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831B1 - 제설 장치 - Google Patents

제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831B1
KR102306831B1 KR1020210008617A KR20210008617A KR102306831B1 KR 102306831 B1 KR102306831 B1 KR 102306831B1 KR 1020210008617 A KR1020210008617 A KR 1020210008617A KR 20210008617 A KR20210008617 A KR 20210008617A KR 102306831 B1 KR102306831 B1 KR 102306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shaft
blade
fixed hollow
unit
bla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석
Original Assignee
임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형석 filed Critical 임형석
Priority to KR1020210008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3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now-plough blades tiltable for shock-absorbing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5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snow-plough blade, e.g. flexible, or by snow-plough blade accessories
    • E01H5/066Snow-plough blade accessories, e.g. deflector plates, skid s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지면에 쌓인 눈을 밀어서 제거하며 독립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제1 및 제2블레이드를 가지는 블레이드 유닛과, 차량의 붐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레이드 지지프레임과, 블레이드 유닛의 후방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고정 중공축과, 블레이드 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 중공축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부재와, 블레이드 유닛과 상기 고정 중공축 사이에 설치되는 피벗 유닛과, 블레이드 유닛과 고정 중공축을 연결하여 블레이드 유닛의 배토 방향을 조절하는 한 쌍의 배토 실린더 및 고정 중공축 내부의 양단부 각각에 설치되어 고정 중공축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 유닛의 상대적인 회전운동시 탄성 변형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제설 장치{AN APPARATUS FOR CLEANING SNOW}
본 발명은 제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에 대한 수평은 물론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의 자세 변경을 가능하게 하여 제설 능력을 향상시킨 제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제설시 블레이드가 설치된 제설 차량을 이용하며, 일예로 트랙터 등이 있다. 제설 차량은 전방에 블레이드가 설치되어 있고, 이 블레이드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제설 차량은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제설과 배토를 동시에 수행하면서 신속하게 노면의 눈을 제거한다.
이처럼 제설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노면에 돌출된 도로 표지병이나 각종 돌출물을 만나게 되면, 블레이드가 제대로 제설을 수행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69931호에는, 제설작업 중 도로의 돌출물과 제설판이 접촉되면, 제설판의 뒤쪽에 형성된 각도 조절바의 회동과 복원스프링의 탄성력 및 복원력에 의해 제설판의 각도를 가변시키면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제설판을 상승시켜서 충격을 완충시키는 장치로 도로 걸림턱을 상승력으로 변환시키는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완충장치와 병행하여 제설판을 배토 방향으로 조작시키는 구조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극 등록특허 제10-1263728호를 통해서 제설날의 구조적 변경 없이 토션력으로 노면의 제설시 제설용 블레이드가 전방으로 기울어져 도로 표지병을 쉽게 타고 넘어간 후 복원될 수 있는 제설 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설 장치에서 토션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블레이드의 배면에 결합된 고정 중공축의 내부에 한 쌍의 토션바를 설치하였으나, 이러한 한 쌍의 토션바는 오랜 시간 반복 사용시 토션력이 저하되어 정상적인 작동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또한, 종래의 토션바는 한 쌍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비틀리면서 탄성력이 발생할 때, 서로 간에 간섭을 일으켜서 복원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특히, 종래의 토션바의 경우에는 탄성력이 저하될 경우, 이를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바로 교체해주어야 하므로 유지 관리비용이 증가하고, 교환장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제설 블레이드의 경우에는 좌우 길이에 상관없이 전체적으로 일체화되어 회동되어 자세 변경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로의 폭 방향으로의 부분적으로 설치된 도로 표지병에 상관없이 전체적으로 자세 변경되므로, 도로의 제설이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이 발생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69931호 대한민극 등록특허 제10-126372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제설 블레이드에 일정한 토션력을 제공할 수 있고, 제설블레이드를 선택적으로 분할하여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제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설 장치는, 지면에 쌓인 눈을 밀어서 제거하며 독립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제1 및 제2블레이드를 가지는 블레이드 유닛; 차량의 붐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레이드 지지프레임; 상기 블레이드 유닛의 후방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고정 중공축; 상기 블레이드 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 중공축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부재; 상기 블레이드 유닛과 상기 고정 중공축 사이에 설치되는 피벗 유닛; 상기 블레이드 유닛과 상기 고정 중공축을 연결하여, 상기 블레이드 유닛의 배토 방향을 조절하는 한 쌍의 배토 실린더; 및 상기 고정 중공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중공축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 유닛의 상대적인 회전운동시 탄성 변형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블레이드의 자세를 3축 방향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제설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도로의 폭 방향에 대응되는 길이방향으로 분할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되거나 일체로 동작 가능한 제1 및 제2블레이드; 및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가 일체로 움직이도록 결합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블레이드를 분할하여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의 다양한 상황에 대응하여 제설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 각각은, 전면의 호형의 곡면을 이루는 블레이드 본체;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설날;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축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중공축의 상대회전을 지지하는 고정브라겟; 상기 고정브라켓과 이격되도록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중공축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과 지지브라켓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척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제설작업시 지면의 장애물에 의해 블레이드가 걸릴 경우, 블레이드의 자세가 기울어지면서 장애물을 타고 넘어가도록 하여 원활한 제설작업이 이루어지고 블레이드 및 도로의 설치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고정 중공축 내부의 양단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중공축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 유닛의 상대적인 회전운동시 탄성 변형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용이하게 교환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설 장치에 따르면, 블레이드를 3축 방향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지면의 다양한 형태에 따라 능동적으로 자세 변경되면서 제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설 효율을 높이고, 제설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의 전후 방향 기울기를 제어하는 토션스프링의 교환장착이 용이하고, 탄성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오랜 기간 교체 없이 안정적인 탄성력을 유지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설용 블레이드를 분할하여 전후방향으로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도로의 폭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설치되는 도로병에 대응하여 블레이드를 부분적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제설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설 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설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제설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4c는 도 4b의 결합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설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6a는 도 4a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5a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4a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설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9 및 도 10 각각은 도 1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고정 중공축과 축 지지부재 및 토션스프링을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좌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설 장치를 이용한 제설작업 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7은 제1 및 제2블레이드를 분리한 상태에서 제설작업을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설 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6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설 장치(100)는, 지면에 쌓인 눈을 밀어서 제거하는 블레이드 유닛(110), 차량의 붐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레이드 지지프레임(120), 상기 블레이드 유닛(110)의 후방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고정 중공축(130), 상기 블레이드 유닛(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 중공축(130)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부재(140), 상기 블레이드 유닛(110)과 상기 고정 중공축(130) 사이에 설치되는 피벗 유닛(150), 블레이드(110)와 고정 중공축(130)을 연결하여 블레이드 유닛(110)의 배토 방향을 조절하는 한 쌍의 배토 실린더(160), 고정 중공축(130) 내부의 양단부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 토션스프링(170)을 구비한다.
상기 블레이드 유닛(110)은 길이방향 즉, 도로의 폭 방향에 대응되는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제1 및 제2블레이드(110a, 110b)와, 제1 및 제2블레이드(110a,110b)가 일체로 움직이도록 결합하는 결합유닛(118)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110a, 110b) 각각은 전면의 호형의 곡면을 이루는 블레이드 본체(111)와, 블레이드 본체(111)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설날(113), 블레이드 본체(111)의 후면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고정브라겟(115) 및 지지브라켓(116)과, 고정브라켓(115)과 지지브라켓(116)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브라켓(117)을 구비한다.
상기 제설날(113)은 지면에 밀착되어 이동하면서 제설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고정 브라켓(115)은 블레이드 본체(111)의 후면에 돌출되게 고정 결합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고정브라켓(115)에는 축 지지부재(140)가 결합되어 지지된다. 이를 위해 고정 브라켓(115)에는 다수의 볼트 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116)은 고정브라켓(115)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고정 중공축(130)을 감싸서 자유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브라켓(116)은 블레이드 본체(111)의 후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16a)과, 중공축(130)을 사이에 두고 고정부(116a)와 결합되는 분리부(116b)를 가진다. 고정부(116a)와 분리부(116b) 각각은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조립됨으로써, 고정 중공축(130)을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부(116a)와 분리부(116b) 각각에는 고정 중공축(130)을 감싸서 지지하는 반원통형의 회전지지부(116c,116d)를 가진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117)은 블레이드 본체(111)의 후면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고정 중공축(130)의 외측을 가이드 지지하여, 고정 중공축(130)과 블레이드 본체(111)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가이드 브라켓(117)은 블레이드 본체(111)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고, 탄성부재에 의해 소정 거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 중공축(130)의 외측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다. 이로써, 제1 및 제2블레이드(110a,110b) 각각이 고정 중공축(130)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블레이드(110a,110b)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결합유닛(118)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유닛(118)은 제1 및 제2블레이드(110a,110b)의 서로 맞닿는 단부에 설치되는 중공형의 제1 및 제2결합부(118a,118b)와, 제1 및 제2결합부(118a,118b)를 통과하여 결합되는 결합핀(118c)과, 제1 및 제2결합부(118a,118b)를 통과하여 결합된 결합핀(118c)의 분리를 차단하는 고정핀(118d)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의 결합유닛(118)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블레이드(110a,110b)를 결합하여 한 몸처럼 움직이도록 하여 제설작업을 할 수 있다. 반대로, 결합유닛(118)을 분리하게 되면, 제1 및 제2블레이드(110a,110b)를 각각 독립적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제설작업을 수 있도 있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 지지프레임(120)은 차량의 붐 장치대(미도시)에 연결되어 상하 및 전후 기울임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 중공축(130)은 한 쌍의 고정 브라켓(115)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중공형의 파이프 구조를 가진다. 고정 중공축(130)의 길이 방향으로 중앙 부분은 피벗 유닛(150)에 의해 블레이드 지지프레임(120)에 대해 Y축 및 Z축 각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고정 중공축(130)의 양단부의 외측에는 배토 실린더(160)가 피벗 연결되는 실린더 연결브라켓(131)이 설치된다.
또한, 고정 중공축(130)의 양단부 각각의 내부에는 토션스프링(170)의 제1고정부(172)를 지지하는 제1스프링 고정부재(133)가 각각 고정 설치된다.
상기 축 지지부재(140)는 고정 브라켓(115)에 결합되는 고정 플레이트(141)와, 고정 플레이트(141)의 일면에 결합되며 원통형상을 가지는 원통 지지부(143) 및 고정 플레이트(141)에 고정되어 토션스프링(170)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스프링 고정부재(145)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141)는 원판 형상을 가지며, 고정 브라켓(115)과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체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볼트 체결홀(141a)을 가진다. 볼트 체결홀(141a)은 고정 플레이트(141)의 가장자리에 원주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141)에는 제2스프링 고정부재(145)가 결합되는 고정홀(141b)이 복수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141b)은 고정 플레이트(141)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원통 지지부(143)는 고정 플레이트(141)의 일면에 고정 결합되며, 고정 중공축(13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원통 지지부(143)는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141)에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원통 지지부(143)에 고정 중공축(130)의 단부가 끼워져 지지된다. 따라서 고정 중공축(130)은 양단이 원통 지지부(143)에 끼워져 지지된 상태로, 상대적으로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프링 고정부재(145)는 원통 지지부(143)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고정 플레이트(141)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제2스프링 고정부재(145)는 비원형의 통 구조를 가지며, 일단부에는 고정 플레이트(141)의 고정홀(141b)에 결합되는 고정돌기(145a)를 가진다. 그리고 제2스프링 고정부재(145)의 내부면에서 중앙을 향해 돌출된 걸림턱(145b)이 형성되어, 토션스프링(170)의 제2고정부(173)가 제2스프링 고정부재(145) 내부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2스프링 고정부재(145)가 비 원형상의 통 구조를 가지므로, 토션 스프링(170)의 제2고정부(173)가 자세 변경되지 않고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스프링 고정부재(145)는 고정돌기(145a)를 고정홀(141b)에 결합한 상태에서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토션스프링(170)은 고정 중공축(130)의 양단부의 내부에 각각 수용된다. 이러한 토션스프링(170)은 코일형상의 스프링 몸체(171)와, 스프링 몸체(171)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고정 중공축(130)의 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고정부(172)와, 스프링 몸체(171)의 타단에서 고정 중공축(130)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 절곡 연장된 제2고정부(173)를 가진다. 제1고정부(172)는 고정 중공축(130) 내부에 고정 설치된 제1스프링 고정부재(133)에 지지되고, 제2고정부(173)는 제2스프링 고정부재(145)의 내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토션스프링(170)의 탄성력은 토션스프링(170)이 연결된 상태에서, 축 지지부재(140)를 고정 중공축(13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켜서 각도를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고, 축 지지부재(140)의 고정 플레이트(141)를 고정 브라켓(115)에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설정된 탄성력이 유지될 수 있다.
이처럼, 한 쌍의 토션스프링(170)을 고정 중공축(130) 내부에 각각 설치하고, 축 지지부재(140)를 고정 중공축(130)과 연결한 상태로 고정 브라켓(115)에 고정하여 사용하다가, 토션스프링(170)의 탄성력이 저하될 경우, 고정 플레이트(141)와 고정 브라켓(115)의 체결을 해제한 후, 고정 플레이트(141)를 소정 각도 회전시켜서 토션스프링(170)을 더 압축한 후에, 고정 플레이트(141)를 고정 브라켓(115)에 다시 체결한다. 그러면, 탄성력을 설정 범위 이상으로 재조절한 후에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제설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유지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토션스프링(170)을 새것으로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도, 축 지지부재(140)를 고정 브라켓(115)에서 분리한 후에 고정 중공축(130)을 축 지지부재(140)와 분리하여 용이하게 교환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한 쌍의 토션스프링(170)이 고정 중공축(130)의 내부의 양단에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서로 간섭하지 않은 상태로 작동함으로써, 고정 중공축(130)에 대한 블레이드 유닛(110)의 회전 저항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블레이드 유닛(110)의 선회 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벗 유닛(150)은 블레이드 지지프레임(120)에 대해서 고정 중공축(130)을 Y축 및 Z축 방향으로 각각 회동 될 수 있게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피벗 유닛(150)은 블레이드 지지프레임(120)에 고정되는 프레임 피벗 브라켓(151)과, 프레임 피벗 브라켓(151)에 설치되는 원통부(15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벗축(153)과, 고정 중공축(130)에 결합되는 블레이드측 피벗 프레임(155)과, 피벗축(153)의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블레이드측 피벗 프레임(155)에 결합되는 수직축(157)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의 피벗 유닛(150)에 의하여, 블레이드 유닛(110)가 Y축 방향 및 Z축 방향 각각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운동 되어 자세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피벗 유닛(150)은 공지의 기술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구성이 아니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한 쌍의 배토 실린더(160)는 일단은 블레이드 지지프레임(120)에 연결되고, 타단은 고정 중공축(130)에 연결된다. 이러한 배토 실린더(160)의 구동에 의해서 블레이드 유닛(110)을 Y축을 기준으로 각도 조절함으로써, 제설시 눈을 치우면서 한쪽으로 배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피벗 유닛(150)에는 수평 복귀유닛이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수평 복귀유닛은 블레이드 유닛(110)이 피벗축(153)을 중심으로 하여 자세 변경되었을 때, 다시 수평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수평 복귀유닛의 구체적인 구성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 기술로부터 당업자가 적용 가능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설 장치(100)에 의하면, 제설작업 시 블레이드 유닛(110)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 즉 도로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도로에 쌓인 눈을 한쪽으로 밀어서 제설 및 배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로의 기울기나 경사도 등에 따라서 상기 피벗 유닛(150)이 동작하여 블레이드 유닛(110)이 지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제설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배토 실린더(160)의 동작에 의해서 블레이드 유닛(110)의 배토를 위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15와 같이 도로상에 장애물이 없을 때는, 블레이드 유닛(110)이 정상적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도로면에 쌓인 눈을 밀어서 제설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5과 같은 자세로 이동(전진)하면서 제설 및 배토하다가, 도로면의 장애물 예를 들어, 도로면으로 돌출된 도로 표지병(200)에 블레이드 유닛(110)이 접촉하게 되면, 블레이드 유닛(110)은 도로 표지병(200)에 걸린 상태에서 도 15와 같이 고정 중공축(130)을 기준으로 앞으로 회동되면서 도로 표지병(200)을 자연스럽게 타고 넘어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로표지병(2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블레이드 유닛(110)이 장애물에 막혀서 전진하지 못하거나, 블레이드 유닛(110)이 도로면에서 튕기는 등의 돌발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블레이드 유닛(110)이 도로 표지병(200)을 타고 넘어갈 때는 토션스프링(170)이 강제로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블레이드 유닛(110)이 도로 표지병(200)을 타고 넘어간 후에는, 토션스프링(17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블레이드 유닛(110)은 도 13과 같은 자세로 다시 복원됨으로써, 제설작업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제설작업 시 블레이드 유닛(110)을 이용한 제설작업이 장애물에 의한 방해받는 것을 방지하고, 블레이드 유닛(1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도로 시설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 유닛(110)의 전 후진 회동을 지지하고, 복원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토션스프링(170)은 서로 간섭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동작하므로, 서로 간의 탄성력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어 안정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오랜 시간 사용하여 토션스프링(170)의 탄성력이 저하될 때는, 축 지지부재(140)와의 결합을 풀고, 축 지지부재(140)의 각도를 조절한 후 다시 체결함으로써, 토션스프링(170)의 탄성력을 강화하여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토션스프링(170)의 교체 없이 오랜 시간 사용이 가능하므로, 유지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방법에 의해서 토션스프링(170) 각각의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유지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제설작업시 제1 및 제2블레이드(110a,110b)를 결합유닛(118)을 결합하지 않고 분리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한 상태로 제설작업을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폭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에만 장애물이나 도로 표지병이 설치된 경우에, 장애물이 닿은 쪽의 블레이드()만 앞으로 회동하면서 장애물을 타고 넘어가고, 장애물이 닿지 않은 블레이드()는 앞으로 회동하지 않고 정상적인 자세로 이동하면서 제설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로의 폭을 기준으로 하여 장애물의 유무에 따라서 제1 및 제2블레이드(110a,110b)가 독립적으로 회동하면서 장애물을 타고 넘어갈 수 있으므로, 제설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제설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전체의 블레이드 유닛(110)이 동시에 회동할 경우에, 도로의 일부분의 눈을 치우지 못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제1 및 제2블레이드(110a,110b)가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한 구성을 가지는 제설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도로의 눈을 더욱 확실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을 할 수 있음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제설 장치 110..블레이드 유닛
110a,110b..제1 및 제2블레이드 111..블레이드 본체
113..제설날 115..고정브라켓
116..지지브라켓 117..가이드브라켓
118..결합유닛 120..블레이드 지지프레임
130..고정 중공축 140..축 지지부재
150..피벗유닛 160..배토 실린더
170..토션스프링 200..도로 표지병

Claims (4)

  1. 지면에 쌓인 눈을 밀어서 제거하며 3축 방향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한 제1 및 제2블레이드를 가진는 블레이드 유닛;
    차량의 붐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레이드 지지프레임;
    상기 블레이드 유닛의 후방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고정 중공축;
    상기 블레이드 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 중공축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부재;
    상기 블레이드 유닛과 상기 고정 중공축 사이에 설치되는 피벗 유닛;
    상기 블레이드 유닛과 상기 고정 중공축을 연결하여, 상기 블레이드 유닛의 배토 방향을 조절하는 한 쌍의 배토 실린더; 및
    상기 고정 중공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중공축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 유닛의 상대적인 회전운동시 탄성 변형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도로의 폭 방향에 대응되는 길이방향으로 분할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되거나 일체로 동작 가능한 제1 및 제2블레이드; 및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가 일체로 움직이도록 결합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 각각은,
    전면의 호형의 곡면을 이루는 블레이드 본체;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설날;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중공축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 중공축의 상대회전을 지지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과 이격되도록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 중공축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과 지지브라켓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중공축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후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 중공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분리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와 분리부 각각은 상기 고정 중공축을 감싸서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하며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반원통형의 회전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고정 중공축 내부의 양단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중공축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 유닛의 상대적인 회전운동시 탄성 변형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08617A 2021-01-21 2021-01-21 제설 장치 KR102306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617A KR102306831B1 (ko) 2021-01-21 2021-01-21 제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617A KR102306831B1 (ko) 2021-01-21 2021-01-21 제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831B1 true KR102306831B1 (ko) 2021-09-30

Family

ID=77920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617A KR102306831B1 (ko) 2021-01-21 2021-01-21 제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8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931B1 (ko) 1999-09-21 2003-01-29 대진공작 주식회사 제설기 완충장치
KR101182272B1 (ko) * 2012-03-16 2012-09-12 (주)송현 제설장치
KR101263728B1 (ko) 2012-01-13 2013-05-13 임형석 전후로 기울어지는 블레이드를 갖는 제설기
KR102186506B1 (ko) * 2020-01-14 2020-12-03 임형석 제설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931B1 (ko) 1999-09-21 2003-01-29 대진공작 주식회사 제설기 완충장치
KR101263728B1 (ko) 2012-01-13 2013-05-13 임형석 전후로 기울어지는 블레이드를 갖는 제설기
KR101182272B1 (ko) * 2012-03-16 2012-09-12 (주)송현 제설장치
KR102186506B1 (ko) * 2020-01-14 2020-12-03 임형석 제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1646B2 (en) Spring bracket design and method for snow plow blade tripping mechanism
US8001707B2 (en) Manually-operated wheeled snow shovels with steerable shovel blades or plows
US7380824B2 (en) Wheelchair suspension
US6860039B2 (en) Snow plow quick connect/disconnect hitch mechanism and method
JP4537897B2 (ja) 草刈機
CA2516801A1 (en) Trip edge snow plow blade
US4615130A (en) Snowplow mounted on longitudinal frame attachable to chassis
CN100564146C (zh) 自行车附连件
US4483041A (en) Support for a squeegee assembly
KR101263728B1 (ko) 전후로 기울어지는 블레이드를 갖는 제설기
US10119233B2 (en) Plow assembly with cushioning attachment
US6775933B2 (en) Snow plow having an in-line frame desig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01038107A1 (en) Wheelchair front fork
DE69908999T2 (de) Kehrvorrichtung für Arbeitsfahrzeuge
KR102186506B1 (ko) 제설 장치
KR102306831B1 (ko) 제설 장치
KR100701920B1 (ko) 유동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DE2617235A1 (de) Anordnung einer schuerfleiste an einer raeumschar eines strassenraeumgeraetes
US5361443A (en) Elastic coupling for a car wash rotary wheel assembly
US20040006895A1 (en) Back blade wearstrip for efficient backward operation of snow plows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he same
EP2643523B1 (en) Snow slush wiper apparatus
CN107567516B (zh) 地面清洁机和用于运行地面清洁机的方法
KR20010044234A (ko) 트랙터 로우더 탈부착형 제설장치
KR100436986B1 (ko) 트랙터 후면 탈부착용 제설기의 설치장치
KR200171851Y1 (ko) 제설기 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