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744B1 - 용기 수납 설비 - Google Patents

용기 수납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744B1
KR102311744B1 KR1020170113818A KR20170113818A KR102311744B1 KR 102311744 B1 KR102311744 B1 KR 102311744B1 KR 1020170113818 A KR1020170113818 A KR 1020170113818A KR 20170113818 A KR20170113818 A KR 20170113818A KR 102311744 B1 KR102311744 B1 KR 102311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orage
group
storage unit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8947A (ko
Inventor
다케시 아베
다다히로 요시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80028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89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atmosphere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76Production flow monitoring, e.g. for increasing throughp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08B5/023Cleaning travelling w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83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substrate sup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89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atmosphere control
    • H01L21/67393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atmosphe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atmosphere modifying elements inside or attached to the closed carrier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9Storag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75Doc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86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closed carri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6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용기 수납 설비는, 복수의 수납부를 수납부군로서 가지는 수납 선반과, 각각의 수납부에 대하여 분기형의 공급 배관을 통하여 정화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 장치와, 수납부에 대하여 용기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반송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수납부에 복수의 용기를 수납하는 데 있어서, 같은 종별에 속하는 용기끼리를 같은 수납부군에 속하는 수납부로 반송하도록 반송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용기 수납 설비{CONTAINER STORAGE FACILITY}
본 발명은, 용기를 수납하는 용기 수납 설비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공업 제품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공정 대기 등의 동안에 원료나 중간 제품 등을 수용한 용기를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용기 수납 설비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용기의 내용물이 반도체 기판이나 레티클(reticle) 기판 등인 경우에는, 보관 중에 있어서의 각각의 기판의 표면 오염을 회피할 수 있도록, 보관 중인 용기 내에 정화 기체(氣體)를 공급 가능하게 구성된 용기 수납 설비가 사용된다.
일례로서, 국제 공개 제2015/194255호(특허문헌 1)에는, 복수의 수납부[보관 선반(storage rack)(7a)]를 가지는 수납 선반[랙(rack)(7)]과, 각각의 수납부에 대하여 정화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 장치[퍼지(purge) 장치(30)]를 구비한 용기 수납 설비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용기 수납 설비에 있어서, 기체 공급 장치는, 복수의 그룹[그룹 1, 그룹 2,… 그룹 M]으로 나누어져 있고, 그룹마다 분기형(branch-type)의 공급 배관[주관(412)+공급관(33)]을 통하여 정화 기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공통의 공급 배관으로부터 정화 기체의 공급을 받는 1군의 수납부를, 「수납부군(收納部群)」이라고 한다.
특허문헌 1에서는, 수납되는 용기[저장 용기 F]는 서로 구별되지 않고 일률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통상, 용기 내에 공급된 정화 기체는 소정 압력을 초과하는 분이 용기 밖으로 배출되는 바, 예를 들면, 용기의 제조 주체가 다르면, 각각의 내부를 정화 기체가 유통할 때의 통기 저항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가 있다. 또한, 용기의 제조 주체가 동일해도, 형식이 다르면, 마찬가지로, 각각의 내부를 정화 기체가 유통할 때의 통기 저항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복수의 용기를 특별한 의도없이 수납하면, 같은 수납부군에 속하는(즉, 공통의 공급 배관으로부터정화 기체의 공급을 받는) 복수의 용기 사이에서, 통기 저항의 크기의 상이에 의해, 실제로 공급되는 정화 기체의 유량(流量)에 불균일이 생긴다.
국제 공개 제2015/194255호
같은 수납부군에 속하는 수납부에 수납되는 복수의 용기 사이에서, 실제로 공급되는 정화 기체의 유량을 최대한 균일화할 수 있는 용기 수납 설비의 실현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용기 수납 설비는,
복수의 수납부를 복수의 수납부군으로 구분된 상태로 가지는 수납 선반과,
각각의 상기 수납부에 대하여, 상기 수납부군마다 정화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 장치와,
상기 수납부에 대하여 용기를 반송(搬送; transport)하는 반송 장치(transport apparatus)와,
상기 반송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가, 그 내부를 상기 정화 기체가 유통할 때의 통기 저항의 크기에 따라 복수 종별로 구별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부에 복수의 상기 용기를 수납하는 데 있어서, 같은 종별에 속하는 상기 용기끼리를 같은 상기 수납부군에 속하는 상기 수납부로 반송하도록 상기 반송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부를 정화 기체가 유통할 때의 통기 저항의 크기가 같은 정도의 용기끼리가, 같은 수납부군에 속하는 수납부에 수납된다. 즉, 통기 저항의 크기가 같은 정도의 복수의 용기끼리가, 통기 저항의 크기에 따라 나누어져, 어느 하나의 수납부군에 집약하여 수납된다. 따라서, 같은 수납부군에 속하는 수납부에 수납되는 복수의 용기 사이에서, 실제로 공급되는 정화 기체의 유량을 최대한 균일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새로운 특징과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記述)하는 이하의 예시적이고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에 따라서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 수납 설비의 모식도
도 2는 수납부의 측면도
도 3은 수납부의 평면도
도 4는 수납 선반 및 기체 공급 장치의 모식도
도 5는 기체 공급 장치에 의한 정화 기체의 유로(流路; flowpath)의 모식도
도 6은 용기 수납 설비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공급 배관에서의 각각의 분기관으로부터의 정화 기체의 유량 분포를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물품 수납 제어의 처리 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9는 물품 수납 제어의 일 국면을 나타낸 모식도
도 10은 물품 수납 제어의 일 국면을 나타낸 모식도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수납 선반 및 기체 공급 장치의 모식도
도 12는 물품 수납 제어의 일 국면(situation)을 나타낸 모식도
도 13은 다른 태양의 물품 수납 제어의 일 국면을 나타낸 모식도
도 14는 다른 태양의 물품 수납 제어의 일 국면을 나타낸 모식도
도 15는 다른 태양의 물품 수납 제어의 일 국면을 나타낸 모식도
도 16은 다른 태양의 수납 선반 및 기체 공급 장치의 모식도
[제1 실시형태]
용기 수납 설비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용기 수납 설비(1)는, 물품 수납 설비의 일종이며, 물품으로서의 용기(7)를 수용한다. 이 용기 수납 설비(1)는, 예를 들면, 공업 제품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공정 대기 등의 동안에 원료나 중간 제품 등을 일시적으로 보관하거나, 완성품을 보관하거나 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수납 설비(1)는, 복수의 수납부(S)를 가지는 수납 선반(2)과, 수납부(S)에 대하여 용기(7)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4)와, 반송 장치(4)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도 6을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장치(4)로서, 천정 반송차(搬送車; transport vehicle)(41)와, 컨베이어(44)와,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45)을 포함하는 용기 수납 설비(1)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용기 수납 설비(1)는, 각각의 수납부(S)에 대하여 정화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용기 수납 설비(1)는, 청정실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청정실은, 천정부(92) 측으로부터 바닥부(91) 측을 향해 기체가 흐르는 다운플로우식(downflow type)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부(91)는, 하측 바닥부(91A)와, 하측 바닥부(91A)보다 위쪽에 설치된 상측 바닥부(91B)를 포함한다. 하측 바닥부(91A)는, 예를 들면,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 하측 바닥부(91A)에는, 주행 레일(94)이 부설(敷設)되어 있다. 상측 바닥부(91B)는, 예를 들면, 통기공이 복수 형성된 그레이팅(grating) 바닥으로 구성되어 있다. 천정부(92)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중 천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천정부(92)에는, 천정 레일(95)이 부설되어 있다.
수납 선반(2)은, 상측 바닥부(91B)와 천정부(92)와의 사이에 설치된 칸막이벽(97)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있다. 수납 선반(2)은, 반송 장치(4)를 구성하는 스태커 크레인(45)을 협지(sandwich)하여 대향하는 상태로 한 쌍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수납 선반(2)의 배열 방향을 「전후 방향 X」라고 하고, 각각의 수납 선반(2)의 가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 Y」라고 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수납 선반(2)은, 좌우 방향 Y로 배열된 복수의 지주(支柱; column)(21)와, 좌우 방향 Y로 인접하는 한 쌍의 지주(21)에 걸쳐, 상하 방향 Z로 배열되는 상태로 고정된 복수의 선반판(22)을 가진다. 선반판(22)은, 용기(7)를 탑재 지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하 방향 Z로 인접하는 한 쌍의 선반판(22)끼리의 사이의 공간으로서, 수납부(S)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 선반(2)은, 상하 방향 Z 및 좌우 방향 Y로 배열되는 상태로, 복수의 수납부(S)를 가진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반판(22)은, 전후 방향 X로서의 일단측에서 지주(21)에 고정 지지되고, 다른 쪽 측은 개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선반판(22)은, 캔틸레버(cantilever) 자세로 지주(21)에 고정되어 있다. 선반판(22)은, 평면에서 볼 때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U자형(U-shape)」이란, 알파벳의 U자, 또는 다소의 이형(異形)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전체적으로는 개략적으로 U자로 간주할 수 있는 형상을 의미한다[이하, 형상 등에 관하여 「상(狀; shaped)」을 부여하여 사용하는 다른 표현에 관해서도 같은 취지이다]. U자형의 선반판(22)은, 용기(7)의 바닥면의 3변을 지지한다. 선반판(22)에는, 위쪽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핀(22P)이, U자의 바닥부 및 양 측부의 합계 3개소(箇所)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7)로서, 레티클(포토마스크)을 수용하는 레티클 포드(reticle pod)를 사용하고 있다. 용기(7)는, 레티클을 수용하는 본체부(71)와, 본체부(71)보다 위쪽에서 본체부(71)와 일체화된 플랜지부(76)를 가진다. 본체부(71)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용기(7)의 본체부(71)의 바닥면에는, 상하 방향 Z의 위쪽을 향해 오목한 오목부(74)가 3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74)는, 위쪽으로 갈수록 가늘고 끝이 좁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74)의 내면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이 오목부(74)는, 선반판(22)에 설치된 돌출핀(22P)에 대하여 위쪽으로부터 걸어맞추어진다. 용기(7)가 선반판(22)에 탑재될 때는, 오목부(74)의 내면과 돌출핀(22P)과의 걸어맞춤 작용에 의해, 만일 선반판(22)에 대한 용기(7)의 위치가 수평 방향으로 어긋나 있었다고 해도, 그 상대(相對) 위치가 적정한 위치로 수정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7)에는, 급기구(72)와 배기구(73)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의 모식도에서는 이해의 용이함을 우선하고 있으므로, 정확성이 부족해 있지만, 실제로는, 급기구(72) 및 배기구(73)는, 모두 용기(7)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다. 급기구(72)에는, 후술하는 기체 공급 장치(3)의 토출(吐出) 노즐(36)이 끼워맞추어진다.
기체 공급 장치(3)는, 각각의 수납부(S)에 대하여 정화 기체를 공급한다. 기체 공급 장치(3)는, 복수의 수납부(S)의 각각에 있어서, 용기(7)가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수납된 용기(7)의 내부에 정화 기체를 공급한다. 본 실시형태의 기체 공급 장치(3)는, 복수의 수납부(S)를 일정 기준에 따라서 그룹화한 후, 그룹[이하, 「수납부군(G)」이라고 함]마다 정화 기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같은 열에 속하는 일군의 수납부(S)에 의해 수납부군(G)이 구성되어 있고, 기체 공급 장치(3)는 수납 선반(2)의 열마다 정화 기체를 공급한다(도 4를 참조).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납 선반(2)은, 복수의 수납부(S)를 복수의 수납부군(G)과 구분된 상태로 가지고, 기체 공급 장치(3)는, 각각의 수납부(S)에 대하여, 수납부군(G)마다 정화 기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 공급 장치(3)는, 기체 공급원(31)(GS: Gas Source)과, 모배관(母配管)(32)과, 유량 조정부(33)(MFC: Mass Flow Controller)와, 접속 배관(34)과, 공급 배관(35)을 구비하고 있다. 기체 공급원(31)은, 정화 기체를 저장하는 탱크이며, 복수의 공급 배관(35)과 공용되고 있다. 정화 기체는, 예를 들면, 질소 가스나 아르곤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나, 먼지 및 습기가 제거된 청정 건조 공기(clean dry air) 등이다. 기체 공급원(31)에는, 수납부군(G)의 개수[수납 선반(2)의 열수]에 따른 개수의 유량 조정부(33)가, 모배관(32)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유량 조정부(33)는, 정화 기체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 센서와, 정화 기체의 유량을 변경 조절하는 유량 조절 밸브와, 상기 유량 조절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내부 제어부를 포함한다. 유량 조정부(33)는, 유량 센서에 의한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유량 조절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여, 소정의 목표 유량으로 되도록 정화 기체의 유량을 조정한다.
복수의 유량 조정부(33)의 각각은, 접속 배관(34) 및 공급 배관(35)을 통하여, 대응하는 수납부군(G)에 속하는 각각의 수납부(S)를 구성하는 선반판(22)에 설치된 토출 노즐(36)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급 배관(35)은 분기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급 배관(35)은, 수납부군(G)마다 1개의 메인 관(35A)과, 이 메인 관(35A)으로부터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관(35B)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납 선반(2)의 단수(段數; number of levels)와 같은 수의 분기관(35B)이, 메인 관(35A)으로부터 분기되어 있다. 분기관(35B)의 선단부에는 토출 노즐(36)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토출 노즐(36)로부터 정화 기체가 토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기체 공급 장치(3)는, 각각의 수납부(S)에 대하여, 수납부군(G)마다, 분기관(35B)을 가지는 분기형의 공급 배관(35)을 통하여, 기체 공급원(31)으로부터 정화 기체를 공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출 노즐(36)은, 각각의 수납부(S)에 수납된 용기(7)의 급기구(72)에 끼워맞추어진다. 용기(7)의 급기구(72)에는, 급기(給氣)용 개폐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급기용 개폐 밸브는, 스프링 등의 가압체에 의해 폐쇄 상태로 가압되고 있다. 토출 노즐(36)이 급기구(72)에 끼워맞추어진 상태에서, 토출 노즐(36)로부터 정화 기체가 토출되면, 그 압력에 의해 급기용 개폐 밸브가 개방되고, 급기구(72)로부터 용기(7)의 내부에 정화 기체가 공급된다. 또한, 용기(7)의 배기구(73)에는, 배기용 개폐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배기용 개폐 밸브도, 스프링 등의 가압체에 의해 폐쇄 상태로 가압되고 있다. 소정량의 정화 기체가 공급되어 용기(7)의 내압(內壓)이 높아지면, 그 압력에 의해 배기용 개폐 밸브가 개방되고, 용기(7)의 내부의 정화 기체가 배기구(73)로부터 배출된다.
여기서, 용기(7)의 내부를 정화 기체가 유통할 때의 통기 저항의 크기(압력 손실)는, 일률적으로 정해지는 것은 아니고, 각 용기(7)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제조 주체가 상이한 용기(7)가 혼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조 주체마다, 각 용기(7)의 내부를 정화 기체가 유통할 때의 통기 저항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 또한, 제조 주체가 동일해도, 예를 들면, 형식이 상이한 용기(7)가 혼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각 용기(7)의 내부를 정화 기체가 유통할 때의 통기 저항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7)가, 그 내부를 정화 기체가 유통할 때의 통기 저항의 크기에 따라 복수 종별로 구별되어 있다. 구별의 단순화의 관점에서는, 용기(7)는, 그 제조 주체 및 형식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복수 종별로 구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용기(7)가 그 제조 주체만에 따라서 복수 종별로 구별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수납 선반(2)은 복수의 수납부(S)를 가지고 있지만, 항상 모든 수납부(S)에 용기(7)가 수납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수납부(S)에 설치된 토출 노즐(36)은, 용기(7)가 수납되어 있지 않고, 용기(7)의 급기구(72)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개방되어 있고, 정화 기체는 토출 노즐(36)로부터 흘러나와 가게 된다(도 5를 참조).
기체 공급 장치(3)의 설명으로 돌아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량 조정부(33)의 하류측의 접속 배관(34)은, 공급 배관(35) 중, 메인 관(35A)의 중간부(보다 구체적으로는, 중간점보다 한쪽의 단부 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공급 배관(35)[구체적으로는 메인 관(35A)]은, 접속부(35c)에 의해, 접속 배관(34), 유량 조정부(33), 및 모배관(32)을 통하여 기체 공급원(31)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공급 배관(35)은, 접속부(35c)를 포함하는 접속 영역 Rc와, 접속 영역 Rc보다 기체 통류 방향에서 하류측에 있는 2개의 단부 영역 Re(근위측 단부 영역 Rep 및 원위측 단부 영역 Red)를 포함하고 있다(도 7을 참조). 근위측 단부 영역 Rep는, 2개의 단부 영역 Re 중, 접속부(35c)로부터의 유로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쪽의 배관부에서의 단부 영역 Re이며, 원위측 단부 영역 Red는, 접속부(35c)로부터의 유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쪽의 배관부에서의 단부 영역 Re이다. 근위측 단부 영역 Rep 및 원위측 단부 영역 Red는, 각각 하류측 단부(35e)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접속 영역 Rc, 근위측 단부 영역 Rep, 및 원위측 단부 영역 Red는, 각각, 예를 들면, 공급 배관(35)에서의 메인 관(35A)의 전체 길이의 5%∼40% 정도의 길이를 차지하는 영역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급 배관(35)은, 접속 영역 Rc와 원위측 단부 영역 Red와의 사이에 중간 영역 Rm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 중간 영역 Rm은, 복수의 영역으로 더욱 미세하게 구분되어도 되고, 접속 영역 Rc와 근위측 단부 영역 Rep와의 사이에도 설치되어도 된다.
반송 장치(4)는, 수납부(S)에 대하여 물품으로서의 용기(7)를 반송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반송 장치(4)는, 천정 반송차(41)와, 컨베이어(44)와, 스태커 크레인(45)을 포함한다. 천정 반송차(41)는, 천정 레일(95)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체(42)와, 주행체(42)로부터 현수(suspend) 지지된 이송탑재(移載 transfer) 유닛(43)을 가진다. 이송탑재 유닛(43)은, 용기(7)의 상부의 플랜지부(76)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용기(7)를 컨베이어(44)에 대하여 반입(搬入) 및 반출(搬出)한다. 컨베이어(44)는, 예를 들면, 롤러식이나 벨트식 등으로 구성되며, 칸막이벽(97)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과의 사이에서 용기(7)를 이동시킨다.
스태커 크레인(45)은, 주행 레일(94)[좌우 방향 Y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 대차(travel carriage)](46)와, 주행 대차(46)에 세워 설치된 마스트(mast)(47)와, 이 마스트(47)에 안내되는 상태로 승강 이동하는 승강체(48)를 가진다. 승강체(48)에는, 수납부(S)와의 사이에서 용기(7)를 이송탑재하는 이송탑재 장치(transfer device)(49)가 설치되어 있다. 이송탑재 장치(49)는, 예를 들면, 전후 방향 X로 출퇴(出退) 이동하는 포크 등으로 구성된다.
제어부(5)(CU: Control Unit)는, 반송 장치(4)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5)는, 반송 장치(4)를 구성하는 천정 반송차(41)(OHV: Overhead Hoist Vehicle), 컨베이어(44)(CV: Conveyor), 및 스태커 크레인(45)(SC: Stacker Crane)의 각각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제어부(5)는, 수납부군(G)마다 1개씩 설치되는 유량 조정부(33)(도 6에 있어서 MFC1, MFC2, MFC3, …로 표시)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제어부(5)는, 후술하는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각 용기(7)의 종별을 판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어부(5)는, 반송 제어부와, 유량 제어부와, 종별 판별부를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수납부(S)에 수납되는 용기(7)에 대하여, 모든 용기(7) 내의 정화를 충분히 행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수납부(S)에 공급되는 정화 기체의 유량을 최대한 균일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제 해결을 위해서는, 각각의 수납부(S)에 1 대 1 대응시켜 유량 조정부(33)를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유량 조정부(33)는 고가이기 때문에, 수납부(S)와 같은 수의 유량 조정부(33)를 설치하는 것에서는, 용기 수납 설비(1)의 제조 비용이 대폭 상승해 버린다. 특히, 수납 대상의 용기(7)가 소형의 레티클 포드이며, 수납 선반(2)의 선반 수[수납부(S)의 개수]가 방대해지기 쉬운 용기 수납 설비(1)에서는, 제조 비용의 상승이 현저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납 선반(2)의 각각의 열에 대응시켜 설정된 수납부군(G)마다 1개씩 유량 조정부(33)를 설치하고, 1개의 수납부군(G)에 속하는 수납부(S)에 대해서는, 정화 기체의 공급 유량을 단일의 유량 조정부(33)에 의해 공통으로 제어하는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물론, 수납부군(G)마다 1개씩의 유량 조정부(33)만으로는, 수납부(S)마다 미세한 유량 조정은 곤란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7)의 내부를 정화 기체가 유통할 때의 통기 저항의 크기는 각 용기(7)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각각의 유량 조정부(33)로부터 대응하는 공급 배관(35)을 통하여 공급되는 정화 기체의 원활한 흐름은, 상기 공급 배관(35)의 전역에서 반드시 같은 것은 아니고, 공급 배관(35) 중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것이 밝혀졌다. 그러므로, 1개의 공급 배관(35)[유량 조정부(33)]으로부터의 정화 기체의 유량은, 같은 수납부군(G)에 속하는 모든 수납부(S)에 있어서 반드시 같은 것은 아니고, 공급 배관(35)의 배관 경로에 대한 수납부(S)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된다.
예를 들면, 도 7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목하고 있는 수납부군(G)에 용기(7)가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공급 배관(35)의 접속 영역 Rc에 대응하는 수납부(S)에서의 정화 기체의 유량(배출량)은, 단부 영역 Re에 대응하는 수납부(S)에서의 정화 기체의 유량보다 작아지게 된다. 또한, 2개의 단부 영역 Re 중에서도, 근위측 단부 영역 Rep에 대응하는 수납부(S)에서의 정화 기체의 유량은, 원위측 단부 영역 Red에 대응하는 수납부(S)에서의 정화 기체의 유량보다 작아지게 된다. 그리고, 도 7에서는, 공급 배관(35)의 각각의 분기관(35B)에 병기된 화살표의 길이에 따라서, 정화 기체의 유량의 대소(大小) 관계를 정성적(定性的)으로 나타내고 있다.
유량 조정부(33)를 수납부군(G)마다 1개씩 설치하도록 한 구성에 있어서, 각 용기(7)의 통기 저항의 차이나, 수납부(S)의 위치에 따른 정화 기체의 유량의 차이를 흡수하므로, 예를 들면, 수납부(S)마다 오리피스(orifice)[유체(流體) 저항체의 일례]를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미소한 사이즈의 오리피스를 원하는 내경(內徑)을 가지도록 형성하기 위해서는 높은 가공 정밀도가 요구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와 같이 수납 선반(2)의 선반 수[수납부(S)의 개수]가 방대해지기 쉬운 용기 수납 설비(1)에서는, 다수의 오리피스를 많은 상이한 내경에 의해 고정밀도로 형성하는 것은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 현실적이지 않다. 비용면의 제약도 고려하는 경우에는, 가공 정밀도를 어느 정도 낮게 억제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오리피스의 설치에 의해 정화 기체의 유량의 균일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납 선반(2)에 용기(7)를 수납하는 데 있어서, 각 용기(7)의 통기 저항의 차이나, 수납부(S)의 위치에 따른 정화 기체의 유량의 차이에 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도록, 반송 장치(4)의 동작이 제어된다. 바꾸어 말하면, 고정밀도 가공의 오리피스를 다수 설치하여 비용 상승을 초래하지 않고, 반송 장치(4)의 동작 제어만에 따라서, 최대한, 각각의 수납부(S)에 공급되는 정화 기체의 유량의 균일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정화 기체의 유량 균일화를 위한 물품 수납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품 수납 제어에 있어서, 제어부(5)는, 크게 나누어 2개의 관점에 기초하여 반송 장치(4)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1 관점은, 각 용기(7)의 통기 저항의 차이에 의한 영향을 최대한 배제한다는 하는 관점이다. 제2 관점은, 각각의 수납부군(G)에 있어서, 수납부(S)의 위치에 따른 정화 기체의 유량의 차이에 의한 영향을 최대한 배제한다는 관점이다.
제어부(5)는, 수납부(S)에 복수의 용기(7)를 수납하는 데 있어서, 제1 관점에 기초하여, 같은 종별에 속하는 용기(7)끼리를 같은 수납부군(G)에 속하는 수납부(S)로 반송하도록 반송 장치(4)의 동작을 제어한다. 천정 반송차(41) 및 컨베이어(44)에 의해 용기(7)가 입고(入庫)되어 오면, 상기 용기(7)의 종별이 판정된다(스텝 #01).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수납 설비(1)에는, 각 용기(7)의 종별에 관한 기초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정보 취득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정보 취득 수단은, 예를 들면, 각 용기(7)에 첩부(貼付)된 바코드 또는 IC 태그를 판독하는 리더(reader)나, 용기의 외관을 촬영하는 카메라 등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바코드 또는 IC 태그가 상기 용기(7)의 제조 주체나 형식 등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 것으로 되고, 제어부(5)(종별 판별부)는, 리더로 이루어지는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판독한 제조 주체의 정보에 기초하여 용기 종별을 판별하도록 구성되면 된다. 또는, 제조 주체마다 용기(7)의 외관에 관한 복수의 템플레이트(template) 화상이 미리 정비되고, 제어부(5)는, 템플레이트 화상과 카메라로 이루어지는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촬영 화상과의 화상 인식 처리(매칭 처리)에 기초하여 용기 종별을 판별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용기(7)의 종별이 판정되면, 같은 종별에 속하는 다른 용기(7)가 이미 어느 하나의 수납부(S)에 수납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종별의 용기(7)에 대하여 할당된 수납부군(G)이 이미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02). 할당된 수납부군(G)이 존재하는 경우에는(#02: Yes), 그 수납부군(G)에 대하여 용기(7)를 반송한다(#03). 한편, 할당된 수납부군(G)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바꾸어 말하면 상기 용기(7)와 같은 종별에 속하는 용기(7)가 아직도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02: No), 빈 수납부군(G)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용기(7)를 반송한다(#04). 그리고, 그 반송처(搬送處)의 수납부군(G)을, 상기 용기(7)와 같은 종별에 속하는 다른 용기(7)의 수납처(收納處)에 설정한다(#05).
스텝 #01∼스텝 #05의 처리에 있어서 반송처의 수납부군(G)이 결정되면, 다음에, 상기 수납부군(G) 중에서 어느 수납부(S)에 용기(7)를 수납할 것인지가 판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5)는, 각각의 수납부군(G)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군(G)에 포함되는 모든 수납부(S)에 용기(7)가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최초에 용기(7)를 수납하는 데 있어서, 전술한 제2 관점에 기초하여, 공급 배관(35)의 단부 영역 Re로부터 정화 기체가 공급되는 수납부(S)에 대하여 용기(7)를 반송하도록 반송 장치(4)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5)는, 2개의 단부 영역 Re 중, 접속부(35c)로부터의 유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쪽의 배관부에서의 단부 영역 Re(원위측 단부 영역 Red)로부터 정화 기체가 공급되는 수납부(S)에 대하여 최초에 용기(7)를 반송하도록 반송 장치(4)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공급 배관(35)의 원위측 단부 영역 Red에 대응한 복수의 수납부(S)에, 용기(7)가 미수납의 것이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06). 각각의 수납부(S)에서의 용기(7)의 수납 상태는, 예를 들면, 각 선반판(22)에 설치된 재고 센서에 의한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판정해도 되고, 용기 수납 설비(1)의 전체를 통합 제어하는 보다 상위의 제어 장치로부터 관리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판정해도 된다.
판정의 결과, 미수납의 수납부(S)가 존재하고 있으면(#06: Yes), 원위측 단부 영역 Red에 대응한 미수납의 수납부(S) 중, 어느 하나의 수납부(S)에 용기(7)를 수납한다(#07). 원위측 단부 영역 Red에 대응한 어느 하나의 수납부(S)에 용기(7)를 수납하는 데 있어서는, 제어부(5)는, 공급 배관(35)의 하류측 단부(35e)(도 7을 참조)로부터 정화 기체가 공급되는 수납부(S)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용기(7)를 반송하도록 반송 장치(4)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공급 배관(35)의 하류측 단부(35e)로부터 정화 기체가 공급되는 수납부(S)가 그 시점에서 미수납이면, 상기 하류측 단부(35e)에 대응한 수납부(S)에 대하여 용기(7)를 반송하면 된다(도 9를 참조). 또한, 하류측 단부(35e)에 대응한 수납부(S)가 이미 수납이 끝났으면, 미수납의 수납부(S) 중, 보다 하류측에 있는 수납부(S)에 대하여 용기(7)를 반송하면 된다.
원위측 단부 영역 Red에 대응한 모든 수납부(S)가 수납이 끝났으면(#06: No), 제어부(5)는, 하류측 단부(35e)에 의해 가까운 위치에 있는[접속부(35c)로부터 보다 이격된 위치에 있는] 영역에 대응한 수납부(S)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용기(7)를 반송하도록 반송 장치(4)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5)는, 공급 배관(35)의 근위측 단부 영역 Rep→중간 영역 Rm→접속 영역 Rc의 순으로 우선적으로, 각 영역에 대응한 수납부(S)에 대하여 용기(7)를 반송한다(도 10을 참조).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5)는, 공급 배관(35)의 접속 영역 Rc로부터 정화 기체가 공급되는 수납부(S)에 대하여 열후적(劣後的; subordinately)으로 용기(7)를 반송하도록 반송 장치(4)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열후적」은, 「우선적(preferentially)」과는 반대의 개념이며, 순서를 더욱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공급 배관(35)의 근위측 단부 영역 Rep에 대응한 복수의 수납부(S)에, 용기(7)가 미수납의 것이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08). 미수납의 수납부(S)가 존재하고 있으면(#08: Yes), 근위측 단부 영역 Rep에 대응한 미수납의 수납부(S) 중, 어느 하나의 수납부(S)에 용기(7)를 수납한다(#09). 근위측 단부 영역 Rep에 대응한 어느 하나의 수납부(S)에 용기(7)를 수납하는 데 있어서는, 제어부(5)는, 공급 배관(35)의 하류측 단부(35e)로부터 정화 기체가 공급되는 수납부(S)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용기(7)를 반송하도록 반송 장치(4)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은, 원위측 단부 영역 Red에서의 동작 제어와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근위측 단부 영역 Rep에 대응한 모든 수납부(S)가 수납이 끝났으면(#08: No), 다음에, 공급 배관(35)의 중간 영역 Rm에 대응한 복수의 수납부(S)에, 용기(7)가 미수납의 것이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10). 미수납의 수납부(S)가 존재하고 있으면(#10: Yes), 중간 영역 Rm에 대응한 미수납의 수납부(S) 중, 어느 하나의 수납부(S)에 용기(7)를 수납한다(#11). 중간 영역 Rm에 대응한 어느 하나의 수납부(S)에 용기(7)를 수납하는 데 있어서는, 미수납의 수납부(S) 중, 보다 하류측에 있는 수납부(S)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용기(7)를 반송하면 된다.
중간 영역 Rm에 대응한 모든 수납부(S)가 수납이 끝났으면(#10: No), 접속 영역 Rc에 대응한 미수납의 수납부(S) 중, 어느 하나의 수납부(S)에 용기(7)를 수납한다(#12). 접속 영역 Rc에 대응한 어느 하나의 수납부(S)에 용기(7)를 수납하는 데 있어서는, 미수납의 수납부(S) 중, 보다 하류측에 있는 수납부(S)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용기(7)를 반송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어부(5)는, 같은 종별에 속하는 용기(7)끼리를 같은 수납부군(G)에 속하는 수납부(S)로 반송하도록, 반송 장치(4)의 동작을 제어한다(#01∼#05). 이와 같이 하면, 내부를 정화 기체가 유통할 때의 통기 저항의 크기가 같은 정도의 용기(7)끼리가, 같은 수납부군(G)에 속하는 수납부(S)로 반송된다. 즉, 통기 저항의 크기가 같은 정도의 복수의 용기(7)끼리가, 통기 저항의 크기에 따라 나누어져, 어느 하나의 수납부군(G)에 집약하여 수납된다(도 10을 참조). 따라서, 같은 수납부군(G)에 속하는 수납부(S)에 수납되는 복수의 용기(7) 사이에서, 실제로 공급되는 정화 기체의 유량을 최대한 균일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서는, 각 용기(7)의 내부에 표시된 대문자의 알파벳은, 제조 주체(A사, B사, C사, … )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제어부(5)는, 공급 배관(35)의 단부 영역 Re(원위측 단부 영역 Red)에 대응한 수납부(S)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또한 접속 영역 Rc에 대응한 수납부(S)에 대하여 열후적으로 용기(7)를 반송하도록, 반송 장치(4)의 동작을 제어한다(#06∼#12). 이와 같이 하면, 용기(7)가 미수납의 상태에서의 정화 기체의 공급 유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납부(S)로부터, 공급 유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납부(S)를 향해 순차로 용기(7)가 수납되어 간다. 이 경우, 수납제의 용기(7)가 비교적 적은 상태에서는, 정화 기체가 흐르기 쉬운 수납부(S)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토출 노즐(36)이 용기(7)의 급기구(72)에 끼워맞추어져, 개방 상태로 되는 것은 정화 기체가 흐르기 어려운 수납부(S)의 토출 노즐(36)이 주로 된다. 그러므로, 용기(7)가 미수납의 수납부(S)로부터의 정화 기체의 배출량을 적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로 수납된 용기(7) 내에, 목표 유량에 가까운 유량의 정화 기체를 적절히 공급할 수 있다. 동일한 제어를 반복함으로써, 이 때마다, 실제로 수납된 용기(7) 내에 목표 유량에 가까운 유량의 정화 기체를 적절히 공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분기형의 공급 배관(35)을 통하여 각각의 수납부(S)에 공급되는 정화 기체의 유량을 최대한 균일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특정한 수납부군(G)에 속하는 특정한 수납부(S)에 반송 대상의 용기(7)가 수납되면, 상기 수납부군(G)에 대응되어 설치된 유량 조정부(33)에 의해, 정화 기체의 유량을 조정한다(#13). 유량 조정부(33)는, 예를 들면, 상기 수납부군(G)에 수납되어 있는 용기(7)의 개수와 그 종별에 따라서 정화 기체의 유량을 조정한다. 예를 들면, 유량 조정부(33)는, 용기(7)의 종별에 따라 종류마다 설정된 기준 유량에, 용기(7)의 수납수와 상기 수납수가 작을수록 커지게 되는 보정 계수를 곱해 산출되는 목표 유량으로 되도록, 정화 기체의 유량을 조정한다.
이상의 처리를, 용기(7)가 입고되어 올 때마다 반복 실행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특정한 수납부군(G)에서의 특정한 수납부(S)에 대한 실제의 반송 처리(#06∼#12)와, 다음에, 입고되어 오는 용기(7)에 대한 반송처의 수납부군(G)의 결정 처리(#01∼#05)를, 병행하여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용기 수납 설비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용기 수납 설비(1)는, 수납 선반(2)의 구체적 구성이 상기한 제1 실시형태와는 상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그에 따라 정화 기체의 유량 균일화를 위한 물품 수납 제어의 구체적 처리 내용도, 상기한 제1 실시형태와는 일부 상이하게 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 수납 설비(1)에 대하여, 주로 제1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특히 명기하지 않는 점에 관하여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며,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 선반(2)에 구비되는 수납부(S)[선반판(22)]의 단수가 모든 열[수납부군(G)]에 있어서 동일하지는 않고, 일부의 열의 단수가 다른 열의 단수와는 다르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수납 선반(2)의 일부의 열에 있어서, 몇 개의 선반판(22)을 지주에 고정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일부의 열의 단수가 다른 열의 단수보다도 적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실시형태의 수납 선반(2)과 같은 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부분의 단수[수납부(S)의 개수]를 「기준 개수」라고 정의한다. 이 기준 개수의 수납부(S)가 속하는 수납부군(G)을,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 수납부군(Gn)」이라고 한다. 또한, 몇 개의 선반판(22)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기준 개수보다도 적은 개수의 수납부(S)가 속하는 수납부군(G)을,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별 수납부군(Gs)」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의 수납 선반(2)은, 수납부군(G)으로서, 통상 수납부군(Gn) 및 특별 수납부군(Gs)의 양쪽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통상 수납부군(Gn)과 특별 수납부군(Gs)에서, 공급 배관(35)의 접속 영역 Rc, 중앙 영역 Rm, 및 단부 영역 Re의 위치가 다소 어긋나 있어도 된다(도 12를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7)는, 그 제조 주체 및 형식의 양쪽에 기초하여, 제조 주체와 형식과의 조합에 따라 복수 종별로 구별되어 있다. 제조 주체와 형식과의 조합에 따른 종별 분류를 행함으로써, 각 용기(7)의 내부를 정화 기체가 유통할 때의 통기 저항의 크기에 따른 구별을, 비교적 간단한 방법에 의해 비교적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특정한 제조 주체에 의한 특정한 형식의 용기(7)에서는, 그 내부를 정화 기체가 유통할 때의 통기 저항이, 다른 용기(7)에서의 통기 저항에 비해 의미가 있게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 돌출하는 통기 저항(미리 정해진 기준 저항값 이상의 통기 저항)을 가지는 용기(7)는, 제어부(5)(종별 판별부)에 의한 용기 종별의 판별과 동시에 추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5)는, 통기 저항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저항값 이상의 용기(7)를, 특별 수납부군(Gs)에 속하는 수납부(S)로 반송하도록 반송 장치(4)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별 수납부군(Gs)의 각각의 수납부(S)에 대한 공급 배관(35)의 분기수는, 통상 수납부군(Gn)의 각각의 수납부(S)에 대한 공급 배관(35)의 분기수보다 적기 때문에, 공급되는 정화 기체의 대규모의 유량 조정을 행하지 않고도, 특별 수납부군(Gs)의 각각의 수납부(S)에 대한 공급 유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통기 저항이 큰 용기(7)에 대하여도, 그것을 특별 수납부군(Gs)의 수납부(S)에 수납한다는 간단한 제어로, 용기(7) 내의 정화를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어부(5)는, 같은 종별에 속하는 용기(7)끼리를 같은 수납부군(G)[통상 수납부군(Gn)] 또는 특별 수납부군(Gs)에 속하는 수납부(S)로 반송하도록, 반송 장치(4)의 동작을 제어한다(도 12를 참조). 이와 같이 하면, 통기 저항이 큰 용기(7)에 대하여도 간단한 제어로 그 내부의 정화를 적절히 행하면서, 같은 수납부군(G)에 속하는 수납부(S)에 수납되는 복수의 용기(7) 사이에서, 실제로 공급되는 정화 기체의 유량을 최대한 균일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서는, 각 용기(7)의 내부에 표시된 대문자의 알파벳은 제조 주체(A사, B사, C사, …)를 나타내고, 소문자의 알파벳은 형식(x형, y형, z형, …)을 나타내고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1) 상기한 각각의 실시형태에서는, 각각의 수납부군(G)에 용기(7)를 수납하는 데 있어서, 공급 배관(35)의 단부 영역 Re에 대응한 수납부(S)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또한 접속 영역 Rc에 대응한 수납부(S)에 대하여 열후적(劣後的; subordinately)으로 용기(7)를 반송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 배관(35)의 각각의 영역과는 관계없이, 반송처의 수납부군(G)에 속하는 어느 하나의 수납부(S)에 대하여 랜덤으로 용기(7)를 반송해도 된다.
(2) 상기한 각각의 실시형태에서는, 각각의 수납부군(G)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군(G)에 포함되는 수납부(S)에 용기(7)를 수납하는 데 있어서, 공급 배관(35)의 하류측 단부(35e)로부터 정화 기체가 공급되는 수납부(S)에 대하여 최초에 용기(7)를 반송하는 구성을 주로 상정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영역 Re 중, 하류측 단부(35e) 이외의 위치에 설치된 분기관(35B)으로부터 정화 기체가 공급되는 수납부(S)에 대하여 최초에 용기(7)를 반송해도 된다.
(3) 상기한 각각의 실시형태에서는, 근위측(近位側) 단부 영역 Rep에 대응한 수납부(S)에 비하여, 원위측(遠位側) 단부 영역 Red에 대응한 수납부(S)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용기(7)를 반송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위측 단부 영역 Rep와 원위측 단부 영역 Red와의 사이에 우열(優劣)을 부여하지 않고, 그들에 대응한 수납부(S)에 대하여 적절히 나누어 용기(7)를 반송해도 된다.
(4) 상기한 각각의 실시형태에서는, 수납 선반(2)에 용기(7)를 수납할 때의 수납 위치에 관한 제약을 적게 하기 위해, 수납부군(G)에 대한 용기 종별의 할당을 사후적으로 행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의 수납부군(G)에 대하여 용기 종별을 미리 할당해 두고, 용기(7)를 수납하는 데 있어서, 같은 종별에 속하는 용기(7)가 미수납의 경우라도, 당초부터의 할당에 따른 수납부군(G)에, 용기(7)를 반송하도록 해도 된다.
(5) 상기한 각각의 실시형태에서는, 접속 배관(34)이 공급 배관(35)의 중간부에 접속되고, 공급 배관(35)이 접속 영역 Rc의 양측에 2개의 단부 영역 Re를 포함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공급 배관(35)이 유량 조정부(33)에 직접 접속되고, 공급 배관(35)이 접속 영역 Rc의 하류측에 단부 영역 Re를 1개만 포함해도 된다.
(6) 상기한 각각의 실시형태에서는, 같은 열에 속하는 것군의 수납부(S)에 의해 수납부군(G)이 구성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같은 단에 속하는 것군의 수납부(S)에 의해 수납부군(G)이 구성되어도 된다. 또는,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단 복수 열을 이루도록 격자형으로 배열된 1군의 수납부(S)에 의해 수납부군(G)이 구성되어도 된다. 또는, 그 외의 각종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된 1군의 수납부(S)에 의해 수납부군(G)이 구성되어도 된다.
(7) 상기한 각각의 실시형태에서는, 용기(7)가 레티클을 수용하는 레티클 포드인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용기(7)는, 복수 개의 반도체 웨이퍼를 수납하는 FOUP(Front Opening Unified Pod)라도 되고, 식품이나 의약품 등을 수용하는 것이라도 된다.
(8) 전술한 각각의 실시형태(상기한 각각의 실시형태 및 그 외의 실시형태를 포함; 이하 마찬가지임)에서 개시되는 구성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되는 구성과 조합시켜 적용할 수도 있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본 개시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개변(改變; modification)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개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 수납 설비는,
복수의 수납부를 복수의 수납부군으로 구분된 상태로 가지는 수납 선반과,
각각의 상기 수납부에 대하여, 상기 수납부군마다 정화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 장치와,
상기 수납부에 대하여 용기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반송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가, 그 내부를 상기 정화 기체가 유통할 때의 통기 저항의 크기에 따라 복수 종별로 구별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부에 복수의 상기 용기를 수납하는 데 있어서, 같은 종별에 속하는 상기 용기끼리를 같은 상기 수납부군에 속하는 상기 수납부로 반송하도록 상기 반송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부를 정화 기체가 유통할 때의 통기 저항의 크기가 같은 정도의 용기끼리가, 같은 수납부군에 속하는 수납부에 수납된다. 즉, 통기 저항의 크기가 같은 정도의 복수의 용기끼리가, 통기 저항의 크기에 따라 나누어져, 어느 하나의 수납부군에 집약하여 수납된다. 따라서, 같은 수납부군에 속하는 수납부에 수납되는 복수의 용기 사이에서, 실제로 공급되는 정화 기체의 유량을 최대한 균일화할 수 있다.
일 태양(態樣)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부에 상기 용기를 수납하는 데 있어서, 상기 용기와 같은 종별에 속하는 상기 용기가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모든 상기 수납부에 상기 용기가 수납되어 있지 않은 빈 상기 수납부군에 속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수납부에 상기 용기를 반송하도록 상기 반송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시에, 그 반송처의 상기 수납부가 속하는 상기 수납부군을, 상기 용기와 같은 종별에 속하는 다른 상기 용기의 수납처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수납 선반에 수납되는 용기의 종별이 미리 모르는 경우라도, 사후적으로, 특정한 수납부군에 대하여 특정 종별의 용기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수납부군에 대하여 특정 종별의 용기를 사후적으로 할당하므로, 수납 선반에 용기를 수납하는 데 있어서, 그 수납 위치에 관하여 과도한 제약을 받지 않는다.
일 태양으로서,
상기 기체 공급 장치는, 상기 정화 기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부를 상기 수납부군마다 1개씩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군마다 상기 유량 조정부는, 상기 수납부군에 속하는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용기의 종별에 따라 상기 정화 기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서로 다른 수납부군에 속하는 수납부에 수납되는 복수의 용기 사이에서도, 실제로 공급되는 정화 기체의 유량을 최대한 균일화할 수 있다. 수납부군마다 용기의 종별에 따른 유량 조정을 행하는 간단한 제어로, 수납 선반 전체에 있어서, 용기에 실제로 공급되는 정화 기체의 유량을 최대한 균일화할 수 있다.
일 태양으로서,
상기 기체 공급 장치는, 각각의 상기 수납부에 대하여, 상기 수납부군마다, 복수의 분기관을 구비하는 공급 배관을 통하여 기체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정화 기체를 공급하고,
상기 수납부군은, 기준 개수의 상기 수납부가 속하는 통상 수납부군과, 상기 기준 개수보다도 적은 개수의 상기 수납부가 속하는 특별 수납부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기 저항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저항값 이상의 상기 용기를, 상기 특별 수납부군에 속하는 상기 수납부로 반송하도록 상기 반송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특별 수납부군에 속하는 수납부의 개수는 통상 수납부군에 속하는 수납부의 개수보다도 적기 때문에, 그에 따라 특별 수납부군의 각각의 수납부로의 공급 배관의 분기수는 통상 수납부군의 각각의 수납부로의 공급 배관의 분기수보다 적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기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정화 기체의 대규모인 유량 조정을 행하지 않고도, 특별 수납부군의 각각의 수납부로의 정화 기체의 공급 유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통기 저항이 큰 용기에 대하여도, 그것을 특별 수납부군의 수납부에 수납한다는 간단한 제어로, 용기 내의 정화를 적절히 행할 수 있다.
1: 용기 수납 설비
2: 수납 선반
3: 기체 공급 장치
4: 반송 장치
5: 제어부
7: 용기
31: 기체 공급원
33: 유량 조정부
35: 공급 배관
35B: 분기관
S: 수납부
G: 수납부군
GN: 통상 수납부군
GS: 특별 수납부군

Claims (4)

  1. 복수의 수납부를 복수의 수납부군(收納部群)으로 구분된 상태로 구비하는 수납 선반(storage rack);
    각각의 상기 수납부에 대하여, 상기 수납부군마다 정화 기체(cleaning gas)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 장치;
    상기 수납부에 대하여 용기를 반송(transport)하는 반송 장치; 및
    상기 반송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가, 그 내부를 상기 정화 기체가 유통할 때의 통기 저항의 크기에 따라 복수 종별로 구별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부에 복수의 상기 용기를 수납하는데 있어서, 같은 종별에 속하는 상기 용기끼리를 같은 상기 수납부군에 속하는 상기 수납부로 반송하도록 상기 반송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용기 수납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부에 상기 용기를 수납하는데 있어서, 상기 용기와 같은 종별에 속하는 상기 용기가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모든 상기 수납부에 상기 용기가 수납되어 있지 않은 빈 상기 수납부군에 속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수납부로 상기 용기를 반송하도록 상기 반송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시에, 그 반송처(搬送處)의 상기 수납부가 속하는 상기 수납부군을, 상기 용기와 같은 종별에 속하는 다른 상기 용기의 수납처(收納處)로 설정하는, 용기 수납 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공급 장치는, 상기 정화 기체의 유량(流量)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부를 상기 수납부군마다 1개씩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군마다 상기 유량 조정부는, 상기 수납부군에 속하는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용기의 종별에 따라 상기 정화 기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용기 수납 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공급 장치는, 각각의 상기 수납부에 대하여, 상기 수납부군마다, 복수의 분기관을 구비하는 공급 배관을 통하여 기체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정화 기체를 공급하고,
    상기 수납부군은, 기준 개수의 상기 수납부가 속하는 통상 수납부군과, 상기 기준 개수보다도 적은 개수의 상기 수납부가 속하는 특별 수납부군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기 저항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저항값 이상의 상기 용기를, 상기 특별 수납부군에 속하는 상기 수납부로 반송하도록 상기 반송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용기 수납 설비.
KR1020170113818A 2016-09-09 2017-09-06 용기 수납 설비 KR1023117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76977A JP6572854B2 (ja) 2016-09-09 2016-09-09 容器収納設備
JPJP-P-2016-176977 2016-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947A KR20180028947A (ko) 2018-03-19
KR102311744B1 true KR102311744B1 (ko) 2021-10-08

Family

ID=6156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818A KR102311744B1 (ko) 2016-09-09 2017-09-06 용기 수납 설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73851B2 (ko)
JP (1) JP6572854B2 (ko)
KR (1) KR102311744B1 (ko)
CN (1) CN107808845B (ko)
TW (1) TWI7261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15812B (zh) * 2014-06-16 2019-01-11 村田机械株式会社 清洗装置、清洗系统、清洗方法以及清洗系统中的控制方法
JP6414525B2 (ja) * 2015-09-02 2018-10-31 株式会社ダイフク 保管設備
US10703563B2 (en) * 2017-11-10 2020-07-0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tock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8163A (ja) 2002-02-05 2003-08-15 Canon Inc 不活性ガス置換方法及び装置、露光装置、レチクル保管庫、レチクル検査装置、レチクル搬送ボックス、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10147451A (ja) 2008-12-18 2010-07-01 Nippon Cambridge Filter Kk Foup用n2パージ装置
WO2015194255A1 (ja) 2014-06-16 2015-12-23 村田機械株式会社 パージ装置、パージシステム、パージ方法及びパージ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方法
WO2017033546A1 (ja) 2015-08-25 2017-03-02 村田機械株式会社 パージ装置、パージストッカ、及びパージ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106310A1 (en) * 2002-06-14 2003-12-24 Fortrend Engineering Corporation Universal reticle transfer system
US20060043197A1 (en) * 2004-08-31 2006-03-02 Chang Yung C Carrier facilitating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peration in a semiconductor fabrication system
KR20080034492A (ko) * 2005-08-03 2008-04-21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이송 용기
JP4953010B2 (ja) * 2006-09-13 2012-06-13 株式会社ダイフク 基板収納用の収納容器
JP5492509B2 (ja) * 2009-09-25 2014-05-14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基板移載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基板処理装置及び搬送制御プログラム
US9094726B2 (en) * 2009-12-04 2015-07-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tagging media content and managing marketing
FR2961946B1 (fr) * 2010-06-29 2012-08-03 Alcatel Lucent Dispositif de traitement pour boites de transport et de stockage
US20120211029A1 (en) * 2011-02-22 2012-08-23 Pandit Viraj S Load lock assembly and method for particle reduction
KR101876416B1 (ko) * 2011-03-15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버퍼 내의 웨이퍼 캐리어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5557061B2 (ja) * 2012-01-04 2014-07-23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保管設備
JP5716968B2 (ja) * 2012-01-04 2015-05-13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保管設備
JP5884779B2 (ja) * 2013-06-26 2016-03-15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保管設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8163A (ja) 2002-02-05 2003-08-15 Canon Inc 不活性ガス置換方法及び装置、露光装置、レチクル保管庫、レチクル検査装置、レチクル搬送ボックス、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10147451A (ja) 2008-12-18 2010-07-01 Nippon Cambridge Filter Kk Foup用n2パージ装置
WO2015194255A1 (ja) 2014-06-16 2015-12-23 村田機械株式会社 パージ装置、パージシステム、パージ方法及びパージ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方法
WO2017033546A1 (ja) 2015-08-25 2017-03-02 村田機械株式会社 パージ装置、パージストッカ、及びパージ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26149B (zh) 2021-05-01
JP2018041924A (ja) 2018-03-15
JP6572854B2 (ja) 2019-09-11
KR20180028947A (ko) 2018-03-19
TW201816921A (zh) 2018-05-01
US10373851B2 (en) 2019-08-06
CN107808845A (zh) 2018-03-16
CN107808845B (zh) 2023-06-20
US20180076073A1 (en)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8092B1 (ko) 용기 수납 설비
KR102311744B1 (ko) 용기 수납 설비
US9679795B2 (en) Article storage facility
EP3157048B1 (en) Purge device, purge system, purge method, and control method in purge system
EP3157047B1 (en) Purge stocker and purging method
US9595461B2 (en) Storage facility and storage method
KR102346977B1 (ko) 용기 수납 설비
CN109983568B (zh) 吹扫储料器
US10583983B2 (en) Container storage facility
WO2023067947A1 (ja) パージシステム
KR20170113389A (ko) 용기 수납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