홀더(23)가 매달려 설치되며, 상기 홀더(23) 아래에 시료(S)를 물속에 투입시키는 검출수조(24)가 배치되는 한편 검출수조(24)의 외부에 물이 수용된 수조(25)가 배치되고,
    상기 수조(25)는 보드(B)의 상부에 놓여 고정 설치되며, 상기 수조(25)의 내부에 검출수조(24)가 안치된 상태에서 모터(26)의 구동으로 레일(27)을 따라 상하 이동하며, 상기 모터(26)는 하우징(21)의 상부에 배치되고, 보드(B)와 하우징(21) 사이에 수직상으로 레일(27)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 자동 측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카트리지(10)(10a)는,
    보드(B)의 상부 양측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보드(B)에 부착된 베어링 하우징(11)(11a)의 상부에 각각 회전가능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 자동 측정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로딩유닛(30)은,
    그립(31)이 집게 형태로 작동하여 시료(S)를 파지하며, 상기 그립(31)이 모터(32)의 구동으로 회전 작동하고, 모터(33)(36)를 통해 좌우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 자동 측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언로딩유닛(40)은,
    로딩유닛(30)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동하고, 좌우 상하 및 회전 작동하는 그립(41)이 검출유닛(20)의 홀더(23)에서 비중 측정이 완료된 시료(S)를 인출하여 카트리지(10a)에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 자동 측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보드(B)의 내측부에 카트리지(10)(10a)ㆍ검출유닛(20)ㆍ로딩유닛(30)ㆍ언로딩유닛(40)이 배치되고, 외부에 케이스(100)가 감싸여 설치되는 한편 디스플레이(200)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 자동 측정기.
KR1020200038851A 2020-03-31 2020-03-31 비중 자동 측정기 KR102312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851A KR102312175B1 (ko) 2020-03-31 2020-03-31 비중 자동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851A KR102312175B1 (ko) 2020-03-31 2020-03-31 비중 자동 측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695A KR20210121695A (ko) 2021-10-08
KR102312175B1 true KR102312175B1 (ko) 2021-10-13

Family

ID=78115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851A KR102312175B1 (ko) 2020-03-31 2020-03-31 비중 자동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1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205B1 (ko) * 2008-09-23 2010-08-0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고체밀도 자동측정장치
JP5788983B2 (ja) 2011-06-14 2015-10-07 ローツェ株式会社 回転する試料テーブルを備える恒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544U (ja) * 1991-08-19 1993-03-05 関東科学サービス株式会社 固体比重測定装置
KR100764065B1 (ko) * 2006-03-24 2007-10-11 주식회사 나노하이테크 고체밀도 자동측정기 및 방법
KR100784957B1 (ko) 2006-04-24 2007-12-1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수삼의 비중 측정 방법 및 측정 장치
JP5419943B2 (ja) 2011-10-06 2014-02-19 アルファーミラージュ株式会社 比重測定装置
KR101141961B1 (ko) 2012-01-12 2012-05-04 (주) 다인레벨 액면높이 및 비중 측정 장치
KR101245268B1 (ko) 2012-11-22 2013-03-19 (주) 다인레벨 액체의 액면 높이 및 비중을 동시에 측정하는 장치
KR102012754B1 (ko) 2017-08-30 2019-08-21 주식회사 이노켐텍 연속측정 비중계 및 비중 연속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205B1 (ko) * 2008-09-23 2010-08-0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고체밀도 자동측정장치
JP5788983B2 (ja) 2011-06-14 2015-10-07 ローツェ株式会社 回転する試料テーブルを備える恒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695A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3872B2 (ja) 指定された容器製品の特性の存在を確立するための方法及び該方法を実行する装置
KR20200082429A (ko) 수질 측정용 시료채취 장치
CN105548343A (zh) 基于磁悬浮的零件缺陷的检测装置和检测方法
CN109839484A (zh) 一种环境检测装置及方法
CN106645136A (zh) 一种氯盐含量测定仪
WO2015046425A1 (ja) 試験片ピックアップ機構、試験片移動装置、液体試料分析装置及び試験片ピックアップ方法
KR102312175B1 (ko) 비중 자동 측정기
CN106768735A (zh) 一种气体采样袋泄露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09520883A (zh) 煤取样机
CN109060596A (zh) 一种燃料芯块真密度自动测量仪及方法
KR101889150B1 (ko) 표면 거칠기 측정 장치
KR100764065B1 (ko) 고체밀도 자동측정기 및 방법
CN108107192A (zh) 棉花样品连续取样检测方法
CN210198985U (zh) 链条全检装置
CN108254583A (zh) 一种纺织品pH值自动测试设备
US20140020959A1 (en) Trash Auto-Weighing
CN209803143U (zh) 一种混凝土塌落度自动检测设备
KR101103370B1 (ko) 자동 채수 장치
CN112173473B (zh) 一种大米储存用湿度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CA3157894A1 (en) Automatic measuring machine, manufacturing facility and method
CN113702240A (zh) 玻璃密度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9980051150A (ko) 도금강판의 파우더링과 도금박리측정장치 및 방법
CN106969813A (zh) 一种高精度移液器自动检定装置
CN207779597U (zh) 易拉罐开启力检测装置
CN107238550B (zh) 一种恒温静水力学天平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