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569B1 - 유해환경비품 전단기 - Google Patents

유해환경비품 전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569B1
KR102310569B1 KR1020210077225A KR20210077225A KR102310569B1 KR 102310569 B1 KR102310569 B1 KR 102310569B1 KR 1020210077225 A KR1020210077225 A KR 1020210077225A KR 20210077225 A KR20210077225 A KR 20210077225A KR 102310569 B1 KR102310569 B1 KR 102310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mold
cutter
shearing machine
environment equipment
hazardous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근
Original Assignee
김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근 filed Critical 김덕근
Priority to KR1020210077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2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26D1/0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2Fluid-pressur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유해환경비품 전단기는 커터(14)를 상하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11)가 연결된 크라운(10); 상기 커터(14)의 날에 대응하는 홈(41a)을 갖는 하부금형(41)이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40); 및 상기 크라운(10)과 상기 지지프레임(40)을 고정 연결하는 측면프레임(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해환경비품 전단기{SHEARING MACHINE}
본 발명은 유해환경 비품 전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판형 형상의 폐기물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전단하는 유해환경비품 전단기에 관한 것이다.
폐기물 중 판 형상으로 된 것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장판 및 벽지 등이 있다. 이러한 폐기물들은 판형상으로 처리할 경우, 매우 큰 부피가 형성되어 처리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판형상의 폐기물들은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처리하는 것이 편리하다.
도1은 기존의 폐기물 전단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기존의 폐기물 절단기는 절단하고자 하는 가공물인 판형 폐기물을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과 함께 커터를 구비하고 상하로 승강 구동하는 상부 프레임을 구성하여 상부 프레임의 하강에 의한 작동으로부터 판형 폐기물을 절단할 수 있다.
한편 폐기물 절단기를 이용하여 판형 폐기물을 절단하기 위해 작업자는 절단하고자 하는 판형 폐기물을 지지프레임 상의 테이블에 위치시킨 후 커터 방향으로 밀어 넣어 판형 폐기물이 커터에 의해 절단되도록 하는데, 이 과정에서 커터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손상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공보 제10-1536639호(2015.07.08.)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판형 폐기물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해환경비품 전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해환경비품 전단기는 커터(14)를 상하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11)가 연결된 크라운(10); 상기 커터(14)의 날에 대응하는 홈(41a)을 갖는 하부금형(41)이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40); 및 상기 크라운(10)과 상기 지지프레임(40)을 고정 연결하는 측면프레임(2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40)은 상기 하부금형(41)과 상기 지지프레임(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금형(41)을 지지하는 하부금형홀더(42); 및 상기 하부금형(41)의 길이방향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금형(41)와 상기 하부금형홀더(42)를 고정 결합하는 고정블럭(43);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금형(41)과 하부금형홀더(42) 사이에 형성된 간극(41b)과 상기 하부금형홀더(42)에 형성된 배출구(42a)가 서로 연통한다.
상기 하부금형(41)의 하단면이 접하는 하부금형홀더(42)의 상단면은 상기 간극(41b)으로 유입된 배출수가 상기 배출구(42a)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한다.
상기 크라운(10)은 상기 크라운(10)을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가이드샤프트(12)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샤프트(12)의 하단이 상기 커터(14)와 연결되어 상기 커터(14)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유압실린더(11)는 상기 유압실린더(11)의 내부에 설치되는 로드(11a)를 포함한다.
상기 로드(11a)의 하단이 상기 커터(14)에 결합되고, 상기 로드(11a)가 상기 커터(14)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측면가이드와 롤러(51)를 구비하는 컨베이어(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50)는 피가공물을 상기 커터(14)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측면가이드는 상기 피가공물이 상기 컨베이어(50)의 측면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50)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컨베이어(50)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펜스(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펜스(60)에서 상기 측면프레임(20)에 대응하는 영역에 개방영역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개방영역의 양측에 광전자식 안전장치(6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방영역에 측면커버(6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전펜스(60)는 슬라이딩도어(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펜스(60)는 아크릴 또는 매쉬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측면커버(61)는 철판 또는 철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커터(14)의 날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상하이동을 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터(14)의 날과 상기 하부금형(41)의 홈(41a)과 지면이 서로 평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해환경비품 전단기에 의하면 판형 형상의 폐기물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전단할 수 있다.
도1은 기존의 폐기물 전단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유해환경비품 전단기의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유해환경비품 전단기의 측면도이다
도4는 하부금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5는 도4의 A-B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유해환경비품 전단기의 평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유해환경비품 전단기에 안전펜스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 다수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유해환경비품 전단기의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유해환경비품 전단기의 측면도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유해환경비품 전단기는 크라운(10), 측면프레임(20) 및 지지프레임(40)을 포함한다. 크라운(10), 측면프레임(20) 및 지지프레임(40)은 강판의 용접 구조물로 전단기의 최대 절단 능력에서도 충분한 강성으로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제작된다. 크라운(10), 측면프레임(20) 및 지지프레임(40)은 일체로 용접되어 있는 구조이며 용접 후 변형 방지를 위해 완전한 응력 제거를 실시한다.
크라운(10)은 커터(14)를 상하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11)를 포함한다.
유압실린더(11)의 내부에는 로드(11a)가 설치된다. 로드(11a)는 커터(14)에 연결되며, 커터(14)를 상하이동시킨다.
유해환경비품 전단기는 유압유닛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압실린더(11)는 유압 전단 능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분으로, 유압유닛장치로부터 파워를 공급받는다, 유압유닛장치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으며 모터, 펌프, 각종 밸브 및 호스, 배관, 매니폴드 및 오일 탱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크라운(10)은 가이드샤프트(12)를 포함한다. 가이드샤프트(12)는 크라운(10)을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가이드샤프트(12)는 길이방향 긴 형상을 가지며,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가이드샤프트(12)의 하단은 커터(14)와 연결된다. 도2에는 커터(14)의 상부가 가이드샤프트(12)에 연결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샤프트(12)는 로드(11a)를 사이에 위치시키고 로드(11a) 양쪽 측면에 각각 1개씩 설치될 수 있다. 즉, 2개의 가이드샤프트(1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이드샤프트(12)는 커터(14)의 상하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40)은 유해환경비품 전단기의 하단에 설치된다.
측면프레임(20)은 크라운(10)과 지지프레임(40)을 고정 연결한다. 측면프레임(20)은 유해환경비품 전단기의 양측면에 설치된다.
지지프레임(40)의 상부에는 하부금형(41)이 위치한다.
도4는 하부금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5는 도4의 A-B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며 설명한다.
하부금형(41)은 커터(14)의 날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41a)을 갖는다. 홈(41a)의 단면은 ‘V’형상일 수 있다.
커터(14)의 날과 하부금형(41)의 홈(41a)이 맞닿아서 피가공물을 전단할 수 있다.
커터(14)의 날과 하부금형(41)의 홈(41a)과 지면이 서로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커터(14)의 날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상하이동을 하도록 설치하되, 커터(14)의 날이 하부금형(41)의 홈(41a)에 접할 때 커터(14)의 날 전체가 홈(41a)에 동시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이는 기존의 절단기의 날이 기울어져 있어서, 피가공물을 비스듬히 썰 듯이 절단하는 것과는 다른 부분이다. 기존의 절단기는 날의 각도가 1~3도정도 기울어져 있으나, 본 발명의 커터(14)의 날은 기울기가 0도로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프레임(40)은 하부금형홀더(42) 및 고정블럭(43)을 포함한다.
하부금형홀더(42)는 하부금형(41)과 지지프레임(40) 사이에 설치되어 하부금형(41)을 지지한다.
고정블럭(43)은 하부금형(41)의 길이방향 양측에 결합된다.
고정블럭(43)은 하부금형(41)과 하부금형홀더(42)를 고정 결합한다.
고정블럭(43)이 하부금형홀더(42)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블럭(43)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볼트(43a)에 의해 하부금형(41)이 고정블럭(43)에 결합된다.
해환경비품 전단기가 전단하는 피가공물은 물을 함유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피가공물이 전단되는 과정 중 물을 배출될 수 있다. 물은 하부금형(41), 하부금형홀더(42)를 비롯한 다른 금속 구성을 녹슬게 한다. 더욱이 금속 구성이 녹슬면, 유해환경비품 전단기의 성능이 저하되고 구성들이 파손될 수 있다. 특히 커터(14)의 칼날 부분은 정밀도를 요하는 구성이므로 부식을 절대적으로 방지할 필요가 있다.
전단 과정에서 피가공물로부터 나오는 물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필요가 있다.
하부금형(41)과 하부금형홀더(42) 사이에 간극(41b)이 형성된다. 전단 과정에서 피가공물로부터 나오는 물은 간극(41b)으로 흘러들어 간다. 즉, 커터(14)와 하부금형(41)에서 피가공물이 전단되면서 나오는 물이 간극(41b)으로 흘러들어 간다.
하부금형홀더(42)에는 상하로 배출구(42a)가 형성된다. 간극(41b)과 배출구(42a)가 서로 연통한다. 따라서 간극(41b)으로 흘러들어간 물은 배출구를 통해서 하부금형홀더의 아래로 흘러 나간다. 배출구(42a)는 하부금형홀더(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하부금형(41)의 하단면에는 간극(41b)과 배출구(42a)를 서로 연통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금형홀더(42)의 아래에는 복수의 배출구(42a)에서 배출되는 물을 모을 수 있는 용기 형상의 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 그 용기에는 밸브를 설치하여, 물을 외부로 빼낼 수 있다.
하부금형(41)의 하단면은 하부금형홀더(42)의 상단면과 접한다. 하부금형홀더(42)의 상단면은 간극(41b)으로 유입된 배출수가 배출구(42a)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경사진 구조일 수 있다.
간극(41b)은 물이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할 수도 있으나, 간극(41b) 범위 내에서 고정블럭(43) 사이에서 하부금형(41)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도 한다. 즉, 커터(14)와 하부금형(41)의 위치를 정확하게 정렬할 경우, 간근(41b) 내에서 하부금형(41)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유해환경비품 전단기의 평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유해환경비품 전단기에 안전펜스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3, 도6 및 도7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해환경비품 전단기는 컨베이어(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50)는 복수의 롤러(51)를 구비한다. 컨베이어(50)는 커터(14)로 피가공물을 공급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커터(14)로 전단된 피가공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즉, 피가공물을 커터(14)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공급용 컨베이어가 설치될 수 있고, 커터(14)로 전단된 피가공물을 배출하기 위해서 배출용 컨베이어를 설치할 수 있다.
러(51)는 피가공물이 커터(14)로 부드럽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하며, 전단이 완료된 피가공물이 부드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러(51)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고, 하부금형(41)와 롤러(51)의 윗부분이 평행이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롤러(51)와 하부금형(41) 사이에 단턱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피가고물이 커터(14)로 부드럽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베이어(50)의 양측에는 약 200mm 내지 300mm의 높이를 가지는 측면가이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측면가이드는 피가공물이 진행함에 따라 컨베이어의 측면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해환경비품 전단기는 사용자가 컨베이어(50)로 전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펜스(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펜스(60)는 컨베이어(50)의 양 측면에 설치된다.
전펜스(60)에는 작업 모습이 잘 보일 수 있도록 LED 조명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자가 피가공물의 전단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안전펜스는 아크릴 또는 매쉬망으로 제작될 수 있다.
7을 참조하면, 안전펜스(60)에는 측면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역이 개방되어 있다. 안전펜스(60)에서 일부 개방된 영역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커터(14)를 교체하거나, 커터(14) 주변을 청소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6을 참조하면, 개방영역의 양측에 광전자식 안전장치(63)가 설치될 수 있다.
해환경비품 전단기가 작동하는 과정, 즉 커터(14)가 상하로 이동하는 과정 중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커터(14)로 접근할 수 있다. 이 경우 커터(14)에 의해 작업자의 신체가 절단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광전자식 안전장치(63)는 그 사이로 외부 물체(특히 사용자의 신체)가 들어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전자회로를 통해 유해환경비품 전단기의 작동이 멈추도록 할 수 있다.
전자식 안전장치(63)는 급정지 기구이며, 급정지 기구는 한번 작동한 경우에는 재기동을 하지 않으면, 커터(14)가 상하 작동을 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안전펜스(60)의 개방영역에 측면커버(61)가 설치될 수도 있다. 측면커버(61)는 철판 또는 철망으로 견고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해환경전단기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롤러(51)를 교체하거나, 커터(14)를 교체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개방영역만을 통해서는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는 없다. 작업자가 커터(14)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안전펜스(60)는 슬라이딩도어(62)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평소에는 슬라이딩도어(62)가 쉽게 열리지 않도록 잠금상태로 있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크라운 11 유압실린더
11a 로드 12 가이드샤프트
14 커터 20 측면프레임
40 지지프레임 41 하부금형
41a 홈 41b 간극
42 하부금형홀더 42a 배출구
43 고정블럭 43a 고정볼트
50 컨베이어 51 롤러
60 안전펜스 61 측면커버
62 슬라이드도어 63 광전자식 안전장치

Claims (11)

  1. 커터(14)를 상하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11)가 연결된 크라운(10);
    상기 커터(14)의 날에 대응하며 단면이 V형상인 홈(41a)을 갖는 하부금형(41)이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40); 및
    상기 크라운(10)과 상기 지지프레임(40)을 고정 연결하는 측면프레임(2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40)은
    상기 하부금형(41)과 상기 지지프레임(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금형(41)을 지지하는 하부금형홀더(42); 및
    상기 하부금형(41)의 길이방향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금형(41)와 상기 하부금형홀더(42)를 고정 결합하는 고정블럭(43);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금형(41)과 상기 하부금형홀더(42) 사이에 형성된 간극(41b)과 상기 하부금형홀더(42)에 상하로 형성된 배출구(42a)가 서로 연통하여 상기 커터(14)와 상기 하부금형(41)에서 피가공물이 전단되면서 나오는 물이 상기 간극(41b)으로 흘러들어 가며,
    상기 배출구(42a)는 상기 하부금형홀더(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커터(14)의 날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상하이동을 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커터(14)의 날과 상기 하부금형(41)의 홈(41a)과 지면이 서로 평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커터(14)의 날이 상기 하부금형(41)의 홈(41a)에 접할 때 상기 커터(14)의 날 전체가 상기 하부금형(41)의 홈(41a)에 동시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환경비품 전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41)의 하단면이 접하는 하부금형홀더(42)의 상단면은 상기 간극(41b)으로 유입된 배출수가 상기 배출구(42a)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환경비품 전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10)은 상기 크라운(10)을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가이드샤프트(12)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샤프트(12)의 하단이 상기 커터(14)와 연결되어 상기 커터(14)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환경비품 전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11)는 상기 유압실린더(11)의 내부에 설치되는 로드(11a)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11a)의 하단이 상기 커터(14)에 결합되고,
    상기 로드(11a)가 상기 커터(14)를 상하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환경비품 전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측면가이드와 롤러(51)를 구비하는 컨베이어(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50)는 피가공물을 상기 커터(14)로 공급하며,
    상기 측면가이드는 상기 피가공물이 상기 컨베이어(50)의 측면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환경비품 전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50)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컨베이어(50)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펜스(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펜스(60)에서 상기 측면프레임(20)에 대응하는 영역에 개방영역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환경비품 전단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영역의 양측에 광전자식 안전장치(6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환경비품 전단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영역에 측면커버(6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환경비품 전단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펜스(60)는 슬라이딩도어(6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환경비품 전단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펜스(60)는 아크릴 또는 매쉬망으로 제작되고,
    상기 측면커버(61)는 철판 또는 철망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환경비품 전단기.
  11. 삭제
KR1020210077225A 2021-06-15 2021-06-15 유해환경비품 전단기 KR102310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225A KR102310569B1 (ko) 2021-06-15 2021-06-15 유해환경비품 전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225A KR102310569B1 (ko) 2021-06-15 2021-06-15 유해환경비품 전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569B1 true KR102310569B1 (ko) 2021-10-07

Family

ID=78114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225A KR102310569B1 (ko) 2021-06-15 2021-06-15 유해환경비품 전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5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8695A (zh) * 2022-04-29 2022-07-29 丰诺(江苏)环保科技有限公司 退役风电叶片切割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670U (ja) * 1995-02-21 1995-11-28 アライド ゲータ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油圧式廃棄物剪断機
JPH0826441A (ja) * 1994-07-19 1996-01-30 Murata Shokai:Kk スライド型開閉扉を備えたコンベア用カバー
JP2002301620A (ja) * 2001-04-06 2002-10-15 Takuma Co Ltd 剪断式破砕機
KR101536639B1 (ko) 2013-12-30 2015-07-15 김민아 금속판재 절단장치
KR20200102311A (ko) * 2019-02-21 2020-08-31 권수길 가연성 폐기물 압축절단파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441A (ja) * 1994-07-19 1996-01-30 Murata Shokai:Kk スライド型開閉扉を備えたコンベア用カバー
JPH0744670U (ja) * 1995-02-21 1995-11-28 アライド ゲータ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油圧式廃棄物剪断機
JP2002301620A (ja) * 2001-04-06 2002-10-15 Takuma Co Ltd 剪断式破砕機
KR101536639B1 (ko) 2013-12-30 2015-07-15 김민아 금속판재 절단장치
KR20200102311A (ko) * 2019-02-21 2020-08-31 권수길 가연성 폐기물 압축절단파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8695A (zh) * 2022-04-29 2022-07-29 丰诺(江苏)环保科技有限公司 退役风电叶片切割装置
CN114798695B (zh) * 2022-04-29 2023-05-05 丰诺(江苏)环保科技有限公司 退役风电叶片切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805B1 (ko) 포터블형 펀칭 장치
US92423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columnar items
KR102310569B1 (ko) 유해환경비품 전단기
US20150308075A1 (en) Demolition shear tip boot
US20150308076A1 (en) Demolition adjustable shimable shear tip
US20160348338A1 (en) Three-sided shimable indexable shear tip boot
US20170036281A1 (en) Four-sided shimable indexable shear tip boot
US10286461B2 (en) Adjustable shimable indexable shear tip
US20080060231A1 (en) Ripper blade for use on hydraulic arm and method for storage tank demolition
US20220402168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uncating elongated members
US5197193A (en) Apparatus for cutting an article into sheets
US20110215181A1 (en) Comminuting device with removable bearing
KR100892564B1 (ko) 열교환기의 튜브시트의 천공작업기의 드릴링 작업대
DE20304654U1 (de) Vorrichtung zum Abbruch von Bauwerken
CN214684510U (zh) 一种金属制品生产用剪板机
CN213764194U (zh) 一种安全性高的液压剪板机
CN202087888U (zh) 金属板材剪切设备
EP1234646A2 (de) Schutzvorrichtung für eine Stand-Kreissäge
DE19921239A1 (de) Absaugbare Schleifwerkbank
CN211071986U (zh) 一种异型钢材液压龙门式双凸台剪切设备
CN208104569U (zh) 一种残极剪切压脱机
CN211101799U (zh) 一种异型钢材液压龙门式三凸台剪切设备
KR100884127B1 (ko) 체커보드형 전단식 체적 감소 장치 및 방법
CN214684412U (zh) 一种双头铣加工设备
EP2224455B1 (de) Verfahren zum Zerlegen eines unter Wasser befindlichen Anlagenteils einer kerntechnischen Anlage und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