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770B1 -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 - Google Patents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770B1
KR102308770B1 KR1020190139445A KR20190139445A KR102308770B1 KR 102308770 B1 KR102308770 B1 KR 102308770B1 KR 1020190139445 A KR1020190139445 A KR 1020190139445A KR 20190139445 A KR20190139445 A KR 20190139445A KR 102308770 B1 KR102308770 B1 KR 102308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gricultural
waterway
agricultural waterway
ground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3616A (ko
Inventor
이영동
신동민
김병준
Original Assignee
지오텍컨설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오텍컨설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오텍컨설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9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77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3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2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by means of vertical pipe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5Keeping wells in good condition, e.g. by cleaning, repairing, regenerating; Maintaining or enlarging the capacity of wells or water-bearing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6Component parts of wells
    • E03B3/18Well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농수로 주변의 충적층에 인공 함양 시설을 구성한 것이고, 이에 따라 하천에서 농수로에 용수를 공급시 그 일부의 용수를 지하수로 저장시키면서 가뭄 지역에서의 지하수 고갈 문제를 개선하는 한편, 취수정 설치를 통해 저장된 지하수를 주변 지역 주민들의 생활 용수로 공급하여, 지하수 또는 생활 용수 부족에 의한 지역 주민의 불편함을 개선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artificial recharge system}
본 발명은 하천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을 때 용수 일부를 지하수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수로는 농업 용수의 취수시 물을 끌어 오기 위한 수로로서, 도수 방법으로는 자연 유하와 펌프 압송 방식이 있다.
상기 자연 유하 방식은 조작이 간편하고 저렴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해발 고도 등의 문제가 있으며, 상기 펌프 압송 방식은 급수 지역과 가까운 하천과 지하수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펌프 압송 방식으로 농수로에 지하수 용수를 끌어 올리는 방식은 지하수 함양량이 줄어든 가뭄 지역에서는 그 사용이 제한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종래의 농수로에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5029호에서와 같은 집수 시스템을 통해 수질이 개선된 용수를 저장하고 이를 강제 펌핑하여 농수로에 농업 용수를 공급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집수시스템을 용수의 수질을 개선하여 집수하고 이를 농업 용수로서 농수로에 강제 펌핑하는 구조로서, 지하수가 고갈된 지역의 경우에는 농수로에 용수 공급이 이루어지더라도 이를 지하수로 저장시켜 활용하지는 못하였다.
즉, 종래의 집수시스템은 농수로에 용수를 공급하는 목적에만 국한되어 있을뿐 이를 이용하여 지하수 함양량을 높일 수는 없었던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5029호(공개일 2010.09.29.)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5846호(공고일 2013.03.1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농수로 주변의 충적층에 인공 함양 시설을 구성함으로써, 하천에서 농수로에 용수를 공급시 그 일부의 용수를 지하수로 저장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가뭄 지역에서의 지하수 고갈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취수정 설치를 통해 저장된 지하수를 주변 지역 주민들의 생활 용수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은, 하천과 농수로를 연결하도록 시공되는 지중 연결로; 상기 지중 연결로의 내부에 매설되며, 상기 하천의 용수를 상기 농수로에 공급하는 수평형 관정; 및, 상기 농수로에 인접하는 상기 수평형 관정에서 지하수층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분기되어 매설되는 것으로, 상기 농수로에 용수 공급시 일부의 용수를 수용한 후 이를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제 1 분출공을 통해 상기 지하수층으로 배수시키는 수직형 관정; 을 포함하고, 상기 농수로에 인접하여 매설되는 상기 수평형 관정의 일측단은 상기 농수로로의 용수 공급과, 상기 농수로의 용수에 대한 수위 조절을 위해 경사진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중 연결로는 상기 농수로에 인접하는 상기 수평형 관정의 일측단이 경사진 각도로 매설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형 관정의 일측단과 동일한 경사진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천측에는 상기 수평형 관정을 통해 상기 농수로에 용수를 강제 펌핑하는 펌핑장치가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농수로에 인접하는 지중 연결로의 상부측 지중에는 충적층에서 발생하는 퇴적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투과 방지막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농수로에 인접하는 상기 지중 연결로 내부에는 상기 수평형 관정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자갈 보호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농수로에 인접하여 경사진 각도를 유지하는 상기 수평형 관정에는 상기 펌핑장치에 의해 강제 펌핑되는 용수가 통과될 때, 상기 용수를 상기 자갈 보호층으로 분출시키거나 또는 상기 자갈 보호층으로 분출된 용수의 재유입을 가능하게 하여 수질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분출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농수로측에 인접하는 상기 지중 연결로와 상기 수평형 관정의 경사진 각도는 상기 농수로측으로 진행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상기 경사진 각도는 상기 펌핑장치의 강제 펌핑시 상기 농수로에 용수를 공급하면서, 상기 농수로의 용수 수위를 조절하는 2°∼5°범위내인 것이다.
또한, 상기 농수로는 인공의 양측 벽면과 인공의 바닥면을 포함하되, 상기 양측 벽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하단에는 결합공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에 경사진 각도를 유지하는 상기 수평형 관정의 일측단이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형 관정을 통해 상기 지하수층에 저장되는 지하수는 상기 농수로가 형성되는 지역 주민의 생활 용수로 사용 가능하도록 취수정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농수로 주변의 충적층에 인공 함양 시설을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하천에서 농수로에 용수를 공급시 그 일부의 용수를 지하수로 저장시키면서 가뭄 지역에서의 지하수 고갈 문제를 개선하는 한편, 취수정 설치를 통해 저장된 지하수를 주변 지역 주민들의 생활 용수로 공급하여, 지하수 또는 생활 용수 부족에 의한 지역 주민의 불편함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에 펌핑장치와 취수정이 연결 시공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에 펌핑장치와 취수정이 연결 시공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은, 지중 연결로(10), 수평형 관정(20), 수직형 관정(30)을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펌핑장치(40), 투과 방지막(50), 자갈 보호층(60), 취수정(70)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중 연결로(10)는 하천(100)과 농수로(200)를 연결하도록 시공되는 것이며, 상기 지중 연결로(10) 중에서 상기 농수로(200)와 인접되는 충적층(400)내의 지중 연결로는 상기 농수로(200)에 인접하는 상기 수평형 관정(20)의 일측단이 경사진 각도(θ)로 매설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형 관정(20)의 일측단과 동일한 경사진 각도, 즉 상기 농수로(200)측으로 진행할수록 높아지는 2°∼5°범위내의 경사진 각도(θ)로 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평형 관정(20)은 상기 하천(100)과 상기 농수로(200)를 연결하는 상기 지중 연결로(10)의 내부에 매설되어 상기 하천(100)의 용수를 상기 농수로(200)에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농수로(200)측에 인접하는 상기 수평형 관정(20)의 일측단은 상기 농수로(200)측으로 진행할수록 높아지는 경사진 각도(θ)를 가지며, 상기 경사진 각도(θ)는 상기 펌핑장치(40)의 강제 펌핑시 상기 농수로(200)에 용수를 공급하면서, 상기 농수로(200)의 용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2°∼5°범위내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평형 관정(20)의 일측단이 상기 농수로(200)측으로 진행할수록 높은 각도로 경사지게 시공하는 이유는, 상기 펌핑장치(50)에 의해 용수 펌핑이 이루어져, 상기 농수로(200)가 목표로 하는 수위에 도달시, 상기 농수로(200)로의 용수 공급을 중단시킬 때, 상기 농수로(20)내 용수가 상기 수평형 관정(20)을 통해 하천(100)측으로 자연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는 상기 농수로(200)의 용수 수위가 넘쳐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농수로(200)에 펌핑장치(50)에 의한 용수 공급 이외에 우천으로 인해 수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함인 것이다.
한편, 상기 수평형 관정(20)은 약 50㎜의 직경을 가지는 것이고, 상기 농수로(200)측에 인접하여 경사진 각도(θ)를 유지하는 상기 지중 연결로(10)와 상기 수평형 관정(20)의 일측단 길이는 약 70M 정도로 설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농수로(200)에 인접하는 상기 수평형 관정(20)의 일측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분출공(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분출공(21)은 상기 펌핑장치(40)에 의해 강제 펌핑되는 용수가 통과될 때, 상기 용수를 상기 자갈 보호층(60)으로 분출시키거나 또는 상기 자갈 보호층(60)으로 분출된 용수의 재유입을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용수에 대한 수질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펌핑장치(40)에 의해 하천(100)으로부터 용수가 강제 펌핑되어 상기 수평형 관정(20)을 통해 상기 농수로(200)의 수위를 올리고, 상기 농수로(200)의 수위가 정해진 수위를 유지하고 있을 때, 상기 농수로(200)측에 인접하는 상기 수평형 관정(20)내에 존재하는 용수는 상기 제 2 분출공(21)을 통해 상기 자갈 보호층(60)으로 자연 분출되고, 이렇게 자연 분출된 용수는 상기 자갈 보호층(60)내의 자갈 사이로 유동한 후 다시 상기 제 2 분출공(21)을 통해 상기 수평형 관정(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반복하게 되고, 상기와 같은 분출과 유입의 반복적인 작용으로부터 상기 용수의 수질이 자연적으로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직형 관정(30)은 상기 농수로(200)에 인접하는 상기 수평형 관정(20)에서 지하수층(300)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분기되어 매설된 것이며, 이는 상기 농수로(200)에 용수 공급시 일부의 용수를 수용한 후 이를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제 1 분출공(31)을 통해 상기 지하수층(300)으로 배수시켜, 상기 지하수층(300)의 지하수 수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수평형 관정(20)을 통해 상기 농수로(200)에 강제 펌핑을 통해 용수를 공급하거나, 또는 강제 펌핑없이 상기 수평형 관정(20)내 용수 정체 현상이 있을 때, 그 용수의 일부가 상기 수직형 관정(30)으로 유입되어 임시 저장될 수 있는 것이고, 이렇게 임시 저장되는 용수는 상기 수직형 관정(3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분출공(31)을 통해 지하수층(300)으로 자연 분출되면서, 상기 지하수층(300)의 지하수 수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농수로(200)는 인공의 양측 벽면(201)과 인공의 바닥면(202)을 포함하되, 상기 양측 벽면(201)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하단에는 결합공(20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공(201a)에는 경사진 각도(θ)를 유지하는 상기 수평형 관정(20)의 일측단이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직형 관정(30)의 제 1 분출공(31)을 통해 용수의 자연 분출이 이루어지면, 상기 용수는 충적층(400)을 이루는 모래 및/또는 자갈 사이에 스며들면서 자연적인 수질 개선이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지하수층(300)으로 유입되어, 상기 지하수층(300)내의 지하수 수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펌핑장치(40)는 상기 하천(100)측에 설치되는 펌프로서, 이는 상기 하천(100)측의 용수를 상기 수평형 관정(20)으로 강제 펌핑하는 것이며, 상기 펌핑장치(40)의 지속적인 펌핑 압력으로부터 용수는 상기 수평형 관정(20)을 통해 상기 농수로(200)에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펌핑장치(40)는 상기 하천(100)으로부터 용수를 직접 강제 펌핑하거나, 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하천(100)측에 여과장치를 가지는 집수정을 설치한 후 상기 집수정으로부터 여과된 용수를 강제 펌핑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투과 방지막(50)은 상기 농수로(200)에 인접하는 상기 지중 연결로(10)의 상부측 지중에 시공되는 사출 구조물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며, 이는 상기 농수로(200)에 인접하는 충적층(400)에서 발생하는 퇴적물(예; 모래)이 상기 수평형 관정(20)의 외부면에 쌓이면서 상기 제 2 분출공(21)을 막거나 또는 상기 제 2 분출공(21)을 통해 상기 수평형 관정(20)의 내부로 퇴적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자갈 보호층(60)은 상기 농수로(200)에 인접하는 상기 지중 연결로(10)의 내부를 자갈로 채워 형성된 것이며, 이는 상기 수평형 관정(20)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함인 것이다.
즉, 상기 충적층(400) 위의 지상에서 사람 또는 차량 등의 이동으로 인한 진동이 가해져, 상기 투과 방지막(50)에 대한 파손이 발생할 경우, 상기 투과 방지막(50)의 파손에 따른 파편 및/또는 충적층(400)의 퇴적물이 상기 수평형 관정(2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취수정(70)은 상기 수직형 관정(30)을 통해 상기 지하수층(300)에 지하수 저장이 이루어질 때, 저장되는 상기 지하수를 상기 농수로(200)가 형성되는 지역 주민의 생활 용수로 사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취수정(70)은 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해 펌프의 흡입관을 설치한 관정으로서, 이는 상기 농수로(200)가 형성되는 마을의 하류지역에 설치되면서, 상기 지하수층(300)에 저장되는 지하수를 취수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지역 주민들은 상기 지하수를 생활 용수로 사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은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우선 펌핑장치(40)를 통해 하천(100)의 용수를 강제 펌핑한다.
그러면, 상기 펌핑장치(40)에 의해 강제 펌핑되는 용수는 지중 연결로(10)내에 매설되는 수평형 관정(20)을 통해 농수로(200)에 공급되면서, 상기 농수로(200)의 용수는 항상 일정 수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평형 관정(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형 관정(30)이 분기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직형 관정(30)에는 상기 수직형 관정(20)을 통과하는 용수의 일부가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형 관정(20)으로 유입되는 용수는 제 1 분출공(31)을 통해 서서히 상기 지중 연결로(10)의 하부측 충적층(400)으로 분출되고, 이렇게 분출된 용수는 상기 충적층(400)을 이루는 모래나 자갈에 스며들면서 통과하여 수질이 개선된 후 지하수층(300)으로 흘러 들어가고, 이에따라 상기 지하수층(300)의 지하수 수위는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지하수각 고갈된 지역이나 가뭄지역에서 유용한 것이다.
즉, 상기 농수로(200)의 수위를 하천(100)의 용수를 강제 펌핑하여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기만 하면, 상기 농수로(200)측에 인접하는 충적층(400) 아래의 지하수층(300)에서도 항상 일정한 지하수 수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면서, 상기 농수로(200)에 채워진 용수는 농업 용수로서 언제든지 활용 가능하고, 상기 지하수층(300)에 충전된 지하수는 지역 주민의 생활 용수로 그 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지중 연결로 20; 수평형 관정
21; 제 2 분출공 30; 수직형 관정
31; 제 1 분출공 40; 펌핑장치
50; 투과 방지막 60; 자갈 보호층
70; 취수정 100; 하천
200; 농수로 201; 벽면
201a; 결합공 202; 바닥면
300; 지하수층 400; 충적층

Claims (9)

  1. 하천과 농수로를 연결하도록 시공되는 지중 연결로; 상기 지중 연결로의 내부에 매설되며, 상기 하천의 용수를 상기 농수로에 공급하는 수평형 관정; 및, 상기 농수로에 인접하는 상기 수평형 관정에서 지하수층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분기되어 매설되는 것으로, 상기 농수로에 용수 공급시 일부의 용수를 수용한 후 이를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제 1 분출공을 통해 상기 지하수층으로 배수시키는 수직형 관정; 을 포함하고,
    상기 농수로에 인접하여 매설되는 상기 수평형 관정의 일측단은 상기 농수로로의 용수 공급과, 상기 농수로의 용수에 대한 수위 조절을 위해 경사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하천측에는 상기 수평형 관정을 통해 상기 농수로에 용수를 강제 펌핑하는 펌핑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 연결로는 상기 농수로에 인접하는 상기 수평형 관정의 일측단이 경사진 각도로 매설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형 관정의 일측단과 동일한 경사진 각도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수로에 인접하는 상기 지중 연결로의 상부측 지중에는 충적층에서 발생하는 퇴적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투과 방지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수로에 인접하는 상기 지중 연결로 내부에는 상기 수평형 관정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자갈 보호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농수로에 인접하여 경사진 각도를 유지하는 상기 수평형 관정에는 상기 펌핑장치에 의해 강제 펌핑되는 용수가 통과될 때, 상기 용수를 상기 자갈 보호층으로 분출시키거나 또는 상기 자갈 보호층으로 분출된 용수의 재유입을 가능하게 하여 수질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분출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농수로측에 인접하는 상기 지중 연결로와 상기 수평형 관정의 경사진 각도는 상기 농수로측으로 진행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상기 경사진 각도는 상기 펌핑장치의 강제 펌핑시 상기 농수로에 용수를 공급하면서, 상기 농수로의 용수 수위를 조절하는 2°∼5°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수로는 인공의 양측 벽면과 인공의 바닥면을 포함하되, 상기 양측 벽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하단에는 결합공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에 경사진 각도를 유지하는 상기 수평형 관정의 일측단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형 관정을 통해 상기 지하수층에 저장되는 지하수는 상기 농수로가 형성되는 지역 주민의 생활 용수로 사용 가능하도록 취수정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
KR1020190139445A 2019-11-04 2019-11-04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 KR102308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445A KR102308770B1 (ko) 2019-11-04 2019-11-04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445A KR102308770B1 (ko) 2019-11-04 2019-11-04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616A KR20210053616A (ko) 2021-05-12
KR102308770B1 true KR102308770B1 (ko) 2021-10-06

Family

ID=75918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445A KR102308770B1 (ko) 2019-11-04 2019-11-04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7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810B1 (ko) 2010-08-17 2012-03-23 이승영 토양의 치환을 통한 지하수 함양 구조 및 그 방법
KR101795430B1 (ko) 2016-10-06 2017-11-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하 매립형 저장탱크와 유공관을 이용한 온도회복형 지하수 인공함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수 인공함양 방법
KR101817560B1 (ko) 2017-04-11 2018-02-21 주식회사 지오그린21 지하수 인공함양 실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5029A (ko) 2009-03-20 2010-09-29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하상여과공법을 이용한 집수시스템
KR200465846Y1 (ko) 2010-09-15 2013-03-13 세일콘크리트공업 주식회사 농로형 수로
KR20120057461A (ko) * 2010-11-26 2012-06-05 주식회사 호성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810B1 (ko) 2010-08-17 2012-03-23 이승영 토양의 치환을 통한 지하수 함양 구조 및 그 방법
KR101795430B1 (ko) 2016-10-06 2017-11-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하 매립형 저장탱크와 유공관을 이용한 온도회복형 지하수 인공함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수 인공함양 방법
KR101817560B1 (ko) 2017-04-11 2018-02-21 주식회사 지오그린21 지하수 인공함양 실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616A (ko) 202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5634B2 (ja) サイフォン送水装置及びサイフォン送水方法
KR101133580B1 (ko)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
CN105821830A (zh) 一种用于低渗透性土坡的增渗虹吸排水系统
JP5291927B2 (ja) 淡水貯留取水システム
CN102635402A (zh) 隧道洞壁渗水处置的下倾钻孔虹吸排水法
CN105822347A (zh) 一种隧道虹吸排水系统及其建造方法
KR20140122782A (ko) 옹벽용 배수로에서 배수 촉진장치
KR101841511B1 (ko) 지하수 강제 배수 장치
KR102308770B1 (ko)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
CN208346836U (zh) 一种隐蔽式排水系统
KR101463223B1 (ko) 지하수 관정과 지열공 토사슬러리 배출 장치 및 방법
KR102230241B1 (ko) 지중 침투를 위한 수자원 인공 함양 시스템
KR102008204B1 (ko) 공기유입방지 및 고양정 흡입이 가능한 월류형 취배수 장치
CN114787461A (zh) 水灾时二次排水方法
CN210737511U (zh) 塔式地下水压力回灌设备
KR101311000B1 (ko) 지하수 굴착공 국소배출 및 침전 토사 제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63260B1 (ko) 가변 연출형 분수
DE102004017709A1 (de) Verfahren und Anlage zur lokalen und temporären Grundwasserabsenkung mittels neuartiger Filterlanzen
JP2019049182A (ja) サイフォン送水装置及びサイフォン送水方法
KR101349463B1 (ko) 세정가능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
CN106592748A (zh) 水下初雨调蓄利用系统
JP6838735B2 (ja) サイフォン送水装置及びサイフォン送水方法
CN202380456U (zh) 深层真空高效疏干加固土体的装置
JP2009097151A (ja) 透水構造
JP6480745B2 (ja) 注水井戸の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