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534B1 - Rope type self-driving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 Google Patents
Rope type self-driving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8534B1 KR102308534B1 KR1020210070741A KR20210070741A KR102308534B1 KR 102308534 B1 KR102308534 B1 KR 102308534B1 KR 1020210070741 A KR1020210070741 A KR 1020210070741A KR 20210070741 A KR20210070741 A KR 20210070741A KR 102308534 B1 KR102308534 B1 KR 1023085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ave
- driving
- driven
- rope
- elevato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5/00—Main component parts of mining-hoist winding devices
- B66B15/02—Rope or cable carriers
- B66B15/04—Friction sheaves; "Koepe" pulle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10—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equalising rope or cable t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 로프에 의해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에서 구동부 및 제어반을 탑승카 자체에 탑재하여 별도의 기계실을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한 로프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pe-type self-driven elevator that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and more particularly, a rope-type elevator in which a drive unit and a control panel are mounted on the passenger car itself in an elevator that goes up and down by a wire rope so that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machine room It is about self-driving elevators.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고층건물 등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사람이나 화물을 원하는 층으로 운송시킨다.In general, elevators are installed in high-rise buildings, etc. to transport people or cargo to a desired floor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도 1은 이러한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1 shows an example of such a rope type elevator.
종래의 로프식 엘리베이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탑승카(20)와, 상기 탑승카(2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40)와, 상기 탑승카(20)와 카운터웨이트(40)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50)와, 상기 와이어 로프(50)가 감긴 트랙션 시브(31a)를 구동하는 구동부(31)와, 상기 와이어 로프(50)를 안내하는 중간시브(33)와, 탑승카(20)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ventional rope elevator, as shown in Figure 1, a
여기서 상기 구동부(31), 중간시브(33) 및 제어반(32)는, 수직으로 형성된 승강통로(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기계실(30) 내부에 설치된다.Here, the
그리고 상기 와이어 로프(50)의 일단은 탑승카(20)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카운터웨이트(40)의 상부에 고정된다.And one end of the
상기한 구조의 엘리베이터에서 트랙션 시브(31a)를 정,역회전시키면, 탑승카(20)가 승강통로를 따라 승강하게 되고, 카운터웨이트(40)는 상기 탑승카(20)와 반대방향으로 승강하게 된다.When the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승강통로의 상부에 구동부(31) 및 제어반(31)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기계실(30)을 구비하여야 한다.However, the conventional elevator should have a
이로써 공사비가 증가되고, 엘리베이터의 설치시간이 지연되며, 미감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Accordingly, there are disadvantages in that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the installation time of the elevator is delayed, and the aesthetic feeling is deteriorated.
또한 건축현장에서 작업자 및 장비의 운반을 위해 엘리베이터를 임시로 설치하는 경우, 승강통로(10)의 상부에 구비된 기계실(30)로 인하여 엘리베이터의 승강높이를 높이거나 낮추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an elevator is temporarily installed to transport workers and equipment at a construction si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raise or lower the height of the elevator due to th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도 하는데, 이를 통상 머신룸리스(Machine Room Less) 엘리베이터라 부른다.As a metho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s shown in FIG. 2 ,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may be installed, which is usually referred to as a machine room less elevator.
도 2는 이러한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2 shows an example of such a machine roomless elevator.
종래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31)를 탑승카 가이드 레일(도시 생략)의 상부 일측에 설치하고, 제어반(32)을 승강통로 벽체의 측면에 설치한다.In the conventional machine roomless elevator, the
상기한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승강통로(10)의 상부에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achine roomless elevato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machine room in the upper part of the
한편 상기 구동부(31)를 승강통로(10)의 하부 바닥에 설치한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도 있다. Meanwhile, there is also a machine roomless elevator in which the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는, 승강통로(10)의 상부나 하부에 구동부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설치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achine roomless elevator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when it is difficult to secure a driving unit installation space i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또한 엘리베이터의 승강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height of the elevato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cannot be actively responded to.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pe-type self-driven elevator that does not need to have a separate machine roo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통로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동부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installation of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even when it is difficult to secure a driving unit installation space i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hoistwa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장의 주변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엘리베이터의 승강높이를 비교적 간단하게 높이거나 낮출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relatively simply increase or decrease the elevation height of the elevator regardles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sit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체구동 엘리베이터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승강통로와, 상기 승강통로상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탑승카와, 상기 탑승카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탑승카와 카운터웨이트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와, 상기 와이어 로프에 의해 탑승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탑승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프식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탑승카 자체에 탑재되고, 상기 제어반이 탑승카의 상부에 탑재되며, 상기 구동부는, 제1 구동시브와, 상기 제1 구동시브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 구동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탑승카의 하부에 직접 장착되고, 상기 제1 구동시브와 제2 구동시브는, 동기화장치에 의해 서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며, 상기 구동부는, 구동시브와, 상기 구동시브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종동시브와, 상기 구동시브와 종동시브 사이에 구비되는 텐션 유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탑승카의 하부에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lf-driving elev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lift passag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 guide rail provided on the lift passage, and vertical elevation along the guide rail. a boarding car, a counterweight for maintaining a weight balance with the boarding car, a wire rope connecting the boarding car and the counterweight,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boarding car by the wire rope, and a control panel for controlling the boarding car In the rope elevator configured to include, the driving unit is mounted on the boarding car itself, the control panel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boarding car, and the driving unit, a first driving sheave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first driving sheav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drive sheave provided and is directly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boarding car, the first drive sheave and the second drive sheave rotate at the same speed by a synchronizer, and the drive unit, It comprises a sheave, a driven sheav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riving sheav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tension maintaining device provided between the drive sheave and the driven sheav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rectly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텐션 유지장치는, 상기 구동시브와 종동시브를 연결하는 유압 실린더와, 상기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외주면에 구비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와이어 로프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ension maintaining device is configured to include a hydraulic cylinder connecting the driving sheave and the driven sheave, and a spring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of the hydraulic cylinder, characterized in that it maintains the tension of the wire rope constant.
또한 와이어 로프의 일단은, 승강통로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타단은, 제1 구동시브, 제2 구동시브를 차례로 감싸도록 랩 로핑(Wrap Roping)된 후, 중간시브를 거쳐 카운터웨이트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wire rope is fixed to the upper fixing par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ing passage,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rope is wrap-roped so as to sequentially wrap the first driving sheave and the second driving shea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unterweight via an intermediate sheave.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체구동 엘리베이터는, 구동부가, 제1 구동시브와, 상기 제1 구동시브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 구동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탑승카의 상부에 직접 장착되고, 상기 제1 구동시브와 제2 구동시브는, 동기화장치에 의해 서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elf-driving elev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iving unit, a first driving sheave, and a second driving sheav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riving sheav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boarding car Directly mounted on the, the first drive sheave and the second drive sheave, characterized in that it rotates at the same speed with each other by a synchronizer.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체구동 엘리베이터는,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상부에 카운터웨이트 시브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는, 제1 구동시브와, 상기 제1 구동시브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 구동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탑승카의 하부에 직접 장착되고, 상기 제1 구동시브와 제2 구동시브는, 동기화장치에 의해 서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n the self-driving elev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unterweight sheave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unterweight, and the driving unit is provided with a first driving sheave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first driving sheav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drive sheave that becomes a driving sheave and is directly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and the first drive sheave and the second drive sheav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rotate at the same speed by a synchronization device.
그리고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체구동 엘리베이터는, 카운터웨이트의 상부에 카운터웨이트 시브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는, 제1 구동시브와, 상기 제1 구동시브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 구동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탑승카의 상부에 직접 장착되고, 상기 제1 구동시브와 제2 구동시브는, 동기화장치에 의해 서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n the self-driving eleva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unterweight sheave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unterweight, and the driving unit is provided with a first driving sheave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first driving sheav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drive sheave and is directly mounted on the top of the vehicle, and the first drive sheave and the second drive sheav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rotate at the same speed by a synchronizer.
본 발명에 의하면, 탑승카 자체에 구동부와 제어반을 탑재함으로써, 승강통로에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the driving unit and the control panel on the boarding car itself,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machine room in the elevating passage.
또한 승강통로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동부를 설치하기 어려운 현장에서도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even at a site where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driving unit in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hoistway.
또한 현장의 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엘리베이터의 승강높이를 간단하게 높이거나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levator height can be simply raised or lowered regardless of the conditions of the site.
또한 구동시브와 종동시브 사이에 텐션 유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와이어 로프의 일정한 장력에 의해 탑승카가 원활하게 승강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tension maintaining device between the driving sheave and the driven sheav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oarding car smoothly ascends and descends by a constant tension of the wire rope.
또한 구동부와 제어반이 탑승카 자체에 탑재됨으로써, 구조가 간단해지고 유지보수 작업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riving unit and the control panel are mounted on the vehicle itself, there is an effect of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simplifying maintenance work.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로프식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체구동 엘리베이터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체구동 엘리베이터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체구동 엘리베이터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체구동 엘리베이터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ope typ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ope-type machine roomless elev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3 is a view briefly showing a self-driven elev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enlarged views of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of a self-driven elev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view of a self-driven eleva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lf-driven eleva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3 show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로프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승강통로(10)와, 상기 승강통로(10)상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탑승카(20)와, 상기 탑승카(2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40)와, 상기 탑승카(20)와 카운터웨이트(40)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50)와, 상기 와이어 로프(50)에 의해 탑승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탑승카(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프식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탑승카(20) 자체에 탑재되고, 상기 제어반(32)이 탑승카(20)의 상부에 탑재된다.The rope-type self-driven elev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즉 본 발명은, 구동부와 제어반이 탑승카 자체에 직접 탑재되므로, 별도의 기계실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iving unit and the control panel are directly mounted on the vehicle itself,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machine room.
상기 구동부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시브(21a)와, 상기 제1 구동시브(21a)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 구동시브(21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탑승카(20)의 하부에 직접 장착된다.The driving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driving sheave 21a and a second driving sheave 21b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riving sheave 21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s shown in FIG. 4A , and the boarding It is mounted directly on the lower part of the
그리고 제1 구동시브(21a)와 제2 구동시브(21b)는 트랙션 머신(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된다.And the
또한 상기 제1 구동시브(21a)와 제2 구동시브(21b)는 동기화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서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sheave 21a and the second driving sheave 21b are configured to rotate at the same speed by a synchronizer (not shown).
상기 동기화장치 자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synchronization device itself is a 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구동부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시브(21)와, 상기 구동시브(21)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종동시브(22)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구동시브를 하나만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B ,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driving
그리고 상기 구동시브(21)와 종동시브(22) 사이에, 와이어 로프(5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텐션 유지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And between the driving
또한 상기 텐션 유지장치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시브(21)와 종동시브(22)를 연결하는 유압 실린더(23)와, 상기 유압 실린더(23)의 피스톤 외주면에 구비되는 스프링(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tension maintaining device, as shown in Fig. 4b, a
상기 유압실린더(23)는, 상기 종동시브(22)를 일정한 압력으로 밀어서 구동시브(21)와 와이어 로프(50)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그리고 상기 텐션 유지장치는, 구동시브(21)와 종동시브(22)의 양측에 구비된다.And the tension maintaining devic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riving
또한 도 4a와 같이 구동시브가 2개인 경우, 각 와이어 로프(50)의 일단은, 승강통로(10)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 고정부(51)에 고정되고, 와이어 로프(50)의 타단은, 제1 구동시브(21a) → 제2 구동시브(21b) → 제1 구동시브(21a) → 제2 구동시브(21b)에 차례로 감긴 후, 중간시브(33)를 거쳐 카운터웨이트(40)의 상부에 고정된다.In addition, when there are two driving sheave as shown in FIG. 4A , one end of each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동시브(21a)와 제2 구동시브(21b)는, 와이어 로프(50)가 루프 형태로 감기는 랩 로핑(Wrap Roping) 방식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That is, the
이로써 시브와 와이어 로프간의 마찰력을 최대한 증대시킬 수가 있다.Thereb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heave and the wire rope as much as possible.
또한 도 4b와 같이 구동시브가 1개인 경우, 상기 와이어 로프(50)의 일단은, 승강통로(10)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 고정부(51)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50)의 타단은, 탑승카(20)의 하부에 구비된 구동시브(21)와 종동시브(22)를 감싸도록 랩 로핑(Wrap Roping)된 다음, 중간시브(33)를 거쳐 카운터웨이트(40)의 상부에 고정된다.In addition, when there is one driving sheave as shown in FIG. 4B , one end of the
이 경우 각 와이어 로프(50)는, 상부 고정부(51) → 구동시브(21) → 종동시브(22) → 구동시브(21) → 종동시브(22) → 중간시브(33) → 카운터웨이트(40)에 차례로 로핑된다.In this case, each
도 4에는 상기 와이어 로프(50)가 3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와이어 로프(50)의 개수는 엘리베이터의 적재하중에 따라 증감된다.Although the
상기한 구조에서 구동시브를 트랙션 머신(Traction Machine)에 의해 정,역회전시키면, 구동시브의 상부에 위치한 탑승카(20)가 승강통로(10)의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In the above structure, when the driving sheave is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by a traction machine, the boarding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설치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machine room,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shorten the installation time of the elevator.
특히 승강통로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동부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현장에서도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쉽게 설치할 수가 있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even at a site where it is difficult to secure an installation space for the driving unit in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hoistway.
또한 승강통로의 상부에 기계실이 없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승강높이를 비교적 쉽게 조절할 수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machine room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it is possible to relatively easily adjust the hoisting height of the elevator.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5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로프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 구동부를 탑승카의 상부에 직접 장착한 것이다.In the rope-type self-driven elev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 the driving unit in the first embodiment is directl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arding car.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동부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시브(21a)와, 상기 제1 구동시브(21a)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 구동시브(21b)로 구성된다.The driving uni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s shown in FIG. 4A , a
또한 상기 구동부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시브(21)와, 상기 구동시브(21)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종동시브(22)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B ,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driving
상기 구동부가 구동시브(21)와 종동시브(22)로 구성될 경우, 텐션 유지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driving unit is composed of the driving
그리고 상기 텐션 유지장치는, 탑승카(20)의 상부에 구비된 구동시브(21)와 종동시브(22)를 연결하는 유압 실린더(23)와, 상기 유압 실린더(23)의 피스톤 외주면에 구비되는 스프링(2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와이어 로프(5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And the tension maintaining device, th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부 및 제어반(32)이 모두 탑승카(20)의 상부에 장착되므로, 유지보수가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both the driving unit and the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other matters are the same as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6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체구동 엘리베이터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 카운터웨이트(40)의 상부에 카운터웨이트 시브(41)를 설치하고, 와이어 로프 (50)의 로핑방식을 2:1 로핑으로 변경한 것이다.In the self-driving elev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탑승카(2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40)의 상부에 카운터웨이트 시브(41)가 더 구비된다. That is,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시브(21a)와, 상기 제1 구동시브(21a)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 구동시브(21b)로 구성되어 탑승카(20)의 하부에 직접 장착된다.And, as shown in FIG. 4A , the driving unit is composed of a
이 경우 상기 와이어 로프(50)의 일단은, 승강통로(10)의 상부에 구비된 제1 상부 고정부(53a)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50)의 타단은, 제1 구동시브(21a) → 제2 구동시브(21b) → 제1 구동시브(21a) → 제2 구동시브(21b) → 제3시브(35) → 카운터웨이트 시브(41)에 차례로 감긴 후, 중간시브(33)와 카운터웨이트 시브(41)를 거쳐 승강통로(10) 상부에 구비된 제2 상부 고정부(53b)에 고정된다.In this case, one end of the
또한 상기 구동부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시브(21)와, 상기 구동시브(21)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종동시브(22)와, 상기 구동시브(21)와 종동시브(22) 사이에 구비되는 텐션 유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b, th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ing
이 경우 상기 와이어 로프(50)의 일단은, 승강통로(10)의 상부에 구비된 제1 상부 고정부(53a)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50)의 타단은, 탑승카(20)의 하부에 구비된 구동시브(21)와 종동시브(22)를 감싸도록 랩 로핑(Wrap Roping)된 다음, 중간시브(33)와 카운터웨이트 시브(41)를 거쳐 승강통로(10)의 상부에 구비된 제2 상부 고정부(53b)에 고정된다.In this case, one end of the
즉 상기 와이어 로프(50)는, 제1 상부 고정부(53a) → 구동시브(21) → 종동시브(22) → 구동시브(21) → 종동시브(22) → 중간시브(33) → 카운터웨이트 시브(41) → 제2 상부 고정부(53b)에 차례로 로핑된다.That is, the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2:1 로핑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탑승카의 구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vehicle can be reduced by adopting a 2:1 roping method.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Other than that, it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제4 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7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체구동 엘리베이터는, 상기한 제3 실시예에서 구동부를 탑승카의 상부에 설치한 것이다.In the self-driving eleva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in the third embodiment is installed above the passenger car.
즉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탑승카(2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40)의 상부에 카운터웨이트 시브(41)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부는, 제1 구동시브(21a)와, 상기 제1 구동시브(21a)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 구동시브(21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탑승카(20)의 상부에 직접 장착된다.That is,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구동부는, 구동시브(21)와, 기 구동시브(21)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종동시브(22)와, 상기 구동시브(21)와 종동시브(22) 사이에 구비되는 텐션 유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the driving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3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Other than that, it is the same as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third embodimen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emplarily described,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본 발명은, 승객용, 인화물용, 화물용, 건설용, 유원시설용, 스키장용, 산악용, 농가용 엘리베이터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to elevators for passengers, prints, cargo, construction, amusement facilities, ski resorts, mountains, farmhouses, and the like.
10: 승강통로 20: 탑승카
21: 구동시브(Sheave) 21a: 제1 구동시브
21b: 제2 구동시브 22: 종동시브
23: 유압 실린더(Cylinder) 24: 스프링(Spring)
30: 기계실 31: 구동부
31a: 트랙션 시브(Traction Sheave) 32: 제어반
33: 중간시브 40: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
41: 카운터웨이트 시브 50: 와이어 로프(Wire Rope)
51: 상부 고정부 53a: 제1 상부 고정부
53b: 제2 상부 고정부10: elevator passage 20: boarding car
21: drive sheave (Sheave) 21a: first drive sheave
21b: second drive sheave 22: driven sheave
23: Hydraulic Cylinder 24: Spring
30: machine room 31: drive unit
31a: Traction Sheave 32: Control Panel
33: medium sheave 40: counterweight (Counterweight)
41: Counterweight Sheave 50: Wire Rope
51: upper fixing
53b: second upper fixing part
Claims (15)
상기 구동부가 탑승카(20) 자체에 탑재되고,
상기 제어반(32)이 탑승카(20)의 상부에 탑재되며,
상기 구동부는,
제1 구동시브(21a)와, 상기 제1 구동시브(21a)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 구동시브(21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탑승카(20)의 하부에 직접 장착되고,
상기 제1 구동시브(21a)와 제2 구동시브(21b)는, 동기화장치에 의해 서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며,
상기 구동부는,
구동시브(21)와,
상기 구동시브(21)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종동시브(22)와,
상기 구동시브(21)와 종동시브(22) 사이에 구비되는 텐션 유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탑승카(20)의 하부에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 An elevating passage 10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 guide rail provided on the elevating passage 10, a vehicle 20 vertically ascending and descending along the guide rail, and the vehicle 20 A counterweight 40 for maintaining the weight balance, a wire rope 50 connecting the boarding car 20 and the counterweight 40,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boarding car by the wire rope 50; In the rope elevator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panel 32 for controlling the boarding car 20,
The driving unit is mounted on the boarding car 20 itself,
The control panel 32 is mounted on the boarding car 20,
The drive uni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driving sheave 21a and a second driving sheave 21b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riving sheave 21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directly moun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arding car 20,
The first driving sheave 21a and the second driving sheave 21b rotate at the same speed by a synchronization device,
The drive unit,
a driving sheave 21;
and a driven sheave 22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riving sheave 2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rope-type self-driven elevator that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ension maintaining device provided between the driving sheave 21 and the driven sheave 22 and is directly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boarding car 20 . .
상기 텐션 유지장치는,
상기 구동시브(21)와 종동시브(22)를 연결하는 유압 실린더(23)와,
상기 유압 실린더(23)의 피스톤 외주면에 구비되는 스프링(2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와이어 로프(5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The method of claim 1,
The tension maintaining device,
a hydraulic cylinder 23 connecting the driving sheave 21 and the driven sheave 22;
A rope-type self-driven elevator that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pring (24)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ston of the hydraulic cylinder (23), and keeps the tension of the wire rope (50) constant.
상기 와이어 로프(50)의 일단은, 승강통로(10)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 고정부(51)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50)의 타단은, 제1 구동시브(21a), 제2 구동시브(21b)를 차례로 감싸도록 랩 로핑(Wrap Roping)된 후, 중간시브(33)를 거쳐 카운터웨이트(40)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of the wire rope 50 is fixed to the upper fixing part 51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passage 10,
The other end of the wire rope 50 is wrap-roped so as to sequentially wrap the first driving sheave 21a and the second driving sheave 21b, and then the counterweight 40 through the intermediate sheave 33. A rope-type self-driven elevator that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상기 구동부는,
제1 구동시브(21a)와,
상기 제1 구동시브(21a)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 구동시브(21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탑승카(20)의 상부에 직접 장착되고,
상기 제1 구동시브(21a)와 제2 구동시브(21b)는, 동기화장치에 의해 서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e unit,
A first drive sheave (21a)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driving sheave 21b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riving sheave 21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directly mounted on the top of the boarding car 20,
The first drive sheave (21a) and the second drive sheave (21b) is a rope-type self-driven elevator that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characterized in that it rotates at the same speed with each other by a synchronization device.
상기 구동부는,
구동시브(21)와,
상기 구동시브(21)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종동시브(22)와,
상기 구동시브(21)와 종동시브(22) 사이에 구비되는 텐션 유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탑승카(20)의 상부에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e unit,
a driving sheave 21;
and a driven sheave 22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riving sheave 2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rope-type self-driven elevator that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ension maintaining device provided between the driving sheave 21 and the driven sheave 22 and is directl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arding car 20 . .
상기 텐션 유지장치는,
상기 구동시브(21)와 종동시브(22)를 연결하는 유압 실린더(23)와,
상기 유압 실린더(23)의 피스톤 외주면에 구비되는 스프링(2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와이어 로프(5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8. The method of claim 7,
The tension maintaining device,
a hydraulic cylinder 23 connecting the driving sheave 21 and the driven sheave 22;
A rope-type self-driven elevator that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pring (24)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ston of the hydraulic cylinder (23), and keeps the tension of the wire rope (50) constant.
상기 카운터웨이트(40)의 상부에 카운터웨이트 시브(41)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는,
제1 구동시브(21a)와,
상기 제1 구동시브(21a)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 구동시브(21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탑승카(20)의 하부에 직접 장착되고,
상기 제1 구동시브(21a)와 제2 구동시브(21b)는, 동기화장치에 의해 서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The method of claim 1,
A counterweight sheave 41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unterweight 40,
The drive unit,
A first drive sheave (21a)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driving sheave 21b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riving sheave 21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directly moun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arding car 20,
The first drive sheave (21a) and the second drive sheave (21b) is a rope-type self-driven elevator that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characterized in that it rotates at the same speed with each other by a synchronization device.
상기 와이어 로프(50)의 일단은, 승강통로(10)의 상부에 구비된 제1 상부 고정부(53a)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50)의 타단은, 제1 구동시브(21a), 제2 구동시브(21b)를 차례로 감싸도록 랩 로핑(Wrap Roping)된 후, 중간시브(33)와 카운터웨이트 시브(41)를 거쳐 승강통로(10)의 상부에 구비된 제2 상부 고정부(53b)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10. The method of claim 9,
One end of the wire rope 50 is fixed to the first upper fixing part 53a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passage 10,
The other end of the wire rope 50, the first driving sheave (21a), the second driving sheave (21b) after wrap roping (Wrap Roping) to wrap in turn, the intermediate sheave 33 and the counterweight sheave 41 A rope-type self-driven elevator that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second upper fixing part 53b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isting passage 10 through the .
상기 카운터웨이트(40)의 상부에 카운터웨이트 시브(41)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는,
구동시브(21)와,
상기 구동시브(21)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종동시브(22)와,
상기 구동시브(21)와 종동시브(22) 사이에 구비되는 텐션 유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탑승카(20)의 하부에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The method of claim 1,
A counterweight sheave 41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unterweight 40,
The drive unit,
a driving sheave 21;
and a driven sheave 22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riving sheave 2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rope-type self-driven elevator that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ension maintaining device provided between the driving sheave 21 and the driven sheave 22 and is directly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boarding car 20 . .
상기 텐션 유지장치는,
상기 구동시브(21)와 종동시브(22)를 연결하는 유압 실린더(23)와,
상기 유압 실린더(23)의 피스톤 외주면에 구비되는 스프링(2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와이어 로프(5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tension maintaining device,
a hydraulic cylinder 23 connecting the driving sheave 21 and the driven sheave 22;
A rope-type self-driven elevator that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pring (24)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ston of the hydraulic cylinder (23), and keeps the tension of the wire rope (50) constant.
상기 카운터웨이트(40)의 상부에 카운터웨이트 시브(41)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는,
제1 구동시브(21a)와,
상기 제1 구동시브(21a)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 구동시브(21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탑승카(20)의 상부에 직접 장착되고,
상기 제1 구동시브(21a)와 제2 구동시브(21b)는, 동기화장치에 의해 서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The method of claim 1,
A counterweight sheave 41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unterweight 40,
The drive unit,
A first drive sheave (21a)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driving sheave 21b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riving sheave 21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directly mounted on the top of the boarding car 20,
The first drive sheave (21a) and the second drive sheave (21b) is a rope-type self-driven elevator that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characterized in that it rotates at the same speed with each other by a synchronization device.
상기 카운터웨이트(40)의 상부에 카운터웨이트 시브(41)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시브(21)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종동시브(22)와,
상기 구동시브(21)와 종동시브(22) 사이에 구비되는 텐션 유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탑승카(20)의 상부에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The method of claim 1,
A counterweight sheave 41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unterweight 40,
The drive unit,
and a driven sheave 22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riving sheave 2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rope-type self-driven elevator that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ension maintaining device provided between the driving sheave 21 and the driven sheave 22 and is directl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arding car 20 . .
상기 텐션 유지장치는,
상기 구동시브(21)와 종동시브(22)를 연결하는 유압 실린더(23)와,
상기 유압 실린더(23)의 피스톤 외주면에 구비되는 스프링(2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와이어 로프(5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tension maintaining device,
a hydraulic cylinder 23 connecting the driving sheave 21 and the driven sheave 22;
A rope-type self-driven elevator that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pring (24)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ston of the hydraulic cylinder (23), and keeps the tension of the wire rope (50) consta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0741A KR102308534B1 (en) | 2021-06-01 | 2021-06-01 | Rope type self-driving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0741A KR102308534B1 (en) | 2021-06-01 | 2021-06-01 | Rope type self-driving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08534B1 true KR102308534B1 (en) | 2021-10-05 |
Family
ID=78077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0741A KR102308534B1 (en) | 2021-06-01 | 2021-06-01 | Rope type self-driving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8534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78202B1 (en) | 2022-01-18 | 2022-03-25 |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 Rope and single mast type car self-driving lift having twin car without machine room and hoistway structure |
KR102402799B1 (en) | 2022-01-18 | 2022-05-30 |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 Rope and twin mast type car self-driving lift having car for heavy duty without machine room and hoistway structure |
KR102566304B1 (en) * | 2023-05-17 | 2023-08-11 |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 Rope type machine roomless elevator for passenger, passenger and freight, freight, construction which traction machine is installed on counterweight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7849U (en) * | 1991-04-04 | 1994-04-12 |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 Support structure for skew elevator rails |
JPH10273274A (en) * | 1997-03-27 | 1998-10-13 | Otis Elevator Co | Elevator moved up and down through rope |
KR20000012600A (en) | 1999-12-14 | 2000-03-06 | 김재영 | A study of language system using network |
KR20010041288A (en) * | 1998-02-26 | 2001-05-15 | 로이드 디. 도이간 | Machine-roomless elevator system with an elevator machine mounted on an elevator car |
KR20060124845A (en) | 2005-05-26 | 2006-12-06 |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 Elevator system without machine room |
KR20150001635U (en) | 2013-10-21 | 2015-04-29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Machine room-less elevator |
-
2021
- 2021-06-01 KR KR1020210070741A patent/KR10230853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7849U (en) * | 1991-04-04 | 1994-04-12 |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 Support structure for skew elevator rails |
JPH10273274A (en) * | 1997-03-27 | 1998-10-13 | Otis Elevator Co | Elevator moved up and down through rope |
KR20010041288A (en) * | 1998-02-26 | 2001-05-15 | 로이드 디. 도이간 | Machine-roomless elevator system with an elevator machine mounted on an elevator car |
KR20000012600A (en) | 1999-12-14 | 2000-03-06 | 김재영 | A study of language system using network |
KR20060124845A (en) | 2005-05-26 | 2006-12-06 |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 Elevator system without machine room |
KR20150001635U (en) | 2013-10-21 | 2015-04-29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Machine room-less elevato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78202B1 (en) | 2022-01-18 | 2022-03-25 |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 Rope and single mast type car self-driving lift having twin car without machine room and hoistway structure |
KR102402799B1 (en) | 2022-01-18 | 2022-05-30 |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 Rope and twin mast type car self-driving lift having car for heavy duty without machine room and hoistway structure |
KR102566304B1 (en) * | 2023-05-17 | 2023-08-11 |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 Rope type machine roomless elevator for passenger, passenger and freight, freight, construction which traction machine is installed on counterweigh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91568B2 (en) | Method of installing an elevator | |
KR102308534B1 (en) | Rope type self-driving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 |
KR102308532B1 (en) | Rope type self-driving inclined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 |
JP5873884B2 (en) | elevator | |
US9415974B2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moving a heavy load | |
KR100351275B1 (en) | Machin room less elevator | |
US6305499B1 (en) | Drum drive elevator using flat belt | |
JPWO2002072461A1 (en) | Elevator equipment | |
KR101245570B1 (en) |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and elevator | |
KR20170102306A (en) | Elevator system roping component | |
CN201002908Y (en) | Rope-wheel type elevator without machinery room traction | |
JP2004504239A (en) | Elevator equipment using the smallest building space | |
JP4260288B2 (en) | Double deck elevator | |
JP2002326778A (en) | Elevator and multi-story parking facilities | |
CN114852825A (en) | Method for extending the rise height of an elevator shaft | |
JP2505628B2 (en) | Double deck elevator | |
JPH02106570A (en) | Elevator | |
KR102566304B1 (en) | Rope type machine roomless elevator for passenger, passenger and freight, freight, construction which traction machine is installed on counterweight | |
WO1999043599A1 (en) | Drum drive elevator using flat belt | |
KR102548320B1 (en) | Flat belt type self-driving elevator for passenger and freight without machine room | |
KR200288350Y1 (en) | Elevator | |
CN112960510B (en) | Elevator ladder | |
CN101088901B (en) | Elevator device without machine room | |
KR102443566B1 (en) | Big size and super big size elevator to prevent fall of vertical type door panel and to shorten opening and closing time of door panel | |
CN215479071U (en) | Power failure emergency flat elev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6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28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