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108B1 - 합성목재 - Google Patents

합성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108B1
KR102308108B1 KR1020180103926A KR20180103926A KR102308108B1 KR 102308108 B1 KR102308108 B1 KR 102308108B1 KR 1020180103926 A KR1020180103926 A KR 1020180103926A KR 20180103926 A KR20180103926 A KR 20180103926A KR 102308108 B1 KR102308108 B1 KR 102308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synthetic wood
weight
surface layer
synth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5915A (ko
Inventor
이재원
김정윤
강창원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80103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10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from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7/00After-treatment, e.g. reducing swelling or shrinkage, surfacing; Protecting the edges of boards against access of humidity
    • B27N7/005Coating boards, e.g. with a finishing or decorating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6Anti-stat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7Additives being an antistatic ag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목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미끄럼 저항 성능 및 정전기 방지 성능이 우수한 합성목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합성목재{Wood-plastic composite}
본 발명은 합성목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미끄럼 저항 성능 및 정전기 방지 성능이 우수한 합성목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deck), 벤치(bench), 펜스(fence), 평상 등의 건축물의 외장재로 천연목재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천연목재를 사용할 경우, 벌목에 의해 산림이 훼손될 수 있고, 수분흡수율이 높아 뒤틀림 등의 휨 현상이 발생하고, 자외선에 따라 변색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천연목재를 대신하여 합성수지, 목분 및 UV안정제, 산화방지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된 합성목재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합성목재를 데크 등과 같이 실외 바닥재로 사용 시 우천 시의 강우 또는 동절기의 눈 등에 의해 수분에 노출될 경우 천연목재에 비해 미끄럽고, 합성수지를 포함함으로 인해 건조한 환경에서 정전기가 발생되고 쉽게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5800호(공개일: 2012. 6. 1.)에서는 규사,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압착롤을 통하여 최종 압출물 표면에 강제로 압입시켜 합성목재의 미끄럼 저항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으나, 규사,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가 압출물 표면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요구되는 수준의 미끄럼 저항 성능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12-0055800 A (2012.06.01.)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합성목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미끄럼 저항 성능 및 정전기 방지 성능이 우수한 합성목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끄럼 저항 성능 등급이 R10 이상(DIN 51130)인 것인 합성목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전전위(KS K ISO 6356:2012)가 1.0kV 이하인 합성목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합성목재는 미끄럼 저항 성능 및 정전기 방지 성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합성목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경사로 시험방법(DIN 5113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도 3b는 미끄럼 저항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도 3a) 및 시편(도 3b)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미끄럼 저항 성능 등급이 R10 이상(DIN 51130)인 합성목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미끄럼 저항 성능 등급 측정의 구체적 방법은, 경사로 시험기(ramp tester)에 시편을 수평으로 장착한 후, 안전장화를 신은 시험자가 상기 시편의 위 아래로 도보를 수행하고, 시편 상에 오일을 제공하며 시편의 경사각도를 증가시켜 갈 때(도 2 참조), 미끄러지기 시작하는 각도를 총 6회 측정하여 평균치를 계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R10 이상은 미끄러지기 시작하는 각도가 10°이상인 경우를 의미한다.
미끄러지기 시작하는 각도의 최대값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구체적 일 예로 90°, 80°또는 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성목재(10)는 미끄럼 저항 성능 등급이 R10 이상의 성능을 나타내어, 미끄럼 저항 성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합성목재(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합성목재(10)는 외부 표면을 이루는 표면층(20)과 내부를 이루는 중심층(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표면층(20)은 목분(A),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 폴리올레핀계 수지(C) 및 대전방지제(D)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일 예로, 상기 표면층(20)은 목분(A) 20-50 중량%,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 10-40 중량%, 폴리올레핀계 수지(C) 10-40 중량% 및 대전방지제(D) 1-7 중량%를 포함하는 표면층용 조성물로 압출 성형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목분(A)은 50-120메시(mesh) 또는 70-100메시의 크기일 수 있다. 목분의 크기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합성목재의 치수안정성 및 탄성률을 구현하면서, 목분을 배합 시 목분의 뭉침 등과 같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목분(A)은 수분 함유율이 5-15 중량%일 수 있다. 목분(A)의 수분 함유율이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산포도가 낮아져 강도가 저하되며, 수분 함유율이 1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합성목재의 제조 시 목분 내의 수분이 증발함에 따라 기포 등이 발생하게 되어 후술할 합성수지(B)와의 배합시 결합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상기 목분(A)은 상기 표면층용 조성물 내에 20-50 중량% 또는 25-4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목분(A)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제품의 강도가 약해지고 천연 목재 느낌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변색, 곰팡이 증식 및 수분 흡수율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는 합성목재의 표면이 미끄러운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포함되는 것으로서,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와 상기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가교 고무 또는 비-가교 고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는 연속 상(phase)을 구성하고 상기 가교 고무 또는 비-가교 고무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형태로 구별된 상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의 구체적 일 예로, 경도가 낮고 가공온도가 높은 장점이 있는,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 내에 동적 가황된 고무가 분산된 열가소성 가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열가소성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C)와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의 단일 중합체, 프로필렌과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다른 단량체는 C4-16의 α-올레핀 및 말레산 에스테르, 아크릴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와 같은 극성 단량체 중 선택된 1종 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으로는 에틸렌의 단일 중합체, 에틸렌과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다른 단량체는 C3-16의 α-올레핀 및 말레산 에스테르, 아크릴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와 같은 극성 단량체 중 선택된 1종 일 수 있다.
상기 동적 가황된 고무는 에틸렌, 1종 이상의 C3-20의 α-올레핀 단량체 및 1종 이상의 폴리엔의 조합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α-올레핀 단량체는 C3-20의 지방족 화합물, C3-10의 지방족 화합물 또는 C3-8의 지방족 화합물일 수 있다. α-올레핀의 구체적 일 예로는 프로필렌, 부텐-1, 헥센-1 또는 옥텐-1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엔은 비공액 디엔 또는 공액 디엔일 수 있고, 구체적 일예로는 노르보르나디엔,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5-비닐-2-노르브르넨, 1,3-펜타디엔, 1,3-부타디엔, 2-메틸-1,3-부타디엔, 4-메틸-1,3-펜타디엔 또는 시클로펜타디엔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엘리스토머(B)의 구체적 일 예로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내에 동적 가황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가 분산된 열가소성 가황물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는 쇼어 A 경도가 45 내지 95 또는 60 내지 9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미끄럼 저항 성능과 내마모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쇼어 A 경도는 ASTM D2240에 의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는 용융지수(Melt Flow Index, MFI)가 1 내지 10g/10min (230 ℃/5kg) 또는 2 내지 5 g/10min (230 ℃/5kg)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압출 가공성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용융 지수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는 파단 시 인장강도가 8 내지 15 Mpa 또는 10 내지 14 Mpa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내마모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는 파단신율이 600 내지 900% 또는 700 내지 80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내마모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인장강도 및 파단 신율은 ASTM D412에 의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는 상기 표면층용 조성물 내에 10-40 중량% 또는 15-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미끄럼성 개선효과를 구현하기 어렵고,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압출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C)는 상기 목분(A)과 배합되어 외부 온도 변화, 습기, 및 충격 등에 의한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독성이 없어서 친환경적인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합성목재의 내수성, 내열성, 충격강도, 및 휨강도 등의 물성을 강화시킬 수 있고, 상기 폴리에틸렌은 합성목재 원료를 보다 균질하게 혼합 및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의 단일 중합체, 프로필렌과 C4-16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구체적 일 예로, 호모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펜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헥센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옥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펜텐 랜덤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에틸렌-헥센 랜덤 공중합체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으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C)의 구체적 일 예로 고밀도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C)의 용융지수는 0.1 내지 5.0g/10min 또는 0.5 내지 1.5g/10min(ASTM D1238, 190℃, 2.16kg)이거나 10 내지 25g/10min 또는 15 내지 20g/10min(ASTM D1238, 230℃, 2.16kg)일 수 있고, 굴곡 탄성율은 7,000 내지 20,000kg/cm2 또는 8,000 내지 15,000 kg/cm2(ASTM D790)일 수 있으며, 충격강도는 10 내지 50 kgcm/cm 또는 15 내지 45 kgcm/cm이거나 3 내지 10 kgcm/cm 또는 4 내지 9 kgcm/cm(ASTM D256)일 수 있고, 열변형 온도는 50-90℃ 또는 60-80℃이거나 80-130℃ 또는 90-120℃(ASTM D648)일 수 있다. 상술한 용융지수, 굴곡 탄성율, 충격강도 및 열변형 온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합성목재로의 압출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C)는 상기 표면층용 조성물 내에 10-40 중량% 또는 15-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C)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결합력 및 압출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목분의 함량이 낮아져 나무의 특성이 잘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제(D)는 건조한 환경에서 합성목재 표면에 발생되는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 내지 감소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대전방지제(D)는 합성목재에 포함된 합성수지가 부도체로 표면저항이 크기 때문에 정전기가 잘 발생되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대전방지제(D)는 장쇄의 지방산 에스테르와 다가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또는 이오노머 폴리일렉트로라이트(Ionomer polyelectrolyte)일 수 있으며, 구체적 일 예로는 글리세롤 모노 스테아레이트이거나 이오노머 폴리일렉트로라이트(Ionomer polyelectrolyte)를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일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제(D)는 상기 표면층용 조성물 내에 1-7 중량% 또는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제(D)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정전기 방지 성능 효과를 구현하기 어렵고,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정전기 방지 성능 효과 대비 제품 원가가 상승되고 압출 가공성이 저하되며, 내후성, 내변색 등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표면층(20)은 선택적으로, 합성목재로의 압출 가공성을 개선하고, 수분에 따른 수축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탈크, 탄산칼슘, 활석, 운모 중 선택된 1종 이상인 충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상기 표면층용 조성물 내에 5-20 중량% 또는 10-15 중량%로 포함될 경우 압출 가공성 및 굴곡최대하중, 충격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표면층(20)은 그 외, 선택적으로 필요에 따라 열안정제, 난연제, 결합제,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활제 및 안료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 및 함량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표면층(20)의 두께는 0.3-2.5mm, 또는 0.5-2.0mm일 수 있다. 상기 표면층(20)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두께가 너무 얇아 표면층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표면층(20)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합성목재(10)의 제조 비용이 올라갈 수 있어 상기 범위 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심층(30)은 목분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심층은 목분 55-90 중량%, 폴리올레핀계 수지 5-35 중량%를 포함하는 중심층용 조성물을 압출성형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목분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상기 표면층(20)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 일 예로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중심층용 조성물에는 상기 목분이 55-90 중량% 또는 60-85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목분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강도 등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압출 부하로 압출 가공성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중심층용 조성물에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5-35 중량% 또는 10-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결합력 및 압출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목분의 함량이 낮아져 나무의 특성이 잘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중심층용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열안정제, 난연제, 결합제, 산화방지제 및 활제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 및 함량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중심층(30)의 두께는 10-30mm, 또는 15-25mm일 수 있다. 상기 중심층(30)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합성목재(10)의 기계적 강도가 약해질 수 있고, 상기 중심층(30)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합성목재(10)의 가공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목재(10)은 미끄럼 저항계수(coefficient of slip resistance, KS F 3230:2013)가 0.50 이상, 0.54이상 또는 0.60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미끄럼 저항 성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목재(10)는 대전전위(KS K ISO 6356:2012 )가 1.0kV 이하, 0.9kV 이하 또는 0.7kV이하일 수 있고, 표면저항(KS M 3015:2003)은 1 X 1013Ω 이하 또는 5 X 1012 Ω 이하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정전기 방지 성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목재(10)는 표면층(20) 상에 미끄럼 저항 성능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엠보가 더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목재(10)은 다양한 외관 구현을 위해 선택적으로 상기 엠보 형성 후에 UV 도료로 코팅 후 샌딩한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합성목재(10)는 이중압출 설비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중압출 설비는 메인 호퍼, 메인 압출기, 보조 호퍼, 보조 압출기, 다이(die)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중심층용 조성물이 메인 호퍼에 투입되어 메인 압출기로부터 다이로 압출되고, 동시에 보조 호퍼에 표면층용 조성물이 투입되어서 보조 압출기로부터 상기 다이의 일측으로 압출되어, 상기 중심층(30)의 외부 표면을 감싸면서 압출되어 다이에서 배출되도록 한다. 즉, 합성목재(10)의 중심층(30)이 압출되면서 그 외부 표면을 표면층(20)이 감싸도록 이중으로 압출 성형된 후 선택적으로 엠보 형성 또는 엠보 형성 후 UV 도료로 코팅하고 샌딩하여 합성목재(10)의 제조가 완성된다.
본 발명의 합성목재는 데크(deck), 벤치(bench), 펜스(fence) 또는 평상에 이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 일 예로는 데크로 이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한 경우, 건축물의 벽외장재, 실내 내장재 등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1. 실시예
1-1. 실시예 1
(1) 표면층용 조성물
목분(70-100메시, 수분함유량 10 중량%) 40중량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20중량부, 폴리에틸렌 20중량부, 탈크 10중량부, 열안정제 0.2중량부, 자외선안정제 0.3중량부, 활제 2.5중량부, 대전방지제 4중량부 및 안료 3중량부를 포함하는 표면층용 조성물을 반바리 믹서로 혼련 후 압출성형하여 표면층 형성용 펠릿을 제조하였다.
(2) 중심층용 조성물
목분(70-100메시, 수분함유량 10 중량%) 70중량부, 폴리프로필렌 25중량부, 결합제 1중량부 및 활제 2중량부를 포함하는 중심층용 조성물을 반바리 믹서로 혼련 후에 압출성형하여 중심층 형성용 펠릿을 제조하였다.
(3) 합성목재의 제조
상기 표면층 형성용 펠릿과 중심층 형성용 펠릿을 이용하여 170-210℃에서 이중압출하여 15-25mm 두께의 중심층 둘레에 0.5-2.0mm 두께의 표면층을 형성한 후, 표면층 상에 엠보를 형성하여, 합성목재를 제조하였다.
1-2. 실시예 2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표면층 형성 후, 표면층 상에 엠보를 형성하고, UV 도료를 도포 후 샌드 페이퍼를 이용하여 샌딩하는 공정을 추가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목재를 제조하였다.
2. 비교예
(1) 표면층용 조성물
목분 35중량부, 폴리에틸렌 40중량부, 탈크 14중량부, 결합제 3중량부 및 활제 5중량부를 포함하는 표면층용 조성물을 반바리 믹서로 혼련 후 압출성형하여 표면층 형성용 펠릿을 제조하였다.
(2) 중심층용 조성물
목분(70-100메시, 수분함유량 10 중량%) 70중량부, 폴리프로필렌 25중량부, 결합제 1중량부 및 활제 2중량부를 포함하는 중심층용 조성물을 반바리 믹서로 혼련 후에 압출성형하여 중심층 형성용 펠릿을 제조하였다.
(3) 합성목재의 제조
상기 표면층 형성용 펠릿과 중심층 형성용 펠릿을 이용하여 170-210℃에서 이중압출하여 중심층 둘레에 표면층을 형성한 후, 표면층 상에 엠보를 형성하여 합성목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합성목재를 이용하여 이하의 미끄럼 저항 성능, 정전기 방지 성능의 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 3과 같았다.
1. 미끄럼 저항 성능 시험
1-1. 경사로 시험(Ramp test)
DIN 51130 시험방법에 의해 미끄러지기 시작하는 각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경사로 시험기(ramp tester)에 시편을 수평으로 장착한 후, 안전장화를 신은 시험자가 상기 시편의 위 아래로 도보를 수행하고, 시편 상에 오일을 제공하며 시편의 경사각도를 증가시켜 갈 때(도 2 참조), 미끄러지기 시작하는 각도를 총 6회 측정하여 평균치를 계산하였다.
미끄러지기 시작하는 각도에 따른 등급 판정 기준은 아래 표 1과 같다.
Class 각도
R13 ≥35
R12 ≥27>35
R11 ≥19>27
R10 ≥10>19
R9 ≥6>10
1-2. 경사인장형 시험
KS F 3230:2013 시험방법에 의해 미끄럼 저항계수(coefficient of slip resistance)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KS M 3510의 4.15.2에서 규정한 경도(듀로미터 경도시험-타입 A) 7580, 두께 36mm의 고무 시트를 미끄럼편으로 이용하고, 시험편(실시예 및 비교예의 합성목재)의 표면은 건조한 상태로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미끄럼편을 크기 80mm×70mm의 강철제 미끄럼편 받침대의 바닥면에 붙이고 785 N의 수직 하중을 가한 상태로 미끄럼편을 시험편에 접촉시킨 순간에 785 N/s의 인장 하중속도, 18°로 경사지게 위쪽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때 얻어지는 최대 인장 하중을 측정하여 다음 식에 나타낸 미끄럼 저항계수를 계산하여 유효 숫자 2자리까지 나타낸다. 제품의 압출방향과 압출수직방향을 모두 평가하여 그 중 작은 미끄럼 저항계수 값을 제품의 미끄럼 저항성 값으로 한다(도 3a, 도 3b 참조).
C.S.R = Pmax/W
(C.S.R : 미끄럼 저항계수, Pmax : 최대 인장 하중(N), W : 수직 하중(785N))
2. 정전기 방지 성능 시험
2-1. 대전전위의 측정
KS K ISO 6356:2012 시험방법에 의해 (23±1)℃, (25±3)%RH의 시험조건 하에서 대전전위를 측정하였다. 대전 전위에 따라 인체가 느끼는 정도는 아래 표 2와 같다.
대전전위 인체 전기 충격의 정도 비고
1.0 kV 전혀 감지하지 못함 -
2.0 kV 손가락 바깥쪽에 느껴지지만 통증은 없음 희미한 방전음 발생(감지 전압)
3.0 kV 따끔한 통증을 느낌 방전의 발광을 봄
5.0 kV 손바닥에서 팔꿈치까지 전기적 충격을 느끼는 통증 방전 발광이 길어짐
8.0 kV 손바닥에서 팔꿈치까지 저리는 무거운 통증 -
10.0 kV 손 전체에 통증과 전기가 흐른 느낌을 받음 -
12.0 kV 강한 전기적 충격으로 손 전체를 강타한 통증 -
2-2. 표면저항 측정
KS M 3015:2003 시험방법에 의해 표면저항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편 표면의 2개의 전극 간에 인가한 직류 전압을 표면층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로 나눈 수치를 측정하였다.
3. 시험결과
위 미끄럼 저항 성능, 정전기 방지 성능의 시험결과는 아래 표 3과 같았다.
성능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미끄럼 저항 성능 등급/
미끄러지기 시작하 는 각도(°)
R10/
10.7°
R10/
15.7°
R9/
8.5°
미끄럼 저항계수(CSR) 0.54 0.60 0.45
정전기 방지 성능 대전전위(kV) 0.54 0.55 1.82
표면저항(Ω) 3.9 x 1010 2.6 X 1012 6.0 X 1013
위 표 3의 결과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2의 합성목재는 미끄럼방지 성능 및 정전기 방지 성능이 비교예에 비해 대폭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 합성목재
20: 코어
30: 표면층

Claims (14)

  1. 외부 표면을 이루는 표면층(20)과 내부를 이루는 중심층(30)으로 구성되도록 펠릿을 이중압출하여 형성된 합성목재(10)로서,
    상기 표면층(20)은 기능성 첨가제가 첨가되어 상기 표면층(20)에 대전방지 및 미끄럼방지를 포함한 표면기능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열가소성 가황물(B) 및 글리세롤 모노 스테아레이트(D)이거나, 열가소성 가황물(B) 및 이오노머 폴리일렉트로라이트(Ionomer polyelectrolyte, D)이며,
    상기 열가소성 가황물(B)은 상기 표면층(20)에 10-4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글리세롤 모노 스테아레이트 또는 이오노머 폴리일렉트로라이트(Ionomer polyelectrolyte)(D)는 상기 표면층(20)에 1-7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합성목재(10)에 대한 DIN 51130 시험방법에 의해 미끄러지기 시작하는 각도 측정을 위해, 경사로 시험기(ramp tester)에 합성목재(10)를 수평으로 장착한 후, 안전장화를 신은 시험자가 상기 합성목재(10)의 위 아래로 도보를 수행하고, 시편 상에 오일을 제공하며 합성목재(10)의 경사각도를 증가시켜 미끄러지기 시작하는 각도를 총 6회 측정하고 계산한 평균치가 10° 이상 19° 미만 범위 내이고, 미끄럼 저항 성능 등급 R10을 만족하고,
    상기 합성목재(10)에 대한 KS F 3230:2013 시험방법에 의해 미끄럼 저항계수(coefficient of slip resistance) 측정을 위해, KS M 3510의 4.15.2에서 규정한 경도(듀로미터 경도시험-타입 A) 7580, 두께 36mm의 고무 시트를 미끄럼편으로 이용하고, 합성목재(10)의 표면은 건조한 상태로 하여, 상기 미끄럼편을 크기 80mm Х 70mm의 강철제 미끄럼편 받침대의 바닥면에 붙이고 785 N의 수직 하중을 가한 상태로 미끄럼편을 합성목재(10)에 접촉시킨 순간에 785 N/s의 인장 하중속도, 18°로 경사지게 위쪽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때 얻어지는 최대 인장 하중을 측정하여 다음 수학식 1로 계산하여 유효 숫자 2자리까지 나타내는 값을, 합성목재(10)의 압출방향과 압출수직방향 각각 수행하고, 그 중 작은 미끄럼 저항계수 값을 제품의 미끄럼 저항성 값으로 한 경우, 0.54 내지 0.60인 것인 합성목재.
    [수학식 1]
    C.S.R = Pmax/W
    (C.S.R: 미끄럼 저항계수, Pmax: 최대 인장 하중(N), W: 수직 하중(785N))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20)은 목분(A) 20-50 중량%, 열가소성 가황물(B) 10-40 중량%, 폴리올레핀계 수지(C) 10-40 중량% 및 글리세롤 모노 스테아레이트 또는 이오노머 폴리일렉트로라이트(Ionomer polyelectrolyte)(D) 1-7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합성목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가황물은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내에 동적 가황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가 분산된 것인 합성목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C)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인 것인 합성목재.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층(30)은 목분 55-90 중량%, 폴리올레핀계 수지 5-3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합성목재.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목재(10)는 KS K ISO 6356:2012 시험방법에 의해 (23±1)℃, (25±3)%RH의 시험조건 하에서 측정한 대전전위가 1.0kV 이하이고,
    상기 합성목재(10)는 KS M 3015:2003 시험방법에 의해 합성목재(10) 표면의 2개의 전극 간에 인가한 직류 전압을 표면층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로 나눈 수치인 표면저항이 3.9 X 1010 내지 2.6 X 1012 Ω인 것인 합성목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목재(10)는 표면층(20) 상에 엠보가 더 형성된 것인 합성목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목재(10)은 엠보 형성 후에 UV 도료로 코팅 후 샌딩된 것인 합성목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목재의 용도는 데크, 벤치(bench), 펜스(fence) 또는 평상인 것인 합성목재.
KR1020180103926A 2018-08-31 2018-08-31 합성목재 KR102308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926A KR102308108B1 (ko) 2018-08-31 2018-08-31 합성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926A KR102308108B1 (ko) 2018-08-31 2018-08-31 합성목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915A KR20200025915A (ko) 2020-03-10
KR102308108B1 true KR102308108B1 (ko) 2021-10-01

Family

ID=69800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926A KR102308108B1 (ko) 2018-08-31 2018-08-31 합성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1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437B1 (ko) * 2022-08-10 2023-04-04 (주)에코로 바이오 pe를 포함하는 친환경성 이중압출 합성목재 데크패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660B1 (ko) * 2012-01-30 2012-10-08 김용태 친환경 고기능 무늬목 보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친환경, 고기능 무늬목 보드
KR101735872B1 (ko) * 2013-07-16 2017-05-15 (주)엘지하우시스 표면기능성을 부여한 합성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5800A (ko) 2010-11-24 2012-06-01 (주)엘지하우시스 미끄럼 저항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제조장치 및 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 합성목재
KR102110376B1 (ko) * 2017-01-02 2020-05-13 (주)엘지하우시스 보행안정성의 개선을 위한 단체의 비닐바닥시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660B1 (ko) * 2012-01-30 2012-10-08 김용태 친환경 고기능 무늬목 보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친환경, 고기능 무늬목 보드
KR101735872B1 (ko) * 2013-07-16 2017-05-15 (주)엘지하우시스 표면기능성을 부여한 합성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915A (ko)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690B1 (ko) 합성목재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되는 합성목재
US4833194A (en) Elastomeric thermoplastic compositions
US3658635A (en) Adhesive interlayer suitable for constrained layer vibration damping
CN101668808B (zh) 烯烃基组合物和包含其地面覆盖物
KR102141518B1 (ko) 미끄럼 저항성이 우수한 이중압출 합성목재 데크패널
CN105873998A (zh) 包含中空玻璃微球的聚烯烃组合物和使用该聚烯烃组合物的方法
WO1998017722A1 (fr) Composition d'elastomere thermoplastique
WO2016143599A1 (ja) 架橋体および制振材
KR102308108B1 (ko) 합성목재
DE112015003491T5 (de) Kautschukzusammensetzung und Luftreifen unter Verwendung desselben
DE102011055316A1 (de) Kautschukmischung und Schlauch enthaltend die Kautschukmischung
KR102272077B1 (ko) 폴리올레핀계 탄성체 조성물
CN113717475A (zh) 橡胶地板原料组合物、橡胶地板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517437B1 (ko) 바이오 pe를 포함하는 친환경성 이중압출 합성목재 데크패널
KR101681469B1 (ko) 전도성이 우수한 합성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221583A1 (ja) 接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040283B1 (ja) ケーブル接続部用保護部材およびケーブル接続部
JP6512054B2 (ja)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3532767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製造方法
US20210221973A1 (en) Foamed Thermoplastic Vulcanizate and Methods Related Thereto
KR102411160B1 (ko) 미끄럼 방지성 및 성능이 개선된 탄성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915085B1 (ko) 내마모성 및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합성 목재용 조성물
JP6772581B2 (ja) 接合体の製造方法
KR102624900B1 (ko) 단일층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1152B1 (ko) 신율 및 비중 특성이 개선된 친환경 탄성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