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110B1 - Structure of the Vertical Sphere for the Cross Sectional Vari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Structure of the Vertical Sphere for the Cross Sectional Vari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110B1
KR102311110B1 KR1020190170937A KR20190170937A KR102311110B1 KR 102311110 B1 KR102311110 B1 KR 102311110B1 KR 1020190170937 A KR1020190170937 A KR 1020190170937A KR 20190170937 A KR20190170937 A KR 20190170937A KR 102311110 B1 KR102311110 B1 KR 102311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steel
steel pipe
shaped angle
coupling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9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78955A (en
Inventor
노경범
Original Assignee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0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110B1/en
Publication of KR20210078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9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1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2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corrug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연속 설치되는 복수의 파형강관; 상기 복수의 파형강관 중 서로 인접하고 직경이 동일한 파형강관 상호간을 결합하는 결합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조는, 상기 서로 인접한 파형강관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고 웨브가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ㄷ'자형 앵글과, 상기 파형강관과 'ㄷ'자형 앵글 및 상기 'ㄷ'자형 앵글 상호 간을 결합하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단면변화가 가능한 파형강관 수직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구 직경의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하여 지질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 효율적인 설계 및 시공이 가능함으로 경제적이고, 시공성 향상 및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pipes that are continuously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coupling structure for coupling the corrugated steel pipe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pipes and having the same diameter, wherein the coupling structure includes, wherein the ends of the corrugated steel pipes adjacent to each other are inserted and the webs are installed such that the web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relates to a corrugated steel pipe vertical sphere structure capable of cross-section change, including a 'C'-shaped angle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a 'C'-shaped angle, and a bolt and a nut coupling the 'C'-shaped angle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pand and reduce the diameter of the vertical sphere, so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pond to geological changes, so that efficient design and construction are possible, which is economical,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ability and secure structural stability.

Description

단면변화가 가능한 파형강관 수직구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Structure of the Vertical Sphere for the Cross Sectional Vari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Structure of the Vertical Sphere for the Cross Sectional Vari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단면변화가 가능한 파형강관 수직구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질변화에 대응하여 수직구 직경의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하여 효율적인 설계 및 시공이 가능한 단면변화가 가능한 파형강관 수직구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rugated steel pipe vertical sphere structure with a changeable cross section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It relates to a corrugated steel pipe vertical spher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일반적으로 수직구는 맨홀, 교각, 지하철 환풍구, 양수발전소의 수압터널 등의 건설과정에서 수직방향으로 구멍을 형성하고 굴착된 구멍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구조물이다.In general, vertical spheres are structures constructed by forming holes in the vertical direction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manholes, piers, subway vents, hydraulic tunnels of pumped-water power plants, etc. and pouring concrete into the excavated holes.

상기 수직구 시공방법은 지반을 일정한 깊이까지 굴착하고, 굴착된 지반의 안쪽으로 흙막이 벽체를 가설하여 지반의 이완이나 붕괴를 방지하면서 버팀목 등을 이용하여 이를 지지해 나간다.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계획한 심도까지 단계적으로 굴착한 뒤, 바닥부터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수직구를 시공한다.In the vertical sphere construction method, the ground is excavated to a certain depth, and a retaining wall is installed inside the excavated ground to prevent relaxation or collapse of the ground while supporting it using a shoring. After excavating step by step to the planned depth b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the formwork is installed from the floor, and the vertical sphere is constructed by pouring concrete.

그러나 상기의 공법은 작업절차가 복잡하고 노동 강도가 높아 작업에 대한 기피현상 및 인건비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고,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양생함으로써, 장기간의 시공기간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규격화가 어려워 균일한 시공품질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 construction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work procedure is complicated and the labor intensity is high, which causes a avoidance phenomenon and an increase in labor costs.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expect the construction quality.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4513호 '심초공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콘크리트 기초를 시공할 심초기초의 위치를 측량하는 시공위치 측량단계; 측량된 시공위치의 지반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직갱을 1차 굴착하도록 하는 시공위치 터파기단계; 1차 굴착된 연직갱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철제 토류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1차 굴착된 연직갱의 내면과 상기 철제 토류관의 외면 사이에는 상기 연직갱을 2차 굴착하기 전에 상기 1차 굴착된 연직갱 내에 철제 토류관을 지지 고정하도록 상부 가이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1차 굴착된 연직갱의 바닥에서부터 최종심도까지 일정 깊이로 계속해서 여러 개의 연직갱을 순차적으로 굴착하는 단계; 및, 상기 여러 개의 연직갱을 굴착하면서 발생하는 굴착토를 외부로 반출하는 단계; 상기 굴착된 각 연직갱 내에 여러 개의 토류판이 결합된 철제 토류관을 각각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여러 개의 연직갱 굴착 및 각 철제 토류관의 설치가 완료된 상기 철제 토류관 내에는 콘크리트 기초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상기 연직갱의 하부에서 상부로 올라가면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주 철근 및 배력 철근을 각각 결합하는 단계; 상기 각 철제 토류관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소정시간 동안 양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심초공법에 있어서, 상기 1차 연직갱의 바닥으로부터 최종심도까지 굴착된 각 연직갱 내에 각각 설치되는 철제 토류관이 토압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1차 굴착된 연직갱의 바닥으로부터 최종심도까지 상기 각 철제 토류관과 철제 토류관 사이에는 일정간격마다 링빔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각 연직갱 내에 각 철제 토류관을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1차 연직갱의 바닥으로부터 최종심도까지 일정 깊이로 굴착된 각 연직갱의 내면과 상기의 각 연직공 내에 설치된 각 철제 토류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 내로 상기 철제 토류관에 형성된 충진공을 통해 시멘트 밀크 원액인 충진재를 1차 충진하고 나서 상기 충진재가 1차 충진된 상태에서 철제 토류관의 배면에 유동화 콘크리트인 충진재를 2차 충진하는 등 상기의 시멘트 밀크 원액인 충진재와 유동화 콘크리트인 충진재를 순차적으로 충진하는 그라우팅 단계(S11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법이다.As an exampl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974513 'the core sheath method' is disclosed. This prior art is a construction position surveying step of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core foundation to construct the concrete foundation; A construction site excavation step of first excavating a vertical shaft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ground of the measured construction position; Installing an iron earth pipe for pouring concrete into the first excavated vertical shaft; pouring upper guide concret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primary excavated vertical shaf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ron earth pipe to support and fix the iron earth pipe in the primary excavated vertical shaft before the secondary excavation of the vertical shaft; continuously excavating several vertical shafts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excavated vertical shaft to the final depth; and discharging the excavated soil generated while excavating the plurality of vertical shafts to the outside; installing an iron earth pipe to which a plurality of earth plates are coupled in each of the excavated vertical shafts, respectively; In the iron earth pipe, where the excavation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shafts and the installation of each iron earth pipe have been completed, the operator manually combines the main reinforcing bars and the reinforcement reinforcing bars while ascen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shaft to the upper part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concrete foundation. to do; In the deep weaving method consisting of; pouring concrete into each of the iron earth pipes and curing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iron earth pipes installed in each vertical shaft excavated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vertical shaft to the final depth are installing ring beams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each iron earth pipe and the iron earth pipe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excavated vertical shaft to the final depth 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by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each vertical shaft excavat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vertical shaft to the final depth in order to fixedly install each iron earth pipe in each vertical shaft and each iron earth pipe installed in each of the vertical shafts The filler, which is the cement milk undiluted solution, is first filled into the space through the filling hole formed in the iron earth pipe, and then the filler, which is fluidized concrete, is secondarily filled on the back side of the iron earth pipe in the state in which the filler is first filled. Grouting step (S110) of sequentially filling the filler that is the cement milk undiluted solution and the filler that is fluidized concrete; is a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일정한 직경의 연직갱 시공은 가능하나, 지반의 지질변화에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연직갱 직경의 확대 및 축소가 자유롭지 않기 때문에 효율적인 설계 및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vertical shaft of a certain diameter, but cannot cope with the geological change of the ground. 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efficient design and construction are difficult because the expansion and reduction of the diameter of the vertical shaft is not free.

또한, 연직갱 내에 설치된 철제 토류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간격 마다 링빔을 별도의 공정으로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늘어나고,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ing beam must be installed as a separate process at regular intervals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iron earth pipe installed in the vertical shaft, there are problems in that the working process is increased and the working efficiency is lowered.

또한, 철제 토류관의 내측에 링빙을 결합하는 구조가 없어 결합작업이 용이하지 아니할 뿐 아니라 견고히 결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no structure for coupling the ring bing on the inside of the iron earth pipe, so it is not easy to combin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firmly couple.

다른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110973호 '파형강관과 이의 결합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코러게이트 형상을 갖도록 연속되는 골부와 산부들을 가지며, 골부들의 형성방향으로 소정의 곡율로 밴딩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들에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되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결합 플랜지들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플랜지의 사이에 결합플랜지부와 결합되는 결합보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보강수단은 H빔, 찬넬로 이루어짐으로써, 파형강판과 겨합구조체의 구조적 강도를 높이고 결합 작업공수를 줄이고자 하는 발명이다.As anothe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6-110973 'A corrugated steel pipe and a coupling structure thereof' is disclosed. This prior art has continuous valleys and peaks to have a corrugated shape, and includes a body part bent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valleys, and coupling flanges that are bent upward or downward to the body parts and have through-holes formed. and a coupling reinforcing means coupled to the coupling flange portion between the coupling flanges, wherein the coupling reinforcing means is made of an H-beam and a channel, thereby increasing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and the coupling structure and reducing the coupling work. It is an invention to sleep.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을 수직구에 적용하는 경우, H빔의 외측 플랜지와 파형강관을 결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직경이 변하는 수직구를 시공하기 어렵고, H빔을 별도의 공정으로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prior art is applied to a vertical sphe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mbine the outer flange of the H-beam and the corrugated steel pip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a vertical sphere of varying diameter, and since the H-beam must be performed as a separate process, the work process is increas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4513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9745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직구 직경의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하여 지질변화에 대응하여 수직구를 시공할 수 있는 단면변화가 가능한 파형강관 수직구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enlarge and reduce the diameter of the vertical sphere, so that the corrugated steel pipe vertical spher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re possible to construct the vertical sphere in response to geological changes.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수직구 직경의 확대 및 축소가 자유로워 효율적인 설계 및 시공이 가능한 단면변화가 가능한 파형강관 수직구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rrugated steel pipe vertical sphere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in which the cross-sectional change is possible due to the free expansion and reduction of the diameter of the vertical sphere for efficient design and construction.

또한, 본 발명은 단위 파형강관에 'ㄷ'자형 앵글을 미리 부착함으로써 작업공정이 줄어들어 시공이 신속 용이한 단면변화가 가능한 파형강관 수직구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rrugated steel pipe vertical sphere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in which the work process is reduced by pre-attaching the 'C'-shaped angle to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so that the construction can be carried out quickly and easily.

또한, 본 발명은 단위 파형강관에 'ㄷ'자형 앵글의 외측 플랜지를 결합함으로써 파형강관 상호간의 결합력이 증대되며, 구조적 강성이 우수한 단면변화가 가능한 파형강관 수직구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rrugated steel pipe vertical sphere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in which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rrugated steel pipes is increased by coupling the outer flange of the 'C' angle to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and the cross-sectional change with excellent structural rigidity is possible. .

본 발명 단면변화가 가능한 파형강관 수직구 구조는, 상하 방향으로 연속 설치되는 복수의 파형강관; 상기 복수의 파형강관 중 서로 인접하고 직경이 동일한 파형강관 상호간을 결합하는 결합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조는, 상기 서로 인접한 파형강관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고 웨브가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ㄷ'자형 앵글과, 상기 파형강관과 'ㄷ'자형 앵글 및 상기 'ㄷ'자형 앵글 상호 간을 결합하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rrugated steel pipe vertical sphere structure capable of changing a cross sec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pipes continuously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coupling structure for coupling the corrugated steel pipe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pipes and having the same diameter, wherein the coupling structure includes, wherein the ends of the corrugated steel pipes adjacent to each other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the webs are installed such that the web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f the 'C'-shaped angle, the corrugated steel pipe, the 'C'-shaped angle, and the 'C'-shaped angle may include a bolt and a nut for coupling to each other.

상기 'ㄷ'자형 앵글은, 상기 파형강관의 내측면에서 더 내측으로 돌출됨으로써 구조적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The 'C'-shaped angle may increase structural rigidity by protruding further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상기 결합구조의 파형강관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90도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ㄷ'자형 앵글의 외측 플랜지와 웨브는 상기 연결부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The end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of the coupling structure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bent inwardly formed in a 90 degree shape, and the outer flange and web of the 'C' angle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또한, 본 발명 단면변화가 가능한 파형강관 수직구 구조는, 상하 방향으로 연속 설치되는 복수의 파형강관; 상기 복수의 파형강관 중 서로 인접하고 직경이 상이한 파형강관 상호간을 결합하는 제2 결합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구조는, 상기 서로 인접한 파형강관의 단부에 동시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판형 앵글과, 상기 인접한 파형강관과 판형 앵글을 결합하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rugated steel pipe vertical sphere structure capable of cross-sectional change, a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pipes continuously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coupling structure for coupling the corrugated steel pipe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pipes and having different diameters, wherein the second coupling structure includes: a plate-shaped angle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ends of the adjacent corrugated steel pipes , It may include a bolt and a nut for coupling the adjacent corrugated steel pipe and the plate angle.

상기 제2 결합구조의 파형강관의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90도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형 앵글의 일측에는 상기 파형강관의 연결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끼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nd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of the second coupling structure is bent inward and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formed in a 90 degree shape, and a fitting plate forming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is inserted is added to one side of the plate-shaped angle. may include

상기 판형 앵글의 타측에는 상기 파형강관의 연결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2 끼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plate-shaped angl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itting plate forming a second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is inserted.

상기 파형강관은 호 형상으로 분할된 복수개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divided in an arc shape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본 발명 단면변화가 가능한 파형강관 수직구 구조의 시공방법은, 수직구 구조보다 직경이 더 크게 지반을 굴착하는 1 단계; 상기 굴착된 지반에 파형강관을 설치하는 2 단계; 상기 굴착된 지반과 파형강관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3 단계; 상기 설치된 파형강관의 하측을 굴착하고, 상기 굴착된 하측에 파형강관을 설치하고, 상기 상하 파형강관을 상호 결합하는 4 단계; 상기 4 단계를 필요한 정도까지 수행하는 5 단계; 순으로 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orrugated steel pipe vertical sphere structure with a cross-sectional change, comprising: 1 step of excavating the ground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vertical sphere structure; Step 2 of installing a corrugated steel pipe in the excavated ground; Step 3 of pouring concrete between the excavated ground and the corrugated steel pipe; a fourth step of excavating the lower side of the installed corrugated steel pipe, installing the corrugated steel pipe on the excavated lower side, and coupling the upper and lower corrugated steel pipes to each other; Step 5 of performing Step 4 to the required extent; It can be built in order.

상기 2 단계와 3 단계 사이에 마감판 설치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감판 설치 단계는, 상기 파형강관 상면에는 상기 파형강관 외곽의 지반까지 덮는 마감판을 설치하고, 상기 마감판과 상기 파형강관을 결합하는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고, 상기 마감판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파형강관과 상기 지반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앵커바를 설치하고, 상기 앵커바는 상기 3 단계의 콘크리트에 매설될 수 있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finishing plate installation step between steps 2 and 3, wherein the finishing plate installation step includes installing a finishing plate covering up to the ground outside the corrugated steel pi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the finishing plate and the corrugated steel pipe A bolt and a nut for coupling the steel pipe are fastened, and an anchor bar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corrugated steel pipe and the groun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nishing plate is installed, and the anchor bar may be embedded in the concrete of the third step.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구 직경의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하여 지질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 향상 및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expand and reduce the diameter of the vertical sphere,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pond to geological changes,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and securing structural stabilit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구 직경의 확대 및 축소가 자유로워 효율적인 설계 및 시공이 가능함으로 경제적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pansion and reduction of the diameter of the vertical sphere is freely possible, so that efficient design and construction are possible, so it can be economical.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위 파형강관에 'ㄷ'자형 앵글을 미리 부착함으로써 현장 작업공정이 줄어들어 시공이 신속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ttaching the 'C'-shaped angle to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in advance, the on-site work process is reduced, so that the construction can be quickly and easil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위 파형강관에 'ㄷ'자형 앵글의 외측 플랜지를 결합함으로써 파형강관 상호간의 결합력이 증대되며, 구조적 강성이 우수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rrugated steel pipes is increased by coupling the outer flange of the 'C'-angle to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and the structural rigidity can be excellen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ㄷ'자형 앵글이 파형강관 내측면보더 더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조적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shaped angle protrudes more inward than the inner side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so that structural rigidity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파형강관을 구성하는 단위 파형강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 변화 지점의 파형강관을 결합하는 판형 앵글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면변화가 가능한 파형강관 수직구 구조의 시공과정도 및 상세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단면 변화 지점의 파형강관을 결합하는 다른 판형 앵글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unit corrugated steel pipe constituting the corrugated steel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te-shaped angle combining the corrugated steel pipe of the cross-sectional change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16 are a construction process diagram and detailed explanatory diagram of a corrugated steel pipe vertical sphere structure capable of cross-sectional chang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plate-shaped angle combining the corrugated steel pipe at the cross-sectional change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파형강관을 구성하는 단위 파형강관의 사시도들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unit corrugated steel pipe constituting the corrugated steel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면변화가 가능한 파형강관 수직구 구조(100)는, 파형강관을 적층시켜 지반에 수직구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파형강관(110)과, 이의 결합구조(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rrugated steel pipe vertical sphere structure 100 capable of cross-sectional chang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vertical sphere in the ground by stacking corrugated steel pipes, and comprises a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pipes 110 and a coupling structure 120 thereof. may include

파형강관(110)은, 호 형상의 단위 파형강관(111)을 원주 방향으로 상호 결합하여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파형강관(110)은 지반에 상하 방향으로 연속설치하여 적층될 수 있다.The corrugated steel pipe 1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y mutually coupling arc-shaped unit corrugated steel pipes 11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corrugated steel pipe 110 may be stacked by continuously installing it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ground.

상기 단위 파형강관(111)의 상하단부에는 내측으로 90도 형상으로 절곡된 연결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파형강관(111)의 좌우측단부에는 내측으로 90도 형상으로 절곡되거나 별개의 부재가 부착된 리브(113)가 형성될 수 있다. 내측으로 90도로 형성된 구조는 수직구 구조(100)를 내부에서 용이하게 볼트 등으로 결합할 수 있게 한다.A connecting portion 112 bent inwardly by 90 degrees may b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 In addition, ribs 113 bent inwardly at 90 degrees or to which a separate member is attached may b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 The structure formed at 90 degrees to the inside enables the vertical sphere structure 100 to be easily coupled with a bolt or the like from the inside.

상기 연결부(112) 및 리브(113)에는 일정간격으로 통공이 관통형성되어 볼트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12 and the rib 113 may have through-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o be coupled with a bolt or the like.

결합구조(120)의 일례는 복수의 파형강관(110) 중 서로 인접하고 직경이 동일한 파형강관 상호간을 결합하는 구성으로, 'ㄷ'자형 앵글(121), 볼트 및 너트(122)를 포함할 수 있다.An example of the coupling structure 120 is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the corrugated steel pipes adjacent to each other and having the same diameter among the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pipes 110, and may include a 'C'-shaped angle 121, a bolt and a nut 122. have.

'ㄷ'자형 앵글(121)은 웨브, 상기 웨브의 양측에 외측 플랜지와 내측 플랜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내측은 수직구의 중앙쪽을 외측은 수직구의 바깥쪽을 지칭한다. 상기 'ㄷ'자형 앵글(121)은 한 쌍으로서 서로 인접한 파형강관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고, 웨브가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C'-shaped angle 121 may have an outer flange and an inner flange on both sides of the web, the web, respectively. Hereinafter, the inside refers to the center of the vertical sphere and the outside refers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 sphere. The 'C'-shaped angle 121 may be installed such that the ends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adjacent to each other are inserted as a pair, and the web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ㄷ'자형 앵글(121)은 상기 파형강관(110)의 내측면에서 더 내측으로 돌출돌 수 있다. 이 돌출된 부분을 이용하여 볼트를 결합함으로써 결합력이 증대되고, 동시에 구조적 강성이 증대되될 수 있다.The 'C'-shaped angle 121 may protrude further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110 . By combining the bolts using this protruding part, the coupling force can be increased, and structural rigidity can be increased at the same time.

종래기술의 경우 H형강을 수직구 내측에 결합하는 경우 결합이 용이하지 아니하고, 결합력이 부족하고, H형강을 내려서 결합하는 별도의 과정이 추가되어 시공과정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H형강의 외부플랜지가 파형강관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경우, H형강의 외부플랜지와 파형강관을 결합할 수 없고,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H형강의 외측에 너트를 미리 용접한 상태에서 수직구 내측에서 볼트를 체결할 때 너트의 방향이나 위치가 부정확하여 볼트와의 결합이 불가능하거나 너트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the prior art, when the H-beam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vertical sphere, the coupling is not easy, the coupling force is insufficient, and a separate process of lowering the H-beam and combining it is added, thereby increasing the construction process. In addition, when the H-beam outer flange is installed to be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the H-beam outer flange and the corrugated steel pipe cannot be combined. When fastening the bolt inside the vertical sphere, the direction or position of the nut was inaccurate, so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impossible to combine with the bolt or the nut was detached.

본 발명은 볼트 및 너트(122)는 파형강관(110)과 'ㄷ'자형 앵글(121) 및 'ㄷ'자형 앵글(121) 상호간을 결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lt and nut 122 may combine the corrugated steel pipe 110 and the 'C'-shaped angle 121 and the 'C'-shaped angle 121 with each other.

'ㄷ'자형 앵글(121)의 외측 플랜지와 웨브는 파형강관의 90도 형상의 연결부(112)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볼트 및 너트(122)로 결합고정될 수 있다. 즉, 'ㄷ'자형 앵글(121)의 외측 플랜지는 단위 파형강관(111)에 미리 볼트 결합되어 하측으로 내려질 수 있다. 따라서 'ㄷ'자형 앵글(121)의 외측 플랜지는 단위 파형강관(111)과 볼트 및 너트(122)로 견고히 체결됨으로써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The outer flange and the web of the 'C'-shaped angle 121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90-degree-shaped connection part 112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and may be coupled and fixed with a bolt and a nut 122 . That is, the outer flange of the 'C'-shaped angle 121 may be bolted to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in advance and lowered downward. Therefore, the outer flange of the 'C'-shaped angle 121 is firmly fastened with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and the bolt and nut 122, so that the coupling force can be increased.

H형강을 사용하는 종래기술의 경우 H형강을 단위 파형강관에 미리 결합한다 하더라도 외측 플랜지의 일측만 미리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H형강의 외측 플랜지의 타측은 파형강관에 결합할 수 없거나, 결합을 위해 미리 H형강의 외측 플랜지에 너트를 용접한다 하더라도 너트가 정밀하게 용접되지 아니하여 볼트를 체결할 수 없거나, 체결 도중에 너트가 탈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prior art using H-beams, even if the H-beams are pre-coupled to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only one side of the outer flange can be pre-coupled. Therefore, the other side of the outer flange of the H-beam cannot be joined to the corrugated steel pipe, or even if the nut is previously welded to the outer flange of the H-beam for coupling, the nut is not precisely welded and thus the bolt cannot be fastened, or the nut cannot be fastened during the fastening. There is a problem of dropp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letely eliminate these problems.

'ㄷ'자형 앵글(121)은 상기 단위 파형강관(111)과 동일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부(112)에 볼트 및 너트(122)로 결합고정될 수 있다. 또한, 'ㄷ'자형 앵글(121)은 단위 파형강관(111)의 호보다 길거나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ㄷ'자형 앵글(121)은 단위 파형강관(111)의 호와 길이가 같게 형성되면서, 다만 서로 어긋나게 결합될 수 있다.The 'C'-shaped angle 121 may be formed in the same arc shape as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and be coupled and fixed to the connection part 112 with a bolt and a nut 122 . In addition, the 'C'-shaped angle 121 may be formed to be longer or shorter than the arc of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 In addition, while the 'C'-shaped angle 121 is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arc of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it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while shifting.

예컨데, 'ㄷ'자형 앵글(121)은 단위 파형강관(111)의 연결부(112)에 일측이 일부 돌출되고 타측의 일부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즉, 서로 어긋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인접한 단위 파형강관(111)과 인접한 'ㄷ'자형 앵글(121)이 서로 교차되도록 볼트 및 너트(122)로 결합고정하여 결합력을 높임으로써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C'-shaped angle 121 may be positioned so that one side partially protrudes from the connection part 112 of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and the other side is located inside, that is, shifted from each other. This can improve structural rigidity by fixing the adjacent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and the adjacent 'C'-shaped angle 121 to cross each other with bolts and nuts 122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상기 호 형상의 단위 파형강관(111)은 복수 개를 연결하여 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arc-shaped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them.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예는 파형강관을 적층시켜 지반에 수직구를 형성하는 구조로서, 복수의 파형강관(110), 제2 결합구조(13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a vertical sphere is formed in the ground by stacking corrugated steel pipes,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pipes 110 and a second coupling structure 130 .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omitted.

상기 단위 파형강관(111)의 상하단부에는 내측으로 90도 형상으로 절곡된 연결부(112)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단위 파형강관(111)의 좌우측단부에는 내측으로 90도 형상으로 절곡되거나 부착된 리브(113)가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may be formed with a connecting portion 112 bent inwardly in a 90 degree shape, and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are bent or attached to the inside in a 90 degree shape. Ribs 113 may be formed.

상기 연결부(112) 및 리브(113) 내부에는 일정간격으로 통공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Through-holes may be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part 112 and the rib 113 at regular intervals.

제2 결합구조(130)는 복수의 파형강관(110) 중 서로 인접하고 직경이 상이한 파형강관 상호간을 결합하는 구성으로, 판형 앵글(131), 볼트 및 너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structure 130 is configured to couple the corrugated steel pipes adjacent to each other and having different diameters among the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pipes 110 , and may include a plate-shaped angle 131 , a bolt and a nut 132 .

판형 앵글(131)은 직경이 상이한 파형강관 상호간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상기 단위 파형강관(111)과 같은 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판형 앵글(131) 역시 단위 파형강관(111)의 호보다 길거나 짧게 형성될 수 있다.The plate-shaped angle 131 is configured to connect corrugated steel pip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to each other, and may be formed in the same arc length as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 The plate-shaped angle 131 may also be formed to be longer or shorter than the arc of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

또한, 상기 판형 앵글(131)은 상기 단위 파형강관(111)의 연결부(112)에 일측이 돌출되고 타측이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는 인접한 단위 파형강관(111)과 인접한 'ㄷ'자형 앵글(121)이 서로 교차되도록 볼트 및 너트(122)로 결합고정하여 결합력을 높임으로써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te-shaped angle 131 may have one side protruding from the connection part 112 of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and the other side located inside, which is a 'C'-shaped angle adjacent to the adjacent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 Structural rigidity can be improved by coupling and fixing the bolts and nuts 122 so that the 121 crosses each other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상기 판형 앵글(131)의 일측에는 상기 파형강관(110)의 연결부(112)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끼움판(1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판(133)은 파형강관(110)과 판형 앵글(131)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판형 앵글(131)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A fitting plate 133 forming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n end of the connection part 112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110 is inserted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plate-shaped angle 131 . The fitting plate 133 may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rrugated steel pipe 110 and the plate-shaped angle 131 and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plate-shaped angle 131 .

또한, 상기 판형 앵글(131)의 타측에는 상기 파형강관(110)의 연결부(112) 단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2 끼움판(13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끼움판(134) 역시 파형강관(110)과 판형 앵글(131)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판형 앵글(131)의 강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fitting plate 134 forming a second insertion space into which an end of the connection part 112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110 is inserted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late-shaped angle 131 . The second fitting plate 134 may als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rrugated steel pipe 110 and the plate-shaped angle 131 and further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plate-shaped angle 131 .

볼트 및 너트(132)는 판형 앵글(131)과 파형강관(110)을 상호간을 결합할 수 있다.The bolt and nut 132 may couple the plate-shaped angle 131 and the corrugated steel pipe 110 to each other.

상기 호 단위의 단위 파형강관(111)과 판형 앵글(131)은 서로 복수 개를 연결하여 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arc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and the plate-shaped angle 131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each other.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공과정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먼저,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설계 도면 및 시방서에 따라 지반을 굴착하여 굴착공을 형성한다. 상기 굴착공은 수직구 구조보다 직경을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S. 3 to 4, the ground is excavated according to the design drawings and specifications to form an excavation hole. The drilling hole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vertical sphere structure.

상기 굴착공에 복수의 파형강관(110) 중 최상측에 위치하는 파형강관(110a)을 설치하는데, 상기 최상측 파형강관(110a)은 호 형상으로 인접하는 단위 파형강관(111)의 리브(113)를 볼트/너트로 체결하여 고정시켜 원형으로 형성된 강관이며, 상기 단위 파형강관(111)의 하부 연결부(112)에 미리 'ㄷ'자형 앵글(121)이 볼트/너트(122)로 체결고정될 수 있다.A corrugated steel pipe 110a located at the uppermost side among the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pipes 110 is installed in the excavation hole, and the uppermost corrugated steel pipe 110a has ribs 113 of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adjacent to each other in an arc shape. ) is a steel pipe formed in a circular shape by fastening and fixing it with a bolt/nut, and the 'C'-shaped angle 121 is fixed to the lower connection part 112 of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in advance with a bolt/nut 122. can

상기 'ㄷ'자형 앵글(121)은 상기 단위 파형강관(111)과 동일한 호 길이로 형성되어 연결부(112)에 볼트/너트(122)로 체결고정될 수도 있고, 인접한 단위 파형강관(111)과 서로 교차되도록 위치시켜 볼트/너트(122)로 체결고정시켜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The 'C'-shaped angle 121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arc length as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and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connecting part 112 with bolts/nuts 122, and adjacent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y positioning them to cross each other and fixing them with bolts/nuts 122 .

상기 최상측 파형강관(110a)이 굴착공에 설치되면, 도 5와 같이, 상기 최상측 파형강관(110a) 상면에 마감판(14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마감판(140)은 최상측 파형강관(110a) 외곽의 지반까지 덮도록 설치하고, 상기 마감판(140)과 최상측 파형강관(110a)은 볼트/너트로 체결고정할 수 있다.When the uppermost corrugated steel pipe 110a is installed in the excavation hole, as shown in FIG. 5 , a finishing plate 14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uppermost corrugated steel pipe 110a. The finishing plate 140 is installed to cover the ground outside the uppermost corrugated steel pipe 110a, and the closing plate 140 and the uppermost corrugated steel pipe 110a can be fastened and fixed with bolts/nuts.

또한, 상기 마감판(140)에는 앵커바(15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앵커바(150)는 하단부가 마감판(140)을 관통하여 최상측 파형강관(110a)과 지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설치한 후, 상기 최상측 파형강관(110a)과 지반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할 수 있다.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상기 마감판(140)에 주입공과 배출공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chor bar 150 may be installed on the closing plate 140 . The anchor bar 150 is installed so that the lower end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most corrugated steel pipe 110a and the ground through the closing plate 140, and then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most corrugated steel pipe 110a and the ground. It can be cured by pouring concrete. An injection hole and a discharge hole may be formed in the finishing plate 140 for pouring concrete.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도 6 내지 8과 같이, 상기 최상측 파형강관(110a) 하측의 지반을 굴착하여 굴착공을 형성하고, 상기 굴착공에 최상측 파형강관(110a) 하측에 위치하는 중간부 파형강관(110b)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중간부 파형강관(110b)은 호 형상의 단위 파형강관(111) 상부 및 하부 연결부(112)에 미리 'ㄷ'자형 앵글(121)이 볼트/너트(122)로 체결된 상태에서 파형강관(110a) 하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단위 파형강관(111)의 상부 연결부(112)에 고정된 'ㄷ'자형 앵글(121)을 최상측 파형강관(110a)의 'ㄷ'자형 앵글(121)에 밀착시킨 후, 상기 'ㄷ'자형 앵글(121)들을 볼트/너트(122)로 체결고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호 형상의 단위 파형강관(111)을 최상측 파형강관(110a)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최상측 파형강관(110a)에 고정된 단위 파형강관(111)의 리브에 단위 파형강관(111)의 리브를 밀착시키고, 단위 파형강관(111)의 상부 연결부(112)에 고정된 'ㄷ'자형 앵글(121)을 파형강관(110a)의 'ㄷ'자형 앵글(121)에 밀착시킨 후, 상기 'ㄷ'자형 앵글(121)들을 볼트/너트(122)로 체결하고, 인접하는 단위 파형강관(111)의 리브를 볼트/너트로 체결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원형의 중간부 파형강관(110b)을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concrete is cured, an excavation hole is formed by excavating the ground under the uppermost corrugated steel pipe 110a as shown in Figs. A corrugated steel pipe 110b may be installed. The intermediate part corrugated steel pipe 110b is a corrugated steel pipe in a state in which a 'C'-shaped angle 121 is previously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parts 112 of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in the arc shape with bolts/nuts 122 ( 110a) The 'C'-shaped angle 121 fixed to the upper connection part 112 of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and placed in the lower part is closely adhered to the 'C'-shaped angle 121 of the uppermost corrugated steel pipe 110a. After this, the 'C'-shaped angles 121 may be fastened and fixed with bolts/nuts 122 . In addition, another arc-shaped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is placed under the uppermost corrugated steel pipe 110a, and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is attached to the rib of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fixed to the uppermost corrugated steel pipe 110a. ), and the 'C'-shaped angle 121 fixed to the upper connection part 112 of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shaped angle 121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110a, The 'C'-shaped angles 121 are fastened with bolts/nuts 122, and the ribs of the adjacent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are fastened with bolts/nuts, and this process is repeated to repeat this process to 110b)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중간부 파형강관(110b)은 원통 형상의 중간부 파형강관(110b)을 먼저 제작한 후 최상층 파형강관(110a)의 하부에 결합하는 과정으로 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ddle part corrugated steel pipe 110b may be constructed by first manufacturing the cylindrical middle part corrugated steel pipe 110b and then combining it with the lower part of the uppermost corrugated steel pipe 110a.

상기 중간부 파형강관(110b)을 형성하는 과정을 필요한 정도까지 반복하여 도 9와 같이, 복수의 파형강관(110)을 시공할 수 있으며, 복수의 파형강관(110) 중 최하측에 위치하는 최하층 파형강관(110c)에는 'ㄷ'자형 앵글(121)이 하부 연결부에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9 , by repeat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intermediate corrugated steel pipe 110b to the required degree, a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pipes 110 can be constructed, and the lowest layer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among the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pipes 110 In the corrugated steel pipe 110c, the 'C'-shaped angle 121 may or may not be formed in the lower connection part.

또한, 상기 복수의 파형강관(110)을 지반에 시공하던 중, 지질 변화에 따라 수직구 직경의 축소가 필요할 경우는,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중간부 파형강관(110b)의 단위 파형강관(111) 하부 연결부(112)에 판형 앵글(131)을 볼트/너트(132)로 고정하고, 굴착된 중간부 파형강관(110b) 하부에 또 다른 중간부파형강관(110b)의 단위 파형강관(111)을 위치시킨 후, 상기 판형 앵글(131)과 단위 파형강관(111)을 볼트/너트로 체결고정하여 수직구의 직경을 축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construction of the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pipes 110 on the ground, when a reduction in the diameter of a vertical sphere is required according to geological changes, as shown in FIGS. (111) A unit corrugated steel pipe ( 111), the plate-shaped angle 131 and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are fastened and fixed with bolts/nuts to reduce the diameter of the vertical sphere.

그리고 상기 지질 변화에 따라 수직구 직경의 확대가 필요할 경우는, 도 13 내지 도 14와 같이, 중간부 파형강관(110b)의 단위 파형강관(111) 상부 연결부(112)에 판형 앵글(131)을 볼트/너트(132)로 고정하고, 굴착된 중간부 파형강관(110b)의 하부로 이동시켜 판형 앵글(131)과 파형강관(110a)의 하부 연결부(112)를 볼트/너트(132)로 체결고정하여 수직구의 직경을 확대시킬 수 있다.And when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diameter of the vertical sphere according to the geological change, as shown in FIGS. 13 to 14, the plate-shaped angle 131 is attached to the upper connection part 112 of the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1 of the intermediate corrugated steel pipe 110b. It is fixed with a bolt/nut 132 and moved to the lower part of the excavated intermediate part corrugated steel pipe 110b, and the plate-shaped angle 131 and the lower connection part 112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110a are fastened with the bolt/nut 132. By fixing it, the diameter of the vertical sphere can be enlarged.

여기서, 상기 판형 앵글(131)의 일측에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끼움판(133)이 형성되어 중간부 파형강관(110b)의 상부 연결부(112)에 결합되어 볼트/너트(132)로 고정될 수 있다.Here, a fitting plate 133 having an insertion spac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late-shaped angle 131 and coupled to the upper connection part 112 of the intermediate corrugated steel pipe 110b to be fixed with a bolt/nut 132. have.

상기와 같이 직경이 축소되거나 확대되는 경우 판형 앵글(131)을 상측 또는 하측 어느 파형강관에 미리 결합할 것인지는 시공의 편의성 등으로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컨데 도 12와 같이 직경이 축소되는 경우 상측의 파형강관(110b)에 미리 볼트 및 너트로 결합할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또한 도 14와 같이 직경이 확장되는 경우 하측의 파형강관(110b)에 미리 볼트 및 너트로 결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수직구의 내측에서 용이하게 결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diameter is reduced or enlarged as described above, whether the plate-shaped angle 131 is pre-coupled to either the upper or the lower corrugated steel pipe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diameter is reduced as shown in FIG. 12 , it may be previously coupled to the upper corrugated steel pipe 110b with a bolt and a nut, and vice versa. In addition, when the diameter is expanded as shown in FIG. 14 , it may be advantageous to previously couple to the lower corrugated steel pipe 110b with bolts and nuts.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the joining operation on the inside of the vertical sphere.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복수의 파형강관(110)이 적층되면, 도 15 내지 도 16과 같이, 상기 파형강관(110)에 관통된 복수의 주입구(111')을 통해 콘크리트가 파형강관(110)과 지반 사이의 공간으로 주입되고, 주입되는 콘크리트는 파형강관(110)과 지반 사이의 공간에서 양생될 수 있다. 상기 주입된 콘크리트는 파형강관(110)의 부식을 방지하고, 수직구의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pipes 110 are stacked b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concrete is transferred to the corrugated steel pipe 110 through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111 ′ penetrating through the corrugated steel pipe 110 as shown in FIGS. 15 to 16 . The concrete is injec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corrugated steel pipe 110 and the ground, and the injected concrete may be cured in the space between the corrugated steel pipe 110 and the ground. The injected concrete can prevent corrosion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110 and increase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vertical sphere.

또한, 도 17과 같이, 상기 판형 앵글(131)에 형성된 끼움판(133)으로 중간부 파형강관(110b)의 상부 연결부(112)가 결합되어 볼트/너트(132)로 고정될 때, 상기 판형 앵글(131)의 타측에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제2 끼움판(134)이 형성되어 중간부 파형강관(110b)의 하부 연결부(112)에 결합되어 볼트/너트(132)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끼움판(133) 및 제2 끼움판(134)에 의한 판형 앵글(131)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7 , when the upper connection part 112 of the intermediate corrugated steel pipe 110b is coupled to the fitting plate 133 formed on the plate-shaped angle 131 and fixed with the bolt/nut 132, the plate-shaped On the other side of the angle 131, a second fitting plate 134 having an insertion space is formed, coupled to the lower connection part 112 of the intermediate corrugated steel pipe 110b, and fixed with a bolt/nut 132, The strength of the plate-shaped angle 131 by the fitting plate 133 and the second fitting plate 134 may be increas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 by being combined or combined into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configured or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ex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파형강관 수직구 구조 110: 복수의 파형강관
111: 단위 파형강관 112: 연결부
113: 리브 120: 결합구조
121: 'ㄷ'자형 앵글 122: 볼트/너트
130: 제2 결합구조 131: 판형 앵글
132: 볼트/너트 133: 끼움판
134: 제2 끼움판 140: 마감판
150: 앵커바
100: corrugated steel pipe vertical sphere structure 110: a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pipes
111: unit corrugated steel pipe 112: connection part
113: rib 120: coupling structure
121: 'C'-shaped angle 122: bolt/nut
130: second coupling structure 131: plate angle
132: bolt / nut 133: mounting plate
134: second fitting plate 140: finish plate
150: anchor bar

Claims (9)

상하 방향으로 연속 설치되는 복수의 파형강관;
상기 복수의 파형강관 중 서로 인접하고 직경이 동일한 파형강관 상호간을 결합하는 결합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조는,
상기 서로 인접한 파형강관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고 웨브가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ㄷ'자형 앵글과, 상기 파형강관과 'ㄷ'자형 앵글 및 상기 'ㄷ'자형 앵글 상호 간을 결합하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조의 파형강관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90도 형상으로 형성된 수직면과 수평면을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ㄷ'자형 앵글의 외측 플랜지와 웨브는 상기 연결부의 수직면과 수평면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볼트 및 너트는 상기 'ㄷ'자형 앵글의 외측 플랜지와 상기 90도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의 수직면을 결합하는 볼트 및 너트와, 상기 'ㄷ'자형 앵글의 웨브와 상기 90도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의 수평면을 인접한 상기 'ㄷ'자형 앵글의 웨브와 상기 90도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의 수평면을 함께 결합하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면변화가 가능한 파형강관 수직구 구조.
A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pipes continuously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ontaining; and a coupling structure for coupling the corrugated steel pipes adjacent to each other and having the same diameter among the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pipes;
The bonding structure is
A pair of 'C'-shaped angles in which the ends of the adjacent corrugated steel pipes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the web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C'-shaped angle and the 'C'-shaped angle with the corrugated steel pipe. and a nut;
The end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of the coupling structure is bent inward and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including a vertical surface and a horizontal surface formed in a 90-degree shape,
The outer flange and the web of the 'C'-shaped angle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surface and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The bolt and nut are a bolt and nut coupling the outer flange of the 'C' angle and the vertic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art formed in the 90-degree shape, and the 'C'-shaped angle web and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art formed in the 90-degree shape A corrugated steel pipe vertical sphere structure capable of cross-section chan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lt and a nut for coupling together the 'C'-angle web and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art formed in the 90-degree shape adjacent to the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ㄷ'자형 앵글은,
상기 파형강관의 내측면에서 더 내측으로 돌출됨으로써 구조적 강성이 증대되는 단면변화가 가능한 파형강관 수직구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shaped angle is,
A corrugated steel pipe vertical sphere structure in which structural rigidity is increased by protruding further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삭제delete 상하 방향으로 연속 설치되는 복수의 파형강관;
상기 복수의 파형강관 중 서로 인접하고 직경이 상이한 파형강관 상호간을 결합하는 제2 결합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구조는,
상기 서로 인접한 파형강관의 단부에 동시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판형 앵글과, 상기 인접한 파형강관과 판형 앵글을 결합하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구조의 파형강관의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90도 형상으로 형성된 수직면과 수평면을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형 앵글의 일측에는 상기 파형강관의 연결부의 단부인 수평면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끼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판형 앵글의 타측에는 상기 파형강관의 연결부의 단부인 수평면이 삽입되는 제2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2 끼움판을 더 포함하는 단면변화가 가능한 파형강관 수직구 구조.
A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pipes continuously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coupling structure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pipes and coupling the corrugated steel pip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to each other;
The second coupling structure,
A plate-shaped angle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ends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bolt and a nut for coupling the adjacent corrugated steel pipe and the plate-shaped angle,
The end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of the second coupling structure is bent inward and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including a vertical surface and a horizontal surface formed in a 90-degree shape,
One side of the plate-shaped angle further includes a fitting plate forming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horizontal plane, which is an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is inserted,
The corrugated steel pipe vertical sphere structure capable of cross-sectional chang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fitting plate forming a second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horizontal plane, which is an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is inserted at the other side of the plate-shaped ang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 2,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관은 호 형상으로 분할된 복수개가 상호 결합된 것인 단면변화가 가능한 파형강관 수직구 구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4,
The corrugated steel pipe is a corrugated steel pipe vertical spher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arc-shaped division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수직구 구조보다 직경이 더 크게 지반을 굴착하는 1 단계;
상기 굴착된 지반에 파형강관을 설치하는 2 단계;
상기 굴착된 지반과 파형강관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3 단계;
상기 설치된 파형강관의 하측을 굴착하고, 상기 굴착된 하측에 파형강관을 설치하고, 상기 상하 파형강관을 상호 결합하는 4 단계;
상기 4 단계를 필요한 정도까지 수행하는 5 단계; 순으로 시공하고,
상기 2 단계와 3 단계 사이에 마감판 설치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4 또는 5 단계에서, 상하로 인접하고 직경이 동일한 파형강관 상호간을 결합하는 결합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조는,
상기 서로 인접한 파형강관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고 웨브가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ㄷ'자형 앵글과, 상기 파형강관과 'ㄷ'자형 앵글 및 상기 'ㄷ'자형 앵글 상호 간을 결합하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조의 파형강관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90도 형상으로 형성된 수직면과 수평면을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ㄷ'자형 앵글의 외측 플랜지와 웨브는 상기 연결부의 수직면과 수평면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볼트 및 너트는 상기 'ㄷ'자형 앵글의 외측 플랜지와 상기 90도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의 수직면을 결합하는 볼트 및 너트와, 상기 'ㄷ'자형 앵글의 웨브와 상기 90도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의 수평면을 인접한 상기 'ㄷ'자형 앵글의 웨브와 상기 90도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의 수평면을 함께 결합하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판 설치 단계는,
상기 파형강관 상면에는 상기 파형강관 외곽의 지반까지 덮는 마감판을 설치하고, 상기 마감판과 상기 파형강관을 결합하는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고, 상기 마감판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파형강관과 상기 지반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앵커바를 설치하고, 상기 앵커바는 상기 3 단계의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단면변화가 가능한 파형강관 수직구 구조의 시공방법.
Step 1 of excavating the ground with a larger diameter than the vertical sphere structure;
Step 2 of installing a corrugated steel pipe in the excavated ground;
Step 3 of pouring concrete between the excavated ground and the corrugated steel pipe;
a fourth step of excavating the lower side of the installed corrugated steel pipe, installing the corrugated steel pipe at the lower excavated side, and coupling the upper and lower corrugated steel pipes to each other;
Step 5 of performing Step 4 to the required extent; build in order,
Further comprising; a finishing plate installation step between steps 2 and 3;
In the step 4 or 5, a coupling structure that is adjacent up and down and combines the corrugated steel pipes having the same diameter to each other;
The bonding structure is
A pair of 'C'-shaped angles in which the ends of the adjacent corrugated steel pipes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the web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C'-shaped angle and the 'C'-shaped angle with the corrugated steel pipe. and a nut;
The end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of the coupling structure is bent inward and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including a vertical surface and a horizontal surface formed in a 90-degree shape,
The outer flange and the web of the 'C'-shaped angle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surface and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The bolt and nut are a bolt and nut coupling the outer flange of the 'C' angle and the vertic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art formed in the 90-degree shape, and the 'C'-shaped angle web and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art formed in the 90-degree shape Containing a bolt and a nut for coupling together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formed in the 90-degree shape with the web of the 'C'-shaped angle adjacent to,
The finishing plate installation step is,
A finish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to cover the ground outside the corrugated steel pipe, bolts and nuts for coupling the finishing plate and the corrugated steel pipe are fastened, and the corrugated steel pipe and the groun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nishing plate A construction method of a corrugated steel pipe vertical sphere structure with a cross-sectional change that is possible by installing an anchor bar inserted in the space between the anchor bars, and the anchor bars are embedded in the concrete of the third step.
삭제delete
KR1020190170937A 2019-12-19 2019-12-19 Structure of the Vertical Sphere for the Cross Sectional Vari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3111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937A KR102311110B1 (en) 2019-12-19 2019-12-19 Structure of the Vertical Sphere for the Cross Sectional Vari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937A KR102311110B1 (en) 2019-12-19 2019-12-19 Structure of the Vertical Sphere for the Cross Sectional Vari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955A KR20210078955A (en) 2021-06-29
KR102311110B1 true KR102311110B1 (en) 2021-10-08

Family

ID=76626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937A KR102311110B1 (en) 2019-12-19 2019-12-19 Structure of the Vertical Sphere for the Cross Sectional Vari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11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5676A (en) * 1998-07-31 2000-02-15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Split type doughnut connection plate for shaft bottom- enlarged structure, shaft bottom-enlarged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2005248636A (en) 2004-03-08 2005-09-15 Arai Gumi Ltd Shaft structure
JP2017206854A (en) * 2016-05-18 2017-11-24 株式会社ユアテック Concrete mold for steel tower found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tower foundation concret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2869B2 (en) * 1995-11-30 2002-12-03 株式会社カイエーテクノ Construction method of manhole / propulsion sinking pit and settling control device used for it
JP3824384B2 (en) * 1997-07-02 2006-09-20 捉伸工事株式会社 Construction method of shaft and apparatus used in the method
KR100634019B1 (en) * 2004-02-03 2006-10-17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Connection method and connection structure of corrugated grater assembly structure
KR100974513B1 (en) 2009-07-13 2010-08-10 신세계건설(주) Caisson type pile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5676A (en) * 1998-07-31 2000-02-15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Split type doughnut connection plate for shaft bottom- enlarged structure, shaft bottom-enlarged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2005248636A (en) 2004-03-08 2005-09-15 Arai Gumi Ltd Shaft structure
JP2017206854A (en) * 2016-05-18 2017-11-24 株式会社ユアテック Concrete mold for steel tower found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tower foundation concre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955A (en)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162B1 (en) Chair-type self-supported earth retaining wall constructing method
KR101078047B1 (en) Precast concrete truss suppor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915099B1 (en) Structure for supporting retaining wall of earth with arch material and method constructing the arch structure
KR100698878B1 (en) Y Type Connecting Structure of Steel Pipe Struts
KR20060092552A (en) The non-strut down framework construction method of having used cast in place concrete pile
KR101687495B1 (en) Partial top-down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underground structures
KR102218604B1 (en) Earth retaining construction method for using pile and inclined ground anchor
CN111236952A (en) Full-recovery assembly type rectangular pipe-jacking working well steel structure support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of working well
KR102396786B1 (en) Underground expansion and top-down method of new building using reinforcement of existing underground outer wall
KR200212743Y1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a foundation pile
JP2000352296A (en) Method o constructing passage just under underground structure
KR102311110B1 (en) Structure of the Vertical Sphere for the Cross Sectional Vari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0443476Y1 (en) Structure for supporting wall
KR100662524B1 (en) Double pipe girder struts as permanent system
KR101275468B1 (en) The structure assembly for building a tunnel and building method thereof
KR101221084B1 (en) Temporary pile using bending restoring force and temporary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US20080075540A1 (en) Underground earth retention strut construction method using horizontal frame structure
JP2007107233A (en) Construction method for earth retaining structure
KR20210098162A (en) Under ground structure using column steel pipe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4134215B2 (en) Horizontal frame structure and underground soil retaining support method using it
KR102626431B1 (en) Thumb pile using guide bracket and bottom part of drilling diameter ground anchor and construction method for retaining temporary facility using the same
KR20210015135A (en) Pile reinforcement guide devi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255610B1 (e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of use it
CN114059555B (en) Construction method of arc-shaped foundation pit supporting system based on anchoring structure
CN114482072B (en) Soft soil close-connection double-foundation-pit combined anchor design method, support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