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680B1 - 걸림 장치 - Google Patents

걸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680B1
KR102307680B1 KR1020170028673A KR20170028673A KR102307680B1 KR 102307680 B1 KR102307680 B1 KR 102307680B1 KR 1020170028673 A KR1020170028673 A KR 1020170028673A KR 20170028673 A KR20170028673 A KR 20170028673A KR 102307680 B1 KR102307680 B1 KR 102307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art
locking
hook
engaging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2278A (ko
Inventor
허정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28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680B1/ko
Publication of KR20180102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075Treating in a ladle furnace, e.g. up-/reheating of molten steel within the la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1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transporting la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68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comprising clamps or to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5/00Supports, screens, or the like for the charge within the furnace
    • F27D5/0068Containers
    • F27D2005/0075Pots, e.g. slag pots, ladles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외부 장착되며, 후크에 걸릴 수 있는 걸림 장치로서, 일단이 상기 용기의 양 외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의 양 외측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 형성된 제 1 걸림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걸림부 내부에 위치하도록 삽입 설치되며, 상기 후크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걸림부의 외측으로 이동이 가능한 제 2 걸림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후크가 제 1 걸림부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에 걸렸을 때, 자동으로 제 1 걸림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걸림 장치가 연장된다. 따라서, 후크가 제 1 걸림부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에 불안정하게 걸리더라도, 제 1 걸림부 외측에 제 2 걸림부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후크가 체결 장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후크로부터 래들이 낙하되는 조업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걸림 장치{Lo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걸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크(hook)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걸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중기(또는 후크 장치)는 처리 대상물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대상물을 적재 또는 출고하는 작업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기중기는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직접적으로 처리 대상물을 걸거나, 와이어 또는 로프 등의 매개 부재를 사용해서 처리 대상물을 거는 후크(hook)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기중기는 철강 제조 공정 중, 용선이 수용된 래들(ladle)을 제공 공정의 전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래들의 외측에는 기중기의 후크의 걸림이 가능한 걸이 예컨대, 트러니언(trunnion)이 장착되어 있으며, 후크를 래들의 걸이에 걸어, 이송시킴에 따라, 래들이 운반된다.
한편, 기중기의 후크를 래들의 걸이에 걸 때, 걸이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에 걸리게 되면, 래들이 경동되고, 이에 따라 용선이 래들로부터 유출되고, 불안정하게 걸려 있는 후크가 걸이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래들이 낙하되는 조업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 KR0244984Y1
본 발명은 용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용기에 후크를 걸 때, 후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걸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기의 외부에 장착되며, 후크에 걸릴 수 있는 걸림 장치로서, 일단이 상기 용기의 양 외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의 양 외측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 형성된 제 1 걸림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걸림부 내부에 위치하도록 삽입 설치되며, 상기 후크와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 1 걸림부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제 2 걸림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걸림부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 1 걸림부의 하부로 돌출 가능하며, 상기 후크에 의한 지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걸림부의 내측으로 승하강이 가능한 제 1 동작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동작부의 상승에 따라 상기 제 2 걸림부를 제 1 걸림부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부가 상기 제 2 걸림부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2 걸림부가 상기 제 1 걸림부의 외부로 이동되었을 때,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2 걸림부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 2 걸림부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한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 걸림부에는 상기 제 2 걸림부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의 삽입이 가능하며, 상기 제 2 걸림부의 외주면 방향이 개구된 홈이 마련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홈 내부에 설치된 탄성 부재 및 일단이 상기 홈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탄성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홈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걸림부는, 일단이 상기 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1 걸림 부재; 및 상기 제 1 걸림 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걸림 부재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 1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동작부는 상기 제 1 플랜지의 하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후크가 제 1 걸림부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에 걸렸을 때, 자동으로 제 1 걸림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걸림 장치가 연장된다. 따라서, 후크가 제 1 걸림부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에 불안정하게 걸리더라도, 제 1 걸림부 외측에 제 2 걸림부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후크가 체결 장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후크로부터 래들이 낙하되는 조업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 장치가 설치된 용기 및 용기를 운반시키는 기중기를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이탈 방지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구동부를 적용한 이탈 방지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탈 방지 유닛의 제 2 걸림부가 전진된 상태에서 후크가 제 2 걸림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 장치는, 운반하고자 하는 처리 대상물의 수용이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가지는 용기에 장착되는 것으로, 용기를 운반 또는 이동시키기 위해 기중기(crane)의 후크(hook)에 걸림이 기능한 걸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 장치가 설치된 용기 및 용기를 운반시키는 기중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은 후크가 실시예에 따른 걸림 장치의 제 1 걸림부에 정상적으로 걸려있는 상태이고, 도 2는 후크가 실시예에 따른 걸림 장치의 제 1 걸림부의 끝단과 인접한 위치에 걸려, 이탈 방지 유닛의 제 2 걸림부가 제 1 걸림부 외측으로 전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이탈 방지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구동부를 적용한 이탈 방지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탈 방지 유닛의 제 2 걸림부가 전진된 상태에서 후크가 제 2 걸림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제철소에서 용선이 장입되는 래들(ladle)(100)일 수 있으며, 래들(100)의 도면 부호 역시 용기와 동일한 도면 부호 '100'으로 설명한다. 물론 용기(100)는 래들(ladle)에 한정되지 않고, 걸림 장치(3000)의 설치가 가능한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기중기는 용기(100)를 운반시키는 장치로서, 예컨대, 천정 기중기(또는 천정 크레인)일 수 있으며, 이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적용되는 통상적인 기중기일 수 있다.
기중기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래들(100)의 운반을 위해, 래들(100)에 장착된 걸림 장치(3000)에 걸림이 가능한 후크 장치(210), 후크 장치(210)의 상부에 위치하여, 후크 장치(210)를 지지하는 빔(220), 빔(220)의 상부에 설치되어 빔을 승하강시키고, 수평 이동시키는 운반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운반 구동 유닛은 수평 이동이 가능한 대차(미도시), 대차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회전 가능한 롤러, 일단이 롤러에 연결되고 타단이 빔(220)에 연결되며, 롤러에 감기거나 풀림이 가능한 로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운반 구동 유닛에 의하면, 롤러의 회전에 의해 로프(230)가 롤러에 감기면, 빔(220) 및 후크 장치(210)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래들(100)이 상승되며, 반대로 롤러의 회전에 의해 로프(230)가 풀리면, 빔(220) 및 후크 장치(210)가 하강하고, 이로 인해 래들(100)이 하강한다.
물론 운반 구동 유닛의 구성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빔 및 후크를 승하강 및 수평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변경 가능하다.
후크 장치는 일측에 개구가 마련된 고리 형태로서, 개구는 걸림 장치가 삽입되거나 분리되기 위한 통로로서, 걸림 장치(3000)는 개구를 통해 후크(212)에 삽입되어 걸리고, 개구를 통해 후크(212)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크 장치(210)는, 일단이 빔(220)에 연결되며, 빔(220)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결합부(211), 결합부(211)의 하부에 연결되며, 일측에 개구를 가지는 고리 형태인 후크(hook)(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후크(212)는 대략 원형의 고리 형태일 수 있으며, 결합부(211)와 연결되지 않은 후크(212)의 끝단은 결합부(211)와 이격되며, 이 이격 공간은 개구를 형성한다. 후크(212)는 걸림 장치(3000)가 걸리는 영역으로, 전체적으로 갈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크 장치(210)를 결합부(211)와 후크(212)로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 장치(3000)는 복수개 예컨대, 한 쌍으로 마련되어 래들(100) 폭 방향의 양 외측 각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복수의 걸림 장치(3000)는 각각은 래들(100) 폭 방향의 외주면에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1 걸림부(3100), 후크(212)가 걸림 장치(3000)에 걸리는 위치에 따라, 제 1 걸림부(3100)의 외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이 가능한 이탈 방지 유닛(3200)를 포함한다.
제 1 걸림부(3100)는 래들(100)의 폭 방향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래들(1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1 걸림 부재(3110), 래들(1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걸림 부재(3110)의 끝단에 연결되며, 제 1 걸림 부재(3110)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플랜지(이하, 제 1 플랜지(3120))를 포함한다.
제 1 걸림 부재(3110)는 일단이 래들(100)에 연결되고, 타단이 래들(10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연장 형성된 바(bar) 형상으로서, 예컨대, 원형의 바(bar)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제 1 걸림 부재(3110)의 타단에는 상기 제 1 걸림 부재(3110)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는 제 1 플랜지(3120)가 장착되는데, 제 1 걸림 부재(3110)와 제 1 플랜지(3120)가 동심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플랜지(3120)는 래들(100)의 운송 중에 또는 후크(212)가 제 1 걸림 부재(3110)에 걸릴 때, 상기 후크(212)가 제 1 걸림 부재(311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후크(212)가 제 1 걸림부(3100)에 걸릴때, 래들(100)과 반대 위치인 제 1 걸림부(3100)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에 걸리게 되면, 후크(212)가 제 1 걸림부(3100)의 타단에 불안정하게 걸려있게 되고, 이때 래들(100)이 기울어(경동) 래들(100) 내 중 내용물 즉, 용선이 유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크(212)가 제 1 걸림 부재(3110)가 아닌 제 1 플랜지(3120)에 걸리게 되면, 래들(100)이 기울어 용선이 래들(100)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또한, 후크(212)가 제 1 걸림부(3100)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 또는 제 1 플랜지(3120)에 걸린 상태로 운반이 되면, 이때 래들(100)의 운반에 의해, 후크(212) 또는 래들(100) 자체가 유동될 수 있는데, 이 유동에 의해 래들(100)이 소정 거리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후크(212)가 걸리는 위치가 소정 거리 이동된다. 즉, 래들(100)의 유동에 따라 후크(212)가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다른 말로 하면, 기중기를 이용한 래들(100)의 운반에 따른 래들(100) 자체의 유동에 의해, 래들(100)이 후크에 걸려진 상태로 소정 거리 이동될 수 있는데, 이에 후크(212)가 제 1 걸림부(3100)의 일단과 인접한 위치에 걸리거나 또는 제 1 걸림부(3100)의 타단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래들(100)의 유동에 따른 후크(212)의 상대적 이동에 의해 후크(212)가 제 1 걸림부(3100)의 타단 외측 즉, 제 1 플랜지(3120)의 외측으로 이동되면, 후크(212)가 걸림 장치(3000)로부터 이탈되어 기중기로부터 낙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크(212)가 제 1 걸림부(3100)의 끝단 또는 끝단과 인접한 위치에 걸릴 때, 바로 제 1 걸림부(3100)의 외측으로 전진 가능한 제 2 걸림부(3210)를 가지는 이탈 방지 유닛(3200)을 설치하여, 후크(212)가 제 1 걸림부(310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탈 방지 유닛(3200)은 제 1 걸림 부재(3110)와 대응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제 1 걸림 부재(31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삽입 설치되고, 제 1 걸림 부재(3110)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이 가능한 제 2 걸림부(3210), 후크(212)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제 2 걸림부(3210)를 제 1 걸림부(3100)의 외측으로 전진시키는 구동부(3220), 적어도 일부가 제 2 걸림부(32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제 2 걸림부(3210)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여, 제 2 걸림부(3210)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설치된 스토퍼(3230)를 포함한다.
제 2 걸림부(3210)는 일단이 제 1 걸림 부재(3110)의 내부에 위치되어 제 1 걸림 부재(3110)의 일단과 대향 위치되고, 일단으로부터 제 1 걸림 부재(3110)의 타단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 2 걸림부(3210)는 제 1 걸림 부재(3110)와 대응하는 형상 예컨대, 바(bar)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2 걸림부(3210)의 타단에는 상기 제 2 걸림부(3210)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는 플랜지(이하, 제 2 플랜지)가 장착될 수 있으며, 제 2 걸림부(3210)와 제 2 플랜지가 동심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3220)는 후크(212)가 제 1 걸림부(3100)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에 또는 제 1 플랜지(3120)를 지지하도록 걸릴 때, 제 2 걸림부(3210)를 제 1 걸림부(3100)의 외측으로 전진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이러한 구동부(3220)는 제 1 걸림부(3100)의 연장 경로 중, 끝단과 인접한 위치에서, 일부가 제 1 걸림부(3100)의 내부에 삽입되고, 다른 일부가 제 1 걸림부의 하측 외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승하강이 가능한 제 1 동작부(3221), 일단이 제 1 동작부(3221)에 연결되어 제 2 걸림부(3210)의 일단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 1 걸림부(3100) 내에서 제 1 동작부(3221)와 함께 승하강 가능한 제 2 동작부(3222), 일단이 제 2 동작부(3222)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걸림부(3210)의 타단에 연결되어, 제 1 및 제 2 동작부(3221, 3222)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해, 제 2 걸림부(3210)를 밀거나 당기도록 기울기가 변하는 구동 부재(3223)를 포함한다.
제 1 걸림 부재(3110) 및 제 1 플랜지(3120)의 내부에는 제 2 걸림부(3210)가 그 내부에서 전진 및 후진 이동할 수 있고, 제 1 및 제 2 동작부(3221, 3222)가 그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며, 구동 부재(3223)의 기울기 또는 각도 변화가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 1 동작부(322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형상으로, 일단이 제 1 걸림부(3100)의 내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플랜지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일단으로부터 제 1 플랜지(3120)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동작부(3221)의 타단은 제 2 걸림부(3210)가 제 1 걸림부(3100)의 외측으로 전진하기 전 또는 후크(212)가 제 1 플랜지(3120)를 지지하도록 걸리기 전에는 제 1 플랜지(31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후, 후크(212)가 제 1 플랜지(312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걸리면, 후크(212)가 제 1 동작부(3221)를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제 1 동작부가 제 1 플랜지(3120) 내측으로 상승 이동한다.
제 2 동작부(3222)는 제 1 동작부(3221)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으로, 일단이 제 1 동작부(3221)에 연결되고, 타단이 구동 부재(3223)에 연결된다. 실시예에 따른 제 2 동작부(3222)는 제 2 걸림부(3210)와 대응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단이 제 1 동작부(3221)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으로부터 제 1 걸림부(3100)의 일단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1 샤프트(3222a), 일단이 제 1 샤프트(3222a)에 연결되고 타단이 구동 부재(3223)에 연결된 제 2 샤프트(3222c), 제 1 샤프트(3222a)와 제 2 샤프트(3222c)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제 1 연결부(3222b), 제 2 샤프트(3222c)와 구동 부재(3223)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제 2 연결부(3222d)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2 동작부(3222)에 의하면, 제 1 동작부(3221)의 상승시에 제 2 동작부(3222)가 제 1 걸림부(3100) 내부에서 함께 상승하고, 제 2 동작부(3222)의 하강시에 제 2 동작부(3222)가 하강한다.
구동 부재(3223)는 제 1 및 제 2 동작부(3221, 3222)의 상승 및 하강 동작에 의해 기울기가 변하여, 이에 따라 제 2 걸림부(3210)를 밀거나 당긴다. 이러한 구동 부재(3223)는 일단이 제 2 동작부(3222)의 타단 즉, 제 2 연결부(3222d)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걸림부(3210)의 일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2 동작부(3222)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구동 부재(3223)가 제 2 연결부(3222d)를 축으로하여 회동 또는 회전하며, 이에 따라 기울기가 변한다. 다른 말로 하면, 구동 부재(3223)가 시소와 같은 동작을 하며, 이때 제 2 걸림부(3210)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연장선과 구동 부재(3223)가 이루는 각도가 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및 제 2 동작부(3221, 3222)가 상승하면, 구동 부재(3223)가 제 2 연결부(3222d)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며, 이에 구동 부재(322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기 전보다 완만하도록 그 기울기가 변한다. 구동 부재(3223)가 이렇게 기울기가 변하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 부재(3223)는 제 2 걸림부(3210)를 밀게되고, 따라서 제 2 걸림부(3210)가 제 1 걸림부(3100)의 외측 방향으로 전진 이동한다.
구동부(32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후크의 지지 여부에 따라 제 2 걸림부를 제 1 걸림부 외측으로 전진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변형예와 같이, 구동부(3220)는 구동부(3220)는 제 1 걸림부(3100)의 연장 경로 중, 끝단과 인접한 위치에서, 일부가 제 1 걸림부(3100)의 내부에 삽입되고, 다른 일부가 제 1 걸림부(3100)의 하측 외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승하강이 가능한 제 1 동작부(3221), 일단이 제 1 동작부(32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걸림부(3210)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탄성력을 가져 상기 제 2 걸림부(3210)를 지지 또는 지지 해제를 수행할 수 있는 제 2 동작부(3224), 제 1 걸림부(3100) 내부에서 일단이 제 1 걸림부(3100)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걸림부(3210)의 일단에 연결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제 3 동작부(3225)를 포함한다.
제 1 동작부(3221)는 후크(210)의 지지에 의해 제 1 걸림부(3100) 내측으로 상승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 2 동작부(3224)는 제 1 걸림부(3100)의 내부에서 일단이 제 1 동작부(32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걸림부(3210) 내부로 삽입 가능한 샤프트(3224a), 일단이 샤프트(3224a)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걸림부(3100)에 연결된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탄성 부재는 스프링일 수 있다.
제 1 동작부(3221)가 상승하면, 샤프트(3224a)는 제 1 동작부(3221)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데 마치 시소와 같은 동작을 한다. 이에, 제 1 동작부(3221)가 상승하면, 샤프트(3224a)의 일단과 타단의 높이가 바뀌는 시소 동작에 의해, 제 2 걸림부(321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 2 걸림부(3210)를 지지하고 있던 타단이 상기 제 2 걸림부(3210) 외측으로 빠져나오며, 이때 탄성 부재는 압축된다. 이에 따라 제 1 동작부(3221)의 상승전에 샤프트(3224a)가 신장되어 있는 탄성 부재(3224b)에 의해 제 2 걸림부(3210)를 지지하고 있다가, 제 1 동작부(3211)가 상승되면, 상기 제 2 걸림부(3210)의 지지가 해제된다.
제 3 동작부(3225)는 탄성 부재 즉, 스프링으로서, 압축된 상태로 제 2 걸림부(3210)를 지지하고 있다가, 제 1 동작부(3221)의 상승에 따라 제 2 동작부(3224)에 의한 제 2 걸림부(3210)의 지지가 해제되면, 제 3 동작부(3225)가 도 6과 같이 이완된다. 따라서, 제 3 동작부(3225)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걸림부(3210)가 제 1 걸림부(3100)의 외측으로 전진 이동하여 돌출된다.
그리고, 제 2 걸림부(3210)의 외주면 중 일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3214)가 마련되고, 제 1 걸림부(3210)의 내벽 상에서 제 2 걸림부(3210)의 전진 이동 경로에 돌기(3214)의 이동을 방해하는 단턱(3111)이 마련된다. 이에 제 2 걸림부(3210)의 전진 이동시에 돌기(3214)가 단턱(3111)에 의해 그 이동이 차단하며, 이는 제 2 걸림부(3210)가 제 1 걸림부(3210) 외측으로 완전히 이탈되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스토퍼(3230)는 후크(212)가 제 1 걸림부(3100)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 또는 제 1 플랜지(3120)를 지지하도록 제 1 걸림부(3100)에 걸려, 구동부(3220)의 동작에 따라 제 2 걸림부(3210)가 제 1 걸림부(3100)의 외측 방향으로 전진 이동한 후에, 제 2 걸림부(3210)가 제 1 걸림부(3100) 내측 방향으로 후진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토퍼(3230)는 구동부(3220)의 승하강 위치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3230)는 적어도 일부가 제 2 걸림부(321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제 2 걸림부(3210)가 제 1 걸림부(3100)의 내측에 있을 때, 제 2 걸림부(32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 2 걸림부(3210)가 제 1 걸림부(3100) 외측으로 전진 이동되었을 때, 제 2 걸림부(3210)의 외부로 돌출 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즉, 스토퍼(3230)는 제 2 걸림부의 연장 경로 중 일부에 마련되며, 제 2 걸림부(3210)의 외주면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된 홈(3211a) 내부에 설치된 탄성 부재(3231), 홈(3211a) 내부에서 일단이 탄성 부재(3231)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탄성 부재(3231)의 이완 및 수축에 따라 제 2 걸림부(3210)의 외측 및 내측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 부재(3232)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토퍼(3230)에 의하면, 제 2 걸림부(3210)가 제 1 걸림부(3100)의 외측으로 전진 이동하기 전에는 탄성 부재(3231)는 압축되어 있는 상태이고, 지지 부재(3232)가 홈(3211a)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는 스토퍼(3230)가 제 1 걸림부(3100)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일 때, 제 1 걸림부(3100)의 내벽면이 지지 부재(3232)를 제 2 걸림부(3210) 방향으로 누르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 2 걸림부(3210)가 제 1 걸림부(3100)의 외측으로 전진 이동하여, 스토퍼(3230)가 제 1 걸림부(3100)의 외측으로 빠져나오면, 스토퍼(3230)에 가해지는 압축력이 해제되므로 탄성 부재(3231)가 이완되며, 이에 따라 지지 부재(3232)가 제 2 걸림부(32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렇게 제 1 걸림부(3100)의 외측으로 빠져나온 스토퍼(3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플랜지(3120)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어, 제 2 걸림부(3210)가 제 1 걸림부(3100) 내측으로 후진 이동하는 것을 방해한다.
따라서, 후크(212)가 제 1 걸림부(3100)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에 걸린 후에, 래들(100)의 유동에 의해 후크(212)가 상대적으로 제 1 걸림부(3100)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제 1 동작부(3221)로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더라도, 제 2 걸림부(3210)는 스토퍼(3230)에 의해 제 1 걸림부(3100) 내측 방향으로 후진 이동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래들(100)의 유동에 의해 후크(212)가 상대적으로 제 1 걸림부(3100)의 외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후크(212)가 제 2 걸림부(3210)에 걸리게 되므로, 후크(212)가 걸림 장치(3000)의 외측으로 이탈되어 래들(100)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도 를 참조하여, 후크(212)를 포함하는 기중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가 적용된 래들(100)의 운반에 대해 설명한다.
래들(100)에 용선을 장입하고, 기중기의 후크(212)가 래들(100)에 장착된 한 쌍의 걸림 장치(3000)에 걸리도록 한다. 이때, 후크(212)의 개구를 통해 걸림 장치(3000)의 제 1 걸림부(3100)가 삽입되어, 후크(212)가 제 1 걸림부(3100)에 걸리도록 한다.
후크(212)가 제 1 걸림부(3100)에 안정적으로 걸리면, 기중기는 후크(212)에 지지된 상태에 래들(100)을 전로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로프를 당기거나 풀러, 후크(212) 및 래들(100)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후크(212)를 체결 장치에 걸 때, 래들(100) 또는 후크(212)의 위치 조절 문제로, 후크(212)가 제 1 걸림부(3100)의 중심 또는 제 1 걸림부(3100)의 일단과 인접한 위치에 걸리지 않고, 제 1 걸림부(3100)의 타단과 인접 위치 또는 제 1 플랜지(3120)에 걸릴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후크(212)는 제 1 걸림부(3100)의 타단 또는 제 1 플랜지(3120)의 하부로 돌출되어 있는 제 1 동작부(3221)를 누르게 된다.
그러면 제 1 동작부(3221)가 제 1 걸림부(3100)의 내측 방향으로 상승하고, 이때 제 1 동작부(3221)에 연결된 제 2 동작부(3222)도 함께 상승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동작부(3221, 3222)의 상승 동작에 의해 구동 부재(3223)가 제 2 동작부(3222)를 축으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연결부(3222d)를 축으로 하여 회동 또는 회전하는 시소 동작을 하며, 이에 구동 부재(3223)가 동작 전에 비해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동 부재(3223)의 동작은 제 2 걸림부(3210)의 일단을 밀게 된다. 따라서 제 2 걸림부(3210)가 제 1 걸림부(3100)의 외측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여 상기 제 2 걸림부(3210)가 제 1 걸림부(3100)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다. 다른 말로 하면 걸림 장치(3000)의 길이가 더 연장된다.
한편, 후크(212)가 제 1 걸림부(3100)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 또는 제 1 플랜지(3120)에 걸려있는 상태로 운반 하게 되면, 래들(100) 자체의 유동 등에 의해, 래들(100)이 후크(212)와 상대적으로 소정 거리 이동되어, 후크(212)가 지지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후크(212) 중 하나가 제 1 걸림부(3100)의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후크(212) 중 하나가 제 1 걸림부(3100)의 외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제 1 걸림부(3100)의 외측에 제 2 걸림부(3210)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걸림부(3210)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래들(100)이 후크(212)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조업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래들(100)을 전로까지 운반이 완료되면, 후크(212)를 걸림 장치(3000)로부터 이탈시킨다. 그리고, 스토퍼(3230)의 지지 부재(3232)를 누르면서, 제 2 걸림부(3210)의 타단을 밀어 제 1 걸림부(3100) 내측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이때 제 2 걸림부(3210)의 일단에 연결된 구동 부재(3223)가 제 2 걸림부(3210)가 후진하는 힘에 의해 제 2 동작부(3222)의 타단을 기준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연결부(3222d)를 축으로 하여 회전면서 도 3과 같이 그 기울기가 가변된다. 또한, 제 2 걸림부(3210)의 후진 및 구동 부재(3223)의 상술한 동작에 의해 제 1 및 제 2 동작부(3221, 3222)가 하강하며, 제 1 동작부(3221)는 그 타단이 제 1 플랜지(3120)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강한다.
제 2 걸림부(3210)를 제 1 걸림부(3100) 내측으로 후진 이동시키는 데 있어서, 제 2 걸림부(3210)에 직접적으로 힘을 가하지 않고, 제 1 동작부(3221)를 하강시켜, 제 2 동작부(3222)에 연결된 구동 부재(3223)가 상기 제 2 동작부(3222)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구동 부재(3223)가 제 2 걸림부(3210)를 당기도록 하여 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후크(212)가 제 1 걸림부(3100)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에 걸렸을 때, 자동으로 제 1 걸림부(3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걸림 장치(3000)가 연장된다. 따라서, 후크(212)가 제 1 걸림부(3100)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에 불안정하게 걸리더라도, 제 1 걸림부(3100) 외측에 제 2 걸림부(3210)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후크가 걸림 장치(3000)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후크(212)로부터 래들(100)이 낙하되는 조업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100: 래들 210: 후크
3000: 걸림 장치 3100: 제 1 걸림부
3200: 이탈 방지 유닛 3210: 제 2 걸림부
3220: 구동부

Claims (7)

  1. 용기의 외부에 장착되며, 후크에 걸릴 수 있는 걸림 장치로서,
    일단이 상기 용기의 양 외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의 양 외측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 형성된 제 1 걸림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걸림부 내부에 위치하도록 삽입 설치되며, 상기 후크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 1 걸림부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제 2 걸림부;
    를 포함하는 걸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걸림부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 1 걸림부의 하부로 돌출 가능하며, 상기 후크에 의한 지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걸림부의 내측으로 승하강이 가능한 제 1 동작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동작부의 상승에 따라 상기 제 2 걸림부를 제 1 걸림부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걸림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부가 상기 제 2 걸림부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2 걸림부가 상기 제 1 걸림부의 외부로 이동되었을 때,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2 걸림부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 2 걸림부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걸림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 걸림부에는 상기 제 2 걸림부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의 삽입이 가능하며, 상기 제 2 걸림부의 외주면 방향이 개구된 홈이 마련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홈 내부에 설치된 탄성 부재 및 일단이 상기 홈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탄성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홈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걸림 장치.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걸림부는,
    일단이 상기 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1 걸림 부재; 및
    상기 제 1 걸림 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걸림 부재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 1 플랜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동작부는 상기 제 1 플랜지의 하부에 설치되는 걸림 장치.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 걸림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일단이 상기 제 1 동작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걸림부의 일단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걸림부 내에서 제 1 동작부와 함께 승하강 가능한 제 2 동작부;
    상기 제 1 걸림부 내부에서 일단이 제 2 동작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걸림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동작부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해, 상기 제 2 걸림부를 밀거나 당기도록 기울기가 변하는 구동 부재;
    를 포함하는 걸림 장치.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 1 동작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걸림부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탄성력을 가져 상기 제 2 걸림부를 지지 또는 지지 해제를 수행할 수 있는 제 2 동작부; 및
    상기 제 1 걸림부 내부에서 일단이 제 1 걸림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걸림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제 3 동작부;
    를 포함하는 걸림 장치.
KR1020170028673A 2017-03-07 2017-03-07 걸림 장치 KR102307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673A KR102307680B1 (ko) 2017-03-07 2017-03-07 걸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673A KR102307680B1 (ko) 2017-03-07 2017-03-07 걸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278A KR20180102278A (ko) 2018-09-17
KR102307680B1 true KR102307680B1 (ko) 2021-10-01

Family

ID=63722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673A KR102307680B1 (ko) 2017-03-07 2017-03-07 걸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6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003B1 (ko) 2001-03-30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용 보온커버와 교반기를 갖는 크레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627U (ko) * 1995-06-19 1997-01-21 스폿트 용접기용 팁 스페이서
KR980001102U (ko) * 1996-06-17 1998-03-30 분해결합이 용이한 래들의 후크 걸이구
KR200244984Y1 (ko) 2001-05-23 2001-10-15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천정 기중기의 후크 걸림 확인 및 벌어짐 복귀장치
KR101266439B1 (ko) * 2011-10-05 2013-05-22 대한동방 주식회사 허스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003B1 (ko) 2001-03-30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용 보온커버와 교반기를 갖는 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278A (ko) 201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4644B2 (ja) 赤熱コークス受骸搬送装置
JP5082437B2 (ja) 物品移載装置
KR102307680B1 (ko) 걸림 장치
CN105347175A (zh) 用于吊运木方的吊具
JP5141873B2 (ja) 真空誘導炉及び該誘導炉を用いた金属材料の精錬方法
KR101930745B1 (ko) 래들용 장치
KR101927477B1 (ko) 심부처분공 하강용 처분용기 체결장치
KR101802792B1 (ko)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
KR200420019Y1 (ko)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
KR20230031018A (ko) 운반 장치
CN103496628A (zh) 一种钢卷翻转吊具
KR101955587B1 (ko) 래들용 장치
KR20180000357A (ko) 드럼 이송 장치
US514262A (en) Hoist-drum for discharge apparatus of coal or ore docks
US3524005A (en) Charging bucket for a furnace
KR100951763B1 (ko) 제철용 용선 크레인의 후크이동설비
KR101919525B1 (ko) 시브 와이어 탈선 방지 장치
JP4887987B2 (ja) 天井走行台車の移載機位置決め装置
KR102359241B1 (ko) 용기 장치 및 용융물 운반 방법
KR102326879B1 (ko) 용기 이송 장치
KR100733372B1 (ko) 스크랩 버킷의 코일리프터 연결 장치
CN211419351U (zh) 一种卷扬机用抓举装置
US2317565A (en) Stripping mechanism
KR102359240B1 (ko)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KR20120071013A (ko) 이탈 방지용 경동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