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262B1 -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심전도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심전도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262B1
KR102310262B1 KR1020200028018A KR20200028018A KR102310262B1 KR 102310262 B1 KR102310262 B1 KR 102310262B1 KR 1020200028018 A KR1020200028018 A KR 1020200028018A KR 20200028018 A KR20200028018 A KR 20200028018A KR 102310262 B1 KR102310262 B1 KR 102310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hest
electrocardiogram
patient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2683A (ko
Inventor
박의준
홍한비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28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262B1/ko
Priority to PCT/KR2021/002725 priority patent/WO2021177770A1/ko
Publication of KR20210112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0Input circuits therefor
    • A61B5/303Patient cord assembly, e.g. cable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6ECG or EE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282Holders for multiple electrod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66Operational features for monitoring or limiting apparatus function
    • A61B2560/028Arrangements to prevent overuse, e.g. by counting the number of uses
    • A61B2560/0285Apparatus for sing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22Arrangements of medical sensors with cables or leads; Connectors or couplings specifically adapted for medical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심전도 측정 시스템으로서, 환자의 흉부로부터 흉부 심전도를 측정하는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 상기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전달받는 소형의 무선통신기; 및 상기 무선통신기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심전도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고, 상기 수신한 심전도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심전도 신호를 중앙 서버에 송신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는,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이 일체로 구성된 일회용 패드인 전극 일체형 패드; 및 상기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에서 측정된 심전도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기에 전달하며 단일한 선으로 구성된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일체형 패드는, 환자의 흉부에 부착되는 부착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및 환자의 흉부 심전도 측정을 위한 부위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배치된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심전도 측정 방법으로서, (1)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이 일체로 구성된 일회용 패드인 전극 일체형 패드가 환자의 흉부에 부착되는 단계; (2) 상기 환자의 흉부에 부착된 전극 일체형 패드에 심전도 신호 전달을 위한 단일한 선으로 된 케이블을 연결하여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를 환자에 설치하는 단계; (3) 상기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심전도 신호를 소형의 무선통신기가 전달받는 단계; 및 (4) 휴대 단말기가 상기 무선통신기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심전도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고, 상기 수신한 심전도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심전도 신호를 중앙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는,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이 일체로 구성된 일회용 패드인 전극 일체형 패드; 및 상기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에서 측정된 심전도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기에 전달하며 단일한 선으로 구성된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일체형 패드는, 환자의 흉부에 부착되는 부착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및 환자의 흉부 심전도 측정을 위한 부위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배치된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심전도 측정 방법에 따르면, 소형의 무선통신기가 환자의 흉부로부터 심전도를 측정하는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전달받아 무선 통신으로 휴대 단말기에 송신함으로써, 부피와 무게가 큰 센트럴 유닛 없이도 이동이 가능한 소형의 무선통신기로 간소하게 심전도를 측정하고, 휴대 단말기를 통해 의료진 등이 현장에서 즉시 심전도 파형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심전도 측정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이 일체로 구성된 전극 일체형 패드를 이용해, 신속하고 편리하게 환자의 흉부에 흉부 유도 전극을 부착할 수 있으며, 단일한 선으로 구성된 케이블로 전극 일체형 패드와 무선통신기 사이를 연결해 여러 개의 긴 선을 제거하여 선 꼬임 또는 선 엉킴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사지 유도 전극과 연결된 길이가 긴 사지 유도선을 자동 감김 장치를 통해 일정 길이로 고정하거나 자동으로 감기도록 구성된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사지 유도선의 길이를 자동 감김 장치를 통해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심전도 측정 방법{ECG MEASURING SYSTEM AND ECG MEASURING METHOD CONNECTED TO MOBILE DEVICES}
본 발명은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심전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심전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심전도 측정은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등의 관동맥 질환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부정맥이나 전해질 이상 등을 진단하고, 또한 수술 중의 심장 이상의 유무를 조사, 확인하는 데 그 응용 분야가 넓으며 심장질환의 진단학상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심전도는 근전도, 뇌파, 생체 임피던스 신호와 더불어 대표적인 생체 전기 신호로서, 피검사자의 건강상태를 비관혈적(non-invasive)인 방법으로 진단하는 데 가장 기본이 되는 신호이며, 심전도는 호흡 신호와 함께 가장 기본이 되는 바이탈 신호로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심전도는 피부에 전극을 부착하여 심장의 전기활동을 기록하는 것으로, 전극들은 심장이 뛸 때마다 심근의 탈분극, 재분극에 의해 발생하는 작은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파형의 형태로 나타낸다. 심전도 측정 시스템은, 센트럴 유닛(central unit)과 그에 선으로 연결된 다수의 전극으로 구성되며 전극의 개수에 따라 3유도, 5유도, 12유도 심전도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심전도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심전도는 12유도 심전도이며, 표준 12유도 심전도는 사지(우측 팔 (RA), 좌측 팔 (LA), 우측 다리 (RL) 및 좌측 다리 (LL))와 흉부(v1, v2, v3, v4, v5, v6)에 총 10개의 전극을 부착하여 사용한다.
도 2는 심전도 측정에 사용되는 전극 및 연결선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전도 측정에 사용되는 선들이 길고 복잡하기 때문에, 심전도 측정 시 가장 흔히 발생하는 불편함이 센트럴 유닛과 전극을 연결하는 선들이 서로 엉키는 것이다.
병원에서 심전도가 가장 자주 쓰이는 공간은 심전도실 뿐 아니라 병실과 응급실도 포함된다. 응급상황에 대한 빠른 처치는 환자의 응급상황 이후의 삶의 질을 좌우하며, 특히 응급상황 발생 시 환자의 심전도를 측정하여 환자의 상태를 신속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선이 엉키는 사소한 문제는 검사 시간을 지체시켜 응급 환자를 제때에 처치하지 못하는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선 꼬임 또는 엉킴이 없도록 심전도 시스템을 간소화하여, 부피 및 무게가 큰 센트럴 유닛을 옮길 필요 없이 쉽게 사용하고, 의료진 등이 센트럴 유닛 없이도 현장에서 즉시 심전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1823호(발명의 명칭: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심전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등록일자: 2020.01.07.)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소형의 무선통신기가 환자의 흉부로부터 심전도를 측정하는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전달받아 무선 통신으로 휴대 단말기에 송신함으로써, 부피와 무게가 큰 센트럴 유닛 없이도 이동이 가능한 소형의 무선통신기로 간소하게 심전도를 측정하고, 휴대 단말기를 통해 의료진 등이 현장에서 즉시 심전도 파형을 확인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심전도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이 일체로 구성된 전극 일체형 패드를 이용해, 신속하고 편리하게 환자의 흉부에 흉부 유도 전극을 부착할 수 있으며, 단일한 선으로 구성된 케이블로 전극 일체형 패드와 무선통신기 사이를 연결해 여러 개의 긴 선을 제거하여 선 꼬임 또는 선 엉킴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사지 유도 전극과 연결된 길이가 긴 사지 유도선을 자동 감김 장치를 통해 일정 길이로 고정하거나 자동으로 감기도록 구성된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사지 유도선의 길이를 자동 감김 장치를 통해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심전도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은,
심전도 측정 시스템으로서,
환자의 흉부로부터 흉부 심전도를 측정하는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
상기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전달받는 소형의 무선통신기; 및
상기 무선통신기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심전도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고, 상기 수신한 심전도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심전도 신호를 중앙 서버에 송신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는,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이 일체로 구성된 일회용 패드인 전극 일체형 패드; 및
상기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에서 측정된 심전도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기에 전달하며 단일한 선으로 구성된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일체형 패드는,
환자의 흉부에 부착되는 부착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및 환자의 흉부 심전도 측정을 위한 부위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배치된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 단말기는,
휴대용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이며,
상기 출력한 심전도 신호에 대한 확인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중앙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심전도 신호를 수신해 심전도 파형을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보안 인증이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상기 심전도 파형을 출력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통신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상기 심전도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 단말기는,
보안 인증에 성공 후, 상기 무선통신기를 페어링하여 등록하며, 페어링하여 등록된 상기 무선통신기로부터 상기 심전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환자의 우측 팔(RA), 좌측 팔(LA), 우측 다리(RL) 및 좌측 다리(LL)로부터 사지 유도 심전도를 측정하는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는,
12 유도 심전도 측정 시, 우측 팔(RA), 좌측 팔(LA), 우측 다리(RL) 및 좌측 다리(LL)로부터 각각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4개의 사지 유도 전극;
일단이 상기 사지 유도 전극과 각각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사지 유도 전극에서 측정된 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를 구비한 4개의 사지 유도선; 및
상기 사지 유도선이 각각 감겨서 보관되는 4개의 자동 감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동 감김 장치는,
상기 사지 유도 전극과 연결된 사지 유도선이 감겨서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사지 유도선을 감는 회전하는 휠; 및
인출되는 사지 유도선을 일정 길이에 고정시키고, 상기 휠의 회전을 통해 사지 유도선을 감기 위한 자동 감김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통신기는,
상기 사지 유도 전극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 일체형 패드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에 각각 연결되어 측정된 심전도 신호를 상기 케이블에 전달하고, 상기 베이스에 내장된 복수의 전극 연결선; 및
상기 복수의 전극 연결선의 타단이 집속되고,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연결 소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방법은,
심전도 측정 방법으로서,
(1)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이 일체로 구성된 일회용 패드인 전극 일체형 패드가 환자의 흉부에 부착되는 단계;
(2) 상기 환자의 흉부에 부착된 전극 일체형 패드에 심전도 신호 전달을 위한 단일한 선으로 된 케이블을 연결하여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를 환자에 설치하는 단계;
(3) 상기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심전도 신호를 소형의 무선통신기가 전달받는 단계; 및
(4) 휴대 단말기가 상기 무선통신기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심전도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고, 상기 수신한 심전도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심전도 신호를 중앙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는,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이 일체로 구성된 일회용 패드인 전극 일체형 패드; 및
상기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에서 측정된 심전도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기에 전달하며 단일한 선으로 구성된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일체형 패드는,
환자의 흉부에 부착되는 부착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및 환자의 흉부 심전도 측정을 위한 부위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배치된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 단말기는,
휴대용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이며,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출력한 심전도 신호에 대한 확인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중앙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심전도 신호를 수신해 심전도 파형을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보안 인증이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상기 심전도 파형을 출력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통신기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상기 심전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 단말기는,
보안 인증에 성공 후, 상기 무선통신기를 페어링하여 등록하며, 페어링하여 등록된 상기 무선통신기로부터 상기 심전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 이전에는,
(2.5) 환자의 우측 팔(RA), 좌측 팔(LA), 우측 다리(RL) 및 좌측 다리(LL)에 4개의 사지 유도 전극을 연결해 사지 유도 심전도를 측정하는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를 환자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사지 유도 심전도 신호를 소형의 무선통신기가 전달받고,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무선통신기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12유도 심전도를 수신 및 처리하고, 상기 수신한 심전도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심전도 신호를 중앙 서버에 송신하며,
상기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는,
12 유도 심전도 측정 시, 우측 팔(RA), 좌측 팔(LA), 우측 다리(RL) 및 좌측 다리(LL)로부터 각각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4개의 사지 유도 전극;
일단이 상기 사지 유도 전극과 각각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사지 유도 전극에서 측정된 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를 구비한 4개의 사지 유도선; 및
상기 사지 유도선이 각각 감겨서 보관되는 4개의 자동 감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동 감김 장치는,
상기 사지 유도 전극과 연결된 사지 유도선이 감겨서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사지 유도선을 감는 회전하는 휠; 및
인출되는 사지 유도선을 일정 길이에 고정시키고, 상기 휠의 회전을 통해 사지 유도선을 감기 위한 자동 감김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통신기는,
상기 사지 유도 전극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 일체형 패드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에 각각 연결되어 측정된 심전도 신호를 상기 케이블에 전달하고, 상기 베이스에 내장된 복수의 전극 연결선; 및
상기 복수의 전극 연결선의 타단이 집속되고,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연결 소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심전도 측정 방법에 따르면, 소형의 무선통신기가 환자의 흉부로부터 심전도를 측정하는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전달받아 무선 통신으로 휴대 단말기에 송신함으로써, 부피와 무게가 큰 센트럴 유닛 없이도 이동이 가능한 소형의 무선통신기로 간소하게 심전도를 측정하고, 휴대 단말기를 통해 의료진 등이 현장에서 즉시 심전도 파형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심전도 측정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이 일체로 구성된 전극 일체형 패드를 이용해, 신속하고 편리하게 환자의 흉부에 흉부 유도 전극을 부착할 수 있으며, 단일한 선으로 구성된 케이블로 전극 일체형 패드와 무선통신기 사이를 연결해 여러 개의 긴 선을 제거하여 선 꼬임 또는 선 엉킴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사지 유도 전극과 연결된 길이가 긴 사지 유도선을 자동 감김 장치를 통해 일정 길이로 고정하거나 자동으로 감기도록 구성된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사지 유도선의 길이를 자동 감김 장치를 통해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심전도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심전도 측정에 사용되는 전극 및 연결선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에서,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의 전극 일체형 패드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에서,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의 케이블의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에서,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에서,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의 자동 감김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에서,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의 자동 감김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에서, 무선통신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400)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400)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10)은,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100), 무선통신기(300) 및 휴대 단말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200) 및 중앙 서버(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환자의 흉부로부터 흉부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이 일체로 구성된 일회용 패드인 전극 일체형 패드(110) 및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에서 측정된 심전도 신호를 무선통신기(300)에 전달하며 단일한 선으로 구성된 케이블(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200)는, 환자의 우측 팔(RA), 좌측 팔(LA), 우측 다리(RL) 및 좌측 다리(LL)로부터 사지 유도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200)는, 12 유도 심전도 측정 시, 우측 팔(RA), 좌측 팔(LA), 우측 다리(RL) 및 좌측 다리(LL)로부터 각각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사지 유도 전극(210), 일단이 사지 유도 전극(210)과 각각 연결되고, 타단에 사지 유도 전극(210)에서 측정된 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를 구비한 사지 유도선(220), 및 사지 유도선(220)이 각각 감겨서 보관되는 자동 감김 장치(230)를 각각 4개씩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통신기(300)는,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100)와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200)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전달받는 소형의 장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통신기(300)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소형으로 구성되며,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휴대 단말기(400)에 심전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기(300)는, 블루투스, NFC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으며, Wi-Fi,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 5G(5th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등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해 휴대 단말기(400)와 통신할 수 있다.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100),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200) 및 무선통신기(3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도 5 내지 10을 통해 각각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휴대 단말기(400)는, 무선통신기(300)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심전도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고, 수신한 심전도 신호를 출력하며, 심전도 신호를 중앙 서버(5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400)는, 휴대용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이며, 출력한 심전도 신호에 대한 확인 신호를 입력받아 중앙 서버(500)에 송신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400)를 통해 출력되는 심전도 신호를 확인한 의료진 등이 터치나 음성 입력 등으로 휴대 단말기(400)에 확인 신호를 입력하여, 중앙 서버(500)로 심전도 신호가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400)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10)에서, 휴대 단말기(400)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400)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10)의 휴대 단말기(400)는, 심전도 파형을 디스플레이로 출력할 수 있으며, 확인 버튼, 중앙 서버(500)로 심전도 신호를 송신하는 전송 버튼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400)에서는, 심전도 신호를 수신해 심전도 파형을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다. 의료진은 휴대 단말기(4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심전도 파형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400)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10)에서는,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100)와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200)를 크고 무거운 센트럴 유닛에 직접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휴대 또는 이동 가능하고(portable) 휴대 단말기(400)와 무선 통신을 하는 소형의 무선통신기(300)에 케이블(120)로 연결하고, 의료진이 늘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400)를 이용해 심전도 파형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긴급한 상황이나 이동이 불편한 환자의 심전도 측정이 필요할 때, 센트럴 유닛을 옮길 필요 없이, 이동이 쉽고 가벼운 소형의 무선통신기(300)를 환자 곁에 두고, 전극 일체형 패드(110) 및 케이블(120)을 이용해 간소하게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고, 측정 결과는 휴대용 태블릿 PC나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400)에서 구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400)에 구동된 애플리케이션은, 보안 인증이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심전도 파형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보안 인증은, 애플리케이션의 시작 시에 처리될 수 있으나, 무선통신기(300)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수신할 때 처리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휴대 단말기(400)는, 보안 인증에 성공 후, 무선통신기(300)를 페어링하여 등록하며, 페어링하여 등록된 무선통신기(300)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400)와 무선통신기(300)가 블루투스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400)에 무선통신기(300)를 페어링하여 등록할 때 보안 인증을 처리하도록 하고, 정상적으로 보안 인증이 처리된 경우에만 페어링 및 등록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허가된 의료진이 아닌 자가 임의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해 환자의 심전도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보안 인증은,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인증, 비밀코드나 패턴 등의 암호 인증, 지문, 동공, 정맥, 얼굴 인식 등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안 인증을 통해, 의료진 등 인증된 사람만 심전도 신호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심전도 신호와 같은 환자 개인의 의료정보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중앙 서버(500)는, 휴대 단말기(400)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할 수 있다. 중앙 서버(500)는, 종래의 센트럴 유닛의 역할을 할 수 있고, 병원의 원내 망과 연결된 환자 관리 서버일 수도 있다. 중앙 서버(500)는, 데이터베이스(111)에 여러 환자의 심전도 신호를 저장 및 관리하고, 환자의 심전도를 모니터에 출력하거나 종이에 출력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의료진들이 필요한 환자의 심전도 신호를 공유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400)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10)에서,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100)의 전극 일체형 패드(11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400)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10)의 전극 일체형 패드(110)는,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112)이 일체로 구성된 일회용 패드일 수 있다. 즉, 심전도 신호 측정을 위해 흉부에 부착되는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112)을 일회용 패드에 환자의 흉부 심전도 측정을 위한 부위에 대응되도록 배치하고, 전극 일체형 패드(110)를 환자 흉부의 적절한 위치에 부착함으로써, 한 번에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112)을 쉽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점착력 있는 일회용 패드를 이용함으로써,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전극 일체형 패드(110)는, 환자의 흉부에 부착되는 부착면을 포함하는 베이스(111), 및 환자의 흉부 심전도 측정을 위한 부위에 대응되도록 베이스(111)에 배치된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단이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112)에 각각 연결되어 측정된 심전도 신호를 케이블(120)에 전달하고, 베이스(111)에 내장된 복수의 전극 연결선(113), 및 복수의 전극 연결선(113)의 타단이 집속되고, 베이스(111)의 일단에 구비되며 케이블(120)과 연결되는 연결 소켓(11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111)는, 환자의 흉부에 부착되는 부착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112)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점착력 있는 부착면을 보호하도록 보호 필름을 부가하여, 환자의 흉부에 전극 일체형 패드(110)를 부착할 때, 보호 필름을 제거하고 부착면을 부착하도록 할 수 있다.
흉부 유도 전극(112)은, 환자의 흉부 심전도 측정을 위한 부위에 대응되도록 베이스(111)에 배치된 복수의 전극일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흉부 유도 전극(112)은, 12 유도 심전도 측정을 위한 6개의 전극 즉, 도 5에서 좌측부터 제1 전극 내지 제6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흉부 유도 전극(112)은, 환자의 4번째 늑간 우측 흉골연에 위치되는 제1 전극, 환자의 4번째 늑간 좌측 흉골연에 위치되는 제2 전극, 제2 전극과 하기 제4 전극의 중간에 위치되는 제3 전극, 환자의 5번째 늑간의 쇄골중간선(midclavicular line)에 위치되는 제4 전극, 제4 전극과 수평이며 전액와선(anterior axillary line)에 위치되는 제5 전극, 및 제4 전극과 수평이며 액와중간선(midaxillary line)에 위치되는 제6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일체형 패드(110)는, 6개의 흉부 유도 전극(112)이 환자의 흉부의 각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스트랩 형태 즉, 좁은 띠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흉부에 전극 일체형 패드(110)를 부착할 때, 각각의 흉부 유도 전극(112)의 위치와 부착 방향 등을 직관적으로 인지하여, 실수를 최소화하고 신속하게 부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 형태로 구현된 전극 일체형 패드(110)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상측 수평 부분, 제2 전극으로부터 우하향으로 제3 전극 및 제4 전극이 사선으로 배치되는 사선 부분, 및 제4 전극으로부터 제5 전극 및 제6 전극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하측 수평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전극 일체형 패드(110)는, 환자의 체격에 따라 선택 가능하도록 복수의 크기로 구성되며, 크기에 따라 환자의 흉부 심전도 측정을 위한 부위에 대응되도록 6개의 흉부 유도 전극(112)의 배치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 중, 소의 3가지 크기로 전극 일체형 패드(110)를 구비하여, 환자의 체격에 따라 대, 중, 소 중에서 어느 하나의 크기를 선택해, 흉부 유도 전극(112)이 환자 흉부의 적절한 위치에 대응되도록 전극 일체형 패드(110)를 부착할 수 있다.
케이블(120)은, 일단이 전극 일체형 패드(110)와 연결되고, 타단에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112)에서 측정된 심전도 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를 구비한 단일한 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케이블(120)을 흉부 유도 전극(112)과 각각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전극 일체형 패드(110)와 별도로 구성되며, 전극 일체형 패드(110) 또는 흉부 유도 전극(112)에 연결 가능한 형태의 단일한 케이블(120)로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케이블(120)은 단일한 선으로 구성하여, 종래에 센트럴 유닛과 전극을 연결하는 여러 개의 긴 선이 꼬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120)을 단일한 선으로 구성한다는 것은, 한 개의 선으로 구성됨을 의미할 수 있으나, 복수의 선이 결합되어 하나의 선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일체형 패드(110)는, 심전도 신호를 케이블(120)에 전달하기 위한 전극 연결선(113)을 전극 일체형 패드(110)에 내장하고, 전극 연결선(113)이 집속된 말단에 연결 소켓(114)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20)을 양단에 소켓이 구성된 단일한 선으로 구현하여, 일단은 전극 일체형 패드(110)의 연결 소켓(114)에, 타단은 무선통신기(300)에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 소켓(114)을 통해 케이블(120)과 전극 일체형 패드(110)를 한 번에 연결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케이블(120)을 단순화하여 선 꼬임 발생 가능성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흉부 유도 전극(112)은, 부착면에 위치하고, 환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흉부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측정부(미도시) 및 심전도 측정부와 연결되며, 베이스(111)를 통과하여 부착면의 반대 면으로 돌출되어 집게가 연결되는 전극 연결부(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극 연결부는 흉부 케이블(120)과 연결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400)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10)에서,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100)의 케이블(120)의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400)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10)에서,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100)의 케이블(120)은,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112)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집게를 포함하며, 복수의 집게는 단일한 선으로 구성된 케이블(120)에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분리된 복수의 분리 케이블의 말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분리 케이블이 결합해 하나의 선으로 구성된 케이블(120)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6개의 분리 케이블이 분리될 수 있고, 분리 케이블의 말단에 집게를 구비해 흉부 유도 전극(112)의 전극 연결부와 쉽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집게는, 색상이 서로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순서대로 빨강, 노랑, 녹색, 갈색, 검정, 보라 등으로 집게 색상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20)을 연결 소켓(114)을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흉부 유도 전극(112)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집게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400)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10)에서,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2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400)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10)의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200)는, 12 유도 심전도 측정 시, 우측 팔(RA), 좌측 팔(LA), 우측 다리(RL) 및 좌측 다리(LL)로부터 각각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4개의 사지 유도 전극(210), 일단이 사지 유도 전극(210)과 각각 연결되고, 타단에 사지 유도 전극(210)에서 측정된 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221)를 구비한 4개의 사지 유도선(220), 및 사지 유도선(220)이 각각 감겨서 보관되는 4개의 자동 감김 장치(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지 유도 전극(210)은, 12 유도 심전도 측정 시, 우측 팔(RA), 좌측 팔(LA), 우측 다리(RL) 및 좌측 다리(LL)로부터 각각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을 위해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지 유도 전극(210)은, 환자의 우측 팔(RA), 좌측 팔(LA), 우측 다리(RL) 또는 좌측 다리(LL)에 고정하기 위한 집게 형태로 구성된 고정부(211) 및 고정부(211)의 내면에 구비되며, 환자의 우측 팔(RA), 좌측 팔(LA), 우측 다리(RL) 또는 좌측 다리(LL)의 피부에 접촉하여 신호를 측정하는 접지판(2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환자의 양 손목 및 양 발목의 피부에 접지판(212)이 접촉되도록, 집게 형태로 구성된 고정부(211)를 이용해 고정시켜, 심전도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 형태로 두 개의 내면이 마주 보게 구성된 고정부(211)의 두 내면 중 한쪽에 접지판(212)이 구비될 수 있다.
사지 유도선(220)은, 일단이 사지 유도 전극(210)과 각각 연결되고, 타단에 사지 유도 전극(210)에서 측정된 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221)를 구비할 수 있으며, 4개의 사지 유도 전극(210)과 각각 연결되는 4개의 사지 유도선(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400)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10)에서,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200)의 자동 감김 장치(2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지 유도선(220)은 자동 감김 장치(230)에 감겨 보관될 수 있으며, 말단에 커넥터(22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사지 유도선(220)은 커넥터(221)를 무선통신기(300)에 연결하여, 사지 유도 전극(210)에서 측정된 심전도 신호가 무선통신기(300)를 거쳐 휴대 단말기(400)에 전달될 수 있다.
자동 감김 장치(230)는, 사지 유도선(220)이 각각 감겨서 보관되는 구성으로서, 4개의 사지 유도 전극(210)에 연결된 4개의 사지 유도선(220)이 각각 감겨서 보관되는 4개의 자동 감김 장치(23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지 유도 전극(210), 사지 유도선(220) 및 자동 감김 장치(230)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어, 양팔과 양다리를 위한 총 4개의 세트가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20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400)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10)에서,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200)의 자동 감김 장치(23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400)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10)에서,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200)의 자동 감김 장치(230)는, 사지 유도 전극(210)과 연결된 사지 유도선(220)이 감겨서 수용되는 케이스(231), 사지 유도선(220)을 감는 회전하는 휠(232), 및 인출되는 사지 유도선(220)을 일정 길이에 고정시키고, 휠(232)의 회전을 통해 사지 유도선(220)을 감기 위한 자동 감김 버튼(2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사지 유도선(220)의 인출 시 복원력을 보유하여 자동 감김 버튼(233)의 조작에 따라 보유된 복원력으로 휠(232)을 회전시켜 사지 유도선(220)을 감는 스프링(23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231)는, 사지 유도 전극(210)과 연결된 사지 유도선(220)이 감겨서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231)는, 내부에 수용된 사지 유도선(220)의 커넥터(221)가 구비된 말단이 인출될 수 있는 인출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인출구의 크기는 사지 유도선(220)의 입출이 자유로우면서 커넥터(221)는 케이스(231) 내부로 들어갈 수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231)의 형태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등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자동 감김 버튼(233)은, 원터치로 동작하여 스프링(234)의 복원력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며, 제1 동작 상태에서는 스프링(234)의 복원력이 활성화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사지 유도선(220)의 길이를 고정시키고, 제2 동작 상태에서는 스프링(234)의 복원력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여 휠(232)을 회전시켜 사지 유도선(220)을 감을 수 있다. 이때, 스프링(23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의 스프링(234)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자동 감김 장치(230)는, 사지 유도 전극(210)의 집게 형태 고정부(211)의 손잡이 부분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지 유도선(220)의 일단은 케이스(231)의 밖으로 연장되어 사지 유도 전극(210)의 접지판(212)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감김 장치(230)의 케이스(231) 내부에 감겨서 수용된 사지 유도선(220)이 사지 유도 전극(210)에서 측정된 신호를 커넥터(221)와 연결된 무선통신기(3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감김 장치(230)는, 사지 유도 전극(210)의 고정부(211)의 손잡이 부분의 외면에 부착되어, 자동 감김 버튼(233)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접지판(212)이 구비된 쪽의 손잡이 부분에 자동 감김 장치(230)가 부착되어, 사지 유도선(220)의 꼬임 등의 문제 없이 사지 유도 전극(210)에서 측정된 심전도 신호가 자동 감김 장치(230)의 사지 유도선(220)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400)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10)에서, 무선통신기(300)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400)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10)의 무선통신기(300)는, 4개의 커넥터 연결부(310)가 구비되며, 각각의 커넥터 연결부(310)에는 우측 팔(RA), 좌측 팔(LA), 우측 다리(RL) 및 좌측 다리(LL)가 표시되어,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200)로부터 환자의 양팔 및 양다리에서 측정된 사지 유도 심전도 신호가 정확히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기(300)는,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100)로부터 흉부 심전도 신호를 수신하는 흉부 케이블 연결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흉부 케이블 연결부(320)는 하나로 구성되어, 선 꼬임 없이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112)으로부터 한 번에 심전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통신기(300)는, 사지 유도 전극(210)이 거치되는 거치대(330)를 포함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감김 장치(230)에 사지 유도선(220)이 감긴 상태로 사지 유도 전극(210)을 거치대(330)에 거치할 수 있으므로,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하고 긴 사지 유도선(220)을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사지 유도선(220)의 꼬임이나 엉킴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400)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400)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방법은,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112)이 일체로 구성된 일회용 패드인 전극 일체형 패드(110)가 환자의 흉부에 부착되는 단계(S100), 환자의 흉부에 부착된 전극 일체형 패드(110)에 심전도 신호 전달을 위한 단일한 선으로 된 케이블(120)을 연결하여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100)를 환자에 설치하는 단계(S200),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100)에서 측정된 심전도 신호를 소형의 무선통신기(300)가 전달받는 단계(S300) 및 휴대 단말기(400)가 무선통신기(300)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심전도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고, 수신한 심전도 신호를 출력하며, 심전도 신호를 중앙 서버(500)에 송신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환자의 우측 팔(RA), 좌측 팔(LA), 우측 다리(RL) 및 좌측 다리(LL)에 4개의 사지 유도 전극(210)을 연결해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200)를 환자에 설치하는 단계(S25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400)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10) 및 심전도 측정 방법에 따르면, 소형의 무선통신기(300)가 환자의 흉부로부터 심전도를 측정하는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100)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전달받아 무선 통신으로 휴대 단말기(400)에 송신함으로써, 부피와 무게가 큰 센트럴 유닛 없이도 이동이 가능한 소형의 무선통신기(300)로 간소하게 심전도를 측정하고, 휴대 단말기(400)를 통해 의료진 등이 현장에서 즉시 심전도 파형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400)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10) 및 심전도 측정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112)이 일체로 구성된 전극 일체형 패드(110)를 이용해, 신속하고 편리하게 환자의 흉부에 흉부 유도 전극(112)을 부착할 수 있으며, 단일한 선으로 구성된 케이블(120)로 전극 일체형 패드(110)와 무선통신기(300) 사이를 연결해 여러 개의 긴 선을 제거하여 선 꼬임 또는 선 엉킴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사지 유도 전극(210)과 연결된 길이가 긴 사지 유도선(220)을 자동 감김 장치(230)를 통해 일정 길이로 고정하거나 자동으로 감기도록 구성된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200)를 포함함으로써, 사지 유도선(220)의 길이를 자동 감김 장치(230)를 통해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 발명에 따른 심전도 측정 시스템
100: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
110: 전극 일체형 패드
111: 베이스
112: 흉부 유도 전극
113: 전극 연결선
114: 연결 소켓
120: 케이블
200: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
210: 사지 유도 전극
211: 고정부
212: 접지판
220: 사지 유도선
221: 커넥터
230: 자동 감김 장치
231: 케이스
232: 휠
233: 자동 감김 버튼
234: 스프링
300: 무선통신기
310: 커넥터 연결부
320: 흉부 케이블 연결부
330: 거치대
400: 휴대 단말기
500: 중앙 서버
S100: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이 일체로 구성된 일회용 패드인 전극 일체형 패드가 환자의 흉부에 부착되는 단계;
S200: 환자의 흉부에 부착된 전극 일체형 패드에 심전도 신호 전달을 위한 단일한 선으로 된 케이블을 연결하여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를 환자에 설치하는 단계
S250: 환자의 우측 팔(RA), 좌측 팔(LA), 우측 다리(RL) 및 좌측 다리(LL)에 4개의 사지 유도 전극을 연결해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를 환자에 설치하는 단계
S300: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심전도 신호를 소형의 무선통신기가 전달받는 단계
S400: 휴대 단말기가 무선통신기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심전도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고, 수신한 심전도 신호를 출력하며, 심전도 신호를 중앙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Claims (20)

  1. 심전도 측정 시스템(10)으로서,
    환자의 흉부로부터 흉부 심전도를 측정하는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100);
    환자의 우측 팔(RA), 좌측 팔(LA), 우측 다리(RL) 및 좌측 다리(LL)로부터 사지 유도 심전도를 측정하는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200);
    상기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100) 및 상기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200)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전달받는 휴대 또는 이동 가능한 경량 소형의 무선통신기(300); 및
    상기 무선통신기(300)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심전도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고, 상기 수신한 심전도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심전도 신호를 중앙 서버(500)에 송신하는 휴대 단말기(400)를 포함하며,
    상기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112)이 일체로 구성된 일회용 패드인 전극 일체형 패드(110); 및
    상기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112)에서 측정된 심전도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기(300)에 전달하며 단일한 선으로 구성된 케이블(120)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일체형 패드(110)는,
    환자의 흉부에 부착되는 부착면을 포함하는 베이스(111), 환자의 흉부 심전도 측정을 위한 부위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111)에 배치된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112), 및 점착력 있는 상기 부착면을 보호하되 환자 흉부 부착 시 제거되는 보호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통신기(300)는,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400)에 상기 심전도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400)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해 상기 무선통신기(300)를 페어링하여 등록할 때 보안 인증을 처리하고, 보안 인증에 성공 후 상기 무선통신기(300)를 페어링하여 등록하며, 페어링하여 등록된 상기 무선통신기(300)로부터 상기 심전도 신호를 수신하여, 허가된 의료진이 아닌 자가 임의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해 환자의 심전도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도록 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400)는,
    휴대용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이며, 상기 무선통신기(300)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수신해 심전도 파형을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상기 출력한 심전도 신호에 대한 확인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중앙 서버(500)에 송신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시작 시 또는 상기 무선통신기(300)로부터 심전도 신호 수신 시에 보안 인증을 처리하고, 보안 인증이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상기 심전도 파형을 출력하며,
    상기 케이블(120)은,
    상기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112)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집게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집게는 단일한 선으로 구성된 케이블(120)에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분리된 6개의 분리 케이블의 말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집게는, 색상이 서로 상이하며,
    상기 흉부 유도 전극(112)은,
    상기 부착면에 위치하고, 상기 환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흉부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측정부; 및
    상기 심전도 측정부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111)를 통과하여 상기 부착면의 반대 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집게가 연결되는 전극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흉부 유도 전극(112)은,
    환자의 4번째 늑간 우측 흉골연에 위치되는 제1 전극, 환자의 4번째 늑간 좌측 흉골연에 위치되는 제2 전극, 제2 전극과 하기 제4 전극의 중간에 위치되는 제3 전극, 환자의 5번째 늑간의 쇄골중간선(midclavicular line)에 위치되는 제4 전극, 제4 전극과 수평이며 전액와선(anterior axillary line)에 위치되는 제5 전극, 및 제4 전극과 수평이며 액와중간선(midaxillary line)에 위치되는 제6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 내지 제6 전극이 환자의 흉부의 각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스트랩 형태이고,
    상기 전극 일체형 패드(110)는,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상측 수평 부분,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우하향으로 상기 제3 전극 및 제4 전극이 사선으로 배치되는 사선 부분, 및 상기 제4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5 전극 및 제6 전극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하측 수평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극 일체형 패드(110)는,
    환자의 체격에 따라 선택 가능하도록 대, 중, 소의 3가지 크기로 구성되며, 크기에 따라 환자의 흉부 심전도 측정을 위한 부위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전극 내지 제6 전극의 배치가 조절되며,
    상기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200)는,
    12 유도 심전도 측정 시, 우측 팔(RA), 좌측 팔(LA), 우측 다리(RL) 및 좌측 다리(LL)로부터 각각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4개의 사지 유도 전극(210);
    일단이 상기 사지 유도 전극(210)과 각각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사지 유도 전극(210)에서 측정된 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221)를 구비한 4개의 사지 유도선(220); 및
    상기 사지 유도선(220)이 각각 감겨서 보관되는 4개의 자동 감김 장치(230)를 포함하되,
    상기 사지 유도 전극(210)은,
    환자의 우측 팔(RA), 좌측 팔(LA), 우측 다리(RL) 또는 좌측 다리(LL)에 고정하기 위한 집게 형태로 구성된 고정부(211); 및
    상기 고정부(211)의 내면에 구비되며, 상기 환자의 우측 팔(RA), 좌측 팔(LA), 우측 다리(RL) 또는 좌측 다리(LL)의 피부에 접촉하여 신호를 측정하는 접지판(212)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 감김 장치(230)는,
    상기 사지 유도 전극(210)과 연결된 사지 유도선(220)이 감겨서 수용되는 케이스(231);
    상기 사지 유도선(220)을 감는 회전하는 휠(232); 및
    인출되는 사지 유도선(220)을 일정 길이에 고정시키고, 상기 휠(232)의 회전을 통해 사지 유도선(220)을 감기 위한 자동 감김 버튼(233)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 감김 장치(230)는,
    상기 사지 유도 전극(210)의 집게 형태 고정부(211) 중 상기 접지판(212)이 구비된 쪽의 손잡이 부분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자동 감김 버튼(233)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무선통신기(300)는,
    상기 사지 유도 전극(210)이 거치되는 거치대(330)를 포함하여, 상기 사지 유도 전극(210)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자동 감김 장치(230)에 사지 유도선(220)이 감긴 상태로 상기 사지 유도 전극(210)을 거치대(330)에 거치하여 보관 및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400)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1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심전도 측정 방법으로서,
    (1)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112)이 일체로 구성된 일회용 패드인 전극 일체형 패드(110)가 환자의 흉부에 부착되는 단계;
    (2) 상기 환자의 흉부에 부착된 전극 일체형 패드(110)에 심전도 신호 전달을 위한 단일한 선으로 된 케이블(120)을 연결하여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100)를 환자에 설치하는 단계;
    (2.5) 환자의 우측 팔(RA), 좌측 팔(LA), 우측 다리(RL) 및 좌측 다리(LL)에 4개의 사지 유도 전극(210)을 연결해 사지 유도 심전도를 측정하는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200)를 환자에 설치하는 단계;
    (3) 상기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100) 및 상기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200)에서 측정된 심전도 신호를 휴대 또는 이동 가능한 경량 소형의 무선통신기(300)가 전달받는 단계; 및
    (4) 휴대 단말기(400)가 상기 무선통신기(300)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심전도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고, 상기 수신한 심전도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심전도 신호를 중앙 서버(500)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흉부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112)이 일체로 구성된 일회용 패드인 전극 일체형 패드(110); 및
    상기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112)에서 측정된 심전도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기(300)에 전달하며 단일한 선으로 구성된 케이블(120)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일체형 패드(110)는,
    환자의 흉부에 부착되는 부착면을 포함하는 베이스(111), 환자의 흉부 심전도 측정을 위한 부위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111)에 배치된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112), 및 점착력 있는 상기 부착면을 보호하되 환자 흉부 부착 시 제거되는 보호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통신기(300)는,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400)에 상기 심전도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400)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해 상기 무선통신기(300)를 페어링하여 등록할 때 보안 인증을 처리하고, 보안 인증에 성공 후 상기 무선통신기(300)를 페어링하여 등록하며, 페어링하여 등록된 상기 무선통신기(300)로부터 상기 심전도 신호를 수신하여, 허가된 의료진이 아닌 자가 임의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해 환자의 심전도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도록 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400)는,
    휴대용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이며, 상기 무선통신기(300)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수신해 심전도 파형을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상기 출력한 심전도 신호에 대한 확인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중앙 서버(500)에 송신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시작 시 또는 상기 무선통신기(300)로부터 심전도 신호 수신 시에 보안 인증을 처리하고, 보안 인증이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상기 심전도 파형을 출력하며,
    상기 케이블(120)은,
    상기 복수의 흉부 유도 전극(112)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집게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집게는 단일한 선으로 구성된 케이블(120)에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분리된 6개의 분리 케이블의 말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집게는, 색상이 서로 상이하며,
    상기 흉부 유도 전극(112)은,
    상기 부착면에 위치하고, 상기 환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흉부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측정부; 및
    상기 심전도 측정부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111)를 통과하여 상기 부착면의 반대 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집게가 연결되는 전극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흉부 유도 전극(112)은,
    환자의 4번째 늑간 우측 흉골연에 위치되는 제1 전극, 환자의 4번째 늑간 좌측 흉골연에 위치되는 제2 전극, 제2 전극과 하기 제4 전극의 중간에 위치되는 제3 전극, 환자의 5번째 늑간의 쇄골중간선(midclavicular line)에 위치되는 제4 전극, 제4 전극과 수평이며 전액와선(anterior axillary line)에 위치되는 제5 전극, 및 제4 전극과 수평이며 액와중간선(midaxillary line)에 위치되는 제6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 내지 제6 전극이 환자의 흉부의 각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스트랩 형태이고,
    상기 전극 일체형 패드(110)는,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상측 수평 부분,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우하향으로 상기 제3 전극 및 제4 전극이 사선으로 배치되는 사선 부분, 및 상기 제4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5 전극 및 제6 전극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하측 수평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극 일체형 패드(110)는,
    환자의 체격에 따라 선택 가능하도록 대, 중, 소의 3가지 크기로 구성되며, 크기에 따라 환자의 흉부 심전도 측정을 위한 부위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전극 내지 제6 전극의 배치가 조절되며,
    상기 사지 유도 심전도 측정 장치(200)는,
    12 유도 심전도 측정 시, 우측 팔(RA), 좌측 팔(LA), 우측 다리(RL) 및 좌측 다리(LL)로부터 각각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4개의 사지 유도 전극(210);
    일단이 상기 사지 유도 전극(210)과 각각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사지 유도 전극(210)에서 측정된 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221)를 구비한 4개의 사지 유도선(220); 및
    상기 사지 유도선(220)이 각각 감겨서 보관되는 4개의 자동 감김 장치(230)를 포함하되,
    상기 사지 유도 전극(210)은,
    환자의 우측 팔(RA), 좌측 팔(LA), 우측 다리(RL) 또는 좌측 다리(LL)에 고정하기 위한 집게 형태로 구성된 고정부(211); 및
    상기 고정부(211)의 내면에 구비되며, 상기 환자의 우측 팔(RA), 좌측 팔(LA), 우측 다리(RL) 또는 좌측 다리(LL)의 피부에 접촉하여 신호를 측정하는 접지판(212)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 감김 장치(230)는,
    상기 사지 유도 전극(210)과 연결된 사지 유도선(220)이 감겨서 수용되는 케이스(231);
    상기 사지 유도선(220)을 감는 회전하는 휠(232); 및
    인출되는 사지 유도선(220)을 일정 길이에 고정시키고, 상기 휠(232)의 회전을 통해 사지 유도선(220)을 감기 위한 자동 감김 버튼(233)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 감김 장치(230)는,
    상기 사지 유도 전극(210)의 집게 형태 고정부(211) 중 상기 접지판(212)이 구비된 쪽의 손잡이 부분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자동 감김 버튼(233)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무선통신기(300)는,
    상기 사지 유도 전극(210)이 거치되는 거치대(330)를 포함하여, 상기 사지 유도 전극(210)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자동 감김 장치(230)에 사지 유도선(220)이 감긴 상태로 상기 사지 유도 전극(210)을 거치대(330)에 거치하여 보관 및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400)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00028018A 2020-03-05 2020-03-05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심전도 측정 방법 KR102310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018A KR102310262B1 (ko) 2020-03-05 2020-03-05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심전도 측정 방법
PCT/KR2021/002725 WO2021177770A1 (ko) 2020-03-05 2021-03-05 심전도 측정 장치 및 심전도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018A KR102310262B1 (ko) 2020-03-05 2020-03-05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심전도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683A KR20210112683A (ko) 2021-09-15
KR102310262B1 true KR102310262B1 (ko) 2021-10-07

Family

ID=77793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018A KR102310262B1 (ko) 2020-03-05 2020-03-05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심전도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2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500B1 (ko) * 2022-08-17 2023-01-09 럭스나인 주식회사 심전도 측정 장치
CN116350228B (zh) * 2023-02-27 2024-03-15 荣耀终端有限公司 电子设备、检测方法和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534B1 (ko) * 2008-07-17 2011-01-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심전도 측정을 이용한 스트레스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739542B1 (ko) * 2015-10-07 2017-06-08 주식회사 헬스리안 착용형 무선 12 채널 심전도 시스템
KR102078703B1 (ko) * 2019-07-23 2020-02-19 이재용 싱글리드 심전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심장의 질병 유무를 판단하는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437A (ko) * 2007-05-18 2008-11-21 주식회사 바이오넷 심전도케이블 정리기
KR20190132826A (ko) * 2018-05-21 2019-11-29 주식회사 이니쿠코리아 실시간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534B1 (ko) * 2008-07-17 2011-01-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심전도 측정을 이용한 스트레스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739542B1 (ko) * 2015-10-07 2017-06-08 주식회사 헬스리안 착용형 무선 12 채널 심전도 시스템
KR102078703B1 (ko) * 2019-07-23 2020-02-19 이재용 싱글리드 심전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심장의 질병 유무를 판단하는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683A (ko)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38892B (zh) 用于十二导联ecg的双电极装置和方法
US8668643B2 (en) Patient-worn medical monitoring device
US20070027388A1 (en) Patch-type physiological monitoring apparatus, system and network
US8731632B1 (en) Electrocardiogram device
US20110105928A1 (en) ECG Reconstruction For Atrial Activity Monitoring And Detection
KR102310262B1 (ko)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심전도 측정 방법
JP2003534026A (ja) 遠隔診断装置
JP2015534472A (ja) 電極パッドセット
WO2017096694A1 (zh) 一种手持式心血管健康监测装置
US20170156615A1 (en) Disposable heart monitor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20200006812A (ko) 다중생체신호 측정용 패치형 바이오센서 디바이스
KR100945678B1 (ko) 헬멧을 이용한 다중생체신호 측정장치
KR102310255B1 (ko) 자동 감김 장치를 이용한 선 꼬임 방지 기능이 있는 심전도 측정 장치 및 심전도 측정 시스템
KR102310256B1 (ko) 선 꼬임이 없는 심전도 측정 장치 및 심전도 측정 시스템
KR20040072553A (ko) 심전도 측정 목걸이와 휴대용 심전도 측정 시스템
US11197629B2 (en) Method and portable monitoring module for monitor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biosignals of a person
US20230017105A1 (en) Ultraviolet cardiac monitoring and analysis
KR102310259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간소화된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심전도 측정 방법
WO2019110553A1 (en) A portable device and a system for monitoring vital signs of a person
CN215348999U (zh) 类12导心电图测量装置
EP3687393B1 (en)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physiological data monitoring of patients
EP4125593A2 (en) Medical device system and hardware for sensor data acquisition
JP2529519B2 (ja) 心電図検査装置
US11944442B2 (en) Reading EEPROM data from an EEPROM leadset
US20230108418A1 (en) A modular connector system and a modular connector having two or more detachably secured hous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