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450B1 - 캐리어 결합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캐리어 결합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450B1
KR102309450B1 KR1020140190337A KR20140190337A KR102309450B1 KR 102309450 B1 KR102309450 B1 KR 102309450B1 KR 1020140190337 A KR1020140190337 A KR 1020140190337A KR 20140190337 A KR20140190337 A KR 20140190337A KR 102309450 B1 KR102309450 B1 KR 102309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scell
blin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9241A (ko
Inventor
유홍구
김정환
이병준
김동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190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450B1/ko
Publication of KR20160079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과의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기지국에 블라인드 SCell(blind SCell)이 기설정되어 있는 경우 기설정된 블라인드 SCell을 단말에 추가할 것을 지시하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 없이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결 설정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캐리어 결합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METHOD FOR SETTING CONNECTION BETWE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본 발명은 캐리어 결합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그 단말 및 기지국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간의 대역폭은 서로 다르게 설정되더라도 주로 하나의 반송파(carrier)만을 고려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단일 반송파를 기반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는 반송파의 수가 각각 1개이고, 상향링크의 대역폭과 하향링크의 대역폭이 일반적으로 서로 대칭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발전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비하여 확장된 대역폭을 지원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전세계적으로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큰 대역폭의 주파수 할당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조각난 작은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로 주파수 영역에서 물리적으로 다수 개의 대역을 묶어 논리적으로 큰 대역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도록 하기 위한 캐리어 결합(Carrier Aggregation, CA; 대역폭 결합(Bandwidth Aggregation) 또는 스펙트럼 결합(Spectrum Aggregation)이라고도 함)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결합되는 반송파들의 각각을 구성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 또는 셀(cell)이라고 칭할 수 있다. 또한, 반송파 병합은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각각에 대해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에서 CA 셀 구성 시, 서로 다른 주파수에 대해 기지국에서 하나의 셀씩 지정하여 설정하거나, 단말이 측정한 주파수별 채널 환경을 기준으로 CA 셀이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두 가지 방식은 각각 CA 성능 저하 또는 채널 환경 측정으로 인한 지연 발생이라는 단점들을 안고 있어, 개선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이 CA 셀을 구성하는 과정에서의 효율을 개선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주파수 간의 CA 커버리지 불일치로 인한 성능 저하를 개선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결 설정 방법은, 단말이 기지국과의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기지국에 블라인드 SCell(blind SCell)이 기설정되어 있는 경우 기설정된 블라인드 SCell을 단말에 추가할 것을 지시하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 없이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연결 설정 방법은 추가된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 제어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측정 제어 메시지에 따라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 결과 소정의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트리거 조건에 따라 발생한 이벤트를 보고하는 측정 보고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벤트는 A2 이벤트, A4 이벤트 또는 A6 이벤트를 포함하고, 측정에 관한 정보는 A2 이벤트, A4 이벤트 및 A6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트리거 조건의 정보를 포함한다.
연결 설정 방법은 측정 보고 메시지에 응답하여 새로운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새로운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기초하여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을 해제하거나 새로운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기지국과의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단말의 기지국과의 초기 호 셋업(initial call setup) 또는 단말의 PCell 간의 핸드오버에 따라 수행된다.
연결 설정 방법은 기지국에 블라인드 SCell이 기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말 주변의 SCell에 대한 측정 과정을 거쳐 새로운 SCell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말은 송신부, 수신부, 및 송신부 및 수신부와 연결되어 기지국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프로세서는 기지국과의 RRC 연결을 설정하고, 기지국에 블라인드 SCell(blind SCell)이 기설정되어 있는 경우 기설정된 블라인드 SCell을 단말에 추가할 것을 지시하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수신부를 제어하고,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 없이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연결 설정 방법은 단말과의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기지국에 블라인드 SCell(blind SCell)이 기설정되어 있는 경우 기설정된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 없이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할 것을 지시하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단말로부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응답하여 RRC 연결 재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지국은 송신부, 수신부, 및 송신부 및 수신부와 연결되어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프로세서는 단말과의 RRC 연결을 설정하고, 기지국에 블라인드 SCell(blind SCell)이 기설정되어 있는 경우 기설정된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 없이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할 것을 지시하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하도록 송신부를 제어하고, 단말로부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응답하여 RRC 연결 재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로, CA 셀 구성의 두 가지 방식을 선택적으로 혼용함으로써 CA 셀 구성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로, 주파수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서로 다른 주파수 셀 간에 있어서 CA 셀 구성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셋째로, 기지국마다 지정된 셀을 지정함에 따른 성능 저하의 개선과 동시에 단말의 채널 측정으로 인한 지연 또한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않은 효과들 역시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 예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의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단말 및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연결 설정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연결 설정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연결 설정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연결 설정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연결 설정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연결 설정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 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 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기지국과 이동국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기지국은 이동국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가 있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이동국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발전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또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이동국(Mobile Station, MS)’은 UE(User Equipment), SS(Subscriber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발전된 이동단말(Advanced Mobile Station, AMS) 또는 단말(Terminal)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송신단은 데이터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정 및/또는 이동 노드를 말하고, 수신단은 데이터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를 수신하는 고정 및/또는 이동 노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향링크에서는 이동국이 송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수신단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향링크에서는 이동국이 수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송신단이 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가 ‘셀’과 통신을 수행한다는 기재는 디바이스가 해당 셀의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가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실질적인 대상은 특정 기지국이 될 수 있으나, 기재의 편의상 특정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셀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기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매크로 셀’ 및/또는 ‘스몰 셀’ 이라는 기재는 각각 특정한 커버리지(coverage)를 의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매크로 셀을 지원하는 매크로 기지국’ 및/또는 ‘스몰 셀을 지원하는 스몰 셀 기지국’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xx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설명하지 않은 자명한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IEEE 802.16 시스템의 표준 문서인 P802.16e-2004, P802.16e-2005, P802.16.1, P802.16p 및 P802.16.1b 표준 문서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1. LTE-A 에서의 캐리어 결합 (Carrier Aggregation, CA)
LTE-A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상/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들을 모아서 더 넓은 상/하향링크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다. 용어 “컴포넌트 반송파(CC)”는 등가의 다른 용어(예, 캐리어, 셀 등)로 대체될 수 있다. 각각의 CC들은 주파수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거나 비-인접할 수 있으며, 각 컴포넌트 반송파의 대역폭은 독립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UL CC의 개수와 DL CC의 개수가 다른 비대칭 반송파 집성도 가능하다. 한편, 제어 정보는 특정 CC를 통해서만 송수신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CC를 프라이머리(primary) CC(또는, 앵커(anchor) CC)로 지칭하고, 나머지 CC를 세컨더리(secondary) CC로 지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지국이 프라이머리 CC를 통해 지원하는 셀을 PCell(Primary Cell), 세컨더리 CC를 통해 지원하는 셀을 SCell(Secondary Cell)이라 한다.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 (또는 크로스-CC 스케줄링)이 적용될 경우, 하향링크 할당을 위한 PDCCH는 DL CC#0으로 전송되고, 해당 PDSCH는 DL CC#2로 전송될 수 있다. 크로스-CC 스케줄링을 위해, 캐리어 지시 필드(carrier indicator field, CIF)의 도입이 고려될 수 있다. PDCCH 내에서 CIF의 존재 여부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 RRC 시그널링)에 의해 반-정적(semi-static) 및 단말-특정(UE-specific)(또는, 단말-그룹-특정(UE-group-specific))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PDCCH 전송의 베이스 라인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CIF 디스에이블드(disabled): DL CC 상의 PDCCH는 동일한 DL CC 상의 PDSCH 자원을 할당하거나 하나의(single) 링크된 UL CC 상의 PUSCH 자원을 할당
1-1) No CIF
1-2) LTE PDCCH 구조(동일한 부호화, 동일한 CCE-기반 자원 맵핑) 및 DCI 포맷과 동일
2) CIF 인에이블드(enabled): DL CC 상의 PDCCH는 CIF를 이용하여 복수의 병합된 DL/UL CC 중에서 특정 DL/UL CC 상의 PDSCH 또는 PUSCH 자원을 할당 가능
2-1) CIF를 가지는 확장된 LTE DCI 포맷
2-1-1) CIF (설정될 경우)는 고정된 x-비트 필드(예, x=3)
2-1-2) CIF (설정될 경우) 위치는 DCI 포맷 사이즈에 관계 없이 고정됨
2-2) LTE PDCCH 구조를 재사용(동일한 부호화, 동일한 CCE-기반 자원 맵핑)
한편, PDCCH에 크로스-CC 스케쥴링을 위한 CIF가 존재할 경우, 기지국은 단말 측의 블라인드 디코딩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 PDCCH 모니터링 DL CC 세트를 할당할 수 있다. PDCCH 모니터링 DL CC 세트는 병합된 전체 DL CC의 일부로서 하나 이상의 DL CC를 포함하고, 단말은 해당 DL CC 상에서만 PDCCH의 검출/복호화를 수행한다. 즉, 기지국이 단말에게 PDSCH/PUSCH를 스케줄링 할 경우, PDCCH는 PDCCH 모니터링 DL CC 세트를 통해서만 전송된다. PDCCH 모니터링 DL CC 세트는 단말-특정(UE-specific), 단말-그룹-특정(UE-group-specific) 또는 셀-특정(cell-specific)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용어 “PDCCH 모니터링 DL CC”는 모니터링 캐리어, 모니터링 셀 등과 같은 등가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을 위해 병합된 CC는 서빙 CC, 서빙 캐리어, 서빙 셀 등과 같은 등가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LTE-A는 크로스-CC 스케줄링을 위하여 PDCCH 내에서 CIF 사용을 고려하고 있다. CIF의 사용 여부 (즉, 크로스-CC 스케줄링 모드 또는 논-크로스-CC 스케줄링 모드의 지원) 및 모드 간 전환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반-정적/단말-특정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은 이와 같은 RRC 시그널링 과정을 거친 후 자신에게 스케줄링 될 PDCCH 내에 CIF가 사용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2. 단말과 기지국 간의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구성
이하에서는 상술한 CA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간의 연결 설정 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7을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단말 및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단말(100) 및 기지국(150)은 각각 무선 주파수(RF) 유닛 (110, 160), 프로세서(116, 166) 및 메모리(118, 16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단말(100)과 기지국(150) 간의 1:1 통신 환경을 도시하였으나, 다수의 단말과 기지국(150) 간에도 통신 환경이 구축될 수 있다.
각 RF 유닛(110, 160)은 각각 송신부(112, 162) 및 수신부(114, 164)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의 송신부(112) 및 수신부(114)는 기지국(150) 및 다른 단말들과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프로세서(116)는 송신부(112) 및 수신부(114)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송신부(112) 및 수신부(114)가 다른 기기들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6)는 전송할 신호에 대한 각종 처리를 수행한 후 송신부(112)로 전송하며, 수신부(114)가 수신한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필요한 경우 프로세서(116)는 교환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메모리(118)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단말(100)은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의 연결 설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150)의 송신부(162) 및 수신부(164)는 다른 기지국 및 단말들과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프로세서(166)는 송신부(162) 및 수신부(164)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송신부(162) 및 수신부(164)가 다른 기기들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6)는 전송할 신호에 대한 각종 처리를 수행한 후 송신부(162)로 전송하며 수신부(164)가 수신한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프로세서(166)는 교환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메모리(168)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기지국(150)은 이하에서 설명할 다양한 실시 형태의 연결 설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100) 및 기지국(150) 각각의 프로세서(116, 166)는 각각 단말(100) 및 기지국(150)에서의 동작을 지시(예를 들어, 제어, 조정, 관리 등)한다. 각각의 프로세서들(116, 166)은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18, 168)들과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118, 168)는 프로세서(116, 166)에 연결되어 오퍼레이팅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및 일반 파일(general files)들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프로세서(116, 166)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6, 166)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또는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등이 프로세서(116, 166)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된 연결 설정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서는 단말과 기지국이 도 1에서 설명한 단말(100) 및 기지국(150)의 구성들을 이용하여 연결을 설정하고 통신을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U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을 “eN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을 각각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설정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에서는 단말이 기지국과 초기 호 셋업(initial call setup)을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하고 설명한다.
먼저, 단말은 기지국으로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210). RRC 연결 요청 메시지는 단말이 기지국과의 RRC 연결 설정을 요청하는 메시지이며, 기지국은 이에 응답하여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S220). 기지국은 단말의 RRC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하여 RRC 연결이 설정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부정적인 응답을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으나, 도시된 실시 예에서 기지국은 단말과의 RRC 연결을 설정할 것임을 알리는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
이어서, 단말은 기지국의 RRC 연결 설정 메시지에 따라 기지국과의 RRC 연결 상태가 RRC 유휴(RRC idle) 상태에서 RRC 연결(RRC connected)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알리는 RRC 연결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한다(S230). 이상의 S210 내지 S230의 과정을 통틀어 단말과 기지국 간의 RRC 연결이 설정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단말과 기지국 간의 RRC 연결이 설정되면, 기지국은 단말에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S240).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는 기지국에 블라인드 SCell이 기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에 전송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블라인드 SCell을 단말에 추가할 것을 지시하는 메시지이다.
‘블라인드 SCell’이란, 기지국에 대하여 오퍼레이터(operator)나 사용자에 의해서 또는 시스템 내부적으로 미리 결정된 SCell로서 단말과의 RRC 연결에 따라 측정(measurement) 과정 없이 연결될 SCell을 의미한다. 즉, 단말과 기지국 간의 RRC 연결이 설정되고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정보가 단말에 수신되면, 단말은 곧바로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블라인드 SCell은 단말과 기지국 간의 RRC 연결시 디폴트(default)로 연결될 SCell을 의미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S240에서 기지국에 기설정된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 없이도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할 것을 지시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 과정 없이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하고, 기지국으로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이 추가되었음을 알리는 RRC 연결 재설정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250).
한편,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 과정 없이 단말에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이 추가되었으므로, 블라인드 SCell과 단말 간에 통신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무선 채널 환경이 보장될 수 없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이 새롭게 추가된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측정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 제어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한다(S260). 측정 제어 메시지는 단말이 블라인드 SCell과의 측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특정 이벤트의 트리거 조건이 만족했는지 결정하기 위한 임계 값, 오프셋 값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으나, 단말은 S260에서 수신된 측정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에 블라인드 SCell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은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 과정 없이도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할 수 있다. 반면에, 기지국에 블라인드 SCell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RRC 연결이 설정된 이후 단말이 주변의 SCell에 대한 측정 과정을 거쳐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2가지 경우 각각에 있어서 단말에 SCell이 설정되는 과정이 다르게 수행되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적응적 CA(adaptive CA)라 부를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 이어서 단말이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서는 단말이 A2 이벤트 및 A4 이벤트에 따른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실시 예를, 도 4에서는 단말이 A6 이벤트에 따른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실시 예를 각각 설명한다.
먼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측정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을 수행함은 앞서 도 2의 S260에서 설명한 바 있다. 이러한 측정 제어 메시지는 A2 이벤트, A4 이벤트 및 A6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트리거 조건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리거 조건의 정보는 앞서 설명한 트리거 조건의 만족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임계 값, 오프셋 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도 2의 S260에서 수신된 측정 제어 메시지에 따라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 과정을 수행한다.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 결과 단말이 블라인드 SCell을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기에 충분할 정도의 무선 채널 환경이 제공되는 경우, 단말은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함 없이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단말의 측정 결과 블라인드 SCell과의 채널 환경이 통신을 수행하기에 충분치 않은 경우(예를 들어, 측정 제어 메시지를 참고하여 측정한 결과 A2 이벤트의 트리거 조건이 만족된 경우), 단말은 블라인드 SCell의 채널 환경이 열화되었음을 나타내는 A2 측정 보고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한다(S310).
A2 측정 보고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단말에 추가된 블라인드 SCell과 단말 간의 연결이 좋지 않음을 확인하고, 블라인드 SCell과 단말 간의 연결을 해제하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한다(S320). S320에서의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는 단말에서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을 제거할 것을 지시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이를 알리는 RRC 연결 재설정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330).
한편, 단말과 SCell 간의 연결이 해제되었으므로, 기지국은 새로운 SCell을 단말에 추가하기 위하여 단말에 A4 측정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S340). A4 측정 제어 메시지는 단말이 주변의 SCell에 대한 측정 과정을 거쳐 새로운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하기 위한 A4 이벤트의 트리거 조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4 측정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새로운 SCell에 대한 측정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SCell과의 무선 통신 환경이 통신을 수행하기에 충분히 좋음을 확인한다(예를 들어, A4 이벤트의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이어서, 단말은 소정 SCell에 대한 A4 이벤트 트리거 조건이 만족되었음을 알리는 A4 측정 보고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한다(S350).
A4 측정 보고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새로운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할 것을 지시하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하고(S360), 단말은 새로운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한 뒤 RRC 연결 재설정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S370).
도 4에서는 A6 이벤트에 관련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단말은 도 2의 S260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측정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블라인드 SCell 및 새로운 SCell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측정 결과 새로운 SCell과의 무선 통신 환경이 블라인드 SCell과의 무선 통신 환경보다 소정의 오프셋 값(S260의 측정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이상으로 좋은 것이 확인되면, 단말은 새로운 SCell과의 연결이 현재 연결된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보다 오프셋 값 이상으로 좋게 확인됨을 알리는 측정 보고 메시지(예를 들어, A6 이벤트의 트리거 조건을 만족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한다(S410).
이를 수신한 기지국은 단말로 하여금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새로운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할 것을 지시하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한다(S420). 즉, 기지국은 단말에 SCell을 수정(modify)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신된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따라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새로운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할 수 있으며, 이를 알리는 RRC 연결 재설정 완료 메시지를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응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430).
이상의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단말과 기지국 간의 초기 호 셋업에 따른 연결 설정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도 5에서는 단말의 PCell 핸드오버에 따른 연결 설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이 생략된다 하더라도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실시 예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단말은 새로운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S510). 핸드오버의 대상이 되는 타겟 셀(target cell)은 PCell일 수 있다. 도 5는 타겟 PCell에 블라인드 SCell이 설정된 경우와 설정되지 않은 경우를 나누어서 각각 도시한다. 도 5에서 위쪽에 도시된 박스는 타겟 PCell에 블라인드 SCell이 설정된 경우(적응적 CA가 적용되는 경우)를, 아래쪽 박스는 블라인드 SCell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적응적 CA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를 각각 도시한다.
기지국에 블라인드 SCell이 설정된 경우를 먼저 설명한다. 단말과 새로운 PCell 과의 연결이 설정되면 기지국은 단말로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S520). 이러한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는 기지국에 기설정된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할 것을 지시하는 메시지가 될 수 있다. 단말은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지 않고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하며, 이어서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하였음을 알리는 RRC 연결 재설정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한다(S530). 한편,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 없이 단말에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이 추가되었으므로, 기지국은 A2/A6 측정 제어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단말로 하여금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것을 지시한다(S540). 즉, 기지국은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을 통해서 소정의 이벤트에 대한 트리거 조건의 만족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임계 값이나 오프셋 값에 대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기지국에 블라인드 SCell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를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기지국에 블라인드 SCell이 설정되지 않는 경우, 단말은 새로운 SCell을 추가하기에 앞서 SCell에 대한 측정 과정을 수행한다. 즉, 단말이 기지국의 PCell로 핸드오버를 완료하면, 기지국은 단말로 하여금 SCell이 통신 수행에 충분한 무선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측정할 것을 지시한다. 이러한 과정은 기지국이 단말에 A4 측정 제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S550). A4 측정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새로운 SCell에 대한 측정 과정을 거쳐 충분한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알리는 A4 측정 보고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560). A4 측정 보고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보고된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할 것을 지시하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며(S570), 단말은 새로운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한 뒤 RRC 연결 재설정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580).
도 6 및 도 7은 상술한 적응적 CA가 적용되는 실시 예에 있어서 단말과 기지국 각각에서 수행되는 연결 설정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다. 도 6에서는 단말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을, 도 7에서는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다.
먼저, 도 6에서 단말은 기지국과의 RRC 연결이 설정되면(S610), 기지국으로부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어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 없이 해당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한다(S620). 한편, 기지국은 단말로 하여금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것을 지시할 수 있으며, 단말은 이러한 기지국의 지시에 따라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을 수행한다(S630).
도 7은 도 6에서 단말의 연결 설정 방법에 대응한 기지국의 연결 설정 방법을 도시한다. 기지국은 단말과의 RRC 연결이 설정되면(S710), 기지국에 블라인드 SCell이 기설정되어 있는지에 따라 다르게 동작한다(S720). 블라인드 SCell이 설정된 경우, 기지국은 단말로 하여금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을 측정 과정 없이 추가할 것을 지시하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하며(S730), 단말과 블라인드 SCell 간의 연결이 추가됨에 따라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 제어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하여 측정을 지시한다(S740). 반면에, 기지국에 블라인드 SCell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기지국은 단말에 새로운 SCell을 추가하기 위한 A4 측정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S750). 두 가지 경우 모두에 있어서, 기지국은 측정 제어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단말로부터 수신된 측정 보고 메시지에 따라 RRC 연결을 재설정한다(S760). S760은 단말에 추가된 SCell과의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이 될 수도 있고, 새로운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하는 과정이 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은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CD-ROM),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 예 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CA(Carrier Aggregation)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과의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사이를 유휴상태에서 연결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 블라인드 SCell(blind SCell)이 기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블라인드 SCell을 상기 단말에 추가할 것을 지시하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 없이 상기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결 설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설정 방법은
    상기 추가된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 제어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제어 메시지에 따라 상기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결 설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 결과 소정의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트리거 조건에 따라 발생한 이벤트를 보고하는 측정 보고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결 설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A2 이벤트, A4 이벤트 또는 A6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에 관한 정보는 상기 A2 이벤트, 상기 A4 이벤트 및 상기 A6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트리거 조건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연결 설정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설정 방법은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에 응답하여 새로운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새로운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을 해제하거나 새로운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결 설정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의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상기 기지국과의 초기 호 셋업(initial call setup) 또는 상기 단말의 PCell 간의 핸드오버에 따라 수행되는 것인, 연결 설정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설정 방법은
    상기 기지국에 블라인드 SCell이 기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 주변의 SCell에 대한 측정 과정을 거쳐 새로운 SCell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결 설정 방법.
  8. CA(Carrier Aggregation)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말에 있어서,
    송신부;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 및 상기 수신부와 연결되어 기지국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사이를 유휴상태에서 연결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기지국에 블라인드 SCell(blind SCell)이 기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블라인드 SCell을 상기 단말에 추가할 것을 지시하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 없이 상기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하는 것인, 단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가된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 제어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측정 제어 메시지에 따라 상기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것인, 단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 결과 소정의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트리거 조건에 따라 발생한 이벤트를 보고하는 측정 보고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것인,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A2 이벤트, A4 이벤트 또는 A6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에 관한 정보는 상기 A2 이벤트, 상기 A4 이벤트 및 상기 A6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트리거 조건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단말.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에 응답하여 새로운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새로운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을 해제하거나 새로운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하는 것인, 단말.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의 RRC 연결은
    상기 단말의 상기 기지국과의 초기 호 셋업(initial call setup) 또는 상기 단말의 PCell 간의 핸드오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인, 단말.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에 블라인드 SCell이 기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 주변의 SCell에 대한 측정 과정을 거쳐 새로운 SCell을 추가하는 것인, 단말.
  15. CA(Carrier Aggregation)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과의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사이를 유휴상태에서 연결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 블라인드 SCell(blind SCell)이 기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 없이 상기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할 것을 지시하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응답하여 RRC 연결 재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결 설정 방법.
  16. CA(Carrier Aggregation)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의 연결을 설정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송신부;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 및 상기 수신부와 연결되어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사이를 유휴상태에서 연결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기지국에 블라인드 SCell(blind SCell)이 기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블라인드 SCell에 대한 측정 없이 상기 블라인드 SCell과의 연결을 추가할 것을 지시하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응답하여 RRC 연결 재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인, 연결 설정 방법.
KR1020140190337A 2014-12-26 2014-12-26 캐리어 결합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KR102309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337A KR102309450B1 (ko) 2014-12-26 2014-12-26 캐리어 결합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337A KR102309450B1 (ko) 2014-12-26 2014-12-26 캐리어 결합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241A KR20160079241A (ko) 2016-07-06
KR102309450B1 true KR102309450B1 (ko) 2021-10-06

Family

ID=56502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337A KR102309450B1 (ko) 2014-12-26 2014-12-26 캐리어 결합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4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322B1 (ko) * 2017-07-27 2021-07-13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이차 노드 추가를 위한 방법들 및 관련된 디바이스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35882A1 (en) * 2013-05-10 2014-11-13 Electronics &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configuring dual connectivit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2112A (ko) * 2013-02-13 2014-08-21 주식회사 케이티 스몰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35882A1 (en) * 2013-05-10 2014-11-13 Electronics &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configuring dual connectiv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241A (ko)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69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237777B2 (en) Method for using radio interface technology,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system
TWI744889B (zh) 側行鏈路單播服務的存取層管理方法及相關裝置
WO2019137446A1 (zh) 通信方法和通信设备
RU2638539C1 (ru) Способы и узлы, относящиеся к получению системной информации во время операции с гибким подфреймом
US97631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800912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ggreg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JP6374105B2 (ja) 複数のコンポーネントキャリア上で制御チャネルおよびデータチャネルを送信するための技法
US20150373597A1 (en) Method for performing measurement of objects and a device therefor
KR20120010645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수행장치 및 방법
US93262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856465B2 (en) Inter-band handover of the same physical frequency
JP2016527843A (ja) セルラ移動通信システムでのスケジューリング要請方法及び装置
US20190053085A1 (e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Flexible Duplexing
US9717013B2 (e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measurement configuration
KR20180095495A (ko) 반송파 호핑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US1053140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power headroom reporting in a carrier aggregation with at least one SCell operating in an unlicensed spectrum and a device therefor
US9668174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US11219067B2 (en) Radio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s by aggregating cells under different radio base stations
KR102309450B1 (ko) 캐리어 결합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JP6358916B2 (ja) 移動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2014135598A (ja) 無線基地局
KR20170042318A (ko) D2d를 위한 블랭크 서브프레임 사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