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441B1 - 내구성 향상 및 소음저감이 동시에 구현된 승마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내구성 향상 및 소음저감이 동시에 구현된 승마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441B1
KR102309441B1 KR1020210022663A KR20210022663A KR102309441B1 KR 102309441 B1 KR102309441 B1 KR 102309441B1 KR 1020210022663 A KR1020210022663 A KR 1020210022663A KR 20210022663 A KR20210022663 A KR 20210022663A KR 102309441 B1 KR102309441 B1 KR 102309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ovable
eccentric shaft
eccentric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종원
Original Assignee
(주)웰와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웰와이즈 filed Critical (주)웰와이즈
Priority to KR1020210022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00Constructional modifications of parts of machines or apparatus for the purpose of lubr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4Horse ri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함유베어링과 함유양모탄자를 적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승마운동기구를 제시한다. 제시된 승마운동기구는 편심 샤프트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수용되는 축 수용부가 양측 하단에 각각 형성된 운동부; 상기 축 수용부의 내주면 양측에 설치되되 상기 편심 샤프트와의 마찰을 줄여 주어 승마운동기구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윤활하게 해 주는 부싱부재; 및 상기 축 수용부의 내주면 양측에 설치되되 흡유기능을 통해 윤활유 보존 및 윤활유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상기 편심 샤프트의 운동중에 윤활유 보충을 해 주는 마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부싱부재는 상기 마감부재에 비해 중앙쪽에 보다 가깝게 설치되고, 상기 부싱부재는 함유베어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마감부재는 함유양모탄자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내구성 향상 및 소음저감이 동시에 구현된 승마운동기구{Horse riding fitness machine}
본 발명은 승마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구성 향상 및 소음저감을 동시에 구현시킬 수 있는 승마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마는 생명이 있는 말과 일체가 되어야 하는 특수한 성격을 지닌 운동으로서, 신체를 단련하고 기사도 정신을 함양하여 호연지기를 기르는 스포츠이며, 올바른 신체 발달을 돕는 전신운동인 동시에 대담성과 건전한 사고력을 키울 수 있다.
또한, 승마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전신운동으로서, 다른 운동과 달리 허리를 곧게 펴고 하는 운동이기 때문에 자세교정에 도움이 된다. 또한, 승마는 상하, 좌우 또는 전후로 출렁이는 말 위에 있으면 장기능 강화에도 좋으며, 특히 여성이나 학생의 변비 및 남성의 전립선 질환 등에도 효과가 있고, 폐활량 향상과 종아리나 허벅지 등 하체강화에도 도움이 된다.
따라서, 승마를 하면 상체가 바르게 교정되고, 허리가 유연해지며, 정신 집중력과 신체의 리듬감을 기를 수 있고, 폐활량이 늘어나며 하체가 튼튼해지는 동시에 담력을 키울 수 있고, 신체 각 부분의 평형감각과 유연성 등을 길러 올바른 신체발달을 도와주는 유용한 운동이다.
상기와 같은 승마는 전신운동에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잘 알려져 있으나, 대다수의 사람들은 경제적 능력이나 장소와 시간 등 여건이 좋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승마를 즐길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실내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승마를 즐길 수 있도록 한 모의 승마기구, 즉 승마 운동기구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9579호(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1425호(승마운동 헬스 기구) 선행기술 3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1433호(승마운동장치) 선행기술 4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8856호(승마 운동기구)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함유베어링과 함유양모탄자를 적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승마운동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내구성 향상 및 소음저감이 동시에 구현된 승마운동기구는, 편심 샤프트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수용되는 축 수용부가 양측 하단에 각각 형성된 운동부; 상기 축 수용부의 내주면 양측에 설치되되 상기 편심 샤프트와의 마찰을 줄여 주어 승마운동기구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윤활하게 해 주는 부싱부재; 및 상기 축 수용부의 내주면 양측에 설치되되 흡유기능을 통해 윤활유 보존 및 윤활유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상기 편심 샤프트의 운동중에 윤활유 보충을 해 주는 마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부싱부재는 상기 마감부재에 비해 중앙쪽에 보다 가깝게 설치되고, 상기 부싱부재는 함유베어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마감부재는 함유양모탄자로 구성된다.
상기 부싱부재의 양 측면중에서 하나 이상에 오링이 추가로 설치되되, 상기 오링은 상기 부싱부재에 접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운동부는 제 1 축 수용부 및 제 2 축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축 수용부에는 제 1 편심 샤프트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수용되고, 상기 제 2 축 수용부에는 아이들 샤프트인 제 2 편심 샤프트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수용되고, 상기 제 1 편심 샤프트 및 상기 제 2 편심 샤프트가 편심회전함에 따라 상기 운동부가 피칭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1 편심 샤프트와 상기 제 2 편심 샤프트와는 이격되게 상기 제 1 편심 샤프트와 상기 제 2 편심 샤프트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가동축; 및 상기 가동축 및 상기 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운동부를 롤링 운동시키는 가동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편심 샤프트 및 상기 제 2 편심 샤프트가 설치된 길이 방향을 X축이라고 하고, 상기 X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Y축이라고 한 경우, 상기 운동부는 상기 제 1 편심 샤프트 및 상기 제 2 편심 샤프트의 편심 회전운동에 따라 해당 운동부의 전/후 측부가 반복되게 승하강되어 피칭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가동축과 상기 운동부는 연결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되되, 상기 가동축에는 나선형태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운동부의 하부의 플랜지부가 상기 가동부의 상면의 홈부에 끼워지고,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홈부를 따라 움직이고 타단이 상기 가동부의 홈부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가동부는, 상기 가동축과는 이격되게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바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바를 따라 움직이되, 상기 가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가동축이 설치된 길이 방향을 X축이라고 하고, 상기 X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Y축이라고 한 경우, 상기 가동부가 상기 가동축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슬라이딩 바를 따라 좌측 및 우측으로 움직이게 되면 상기 가동부는 상기 운동부의 플랜지부를 좌측 및 우측으로 밀게 되어, 상기 운동부는 좌/우 측부가 좌측 및 우측으로 교번되게 기울어지는 롤링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부싱부재의 오일 함유량은 18%일 수 있고, 상기 마감부재의 오일 함유량은 18%일 수 있고, 상기 마감부재의 두께는 5.5mm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내구성 향상 및 소음저감이 동시에 구현된 승마운동기구는, 편심 샤프트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수용되는 축 수용부가 양측 하단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편심 샤프트가 편심회전함에 따라 피칭 운동을 하는 운동부; 상기 운동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축 수용부에 수용되는 각각의 편심 샤프트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가동축; 상기 운동부와 상기 가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운동부를 롤링 운동시키는 가동부; 상기 편심 샤프트 및 상기 가동축에게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 상기 축 수용부의 내주면 양측에 설치되되 상기 편심 샤프트와의 마찰을 줄여 주어 승마운동기구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윤활하게 해 주는 부싱부재; 및 상기 축 수용부의 내주면 양측에 설치되되 흡유기능을 통해 윤활유 보존 및 윤활유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상기 편심 샤프트의 운동중에 윤활유 보충을 해 주는 마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부싱부재는 상기 마감부재에 비해 중앙쪽에 보다 가깝게 설치되고, 상기 부싱부재는 함유베어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마감부재는 함유양모탄자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함유베어링과 함유양모탄자를 채용함으로써 승마운동기구의 A/S 비율을 낮추고 복잡한 구조와 고유적인 구리스 흘러내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의 작동중에는 함유베어링과 편심 샤프트가 서로 접촉하겠지만 함유베어링은 편심 샤프트와의 마찰을 줄여주어 승마운동기구의 움직임을 윤활하게 할 수 있어서 반영구적으로 제품 보충이 필요없게 되고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내마모성 및 긴수명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채용된 함유양모탄자에 의해 오일보존 및 구리스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어서 편심 샤프트가 운동중에 마찰되어 마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구리스가 외부로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동시에 자체 오일 저축 효과로 인해 편심 샤프트가 운동중에 구리스 오일 보충이 충분히 이루어져서 구동부의 수명을 늘려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베이스 및 운동부를 제외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에서 제 1 편심 샤프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에서 제 2 편심 샤프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운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운동부의 축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에서 제 1 구동력 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에서 제 2 구동력 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에서 가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에서 가동부와 가동축간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베이스 및 운동부를 제외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에서 제 1 편심 샤프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에서 제 2 편심 샤프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운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운동부의 축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에서 제 1 구동력 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에서 제 2 구동력 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에서 가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에서 가동부와 가동축간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는, 구동력 발생부(16), 운동부(22), 제 1 구동력 전달부(24), 제 2 구동력 전달부(26), 및 가동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동력 발생부(16), 운동부(22), 제 1 구동력 전달부(24), 제 2 구동력 전달부(26), 및 가동부(32)는 평판 형태의 베이스(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일면(예컨대, 상면)에는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된 제 1 지지대(12)와 제 2 지지대(14)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 1 지지대(12)와 제 2 지지대(14)는 각각 베이스(10)의 일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구동력 발생부(16)는 베이스(10)의 일면(예컨대, 상면)의 일측부상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구동력 발생부(16)는 제 2 지지대(14)의 주변에 설치되되, 제 2 지지대(14)에 대해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구동력 발생부(1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가 상하, 좌우 또는 전후로 움직이도록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데, 예를 들어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편심 샤프트(18)가 제 1 지지대(12)와 제 2 지지대(14) 사이에서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편심회전을 한다. 예를 들어, 제 1 편심 샤프트(18)의 일단은 제 1 지지대(12)를 관통하여 노출되고, 제 1 편심 샤프트(18)의 타단은 제 2 지지대(14)를 관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제 1 편심 샤프트(18)는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몸통부(18a) 및 편심부(18b)를 포함한다.
몸통부(18a)는 소정 길이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편심부(18b)는 몸통부(18a)의 양측 단면에 돌출형성되되, 몸통부(18a)의 축 중심과는 편심되도록 돌출형성된다.
또한, 제 2 편심 샤프트(20)가 제 1 지지대(12)와 제 2 지지대(14) 사이에서 제 1 편심 샤프트(18)와는 이격되게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편심회전을 한다. 예를 들어, 제 2 편심 샤프트(20)의 일단은 제 1 지지대(12)에 회전가능하게 끼움결합되고, 제 2 편심 샤프트(20)의 타단은 제 2 지지대(14)에 회전가능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다.
제 2 편심 샤프트(20)는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몸통부(20a) 및 편심부(20b)를 포함한다.
몸통부(20a)는 소정 길이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편심부(20b)는 몸통부(20a)의 양측 단면에 돌출형성되되, 몸통부(20a)의 축 중심과는 편심되도록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제 2 편심 샤프트(20)는 아이들 샤프트(idle shaft)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편심부(20b)는 편심부(18b)에 비해 길이가 짧다. 다시 말해서, 제 1 편심 샤프트(18)는 제 1 구동력 전달부(24) 및 제 2 구동력 전달부(26)와의 결합을 위해 제 1 지지대(12) 및 제 2 지지대(14)를 관통하여 노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편심부(18b)가 도 3에서와 같이 소정 길이 돌출되어야 한다. 한편, 제 2 편심 샤프트(20)는 아이들 샤프트의 기능을 수행하면 되므로 굳이 제 1 지지대(12) 및 제 2 지지대(14)를 관통하여 노출될 필요가 없이 도 4에서와 같이 끼움결합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편심부(20b)가 필요할 뿐이다. 그에 따라, 편심부(20b)의 길이는 편심부(18b)의 길이에 비해 짧다.
운동부(22)는 제 1 편심 샤프트(18) 및 제 2 편심 샤프트(20)에 연결되고, 제 1 편심 샤프트(18) 및 제 2 편심 샤프트(20)의 편심 회전운동에 따라 제 1 운동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운동이라 함은 운동부(22)의 전/후 측부가 반복되게 승하강되는 피칭(pitching) 운동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편심 샤프트(18) 및 제 2 편심 샤프트(20)가 설치된 길이 방향을 X축이라고 하고, X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Y축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운동부(22)는 제 1 편심 샤프트(18) 및 제 2 편심 샤프트(20)의 편심 회전운동에 따라 해당 운동부(22)의 전/후 측부가 반복되게 승하강되므로, 피칭(pitching) 운동(즉, Y축 중심의 운동)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운동부(22)는 좌/우 측부가 기울기운동을 교대로 하게 되는 X축 중심의 운동(즉, 롤링(rolling) 운동)도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운동부(22)는 도 5 및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해당 운동부(22)의 몸통부(40)의 양측 하단에 형성된 제 1 축 수용부(42) 및 제 2 축 수용부(44)를 포함한다.
제 1 축 수용부(42) 및 제 2 축 수용부(44)는 서로 동일 구조 및 동일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축 수용부(4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제 1 편심 샤프트(18)가 제 1 축 수용부(42)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게 수용된다.
제 2 축 수용부(44)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제 2 편심 샤프트(20)가 제 2 축 수용부(44)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게 수용된다.
제 1 편심 샤프트(18)가 회전함에 따라 제 1 축 수용부(42)의 내주면은 제 1 편심 샤프트(18)의 외주면과 접촉될 것이고, 제 2 편심 샤프트(20)가 회전함에 따라 제 2 축 수용부(44)의 내주면은 제 2 편심 샤프트(20)의 외주면과 접촉될 것이다.
제 1 축 수용부(42) 및 제 2 축 수용부(44)의 내주면에는 각각 부싱(bushing)부재(46) 및 마감부재(48)가 설치될 수 있다.
종래의 대부분의 승마운동기구에서는 진동, 소음, 충격 등을 줄여주기 위한 부싱부재로서 도금처리된 원통형의 스틸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스틸 재질의 부싱부재는 샤프트가 회전할 때의 마찰저항의 감소, 마찰열의 방지 및 이물질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적절한 윤활을 하여야 한다.
그리고, 스틸 재질의 부싱부재의 주변에는 혹시나 모를 불상사(즉, 구리스가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를 방지하기 위해 고무 재질의 패킹을 설치하였다.
그런데, 적절한 윤활을 해 주지 않는 경우에는 스틸 재질의 부싱부재가 마모 또는 파손되어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고무 재질의 패킹의 경우 승마운동기구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타버리는 불상사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틸 재질의 부싱부재 대신에 윤활유를 함유하고 있는 함유베어링을 부싱부재(46)로 채용함으로써, 특별하게 윤활유를 공급하지 않더라도 자체윤활이 가능하고 소음과 진동 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즉, 함유베어링으로 구성되는 부싱부재(46)는 편심 샤프트(18, 20)와의 마찰을 줄여 주어 승마운동기구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윤활하게 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무재질의 패킹 대신에 오일을 함유하고 있는 함유양모탄자를 마감부재(48)로 채용함으로써, 함유양모탄자의 흡유기능을 통해 윤활유가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자체 오일 저축효과로 인해 편심 샤프트(18, 20)가 운동중 구리스 오일 보충이 충분히 이루어져 수명을 늘려줄 수 있다. 즉, 함유양모탄자로 구성되는 마감부재(48)는 오일 보존 및 윤활유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부싱부재(46) 및 마감부재(48)를 제 1 축 수용부(42) 및 제 2 축 수용부(44)의 내주면의 양 측부에 각각 형성시켰다. 기존에는 부싱부재를 축 수용부의 측부가 아니라 중앙부에 1개만 형성시켰다. 그에 따라, 기존에는 중앙부의 부싱부재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수리하기가 상당히 어려웠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부싱부재(46) 및 마감부재(48)를 제 1 축 수용부(42) 및 제 2 축 수용부(44)의 내주면의 양 측부에 각각 형성시킴으로써, 부싱부재(46) 및/또는 마감부재(48)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해당 부재를 손쉽게 수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함유양모탄자로 구성되는 마감부재(48)가 제 1 축 수용부(42) 및 제 2 축 수용부(44)의 내주면 양측의 제일 바깥쪽에 설치된다. 이때, 마감부재(48)는 링형상으로 형성된 홈(48a)에 설치된다.
여기서, 마감부재(48)인 함유양모탄자의 오일 함유량은 대략 18% 이상이고, 두께는 5.5mm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홈(48a)에 설치될 때 마감부재(48)인 함유양모탄자는 추후의 교체를 대비하여 해당 홈(48a)에 접착되지 않은채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함유베어링으로 구성되는 부싱부재(46)는 제 1 축 수용부(42) 및 제 2 축 수용부(44)의 내주면 양측에서 마감부재(48)보다는 중앙쪽에 보다 가깝도록 설치된다. 이때, 부싱부재(46)는 홈(48a)과는 이격되게 형성된 링형상의 홈(46a)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부싱부재(46)인 함유베어링은 분말야금 기법을 활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분말야금 기법을 활용하게 되면 합성 분말 제조→성형→소결→정형→침유(예컨대, 오일 함유량 18% 이상) 과정을 통하여 얻고자 하는 부싱부재(46)인 함유베어링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분말야금 기법을 활용하여 제작된 부싱부재(46)인 함유베어링은 벌집 구조이므로, 침유 과정에서 내부에 오일이 쉽게 스며들어 자체 윤활도가 높고 수명이 길게 된다. 예를 들어, 홈(46a)에 설치되는 부싱부재(46)인 함유베어링의 내경오차범위는 0.01~0.035mm 정도로 할 수 있고, 동심은 0.05 정도로 하고, 원도는 0.01:3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부싱부재(46)와 마감부재(48) 사이에는 오링(50)이 추가로 설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오링(50)은 부싱부재(46)와 마감부재(48)의 사이에서 제 1 축 수용부(42) 및 제 2 축 수용부(44)의 내주면의 홈(46a)에 연접하여 형성된 링형상의 홈(50a)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오링(50)은 부싱부재(46)에 접촉하게 설치되어 부싱부재(46)의 위치 이탈 등을 방지해 준다. 예를 들어, 오링(50)은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오링(50)이 고무 재질로 구성되더라도, 함유베어링으로 구성되는 부싱부재(46)와 함유양모탄자로 구성되는 마감부재(48)에서의 오일(예컨대, 윤활유)이 오링(50)에게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승마운동기구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기존에 비해 오링(50)이 타버리는 문제(예컨대, 편심 샤프트와 축 수용부간의 마찰로 인해 오링(50)이 타버리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6에서는 부싱부재(46)가 삽입되는 홈(46a)의 일 측면에만 홈(50a)이 형성되어 오링(50)이 홈(50a)에 삽입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부싱부재(46)가 삽입되는 홈(46a)의 양 측면에 각각 홈(50a)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에 따라, 필요에 따라서는 오링(50)이 부싱부재(46)의 양 측면에 각각 접촉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상술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은 함유베어링으로 구성되는 부싱부재(46) 및 함유양모탄자로 구성되는 마감부재(48)의 설치 및 설치 위치로 인해, 윤활유가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심 샤프트(18, 20)가 운동중에 마찰되어 마모되는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제 1 구동력 전달부(24)는 구동력 발생부(16)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제 1 편심 샤프트(18)에게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구동력 전달부(24)는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 1 편심 샤프트(18)의 일단이 압입되고 구동력 발생부(16)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24a)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24a)는 수납부(24b, 24c)에 수납될 수 있다. 수납부(24b)는 하부 수납 케이스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고, 수납부(24c)는 상부 수납 케이스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24a)는 수납부(24b, 24c)에 별도로 수납되고 구동력 발생부(16)(예컨대,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된 기어(도시 생략)와 치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구조 이외로, 어떠한 구조라도 기어(24a)를 회전시킬 수 있으면 된다.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상술한 설명 및 주지의 기술로부터 제 1 구동력 전달부(24)의 구조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 2 구동력 전달부(26)는 제 1 편심 샤프트(18)의 회전력을 가동축(34)에게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가동축(34)는 제 1 편심 샤프트(18)와 제 2 편심 샤프트(20)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한다. 예를 들어, 가동축(34)은 제 1 편심 샤프트(18)와 제 2 편심 샤프트(20)와는 이격되게 제 1 편심 샤프트(18)와 제 2 편심 샤프트(20)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데, 가동축(34)의 일단은 일단은 제 1 지지대(12)를 관통하여 제 2 구동력 전달부(26)와 연결되고, 가동축(34)의 타단은 제 2 지지대(14)에 회전가능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다.
즉, 가동축(34)은 제 2 구동력 전달부(26)와의 연결을 위해, 가동축(34)의 일단이 제 1 지지대(12)를 관통하여 노출된 것이다.
예를 들어, 제 2 구동력 전달부(26)는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 1 편심 샤프트(18)의 타단이 압입되고 제 1 편심 샤프트(18)가 회전됨에 따라 동일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는 제 1 기어(26a), 및 가동축(34)의 일단이 압입되고 제 1 기어(26a)에 치합되어 제 1 기어(26a)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 기어(2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어(26a) 및 제 2 기어(26b)는 커버(26c)에 의해 보호된다.
상기에서는 제 2 구동력 전달부(26)가 제 1 기어(26a) 및 제 2 기어(26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 1 편심 샤프트(18)의 회전력을 가동축(34)에게로 전달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가동부(32)는 제 1 지지대(12)와 제 2 지지대(14)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게 설치된 슬라이딩 바(28, 30)를 따라 움직이게 된다. 이에 의해, 운동부(22)는 제 2 운동(예컨대, 롤링(rolling) 운동)을 할 수 있다.
가동부(32)는 도 2 및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운동부(22)의 중앙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부(40a)가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는 홈부(32a), 홈부(32a)의 중앙에서 세로방향으로 천공된 구멍(32b), 슬라이딩 바(28)가 끼워지는 구멍(32c), 및 슬라이딩 바(30)가 끼워지는 구멍(32d)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바(28)와 슬라이딩 바(30)는 제 1 지지대(12)와 제 2 지지대(14)에 고정설치되되,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바(28)의 일단은 제 1 지지대(12)에 나사결합방식 등으로 결합되고, 슬라이딩 바(28)의 타단은 제 2 지지대(14)에 나사결합방식 등으로 결합된다. 슬라이딩 바(30)의 일단은 제 1 지지대(12)에 나사결합방식 등으로 결합되고, 슬라이딩 바(30)의 타단은 제 2 지지대(14)에 나사결합방식 등으로 결합된다.
또한, 슬라이딩 바(28)와 슬라이딩 바(30)는 가동축(34)과 이격되어 가동축(34)보다는 상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가동부(32)는 가동축(34)의 회전력 및 회전방향에 따라 가동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바(28, 30)를 따라 좌우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가동축(34)보다는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가동부(32)의 구멍(32b)에는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은 연결부재(36)가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36)의 일단은 구멍(32b)에 끼워지고, 연결부재(36)의 타단은 가동축(34)의 중앙에 나선형태로 형성된 홈부(34a)에 끼워진다. 이때, 연결부재(36)의 타단은 홈부(34a)를 따라 움직이되, 홈부(34a)에서 빠지지 않도록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축(34)이 회전하게 되면 가동축(34)의 홈부(34a)는 가동축(34)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에 따라, 홈부(34a)에 끼워져 있는 연결부재(36)가 나선형의 홈부(34a)를 따라 움직이게 된다. 이와 함께, 가동부(32)의 구멍(32b)에 끼워진 연결부재(36)의 일단이 가동축(34)의 회전에 근거하여 가동부(32)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밀게 되고, 그에 따라 가동부(32)는 슬라이딩 바(28, 30)를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운동부(22)의 플랜지부(40a)가 가동부(32)의 홈부(32a)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가동부(32)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움직이게 되면 운동부(22)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운동부(22)는 가동부(32)과 가동축(34) 및 연결부재(36)에 의해 제 2 운동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운동이라 함은 운동부(22)의 좌/우 측부가 기울기 운동을 교대로 하는 롤링(rolling) 운동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동축(34)이 설치된 길이 방향(즉, 제 1 편심 샤프트(18) 및 제 2 편심 샤프트(20)가 설치된 길이 방향과 동일)을 X축이라고 하고, X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Y축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가동부(32)가 가동축(34)의 회전으로 인해 슬라이딩 바(28, 30)를 따라 좌측 및 우측으로 움직이게 되어, 가동부(32)가 운동부(22)의 플랜지부(40a)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게 된다. 이에 의해, 운동부(22)의 좌/우 측부가 좌측 및 우측으로 교번되게 기울어지므로, 롤링(rolling) 운동(즉, X축 중심의 운동)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운동부(22)의 상면에 안장부가 설치되었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사용자가 안장부에 앉은 후에는 운동부(22)는 제 1 운동 및 제 2 운동을 함께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실제로 말을 타고 달리는 듯한 생동감과 운동감을 얻을 수 있다.
이번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안장부(도시 생략)에 앉은 후에 전원 스위치(도시 생략)를 온(ON)시키게 되면 구동력 발생부(16)가 동작하여 소정의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구동력 발생부(16)에서 발생된 구동력은 제 1 구동력 전달부(24)에게로 인가된다.
제 1 구동력 전달부(24)는 입력받은 구동력을 제 1 편심 샤프트(18)에게로 전달한다.
그에 따라, 제 1 편심 샤프트(18)는 편심회전하고, 아이들 샤프트인 제 2 편심 샤프트(20)도 편심회전한다. 이러한 제 1 편심 샤프트(18) 및 제 2 편심 샤프트(20)의 편심회전에 의해 운동부(22)는 제 1 운동(예컨대, 피칭(pitching) 운동)을 한다. 즉, 운동부(22)는 제 1 편심 샤프트(18) 및 제 2 편심 샤프트(20)에 연결되고, 제 1 편심 샤프트(18) 및 제 2 편심 샤프트(20)의 편심 회전운동에 따라 해당 운동부(22)의 전/후 측부가 반복되게 승하강되므로, 피칭(pitching) 운동을 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제 1 편심 샤프트(18)가 편심회전함에 따라, 제 1 편심 샤프트(18)에 연결된 제 2 구동력 전달부(26)가 가동축(34)에게 구동력(예컨대,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에 의해, 가동축(34)이 회전하게 되고, 가동축(34)의 홈부(34a)는 가동축(34)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에 따라, 홈부(34a)에 끼워져 있는 연결부재(36)가 나선형의 홈부(34a)를 따라 움직이고, 이와 함께 가동부(32)의 구멍(32b)에 끼워진 연결부재(36)의 일단이 가동축(34)의 회전에 근거하여 가동부(32)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밀게 된다. 그래서, 가동부(32)는 슬라이딩 바(28, 30)를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운동부(22)의 플랜지부(40a)가 가동부(32)의 홈부(32a)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가동부(32)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움직이게 되면 운동부(22)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즉, 가동축(34)이 회전하게 되면 운동부(22)는 슬라이딩 바(28, 30)를 따라 좌우로 움직이는 가동부(32)에 의해 제 2 운동(예컨대, 롤링(rolling) 운동)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운동부(22)는 제 1 운동(피칭 운동) 및 제 2 운동(롤링 운동)을 하게 되어 전후로 움직임과 더불어 마치 무한대 기호(즉, ∞)와 같은 모양으로 좌우로도 움직이게 되므로, 사용자는 실제로 말을 타고 달리는 듯한 생동감과 운동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는 함유베어링을 부싱부재(46)로 채용함으로써 특별하게 윤활유를 공급하지 않더라도 자체윤활이 가능하고 소음과 진동 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는 오일을 함유하고 있는 함유양모탄자를 마감부재(48)로 채용함으로써 구리스가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자체 오일 저축효과로 인해 편심 샤프트(18, 20)가 운동중 구리스 오일 보충이 충분히 이루어져 수명을 늘려줄 수 있다. 즉, 함유베어링으로 구성되는 부싱부재(46)는 편심 샤프트(18, 20)와의 마찰을 줄여 주어 승마운동기구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윤활하게 해 줄 수 있고, 함유양모탄자로 구성되는 마감부재(48)는 오일 보존 및 윤활유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 12 : 제 1 지지대
14 : 제 2 지지대 16 : 구동력 발생부
18 : 제 1 편심 샤프트 20 : 제 2 편심 샤프트
22 : 운동부 24 : 제 1 구동력 전달부
26 : 제 2 구동력 전달부 28, 30 : 슬라이딩 바
32 : 가동부 34 : 가동축
36 : 연결부재 40 : 몸통부
42, 44 : 축 수용부 46 : 부싱부재
48 : 마감부재 50 : 오링

Claims (12)

  1. 제 1 편심 샤프트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수용되는 제 1 축 수용부가 일측 하단에 형성되고, 아이들 샤프트인 제 2 편심 샤프트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수용되는 제 2 축 수용부가 타측 하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 1 편심 샤프트 및 상기 제 2 편심 샤프트가 편심회전함에 따라 피칭 운동을 하는 운동부;
    상기 제 1 편심 샤프트와 상기 제 2 편심 샤프트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가동축;
    상기 가동축 및 상기 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운동부를 롤링 운동시키는 가동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력 발생부;
    상기 구동력 발생부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제 1 편심 샤프트 및 상기 가동축에게로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
    상기 제 1 축 수용부 및 상기 제 2 축 수용부의 내주면 양측에 설치되되 대응되는 각각의 편심 샤프트와의 마찰을 줄여 주어 승마운동기구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윤활하게 해 주는 부싱부재; 및
    상기 제 1 축 수용부 및 상기 제 2 축 수용부의 내주면 양측에 설치되되 흡유기능을 통해 윤활유가 외부로 흘러나감을 방지하고 자체 오일 저축으로 인해 상기 제 1 편심 샤프트 및 상기 제 2 편심 샤프트의 운동중에 윤활유 보충을 해 주는 마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부싱부재는 상기 마감부재에 비해 중앙쪽에 보다 가깝게 설치되고,
    상기 부싱부재는 함유베어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마감부재는 함유양모탄자로 구성되고,
    상기 부싱부재의 양 측면중에서 하나 이상에 오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축 수용부 및 상기 제 2 축 수용부의 내주면 양측에는 상기 부싱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링형상의 제 1 홈, 상기 오링을 설치하기 위한 링형상의 제 2 홈, 및 상기 마감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링형상의 제 3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홈의 내경은 해당 축 수용부의 개구부의 내경과 동일하되 상기 제 2 홈의 내경에 비해 작고, 상기 제 2 홈의 내경이 상기 제 3 홈의 내경에 비해 작고,
    상기 부싱부재의 오일 함유량은 18%이고, 상기 마감부재의 오일 함유량은 18%이고, 상기 마감부재의 두께는 5.5mm인,
    승마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편심 샤프트 및 상기 제 2 편심 샤프트가 설치된 길이 방향을 X축이라고 하고, 상기 X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Y축이라고 한 경우,
    상기 운동부는 상기 제 1 편심 샤프트 및 상기 제 2 편심 샤프트의 편심 회전운동에 따라 해당 운동부의 전/후 측부가 반복되게 승하강되어 피칭 운동을 하는,
    승마운동기구.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축과 상기 운동부는 연결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되되,
    상기 가동축에는 나선형태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운동부의 하부의 플랜지부가 상기 가동부의 상면의 홈부에 끼워지고,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홈부를 따라 움직이고 타단이 상기 가동부의 홈부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지는,
    승마운동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가동축과는 이격되게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바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바를 따라 움직이되, 상기 가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승마운동기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축이 설치된 길이 방향을 X축이라고 하고, 상기 X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Y축이라고 한 경우,
    상기 가동부가 상기 가동축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슬라이딩 바를 따라 좌측 및 우측으로 움직이게 되면 상기 가동부는 상기 운동부의 플랜지부를 좌측 및 우측으로 밀게 되어, 상기 운동부는 좌/우 측부가 좌측 및 우측으로 교번되게 기울어지는 롤링 운동을 하는,
    승마운동기구.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10022663A 2021-02-19 2021-02-19 내구성 향상 및 소음저감이 동시에 구현된 승마운동기구 KR102309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663A KR102309441B1 (ko) 2021-02-19 2021-02-19 내구성 향상 및 소음저감이 동시에 구현된 승마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663A KR102309441B1 (ko) 2021-02-19 2021-02-19 내구성 향상 및 소음저감이 동시에 구현된 승마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441B1 true KR102309441B1 (ko) 2021-10-06

Family

ID=78077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663A KR102309441B1 (ko) 2021-02-19 2021-02-19 내구성 향상 및 소음저감이 동시에 구현된 승마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44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425Y1 (ko) 2005-10-06 2006-03-14 장대욱 승마운동 헬스 기구
KR101383439B1 (ko) * 2006-03-22 2014-04-08 파울 뮬러 게엠베하 앤드 코 카게 운테르네멘스베테리군겐 윤활제를 수용하기 위한 기공성 부재를 구비한 베어링
KR101413861B1 (ko) * 2014-02-21 2014-07-04 주식회사 라이더 승마 운동 기구용 요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승마 운동 기구용 요동 장치
KR101532302B1 (ko) * 2015-02-09 2015-06-29 양윤식 회전복귀장치가 구비된 운동기구
KR101568856B1 (ko) 2014-06-24 2015-11-26 주식회사 에코스미스 승마 운동기구
KR101671433B1 (ko) 2016-03-08 2016-11-02 최영철 승마운동장치
KR101929579B1 (ko) 2016-08-30 2018-12-14 피제이비 주식회사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425Y1 (ko) 2005-10-06 2006-03-14 장대욱 승마운동 헬스 기구
KR101383439B1 (ko) * 2006-03-22 2014-04-08 파울 뮬러 게엠베하 앤드 코 카게 운테르네멘스베테리군겐 윤활제를 수용하기 위한 기공성 부재를 구비한 베어링
KR101413861B1 (ko) * 2014-02-21 2014-07-04 주식회사 라이더 승마 운동 기구용 요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승마 운동 기구용 요동 장치
KR101568856B1 (ko) 2014-06-24 2015-11-26 주식회사 에코스미스 승마 운동기구
KR101532302B1 (ko) * 2015-02-09 2015-06-29 양윤식 회전복귀장치가 구비된 운동기구
KR101671433B1 (ko) 2016-03-08 2016-11-02 최영철 승마운동장치
KR101929579B1 (ko) 2016-08-30 2018-12-14 피제이비 주식회사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262521A (zh) 提高了耐久性的线性致动器
JP2510374B2 (ja) 転動子を有する滑り・転がり兼用型軸受
KR102309441B1 (ko) 내구성 향상 및 소음저감이 동시에 구현된 승마운동기구
CN109513183A (zh) 一种儿童肺活量锻炼器
CN104587637A (zh) 弹性拉索式自行车训练装置
KR102323974B1 (ko) 내구성 향상 및 소음저감이 동시에 구현된 휴대용 마사지기의 실린더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마사지기
CN211009566U (zh) 一种耐磨型轴承
CN205494889U (zh) 一种划船器
CN101837194A (zh) 玩具车轮
CN208561561U (zh) 一种升降机升降结构
CN107313822A (zh) 一种带有储油槽的摇臂
CN205780333U (zh) 一种耐磨轴承
JP2008157268A (ja) ころ軸受
US20170191526A1 (en) Rotation resistant linear bearing assembly
KR102132346B1 (ko) 오일 윤활 볼 베어링용 케이지
CN207513641U (zh) 一种带有储油槽的摇臂
CN106369057A (zh) 一种石墨轴套
CN2454521Y (zh) 一种镶套结构牙轮
CN210770082U (zh) 具润滑机构的滚珠花键
CN209430711U (zh) 驱动桥减速器
CN112145655A (zh) 一种整体式低噪柔性链轮
CN207429587U (zh) 旋转轴可调阻尼装置及健身自行车
CN218703574U (zh) 一种整体式低噪引导轮
CN106351949B (zh) 一种摆动摩擦变为转动摩擦的机构
CN208546411U (zh) 一种易润滑的连接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