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303B1 -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0303B1 KR102310303B1 KR1020210085912A KR20210085912A KR102310303B1 KR 102310303 B1 KR102310303 B1 KR 102310303B1 KR 1020210085912 A KR1020210085912 A KR 1020210085912A KR 20210085912 A KR20210085912 A KR 20210085912A KR 102310303 B1 KR102310303 B1 KR 1023103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uting device
- self
- module
- camera
- dat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04N5/23206—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5—Detecting local intrusion or implementing counter-measures
- G06F21/56—Computer malware detection or handling, e.g. anti-virus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68—Morphological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Virology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팅 장치와 연결된 리모컨을 이용하여 카메라를 제어하여 셀프 촬영 시 셀프 촬영 시스템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팅 장치와 연결된 리모컨을 이용하여 카메라를 제어하여 셀프 촬영 시 셀프 촬영 시스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셀프 사진촬영 기계는 혼자서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계로, 종래의 셀프 사진촬영 기계는 촬영을 제어하는 촬영기몸체, 상기 전방 일측에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촬영기 몸체 전면에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촬영기 몸체 일측면에 사용요금을 결제하는 요금결제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측에 촬영시 빛을 가려주고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덮개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셀프 사진촬영 기계는 돈을 요금결제부에 넣어 결제한 후 카메라 앞에 서서 사진을 찍은 뒤 디스플레이부로 촬영상태를 확인하고 가장 잘 찍어진 사진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또한, 최근에는 리모컨을 카메라에 연결하여 카메라의 촬영 각도, 촬영 시점 등을 조절함으로써 편의성이 향상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셀프 촬영 시스템은 리모컨과 컴퓨팅 장치가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아 컴퓨팅 장치에 구비된 셀프 촬영 시스템(소프트웨어)이 멈추거나 오동작하는 경우가 빈번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컴퓨팅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리모컨을 이용하여 카메라를 제어함으로써 셀프 촬영 시 셀프 촬영 시스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은 컴퓨팅 장치와 연결된 리모컨을 이용하여 카메라를 제어하여 셀프 촬영 시 셀프 촬영 시스템의 오작동을 방지한다.
상기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은,
본체부; 및 리모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셀프 촬영 과정을 제어하는 컴퓨팅 장치;
상기 컴퓨팅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컴퓨팅 장치의 제어에 따라 촬영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컴퓨팅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생성된 촬영영상 및 상기 컴퓨팅 장치에 의해 촬영영상에 대한 편집 과정을 화상정보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컴퓨팅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출력하는 프린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리모컨부는,
상기 컴퓨팅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컴퓨팅 장치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촬영영상에 대한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사진 편집부;
상기 사진 편집부에 의해 편집된 촬영영상을 사용자별 이메일 계정으로 전송하는 온라인 전송부;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수신된 촬영영상 및 상기 사진 편집부에 의해 편집된 촬영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온라인 전송부는,
촬영 대상별로 서로 다른 편집 효과가 적용된 촬영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온라인 전송부는,
촬영 대상별로 서로 다른 편집 효과가 적용된 촬영영상을 사용자별로 입력된 이메일 계정으로 자동으로 분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수신된 편집 데이터 중 비정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비정상 데이터 도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정상 데이터 도출부는,
수집 대상 데이터 소스 모듈, 수집 대상 키워드 및 수집 대상 기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집 기준을 설정하는 수집 관리 모듈;
수집 관리 모듈로부터 설정 받은 데이터 수집 기준에 따라 해당 데이터 소스 모듈로부터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빅데이터의 형태소를 분석하여 형태소 별로 구분하고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형태소 분석 모듈; 및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분산 병렬 처리 기반의 통계분석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통계값을 산출하고 통계값에 따라 악성코드를 출력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을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리모컨을 이용하여 카메라를 제어함으로써 셀프 촬영 시 셀프 촬영 시스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이 구현된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자별 편집 이미지를 생성하는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이 구현된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자별 편집 이미지를 생성하는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영 시스템을 구성하는 본체부가 실제 구현된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은 사용자가 셀프 촬영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장치로, 컴퓨팅 장치와 연결된 리모컨을 이용하여 카메라를 제어하여 셀프 촬영 시 셀프 촬영 시스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1000)은 본체부(100)와 리모컨(200)을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셀프 촬영 장치로, 셀프 촬영 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규정하는 하우징 내부에 컴퓨팅 장치(110), 카메라 모듈(120), 디스플레이 모듈(130) 및 프린터 모듈(1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컴퓨팅 장치(110)는 셀프 촬영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 외부 기기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정보의 입출력 및 처리가 가능한 PC 등과 같은 장치이다.
이러한 컴퓨팅 장치(110)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1000)을 이용한 셀프 촬영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컴퓨팅 장치에 미리 설치된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0)은 상기 컴퓨팅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컴퓨팅 장치의 제어에 따라 촬영영상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 모듈(120)은 촬영 렌즈가 본체부(100)로부터 노출되어 사용자가 서 있는 방향 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상기 컴퓨팅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생성된 촬영영상 및 상기 컴퓨팅 장치에 의해 촬영영상에 대한 편집 과정을 화상정보로 출력한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사용자가 자신이 촬영한 셀프 촬영 영상 및 생성된 촬영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화상정보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셀프 촬영 영상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화상 정보를 출력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모니터) 혹은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프린터 모듈(140)은 상기 컴퓨팅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 또는 컴퓨팅 장치(110)에 의해 편집된 촬영영상을 출력한다. 이러한 프린터 모듈(140)은 종래의 사진 인화에서 사용되는 사진 인화용 프린터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00)는 컴퓨팅 장치(110)에 의해 전반적인 동작이 제어되며,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아 촬영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촬영영상을 편집하여 오프라인 형태의 사진으로 출력하거나 촬영영상을 이메일 등과 같은 온라인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리모컨부(200)는 이러한 본체부(100)에 마련된 컴퓨팅 장치(110)를 원격으로 조작하는 장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리모컨과 컴퓨팅 장치가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고 리모컨이 카메라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 컴퓨팅 장치에 구비된 셀프 촬영 시스템(소프트웨어)이 멈추거나 오동작하는 경우가 빈번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본원 발명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1000)은 리모컨이 컴퓨팅 장치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컴퓨팅 장치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컴퓨팅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더욱 다양한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110)의 세부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10)는 사진 편집부(111), 온라인 전송부(112), 오프라인 출력부(113) 및 데이터 저장부(114)를 포함한다.
사진 편집부(111)는 카메라 모듈(120)에 의해 생성된 촬영영상에 대한 편집(꾸미기)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컴퓨팅 장치(110)에는 복수의 편집용 객체가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진 편집부(111)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복수의 편집용 객체 중 자신이 선호나는 편집용 객체를 선택하여 촬영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컴퓨팅 장치(110)와 연결된 리모컨(200)을 이용하여 이러한 편집 기능을 본체부(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위치에서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셀프 촬영영상을 촬영한 후 이를 편집하더라도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가리지 않게 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사진 편집부(111)는 촬영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감지하여 하나의 촬영영상에 복수의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별 편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촬영영상 두 명의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사진 편집부(111)는 감지된 사용자별로 편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촬영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편집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편집부(111)는 하나의 촬영영상으로부터 제1 사용자(좌측) 맞춤형 편집영상인 제1 편집 이미지와, 제2 사용자(우측) 맞춤형 편집영상이 제2 편집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진 편집부(111)는 제1 시간 구간 동안은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편집용 객체들을 이용하여 제1 편집 이미지를 생성하고, 제1 시간 구간 이후인 제2 시간 구간 동안에는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편집용 객체들을 이용하여 제2 편집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진 편집부(111)는 사용자별 이메일 주소에 대한 정보를 함께 입력받을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사진 편집부(111)는 제1 사용자를 위한 제1 편집 이미지와, 제2 사용자를 위한 제2 편집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편집부(111)는 하나의 촬영영상으로부터 제1 사용자 객체를 강조한 제1 편집 이미지와 제2 사용자 객체를 강조한 제2 편집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한 후, 제1 시간 구간 동안은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편집용 객체들을 이용하여 제1 편집 이미지를 부가적으로 편집하고, 제1 시간 구간 이후인 제2 시간 구간 동안에는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편집용 객체들을 이용하여 제2 편집 이미지를 부가적으로 편집할 수 있다.
온라인 전송부(112)는 사진 편집부에 의해 편집된 촬영영상을 사용자별 이메일 계정으로 전송한다.
이 과정에서, 온라인 전송부(112)는 사용자별로 입력된 이메일 주소로 사용자 맞춤형으로 편집된 편집 이미지를 자동으로 분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온라인 전송부(112)는 제1 사용자 맞춤형으로 제작된 제1 편집 이미지는 제1 이메일 주소로만 전송하고, 제2 사용자 맞춤형으로 제작된 제2 편집 이미지는 제2 이메일 주소로만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사진 전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오프라인 출력부(113)는 상기 사진 편집부에 의해 편집된 촬영영상이 상기 프린터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데이터 저장부(114)는 복수의 편집용 객체, 사용자 정보(이메일, 전화번호 등),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수신된 촬영영상 및 상기 사진 편집부에 의해 편집된 촬영영상을 저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은 촬영 대상별로 서로 다른 편집 효과가 적용된 촬영영상을 사용자별로 입력된 이메일 계정으로 자동으로 분류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리모컨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편의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는 수집 대상 데이터 소스 모듈, 수집 대상 키워드 및 수집 대상 기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집 기준을 설정하는 수집 관리 모듈; 수집 관리 모듈로부터 설정 받은 데이터 수집 기준에 따라 해당 데이터 소스 모듈로부터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빅데이터의 형태소를 분석하여 형태소 별로 구분하고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형태소 분석 모듈; 및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분산 병렬 처리 기반의 통계분석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통계값을 산출하고 통계값에 따라 악성코드를 출력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을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비정상 데이터 도출 시스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입력된 편집용 텍스트 데이터에 비정상적인 텍스트 데이터(욕설 등)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수집부는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의미를 갖는 형태소별로 구분한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저장하는 분산 파일 시스템; 상기 분산 파일 시스템에 존재하는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을 기반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가상화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가 제공하는 가상화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계분석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상기 형태소 분석 데이터로부터 연도별 출현빈도수(instance frequencies), 연도별 단어-단어 간 동시 출연 건수, 연도별 출현빈도수 및 연도별 단어-단어 간 동시 출현 건수로부터 가공된 값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산출하는 통계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계 분석부는, 상기 통계 분석부는 상기 연도별 출현건수(instance frequencies) 및 단어-단어간 동시 발생건수에 기초하여 단어 별 발생건수 증가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계 분석부는, 상기 연도별 출현건수(instance frequencies)를 연도별 문서수로 나누어 문서당 상기 단어들의 연도별 출현 빈도수를 표준화하여 상기 단어들에 대한 표준화된 단어 별 출현 빈도수 증가율을 산 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계 분석부는, 상기 단어-단어간 동시발생건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단어 별 연결 정도 중심성 증가율을 산출하고, 상기 표준화된 단어 별 출현 빈도수 증가율 및 상기 연결 정도 중심성 증가율이 상위 일정 부분 이상인 단어 또는 하위 일정 부분 이하인 단어를 악성코드로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은, 이미지, 동영상, 음성, 센서, GPS, GIS, M2M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비정형 데이터를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퓨터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비정상 데이터 도출 시스템을 통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악의적인 목적으로 작성된 텍스트 데이터를 사전에 필터링함으로써 편집 결과물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셀프촬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본체부
200: 리모컨
110: 컴퓨팅 장치
120: 카메라 모듈
130: 디스플레이 모듈
140: 프린터 모듈
200: 리모컨
110: 컴퓨팅 장치
120: 카메라 모듈
130: 디스플레이 모듈
140: 프린터 모듈
Claims (4)
- 컴퓨팅 장치와 연결된 리모컨을 이용하여 카메라를 제어하여 셀프 촬영 시 셀프 촬영 시스템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은,
본체부; 및 리모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셀프 촬영 과정을 제어하는 컴퓨팅 장치;
상기 컴퓨팅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컴퓨팅 장치의 제어에 따라 촬영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컴퓨팅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생성된 촬영영상 및 상기 컴퓨팅 장치에 의해 촬영영상에 대한 편집 과정을 화상정보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컴퓨팅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출력하는 프린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리모컨부는,
상기 컴퓨팅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컴퓨팅 장치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촬영영상에 대한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사진 편집부;
상기 사진 편집부에 의해 편집된 촬영영상을 사용자별 이메일 계정으로 전송하는 온라인 전송부;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수신된 촬영영상 및 상기 사진 편집부에 의해 편집된 촬영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온라인 전송부는,
촬영 대상별로 서로 다른 편집 효과가 적용된 촬영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촬영 대상별로 서로 다른 편집 효과가 적용된 촬영영상을 사용자별로 입력된 이메일 계정으로 자동으로 분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수신된 편집 데이터 중 비정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비정상 데이터 도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정상 데이터 도출부는,
수집 대상 데이터 소스 모듈, 수집 대상 키워드 및 수집 대상 기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집 기준을 설정하는 수집 관리 모듈;
수집 관리 모듈로부터 설정 받은 데이터 수집 기준에 따라 해당 데이터 소스 모듈로부터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빅데이터의 형태소를 분석하여 형태소 별로 구분하고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형태소 분석 모듈; 및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분산 병렬 처리 기반의 통계분석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통계값을 산출하고 통계값에 따라 악성코드를 출력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5912A KR102310303B1 (ko) | 2021-06-30 | 2021-06-30 |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5912A KR102310303B1 (ko) | 2021-06-30 | 2021-06-30 |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10303B1 true KR102310303B1 (ko) | 2021-10-06 |
Family
ID=7807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5912A KR102310303B1 (ko) | 2021-06-30 | 2021-06-30 |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030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07559B1 (ko) * | 2023-01-06 | 2023-11-29 |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 클라우드 기반의 유저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키오스크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1664A (ko) | 2007-05-09 | 2009-01-09 | 박경열 |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스티커 사진 무선 인화서비스시스템 |
KR20180072086A (ko) * | 2016-12-21 | 2018-06-29 | 전자부품연구원 | 라이프스타일 분석 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2209717B1 (ko) * | 2019-10-23 | 2021-01-29 | 조영일 | 셀프 촬영 장치 및 셀프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 |
-
2021
- 2021-06-30 KR KR1020210085912A patent/KR10231030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1664A (ko) | 2007-05-09 | 2009-01-09 | 박경열 |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스티커 사진 무선 인화서비스시스템 |
KR20180072086A (ko) * | 2016-12-21 | 2018-06-29 | 전자부품연구원 | 라이프스타일 분석 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2209717B1 (ko) * | 2019-10-23 | 2021-01-29 | 조영일 | 셀프 촬영 장치 및 셀프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07559B1 (ko) * | 2023-01-06 | 2023-11-29 |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 클라우드 기반의 유저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키오스크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97502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bulk redaction of recorded data | |
KR102597680B1 (ko) | 맞춤형 화질 이미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CN107205125B (zh) |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CN105518712B (zh) | 基于字符识别的关键词通知方法及设备 | |
US10635932B2 (en) | Database systems and user interfaces for dynamic and interactive mobile image analysis and identification | |
CN108961157B (zh) | 图片处理方法、图片处理装置及终端设备 | |
US20110129120A1 (en) | Processing captured images having geolocations | |
KR20210036955A (ko) | 동작 인식 방법 및 장치, 운전자 상태 해석 방법 및 장치 | |
US9639778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 |
US11170520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analyzing an image to detect an object within the image | |
KR102310303B1 (ko) | 컴퓨팅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촬영 시스템 | |
KR20220043004A (ko) | 차폐된 이미지 검출 방법, 장치 및 매체 | |
CN116048961A (zh) | 摄像头模组接入应用系统的处理方法、装置、设备和介质 | |
JP6241505B2 (ja) | 管理サーバ、情報処理端末、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20140134844A (ko) | 객체 기반 사진 촬영 방법 및 장치 | |
EP3385872A1 (en) | Anti-counterfeiting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apparatus based on invalid map data | |
US20140313388A1 (en) |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 |
JP2020115327A (ja) | 拡張現実の文書編集 | |
KR102599525B1 (ko) | 관심 이미지의 시인성을 개선한 화면 표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CN111382612A (zh) | 动物面部检测方法及装置 | |
KR20130104483A (ko) | 객체를 분할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방법 및 장치 | |
US20210089668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 |
US20230162337A1 (en) | Real time local filtering of on-screen images | |
US20230169770A1 (en) | Methods and device for video data analysis | |
CN117130508A (zh) | 笔记记录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