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817B1 - 최소잔여형 주사기팁 - Google Patents

최소잔여형 주사기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817B1
KR102307817B1 KR1020210059946A KR20210059946A KR102307817B1 KR 102307817 B1 KR102307817 B1 KR 102307817B1 KR 1020210059946 A KR1020210059946 A KR 1020210059946A KR 20210059946 A KR20210059946 A KR 20210059946A KR 102307817 B1 KR102307817 B1 KR 102307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yringe
tip
tube
joi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건
김호연
방만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에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에스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에스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059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817B1/ko
Priority to PCT/KR2021/006607 priority patent/WO202223989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using additional parts, e.g. clamping rings or collets
    • A61M5/345Adaptors positioned between needle hub and syring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3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6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friction f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기의 니들조인관에 장착되며, 니들조인관에 니들부재가 결합되면 니들부재 내부에 수용되는 팁몸체, 및 상기 팁몸체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약액통로를 포함하는 최소잔여형 주사기팁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사기의 니들조인관에 장착되어 통상의 주사기를 최소잔여형 주사기로 간단하게 전환시킴으로써 잔류약액을 효율적으로 최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최소잔여형 주사기팁 {Syringe Tip for LDS}
본 발명은 주사기의 약액 잔류량을 효율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는 최소잔여형 주사기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기는 피스톤 원리를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약액을 환자의 체내에 주입하는 의료기구로서, 약액이 충진될 수 있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선단에 형성된 니들조인관에 결합되어 약병이나 환자의 체내로 삽입되는 니들부재와, 약액을 주입하거나 실린더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실린더 내부에서 진퇴 이동될 수 있는 플런저로 구성된다.
이러한 주사기는 도 7에 일 예시된 것처럼, 액약의 주입을 위해 플런저(4)를 실린더의 선단 끝까지 전진시키더라도 실린더 선단의 니들조인관(2) 내부와 니들부재(3) 내부에 들어있는 약액은 주입되지 않고 잔류될 수 밖에 없어 약액의 낭비 문제와 정확한 양의 약액 주입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기존의 통상적인 주사기는 니들조인관(2) 내부와 니들부재(3) 내부에 약액이 잔류할 수 있는 약액잔류공간(Dead Space)이 크게 존재하여 과다한 양의 잔류약액(M)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약액 잔류량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최소잔여형(LDS, Low Dead Space) 주사기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최소잔여형 주사기는 잔류약액(M)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주사기로서, 도 8에 일 예시된 것처럼, 크게 볼 때, (a)와 같이 플런저의 선단부를 변형하여 플런저에 돌출부를 형성시킨 캐뉼라 플런저형 주사기와, (b)와 같이 니들부재의 구조를 변형하여 주사니들을을 내측으로 길게 연장시킨 캐뉼라 니들형 주사기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최소잔여형 주사기는 잔류약액(M)을 통상적인 주사에 비하여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 반면, 규격화된 통상적인 주사기 자체의 구성(플런저, 니들부재)에 변경을 가하는 것이므로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함과 함께 제조요건의 어려움으로 인해 공급책 확보가 어렵고 구입비용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캐뉼라 프런저형 주사기의 경우에는 고무재질의 돌출부로 인하여 이물질이 약액에 혼입될 수 있는 위험성까지 있다.
등록특허 제10-1398858호 : 주사기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사기 자체의 구성은 전혀 변경하지 않으면서 통상적인 주사기에 간편하게 장착하는 것만으로 잔류약액을 효율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는 최소잔여형 주사기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주사기의 니들조인관에 장착되며, 니들조인관에 니들부재가 결합되면 니들부재 내부에 수용되는 팁몸체, 및 상기 팁몸체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약액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팁몸체는 상기 니들조인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니들조인관 내부의 빈공간을 축소시키는 레그부와, 상기 레그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니들조인관에 니들부재가 결합되면 니들부재 내부의 빈공간을 축소시키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최소잔여형 주사기팁이 개시된다.
삭제
또한,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은 니들조인관의 외주면을 상향으로 연장시킨 가상의 연장면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그부의 외주면은 니들조인관의 내주면에 대응될 수 있으며, 길이는 니들조인관의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최소잔여형 주사기팁에 의하면,
주사기의 니들조인관에 장착되어 통상의 주사기를 최소잔여형 주사기로 간단하게 전환시킴으로써 잔류약액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통상의 주사기를 그대로 사용하여 최소잔여형의 효과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어 제조비용이나 구입비용의 상승 부담이 최소화되면서 보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잔여형 주사기팁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잔여형 주사기팁의 구성을 단면으로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최소잔여형 주사기팁과 통상의 주사기를 입체적으로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4는 주사기의 니들조인관에 본 발명의 주사기팁이 장착되는 것을 단면으로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주사기팁이 장착된 니들조인관에 니들부재까지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주사기팁이 장착된 주사기에서 잔류약액이 최소화된 것을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7은 통상적인 주사기의 잔류약액을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8은 종래 최소잔여형 주사기의 잔류약액을 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최소잔여형 주사기팁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갯수,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특별하게 제한하지 않는 한 도면에 예시된 사항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형성되어”, “설치되어”, “결합되어”,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형성, 설치, 결합,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 후, 좌, 우, 상, 하 등과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되고 관측되는 방향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을 뿐, 도시되고 관측되는 방향이 달라지면 이 같은 용어들 역시 달라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니들부재가 미결합된 상태인 주사기의 니들조인관에 장착되어 주사기의 약액잔류공간(Dead Space)를 최소화시킴으로써 통상적인 주사기의 구조에 대한 어떠한 변경없이 약액의 잔류량을 효율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는 최소잔여형 주사기팁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통상적인 주사기에 장착되어 통상적인 주사기를 최소잔여형 주사기로 간단하게 전환시킬 수 있는 최소잔여형 주사기팁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잔여형 주사기팁이 도 1 내지 도 6에 일 예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들에 일 예시되어 있는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잔여형 주사기팁(10, 이하, “주사기팁”이라 약칭함.)은 팁몸체(100)와, 약액통로(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팁몸체(100)는 니들부재(35)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사기의 니들조인관(33)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니들조인관(33)에 니들부재(35)가 결합되면, 팁몸체(100)는 니들부재(35)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렇게 니들조인관(33)에 장착되어 니들부재(35) 내부에 수용되는 팁몸체(100)는 니들조인관(33)과 니들부재(35) 내부의 공간을 차지하여 빈공간을 축소시킴으로써 주사기의 약액잔류공간(Dead Space)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니들조인관(33)은 니들부재(35)가 결합될 수 있도록 주사기의 실린더(31) 선단에서 일정길이 돌출된 관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팁몸체(100)는 도면들에 일 예시된 것처럼, 구체적으로 레그부(110)와, 바디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그부(110)는 주사기의 니들조인관(33)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레그부(110)는 니들조인관(33)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외주면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레그부(110)의 길이는 니들조인관(33)의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대응된다’는 용어는 완전히 동일한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작은 범위까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레그부(110)는 니들조인관(33)으로 삽입이 가능하도록 니들조인관(33)의 내주면보다 약간 작은 외주면을 가질 수 있으며, 길이 또한 니들조인관(33)의 길이보다 약간 짧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레그부(110)는 니들조인관(33)에 삽입됨으로써 니들조인관(33) 내부의 빈공간을 축소시킨다.
즉, 니들조인관(33)의 내부는 삽입된 레그부(110)가 차지하는 부피만큼 빈공간(Dead Space)이 줄어들게 되어 최소화된다.
상기 바디부(130)는 레그부(110)의 상단에 형성되며, 레그부(110)가 니들조인관(33)에 삽입되면 니들조인관(33)의 상단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즉, 바디부(130)는 레그부(110)가 니들조인관(33)에 삽입된 상태일 때, 니들조인관(33)의 상단 외측에 위치된다.
바디부(130)는 외주면이 니들조인관(33)의 외주면을 상향으로 연장시킨 가상의 연장면(V.F)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레그부(110)가 니들조인관(33)에 삽입된 상태일 때, 바디부(130)의 외주면과 니들조인관(33)의 외주면은 나란하거나 내측으로 약간 단차질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30)는 니들조인관(33)에 주사기의 니들부재(35)가 결합되면, 니들부재(35)의 내부로 수용되면서 니들부재(35) 내부의 빈공간을 축소시킨다.
즉, 니들조인관(33)에 결합된 니들부재(35) 내부의 빈공간(Dead Space)은 수용된 바디부(130)가 차지하는 부피만큼 줄어들게 되어 최소화된다.
여기서, 상기 니들부재(35)는 약병이나 환자의 체내로 삽입되는 주사니들(35a)과, 니들조인관(33)에 끼워져 결합되는 니들캡(35b)으로 이루어지며, 다만 상기 니들캡(35b)의 내부는 제조사에 따라 형상이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바디부(130) 또는 니들캡(35b)의 내부 형상에 따라 상단부의 형상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면들에 예시된 것처럼, 니들캡(35b)의 내부에 단차부가 형성된 경우, 바디부(130)의 상단에도 단차진 형태로 상향 돌출된 헤드부(1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니들캡(35b)의 내부 상단의 중앙에 돌출단(35c)이 형성된 경우, 헤드부(150)에는 상기 돌출단(35c)이 삽입될 수 있도록 요입홈(151)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약액통로(300)는 팁몸체(10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즉, 약액통로(300)는 바디부(130)의 상단부터 레그부(110)의 하단까지 그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약액통로(300)는 니들부재(35)와 실린더(31) 사이에 약액이 통과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유로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주사기팁(10)은 주사기와는 별도로 제조되어 주사기의 니들조인관(33)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그 작용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본다.
먼저, 니들부재(35)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의 통상적인 주사기에 본 발명의 주사기팁(10)을 장착한다.
도 4에 예시된 것처럼, 주사기팁(10)은 레그부(110)를 니들조인관(33)의 내부로 끼워주면 주사기에 간단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렇게 주사기팁(10)이 니들조인관(33)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 5에 예시된 것처럼, 니들조인관(33)에 니들부재(35)를 끼워 결합시킨다.
이렇게 주사기팁(10)이 장착된 상태에서 니들부재(35)가 결합되면, 니들조인관(33) 내부의 빈공간은 레그부(110)에 의해 최소화되고 니들부재(35) 내부의 빈공간은 바디부(130)에 의해 최소화됨으로써, 통상적인 주사기임에도 주사기의 약액잔류공간(Dead Space)이 최소화된다.
즉, 본 발명의 주사기팁(10)을 주사기의 니들조인관(33)에 장착함으로써 통상적인 주사기가 최소잔여형 주사기로 간단하게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약액의 주사를 위하여, 니들부재(35)를 바이알과 같은 약병에 끼우고 플런저(37)를 후퇴 조작한다.
그러면, 실린더(31) 내부에 음압이 발생하면서 약병으로부터 약액이 추출되며, 추출되는 약액은 주사기팁(10)의 약액통로(300)를 통과하여 주사기의 실린더(31)로 충진된다.
이 때, 약액이 니들조인관(33)과 니들부재(35) 내부의 공간에도 모두 충진되는 통상적인 주사기와 달리, 주사기팁(10)이 장착된 주사기의 경우에는 니들조인관(33)과 니들부재(35) 내부의 공간에 약액이 충진되지 않고(또는, 최소화되고), 실린더(31)의 내부에만 약액 충진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주사기팁(10)이 약액잔류공간(Dead Space)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약액잔류공간에 충진될 수 있는 약액의 양은 최소화되는 것이다.
이렇게 실린더(31)에 약액을 충진한 이후에는 니들부재(35)를 환자의 체내에 끼우고 플런저(37)를 전진 조작함으로써 약액을 환자에게 주입한다.
그러면, 도 6에 예시된 것처럼, 약액잔류공간 상의 약액은 최소화된 상태이므로, 주입이 이루어진 후의 잔류약액(M)은 최소화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의 주사기팁은 주사기의 니들조인관에 장착됨으로써 통상의 주사기를 최소잔여형 주사기로 간단하게 전환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주사기팁을 사용하면 제조비용이나 구입비용의 상승 부담없이 최소잔여형의 효과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0: 팁몸체
110: 레그부
130: 바디부
150: 헤드부
300: 약액통로

Claims (5)

  1. 주사기의 니들조인관(33)에 장착되며, 니들조인관(33)에 니들부재(35)가 결합되면 니들부재(35) 내부에 수용되는 팁몸체(100); 및
    상기 팁몸체(10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약액통로(300);를 포함하며,
    상기 팁몸체(100)는, 상기 니들조인관(33)의 내부로 삽입되어 니들조인관(33) 내부의 빈공간을 축소시키는 레그부(110)와, 상기 레그부(110)의 상단에 형성되며, 니들조인관(33)에 니들부재(35)가 결합되면 니들부재(35) 내부의 빈공간을 축소시키는 바디부(130)를 포함하는, 최소잔여형 주사기팁.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30)의 외주면은 니들조인관(33)의 외주면을 상향으로 연장시킨 가상의 연장면(V.F)에 대응되는, 최소잔여형 주사기팁.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110)의 외주면은 니들조인관(33)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최소잔여형 주사기팁.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110)의 길이는 니들조인관(33)의 길이에 대응되는, 최소잔여형 주사기팁.
KR1020210059946A 2021-05-10 2021-05-10 최소잔여형 주사기팁 KR102307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946A KR102307817B1 (ko) 2021-05-10 2021-05-10 최소잔여형 주사기팁
PCT/KR2021/006607 WO2022239899A1 (ko) 2021-05-10 2021-05-27 최소잔여형 주사기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946A KR102307817B1 (ko) 2021-05-10 2021-05-10 최소잔여형 주사기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817B1 true KR102307817B1 (ko) 2021-10-01

Family

ID=78609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946A KR102307817B1 (ko) 2021-05-10 2021-05-10 최소잔여형 주사기팁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07817B1 (ko)
WO (1) WO202223989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86631Y (zh) * 2004-03-30 2005-03-23 亨旺生化科技股份有限公司 回拉式安全注射器的换针辅助转接头结构
KR101398858B1 (ko) 2013-11-14 2014-05-27 (주)상아프론테크 주사기
US20150157811A1 (en) * 2012-07-12 2015-06-11 Pharma Group B.V. Low residual volume syringe/conduit combination and syringe for such a syringe/conduit combin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037531T2 (de) * 1999-10-22 2008-12-11 ANTARES PHARMA, Inc., Minneapolis Medikamentenkartusche und injektionsvorrichtung
CN101513547B (zh) * 2009-03-17 2012-07-04 林作钱 一种小剂量安全自毁胰岛素注射器
CN209771024U (zh) * 2018-08-08 2019-12-13 湖南省绿洲惠康发展有限公司 一种低残留量安全自毁式注射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86631Y (zh) * 2004-03-30 2005-03-23 亨旺生化科技股份有限公司 回拉式安全注射器的换针辅助转接头结构
US20150157811A1 (en) * 2012-07-12 2015-06-11 Pharma Group B.V. Low residual volume syringe/conduit combination and syringe for such a syringe/conduit combination
KR101398858B1 (ko) 2013-11-14 2014-05-27 (주)상아프론테크 주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39899A1 (ko)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543B1 (ko) 분말 및 액체 약제 혼합형 이중 복합 주사기
EA016716B1 (ru) Шприц с углубленным наконечником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фронтальными насадками
TW201402165A (zh) 注射器
ES2187202T3 (es) Cartucho con dos camaras para nebulizadores.
JP2004524914A5 (ko)
KR20140065137A (ko) 필터 니들 일체형 주사기
JP2018089453A (ja) 薬剤を収容し、分注するための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KR102214772B1 (ko) 멀티 바이알 접속커넥터
CN105797243A (zh) 具有双枢臂活塞杆的注射器
KR20190128609A (ko) 인슐린 투약용 안전 주사기
KR102307817B1 (ko) 최소잔여형 주사기팁
US9757526B2 (en) Drug administration instrument
US9833572B2 (en) Modular dual chamber syringe system
KR101576001B1 (ko) 다양한 크기의 약액병의 사용이 가능한 동물용 연속주사기
JP2022044748A (ja) 薬液注入装置およびその装置に使用される注射針
CN211723659U (zh) 一种五官科用眼部给药装置
JP2022012330A (ja)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シリンジ組立体、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の製造方法及び表面積増加方法
JP7393362B2 (ja) 二室式容器兼用注射器
CN107427642A (zh) 用于预充填的注射器的带有至少三个环形元件的活塞杆
CN215900589U (zh) 用于医美注射的注射器
CN217793985U (zh) 注射组件以及注射装置
CN105268045B (zh) 一种预充式导管冲洗器
US20100137800A1 (en) Combined container-syringe
JP2011172849A (ja) 容器兼用注射器
JPH0910306A (ja) 容器兼用注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