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784B1 -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784B1
KR102310784B1 KR1020210053864A KR20210053864A KR102310784B1 KR 102310784 B1 KR102310784 B1 KR 102310784B1 KR 1020210053864 A KR1020210053864 A KR 1020210053864A KR 20210053864 A KR20210053864 A KR 20210053864A KR 102310784 B1 KR102310784 B1 KR 102310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inding band
parts
coil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식
Original Assignee
유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식 filed Critical 유지식
Priority to KR1020210053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 B05C5/021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only at particular part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01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52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for surface treatment
    • B23K26/359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for surface treatment by providing a line or line pattern, e.g. a dotted break initiation l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6Unsaturated polyester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결속 밴드(B)가 진입하여 빙둘러 순환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유도부(120); 결속 밴드(B)가 상기 유도부(12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이동시킨 후 코일(A)의 외주면에 결속시키기 위해서 결속 밴드(B)의 선단과 후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밴딩헤드(130);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결속 밴드(B)의 표면에 코일 정보(10)를 마킹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마킹유닛(140); 상기 마킹유닛(14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코일 정보(10)의 표면에 코팅제를 도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코팅유닛(150); 상기 코팅유닛(15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코일 정보(10)에 도포된 코팅제를 건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건조유닛(160);을 포함하는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장치 및 스키드(111)의 상부에 코일(A)을 안착시키는 제1단계;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를 유도부(120)를 통과시켜 마킹유닛(140)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제2단계; 마킹유닛(14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의 표면에 코일 정보(10)를 마킹시키는 제3단계;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를 코팅유닛(150)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제4단계; 코팅유닛(150)의 작동으로 코일 정보(10)의 표면에 코팅제를 분사시키는 제5단계;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를 건조유닛(160)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제6단계; 건조유닛(160)의 작동으로 코일 정보(10)의 표면에 코팅제를 건조시키는 제7단계;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의 선단이 유도부(120)를 순환하여 밴딩헤드(130)의 하부로 진입시키는 제8단계; 밴딩헤드(130)를 코일(A)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제9단계; 결속 밴드(B)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코일(A)의 외주면을 따라서 밀착시키는 제10단계;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의 선단과 맞닿도록 후단을 절단한 후 그 사이를 클립(20)을 이용하여 결속시키는 제11단계;를 포함하는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결속 밴드의 마킹부분을 코팅하여 부식 또는 손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마킹부분의 손상을 방지하여 고객에게 정확한 코일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은 인장강도와 내충격성 및 내열성 등과 같은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코팅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장치 및 방법{Coating device and method of binding band for coil packaging}
본 발명은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속 밴드의 마킹부분을 코팅하여 부식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생산하는 코일은 외주면을 따라서 결속 밴드를 체결하여 풀림을 방지한다.
이러한 결속 밴드의 표면에는 코일의 규격 및 생산일자 등과 같은 다양한 코일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레이저를 이용한 마킹작업을 진행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금속 재질의 결속 밴드가 쉽게 부식되면서 작업자 및 고객이 마킹부분을 정확하게 식별 또는 확인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를 갖게 되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6-297166호(1994.10.25.)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31658호(2005.09.0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050903호(2007.03.0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6089호(2009.03.1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78578호(2020.02.1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결속 밴드의 마킹부분을 코팅할 수 있는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팅된 마킹부분을 건조시킬 수 있는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장치(100)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결속 밴드(B)가 진입하여 빙둘러 순환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유도부(120); 결속 밴드(B)가 상기 유도부(12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이동시킨 후 코일(A)의 외주면에 결속시키기 위해서 결속 밴드(B)의 선단과 후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밴딩헤드(130);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결속 밴드(B)의 표면에 코일 정보(10)를 마킹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마킹유닛(140); 상기 마킹유닛(14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코일 정보(10)의 표면에 코팅제를 도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코팅유닛(150); 상기 코팅유닛(15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코일 정보(10)에 도포된 코팅제를 건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건조유닛(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도부(120)의 중앙 하부에 코일(A)을 상부면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스키드(111); 상기 본체(110)의 하부 일측에 상기 밴딩헤드(130)의 하부와 연결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축(131); 상기 밴딩헤드(130)를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코팅제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50 내지 60 중량부, 우레탄수지 7 내지 25 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 내지 5 중량부, 카본그라파이트 0.1 내지 1 중량부, 디메틸폴리실록산 0.1 내지 1 중량부, 실리콘카바이드 분말 3 내지 8 중량부, 칼슘 실리케이트계 화합물 1 내지 2 중량부, E-글래스 파이버 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방법은,
스키드(111)의 상부에 코일(A)을 안착시키는 제1단계;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를 유도부(120)를 통과시켜 마킹유닛(140)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제2단계; 마킹유닛(14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의 표면에 코일 정보(10)를 마킹시키는 제3단계;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를 코팅유닛(150)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제4단계; 코팅유닛(150)의 작동으로 코일 정보(10)의 표면에 코팅제를 분사시키는 제5단계;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를 건조유닛(160)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제6단계; 건조유닛(160)의 작동으로 코일 정보(10)의 표면에 코팅제를 건조시키는 제7단계;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의 선단이 유도부(120)를 순환하여 밴딩헤드(130)의 하부로 진입시키는 제8단계; 밴딩헤드(130)를 코일(A)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제9단계; 결속 밴드(B)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코일(A)의 외주면을 따라서 밀착시키는 제10단계;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의 선단과 맞닿도록 후단을 절단한 후 그 사이를 클립(20)을 이용하여 결속시키는 제11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결속 밴드의 마킹부분을 코팅하여 부식 또는 손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마킹부분의 손상을 방지하여 작업자 또는 고객에게 정확한 코일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은 인장강도와 내충격성 및 내열성 등과 같은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코팅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방법에 대한 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방법에 대한 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장치(100)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결속 밴드(B)가 진입하여 빙둘러 순환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유도부(120); 결속 밴드(B)가 상기 유도부(12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이동시킨 후 코일(A)의 외주면에 결속시키기 위해서 결속 밴드(B)의 선단과 후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밴딩헤드(130);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결속 밴드(B)의 표면에 코일 정보(10)를 마킹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마킹유닛(140); 상기 마킹유닛(14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코일 정보(10)의 표면에 코팅제를 도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코팅유닛(150); 상기 코팅유닛(15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코일 정보(10)에 도포된 코팅제를 건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건조유닛(16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본체(110)의 후방에는 결속 밴드(B)의 장력을 유지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와인딩장치(미 도시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는 상기 유도부(120)의 중앙 하부에 위치하여 코일(A)을 상부면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스키드(11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도부(120)는 결속 밴드(B)가 코일(A)의 외주면을 빙둘러 감을 수 있도록 이동방향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유도부(120)의 내측에 결속 밴드(B)가 삽입하여 이동하고 상기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를 당길 경우 결속 밴드(B)가 상기 유도부(1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탈하면서 코일(A)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결속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유도부(120)는 외측 또는 내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유도날개를 형성하고, 다수개의 상기 유도날개는 평소에 서로 내측으로 회전하여 결속 밴드(B)가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다가 상기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를 당길 경우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밴딩헤드(130)는 결속 밴드(B)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일정길이로 절단하며 절단된 결속 밴드(B)의 선단과 후단을 서로 클립(20)을 이용하여 서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에 대한 구성 및 작동원리는 당업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으므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한다.
특히 상기 본체(110)의 하부 일측에 상기 밴딩헤드(130)의 하부와 연결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축(131); 상기 밴딩헤드(130)를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32);을 포함하여 결속 밴드(B)의 이송 및 결속과정에서 코일(A)의 표면에 밀착 또는 이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132)은 실린더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킹유닛(140)은 결속 밴드(B)의 표면에 코일 정보(10)를 마킹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상기 마킹유닛(140)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코일(A)의 표면에 코일 정보(10)를 마킹하기 위한 레이저 마킹기; 코일(A)의 진입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코일 정보(10)는 사전에 입력된 코일(A)의 다양한 재원 및 정보를 전달받아 바코드, QR코드, 일련번호, 숫자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 및 형식으로 마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킹유닛(140)은 코일 정보(10)를 운전실 또는 외부에서 수신받을 수 있도록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코일 정보(10)는 구매자의 요청 또는 작업의 편리성을 위해서 상기 결속 밴드(B)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유닛(150)은 상기 코일 정보(10)의 표면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부식 또는 손상을 방지하여 구매자 또는 작업자가 코일 정보(10)를 명확하게 식별 및 확인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코팅유닛(150)은 내부에 코팅제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일측에 형성하는 펌프; 상기 펌프와 연결하여 코팅제를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의 선단에 위치하여 코팅제를 코일 정보(10)가 마킹된 코일(A)의 표면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코팅제의 도포범위 및 시간과 도포량은 코일(A) 및 코일 정보(10)의 넓이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코팅제는 코일 정보(10)의 표면 부식을 방지하고 외부 오염원으로부터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코팅제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50 내지 60 중량부, 우레탄수지 7 내지 25 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 내지 5 중량부, 카본그라파이트 0.1 내지 1 중량부, 디메틸폴리실록산 0.1 내지 1 중량부, 실리콘카바이드 분말 3 내지 8 중량부, 칼슘 실리케이트계 화합물 1 내지 2 중량부, E-글래스 파이버 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불포화폴리에스테르는 코팅제의 물성 보완 수지로 사용한다.
이때 상기 불포화폴리에스테르는 50 중량부 미만이면 불포화폴리에스테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충분한 부착강도를 가지기 어렵고, 반대로 60 중량부를 초과하면 불포화폴리에스테르를 제외한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코팅제의 건조시간을 지연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우레탄수지는 내구성, 내식성뿐만 아니라, 뛰어난 연신율로 인해 코팅제가 쉽게 박리되지 않도록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 우레탄수지가 7 중량부 미만이면 연신율이 작아 원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반대로 25 중량부 초과이면 연신율의 증가가 기대치만큼 향상되지 못하므로 비효율적이다.
아울러 상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Methyl MethAcrylate)는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친화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코팅제의 외부 충격에 의한 크랙 및 탈락현상을 현저히 개선한다.
특히 상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는 점도가 10 내지 1,000cps인 저점도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49 내지 70 중량부, 점도가 2,000 내지 20,000cps인 고점도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얻어지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에 SIS(stylene isoprene stylene), SBR(stylene butadiene rubber), SBS(stylenebutadiene stylen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혼합물 1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한 변성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2 중량부 미만이면 내충격성 저하로 인한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반대로 5 중량부 초과이면 점도상승으로 인하여 작업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카본그라파이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며 외부충격에 대한 충격 저항성을 향상시키고 정전기에 의해 표면에 이물질이 침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본그라파이트가 0.1 중량부 미만이면 카본그라파이트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강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고, 반대로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디메틸폴리실록산은 코팅제 내에 기포를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이러한 디메틸폴리실록산의 기포제거 역할로 인하여 코팅제의 도포작업시 기포로 인한 불량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디메틸폴리실록산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그 역할이 미미하고, 반대로 1 중량부를 초과하면 기포제거 역할에 따른 효과가 더는 향상되지 않아 무의미하다.
한편, 상기 실리콘카바이드 분말은 코팅제의 안정성과 내구성, 내약품성(염해방지)을 제공하는 성분으로서 실리콘 카바이드는 평균 입경 30㎛의 미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실리콘카바이드 분말은 3 중량부 미만이면 내약품성을 확보할 수 없고, 반대로 8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도 증가로 인하여 작업성이 떨어지며 코팅제의 경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취성파괴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칼슘 실리케이트계 화합물은 C2S 또는 C3S인 것이 바람직하며, 건조속도 및 강도 조절을 위하여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C2S 또는 C3S는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캄슘과 규산칼슘 수화물을 생성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C2S 또는 C3S는 물과 반응하여 Ca2+가 용출되고, 액상은 높은 알카리성이 되며, 과포화상태에 이르면 수산화 칼슘 결정이 석출되고 동시에 (SiO4)4+가 수산화규산 이온(Si(OH)6)2-로 되고, C2S 또는 C3S입자 주위에 Ca2+와 결합하여 규산칼슘 수화물(C-S-H)이 생성된다. 이 수화물은 수화 정도에 따라 화학조성이 변화하는 겔상태의 저결정질이다.
여기서 상기 칼슘 실리케이트계 화합물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강도저하가 나타나고, 반대로 2 중량부를 초과하면 수축현상을 상쇄할 수 없다.
한편, 상기 E-글래스 파이버는 일반 유리 섬유에 비하여 알칼리(Na2O 및 K2O) 성분의 함량이 현저하게 낮으므로, 인장강도를 부여하고 코팅제의 크랙현상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글래스 파이버가 1 중량부 미만이면 코팅제의 강도가 저하되고, 반대로 2 중량부를 초과하면 코팅제의 크랙현상을 제어할 수 없다.
그리고 상기 건조유닛(160)은 코팅제를 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열풍기 또는 열선을 이용하여 코팅제의 도포량 및 외부온도에 따라서 건조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방법은,
스키드(111)의 상부에 코일(A)을 안착시키는 제1단계;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를 유도부(120)를 통과시켜 마킹유닛(140)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제2단계; 마킹유닛(14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의 표면에 코일 정보(10)를 마킹시키는 제3단계;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를 코팅유닛(150)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제4단계; 코팅유닛(150)의 작동으로 코일 정보(10)의 표면에 코팅제를 분사시키는 제5단계;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를 건조유닛(160)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제6단계; 건조유닛(160)의 작동으로 코일 정보(10)의 표면에 코팅제를 건조시키는 제7단계;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의 선단이 유도부(120)를 순환하여 밴딩헤드(130)의 하부로 진입시키는 제8단계; 밴딩헤드(130)를 코일(A)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제9단계; 결속 밴드(B)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코일(A)의 외주면을 따라서 밀착시키는 제10단계;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의 선단과 맞닿도록 후단을 절단한 후 그 사이를 클립(20)을 이용하여 결속시키는 제11단계;를 포함한다.
1) 이하 상기 제1단계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카 또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코일(A)을 스키드(111)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2) 이하 상기 제2단계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의 선단이 유도부(120)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마킹유닛(140)의 위치 또는 지정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3) 이하 상기 제3단계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킹유닛(14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의 표면에 코일 정보(10)를 마킹시킨다.
여기서 상기 코일 정보(10)는 코일의 재원 및 생산 일자 등과 같이 제조사가 필요한 정보 또는 구입처의 요구사항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4) 이하 상기 제4단계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코팅유닛(150)의 위치와 코일 정보(10)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킨다.
5) 이하 상기 제5단계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코팅유닛(150)의 작동으로 코일 정보(10)의 표면에 코팅제를 분사시켜 금속재질의 결속 밴드(B)에 마킹된 코일 정보(10)의 부식 및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팅제의 분사량 및 분사범위, 분사횟수는 코일 정보(10)의 넓이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6) 이하 상기 제6단계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건조유닛(160)의 위치와 코일 정보(10)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킨다.
7) 이하 상기 제7단계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유닛(160)의 작동으로 코일 정보(10)의 표면에 도포된 코팅제를 건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조유닛(160)의 건조시간 및 건조온도, 건조횟수는 코팅제의 도포량 및 외부 온도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8) 이하 상기 제8단계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의 선단이 유도부(120)를 따라서 순환하여 밴딩헤드(130)의 하부로 진입시켜 코일(A)의 외주면에 결속 밴드(B)가 빙둘러 감아서 결속할 수 있도록 대기한다.
9) 이하 상기 제9단계를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밴딩헤드(130)를 코일(A)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전방으로 회전시켜 결속 밴드(B)가 코일(A)의 외주면에 빙둘러 감아서 결속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결속 밴드(B)는 상기 밴딩헤드(130)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당겨지면서 상기 유도부(120)에서 일부가 이탈한 상태를 유지한다.
10) 이하 상기 제10단계를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코일(A)의 외주면을 따라서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결속 밴드(B)의 선단은 상기 밴딩헤드(13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나머지 후단이 상기 유도부(120)에서 이탈하면서 코일(A)의 외주면에 밀착할 수 있다.
11) 이하 상기 제11단계를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의 선단과 맞닿도록 후단을 절단한 후 그 사이를 클립(20)을 이용하여 결속시킨다.
이때 결속작업이 완료된 상기 밴딩헤드(130)는 수직방향을 유지하도록 회전하여 코일(A)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3단계 내지 제7단계를 반복 진행하여 작업자 및 고객이 쉽게 마킹부분을 식별 또는 확인할 수 있도록 결속 밴드(B)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 정보(10)를 마킹 및 코팅, 건조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10: 코일 정보 20: 클립
100: 본 발명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장치
110: 본체 111: 스키드
120: 유도부 130: 밴딩헤드
131: 회전축 132: 구동수단
140: 마킹유닛 150: 코팅유닛
160: 건조유닛
A: 코일 B: 결속 밴드

Claims (4)

  1.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결속 밴드(B)가 진입하여 빙둘러 순환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유도부(120); 결속 밴드(B)가 상기 유도부(12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이동시킨 후 코일(A)의 외주면에 결속시키기 위해서 결속 밴드(B)의 선단과 후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밴딩헤드(130);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결속 밴드(B)의 표면에 코일 정보(10)를 마킹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마킹유닛(140); 상기 마킹유닛(14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코일 정보(10)의 표면에 코팅제를 도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코팅유닛(150); 상기 코팅유닛(15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코일 정보(10)에 도포된 코팅제를 건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건조유닛(160);을 포함하되,
    상기 코팅제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50 내지 60 중량부, 우레탄수지 7 내지 25 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 내지 5 중량부, 카본그라파이트 0.1 내지 1 중량부, 디메틸폴리실록산 0.1 내지 1 중량부, 실리콘카바이드 분말 3 내지 8 중량부, 칼슘 실리케이트계 화합물 1 내지 2 중량부, E-글래스 파이버 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120)의 중앙 하부에 코일(A)을 상부면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스키드(111); 상기 본체(110)의 하부 일측에 상기 밴딩헤드(130)의 하부와 연결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축(131); 상기 밴딩헤드(130)를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장치.
  3. 삭제
  4. 스키드(111)의 상부에 코일(A)을 안착시키는 제1단계;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를 유도부(120)를 통과시켜 마킹유닛(140)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제2단계; 마킹유닛(14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의 표면에 코일 정보(10)를 마킹시키는 제3단계;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를 코팅유닛(150)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제4단계; 코팅유닛(150)의 작동으로 코일 정보(10)의 표면에 코팅제를 분사시키는 제5단계;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를 건조유닛(160)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제6단계; 건조유닛(160)의 작동으로 코일 정보(10)의 표면에 코팅제를 건조시키는 제7단계;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의 선단이 유도부(120)를 순환하여 밴딩헤드(130)의 하부로 진입시키는 제8단계; 밴딩헤드(130)를 코일(A)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제9단계; 결속 밴드(B)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코일(A)의 외주면을 따라서 밀착시키는 제10단계; 밴딩헤드(130)의 작동으로 결속 밴드(B)의 선단과 맞닿도록 후단을 절단한 후 그 사이를 클립(20)을 이용하여 결속시키는 제11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코팅제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50 내지 60 중량부, 우레탄수지 7 내지 25 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 내지 5 중량부, 카본그라파이트 0.1 내지 1 중량부, 디메틸폴리실록산 0.1 내지 1 중량부, 실리콘카바이드 분말 3 내지 8 중량부, 칼슘 실리케이트계 화합물 1 내지 2 중량부, E-글래스 파이버 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방법.
KR1020210053864A 2021-04-26 2021-04-26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장치 및 방법 KR102310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864A KR102310784B1 (ko) 2021-04-26 2021-04-26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864A KR102310784B1 (ko) 2021-04-26 2021-04-26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784B1 true KR102310784B1 (ko) 2021-10-07

Family

ID=7860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864A KR102310784B1 (ko) 2021-04-26 2021-04-26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78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7166A (ja) 1993-04-15 1994-10-25 Kobe Dock Kogyo Kk 金属材料レーザマーキング装置
KR100466417B1 (ko) * 2000-11-21 2005-01-13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결속기 밴드 자동유도장치
JP2005231658A (ja) 2004-02-18 2005-09-02 Signode Kk 結束装置
JP2007050903A (ja) 2005-08-17 2007-03-01 Signode Kk 結束装置
KR20090026089A (ko) 2007-09-07 2009-03-11 가부시기가이샤니레꼬 결속 밴드용 마킹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99646A (ko) * 2008-03-18 2009-09-23 주식회사 잉크테크 복합 기능 코팅액 조성물
JP2011225233A (ja) * 2010-04-16 2011-11-10 Nippon Steel Corp バーコードが印字されたコイル結束用フープ
JP6079108B2 (ja) * 2012-10-03 2017-02-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結束バンドのマーキング方法
KR102078578B1 (ko) 2019-08-22 2020-02-19 주식회사 세마 강판 코일 밴드의 레이저 마킹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7166A (ja) 1993-04-15 1994-10-25 Kobe Dock Kogyo Kk 金属材料レーザマーキング装置
KR100466417B1 (ko) * 2000-11-21 2005-01-13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결속기 밴드 자동유도장치
JP2005231658A (ja) 2004-02-18 2005-09-02 Signode Kk 結束装置
JP2007050903A (ja) 2005-08-17 2007-03-01 Signode Kk 結束装置
KR20090026089A (ko) 2007-09-07 2009-03-11 가부시기가이샤니레꼬 결속 밴드용 마킹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99646A (ko) * 2008-03-18 2009-09-23 주식회사 잉크테크 복합 기능 코팅액 조성물
JP2011225233A (ja) * 2010-04-16 2011-11-10 Nippon Steel Corp バーコードが印字されたコイル結束用フープ
JP6079108B2 (ja) * 2012-10-03 2017-02-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結束バンドのマーキング方法
KR102078578B1 (ko) 2019-08-22 2020-02-19 주식회사 세마 강판 코일 밴드의 레이저 마킹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03424A (ja)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用エポキシサイズ組成物
JP5329228B2 (ja) ホルムアルデヒドフリーバインダ
CN101535199B (zh) 用于光纤的d1378ca可辐射固化初级涂层
KR102310784B1 (ko) 코일 포장용 결속 밴드의 코팅장치 및 방법
JP2016514036A5 (ko)
JP2006091887A (ja) 着色被覆された光ファイバの製造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6327876B1 (en) Method for producing a coated optical fiber with reduced polarization mode dispersion
CN109867453A (zh) 一种基于光纤制造过程中的穿丝系统及方法
JP2009167556A (ja) 油除去冶具、油除去方法
KR101373508B1 (ko) 자동차의 흠집 도장방법
US20050119395A1 (en) Sizing composition for glass yarns, the glass yarns thus obtained and composite materials comprising said yarns
JP4667328B2 (ja) コンクリートの剥落防止工法
JP2001087706A (ja) 管内面のライニング方法
AU73760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n optical fiber
KR20210145548A (ko) 대형 도장물의 퍼팅 방법
CN100528473C (zh) 工件固定夹具及其使用方法
CN109849206A (zh) 一种线切割机及其切割方法
US4694034A (en) Size composition
EP1717349A1 (en) Protective film agent and method for forming protective film
JP2013091575A (ja) 光ファイバ素線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た光ファイバ素線
JP7071888B2 (ja) シーラ塗布装置
JPH01176248A (ja) ガラス繊維用表面処理剤
US20170361564A1 (en) Dampened creping blade
KR20120031114A (ko) 접착제의 도포 장치
US10640659B2 (en) Pre-treatment and cleaning of equipment used with uncured cementitious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