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359B1 -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359B1
KR102310359B1 KR1020200180584A KR20200180584A KR102310359B1 KR 102310359 B1 KR102310359 B1 KR 102310359B1 KR 1020200180584 A KR1020200180584 A KR 1020200180584A KR 20200180584 A KR20200180584 A KR 20200180584A KR 102310359 B1 KR102310359 B1 KR 102310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oil
refining
supply pipe
metal chips
refi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수동
강정이
Original Assignee
강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수동 filed Critical 강수동
Priority to KR1020200180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69Filtr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2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 B23Q11/126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for cool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18Magnetic separation whereby the particles are suspended in a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일측에는 절삭유가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유입된 절삭유에 잔존하는 금속칩을 자석의 자력을 통해 집진 제거하는 정제수단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상기 정제수단을 통해 집진된 금속칩을 외부로 배출하는 칩 배출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정제수단을 통해 1차 정제된 절삭유를 배출하는 절삭유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1차 정제장치;와, 상기 제1차 정제장치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차 정제장치의 절삭유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절삭유를 내부에 수용하는 더티탱크;와, 하부는 상기 더티탱크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부는 제2차 정제장치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더티탱크에 수용된 절삭유를 상기 제2차 정제장치로 안내하는 제1공급배관과, 상기 제1공급배관 상에 형성되어 상기 더티탱크에 수용된 절삭유를 상기 제1공급배관을 통해 상기 제2차 정제장치로 강제 유통시키는 공급펌프를 포함하는 공급부;와, 일측에는 상기 제1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절삭유가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유입된 절삭유에 잔존하는 금속칩을 자석의 자력을 통해 집진 제거하는 정제수단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상기 정제수단을 통해 집진된 금속칩을 배출하는 칩 배출구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정제수단을 통해 2차 정제된 절삭유를 배출하는 절삭유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2차 정제장치;와, 상기 제2차 정제장치의 칩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미세한 금속칩을 수거하여 상기 제1차 정제장치로 안내하는 안내배관;과, 상기 제2차 정제장치의 절삭유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절삭유를 클린탱크로 공급하는 제2공급배관;과, 상기 제2차 정제장치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정화된 절삭유를 수용 저장하는 클린탱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자력을 이용하여 금속칩을 집진하는 제1차 정제장치를 통해서 1차적으로 절삭유를 정제한 후, 제2차 정제장치를 통해서 2차적으로 절삭유를 정제하는 방식으로 매우 정밀한 절삭유의 정제를 유도함으로, 절삭유의 정제과정에서 요구되던 1회용 필터지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아 장치의 경제적인 운영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차 및 제2차 정제장치를 통해 집진되는 금속칩을 제1차 정제장치를 통해 일괄적으로 집진 수거되는 간단한 구조의 장치를 제공하여 장치의 편리한 관리 및 제작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Coolant filtering device with dual structure}
본 발명은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력을 이용하여 금속칩을 집진하는 제1차 정제장치를 통해서 1차적으로 절삭유를 정제한 후, 제2차 정제장치를 통해서 2차적으로 절삭유를 정제하는 방식으로 매우 정밀한 절삭유의 정제를 유도함으로, 절삭유의 정제과정에서 요구되던 1회용 필터지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아 장치의 경제적인 운영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차 및 제2차 정제장치를 통해 집진되는 금속칩을 제1차 정제장치를 통해 일괄적으로 집진 수거되는 간단한 구조의 장치를 제공하여 장치의 편리한 관리 및 제작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삭, 방전, 호닝 등과 같은 기계가공은 금속을 절삭하여 일정한 형태로 성형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기계가공시에는 필연적으로 고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발열감소 및 냉각을 위해 윤활유 또는 냉각수 등의 절삭유를 연속적으로 가공 부위에 분사하게 된다.
한편, 기계가공에 사용되고 난 절삭유에는 금속칩이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따라서 절삭유의 재사용시에는 정제장치를 통해 금속칩이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이를 다시 재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 절삭유 정제장치는 정제과정에서 절삭유에 잔존하는 금속칩을 정밀하게 집진하기 위해 1회용 필터지를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1회용 필터지의 연속적인 사용은 장치의 경제적인 운영을 방해하여 장치의 원활한 운영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자력을 이용하여 금속칩을 집진하는 제1차 정제장치를 통해서 1차적으로 절삭유를 정제한 후, 제2차 정제장치를 통해서 2차적으로 절삭유를 정제하는 방식으로 매우 정밀한 절삭유의 정제를 유도함으로, 절삭유의 정제과정에서 요구되던 1회용 필터지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아 장치의 경제적인 운영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차 및 제2차 정제장치를 통해 집진되는 금속칩을 제1차 정제장치를 통해 일괄적으로 집진 수거되는 간단한 구조의 장치를 제공하여 장치의 편리한 관리 및 제작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는 일측에는 절삭유가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유입된 절삭유에 잔존하는 금속칩을 자석의 자력을 통해 집진 제거하는 정제수단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상기 정제수단을 통해 집진된 금속칩을 외부로 배출하는 칩 배출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정제수단을 통해 1차 정제된 절삭유를 배출하는 절삭유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1차 정제장치;와, 상기 제1차 정제장치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차 정제장치의 절삭유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절삭유를 내부에 수용하는 더티탱크;와, 하부는 상기 더티탱크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부는 제2차 정제장치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더티탱크에 수용된 절삭유를 상기 제2차 정제장치로 안내하는 제1공급배관과, 상기 제1공급배관 상에 형성되어 상기 더티탱크에 수용된 절삭유를 상기 제1공급배관을 통해 상기 제2차 정제장치로 강제 유통시키는 공급펌프를 포함하는 공급부;와, 일측에는 상기 제1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절삭유가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유입된 절삭유에 잔존하는 금속칩을 자석의 자력을 통해 집진 제거하는 정제수단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상기 정제수단을 통해 집진된 금속칩을 배출하는 칩 배출구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정제수단을 통해 2차 정제된 절삭유를 배출하는 절삭유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2차 정제장치;와, 상기 제2차 정제장치의 칩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미세한 금속칩을 수거하여 상기 제1차 정제장치로 안내하는 안내배관;과, 상기 제2차 정제장치의 절삭유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절삭유를 클린탱크로 공급하는 제2공급배관;과, 상기 제2차 정제장치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정화된 절삭유를 수용 저장하는 클린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차 정제장치를 통해 정제된 절삭유가 유통되는 상기 제2공급배관 상에 형성되어 절삭유에 냉각시키는 동시에, 절삭유에 잔존할 수 있는 미세한 금속칩을 집진하는 보조 냉각 및 집진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조 냉각 및 집진수단은 상기 제2공급배관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2공급배관을 유통하는 절삭유가 체류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보조탱크와, 하부는 상기 보조탱크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보조탱크를 거쳐가는 절삭유와 접촉되고, 상부에는 방열판이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공급배관을 유통하는 절삭유의 열원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재와, 상기 방열부재의 내부에 내입되어 상기 방열부재의 하부 표면으로 절삭유에 잔존하는 미세한 금속칩이 자력을 통해 집진되도록 하되, 상기 방열판에 결합되는 보조 집진자석과, 상기 방열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에 의하면, 자력을 이용하여 금속칩을 집진하는 제1차 정제장치를 통해서 1차적으로 절삭유를 정제한 후, 제2차 정제장치를 통해서 2차적으로 절삭유를 정제하는 방식으로 매우 정밀한 절삭유의 정제를 유도함으로, 절삭유의 정제과정에서 요구되던 1회용 필터지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아 장치의 경제적인 운영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차 및 제2차 정제장치를 통해 집진되는 금속칩을 제1차 정제장치를 통해 일괄적으로 집진 수거되는 간단한 구조의 장치를 제공하여 장치의 편리한 관리 및 제작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의 평면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의 A-A 단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100)는 제1차 정제장치(10)와, 더티탱크(20)와, 공급부(30)와, 제2차 정제장치(40)와, 안내배관(50)과, 제2공급배관(60)과, 클린탱크(7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차 정제장치(10)는 일측에는 절삭유가 유입되는 입구(1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유입된 절삭유에 잔존하는 금속칩을 자석의 자력을 통해 집진 제거하는 정제수단(12)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상기 정제수단(12)을 통해 집진된 금속칩을 외부로 배출하는 칩 배출구(13)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정제수단(12)을 통해 1차 정제된 절삭유를 배출하는 절삭유 배출구(14)가 형성되도록 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차 정제장치(10)의 입구(11)로 기계가공에 사용된 절삭유가 유입되면, 상기 정제수단(12)을 통해 절삭유에 잔존하는 금속칩 대부분이 집진 수집되면서 절삭유가 1차 정제되는데, 그 1차적으로 정제된 절삭유는 상기 절삭유 배출구(14)를 통해 후설될 상기 더티탱크(20)로 이송되고, 수집된 금속칩은 상기 칩 배출구(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제수단(12)은 상기 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절삭유가 수용되는 수용탱크(a)와, 상기 수용탱크(a)에 수용된 절삭유를 정제탱크(f)로 안내하는 유로(b)와, 상기 유로(b) 상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드럼(c)과, 상기 드럼(c)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절삭유에 잔존하는 금속칩을 상기 드럼(c)의 외주면에 흡착시키는 다수의 단위자석(d)과, 상기 드럼(c)의 표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상기 드럼(c)의 표면에 흡착된 금속칩을 이탈 분리시켜 상기 칩 배출구(13) 측으로 안내하는 스크래퍼(e)와, 상기 유로(b)를 통해 이송되면서 상기 드럼(c)을 통과하여 1차 정제된 절삭유가 수용되되 상기 절삭유 배출구(14)와 연통되는 정제탱크(f)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차 정제장치(10)의 입구(11)로 유입된 절삭유는 상기 정제수단(12)의 수용탱크(a)에 수용된 후, 상기 유로(b)를 타고 이송되어 상기 정제탱크(f)로 유통 수용되는데, 이때 상기 유로(b) 상에 형성되는 상기 드럼(c)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위자석(d)의 자력에 절삭유에 잔존하는 금속칩이 자연스럽게 상기 드럼(c)의 표면에 집진되면서 절삭유가 1차적으로 정화된다.
따라서 상기 정제수단(12)을 통해 1차 정제된 절삭유는 상기 정제탱크(f)에 수용되며, 그 수용된 절삭유는 상기 절삭유 배출구(14)를 통해 상기 더티탱크(20)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c)에 집진된 금속칩은 상기 스크래퍼(e)를 통해 상기 칩 배출구(13)로 안내되어 외부로 배출됨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더티탱크(20)는 상기 제1차 정제장치(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차 정제장치(10)의 절삭유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절삭유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더티탱크(20)는 상기 제1차 정제장치(10)를 통해 1차적으로 정제된 절삭유를 수용 저장하며, 그 저장된 절삭유는 후설될 상기 공급부(30)를 통해 후설될 상기 제2차 정제장치(40)로 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차 정제장치(10)를 통해 절삭유에 잔존하는 금속칩이 90% 이상 집진되므로 상기 더티탱크(20)에 수용된 절삭유에는 소량의 금속칩이 잔존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30)는 하부는 상기 더티탱크(20)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부는 제2차 정제장치(40)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더티탱크(20)에 수용된 절삭유를 상기 제2차 정제장치(40)로 안내하는 제1공급배관(31)과, 상기 제1공급배관(31) 상에 형성되어 상기 더티탱크(20)에 수용된 절삭유를 상기 제1공급배관(31)을 통해 상기 제2차 정제장치(40)로 강제 유통시키는 공급펌프(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30)는 1차 정제된 절삭유를 상기 제2차 정제장치(40)로 강제 유통시켜 상기 제2차 정제장치(40)를 통해 절삭유가 다시 한번 정제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차 정제장치(40)는 일측에는 상기 제1공급배관(31)을 통해 공급되는 절삭유가 유입되는 입구(4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유입된 절삭유에 잔존하는 금속칩을 자석의 자력을 통해 집진 제거하는 정제수단(42)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상기 정제수단(42)을 통해 집진된 금속칩을 배출하는 칩 배출구(43)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정제수단(42)을 통해 2차 정제된 절삭유를 배출하는 절삭유 배출구(44)가 형성되도록 한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차 정제장치(40)는 상기 공급부(30)에서 공급되는 1차 정제된 절삭유를 다시 한번 정제하여 절삭유에 잔존하는 소량의 금속칩까지 집진 제거함으로, 상기 절삭유 배출구(44)를 통해 매우 정밀하게 정제된 절삭유가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차 정제장치(40)의 정제수단(42)은 상기 제1차 정제장치(10)의 정제수단(12)과 동일한 구성 및 작용(동작)으로 절삭유에 잔존하는 금속칩을 제거하는 특성상, 상기 제2차 정제장치(40)의 정제수단(4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배관(50)은 상기 제2차 정제장치(40)의 칩 배출구(43)를 통해 배출되는 미세한 금속칩을 수거하여 상기 제1차 정제장치(10)로 안내하도록 한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배관(50)은 상기 제2차 정제장치(40)를 통해 수집된 소량의 금속칩을 상기 제1차 정제장치(10)로 공급함으로, 절삭유에 잔존하는 금속칩이 상기 제1,2차 정제장치(10,40)에서 각각 집진되더라도 상기 제1정제장치(10)를 통해 일괄 집진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장치의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공급배관(60)은 상기 제2차 정제장치(40)의 절삭유 배출구(44)를 통해 배출되는 절삭유를 후설될 상기 클린탱크(70)로 공급하도록 한다.
즉,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차 정제장치(40)를 통해 매우 정밀하게 정제된 절삭유를 후설될 상기 클린탱크(70)로 안내 공급하는데, 상기 제2차 정제장치(40)가 상기 클린탱크(70)보다 높이가 높게 위치되는 특성상, 상기 제2차 정제장치(40)에서 정제된 절삭유가 외부의 동력원 없이 자연스럽게 상기 클린탱크(70)로 공급되도록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린탱크(70)는 상기 제2차 정제장치(4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공급배관(60)을 통해 공급되는 정화된 절삭유를 수용 저장하도록 한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클린탱크(70)로 수용된 절삭유는 통상의 절삭유 사용처로 공급되어 재사용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린탱크(70)에 수용된 절삭유의 온도를 낮추는 오일쿨러(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본 발명의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100)를 통해 곧바로 정제한 경우에는 상기 클린탱크(70)에 수용된 절삭유의 온도가 다소 높게 유지되어 절삭유 본연의 냉각 기능이 상실될 수 있으므로, 상기 오일쿨러(80)를 통해 상기 클린탱크(70)에 수용된 절삭유의 온도를 적합하게 낮춰 상기 클린탱크(70)에 수용된 절삭유를 곧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차 정제장치(40)를 통해 정제된 절삭유가 유통되는 상기 제2공급배관(60) 상에 형성되어 절삭유에 냉각시키는 동시에, 절삭유에 잔존할 수 있는 미세한 금속칩을 집진하는 보조 냉각 및 집진수단(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조 냉각 및 집진수단(90)은 상기 제2공급배관(6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2공급배관(60)을 유통하는 절삭유가 체류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보조탱크(91)와, 하부는 상기 보조탱크(91)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보조탱크(91)를 거쳐가는 절삭유와 접촉되고, 상부에는 방열판(92a)이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공급배관(60)을 유통하는 절삭유의 열원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재(92)와, 상기 방열부재(92)의 내부에 내입되어 상기 방열부재(92)의 하부 표면으로 절삭유에 잔존하는 미세한 금속칩이 자력을 통해 집진되도록 하되, 상기 방열판(92a)에 결합되는 보조 집진자석과(93), 상기 방열판(92a)의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냉각 및 집진수단(90)의 방열부재(92)는 상기 보조탱크(91)를 유통하는 고온의 절삭유와 접촉되면서 고온의 열원을 전도받아 외부로 방출함으로 절삭유를 냉각시키고, 동시에 상기 방열부재(92)에 내장된 상기 보조 집진자석(93)의 자력을 통해 상기 방열부재(92)의 표면에 절삭유에 잔존하는 미세한 금속칩 집진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절삭유를 정제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방열부재(92)의 표면에 집진된 금속칩의 제거(청소)가 요구되면 상기 방열부재(92)를 외부로 회수한 후에 상기 손잡이(94)를 통해 상기 방열판(92a)과 함께 상기 보조 집진자석(93)을 상기 방열부재(92)로부터 분리 이탈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방열부재(92)에 금속칩을 결속하는 자력을 제거하여 상기 방열부재(92)의 표면에 집진된 금속칩이 간편히 제거 청소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100)는 자력을 이용하여 금속칩을 집진하는 상기 제1차 정제장치(10)를 통해서 1차적으로 절삭유를 정제한 후, 상기 제2차 정제장치(20)를 통해서 2차적으로 절삭유를 정제하는 방식으로 매우 정밀한 절삭유의 정제를 유도함으로, 절삭유의 정제과정에서 요구되던 1회용 필터지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아 장치의 경제적인 운영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차 및 제2차 정제장치(10,40)를 통해 집진되는 금속칩을 상기 제1차 정제장치(10)를 통해 일괄적으로 집진 수거되는 간단한 구조의 장치를 제공하여 장치의 편리한 관리 및 제작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절삭유를 정제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가공에 사용되어 정제가 요구되는 절삭유가 제1차 정제장치(10)로 유입되어 1차적으로 정제되며, 그 정제된 절삭유는 더티탱크(20)로 배출 수용된다.
여기서, 1차 정제과정에서 절삭유에서 집진되는 금속칩은 외부로 배출 수집되는데, 그 금속칩의 용이한 수거를 위해 상기 제1차 정제장치(10)의 칩 배출구(13) 측에는 통상의 용기(칩 박스:1)가 배치 사용될 수 있다.
그런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더티탱크(20)에 수용된 절삭유는 공급부(30)를 통해 제2차 정제장치(40)로 유통되어 2차적으로 정제되며, 그 정제된 절삭유는 제2공급배관(60)을 통해 클린탱크(70)로 유통 저장되도록 한다.
이때, 2차 정제과정에서 절삭유에서 집진되는 소량의 금속칩은 상기 제1차 정제장치(10)로 배출하여 상기 제1차 정제장치(10)를 통해 절삭유에 잔존하는 금속칩이 일괄적으로 집진되도록 한다.
그런 후,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린탱크(70)로 수용 정제된 절삭유는 외부의 절삭유 사용처로 공급되어 재사용되도록 하는데, 상기 클린탱크(70)로 수용된 절삭유의 온도가 다소 높은 경우에는 오일쿨러(80)를 통해 절삭유의 온도를 낮춰 외부 사용처로 공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용기
10. 제1차 정제장치 11, 41. 입구
12, 42. 정제수단 13, 43. 칩 배출구
14, 44. 절삭유 배출구 20. 더티탱크
30. 공급부 31. 제1공급배관
32. 공급펌프 40. 제2차 정제장치
50. 안내배관 60. 제2공급배관
70. 클린탱크 80. 오일쿨러
90. 보조 냉각 및 집진수단 91. 보조탱크
92. 방열부재 92a. 방열판
93. 보조 집진자석 94. 손잡이
100.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

Claims (4)

  1. 일측에는 절삭유가 유입되는 입구(1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유입된 절삭유에 잔존하는 금속칩을 자석의 자력을 통해 집진 제거하는 정제수단(12)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상기 정제수단(12)을 통해 집진된 금속칩을 외부로 배출하는 칩 배출구(13)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정제수단(12)을 통해 1차 정제된 절삭유를 배출하는 절삭유 배출구(14)가 형성되는 제1차 정제장치(10);
    상기 제1차 정제장치(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차 정제장치(10)의 절삭유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절삭유를 내부에 수용하는 더티탱크(20);
    하부는 상기 더티탱크(20)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부는 제2차 정제장치(40)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더티탱크(20)에 수용된 절삭유를 상기 제2차 정제장치(40)로 안내하는 제1공급배관(31)과, 상기 제1공급배관(31) 상에 형성되어 상기 더티탱크(20)에 수용된 절삭유를 상기 제1공급배관(31)을 통해 상기 제2차 정제장치(40)로 강제 유통시키는 공급펌프(32)를 포함하는 공급부(30);
    일측에는 상기 제1공급배관(31)을 통해 공급되는 절삭유가 유입되는 입구(4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유입된 절삭유에 잔존하는 금속칩을 자석의 자력을 통해 집진 제거하는 정제수단(42)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상기 정제수단(42)을 통해 집진된 금속칩을 배출하는 칩 배출구(43)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정제수단(42)을 통해 2차 정제된 절삭유를 배출하는 절삭유 배출구(44)가 형성되는 제2차 정제장치(40);
    상기 제2차 정제장치(40)의 칩 배출구(43)를 통해 배출되는 미세한 금속칩을 수거하여 상기 제1차 정제장치(10)로 안내하는 안내배관(50);
    상기 제2차 정제장치(40)의 절삭유 배출구(44)를 통해 배출되는 절삭유를 클린탱크(70)로 공급하는 제2공급배관(60); 및
    상기 제2차 정제장치(4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공급배관(60)을 통해 공급되는 정화된 절삭유를 수용 저장하는 클린탱크(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차 정제장치(40)를 통해 정제된 절삭유가 유통되는 상기 제2공급배관(60) 상에 형성되어 절삭유에 냉각시키는 동시에, 절삭유에 잔존할 수 있는 미세한 금속칩을 집진하는 보조 냉각 및 집진수단(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조 냉각 및 집진수단(90)은 상기 제2공급배관(6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2공급배관(60)을 유통하는 절삭유가 체류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보조탱크(91)와, 하부는 상기 보조탱크(91)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보조탱크(91)를 거쳐가는 절삭유와 접촉되고, 상부에는 방열판(92a)이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공급배관(60)을 유통하는 절삭유의 열원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재(92)와, 상기 방열부재(92)의 내부에 내입되어 상기 방열부재(92)의 하부 표면으로 절삭유에 잔존하는 미세한 금속칩이 자력을 통해 집진되도록 하되, 상기 방열판(92a)에 결합되는 보조 집진자석과(93), 상기 방열판(92a)의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9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80584A 2020-12-22 2020-12-22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 KR102310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584A KR102310359B1 (ko) 2020-12-22 2020-12-22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584A KR102310359B1 (ko) 2020-12-22 2020-12-22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359B1 true KR102310359B1 (ko) 2021-10-07

Family

ID=78114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584A KR102310359B1 (ko) 2020-12-22 2020-12-22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3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027A1 (ko) * 2022-01-26 2023-08-03 일화마그매직 주식회사 순환식 절삭유 정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7175U (ja) * 1998-08-31 1999-03-30 株式会社シイエヌケイ タンデム式磁気分離器使用によるクーラント 清浄化システム
JP2003117769A (ja) * 2001-10-16 2003-04-23 Cnk:Kk クーラント清浄装置
KR100757079B1 (ko) * 2007-02-15 2007-09-19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가공유 재생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7175U (ja) * 1998-08-31 1999-03-30 株式会社シイエヌケイ タンデム式磁気分離器使用によるクーラント 清浄化システム
JP2003117769A (ja) * 2001-10-16 2003-04-23 Cnk:Kk クーラント清浄装置
KR100757079B1 (ko) * 2007-02-15 2007-09-19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가공유 재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027A1 (ko) * 2022-01-26 2023-08-03 일화마그매직 주식회사 순환식 절삭유 정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421B1 (ko) 더티액 처리 장치
KR102310359B1 (ko) 이중 구조를 갖는 절삭유 정제장치
CN105413291A (zh) 分流式切削液过滤装置
US10493384B2 (en) Filtration system
JP3952160B2 (ja) 切削液ろ過装置
KR102299523B1 (ko) 다축 공작기계용 절삭유 순환장치
KR102092366B1 (ko) 절삭유 기름 정제장치
CN105413292A (zh) 切削液过滤装置
JP7343325B2 (ja) 廃液処理装置
KR102208548B1 (ko) 절삭유 기름 정제장치
JP3497957B2 (ja) 工作機械の切削液供給装置
JP5779083B2 (ja) 加工廃液処理装置
JP2005066820A (ja) ダーティー液処理装置およびダーティー液処理システム
JPWO2005113449A1 (ja) 水浄化装置
KR20080069012A (ko) 쿨런트 오일 내의 칩을 분리하여 자동 배출하기 위한 장치
CN208094943U (zh) 一种具有清洁装置的电源盒
CN218613133U (zh) 一种水冷式电动攻丝装置
KR102546743B1 (ko) 순환식 절삭유 정제 장치
KR200389257Y1 (ko) 절삭유 정제 필터구조
CN220993782U (zh) 一种切削液循环利用的防堵塞加工中心
CN205435139U (zh) 分流式切削液过滤装置
JP2004322214A (ja) 加工液処理装置
CN214393447U (zh) 一种超精密数控加工中心
KR200188003Y1 (ko) 절삭유 여과장치
US2765916A (en) Waste-processing means for a machine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