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792B1 -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792B1
KR101802792B1 KR1020160008330A KR20160008330A KR101802792B1 KR 101802792 B1 KR101802792 B1 KR 101802792B1 KR 1020160008330 A KR1020160008330 A KR 1020160008330A KR 20160008330 A KR20160008330 A KR 20160008330A KR 101802792 B1 KR101802792 B1 KR 101802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nection frame
pressure vessel
connec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8225A (ko
Inventor
서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광기계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광기계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광기계기술
Priority to KR1020160008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792B1/ko
Publication of KR20170088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25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gripping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용기에 상부 및 하부에 설치 고정되는 연결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고압용기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변경하여 장소가 협소한 곳에서도 운반 가능하도록 하는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은 고압용기(10)의 상부 및 하부의 양측에 설치 고정되고, 와이어(200)의 일단이 연결된 연결장치(100); 상기 고압용기(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와이어(200)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고압용기(10)가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수평조절장치(300); 및 상기 수평조절장치(300)의 상부 위치하고, 크레인의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장치(100)와 상기 수평조절장치(300) 사이의 와이어(200) 중간 부분이 연결된 고정장치(40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장치(100)는, 상기 고압용기(10)의 양측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일측이 개방되도록 "U"자 형태의 수용부(111)가 형성되며, 개방된 부분에 제1관통구멍(112)이 형성된 고정부(110); 상기 고정부(110)에 형성된 상기 수용부(111)에 위치하고, 상기 와이어(2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U"자 형태의 고리로 형성되며, 개방된 부분에 제2관통구멍(121)이 형성된 고리부(120); 및 상기 고정부(110)에 형성된 상기 제1관통구멍(112)에 나사 체결되고, 상기 고리부(120)에 형성된 제2관통구멍(121)을 관통하여 상기 고리부(12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고정부(110)의 반대측에 형성된 제1관통구멍(112)에 나사 체결된 연결핀(130);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HIGH PRESSURE CONTAINER HANDLING SYSTEMS}
본 발명은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용기에 상부 및 하부에 설치 고정되는 연결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고압용기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변경하여 장소가 협소한 곳에서도 운반 가능하도록 하는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용기는 보통의 용기보다 고압에 견디도록 만들어진 용기이다. 이러한 고압용기의 지름은 1m 내지 8m의 큰 용기로 제작되어 형성되고, 내부에는 각종 가스 등이 충전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대용량의 고압용기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크레인 등과 같은 인양 기계장치 등을 이용하여 운반하게 되는데, 이때, 고압용기의 크기가 각각 다르므로 고압용기의 크기에 맞는 기계장치들을 모두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특히, 대용량의 고압용기 운반시 기울어지거나 또는 흔들림에 의해 주변 장애물로 인한 충격이 가해져 위험한 상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 국내등록특허 제10-0920133호(2009년 09월 28일 등록) (문헌 2) : 국내등록특허 제10-0701513호(2007년 03월 23일 등록) (문헌 3) :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2909호(2013년 05월 15일 공개) (문헌 4) :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23713호(2001년 03월 02일 등록)
본 발명은 고압용기에 상부 및 하부에 설치 고정되는 연결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고압용기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변경하여 장소가 협소한 곳에서도 운반 가능하도록 하는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용기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좌우 길이조절을 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고압용기에 연결된 와이어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상태가 되도록 하고, 각 크기가 다른 고압용기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은 고압용기(10)의 상부 및 하부의 양측에 설치 고정되고, 와이어(200)의 일단이 연결된 연결장치(100); 상기 고압용기(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와이어(200)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고압용기(10)가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수평조절장치(300); 및 상기 수평조절장치(300)의 상부 위치하고, 크레인의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장치(100)와 상기 수평조절장치(300) 사이의 와이어(200) 중간 부분이 연결된 고정장치(40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장치(100)는, 상기 고압용기(10)의 양측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일측이 개방되도록 "U"자 형태의 수용부(111)가 형성되며, 개방된 부분에 제1관통구멍(112)이 형성된 고정부(110); 상기 고정부(110)에 형성된 상기 수용부(111)에 위치하고, 상기 와이어(2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U"자 형태의 고리로 형성되며, 개방된 부분에 제2관통구멍(121)이 형성된 고리부(120); 및 상기 고정부(110)에 형성된 상기 제1관통구멍(112)에 나사 체결되고, 상기 고리부(120)에 형성된 제2관통구멍(121)을 관통하여 상기 고리부(12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고정부(110)의 반대측에 형성된 제1관통구멍(112)에 나사 체결된 연결핀(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단이 상기 연결핀(130)의 일단 및 타단에 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110)의 양측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핀(130)이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고정부(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압용기(10)의 상부 양측에 설치 고정된 연결장치(100)에 상기 와이어(200)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고압용기(10)가 수직 방향으로 운반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절장치(300)는, 제1연결 프레임(310); 상기 제1연결 프레임(3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제1연결 프레임(310)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200)의 타단이 연결된 제2연결 프레임(320); 상기 제2연결 프레임(320)의 외측에 연결되고, 제2연결 프레임(320)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하는 제3연결 프레임(330); 및 상기 제3연결 프레임(330) 외측에 연결되고, 외측면에 상기 와이어(200)가 지지되어 상기 와이어(200)가 수직 방향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지지 프레임(34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은 고압용기에 상부 및 하부에 설치 고정되는 연결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고압용기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변경하여 장소가 협소한 곳에서도 운반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은 고압용기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좌우 길이조절을 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고압용기에 연결된 와이어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상태가 되도록 하고, 각 크기가 다른 고압용기에 모두 적용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에서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에서 연결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에서 연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에서 수평조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에서 수평조절장치의 정면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에서 제1연결 프레임과 제2연결 프레임이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에서 제3연결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이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에서 고압용기가 수평으로 운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에서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에서 연결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에서 연결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에서 수평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에서 수평조절장치의 정면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에서 제1연결 프레임과 제2연결 프레임이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에서 제3연결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이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에서 고압용기가 수평으로 운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은 연결장치(100), 와이어(200), 수평조절장치(300) 및 고정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장치(100)는 고압용기(10)의 상부 및 하부 양측에 각각 용접 등으로 부착고정되어 와이어(200)를 이용하여 고압용기(10)를 들어올리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연결장치(100)는 고정부(110), 고리부(120) 및 연결핀(1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0)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고, 연결장치(100) 미사용시 내부에 고리부(1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U"자 형태의 수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10)의 개방된 부분에 좌, 우 방향으로 연결핀(1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좌, 우로 관통된 제1관통구멍(112)이 형성되고, 이러한 제1관통구멍(11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고리부(120)는 일측이 개방된 "U"자 형태의 고리로 형성되고, 개방된 부분에는 제2관통구멍(1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관통구멍(121)에는 연결핀(130)이 삽입되는데, 이때, 고리부(120)는 연결핀(1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고리부(120)가 외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고압용기(10)를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운반 가능하도록 한다.
예로 들어, 고압용기(10)가 수직 방향으로 세워질 경우(도 1 참고), 고압용기(10)의 상부 양측에 체결 고정된 연결장치(100)에 와이어(200)를 각각 연결하고, 와이어(200)가 연결된 고압용기(10)는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하여 들어올리거나 다른 장소로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고압용기(10)가 수평 방향으로 눕혀질 경우(도 9 참고), 고압용기(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체결 고정된 연결장치(100)에 와이어(200)를 각각 연결하고, 와이어(200)가 연결된 고압용기(10)는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하여 들어올리거나 다른 장소로 이동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고압용기(10)를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쉽고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고, 특히, 장소가 협소한 곳에서 주변 물체와 마찰 또는 충격 없이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연결핀(130)은 일정 길이를 갖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고, 고정부(110)와 고리부(120)가 탈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연결핀(130)은 고정부(110)에 형성된 제1관통구멍(112)으로 삽입한 다음, 고리부(120)에 형성된 제2관통구멍(121)을 통과하여 고정부(110)의 반대 측에 형성된 제1관통구멍(112)으로 관통되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관통구멍(112)으로 관통된 연결핀(130)의 끝단에는 너트가 체결되고, 고리부(120)는 연결핀(1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10)에 형성된 제1관통구멍(112)은 연결핀(130)과 나사 체결되고, 고리부(120)에 형성된 제2관통구멍(121)은 연결핀(130)에 지지가 되도록 한다. 또한, 고리부(120)에서 와이어(200)가 제거되면, 고리부(120)는 고정부(110)에 형성된 수용부(111)로 삽입되어 외부 충격에 의해 고리부(1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결핀(130)은 외부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제1관통구멍(11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끈(140)은 일단이 연결핀(130)이 삽입되는 방향의 고정부(110)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은 연결핀(130)의 양측 끝단 중앙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예로 들면, 연결끈(140)의 일단 및 타단에는 고리 형태의 후크가 각각 형성되고, 고정부(110)의 양측 및 연결핀(130)의 양측 끝단 중앙에는 링 형태의 걸이부가 형성되어 연결끈(140)에 구비된 후크가 걸이부에 걸어 고정되게 한다.
와이어(200)는 일정 지름을 갖도록 여러 가닥의 철사를 서로 꼬아 형성되고, 고압용기(10)를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와이어(200)의 일단은 고압용기(10)에 구비된 연결장치(1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수평조절장치(3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수평조절장치(300)의 상부에 위치한 일부분의 와이어(200)가 크레인(미도시)에 연결된 고정장치(4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고정장치(400)는 와이어(200)의 일단이 연결장치(100)에 연결되고, 타단이 권취부(321)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장치(100)와 권취부(32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장치(400)는 도르래로 사용될 수 있다.
수평조절장치(300)는 고압용기(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와이어(200)에 의해 고압용기(10)와 연결되며, 고압용기(10)가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수평조절장치(300)는 제1연결 프레임(310), 제2연결 프레임(320), 제3연결 프레임(330), 지지 프레임(340), 보강부(350) 및 가압부재(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 프레임(310)은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는 다른 하나의 제1연결 프레임(310) 또는 제2연결 프레임(320)이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할 수 있도록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 프레임(310)을 복수로 연결하여 수평조절장치(300)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즉, 지름이 큰 대용량 고압용기(10)에 수평조절장치(300)를 사용할 경우, 복수의 제1연결 프레임(310)이 서로 연결되도록 한 다음 제2연결 프레임(320) 및 제3연결 프레임(330)을 이용하여 수평조절장치(300)의 수평 길이를 조절한다.
예로 들어, 제1연결 프레임(310)의 길이는 2m이고, 제2연결 프레임(320)의 길이는 1m이며, 제3연결 프레임(330)은 0.5m인 상태에서, 대용량 고압용기(10)의 지름이 7m일 경우, 제1연결 프레임(310) 2개, 제2연결 프레임(320) 2개, 제3연결 프레임(330) 2개를 각각 연결하여 수평조절장치(300)의 길이와 대용량 고압용기(10)의 지름이 동일하도록 한다.
제2연결 프레임(320)은 제1연결 프레임(31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제1연결 프레임(3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볼트 등으로 연결되며, 제1연결 프레임(31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 프레임(320)의 상부에는 권취부(321) 및 롤러부(322)가 구비될 수 있다.
권취부(321)는 제2연결 프레임(320)의 상부에 고정된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에 위치하고 와이어의 타단이 고정된 원통형 드럼과, 드럼 일측에 구비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권취부(321)에 와이어(200)의 타단을 고정시켜 사용하게 되면, 고압용기(10)의 양측에 구비된 와이어(200)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압용기(10)가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예로 들면, 제1연결 프레임(310)의 양측에 구비된 권취부(321) 중 일측에 구비된 권취부(321)의 와이어(200)가 늘어지게 되면, 수평조절장치(30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고압용기(10)도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데, 이때, 일측에 구비된 권취부(321)의 모터를 작동시켜 와이어(200)가 드럼에 감기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와이어(2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수평조절장치(300)가 수평이 되도록 유도한다.
한편, 고압용기(10)의 무게는 1t ~ 10t 등 다양한 크기의 대용량 고압용기로 사용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직접 운반 및 수평조절이 불가능함으로 상기에서 설명된 권취부(321)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부(322)는 권취부(321)와 근접하게 설치되고, 고정장치(400)에서 인출된 와이어(200)의 방향을 전환하여 권취부(321)로 연결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와이어(200)의 타단이 권취부(321)에 바로 연결되어 사용하게 되면, 크레인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200)가 당겨질 때, 당겨지는 힘이 권취부(321)로 직접 전달되어 권취부(321)가 파손될 수 있는데, 이러한 권취부(32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와이어(200)가 롤러부(322)로 경유하여 권취부(321)에 연결되도록 한다.
제3연결 프레임(330)은 제1연결 프레임(31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제2연결 프레임(320)의 외측에 볼트 등으로 연결되며, 제2연결 프레임(32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연결 프레임(330)은 수평조절장치(300)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하고, 제2연결 프레임(320)과 지지 프레임(340)의 사이를 이격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연결 프레임(310)과 제2연결 프레임(320)을 사용하여 수평조절장치(300)의 길이를 조절하더라도 다양한 크기의 고압용기(10)의 지름의 치수와 최대한 근접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연결 프레임(310) 또는 제2연결 프레임(320)보다 작은 크기의 제3연결 프레임(330)을 연결 시켜 수평조절장치(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3연결 프레임(330)은 제2연결 프레임(320)에 연결된 와이어(200)와 지지 프레임(340)에 지지된 와이어(200)가 서로 근접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지지 프레임(340)과 제2연결 프레임(320) 사이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와이어(200)의 일단이 연결장치(100)에서 분리된 상태가 되면, 와이어(200)의 타단이 권취부(321)에 연결된 상태에서 와이어(200)를 제3연결 프레임(3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두루마리 형태로 감아 보관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40)은 제3연결 프레임(330)의 외측에 체결 고정되고, 고압용기(10)에 고정된 와이어(200)를 수직 상태로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40)은 연결부재(341), 끼움부(342), 지지부(343), 경사면(344), 가이드홈(345) 및 칸막이(346)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341)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볼트 구멍이 형성되며, 제3연결 프레임(330)에 형성된 플랜지에 볼트 등으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끼움부(342)는 연결부재(341)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3연결 프레임(330)의 내부로 삽입 고정되며, 와이어(200)에 의해 가압 되는 지지 프레임(34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로 들면, 와이어(200)가 수평조절장치(30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한 상태에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들어올리게 되면, 와이어(200)는 지지 프레임(340)의 외측면을 가압하게 되는데, 이때,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연결부재(341)에 집중적으로 압력이 가해지고, 이러한 압력을 분산하기 위해 끼움부(342)가 제3연결 프레임(33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제3연결 프레임(330) 내부로 삽입된 끼움부(342)의 외측면이 제3연결 프레임(330) 내부에 설치 고정된 보강부(35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보강부(350)로 일정 압력이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와이어(200)가 지지 프레임(340)에 가압하는 압력은 다양한 크기의 고압용기의 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지지부(343)는 연결부재(341)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부 면에는 경사면(344)이 형성되며, 외측면 중간에는 가이드홈(345)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지지부(343)의 상부에 경사면(344)을 형상하여 사용하게 되면, 와이어(200)가 고정장치(400)에 연결시 자연스럽게 굴곡져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가이드홈(345)은 지지부(343)의 중간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와이어(200)의 일부가 삽입되어 와이어(200)가 지지부(343)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칸막이(346)는 연결부재(341)의 타측에 위치하고, 지지부(343)의 양측에 부착 고정되며, 와이어(200)가 지지 프레임(34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와이어(200)가 지지부(343)의 외부로 이탈하게 되면, 수평조절장치(300)가 흔들림과 동시에 고압용기(10)가 기울어져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200)가 지지부(34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강부(350)는 "+"자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제1연결 프레임(310), 제2연결 프레임(320) 및 제3연결 프레임(330)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며, 제1연결 프레임(310), 제2연결 프레임(320) 및 제3연결 프레임(33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로 들면, 제1연결 프레임(310), 제2연결 프레임(320) 및 제3연결 프레임(330) 연결된 상태에서 보강부(350)를 제3연결 프레임(330)을 통해 삽입한 상태에서 반대측에 구비된 제1연결 프레임(310)의 내부까지 위치하도록 삽입한다.
그리고 제3연결 프레임(330)과 반대측에 구비된 제3연결 프레임(330)의 외측에 각각 지지 프레임(340)에 구비된 끼움부(342)가 삽입되면 보강부(350)가 끼움부(342) 사이에 밀착되어 고정하게 된다.
위와 같이 제1연결 프레임(310), 제2연결 프레임(320) 및 제3연결 프레임(330) 내부에 보강부(350)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고압용기(10)의 하중과 와이어(200)에 의해 수평조절장치(300)의 양측을 가압하는 힘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제1연결 프레임(310), 제2연결 프레임(320) 및 제3연결 프레임(330) 각각의 연결부위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부재(360)는 "ㄷ"자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제1연결 프레임(310)과 제2연결 프레임(320)이 체결된 플랜지 부분에 끼움 고정되며, 제1연결 프레임(310)과 제2연결 프레임(320)이 서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로 들면, 제1연결 프레임(310)과 제2연결 프레임(320)에 형성된 플랜지에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볼트 구멍으로 볼트가 삽입되어 너트로 체결될 수 있는데, 이때, 볼트 구멍 부분에 가압부재(360)를 삽입한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로 체결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볼트 구멍은 각 연결 프레임에 형성된 플랜지에 둘레 방향으로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복수의 볼트 구멍 부분에 각 가압부재(360)를 끼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고압용기 100; 연결장치
110; 고정부 111; 수용부
112; 제1관통구멍 120; 고리부
121; 제2관통구멍 130; 연결핀
140; 연결끈 200; 와이어
300; 수평조절장치 310; 제1연결 프레임
320; 제2연결 프레임 321; 권취부
322; 롤러부 330; 제3연결 프레임
340; 지지 프레임 341; 연결부재
342; 끼움부 343; 지지부
344; 경사면 345; 가이드홈
346; 칸막이 350; 보강부
360; 가압부재 400; 고정장치

Claims (4)

  1. 고압용기(10)의 상부 및 하부의 양측에 설치 고정되고, 와이어(200)의 일단이 연결된 연결장치(100);
    상기 고압용기(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와이어(200)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고압용기(10)가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수평조절장치(300); 및
    상기 수평조절장치(300)의 상부 위치하고, 크레인의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장치(100)와 상기 수평조절장치(300) 사이의 와이어(200) 중간 부분이 연결된 고정장치(40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장치(100)는,
    상기 고압용기(10)의 양측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일측이 개방되도록 "U"자 형태의 수용부(111)가 형성되며, 개방된 부분에 제1관통구멍(112)이 형성된 고정부(110);
    상기 고정부(110)에 형성된 상기 수용부(111)에 위치하고, 상기 와이어(2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U"자 형태의 고리로 형성되며, 개방된 부분에 제2관통구멍(121)이 형성된 고리부(120); 및
    상기 고정부(110)에 형성된 상기 제1관통구멍(112)에 나사 체결되고, 상기 고리부(120)에 형성된 제2관통구멍(121)을 관통하여 상기 고리부(12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고정부(110)의 반대측에 형성된 제1관통구멍(112)에 나사 체결된 연결핀(130);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조절장치(3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제1연결 프레임(310);
    상기 제1연결 프레임(3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제1연결 프레임(310)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200)의 타단이 연결된 제2연결 프레임(320);
    상기 제2연결 프레임(320)의 외측에 연결되고, 제2연결 프레임(320)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하는 제3연결 프레임(330); 및
    상기 제3연결 프레임(330) 외측에 연결되고, 외측면에 상기 와이어(200)가 지지되어 상기 와이어(200)가 수직 방향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지지 프레임(34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340)은, 단부에 원판 형태로 형성된 연결부재(341)와, 연결부재(341)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부 면에 경사면(344)이 형성되며 외측면 중간에 가이드홈(345)이 형성된 지지부(343)와, 지지부(343)의 양측에 구비된 칸막이(3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08330A 2016-01-22 2016-01-22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 KR101802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330A KR101802792B1 (ko) 2016-01-22 2016-01-22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330A KR101802792B1 (ko) 2016-01-22 2016-01-22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225A KR20170088225A (ko) 2017-08-01
KR101802792B1 true KR101802792B1 (ko) 2017-11-29

Family

ID=59650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330A KR101802792B1 (ko) 2016-01-22 2016-01-22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7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640B1 (ko) 2019-06-07 2020-01-29 주식회사 디엠씨 고정력과 완충성을 구비한 오버슬램범퍼
KR102513953B1 (ko) 2021-01-29 2023-03-28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1996A (ja) 2002-04-19 2004-01-08 Elephant Chain Block Co Ltd 板材用吊り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1996A (ja) 2002-04-19 2004-01-08 Elephant Chain Block Co Ltd 板材用吊り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225A (ko) 201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7015B2 (en) Container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KR20030066804A (ko) 대용량 용기용 장치
KR101802792B1 (ko) 고압용기 운반 시스템
JP2009256062A (ja) 吊荷の吊上げ装置
US9260142B2 (en) Shipping container transport system
US9174810B1 (en) Waste bag use methods and apparatus
CN101484378B (zh) 集装箱举升装置
KR102131045B1 (ko) 확장형 롤테이너
KR101802786B1 (ko) 크레인용 수평 유지장치
JP5982448B2 (ja) 気球係留装置、気球運搬装置及び気球係留船
KR20120064153A (ko) 분진방지용 슈트 장치
KR101930750B1 (ko) 크레인 점검 장치 및 방법
KR20160049055A (ko) 호이스팅 또는 페잉 아웃 이동 제어 방법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기울어짐 가능한 케이블 쉬리브를 갖는 호이스팅 프레임
KR20220166686A (ko) 모바일 리프터
WO2000031845A1 (en) A suspension device having a cable carriage integral therewith
KR102481164B1 (ko) 이송, 저장 및 취급을 위한 시스템과 방법
AU20122121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fting large off-highway truck-truck bodies
US20160311663A1 (en) Arrangement for damping oscillation of loading member in crane
EP2853512B1 (en) Device to connect a lifting means, such as a crane, to an object that shall be lifted
KR20160005200A (ko) 코일리프터
KR102307680B1 (ko) 걸림 장치
KR101701682B1 (ko) 차량용 적재함의 파이프 고정장치
CN101466966B (zh) 用于安装能量导链系统的方法
JP4461161B2 (ja) 放射性物質輸送・貯蔵用容器の吊下装置
JP2010052757A (ja) コンテナ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