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975B1 - 포장용기의 부피와 적재공간의 부피가 고려된 택배물류방법 및 이의 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용기의 부피와 적재공간의 부피가 고려된 택배물류방법 및 이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975B1
KR102310975B1 KR1020200011796A KR20200011796A KR102310975B1 KR 102310975 B1 KR102310975 B1 KR 102310975B1 KR 1020200011796 A KR1020200011796 A KR 1020200011796A KR 20200011796 A KR20200011796 A KR 20200011796A KR 102310975 B1 KR102310975 B1 KR 102310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olume
packaging containers
loaded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8069A (ko
Inventor
이현관
Original Assignee
이현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관 filed Critical 이현관
Priority to KR1020200011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975B1/ko
Publication of KR20210098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용기의 부피와 적재공간의 부피가 고려된 택배물류방법으로, (a) 상품별 포장용기에 대한 기설정된 식별번호를 포함한 운송정보가 서버의 입력부에 입력된 이후 상기 서버의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 (b) 상기 서버의 바코드생성부에서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운송정보별로 바코드가 생성되는 단계; (c) 상기 바코드가 상기 서버의 출력부에 출력되어 운송장에 표시되는 단계; (d) 상기 컨테이너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대한 정보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어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 및 (e) 상기 운송장이 부착된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가 컨테이너에 적재되기 위해 이송되는 과정 중 바코드스캐너에 의해 상기 운송장에 표시된 바코드가 스캔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택배물류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장용기의 부피와 적재공간의 부피가 고려된 택배물류방법 및 이의 장치{A method of delivery logistics and a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포장용기의 부피와 적재공간의 부피가 고려된 택배물류방법 및 이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택배물류에 있어서 세관신고절차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나아가 컨테이너에 적재하는 시점에서의 상품리스트와 국내 세관신고절차에 필요한 상품리스트, 나아가 해외 세관신고절차에 필요한 상품리스트를 일치시키는 과정 중에서, 누락되거나 추가된 상품이 존재함에 따른 세관절차 상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택배물류방법 및 이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코드(bar code)란 어떠한 물품에 대한 데이터나 정보를 자동인식 기술을 통하여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집 및 처리하기 위하여, 문자, 숫자, 기호 등을 폭이 다른 검은 막대(bar)와 흰색 스페이스(space)로 표현하여 코드화한 심벌(symbol)을 말하는 것으로서, 불과 몇 센티미터밖에 안 되는 막대표시에는 그 상품을 제조한 국가번호, 회사번호, 제품번호 등이 숨겨져 있다.
단지 편의와 기동성의 측면에서만 바라보았던 바코드의 실용성이 바코드의 다양성과 기술력 향상으로 인해 택배물류방법의 핵심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바코드를 이용하는 방식들이 많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130569호를 살펴본다.
종래기술은 본 발명은 택배화물의 분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택배차량에서 하역되는 택배화물의 크기에 상관없고, 택배화물의 정리됨없이 상기 택배화물의 마킹된 바코드표시부가 상부로 노출되게 하여 스캐너로 신속하게 스캔하여 새로운 택배화물의 분류작업시간을 단축하여 빠른 택배화물의 배송하도록한 택배화물 분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편, 수입수출관련된 택배물류에서는 수출국에서 컨테이너에 적재된 상품에 대한 세관신고가 먼저 이루어지고 난 이후 선박 등에 적재되어 운송되고, 나아가 수입국에서 또한 컨테이너에 적재된 상품에 대한 세관신고가 이루어지고 난 이후 구매자에게 상품이 배송된다.
이러한 수입수출관련 택배물류에서는 컨테이너에 적재된 개개의 상품이 세관신고 대상이 되는 바, 컨테이너에 적재된 상품이 어떠한 상품인지 정확히 신고되어야 하고, 세관 검수 과정에서는 신고된 개개의 상품과 컨테이너에 적재된 상품이 일치되는지가 확인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에 상품을 적재하기 전에 적재될 상품을 할당하게 된다. 컨테이너에 적재될 상품이 이미 할당된 상태에서, 할당된 상품이 컨테이너에 적재된 것으로 추정하고 이후 컨테이너에 적재된 것으로 추정되는 상품의 리스트를 이용하여 세관절차를 거치게 된다.
그러나 컨테이너에 할당된 상품이 적재되지 않고 누락될 수 있어 세관에 제출된 상품리스트하고 컨테이너에 적재된 상품이 불일치하여 세관통관에 문제점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불일치를 야기하는 주요 원인으로 컨테이너의 적재공간을 고려하지 않는 택배물류가 이루어지는데 있다. 즉, 할당된 상품 전부가 적재될 것으로 예측하고 상품리스트가 세관에 제출되었지만 컨테이너 공간이 부족하여 일부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운송되면서 불일치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130569호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만으로 수출수입관련 택배물류 과정 중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는 바, 이러한 할당된 상품이 포장된 포장용기의 총부피와 컨테이너의 적재공간 간의 차이에 따른 불일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수출수입관련 택배물류방법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수출수입관련하여 세관절차에 있어서 편리성이 증대된 택배물류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며, 나아가 컨테이너에 적재된 상품과 세관에 제출된 상품에 대한 리스트 간의 불일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택배물류방법 및 이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택배물류방법은, (a) 상품별 포장용기(50)에 대한 기설정된 식별번호를 포함한 운송정보가 서버(100)의 입력부에 입력된 이후 상기 서버(100)의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 (b) 상기 서버(100)의 바코드생성부에서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운송정보별로 바코드가 생성되는 단계; (c) 상기 바코드가 상기 서버(100)의 출력부에 출력되어 운송장에 표시되는 단계; (d) 상기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대한 정보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어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 및 (e) 상기 운송장이 부착된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가 컨테이너(200)에 적재되기 위해 이송되는 과정 중 바코드스캐너(120)에 의해 상기 운송장에 표시된 바코드가 스캔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f) 상기 (e) 단계에서 바코드가 스캔됨에 따라 스캔된 상기 기설정된 식별번호에 대한 정보가 상기 데이터저장부로 전송되고, 스캔된 상기 기설정된 식별번호에 매칭된 기설정된 상기 포장용기(50)의 부피에 대한 정보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서 상기 서버(100)의 연산부로 전송되는 단계; (g) 상기 (f) 단계 이후, 상기 컨테이너(200)에 적재되기 위해 이송되는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의 부피가 더해져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의 총부피가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되는 단계; 및 (h) 상기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대한 정보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서 상기 연산부로 전송되어, 상기 (g) 단계에서 연산된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의 총부피가 상기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포함된 일정한 범위의 부피 이내인지 여부가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i) 상기 (h) 단계에서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의 총부피가 상기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포함된 일정한 범위의 부피 이하인 것으로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경우, 상기 컨테이너(200)로 적재되기 위한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가 계속 이송되면서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에 부착된 운송장의 바코드가 스캔되고, 상기 (h) 단계에서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의 총부피가 상기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포함된 일정한 범위의 부피를 초과한 것으로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경우, 상기 컨테이너(200)로 적재되기 위한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의 이송이 중단되면서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에 부착된 운송장의 바코드의 스캔이 중단되는 단계; 및
(j) 상기 (i) 단계에서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의 이송이 중단되기 전까지, 상기 컨테이너(200)로 적재되기 위해 이송된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에 포장된 다수의 상품에 대한 상품리스트가 상기 연산부에서 생성되어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에서의 운송정보는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에 포장된 상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j) 단계에서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의 이송이 중단되기 전까지, 상기 바코드스캐너(120)에 의해 스캔된 상품에 대한 정보가 상기 연산부로 전송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택배물류장치는, 서버(100) 및 바코드스캐너(120)를 포함하는 택배물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버(100)는, 상품별 포장용기(50)에 대한 기설정된 식별번호에 대한 정보 및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상품별 포장용기(50)의 기설정된 식별번호에 대한 정보,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기설정된 식별번호에 매칭되는 기설정된 상기 포장용기(50)의 부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저장부;
상품별 포장용기(50)의 상기 기설정된 식별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운송정보별로 바코드가 생성되는 바코드생성부;
상기 컨테이너(200)로 적재되는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의 총부피 및 상기 컨테이너(200)로 적재되는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의 총부피가 상기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포함된 일정한 범위의 부피 이하인지 여부가 연산되고,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의 이송이 중단되기 전까지 상기 컨테이너(200)에 적재되기 위해 이송된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에 포장된 다수의 상품에 대한 리스트가 생성되는 연산부; 및
상기 컨테이너(200)에 적재되는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에 포장된 다수의 상품에 대한 리스트가 출력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테이너(200)로 적재되는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의 총부피가 상기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포함된 일정한 범위의 부피를 초과한 것으로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되는 경우, 상기 바코드스캐너(120)에서의 바코드 스캔 작동이 중단되면서, 상기 컨테이너(200)로 적재되기 위해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가 이송되는 이송수단의 작동이 중단된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상품이 포장된 포장용기가 컨테이너에 적재되는 경우, 컨테이너 자체가 운송되면서 컨테이너별로 세관 검수가 이루어지되, 제출된 상품리스트와 컨테이너별 적재된 상품의 일치 여부가 검수되는 바, 세관절차의 편리성이 증대된다.
구체적으로, 컨테이너별 상품리스트가 세관에 제출되는 바, 컨테이너별 세관절차가 진행되어 세관절차가 간편해진다. 즉, 세관에 제출된 상품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이 다수의 컨테이너에 적재되어 그 세관 검수 절차가 복잡했던 종래기술과 달리, 컨테이너별 상품리스트가 작성되고, 컨테이너별 세관 검수가 이루어지는 바, 세관절차의 편리성이 증대된다.
나아가, 컨테이너의 적재공간이 고려된 상태에서 포장용기가 적재되기 위해 이송되고, 적재될 포장용기의 총부피가 컨테이너의 적재공간에 해당되는 부피의 일정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포장용기의 이송이 중단되고, 반드시 적재될 포장용기만이 적재되고 이에 대한 상품리스트가 출력되어 세관절차를 거치는 바, 컨테이너에 적재된 상품과 세관에 제출되는 상품리스트 간의 불일치가 최소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택배물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택배물류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S100: 운송정보가 서버(100)에 입력되는 단계
상품별 포장용기(50)에 대한 기설정된 식별번호를 포함한 운송정보가 서버(100)의 입력부에 입력되어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다.
다양한 상품이 규격화된 포장용기(50)에 포장된 상태로 이송되어 컨테이너(200)에 적재된다. 상품이 다양할지라도 포장용기(50)는 일정한 부피별로 규격화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상품은 어떤 부피의 포장용기(50)에 의해 포장되는지 상품이 결정되면 이에 따라 사용될 포장용기(50)가 결정된다.
운송정보에는 상품도달주소, 지역, 국가, 우편번호 등 배송에 필요한 정보뿐만 아니라 상품이 포장될 포장용기(50)의 식별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서버(100)의 데이터저장부에서는 포장용기(50)의 식별번호에 매칭된 포장용기(50)의 부피가 기설정되어 있다. 어떠한 식별번호의 포장용기(50)는 얼마의 부피에 해당한다는 정보가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S200: 운송정보별 바코드가 생성되어 운송장에 표시되는 단계
서버(100)에 입력된 운송정보별로 서버(100)의 바코드생성부에서 바코드가 생성된다. 즉, 하나의 운송정보에 따른 하나의 바코드가 바코드생성부에서 생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바코드에는 상품별 포장용기(50)의 식별번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상태이다.
이러한 바코드는 서버(100)의 출력부에서 출력되어 운송장에 표시될 수 있다.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운송장에 이미 바코드가 표시된 상태로 출력되거나 또는 바코드만이 별도로 출력되어 이미 출력된 운송장에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S300: 포장용기가 적재될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대한 정보가 서버(100)에 입력되는 단계
상품이 포장된 포장용기(50)가 적재될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대한 정보가 서버(100)에 입력된다. 컨테이너별로 적재공간의 부피에 대한 정보가 입력된다.
상품이 포장된 포장용기(50)가 이송되어 컨테이너(200)에 적재되고, 포장용기(50)가 적재된 컨테이너(200)가 운송되어 수출세관 절차를 거치고, 곧바로 컨테이너(200) 그 자체로 선박이나 항공으로 운송되고, 이후 마찬가지로 컨테이너(200)별로 수입세관 절차를 거칠 수 있다.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가 일정할 수 있거나 또는 컨테이너(200)별로 적재공간의 부피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포장용기(50)가 적재될 때마다 포장용기(50)가 적재되는 컨테이너(200)별 그 적재공간의 부피에 대한 정보가 서버(100)에 입력되어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다.
S400: 포장용기(50)에 부착된 운송장에 표시된 바코드가 바코드스캐너(120)에 의해 스캔되는 단계
포장용기(50)가 적재될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대한 정보가 이미 서버(100)에 입력된 상태에서, 상품이 포장된 포장용기(50)가 컨테이너(200)에 적재되기 위해 이송된다. 포장용기(50)에는 운송장이 부착된 상태이다. 컨테이너(200)에 적재되기 전 포장용기(50)가 이송되면서 운송장에 표시된 바코드가 바코드스캐너(120)에 의해 스캔된다.
S500: 포장용기(50)의 식별번호에 매칭된 기설정된 포장용기(50)의 부피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저장부에서 연산부로 전송되는 단계
운송장에 표시된 바코드가 바코드스캐너(120)에 의해 스캔됨에 따라 포장용기(50)의 식별번호가 인식된다. 데이터저장부에는 포장용기(50)의 식별번호에 따른 포장용기(50)의 부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상태이다. 따라서, 바코드스캐너(120)에 의해 스캔된 개별 포장용기(50)의 식별번호가 인식되어 서버(100)의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고, 인식된 식별번호에 매칭된 개별 포장용기(50)의 부피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저장부에서 서버(100)의 연산부로 전송된다.
S600: 컨테이너(200)에 적재되기 위해 바코드스캐너(120)를 거친 다수의 포장용기(50)의 부피가 더해져 바코드스캐너(120)를 거친 다수의 포장용기(50)의 총부피가 연산되는 단계
상품을 포장한 다수의 포장용기(50)가 컨테이너(200)에 적재되기 위해 이송된다. 일단 바코드스캐너(120)를 거친 다수의 포장용기(50)는 컨테이너(200)에 적재된다.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족으로 더 이상 적재될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바코드스캐너(120)의 작동이 중단되고 포장용기(50)의 이송이 중단된다. 따라서, 포장용기(50)의 이송이 중단되기 전까지 바코드스캐너(120)를 거친 다수의 포장용기(50)는 컨테이너(200)에 적재된다. 이렇게 컨테이너(200)에 적재되기 위해 바코드스캐너(120)를 거친 다수의 포장용기(50)의 부피가 더해져 총부피가 연산된다.
즉, 바코드스캐너(120)를 거침에 따라 다수의 포장용기(50)별 식별번호가 인식되고, 인식된 개별 식별번호에 매칭되는 개별 포장용기(50)의 부피에 대한 정보가 연산부로 전송된다. 연산부에서는 전송된 모든 개별 포장용기(50)의 부피를 더하여 총부피가 연산된다. 새로운 개별 포장용기(50)의 부피에 대한 정보가 전송될 때마다 기존 총부피에 새로운 부피가 더해지면서 누적된 총부피가 연산된다.
S700: 다수의 포장용기(50)의 총부피가 컨테이너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포함된 일정한 범위의 부피 이내인지 연산되는 단계
다수의 포장용기(50)가 이송되어 적재될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대한 정보가 연산부로 전송된 상태이다. 이러한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 대비 다수의 포장용기(50)의 부피를 연산한다.
다수의 포장용기(50)가 바코드스캐너(120)를 거치면서, 다수의 포장용기(50)의 부피가 누적되어 총부피가 증가된다. 또 다른 포장용기(500가 이송되면서 바코드스캐너(120)를 거치면서 이에 대한 부피가 총부피에 더해지면서 새로운 총부피가 연산된다.
연산부에서는 다수의 포장용기(50)가 이송되면서 누적되는 총부피와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 간의 차이가 연산된다. 여기에서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포함된 일정한 범위의 부피와 차이가 연산된다.
현실적으로,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에 빈공간없이 다수의 포장용기(50)를 적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포함된 일정한 범위의 부피를 연산 대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누적된 포장용기(50)의 총부피가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 대비 90%나 80%정도의 부피에 도달했는지 연산하여, 90%나 80% 부피 이내인지 또는 초과한 것인지 연산될 수 있을 것이다.
다수의 포장용기(50)의 총부피가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포함된 일정한 범위의 부피 이하인 것으로 연산부에서 연산된 경우, 컨테이너(200)로 적재되기 위해 다수의 포장용기(50)가 계속 이송되면서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에 부착된 운송장의 바코드가 스캔된다. 이 경우 S400단계로 되돌아간다.
즉, 다수의 포장용기(50)의 부피가 누적된 총부피가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포함된 일정한 범위의 부피에 도달할 때까지, 아직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에는 포장용기(50)가 더 적재될 수 있기에, 다수의 포장용기(50)가 이송되면서 바코드스캐너(120)을 거치게 된다.
S800: 다수의 포장용기(50)의 이송이 중단되는 단계
다수의 포장용기(50)의 총부피가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포함된 일정한 범위의 부피를 초과한 것으로 연산부에서 연산된 경우, 컨테이너(200)로 적재되기 위한 다수의 포장용기(50)의 이송이 중단되면서 다수의 포장용기(50)에 부착된 운송장의 바코드의 스캔이 중단되고, 컨테이너(200)로 적재되기 위해 다수의 포장용기(50)가 이송되는 이송수단의 작동이 중단된다.
S900: 다수의 포장용기(50)의 이송이 중단되기 전까지, 이송되어 컨테이너(200)에 적재될 다수의 포장용기(50)에 포장된 상품에 대한 상품리스트가 연산부에서 생성되어 서버(100)의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단계
포장용기(50)의 이송수단의 작동이 중단되고, 바코드스캐너(120)의 작동이 중단된 상태에서, 이미 바코드스캐너(120)를 거쳐 컨테이너(200)에 적재되기 위해 이송된 다수의 포장용기(50)에 포장된 상품에 대한 상품리스트가 연산부에 생성된다.
바코드화된 운송정보에는 상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바코드스캐너(120)에 의해 인식된 상품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저장부에서 연산부로 전송된다.
다수의 포장용기(50)의 총부피가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포함된 일정한 범위의 부피를 초과하여 포장용기(50)의 이송이 중단되기 전까지, 바코드스캐너(120)를 거친 포장용기(50)에 포장된 상품은 이미 컨테이너(50)에 적재될 예정이며, 이러한 컨테이너(50)에 적재될 예정인 다수의 상품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저장부에서 연산부로 전송되고, 따라서 상품리스트가 연산부에 생성되고, 출력부에 출력된다.
결론적으로, 다수의 포장용기(50)의 총부피가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포함된 일정한 범위의 부피를 초과하여 포장용기(50)의 이송이 중단되기 전까지, 이송되어 적재된 다수의 포장용기(50)에 포장된 상품은 컨테이너(200)에 적재된 상태이다.
다수의 포장용기(50)의 누적된 부피와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이 고려된 상태인 바,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 부족 등으로 적재될 상품이 누락될 가능성이 최소화된다.
더불어, 출력부에 출력된 상품리스트를 세관에 제출된다. 컨테이너(200)별 상품리스트가 세관에 제출되는 바, 컨테이너(200)별 세관절차가 진행되어 세관절차가 간편해진다. 즉, 세관에 제출된 상품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이 다수의 컨테이너(200)에 적재되어 그 세관 검수 절차가 복잡했던 종래기술과 달리, 컨테이너(200)별 상품리스트가 작성되고, 컨테이너(200)별 세관 검수가 이루어지는 바, 세관절차의 편리성이 증대된다.
나아가, 이러한 상품리스트는 컨테이너(200)에 적재된 상품에 일치하는 리스트이다. 즉, 컨테이너(200)에 적재된 상품에 대한 리스트만을 출력하여 수출세관 또는 수입세관에 제출하면, 상품이 누락되지 않고 상품리스트에 기재된 상품과 컨테이너(200)에 적재된 상품을 일치시킬 수 있어 세관절차의 편리성이 증대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50: 포장용기
100: 서버
120: 바코드스캐너
200: 컨테이너

Claims (5)

  1. (a) 상품별 포장용기(50)에 대한 기설정된 식별번호를 포함한 운송정보가 서버(100)의 입력부에 입력된 이후 상기 서버(100)의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
    (b) 상기 서버(100)의 바코드생성부에서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운송정보별로 바코드가 생성되는 단계;
    (c) 상기 바코드가 상기 서버(100)의 출력부에 출력되어 운송장에 표시되는 단계;
    (d)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대한 정보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어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
    (e) 상기 운송장이 부착된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가 컨테이너(200)에 적재되기 위해 이송되는 과정 중 바코드스캐너(120)에 의해 상기 운송장에 표시된 바코드가 스캔되는 단계;
    (f) 상기 (e) 단계에서 바코드가 스캔됨에 따라 스캔된 상기 기설정된 식별번호에 대한 정보가 상기 데이터저장부로 전송되고, 스캔된 상기 기설정된 식별번호에 매칭된 기설정된 상기 포장용기(50)의 부피에 대한 정보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서 상기 서버(100)의 연산부로 전송되는 단계;
    (g) 상기 (f) 단계 이후, 상기 컨테이너(200)에 적재되기 위해 이송되는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의 부피가 더해져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의 총부피가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되는 단계;
    (h) 상기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대한 정보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서 상기 연산부로 전송되어, 상기 (g) 단계에서 연산된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의 총부피가 상기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포함된 일정한 범위의 부피 이내인지 여부가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되는 단계;
    (i) 상기 (h) 단계에서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의 총부피가 상기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포함된 일정한 범위의 부피 이하인 것으로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경우, 상기 컨테이너(200)로 적재되기 위한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가 계속 이송되면서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에 부착된 운송장의 바코드가 스캔되고, 상기 (h) 단계에서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의 총부피가 상기 컨테이너(200)의 적재공간의 부피에 포함된 일정한 범위의 부피를 초과한 것으로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경우, 상기 컨테이너(200)로 적재되기 위한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의 이송이 중단되면서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에 부착된 운송장의 바코드의 스캔이 중단되는 단계; 및
    (j) 상기 (i) 단계에서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의 이송이 중단되기 전까지, 상기 컨테이너(200)로 적재되기 위해 이송된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에 포장된 다수의 상품에 대한 상품리스트가 상기 연산부에서 생성되어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택배물류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운송정보는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에 포장된 상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j) 단계에서 다수의 상기 포장용기(50)의 이송이 중단되기 전까지, 상기 바코드스캐너(120)에 의해 스캔된 상품에 대한 정보가 상기 연산부로 전송되는 택배물류방법.
  5. 삭제
KR1020200011796A 2020-01-31 2020-01-31 포장용기의 부피와 적재공간의 부피가 고려된 택배물류방법 및 이의 장치 KR102310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796A KR102310975B1 (ko) 2020-01-31 2020-01-31 포장용기의 부피와 적재공간의 부피가 고려된 택배물류방법 및 이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796A KR102310975B1 (ko) 2020-01-31 2020-01-31 포장용기의 부피와 적재공간의 부피가 고려된 택배물류방법 및 이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069A KR20210098069A (ko) 2021-08-10
KR102310975B1 true KR102310975B1 (ko) 2021-10-07

Family

ID=77316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796A KR102310975B1 (ko) 2020-01-31 2020-01-31 포장용기의 부피와 적재공간의 부피가 고려된 택배물류방법 및 이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9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382B1 (ko) * 2021-12-29 2024-03-14 주식회사 남도마켓 중계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681B1 (ko) * 2018-03-22 2020-01-23 권기순 제품의 이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6805A (ko) * 2015-08-28 2017-03-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지능형 물류 적재 보조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681B1 (ko) * 2018-03-22 2020-01-23 권기순 제품의 이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069A (ko) 202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991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ipment consolidation
US6332098B2 (en) Methods for shipping freight
US7751929B1 (en) Package handling system with kickout labeling
US7418365B2 (en) Method for verifying and/or detecting tampering
US20080255863A1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paperless customs documentation
US20170192413A1 (en) Method for producing a padding
US9663294B2 (en) Receiving items into inventory
JP2015124052A (ja) 出荷管理システム
JP2023533283A (ja) 倉庫整理方法、装置、サーバ、ロボット、システムおよび記憶媒体
KR102310975B1 (ko) 포장용기의 부피와 적재공간의 부피가 고려된 택배물류방법 및 이의 장치
US20040074964A1 (en) Multi-modal items tracking heritage
KR20170139495A (ko) 물류 용기 및 물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관리하는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170045796A (ko) 상품 관리 방법
US7096151B2 (en) Method for detecting tampering
KR20110019249A (ko) 시시티브이를 이용한 물류 분실 방지 및 출고 제품 확인 방법
JP2015147653A (ja) 搬送順序決定装置、配達物仕分けシステム及び搬送順序決定方法
JP5226388B2 (ja) 携帯型流通管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733652B2 (en) Method of handling weight data in a data processing system
JP2000016535A (ja) 出荷検品方法および出荷検品装置
JPH11106010A (ja) 物品の送付方法
JP4634009B2 (ja) 携帯型荷物配送管理装置
KR20220082502A (ko) 포장 적입 및 출하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4846899B2 (ja) 内容物確認荷札を用いた物流システム
AU2003100275B4 (en) Global Direct Freight System (GDFS)
US20020128924A1 (en) Method of ordering and dispatching 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