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164B1 - 탄성 지지가 가능한 안전 난간 - Google Patents

탄성 지지가 가능한 안전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164B1
KR102307164B1 KR1020200005134A KR20200005134A KR102307164B1 KR 102307164 B1 KR102307164 B1 KR 102307164B1 KR 1020200005134 A KR1020200005134 A KR 1020200005134A KR 20200005134 A KR20200005134 A KR 20200005134A KR 102307164 B1 KR102307164 B1 KR 102307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elastic
rubber tube
support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1892A (ko
Inventor
조동기
Original Assignee
조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기 filed Critical 조동기
Priority to KR1020200005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164B1/ko
Publication of KR20210091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84Installing; Repairing; Adjus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지지가 가능한 안전난간에 관한 것으로, 방파제 안전선을 착설하기 위한 안전 난간에 있어서, 방파제에 착설된 함몰홈의 저면에 콘크리트를 통해서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올려지며, 콘크리트를 통해서 고정되는 중공형의 하부 포스트, 하측이 상기 하부 포스트 내부에 하측이 삽입되는 고무관, 상기 고무관의 상측이 삽입되는 중공형의 상부 포스트 및 하단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부는 상기 하부 포스트 및 상기 고무관을 관통하여 상부 포스트로 연장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지지가 가능한 안전 난간.

Description

탄성 지지가 가능한 안전 난간{Safety handrails with elastic support}
본 발명은 포스트의 내부에 스프링 및 탄성 수단이 삽입되어, 특히 낙파에 난간이 유동되어도, 난간의 다시 본래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는 탄성 지지가 가능한 안전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닷가의 방파제에는 낚시꾼 및 지나가는 보행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난간이 설치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난간 구조는 다수개의 기둥을 착설한 후, 기둥에 안전선을 연결하여 난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방파제와 같이 바람이 불며 파도, 특히 낙파가 치는 곳의 안전 난간은 낙파에 의해 난간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063031호에서는 난간으로 불어오는 바람을 측면으로 통과시켜 유동되도록 하고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선행문헌의 경우도 방파제에 착설되는 다수의 지지대가 낙파에 의해 파손 또는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방파제와 같이 파도 및 낙파가 치는 위치에 설치되는 안전난간 기둥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탄성 지지가 가능한 안전 난간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탄성지지가 가능한 안전 난간은 방파제 안전선을 착설하기 위한 안전 난간에 있어서, 방파제에 착설된 함몰홈의 저면에 콘크리트를 통해서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올려지며, 콘크리트를 통해서 고정되는 중공형의 하부 포스트, 하측이 상기 하부 포스트 내부에 하측이 삽입되는 고무관, 상기 고무관의 상측이 삽입되는 중공형의 상부 포스트 및 하단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부는 상기 하부 포스트 및 상기 고무관을 관통하여 상부 포스트로 연장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무관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탄성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 포스트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포스트는 상기 포스트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스프링의 상부가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하부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코일 형상의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에서 상기 상부 포스트로 연장되며, 일직선 형상의 한 쌍의 상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지지가 가능한 안전 난간은 하부 포스트와 상부 포스트를 관통하는 고무관 및 스프링을 통해 탄성지지가 가능하므로 강풍에 의해 휘어질 수 있어 부러짐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고무 및 스프링이 기둥의 하단에서 탄성지지하게 되므로 전방향에서 탄성지지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지지가 가능한 안전 난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지지가 가능한 안전 난간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지지가 가능한 안전 난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지지가 가능한 안전 난간의 작용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의 상부 지지부가 한 쌍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지지가 가능한 안전 난간의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지지가 가능한 안전 난간은 방파제에 설치되는 안전선을 착설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 플레이트(100), 하부 포스트(200), 고무관(300), 상부 포스트(400) 및 스프링(500)을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지지가 가능한 안전난간은 방파제에 설치되는 것으로, 안전 난간이 설치되기 위해 방파제에는 함몰홈(1)이 착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플레이트(100)는 방파제에 착설된 함몰홈(1)의 저면에 콘크리트(2)를 통해서 고정된다. 즉, 하부 플레이트(100)는 함몰홈(1)에 설치된다.
하부 포스트(200)는 하부 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올려지며, 콘크리트(2)를 통해 고정된다. 즉, 하부 플레이트(100) 및 하부 포스트(200)는 함몰홈(1)에 안착된 후 콘크리트(2)가 착설되어 고정되게 된다. 또한, 하부 포스트(200)는 안전선을 착설하기 위한 기둥의 하부로, 내부는 중공형이며 하부 포스트(200) 전체가 방파제의 함몰홈(1)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부 포스트(200)는 방파제에 고정되어, 본 발명에 따른 탄성지지가 가능한 안전 난간을 방파제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지지가 가능한 안전 난간의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무관(300)의 결합 및 설치위치를 자세히 설명하면, 고무관(300)은 하부 포스트(200) 내측에 삽입된다. 그리고, 고무관(300)의 하부만 하부 포스트(200) 내측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관(300)은 탄성 지지부(310), 고무 탄성부(320), 결합부(330)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고무관(300)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난간을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강풍 및 강한 외력에 저항하지 않고 신축 및 이완되어 난간이 전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어 난간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탄성지지가 가능한 안전 난간은 외력에 의해 부러지지 않으며, 고무관(300)에 의해 함께 진동하며 가해지는 외력을 감쇠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포스트(400)는 고무관(300)의 상측이 삽입되며, 하부 포스트(200)와 마찬가지로 중공형이며, 동일한 직경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부 포스트(400)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의 기둥역할을 하게 되며, 내측에는 스프링(500)의 상부가 길게 연장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하기한 실험예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스프링(500)은 하단이 하부 플레이트(100)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부는 하부 포스트(200) 및 고무관(300)을 관통하여 상부 포스트(400)로 연장되어 있다. 이때, 상부 포스트(400)로 연장되는 부분은 일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포스트(4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슬리브(3)가 관통되어 있다. 이는, 안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난간이 등간격으로 배치된 후, 안전선의 양단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안전 난간의 슬리브(3)에 결합되게 되어 안전선을 착설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지지가 가능한 안전 난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관(300)은 탄성 지지부(310), 고무 탄성부(320), 결합부(330)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 지지부(310)는 하부 포스트(200)에 삽입되어 고무관(30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무 탄성부(320)는 탄성 지지부(31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고무 탄성부(3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포스트(200) 및 상부 포스트(400) 사이에 형성되는 부위이며, 상부 포스트(400) 및 하부 포스트(200)의 직경보다 돌출되어 밑면이 콘크리트(2)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고무 탄성부(320)는 하부 포스트(200) 및 상부 포스트(4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난간에 낙파, 파도 또는 강풍에 의해 외력이 가해질 때, 탄성력을 받아 부러지지 않고, 외력을 감쇠시킬 수 있게 된다.
결합부(330)는 고무 탄성부(3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부 포스트(400)에 결합된다. 즉, 결합부(330)에 의해 상부 포스트(400)와 하부 포스트(200)는 연결된다. 또한, 결합부(330) 및 탄성 지지부(310)의 직경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하부 포스트(200) 및 상부 포스트(400)의 직경도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 지지부(310), 고무 탄성부(320) 및 결합부(330)의 내측 직경은 스프링(500)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해 모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 포스트(400)의 내측에는 지지 플레이트(410)가 등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지지 플레이트(410)는 상부 포스트(40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있는 스프링(500)의 상부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지지플레이트에는 스프링(500)의 상부가 관통되어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단에 위치한 지지 플레이트(410)에는 스프링(500)의 상단이 관통되며, 스프링(500)이 볼트 및 너트로 지지 플레이트(410)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410)의 중앙에는 스프링(500)의 상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스프링(500)이 하부 플레이트(100)에 콘크리트(2)와 함께 타설되어 있으며, 이러한 스프링(500)에 상부 포스트(40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부 포스트(400)를 방파제에 대해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상부 포스트(400)가 고무관(3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프링(500)은 하부 지지부(510)와, 코일부 및 한 쌍의 상부 지지부(530)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지지부(510)는 하부 플레이트(100)에 고정되는 부분이며, 코일부(520)는 지지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고무관(300)을 관통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낙파와 같은 외력에 의해 고무관(300)이 휘어지거나 신축 또는 이완되어도, 스프링(500)에 의해 탄성지지가 가능하여 다시 원래 상태로 되돌아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지지가 가능한 안전 난간의 작용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에 낙파, 파도 및 강풍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면, 고무관(300)이 신축 및 이완되어 안전 난간이 유동될 수 있으며, 고무관(300) 및 스프링(500)의 탄성력으로 다시 원래대로 복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 난간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쇠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500)의 상부 지지부(530)가 한 쌍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부(530)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코일부(520)에서 상부 포스트(400)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이때, 상부 지지부(530)는 상부 포스트(4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기 위해 상부 포스트(400)의 지지 플레이트(410)를 관통하고 있으며, 지지 플레이트(410)를 관통하기 위해 일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상부 지지부(530)가 지지 플레이트(410)를 관통하므로, 상부 포스트(400)와 스프링(500)간의 결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410)에는 한 쌍의 상부 지지부(530)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도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함몰홈
2: 콘크리트
3: 슬리브
100: 하부 플레이트
200: 하부 포스트
300: 고무관
310: 탄성 지지부
320: 고무 탄성부
330: 결합부
400: 상부 포스트
410: 지지 플레이트
500: 스프링
510: 하부 지지부
520: 코일부
530: 상부 지지부

Claims (4)

  1. 방파제 안전선을 착설하기 위한 안전 난간에 있어서,
    방파제에 착설된 함몰홈의 저면에 콘크리트를 통해서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올려지며, 콘크리트를 통해서 고정되는 중공형의 하부 포스트;
    하측이 상기 하부 포스트 내부에 하측이 삽입되는 고무관;
    상기 고무관의 상측이 삽입되는 중공형의 상부 포스트; 및
    하단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부는 상기 하부 포스트 및 상기 고무관을 관통하여 상부 포스트로 연장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고무관은,
    상기 하부 포스트에 삽입되고 콘크리트를 통해서 고정되는 탄성 지지부와, 상기 탄성 지지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 포스트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는 밑면이 콘크리트와 맞닿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 포스트는,
    상기 포스트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스프링의 상부가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하부 지지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코일 형상의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에서 상기 상부 포스트로 연장되며, 일직선 형상의 한 쌍의 상부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지지가 가능한 안전 난간.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05134A 2020-01-15 2020-01-15 탄성 지지가 가능한 안전 난간 KR102307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134A KR102307164B1 (ko) 2020-01-15 2020-01-15 탄성 지지가 가능한 안전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134A KR102307164B1 (ko) 2020-01-15 2020-01-15 탄성 지지가 가능한 안전 난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892A KR20210091892A (ko) 2021-07-23
KR102307164B1 true KR102307164B1 (ko) 2021-09-29

Family

ID=77155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134A KR102307164B1 (ko) 2020-01-15 2020-01-15 탄성 지지가 가능한 안전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1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066Y1 (ko) * 2006-05-10 2006-07-20 정욱조 차량 이탈 방지턱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367Y1 (ko) * 1997-12-31 2000-02-01 김기중 충격완화용 방호책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066Y1 (ko) * 2006-05-10 2006-07-20 정욱조 차량 이탈 방지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892A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868B1 (ko) 가드레일
JP4972567B2 (ja) 耐震天井構造及び耐震天井の取付方法
KR100748629B1 (ko) 교량의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강형보의 연결장치 및 그연결장치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강형보의 연결방법
JP6393850B1 (ja) 防護柵における支柱の立設構造
KR101870213B1 (ko) 내진 및 방진용 배관 지지 행거
KR102370194B1 (ko)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KR20150025031A (ko)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
US4944365A (en) Safety net system
KR102307164B1 (ko) 탄성 지지가 가능한 안전 난간
US6526722B1 (en) Wood fence post repair device
US4947607A (en) Suspended ceiling construction and compression strut therefor
KR102367426B1 (ko) 경사조정블럭을 갖는 확장 인도교용 강관형 켄틸레버
KR101870212B1 (ko) 내진 및 방진용 배관 홀더
KR102418693B1 (ko) 방파제용 난간
KR200403443Y1 (ko) 조립식 난간
KR101828265B1 (ko)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설치 공법
KR101060358B1 (ko) 건축용 배설 파이프 지지장치
JP6431163B2 (ja) 道路の耐崩落性遮音壁とその遮音壁の吸音板の崩落防止施工方法
KR102244451B1 (ko) 낙석 방지용 펜스
KR200341378Y1 (ko) 수평대가 구비된 신호등 철주
JP7133173B2 (ja) 捕捉体及び砂防堰堤
JP5524884B2 (ja) ケーブル防護柵
KR101225743B1 (ko) 긴장이 가능한 낙석방지망용 와이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공법
KR200493038Y1 (ko) 조립이 용이한 지주 폴
WO2010061314A1 (en) A sec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