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195B1 - 전극 제어 장치 및 전극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극 제어 장치 및 전극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195B1
KR102311195B1 KR1020200188426A KR20200188426A KR102311195B1 KR 102311195 B1 KR102311195 B1 KR 102311195B1 KR 1020200188426 A KR1020200188426 A KR 1020200188426A KR 20200188426 A KR20200188426 A KR 20200188426A KR 102311195 B1 KR102311195 B1 KR 102311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liquid
hole
central axis
path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봉제
조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온
Priority to KR1020200188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195B1/ko
Priority to KR1020210059914A priority patent/KR102474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35Volt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4Curr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이펙터로부터 외부로 살포되는 제균수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설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이펙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극 제어 장치 및 전극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des}
본 발명은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는 전기 분해용 전극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경 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오염 및 제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오염의 해소, 소독, 제균, 탈취 등을 위해 사용되는 제균수는 과다 사용될 경우 사용자에게 각종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제균수는 적정량 또는 적정 농도로 사용되는 것이 좋다. 이에 맞춰 제균수를 자동으로 분사하는 시스템이 구축되기 위해서는 제균수의 살포 능력이 정확하게 파악될 필요가 있다. 또한, 제균수의 살포 능력을 적절하기 유지하기 위한 제어 수단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820488호에는 차아염소산수의 온도를 조절하여 소독 대상물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하거나 분무하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820488호
본 발명은 살포되는 제균수의 농도 등의 물리적 특성을 설정 범위 내에서 유지시키는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어 장치는 이펙터로부터 외부로 살포되는 제균수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설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이펙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 장치는 전기 분해의 대상이 되는 액체가 흐르는 통 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액체에 대면 접촉되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액체에 대면 접촉되는 상기 전극의 일면에 상기 전기가 집속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은 이펙터에서 살포되기 전에 제균수의 제1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 상기 제1 물리적 특성을 조절하는 에너지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이펙터로부터 살포된 이후 상기 제균수의 제2 물리적 특성이 제2 설정 범위를 만족하도록 상기 에너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피드백 제어를 통해 외부로 살포되는 제균수의 물리적 특성을 설정 범위 내에서 유지시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 장치는 실내에 살포가 이루어진 제균수의 농도의 경중에 따라 인체에 부작용을 미칠 수 있는 점에 대비할 수 있다.
해당 부작용에 대비하기 위해 먼저, 살포가 이루어진 제균수의 농도를 파악할 필요가 있는데, 현실적으로 외부로 퍼져나간 제균수의 농도를 센싱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의 제균수 농도를 직접 센싱하는 대신, 이펙터 내부에 배치된 상태의 제균수를 측정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궁극적으로 관심을 갖는 제균수의 농도를 직접 측정하는 대신, 제균수의 농도와 관련된 제균수의 다른 물리적 특성, 예를 들어 전기 분해시 제균수의 소스가 되는 액체에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들 물리적 특성은 오차 없이 정확하게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해당 측정값을 이용하면, 외부로 살포되어버린 제균수의 농도가 간접적으로 추정, 측정,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금물의 전기 분해를 통해 제균수에 해당하는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기 분해되는 소금물에 흐르는 전류값이 측정되고, 전류값을 이용해 전기 분해에 사용되는 전기의 전압값이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어 장치는 전기 분해의 전압값 제어를 통해 공중에 살포되는 제균수의 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압 제어의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전기 분해시 전기가 집속되는 돌기가 전극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로 인해 전기 분해의 전력 소모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전기 분해의 전압값 제어에 대한 여유가 제공되므로, 전압값의 제어가 간소해지고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균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제1 제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제2 제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제3 제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제어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생성 유니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유로 형성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2 유로 형성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돌기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조립체의 적층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생성 유니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생성 유니트 내에서 흐르는 액체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생성 유니트 내에서 흐르는 제균수가 버블화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균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제균 제어 시스템은 제어 장치(200), 이펙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제균수를 외부에 살포하는 이펙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이펙터에는 물통(11), 솔레노이드 밸브, 펌프(201), 생성 유니트(100), 압력 스위치, 노즐(203), 가습 배기 필터(15), 물받이통(17), 팬(207), 전처리 필터(13), 소금통(205)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200)는 펌프(201), 솔레노이드 밸브, 생성 유니트(100), 압력 스위치, 노즐(203), 팬(207), 소금통(205)을 제어할 수 있다.
물통(11)에는 소금물이 저장될 수 있다. 소금통(205)은 제어 장치(200)의 제어에 의해 물통(11)에 소금을 투여할 수 있다.
펌프(201)는 물통(11)에 저장된 소금물을 노즐(203)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생성 유니트(100)는 소금물을 전기 분해할 수 있다. 소금물의 전기 분해를 통해 차아염소산수 등과 같이 세균, 바이러스, 각종 오염 물질을 산화시키거나 제거하는 제균수(제균 버블수)가 생성될 수 있다. 제균 버블수는 버블화된 제균수를 지칭할 수 있다. 제균수를 휘젖거나, 유체가 흩어졌다 다시 모이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유로에 제균수가 투입되면, 버블이 포함된 제균 버블수가 출력될 수 있다.
생성 유니트(100)에서 생성된 제균수는 배관(19)을 통해 이동하고 노즐(203)을 통해 외부로 분무 상태 h로 살포되거나 분사될 수 있다.
노즐(203)을 통해 살포된 제균수를 물방울 형태로 분사하는 대신 가습된 바람 air의 형태로 살포하거나 보다 먼 거리까지 살포하기 위해 팬(207), 가습 배기 필터(15)가 사용될 수 있다.
팬(207)으로 인해 유발된 공기의 흐름은 바람을 형성하고, 바람의 이동 경로에는 먼지 등을 필터링하는 전처리 필터(13)가 마련될 수 있다. 노즐(203)은 공간을 격하고 대면 배치된 가습 배기 필터(15)를 향해 제균수를 살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습 배기 필터(15)는 제균수에 의해 적셔질 수 있다.
팬(207)에 의해 유발된 바람은 가습 배기 필터(15)를 경유하면서 이동하고 그 과정에서 제균수로 가습된 가습 제균 바람이 되고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가습 제균 바람은 실내 곳곳으로 확산되며, 넓은 공간의 공간 제균, 표면균 제거 및 휘발성 유기물질, 생활 악취 등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물받이통(17)은 가습 배기 필터(15) 등에서 자유 낙하된 제균수를 받아서 다시 물통(11)으로 되돌려 보낼 수 있다.
외부로 배출된 가습 제균 바람에 포함된 제균수의 농도는 소금통(205)에서 투여된 소금의 양, 펌프(201)의 압력, 생성 유니트(100)의 전기 분해 에너지의 세기, 노즐(203)의 개폐 상태, 팬(207)의 속도 등에 영향받을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제균수의 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소금통(205), 펌프(201), 생성 유니트(100), 노즐(203), 팬(207)을 제어할 수 있다. 제균수에 해당하는 차아염소산수는 인체에 무해하지만, 살균 작용시 세균의 산화로 인해 각종 유해 가스가 발생될 수 있다. 해당 유해 가스로 인해 두통, 어지러움증 등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중에 살포되는 제균수의 농도는 적정 범위를 만족하는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제균수의 농도를 적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제균수의 농도를 측정할 필요가 있는데, 현실적으로 공기 중에 존재하는 제균수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은 어렵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 장치(2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제어 장치(200)는 측정부(21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210)는 이펙터로부터 외부로 살포되는 제균수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물리적 특성은 제균수의 양, 제균수의 농도, 제균수의 전기 전도도, 제균수의 소스(source)가 되는 액체에 흐르는 전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210)는 염소 가스의 양과 같은 제균수의 화학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210)는 생성 유니트(100)를 센싱하거나, 노즐(203) 주변을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센싱의 객체는 제균수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다양한 요소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측정부(210)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설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이펙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이펙터는 제균수를 생성하고,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30)는 제균수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에너지, 예를 들어 소금물의 전기 분해에 사용되는 전력의 조절을 통해 이펙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30)는 제균수를 외부로 분사하는데 사용되는 에너지, 예를 들어 펌프(201)에 인가된 전력의 조절을 통해 이펙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0)에 의해 제어된 이펙터에서 외부로 살포된 제균수의 물리적 특성이 측정부(210)에 의해 재측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측정부(210)에서 재측정된 결과를 이용해 이펙터를 다시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어 장치(200)는 측정부(210)와 제어부(230)를 이용해 이펙터를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이펙터로부터 외부로 분사되기 전 제균수의 제1 물리적 특성에 해당하는 제1 정보가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균수의 원천이 되는 액체의 전기 분해시 해당 액체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1 물리적 특성 또는 제1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이펙터로부터 외부로 분사된 후 제균수의 제2 물리적 특성에 해당하는 제2 정보가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노즐(203)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 제균수의 염소 가스 농도가 제2 물리적 특성 또는 제2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측정부(210)는 현실적으로 측정이 어려운 제2 정보를 측정하지 않고, 정확하게 측정이 가능한 제1 정보를 대신 측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제1 정보는 이펙터의 내부에 배치된 센서를 통해 손쉽게 센싱될 수 있는 경향을 갖기 때문이다.
제어부(230)는 제1 정보가 제1 설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이펙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이펙터에 대한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제2 정보가 소정의 상한값을 넘지 않게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제1 정보와 제2 정보의 상관 관계가 기록된 룩업 테이블 및 측정부(210)에서 측정된 제1 정보를 이용해 염소 가스의 농도같은 제2 정보를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제1 정보를 결정하는 인자의 조절을 통해 제2 정보를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정보는 전기 분해되는 액체, 예를 들어 수돗물 또는 물(H2O)에 염화나트륨(NaCl)이 포함된 소금물에 흐르는 전류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정보는 소금물의 전기 분해를 통해 생성되고 외부로 살포된 차아염소산의 농도, 양 또는 차아염소산수의 농도, 양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로 살포된 차아염소산의 농도는 염소 가스로 분해되는 양을 포함할 수 있다.
전류값이 높아질수록 전기 분해를 통해 생성되는 차아염소산수의 양이 증가되므로, 해당 제1 정보는 제2 정보와 분명히 관련이 있다. 해당 관련 사항(상관 관계)을 사전 실험 등을 파악하고 룩업 테이블을 만들 수 있다.
해당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면, 제2 정보를 특정값으로 유지시키고자 할 때 제1 정보가 어느 정도 수치가 되도록 제어를 해야 하는지가 파악될 수 있다.
제1 정보를 어느 범위로 유지시킬지 결정되면, 제어부(230)는 제1 정보를 유발하는 에너지를 제어할 수 있다.
측정부(210)는 전기 분해되는 액체에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전류값을 유발하는 전기를 액체에 인가할 수 있다. 액체는 물(H2O)과 염화나트륨(NaCl)이 포함된 소금물일 수 있다. 또는, 액체는 물 w와 소금 s가 포함된 소금물일 수 있다. 소금 s에는 염화나트륨 외에 일부 다른 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전류값이 제1 설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전기의 전압값을 제어할 수 있다.
전압값의 제어에 의해 액체의 전기 분해로 생성되는 제균 성분의 양 또는 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예로, 액체가 소금물인 경우, 전기 분해에 의해 이펙터의 내부에서 제균수에 해당하는 차아염소산(HOCl)이 생성될 수 있다.
제어부(230)에 의한 전류값의 제어에 의해 이펙터로부터 외부로 살포된 후의 차아염소산(차아염소산수)의 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펙터가 액체의 전기 분해를 통해 제균수를 생성할 때, 제어부(230)는 전기 분해를 위해 공급되는 전기의 전압값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제1 제어, 제2 제어, 제3 제어를 이용해서 액체에 흐르는 전류값을 제1 설정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는 제2 전압값을 제1 전압값으로 낮추는 제어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는 제1 전압값을 제2 전압값으로 올리는 제어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제어는 제1 전압값의 전기를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하거나 제2 전압값의 전기를 PWM 제어하는 제어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전기 분해를 통해 액체로부터 생성된 제균 성분의 농도를 제1 제어, 제2 제어 및 제3 제어를 이용해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 장치(200)에 의해 수행되는 제1 제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측정부(210)는 제균수를 생성하기 위해 전기 분해되는 액체에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전기 분해에 사용되는 전기를 제1 전압값과 제2 전압값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제2 전압값이 인가된 상태에서 전류값이 설정 상한값을 만족하면, 제2 전압값을 제1 전압값으로 낮출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전압값 v1이 12V이고, 제2 전압값 v2가 24V일 수 있다. 전류값의 설정 상한값 a1이 0.5A일 수 있다. 수돗물에 24V가 인가될 때, t1 시점에 측정부(210)에서 0.25A가 측정되면, 차아염소산이 2~4ppm의 농도로 살포되는 상태인 것이 룩업 테이블을 통해 파악될 수 있다. 2~4ppm의 농도가 허용 가능한 설정 범위의 상한선인 경우 해당 농도를 넘지 않도록 하는 제1 제어가 t1 시점에 실행될 수 있다.
설정 상한값 a1인 0.5A를 넘으면, 제1 제어를 통해 제어부(230)는 전극에 인가된 제2 전압값 v2를 12V(v1)로 낮출 수 있다. 전압 강하로 인해 측정부(230)에서 측정되는 전류값도 낮아지게 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 장치(200)에 의해 수행되는 제2 제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어부(230)는 제1 전압값 v1이 인가된 상태에서 전류값이 설정 하한값 a2 이하로 떨어지면, 제1 전압값 v1을 제2 전압값 v2로 높일 수 있다.
일 예로, 도 4와 같이 전류값의 설정 하한값 a2가 0.15A일 수 있다.
소금물에 12V가 인가될 때, 적정 전류값 0.45A가 측정될 수 있다. 수돗물에 포함된 염화나트륨이 소금물이 수돗물로 교체되는 경우에는 12V에서는 전류값이 시점 t2 이후에 측정 전류값이 감소할 수 있다.
12V가 인가될 때, 측정 전류값의 감소로 인해 측정부(210)에서 시점 t3에 0.15A 이하로 측정되면, 제어부(230)는 전기 분해에 사용되는 전기의 전압값을 12V에서 24V로 높이는 제2 제어를 시점 t3에 수행할 수 있다.
전압값의 승압으로 인해 도 4의 실선 화살표 r과 같이 전류값도 시점 t3 이후 상승할 수 있다. 하지만, 소금의 부족으로 인해 전기가 다시 잘 소통되지 않게 되므로, 전압값의 승압에도 불구하고 전류값은 다시 떨어질 수 있다.
이때, 제어부(230)는 자동으로 소금통(205)을 조작해 소금이 물통(11)에 투여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30)는 소금의 부족 사실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는 각종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 장치(200)에 의해 수행되는 제3 제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한편, 적정한 시점의 소금 투여로 인해 제1 전압 v1이 인가된 상태에서도 전류값이 지속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대비하여 제3 제어가 마련될 수 있다.
전기 분해에 사용되는 전기가 제1 전압값 v1으로 일정하게 연속적으로 인가된 상태에서 전류값이 증가되면서 설정값 0.7A 이상이면, 제어부(230)는 전류값이 설정값 0.45A로 유지되도록 전기 분해에 사용되는 전기를 PWM (Pulse Width Modulation) 제어할 수 있다. PWM 제어를 통해 물통(11)에는 제1 전압 v1보다 평균적으로 낮은 전압의 전기가 인가되고, 전류값의 증가세가 완화되고 일정하게 설정값으로 0.45~0.7A로 유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제어 방법은 도 1, 도 2에 도시된 제어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은 측정 단계(S 610) 및 제어 단계(S 62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단계(S 610)는 측정부(210)에서 수행되는 동작일 수 있다.
측정 단계(S 610)는 이펙터로부터 살포되기 전에 제균수의 제1 물리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측정 단계(S 610)는 제균수의 원천이 되는 액체가 전기 분해될 때, 해당 액체에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 단계(S 620)는 제어부(2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 단계(S 620)는 이펙터로부터 살포된 이후 제균수의 제2 물리적 특성이 제2 설정 범위를 만족하도록 에너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단계(S 620)는 제균수를 생성하는 액체의 전기 분해에 사용되는 전기의 전압값을 제어할 수 있다.
전압값의 제어를 통해 전기 분해되는 제균 성분의 양이 결정되며, 해당 제균 성분의 양은 외부로 살포된 제균수의 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제균수의 농도와 에너지 간의 상관 관계는 사전 실험 등을 통해 파악되고 룩업 테이블화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룩업 테이블을 이용해서 제균수의 농도에 맞춰 에너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외부로 배출된 제균수의 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제어 장치(200)는 전기 분해의 에너지 소비 효율을 개선시키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액체를 전기 분해해서 제균수를 생성하는 생성 유니트(100)가 마련될 수 있다. 생성 유니트(100)에는 전기 분해의 대상이 되는 액체가 흐르는 통 형상의 케이스(101, 102),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며 액체에 대면 접촉되는 판 형상의 전극이 마련될 수 있다.
액체에 대면 접촉되는 전극의 일면에는 전기가 집속되는 돌기(143, 153)가 형성될 수 있다.
전기가 집속되는 돌기가 형성된 전극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제어 장치(20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제어 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생성 유니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생성 유니트(1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유로 형성부(103)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2 유로 형성부(104)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돌기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조립체(170)의 적층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제어 장치(200)는 전기 분해의 대상이 되는 액체가 흐르는 통 형상의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고 액체에 대면 접촉되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에 대면 접촉되는 전극의 일면에 전기가 집속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에는 중심에 액체 입구(108)가 형성된 제1 커버(101), 제1 커버(101)에 결합되면서 통 형상을 형성하는 제2 커버(10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커버(102)의 중심에는 액체 출구(109)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101) 또는 제2 커버(102) 중 어느 하나에는 내부에 수납된 전극을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양극심(105) 및 음극심(106)의 단부가 통과되는 구멍이 마련될 수 있다. 해당 구멍을 통해 양극심(105)의 단부 및 음극심(106)의 단부는 제1 커버(101)측 외부 또는 제2 커버(102)측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제1 커버(101)와 제2 커버(102)는 서로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나사 결합을 통해 원통형 등 다양한 입체 형상의 케이스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101)와 제2 커버(102)의 사이에는 오링 등의 실링 부재(107)가 삽입될 수 있다. 실링 부재(107)는 케이스 내부의 액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극은 판 형상, 예를 들어 케이스의 중심축과 동축 상에 배치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의 내부에는 복수의 전극이 수납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는 전기가 집속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전기는 평평한 곳에 집속되지 못하고 뾰족한 가장자리에 집속되는 성질을 갖는다. 해당 성질에 따르면, 액체와 넓은 면적에 걸쳐 대면 접촉되는 판 상에서 전기 분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에 대면 접촉되는 전극의 일면에 형성된 돌기로 인해 해당 돌기에 대면 접촉되는 액체를 확실하게 전기 분해시킬 수 있다. 돌기에 많은 액체가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 돌기의 형성 위치는 일부 특정 위치로 한정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특정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생성 유니트(10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케이스의 중심축(도 8의 x축 방향)에 수직하면서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방향이 정의될 수 있다. 중심축에 수직하면서 중심축을 향해 접근하는 제2 방향이 정의될 수 있다.
케이스 내부로 인입된 액체가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으로 번갈아 흐르면서 전체적으로 중심축 방향을 따라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극은 유로 형성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을 따라 흐르는 액체에 대면되는 전극의 일면에 전기가 집속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립체(17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90)에 의해 복수의 조립체(170)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 가능한 조립체(170)의 개수는 케이스의 허용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하나 이상 적층된 조립체(170)의 타단과 제2 커버 사이에는 사이드부(180)가 마련될 수 있다. 액체 입구로부터 액체 출구를 향하는 방향 상으로 조립체(170)의 출구측은 항상 제1 방향으로 액체가 흐르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향으로 흐르는 액체를 다시 제2 방향으로 유도하여 액체 출구를 통해 출력시키는 수단으로 사이드부(180)가 이용될 수 있다. 사이드부(180)에는 제1 방향을 따라 흐르는 액체를 제2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해당 유로는 액체 출구(109)까지 연장될 수 있다.
조립체(170)는 중심축 방향을 따라 제1 유로 형성부(103), 연결부(190), 제2 유로 형성부(104)가 순서대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제1 유로 형성부(103) 및 제2 유로 형성부(104)는 중심축 방향으로 입력된 액체를 제1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190)는 제1 유로 형성부(103)의 출력단에서 제1 방향으로 흐르는 액체를 제2 방향으로 유도한 후 중심축 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연결부(190)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출력된 액체는 제2 유로 형성부(104)의 중심으로 입력될 수 있다.
제1 유로 형성부(103)에는 제1 바퀴살(115)을 갖는 바퀴 형상의 제1 설치부(110), 제1 설치부(110)의 일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제1 음전극(130), 제1 설치부(110)의 타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제1 양전극(140)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음전극(130)의 가운데에는 액체가 통과하는 제1 음전 유로 구멍(139)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음전극에는 양극심이 비접촉 통과하는 제1 음전 양극 구멍(13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음전극에는 양극심이 통과하는 제1 음전 음극 구멍(13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음전 음극 구멍을 통과하는 양극심을 제1 음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나사, 볼트 등의 제1 전기 연결 부재(137)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양전극(140)에는 양극심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통과하는 제1 양전 양극 구멍(145), 음극심이 비접촉 통과하는 제1 양전 음극 구멍(146)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양전 양극 구멍(140)을 통과하는 양극심을 제1 양전극(14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전기 연결 부재(147)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설치부(110)에 대면되는 제1 양전극(140)의 일면(141)에는 제1 돌기(14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설치부(110)의 가운데에는 제1 음전 유로 구멍(139)에 매칭되는 제1 설치 유로 구멍(119)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음전 유로 구멍(139)과 제1 설치 유로 구멍(119)을 통과한 액체는 제1 양전극(140)에 가로막혀 제1 설치부(110)의 바퀴살과 바퀴살 사이의 제1 부채 구멍(117)이 형성하는 유로를 따라 제1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제1 설치부(110)는 링 형상의 제1 외곽부(111) 및 중심부를 가지며, 제1 외곽부(111)와 중심부는 바퀴살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중심부의 가운데에는 제1 설치 유로 구멍(119)이 형성될 수 있다. 바퀴살은 제1 양전극(140)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양전극(140)에 대면되는 중심부는 바퀴살을 기준으로 함몰된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바퀴살이 제1 양전극(140)에 밀착 접촉될 때, 중심부는 제1 양전극(140)에 접촉되지 못하고 중심부와 제1 양전극(140)의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양전극(140)에 막힌 액체는 해당 틈을 통해 바퀴살과 바퀴살 사이의 제1 부채 구멍(117)으로 유입되고 제1 부채 구멍(117)에 대면되는 외곽부의 일면에 형성된 제1 설치 유입 구멍(112, 113)으로 입력될 수 있다.
제1 설치 유입 구멍을 입력된 액체는 연결부(190)의 일면 가장자리로 유입될 수 있다. 연결부(190)에는 해당 액체를 중심을 향해 이동시키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부채 구멍(117)에 대면되는 제1 양전극(140)의 일면에는 복수의 제1 돌기(14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채 구멍(117)을 따라 제1 방향으로 흐르는 액체는 제1 부채 구멍(117)에 대면하게 형성된 제1 양전극(140)의 제1 돌기(143)에 대면 접촉되고, 제1 돌기(143)에 의해 집중적으로 전기 분해될 수 있다.
제2 유로 형성부(104)에는 제2 바퀴살(125)을 갖는 바퀴 형상의 제2 설치부(120), 제2 설치부(120)의 일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제2 음전극(150), 제2 설치부(120)의 타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제2 양전극(160)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음전극(150)의 가운데에는 액체가 통과하는 제2 음전 유로 구멍(159)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설치부(120)의 가운데는 제1 설치부와 다르게 막혀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제2 음전 유로 구멍(159)을 통과한 액체는 제2 설치부의 가운데에 가로막혀 제2 설치부(120)의 바퀴살과 바퀴살 사이의 제2 부채 구멍(127)이 형성하는 유로를 따라 제1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제2 부채 구멍(127)에 대면되는 제2 음전극(150)의 타면(151)에는 복수의 제2 돌기(15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설치부(120)에는 링 형상의 제2 외곽부(121)와 제2 중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외곽부와 제2 중심부는 제2 바퀴살(125)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채 구멍(117)과 마찬가지로 제2 바퀴살(125)이 제2 음전극(150)에 밀착 접촉될 때, 제2 설치부(120)의 중심부는 제2 음전극(150)에 접촉되지 못하고 중심부와 제2 음전극(150)의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설치부(120)의 중심부에는 액체가 통과하는 구멍이 없이 막힌 상태이므로, 제2 설치부(120)의 중심부에 가로막힌 액체는 해당 틈을 통해 제2 부채 구멍(127)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부채 구멍(127)을 유입된 액체는 넓게 퍼지면서 제2 부채 구멍(127)을 따라 제1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해당 액체는 제2 부채 구멍(127)에 대면되게 형성된 제2 음전극(150)의 제2 돌기(153)에 대면 접촉되고, 제2 돌기(153)에 의해 집중적으로 전기 분해될 수 있다. 제2 부채 구멍을 통과한 액체는 제2 외곽부에 형성된 제2 설치 유입 구멍(123)을 통해 유입되고 제2 설치부에 설치된 제2 양전극(160)을 넘어 다음 단으로 넘어갈 수 있다. 제2 양전극(160)에는 양극심의 단부가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제2 양전극(160)에는 음극심의 단부가 비접촉 통과하는 제2 양전 음극 구멍(16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143) 및 제2 돌기(153)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복수의 가상 동심원의 원호를 따라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돌기에 따르면, 돌기가 배제된 비교 실시예와 대비하여 양적으로 150~500%의 차아염소산이 생성되는 것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생성 유니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생성 유니트 내에서 흐르는 액체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생성 유니트 내에서 흐르는 제균수가 버블화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생성 유니트(100)는 도 8의 생성 유니트와 비교하여 연결부(190)와 제2 음전극(150’)의 사이에 분리부(270)와 대칭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부(180)는 생략될 수 있다.
대칭부(290)는 연결부(190)에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부(190)를 뒤집어 배치하면 대칭부(290)가 될 수 있다. 즉, 대칭부(290)는 연결부(190)와 동일한 크기, 모양을 가지며, 방향만 반대로 배치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부(270)는 서로 대면되는 연결부(190)와 대칭부(290)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분리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리부(270)에 대면되는 연결부(190)의 일면에는 제1 삽입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분리부(270)에 대면되는 대칭부(290)의 일면에는 제2 삽입 홈(299)이 형성될 수 있다.
분리부(270)는 두께 방향 상으로 제1 삽입 홈 및 제2 삽입 홈(299)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연결부(190)의 일측 가운데가 제1 양전극(14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연결부(190)의 일측 가운데를 덮는 제1 양전극(190)으로 인해, 연결부(190)의 일측을 향해 움직이던 액체는 연결부(19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홈을 통해 연결부(190)로 유입될 수 있다. 연결부(190)로 유입된 액체는 연결부(190)의 타측에 배치된 분리부(270)에 의해 곧장 대칭부(290)로 나아가지 못할 수 있다.
연결부(190)의 타측(제1 삽입 홈이 형성된 면)에는 가장자리의 액체를 가운데로 모으는 방향(제2 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해당 유로를 따라 액체는 연결부(190)의 타측 가운데로 모일 수 있다.
연결부(190)의 타측 가운데로 모인 액체는 분리부(270)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대칭부(290)로 유입될 수 있다.
대칭부(290)로 유입된 액체는 대칭부(290)의 반대편 가운데를 막고 있는 제2 음전극(150’)으로 인해 대칭부(290)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흐르게 된다. 해당 유로는 연결부(190)에 형성된 유로에 대칭되므로, 가운데에 몰린 액체를 대칭부(290)의 가장자리로 유도, 다시 말해 제1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대칭부(290)의 가장자리로 퍼진 액체는 대칭부(290)의 반대편에 형성된 홈을 통해 출력되고, 제2 설치부(120)의 가장자리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설치부(1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게 배치되는 제2 음전극(150’) 및 제2 양전극(160’)의 가운데 부분의 형성되는 통공의 유무는 분리부(270)와 대칭부(290)가 배제된 도 8의 제2 음전극(150) 및 제2 양전극(160)과 반대일 수 있다. 분리부(270)와 대칭부(290)로 인해 액체의 흐름 방향이 한번 더 바뀌게 되므로, 마지막 단에서 액체의 흐름 방향을 변경하는 사이드부(180)가 배제될 수 있다.
또한, 한번 더 바뀌는 흐름 방향으로 인해 액체의 버블화가 가속화될 수 있다.
도 14와 같이 분리부(270)를 사이에 두고 서로 포개어지게 형성된 연결부(190)와 대칭부(290)를 포함하는 생성 유니트(100)는 도 12에서 단일의 연결부(190)가 연결부(190)와 대칭부(290)의 결합체로 대체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생성 유니트(100)에 포함된 조립체는 중심축 방향을 따라 제1 유로 형성부, 연결부, 대칭부, 제2 유로 형성부가 순서대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제1 유로 형성부는 중심축 방향으로 입력된 액체를 제1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유로 형성부는 중심축 방향으로 입력된 액체를 제2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의 생성 유니트(100)의 제2 유로 형성부와 비교하여 액체의 유도 방향이 반대 방향인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연결부(190)는 제1 유로 형성부의 출력단에서 제1 방향으로 흐르는 액체를 제2 방향으로 유도한 후 중심축 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대칭부(290)는 연결부의 출력단에서 제2 방향으로 흐르는 액체를 다시 제1 방향으로 유도한 후 중심축 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대칭부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출력된 제균수 등의 액체는 제2 유로 형성부로 입력될 수 있다.
제1 유로 형성부에는 바퀴살을 갖는 바퀴 형상의 제1 설치부, 제1 설치부의 일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제1 음전극, 제1 설치부의 타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제1 양전극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음전극의 가운데에는 액체가 통과하는 제1 음전 유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설치부의 가운데에는 제1 음전 유로 구멍에 매칭되는 제1 설치 유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음전 유로 구멍과 제1 설치 유로 구멍을 통과한 액체는 제1 양전극에 가로막혀 제1 설치부의 바퀴살과 바퀴살 사이의 제1 부채 구멍이 형성하는 유로를 따라 제1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제1 부채 구멍에 대면되는 제1 양전극의 일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 형성부에는 바퀴살을 갖는 바퀴 형상의 제2 설치부, 제2 설치부의 일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제2 음전극, 제2 설치부의 타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제2 양전극이 마련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와 다르게 제2 음전극(150’)에는 제2 음전 유로 구멍(159)이 배제된 상태일 수 있다.
제2 음전 유로 구멍(159)이 없는 제2 음전극(150’)으로 인해 대칭부(290)로부터 출력되는 액체는 제2 음전극(150’)의 가장자리르 지날 수밖에 없다.
제2 음전극(150’)의 가장자리를 지난 액체는 제2 설치부의 바퀴살과 바퀴살 사이의 제2 부채 구멍이 형성하는 유로를 따라 제2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제2 부채 구멍에 대면되는 제2 음전극의 타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전기 분해를 유발하는 전기 에너지는 제1 양전극(140)와 제2 음전극(150’)에 형성된 돌기에 집중되고,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돌기를 경유하는 액체를 확실하게 전기 분해시킬 수 있다.
제2 부채 구멍을 따라 제2 방향으로 흐른 액체는 제2 양전극(160’)의 가운데에 형성된 제2 양전 유로 구멍을 통과해서 액체 출구(109)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펌프로 수돗물 또는 소금물(수돗물1L+소금0.2g)을 가압하면, 해당 액체는 연결부(190)의 P1점에 충돌하면서 분산되면서 혼합될수 있다. P1점에서 혼합된 반응 물질은 유로를 따라 흐르면서, 재차 P2점에서 연결부(190)에 충돌할 수 있다. 액체는 P2점에서의 충돌로 인해 분산과 혼합(P3)이 반복되면서 내측방향으로 흐르고, 분리부(270)이 중심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대칭부(290)로 유입될 수 있다. 대칭부(290)로 유입된 액체는 가장자리를 향해 흐르고, 대칭부(290)에 형성된 P4점에서 충돌과 분산, 혼합(P3)될 수 있다. 분산, 혼합이 반복된 액체에 전기 분해가 이루어지면 노즐 등을 통해 분사 또는 살포가 용이한 제균 버블수가 생성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장치(예, 제어 장치(200) 등) 일 수 있다.
도 16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물통 13…전처리 필터
15…가습 배기 필터 17…물받이통
19…배관 100…생성 유니트
101, 102…케이스 101…제1 커버
102…제2 커버 103…제1 유로 형성부
104…제2 유로 형성부 105…양극심
106…음극심 107…실링 부재
108…액체 입구 109…액체 출구
110…제1 설치부 111…제1 외곽부
112, 113…제1 설치 유입 구멍 115…제1 바퀴살
117…제1 부채 구멍 119…제1 설치 유로 구멍
120…제2 설치부 121…제2 외곽부
123…제2 설치 유입 구멍 125…제2 바퀴살
127…제2 부채 구멍 130…제1 음전극
135…제1 음전 양극 구멍 136…제1 음전 음극 구멍
137…제1 전기 연결 부재 139…제1 음전 유로 구멍
140…제1 양전극 141…제1 양전극의 일면
145…제1 양전 양극 구멍 143, 153…돌기
143…제1 돌기 145…제1 양전 양극 구멍
146…제1 양전 음극 구멍 147…제2 전기 연결 부재
150, 150’…제2 음전극 151…제2 음전극의 타면
153…제2 돌기 159…제2 음전 유로 구멍
160, 160’…제2 양전극 166…제2 양전 음극 구멍
170…조립체 180…사이드부
190…연결부 200…제어 장치
201…펌프 203…노즐
205…소금통 207…팬
210…측정부 230…제어부
270...분리부 290...대칭부
299...제2 삽입 홈

Claims (16)

  1. 전기 분해의 대상이 되는 액체가 흐르는 통 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액체에 대면 접촉되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중심축에 수직하면서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방향, 상기 중심축에 수직하면서 상기 중심축을 향해 접근하는 제2 방향이 정의될 때,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립체가 마련되고,
    상기 조립체는 상기 중심축 방향을 따라 제1 유로 형성부, 연결부, 제2 유로 형성부가 순서대로 적층된 것이며,
    상기 제1 유로 형성부 및 상기 제2 유로 형성부는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입력된 상기 액체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유로 형성부의 출력단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흐르는 상기 액체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유도한 후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출력하며,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출력된 상기 액체는 상기 제2 유로 형성부로 입력되고,
    상기 제1 유로 형성부에는 바퀴살을 갖는 바퀴 형상의 제1 설치부, 상기 제1 설치부의 일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제1 음전극, 상기 제1 설치부의 타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제1 양전극이 마련되며,
    상기 제1 음전극의 가운데에는 상기 액체가 통과하는 제1 음전 유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설치부의 가운데에는 상기 제1 음전 유로 구멍에 매칭되는 제1 설치 유로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음전 유로 구멍과 상기 제1 설치 유로 구멍을 통과한 상기 액체는 상기 제1 양전극에 가로막혀 상기 제1 설치부의 바퀴살과 바퀴살 사이의 제1 부채 구멍이 형성하는 유로를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흐르고,
    상기 제2 유로 형성부에는 바퀴살을 갖는 바퀴 형상의 제2 설치부, 상기 제2 설치부의 일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제2 음전극, 상기 제2 설치부의 타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제2 양전극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음전극의 가운데에는 상기 액체가 통과하는 제2 음전 유로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음전 유로 구멍을 통과한 상기 액체는 상기 제2 설치부의 가운데에 가로막혀 상기 제2 설치부의 바퀴살과 바퀴살 사이의 제2 부채 구멍이 형성하는 유로를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흐르는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채 구멍에 대면되는 상기 제1 양전극의 일면에는 전기가 집속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부채 구멍에 대면되는 상기 제2 음전극의 타면에는 전기가 집속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제어 장치.
  14. 전기 분해의 대상이 되는 액체가 흐르는 통 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액체에 대면 접촉되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중심축에 수직하면서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방향, 상기 중심축에 수직하면서 상기 중심축을 향해 접근하는 제2 방향이 정의될 때,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립체가 마련되고,
    상기 조립체는 상기 중심축 방향을 따라 제1 유로 형성부, 연결부, 대칭부, 제2 유로 형성부가 순서대로 적층된 것이며,
    상기 제1 유로 형성부는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입력된 상기 액체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유로 형성부는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입력된 상기 액체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유로 형성부의 출력단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흐르는 상기 액체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유도한 후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출력하며,
    상기 대칭부는 상기 연결부의 출력단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흐르는 상기 액체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유도한 후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출력하고,
    상기 대칭부로부터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출력된 상기 액체는 상기 제2 유로 형성부로 입력되고,
    상기 제1 유로 형성부에는 바퀴살을 갖는 바퀴 형상의 제1 설치부, 상기 제1 설치부의 일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제1 음전극, 상기 제1 설치부의 타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제1 양전극이 마련되며,
    상기 제1 음전극의 가운데에는 상기 액체가 통과하는 제1 음전 유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설치부의 가운데에는 상기 제1 음전 유로 구멍에 매칭되는 제1 설치 유로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음전 유로 구멍과 상기 제1 설치 유로 구멍을 통과한 상기 액체는 상기 제1 양전극에 가로막혀 상기 제1 설치부의 바퀴살과 바퀴살 사이의 제1 부채 구멍이 형성하는 유로를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흐르고,
    상기 제2 유로 형성부에는 바퀴살을 갖는 바퀴 형상의 제2 설치부, 상기 제2 설치부의 일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제2 음전극, 상기 제2 설치부의 타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제2 양전극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음전극의 가장자리를 지난 상기 액체는 상기 제2 설치부의 바퀴살과 바퀴살 사이의 제2 부채 구멍이 형성하는 유로를 따라 상기 제2 방향으로 흐르는 제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채 구멍에 대면되는 상기 제1 양전극의 일면에는 상기 전기가 집속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부채 구멍에 대면되는 상기 제2 음전극의 타면에는 상기 전기가 집속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제어 장치.
  16. 삭제
KR1020200188426A 2020-12-30 2020-12-30 전극 제어 장치 및 전극 제어 방법 KR102311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426A KR102311195B1 (ko) 2020-12-30 2020-12-30 전극 제어 장치 및 전극 제어 방법
KR1020210059914A KR102474295B1 (ko) 2020-12-30 2021-05-10 전극 제어 장치를 이용한 살균 버블수 농도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426A KR102311195B1 (ko) 2020-12-30 2020-12-30 전극 제어 장치 및 전극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914A Division KR102474295B1 (ko) 2020-12-30 2021-05-10 전극 제어 장치를 이용한 살균 버블수 농도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195B1 true KR102311195B1 (ko) 2021-10-13

Family

ID=781152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426A KR102311195B1 (ko) 2020-12-30 2020-12-30 전극 제어 장치 및 전극 제어 방법
KR1020210059914A KR102474295B1 (ko) 2020-12-30 2021-05-10 전극 제어 장치를 이용한 살균 버블수 농도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914A KR102474295B1 (ko) 2020-12-30 2021-05-10 전극 제어 장치를 이용한 살균 버블수 농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11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941B1 (ko) * 2005-04-26 2006-12-26 김칠영 전기 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제조 장치
KR101476097B1 (ko) * 2014-04-18 2014-12-24 안산시 실시간 농도 측정이 가능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KR101820488B1 (ko) 2015-07-01 2018-02-28 이동환 차아염소산수 생성장치
KR20180064034A (ko) * 2016-12-05 2018-06-14 김진규 살균세척제 생성장치
KR20190051348A (ko) *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그린온 방사 유동형 구조를 구비한 전극모듈 최적화 장치와 전기화학 반응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941B1 (ko) * 2005-04-26 2006-12-26 김칠영 전기 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제조 장치
KR101476097B1 (ko) * 2014-04-18 2014-12-24 안산시 실시간 농도 측정이 가능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KR101820488B1 (ko) 2015-07-01 2018-02-28 이동환 차아염소산수 생성장치
KR20180064034A (ko) * 2016-12-05 2018-06-14 김진규 살균세척제 생성장치
KR20190051348A (ko) *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그린온 방사 유동형 구조를 구비한 전극모듈 최적화 장치와 전기화학 반응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295B1 (ko) 2022-12-05
KR20220097122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19828B2 (ja) 電解用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電解用電極を用いた電解方法及び電解水生成装置
JP4928869B2 (ja) 空気除菌装置
JP2000257914A (ja) 強酸性水を用いた除菌空調システム
JP4740080B2 (ja) 空気除菌装置
JP4740813B2 (ja) 脱臭・殺菌装置
US20210094850A1 (en) Bubble-Generating Electrochemical Reactors and Systems for Manufacturing a Sanitizing, a Disinfecting, and/or a Cleaning Solution
CN101153729A (zh) 空气除菌装置
CA2394859A1 (en) Method and device for electrochemically disinfecting fluids
JP2000257913A (ja) 中性水を用いた除菌空調システム
KR100643591B1 (ko) 전해 살균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34760B1 (ko) 과전위전극 전해셀을 이용한 살균산화수 제조장치
KR100827384B1 (ko) 전해 살균장치
KR102311195B1 (ko) 전극 제어 장치 및 전극 제어 방법
KR102251395B1 (ko) 공기 정화 제균장치 및 이를 갖는 감염 예방을 위한 탑승교 스마트 방역 시스템 및 감염 예방을 위한 탑승교 스마트 방역 방법 및 탑승교
KR100743810B1 (ko) 공기 제균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21132708A1 (ja) 電解水の生成方法、生成噴霧器及び生成噴霧装置
KR20190052191A (ko) 전기적 개질화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JP4731355B2 (ja) 空気除菌装置
US20090311137A1 (en) Atomizer using electrolyzed liquid and method therefor
JP2010131337A (ja) 微酸性電解水噴霧器
KR20070053132A (ko)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CN215799937U (zh) 一种智能控制消毒弥雾及增氧多用机
JP4878822B2 (ja) 床置き式空気除菌装置
JPH07204653A (ja) 噴霧用殺菌水及び噴霧用殺菌水を用いた殺菌方法
WO2014199849A1 (ja) 機能水を生成する方法ならびに機能水生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