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510B1 -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 - Google Patents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510B1
KR102310510B1 KR1020190052702A KR20190052702A KR102310510B1 KR 102310510 B1 KR102310510 B1 KR 102310510B1 KR 1020190052702 A KR1020190052702 A KR 1020190052702A KR 20190052702 A KR20190052702 A KR 20190052702A KR 102310510 B1 KR102310510 B1 KR 102310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water
retardant
cold
asph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0104A (ko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김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철 filed Critical 김영철
Publication of KR20200110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5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2Halogenated hydrocarbons
    • C08K5/03Halogenated hydrocarbons aromatic, e.g. C6H5-CH2-C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6Organic materials
    • C09K21/08Organic materials containing halo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화 아스팔트 40~70 중량%, pH 8 이상의 수분산계 합성고무 10~20 중량%, 유화제 3~10 중량%, 내한성 소재 3~15 중량%, 난연제 4~15 중량%, 난연안정제 1~5 중량%를 포함하는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 {Asphalt primer having improved freezing resistance}
본 발명은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한성과 난연성을 동시에 갖는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등의 구조물에서 지붕, 바닥, 지하 주차장 등 수분과 접하는 부위에는 수분이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표면에 불투수성의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 공사가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방수 공법으로는 종래부터 다양한 방식이 개발되어 시공되고 있으나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도막 방수 공법과 시트 방수 공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막방수재와 시트 방수재는 고분자 물질을 함유 하고 있다.
특히 아스팔트를 소재로 하여 방수재를 제조할 경우는 기계적 강도나 탄성, 열변형온도, 내한성, 내후성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고무를 혼합하여 아스팔트의 성능을 개질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수계 고무 아스팔트 도막방수재 역시 음이온 유화 아스팔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이를 개질하기 위하여 수분산계 합성고무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수계 고무 아스팔트 도막방수재는 유화 아스팔트에 유화 고무 및 고분자 수지, 유화 첨가제를 혼합하여 각종 건축물의 옥상, 외벽, 터널 및 지하실 등의 표면에는 방수 또는 방식 도막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수계 고무 아스팔트 도막방수재는 경제적, 기술적인 측면을 고려 할 때 고무의 함량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으며 극한 지방에서의 경우에 저온에서 구조물의 균열이 발생시 구조물 거동에 대한 대응성이 부족하다.
또한 유기 고분자 수지는 열에 취약하여 연소원이 있을 경우 열에 의해 고분자 사슬이 분해되어 가연성 가스가 다량 발생한다. 이때 생성된 분해물이 산소와 반응하여 연소되며 발생한 열이 다시 고분자를 분해하는 연쇄 반응으로 지속적인 연소가 일어나고 다량의 연기와 함께 높은 연소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는 시공 후의 효과의 차이점, 재시공 시의 인건비 문제, 시공 편의성, 자외선에 의한 노화 및 변질 문제, 흡수성 문제, 피착제와의 접착성 문제, 화재발생시 위험성 등을 들 수 있으며 최근에 와서는 시공상의 편의성 및 경제성이 건물 보수업계, 방수업계에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바탕면과의 접촉시 필요한 층으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데, 상기 프라이머층 또한 저온상태가 지속되는 환경에서 외부의 접촉이나 충격에 의한 방수층 손상을 초래하여 바탕면에 균열이 발생되거나, 방수층의 동반 파괴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 시 고온으로 인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폭렬 및 내구성 저하와 더불어 인적, 물적 피해가 증가한다.
이는 건축 구조물의 장기 내구성 감소로 유지보수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게 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저온시나 화제발생시에도 프라이머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으며 방수층의 하자 발생요인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프라이머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8-0108360호, 한국등록특허 제107347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계 고무 아스팔트의 단점인 0 ~ -20℃의 저온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장시간 저온 상태 유지시에도 물성을 유지하고 강도가 높으며 충격강도가 우수한 수용성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스팔트 프라이머에 난연성을 부여 하여 내화 재료로서의 내화성능을 확보하여 고온의 열에 노출되었을 때 콘크리트의 폭렬현상을 저하시켜 구조물의 내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화 아스팔트 40~70 중량%, pH 8 이상의 수분산계 합성고무 10~20 중량%, 유화제 3~10 중량%, 내한성 소재 3~15 중량%, 난연제 4~15 중량%, 난연안정제 1~5 중량%를 포함하는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화 아스팔트는 pH 8 이상의 음이온이면서, 침입도가 70~100인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분산계 합성고무는 pH 8 이상의 음이온인 수분산계 합성고무로 SBR, CR, NBR 및 BR 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화제는 음이온성 유화제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음이온성 유화제와 비이온성 유화제를 혼합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음이온성 유화제는 rosin soap, fatty acid soap, dialkyl sulfosuccinate, alkylsulfate, alkylsulfonate, 4-alkylbenzenesulfonate alkylpolyethoxylatesulfate, alkylpolyethoxylatesulfonate, alkylpolyethoxylatephosphate를 사용하며, 상기 비이온성 유화제는 alkylpolyethoxylate, alkylbenzenepolyethoxylate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한성 소재는 DOTP(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또는 DINP(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한성 소재는 내한성 가소제가 추가혼합되는 데, 상기 내한성 가소제는 dimethylphthalate, diethylphthalate, dipropylphthalate, dibutylphthalate, dihexylphthalate, dioctylphthalate, diisononylphthalate, di-n-nonylphthalate 같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dimethyladipate, diethyladipate, dipropyladipate dibutyladipate, dihexyladipate, dioctyladipate, diisononyladipate, di-n-nonyladipate 같은 아디페이트계 가소제, dimethylterephthalate, diethylterephthalate, dipropylterephthalate dibutylterephthalate, dihexylterephthalate, dioctylterephthalate, diisononylterephthalate, di-n-nonylterephthalate같은 테레프탈레이트계 가소제, dimethylisophthalate, diethylisophthalate, dipropylisophthalate dibutylisophthalate, dihexylisophthalate, dioctylisophthalate, diisononylisophthalate, di-n-nonylisophthalate같은 이소프탈레이트계 가소제, dimethyltrimellitate, diethyltrimellitate, dipropyltrimellitate dibutyltrimellitate, dihexyltrimellitate, dioctyltrimellitate, diisononyltrimellitate, di-n-nonyltrimellitate 같은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 trimethylphosphate, triethylphosphate, tripropylphsphate, tributylphosphate, tri-p-tolylphosphate, tricresylphosphate, triphenylphosphate, tris(2,4,6-tribromophenyl)phosphate, phenyldimethylphosphate, diphenylmethylphosphate 같은 인산염계 가소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난연제는 할로겐계 난연제인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TBPA), 데카브로모디페닐옥사이드(DBDPO), 데카브로모디페닐에테인(DBDPE), 테트라브로모 무수프탈산, 2,4,6-트리브로모페놀 중 1 이상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난연안정제로 Sb2O3 또는 스테아린산칼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는 0 ~ -20℃의 온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장시간 저온 상태 유지시에도 물성을 유지하고 강도가 높으며 충격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는 화재 발생시 내화물의 기능을 발휘하여 고온에서 구조물 콘크리트의 폭렬현상을 최소화 하여 구조물의 내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프라이머는 유화 아스팔트, 수분산계 합성고무 및 첨가제, 내한성 소재, 난연제, 난연안정제로 구성될 수 있는 데, 유화 아스팔트 40~70 중량%, pH 8 이상의 수분산계 합성고무 10~20 중량%, 비이온 또는 음이온 유화제 3~10 중량%, 내한성 소재 3~15 중량%, 난연제 4~15 중량%, 난연안정제(calcium stearate)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프라이머는 유화 아스팔트가 이용되는 데, 40~70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화 아스팔트는 석유 아스팔트의 하나로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1~5㎛의 미세한 입자로 만들어 물에 분산시킨 것을 의미한다. 상기 유화아스팔트는 양전하를 갖는 양이온계(Cation) 유화 아스팔트, 음전하를 갖는 음이온계(Anion) 유화 아스팔트 및 양전하/음전하를 모두 갖지 않는 비이온계(Nonion) 유화 아스팔트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된 유화 아스팔트는 pH 8 이상인 음이온 유화 아스팔트가 바람직하다. pH가 8이상이 되면 물과 아스팔트의 상용성이 우수하며 분산상태가 양이온이나 비이온일때 보다 고르게 미립으로 분산되어 저장과정에서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고 저장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된 유화 아스팔트는 침입도가 70~100인 스트레이트 아스팔트가 바람직하다.
침입도는 아스팔트의 경도를 나타내는 수치로서, 규정된 온도, 하중, 시간에 규정의 침(針)이 재료 속에 꿰뚫어서 들어간 길이로 나타낸 것이다. 수치가 작으면 도막은 딱딱하고 크면 반대로 도막은 부드럽다. 침입도가 너무 작으면 프라이머층을 이루는 도막이 너무 딱딱해서 유화하기 어렵거니와 형성된 도막도 쉽게 부스러지게 된다. 반면 침입도가 너무 높으면 도막이 너무 여해서 형성된 프라이머층 도막이 충분한 기계적 성질을 발휘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유화 아스팔트는 pH 8 이상의 음이온이면서 침입도가 70~100인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pH 8이상의 음이온 수분산계 합성고무를 이용하는 데, 10~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고무는 탄성 및 내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 프라이머에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내한성능이 떨어지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합성고무는 복원력을 좋게 하고 내화학성 및 내오존성을 좋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합성고무는 pH 8이상이면서 음이온인 수분산계 합성고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음이온의 합성고무를 이용하는 이유는 양이온이나 비이온일 경우 상분리에 의한 저장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음이온의 합성고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pH 8이상의 합성고무를 이용함으로써 pH 혼합물의 저장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하게 한다. pH 8 미만의 경우에는 합성고무 알맹이가 서로 뭉쳐 침전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합성고무는 SBR, CR, NBR 및 BR 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유화제를 혼합할 수 있는 데, 상기 유화제는 혼합원료간의 상용성을 보완하고 분산 상태를 유지시키는 상용화제로서의 역살을 한다. 상기 유화제는 3~10중량%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가 3중량% 미만이면 유화가 원화할지 못해 각 프라이머에 들어가는 원료간 엉김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10중량% 초과하면 프라이머가 겔화될 수 있어 내수성이 약화된다.
또한 유화제에는 음이온성 유화제, 비이온성 유화제, 양이온성 유화제, 양성 유화제가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양이온성 유화제와 양성 유화제는 바람직하지 않으며, 비이온성 유화제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음이온성 유화제를 단독 또는 비이온성 유화제와 혼합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유화제로는 rosin soap, fatty acid soap, dialkyl sulfosuccinate, alkylsulfate, alkylsulfonate, 4-alkylbenzenesulfonate alkylpolyethoxylatesulfate, alkylpolyethoxylatesulfonate, alkylpolyethoxylatephosphate를, 비이온성 유화제로서는 alkylpolyethoxylate, alkylbenzenepolyethoxylate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alkyl은 선형 또는 분지된 hexyl ~ octadecyl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내한성 소재는 프라이머층 형성시 극저온에서의 구조물과의 동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내한성 소재를 혼합하는 경우 -20℃ 이하에서도 방수층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한성 소재는 3~15중량%를 혼합할 수 있는데, 3중량% 미만이면 약 -10℃ 이하에서 균열이 발생하며 15중량% 초과이면 유화가 어려워 상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내한성 소재로는 DOTP(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또는 DINP(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내한성 가소제를 추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는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의 연화제 및 가소재로 어는점이 -45℃ 이며 비중이 0.974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혼합물과의 혼합시 어는점을 떨어뜨려 내한성능을 향상 시키며 비중이 아스팔트 및 합성고무와 비슷하여 광유나 기타 가소제와 비교하여 상분리 현상이 현저히 감소하여 저장안정성이 향상된다.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NP) 또한 어는점이 -48℃이며 비중이 0.981~0.986 으로 DOTP와 동일한 성능을 나타내며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한성 가소제로는 dimethylphthalate, diethylphthalate, dipropylphthalate, dibutylphthalate, dihexylphthalate, dioctylphthalate, diisononylphthalate, di-n-nonylphthalate 같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dimethyladipate, diethyladipate, dipropyladipate dibutyladipate, dihexyladipate, dioctyladipate, diisononyladipate, di-n-nonyladipate 같은 아디페이트계 가소제, dimethylterephthalate, diethylterephthalate, dipropylterephthalate dibutylterephthalate, dihexylterephthalate, dioctylterephthalate, diisononylterephthalate, di-n-nonylterephthalate같은 테레프탈레이트계 가소제, dimethylisophthalate, diethylisophthalate, dipropylisophthalate dibutylisophthalate, dihexylisophthalate, dioctylisophthalate, diisononylisophthalate, di-n-nonylisophthalate 같은 이소프탈레이트계 가소제, dimethyltrimellitate, diethyltrimellitate, dipropyltrimellitate dibutyltrimellitate, dihexyltrimellitate, dioctyltrimellitate, diisononyltrimellitate, di-n-nonyltrimellitate 같은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 trimethylphosphate, triethylphosphate, tripropylphsphate, tributylphosphate, tri-p-tolylphosphate, tricresylphosphate, triphenylphosphate, tris(2,4,6-tribromophenyl)phosphate, phenyldimethylphosphate, diphenylmethylphosphate 같은 인산염계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내한성 가소제의 혼합으로 고무, 아스팔트와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혼합물의 유리전이 온도를 강하시킬 수 있다. 유리전이온도 저하는 내한성 증가를 초래한다. 최적의 가소제를 선정할 때는 선정하는 고무와의 상용성을 고려해야 한다.
상기 내한성 소재 DOTP(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또는 DINP(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에 추가되는 내한성 가소제는 1:0.5 ~ 1:1.2 중량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난연제는 할로겐계 난연제인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TBPA), 데카브로모디페닐옥사이드(DBDPO), 데카브로모디페닐에테인(DBDPE), 테트라브로모 무수프탈산, 2,4,6-트리브로모페놀 중에서 1 이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연제는 가연성 가스를 희석시키고 산소를 차단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기체상에서 라디칼을 포착함으로써 난연 역할을 하는 브롬계 난연제로 1~5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난연제가 1중량% 미만이면 난연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5중량부 초과이면 침전물이 발생하여 저장안정성이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난연 안정제가 포함되는 데, 할로겐계 난연제만 단독 사용할 경우 결합에너지에 따라 특정조건이 되면 일시에 할로겐계 화합물이 분해되어 소비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넓은 온도 범위에서 난연환경을 부여하기 위해 난연 안정제를 이용하는 데, 이러한 난연 안정제로는 Sb2O3, 스테아린산 칼슘(Ca-calcium stearate)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난연 안정제는 1~5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1중량% 미만이면 난연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5중량%를 초과하면 프라이머의 물성 변화를 발생시켜 저장안정성이 저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pH 12의 음이온 유화 아스팔트 60중량%, pH 13의 음이온 수분산계 합성고무 20중량%, 음이온 유화제 3중량%, 내한성 소재 7중량%, 난연제 8중량%, 난연안정제 2중량%를 혼합하여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제조하였다.
이때 수분산계 합성고무는 pH 13이고 Tg가 -41℃인 수계 클로로프렌을 사용하였다.
또한, 내한성 소재는 DOTP(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를 이용하였다.
또한, 난연제는 브롬함량이 58% 이상이며 비중이 2.2인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TBBA)를 이용하였다.
또한, 음이온 유화제는 nonylphenol ethoxylate를 이용하였다.
또한 난연안정제는 스테아린산 칼슘 화합물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pH 8의 음이온 유화 아스팔트 70중량%, pH 8의 음이온 수분산계 합성고무 10중량%, 음이온 유화제 3중량%, 내한성 소재 5중량%, 난연제 5중량%, 난연안정제로 칼슘스테아른산 2중량%를 혼합하여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내한성 소재에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로 dimethylphthalate를 추가혼합하였는데, DOTP(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와 dimethylphthalate를 1:1의 중량비율로 하여 혼합하여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pH 8의 음이온 유화 아스팔트 65중량%, pH 6의 음이온 수분산계 합성고무 20중량%, 음이온 유화제 3중량%, 난연제 8중량%, 난연안정제 2중량%를 혼합하여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제조하였다. (내한성 소재는 첨가하지 않음)
실시예 1 ~ 실시예 3 및 비교예 1의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바탕으로 내한성능, 총방출열량, 점도, 증류찌끼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내한성능(℃) 총방출열량
(MJ/㎡(5분간))
점도(SFS)
(세이볼트 퓨롤, 25℃)
증류찌끼시험
(침입도(mm))
실시예 1 -20 6 61.9 22
실시예 2 -19 5 58.5 25
실시예 3 -20 6 56.8 21
비교예 1 0 11 138.4 68
※ 평가방법 :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1mm 두께로 도포하여 7일간 양생
1. 내한성능 : KS F 4932 교면용 도막방수재의 내균열성 시험 방법에 의해 시험
2. 총방출 열량 : KS F ISO 5660-1 연소성능 시험 총방출열량 시험방법에 의해 시험.
3. 점도 : KS M 2013 원유 및 석유 제품의 세이볼트 점도 시험방법에 의해 시험
4. 증류찌끼시험 : KS M 2252 역청재료의 침입도 시험방법에 의해 시험
실험결과 실시예 1 ~ 실시예 3의 내한성능은 각각 -20℃, -19℃, -20℃이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 1은 내한성능이 0℃로 실시예 프라이머의 내한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총방출열량의 경우 실시예 1 ~ 실시예 3은 5분간 6MJ/㎡, 5MJ/㎡, 6MJ/㎡의 방출열량을 발생한 데 비해, 비교예 1의 경우 11MJ/㎡로 실시예에 비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점도의 경우 실시예 1 ~ 실시예 3은 각각 61.9 SFS, 58.5 SFS, 56.8 SFS로 시험기준인 25 ~ 125SFS에 적합한 프라이머이다.
또한, 증류찌끼시험의 경우 실시예 1 및 2는 각각 22mm, 25mm 로 시험기준인 20 ~ 50mm에 적합한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9)

  1. 유화 아스팔트 45~70 중량%, pH 8 이상의 수분산계 합성고무 10~15 중량%, 유화제 3~5 중량%, 내한성 소재 3~15 중량%, 브롬계 난연제 4~15 중량%, 난연안정제 1~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유화 아스팔트는 pH 8 이상의 음이온이면서, 침입도가 70~100인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이고,
    상기 내한성 소재는 DOTP(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또는 DINP(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는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계 합성고무는 pH 8 이상의 음이온인 수분산계 합성고무로 SBR, CR, NBR 및 BR 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음이온성 유화제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음이온성 유화제와 비이온성 유화제를 혼합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유화제는 rosin soap, fatty acid soap, dialkyl sulfosuccinate, alkylsulfate, alkylsulfonate, 4-alkylbenzenesulfonate alkylpolyethoxylatesulfate, alkylpolyethoxylatesulfonate, alkylpolyethoxylatephosphate를 사용하며,
    상기 비이온성 유화제는 alkylpolyethoxylate, alkylbenzenepolyethoxylate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한성 소재는 내한성 가소제가 추가혼합되는 데, 상기 내한성 가소제는 dimethylphthalate, diethylphthalate, dipropylphthalate, dibutylphthalate, dihexylphthalate, dioctylphthalate, diisononylphthalate, di-n-nonylphthalate 같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dimethyladipate, diethyladipate, dipropyladipate dibutyladipate, dihexyladipate, dioctyladipate, diisononyladipate, di-n-nonyladipate 같은 아디페이트계 가소제, dimethylterephthalate, diethylterephthalate, dipropylterephthalate dibutylterephthalate, dihexylterephthalate, dioctylterephthalate, diisononylterephthalate, di-n-nonylterephthalate같은 테레프탈레이트계 가소제, dimethylisophthalate, diethylisophthalate, dipropylisophthalate dibutylisophthalate, dihexylisophthalate, dioctylisophthalate, diisononylisophthalate, di-n-nonylisophthalate같은 이소프탈레이트계 가소제, dimethyltrimellitate, diethyltrimellitate, dipropyltrimellitate dibutyltrimellitate, dihexyltrimellitate, dioctyltrimellitate, diisononyltrimellitate, di-n-nonyltrimellitate 같은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 trimethylphosphate, triethylphosphate, tripropylphsphate, tributylphosphate, tri-p-tolylphosphate, tricresylphosphate, triphenylphosphate, tris(2,4,6-tribromophenyl)phosphate, phenyldimethylphosphate, diphenylmethylphosphate 같은 인산염계 가소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할로겐계 난연제인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TBPA), 데카브로모디페닐옥사이드(DBDPO), 데카브로모디페닐에테인(DBDPE), 테트라브로모 무수프탈산, 2,4,6-트리브로모페놀 중 1 이상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안정제로 Sb2O3 또는 스테아린산칼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
KR1020190052702A 2019-03-12 2019-05-07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 KR102310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27982 2019-03-12
KR1020190027982 2019-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104A KR20200110104A (ko) 2020-09-23
KR102310510B1 true KR102310510B1 (ko) 2021-10-12

Family

ID=72708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702A KR102310510B1 (ko) 2019-03-12 2019-05-07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5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23004287A (es) * 2021-01-29 2023-05-02 Lg Chemical Ltd Composicion plastificante y composicion de resina que comprende la misma.
CN113621281B (zh) * 2021-07-08 2022-04-19 上海广顺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防水抗渗沥青涂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443B1 (ko) * 2015-08-06 2016-04-22 대건케미칼 주식회사 지하구조물의 벽체 외벽면 하이브리드 방수방근구조 및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207B1 (ko) * 2010-01-27 2012-10-08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난연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트
KR101683353B1 (ko) * 2011-10-26 2016-12-06 사우디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유황-개질 아스팔트 에멀전 및 바인더 조성물
KR101964680B1 (ko) 2017-03-23 2019-04-03 가미소재 (주) 아스팔트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방수시트의 시공방법
KR20190033268A (ko) * 2017-09-21 2019-03-29 정명묵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계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443B1 (ko) * 2015-08-06 2016-04-22 대건케미칼 주식회사 지하구조물의 벽체 외벽면 하이브리드 방수방근구조 및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104A (ko)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il et al. Flame retardants for plastics and textiles: practical applications
KR102310510B1 (ko)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성 고무 아스팔트 프라이머
EP1572816B1 (en) Flame retardant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1373241B1 (ko) 무기소재를 이용한 환경친화형 난연성 폴리올레핀수지조성물
KR20180103841A (ko) 내화성 수지 조성물
US20190367701A1 (en) Organic Materials as Fire and Flame Retardant Synergists
US5658972A (en) Fire retardant plastic construction material
HUE031875T2 (en) Low-smoke, flexible insulation
KR101504556B1 (ko) 도막방수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33268A (ko) 내한성능이 우수한 난연 수계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KR101186207B1 (ko) 난연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트
KR101302556B1 (ko) 친환경 난연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
KR101597720B1 (ko) 친환경 저독성 난연 고무 조성물
CN110982213A (zh) 一种高氧指数、低烟阻燃的abs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303462B1 (ko) 절연재료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제품
KR101877796B1 (ko) 친환경 난연성 핫멜트 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친환경 난연성 핫멜트 필름
CN102504373A (zh) 一种环保阻燃型立体车库
KR20190029827A (ko) 난연성 에폭시 바닥 방수재 조성물
US3556819A (en) Asphaltic based fire-resistant compositions utilizing vermiculite ore intumescing agent
KR100291664B1 (ko) 무독성 난연 정전방지용 고무 바닥재 조성물
EP0147455B1 (de) Anstrichmasse für bituminöse dachflächen
KR101177289B1 (ko) 난연이 가능한 토목구조물용 친환경 실리콘 내화재
US4600734A (en) Rubber mixtures and mouldings produced therefrom by vulcanization
Petrova et al. Self-extinguishing thermoplastic elastomers
KR100437441B1 (ko) 무독성 불연 고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