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602B1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602B1
KR102306602B1 KR1020140080930A KR20140080930A KR102306602B1 KR 102306602 B1 KR102306602 B1 KR 102306602B1 KR 1020140080930 A KR1020140080930 A KR 1020140080930A KR 20140080930 A KR20140080930 A KR 20140080930A KR 102306602 B1 KR102306602 B1 KR 102306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response
control signal
driving
outpu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504A (ko
Inventor
이우진
김유철
김영원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0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602B1/ko
Priority to US14/614,289 priority patent/US9504107B2/en
Publication of KR20160002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05B45/37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using buck topolog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05B45/38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using boost topolog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05B45/38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using flyback topolo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구동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전압을 제2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 과전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기준 전압을 조절하며, 상기 제2 전압의 레벨을 조절하는 상기 구동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2 전압이 상승될 경우, 상기 과전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전압이 상기 제2 전압보다 소정 시간 미리 상승되도록 조절하며, 상기 제2 전압이 감소될 경우, 상기 과전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전압이 상기 제2 전압보다 소정 시간 늦게 감소되도록 조절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BACKLIGHT UNIT}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과전류 동작이 방지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게이트 라인들 및 데이터 라인들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한다. 게이트 라인들은 게이트 구동부로부터 게이트 신호들을 수신한다. 데이터 라인들은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데이터 전압들을 수신한다. 화소들은 게이트 라인들을 통해 제공받은 게이트 신호들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들을 통해 데이터 전압들을 제공받는다. 화소들은 데이터 전압들에 대응하는 계조를 표시한다. 따라서, 영상이 표시된다.
또한,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생성하는 광원으로,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이하: CCFL) 또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를 사용할 수 있다.
그중에서, LED는 직류 전류로 구동되는 컨버터(converter)가 필요하다. 즉, 백라이트 유닛은 LED의 구동을 위해, 낮은 직류 전압을 입력받아 높은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5 V 내지 30 V의 직류 전압이 100 V 내지 280 V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될 수 있다. 그러나, DC-DC 컨버터는 전압을 크게 변환시키기 때문에, DC-DC 컨버터를 구성하는 회로 소자들의 전압 스트레스(voltage stress)가 클 수 있다. 이로 인해, DC-DC 컨버터에 과전류가 발생되어, 소자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출력 전압에 따라 기준 전압의 레벨을 조절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과전류 현상을 검출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구동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전압을 제2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 과전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기준 전압을 조절하며, 상기 제2 전압의 레벨을 조절하는 상기 구동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2 전압이 상승될 경우, 상기 과전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전압이 상기 제2 전압보다 소정 시간 미리 상승되도록 조절하며, 상기 제2 전압이 감소될 경우, 상기 과전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전압이 상기 제2 전압보다 소정 시간 늦게 감소되도록 조절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구동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전압을 제2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 과전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기준 전압을 조절하며, 상기 제2 전압의 레벨을 조절하는 상기 구동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2 전압이 상승될 경우, 상기 과전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전압이 상기 제2 전압보다 소정 시간 미리 상승되도록 조절하며, 상기 제2 전압이 감소될 경우, 상기 과전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전압이 상기 제2 전압보다 소정 시간 늦게 감소되도록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3은 출력 전압의 변화에 따른 기준 전압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구동 제어부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출력 전압의 상승 시에 따른 구동 제어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출력 전압의 감소 시에 따른 구동 제어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2 비교기 동작의 일 예를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제2 비교기 동작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 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600)는 타이밍 컨트롤러(100), 게이트 구동부(200), 데이터 구동부(300), 표시패널(400), 및 백라이트 유닛(500)을 포함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00)는 표시장치(600)의 외부로부터 복수의 영상 신호들(RGB) 및 복수의 제어신호들(CS)을 수신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00)는 데이터 구동부(300)와의 인터페이스 사양에 맞도록 영상 신호들(RGB)의 데이터 포맷을 변환한다. 데이터 포맷이 변환된 영상 신호들(RGW)은 데이터 구동부(300)에 제공된다.
타이밍 컨트롤러(100)는 제어신호들(CS)에 응답하여 데이터 제어신호(D-CS) 및 게이트 제어신호(G-CS)를 생성한다. 예시적으로, 데이터 제어신호(D-CS)는 출력개시신호 및 수평개시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제어신호(G-CS)는 수직개시신호 및 수직클럭바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00)는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데이터 구동부(300)에 전달하며, 게이트 제어신호(G-CS)를 게이트 구동부(200)에 전달한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르면, 타이밍 컨트롤러(100)는 영상 보드(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외부 영상 신호에 응답하여 과전류 제어 신호(OCP)를 생성한다. 예시적으로, 외부 영상 신호에 따라, 과전류 제어 신호(OCP)의 신호 레벨이 달라질 수 있다. 즉, 과전류 제어 신호(OCP)는 외부 영상 신호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5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 레벨을 판단하는 신호일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00)는 과전류 제어 신호(OCP)를 백라이트 유닛(500)에 전달한다.
게이트 구동부(200)는 타이밍 컨트롤러(100)로부터 제공되는 게이트 제어신호(G-CS)에 응답해서 복수의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한다. 게이트 구동부(200)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1~GLn)을 통해 게이트 신호들을 표시패널(400)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표시패널(400)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PX11~PXnm)은 게이트 신호들에 의해 행 단위로 그리고 순차적으로 스캐닝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타이밍 컨트롤러(1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제어신호(D-CS)에 응답해서 영상 신호들(RGW)을 복수의 데이터 전압들로 변환한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변환된 데이터 전압들을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DLm)을 통해 표시패널(400)에 출력한다.
표시패널(400)은 게이트 라인들(GL1~GLn), 데이터 라인들(DL1~DLm) 및 화소들(PX11~PXnm)을 포함한다.
게이트 라인들(GL1~GLn)은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열 방향으로 연장된 데이터 라인들(DL1~DLm)과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게이트 라인들(GL1~GLn)은 게이트 구동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게이트 신호들을 수신한다. 데이터 라인들(DL1~DLm)은 데이터 구동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전압들을 수신한다. 화소들(PX11~PXnm)은 각각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GLn) 및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DLm)에 연결된다.
백라이트 유닛(500)은 표시패널(400)에 광을 공급한다. 예시적으로, 백라이트 유닛(500)은 발광 다이오드(LED)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표시장치(600)의 구동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500)에서 소비되는 전압 레벨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600)가 2차원 영상(Two Dimensional Image)에서 3차원 영상(Three Dimensional Image)을 표시할 경우, 백라이트 유닛(500)은 2차원 영상보다 3차원 영상 시에 더 높은 전압 레벨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백라이트 유닛(500)은 외부로부터 제공된 입력 전압을 DC-DC 변환하여 구동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한다. 그러나, 백라이트 유닛(500)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높은 전압이 출력될 경우, 입력 전압을 구동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과전류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장치(600)의 소자들이 파괴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백라이트 유닛(500)은 타이밍 컨트롤러(100)로부터 과전류 제어 신호(OCP)를 수신한다. 백라이트 유닛(500)은 과전류 제어 신호(OCP)에 응답하여, 과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압의 전압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500)은 DC-DC 컨버터(510) 및 구동 제어부(530)를 포함한다. DC-DC 컨버터(510)는 입력 전원(511), 인덕터(L), 구동 트랜지스터(M), 다이오드(D), 캐패시터(C), 구동 저항(Rs), 및 출력 저항(Ro)을 포함한다. DC-DC 컨버터(510)는 입력 전압(Vi)을 DC-DC 변환하여, 백라이트 유닛(500)의 구동에 필요한 출력 전압(Vo)으로 변환한다.
입력 전원(511)은 접지 단자 및 인덕터(L)의 일단과 연결된다. 입력 전압(531)은 직류 성분인 입력 전압(Vi)을 생성한다.
인덕터(L)의 일단은 입력 전원(511)과 연결되며, 타단은 제1 노드(N1)와 연결된다. 인덕터(L)는 구동 트랜지스터(M)의 동작에 따라, 입력 전원(Vi)에 의해 구동 전류(IL)를 충전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M)는 N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노드들(N1, N2) 사이에 배치된다. 자세하게, 구동 트랜지스터(M)의 드레인 단자는 제1 노드(N1)에 연결되고, 소스 단자는 제2 노드(N2)에 연결된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M)의 게이트 단자는 구동 제어부(53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구동 트랜지스터(M)는 구동 제어부(530)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펄스 신호(Q)에 응답하여 동작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구동 펄스 신호(Q)에 응답하여 구동 트랜지스터(M)가 턴-온 될 경우, 입력 전압(Vi)에 따라 인덕터(L)의 구동 전류(IL) 레벨이 상승하기 시작한다. 이 경우, 다이어드(D)가 도통되지 않음에 따라, 인덕터(L)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가 출력 단자로 전달되지 못한다. 즉, 인덕터(L)를 통해 제1 단자(N1)에 출력되는 전류는 구동 트랜지스터(M)를 통해 제2 단자(N2)에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다이오드(D)가 도통되지 않음에 따라, 인덕터(L)를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M)로 전달되는 전류는 구동 전류(IL)의 레벨과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 구동 트랜지스터(M)가 턴-온 될 경우, 인덕터(L)를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M)로 전달되는 전류는 구동 전류(IL)로 설명된다.
따라서, 인덕터(L)에 충전되는 구동 전류(IL)의 레벨이 제2 단자(N2)에 제공되는 전류 레벨과 동일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단자(N2)의 검출 전압(Vs)은 구동 전류(IL) 및 구동 저항(Rs)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구동 펄스 신호(Q)에 응답하여 구동 트랜지스터(M)의 턴-온 구간 동안, 캐패시터(C)의 전압 레벨에 따라 출력 전압(Vo)이 결정된다.
이와 반대로, 구동 펄스 신호(Q)에 응답하여 구동 트랜지스터(M)가 턴-오프 될 경우, 인덕터(L)에 충전된 구동 전류(IL)는 다이오드(D)를 통해 캐패시터(C)를 충전한다. 이 경우, 다이오드(D)는 도통되며, 인덕터(L)의 구동 전류(IL) 레벨이 감소하기 시작한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M)가 턴-오프 될 경우, 인덕터(L)의 출력 전압 및 입력 전압(Vi)이 합해진 전압 레벨이 제1 노드(N1)에 제공된다. 따라서, 출력 전압(Vo)이 상승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DC-DC 컨버터(510)는 구동 트랜지스터(M)의 동작에 기반하여, 출력 전압(Vo)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600, 도1 참조)가 2차원 영상에서 3차원 영상을 표시할 경우, 백라이트 유닛(500)은 2차원 영상보다 3차원 영상에서 더욱 높은 출력 전압(Vo)을 필요로 한다. 이 경우, DC-DC 컨버터(510)는 구동 트랜지스터(M)의 턴-온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출력 전압(Vo)의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구동 트랜지스터(M)의 턴-온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인덕터(L)의 구동 전류(IL) 레벨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구동 제어부(530)는 출력 전압(Vo) 및 타이밍 컨트롤러(100, 도1 참조)로부터 과전류 제어 신호(OCP)를 수신한다. 또한, 구동 제어부(530)는 제2 단자(N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 단자(N2)의 검출 전압(Vs)을 검출한다. 구동 제어부(530)는 검출 전압(Vs)과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함으로써, 구동 전류(IL)가 기준치 이상으로 높아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구동 제어부(530)는 검출 전압(Vs)이 기준 전압보다 높아졌을 경우, 구동 트랜지스터(M)의 동작을 턴-오프 시키는 셧 다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동 펄스 신호(Q)는 셧 다운 신호가 활성화되는 구간 동안, 구동 트랜지스터(M)의 동작을 턴-오프 시킨다. 또한, 예를 들어, 구동 제어부(530)는 검출 전압(Vs)이 기준 전압보다 높아졌을 경우, 구동 펄스 신호(Q)의 듀티비를 조절함으로써, 구동 전류(IL)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출력 전압의 변화에 따른 기준 전압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구동 전류(IL)에 따른 기준 전압(VP) 및 출력 전압(Vo)의 그래프를 볼 수 있다.
제1 및 제2 시간들(t1, t2)에서, 구동 제어부(530)로부터 일정한 듀티를 갖는 구동 펄스 신호(Q)가 구동 트랜지스터(M)에 제공된다. 이 경우, 구동 트랜지스터(M)가 일정한 듀티를 갖는 구동 펄스 신호(Q)에 응답하여 동작함에 따라, 인덕터(L)의 구동 전류(IL)는 일정한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한다.
한편, 제1 시간(t1)에서, 구동 제어부(530)는 기준 전압(VP) 및 출력 전압(Vo)은 일정한 전압 레벨을 유지한다. 그러나, 제2 시간(t2)에서, 구동 제어부(530)는 과전류 제어 신호(OCP)의 하이 레벨에 응답하여 기준 전압(VP)의 레벨을 상승시킨다. 만약, 출력 전압(Vo)이 기준 전압(VP)보다 미리 또는 동일하게 상승된다면, 출력 전압(Vo)을 상승시키기 위한 구동 전류(IL)의 상승으로 인해 과전류 현상이 검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제어부(530)는 과전류 제어 신호(OCP)의 하이 레벨에 응답하여, 기준 전압(VP)을 미리 상승시킨다.
이후, 제3 시간(t3) 동안, 구동 제어부(530)는 출력 전압(Vo)이 상승되도록 구동 펄스 신호(Q)의 듀티비를 제어한다. 자세하게, 구동 제어부(530)는 구동 펄스 신호(Q)의 펄스 폭이 증가된 듀티비를 설정한다. 이로 인해, 인덕터(L)에 충전되는 구동 전류(IL)의 최대 레벨이 기존 보다 상승될 수 있다. 그 결과, 출력 전압(Vo)이 상승될 수 있다. 상승된 출력 전압(Vo) 및 상승된 기준 전압(VP)은 제4 시간(t4) 동안 유지된다.
즉, 타이밍 컨트롤러(100, 도1 참조)는 백라이트 유닛(500, 도1 참조)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이 상승 또는 감소될 경우, 필요한 전압에 대응하는 과전류 제어 신호(OCP)를 백라이트 유닛(50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2차원 영상에서 3차원 영상으로 변환될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100)는 백라이트 유닛(500)의 구동 전압이 상승되기 위한, 하이 레벨의 과전류 제어 신호(OCP)를 백라이트 유닛(500)에 제공한다.
이후, 제5 시간(t5)에서, 구동 제어부(530)는 과전류 제어 신호(OCP)의 로우 레벨에 응답하여 출력 전압(Vo)이 감소되도록 제어한다. 자세하게, 구동 제어부(530)는 구동 펄스 신호(Q)의 펄스 폭이 감소된 듀티비를 설정한다. 이로 인해, 인덕터(L)에 충전되는 구동 전류(IL)의 최대 레벨이 기존 보다 감소될 수 있다.
만약, 기준 전압(VP)이 출력 전압(Vo)보다 미리 또는 동일하게 감소된다면, 정상 범위에서 과전류 현상이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제어부(530)는 과전류 제어 신호(OCP)의 로우 레벨에 응답하여, 출력 전압(Vo)을 미리 감소시킨다. 즉, 제5 시간(t5) 동안, 과전류 제어 신호(OCP)의 로우 레벨에 기반하여, 구동 펄스 신호(Q)가 조절됨으로써 구동 전류(IL)가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출력 전압(Vo)이 감소된다.
이후, 제6 시간(t6) 동안, 구동 제어부(530)는 기준 전압(VP)이 감소되도록 제어한다.
제7 시간(t7) 동안, 감소된 출력 전압(Vo) 및 감소된 기준 전압(VP)이 유지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동 제어부(530)는 과전류 제어 신호(OCP)에 따라 출력 전압(Vo) 및 기준 전압(VP)의 레벨 설정을 조절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53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구동 제어부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출력 전압의 상승 및 감소시에 따른 구동 제어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구동 제어부(530)는 기준 전압 발생부(560), 과전류 보호 회로(570), 출력 제어부(580)를 포함한다.
기준 전압 발생부(560)는 타이밍 컨트롤러(100, 도1 참조)로부터 과전류 제어 신호(OCP)를 수신한다. 기준 전압 발생부(560)는 수신된 과전류 제어 신호(OCP)에 응답하여 기준 출력 전압(Vref)을 출력한다.
과전류 보호 회로(570)는 제1 지연부(571), 전압 조절부(572), 과전류 제어부(573), 및 제1 스위치(S1)를 포함한다. 제1 지연부(571)는 기준 전압 발생부(560)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출력 전압(Vref)을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킨다. 즉, 제1 지연부(571)는 기준 출력 전압(Vref)을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킴으로써, 제1 스위치(S1)를 통해 전압 조절부(572)에 전달한다.
제1 스위치(S1)는 제1 스위칭 제어 신호(Sp1)에 응답하여 동작된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칭 제어 신호(Sp1)가 하이 레벨일 경우, 제1 스위치(S1)의 일단은 전압 조절부(572)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1 선택 노드(Ns1)와 연결된다. 즉, 제1 스위칭 제어 신호(Sp1)가 하이 레벨일 경우, 기준 전압 발생부(560)로부터 출력된 기준 출력 전압(Vref)이 제1 스위치(S1)를 통해 전압 조절부(572)에 바로 인가된다.
이와 반대로, 제1 스위칭 제어 신호(Sp1)가 로우 레벨일 경우, 제1 스위치(S1)의 일단은 전압 조절부(572)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1 지연부(571)와 연결된다. 즉, 제1 스위칭 제어 신호(Sp1)가 로우 레벨일 경우, 기준 전압 발생부(560)로부터 출력된 기준 출력 전압(Vref)이 제1 지연부(571)에 인가된다. 제1 지연부(571)는 소정의 시간만큼 기준 출력 전압(Vref)이 전압 조절부(572)로 전달되는 것을 지연시킨다.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된 이후, 기준 출력 전압(Vref)이 제1 스위치(S1)를 통해 전압 조절부(572)에 인가된다.
전압 조절부(572)는 제1 스위치(S1)를 통해 전달된 기준 출력 전압(Vref)을 전압 분배(Voltage Divider)한다. 전압 조절부(572)는 전압 조절부(572)는 전압 분배된 기준 전압을 과전류 제어부(573)로 전달한다. 전압 조절부(572)는 기준 출력 전압(Vref)을 전압 분배함으로써, 기준 전압(VP)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과전류 제어부(573)는 DC-DC 컨버터(510, 도2 참조)로부터 검출 전압(Vs)을 수신한다.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검출 전압(Vs)은 구동 전류(IL) 및 구동 저항(Rs)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과전류 제어부(573)는 기준 전압(VP)을 포함한다. 과전류 제어부(573)는 검출 전압(Vs) 및 기준 전압(VP)을 서로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출력부(573)의 과전류 현상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 전압(Vs)이 기준 전압(VP)보다 높을 경우, 과전류 제어부(573)는 DC-DC 컨버터(510)에 과전류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즉, 검출 전압(Vs)이 기준 전압(VP)보다 높을 경우, 인덕터(L, 도2 참조)에 충전되는 구동 전류(IL)가 기준치 이상으로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과전류 제어부(573)는 셧 다운 신호(SD)를 제어 로직(585)에 제공한다. 제어 로직(585)은 셧 다운 신호(SD)에 응답하여 구동 트랜지스터(M, 도2 참조)의 동작을 중지하기 위한 구동 펄스 신호(Q)를 출력한다.
출력 제어부(580)는 제2 지연부(581), 제1 비교기(582), 제2 비교기(583), 전압 발생기(584), 제어 로직(585), 및 제2 스위치(S2)를 포함한다. 제2 지연부(581)는 기준 전압 발생부(560)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출력 전압(Vref)을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킨다. 제2 지연부(581)는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된 기준 출력 전압(Vref)을 제2 스위치(S2)를 통해 제1 비교기(582)에 전달한다.
제2 스위치(S2)는 제2 스위칭 제어 신호(Sp2)에 응답하여 동작된다. 예를 들어, 제2 스위칭 제어 신호(Sp2)가 하이 레벨일 경우, 제2 스위치(S2)의 일단은 제1 비교기(582)의 제1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 선택 노드(Ns2)와 연결된다. 즉, 제2 스위칭 제어 신호(Sp2)가 하이 레벨일 경우, 기준 전압 발생부(560)로부터 출력된 기준 출력 전압(Vref)이 제2 스위치(S2)를 통해 제1 비교기(582)의 제1 단자(+)에 바로 인가된다.
이와 반대로, 제2 스위칭 제어 신호(Sp2)가 로우 레벨일 경우, 제2 스위치(S2)의 일단은 전압 조절부(572)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 지연부(581)와 연결된다. 즉, 제2 스위칭 제어 신호(Sp2)가 로우 레벨일 경우, 기준 전압 발생부(560)로부터 출력된 기준 출력 전압(Vref)이 제2 지연부(581)에 인가된다. 제2 지연부(581)는 소정의 시간만큼 기준 출력 전압(Vref)이 제1 비교기(582)로 전달되는 것을 지연시킨다.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된 후, 기준 출력 전압(Vref)이 제2 스위치(S2)를 통해 제1 비교기(582)에 인가된다.
한편, 구동 제어부(530)는 제1 및 제2 스위칭 제어 신호들(Sp1, Sp2)을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위칭 제어부는 펄스 폭 변조부(Pulse width modulation)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비교기(582)의 제1 단자(+)는 제2 스위치(S2)와 연결되어 기준 출력 전압(Vref)을 수신한다. 제1 비교기(582)의 제2 단자(-)는 DC-DC 컨버터(510)로부터 출력 전압(Vo)을 수신한다. 제1 비교기(582)는 수신된 기준 출력 전압(Vref) 및 출력 전압(Vo)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른 비교 전압을 제2 비교기(583)의 제1 단자(+)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1 비교기(582)는 기준 출력 전압(Vref)이 출력 전압(Vo)보다 높을 경우, 양의 비교 전압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1 비교기(582)는 기준 출력 전압(Vref)이 출력 전압(Vo)보다 낮을 경우, 음의 비교 전압을 출력한다.
제2 비교기(583)의 제1 단자(+)는 제1 비교기(582)로부터 비교 전압을 수신한다. 제2 비교기(583)의 제2 단자(-)는 전압 발생기(584)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수신한다. 예시적으로, 앞으로의 설명에 따르면, 전압 발생기(584)는 톱니파 전압을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제2 비교기(583)는 비교 전압 및 톱니파 전압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비교 펄스 신호를 제어 로직(585)에 제공한다. 제2 비교기(583)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을 통해 자세히 설명된다.
제어 로직(585)은 제2 비교기(583)로부터 출력되는 비교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 트랜지스터(M)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펄스 신호(Q)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구동 펄스 신호(Q)가 하이 레벨일 경우, 제어 로직(585)은 구동 트랜지스터(M)를 턴-온 시킨다. 그 결과, 인덕터(L)에 충전되는 구동 전류(IL)가 상승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동 전류(IL)가 상승됨에 따라, 출력 전압(Vo)이 상승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로직(585)은 과전류 제어부(573)로부터 셧 다운 신호(SD)를 수신한다. 제어 로직(585)은 셧 다운 신호(SD)가 수신되는 구간 동안, 구동 펄스 신호(Q)의 레벨에 상관없이 구동 펄스 신호(Q)를 로우 레벨로 천이시킨다. 그 결과, 구동 트랜지스터(M)가 턴-오프 됨에 따라, 인덕터(L)의 구동 전류(IL)가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르면, 구동 제어부(530)는 과전류 제어 신호(OCP)의 하이 레벨 및 로우 레벨에 따라 달리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전류 제어 신호(OCP)의 하이 레벨에 응답하여 출력 전압(Vo)이 상승할 수 있으며, 로우 레벨에 응답하여 출력 전압(Vo)이 감소할 수 있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출력 전압(Vo) 상승시에 따른 구동 제어부(530)의 동작이 설명된다. 제1 시간(t1a)에서, 과전류 제어 신호(OCP)는 로우 레벨로 유지된다. 이 경우, 제1 스위칭 제어 신호(Sp1)는 로우 레벨을 가지며, 제2 스위칭 제어 신호(Sp2)는 하이 레벨을 가진다. 따라서, 제1 스위치(S1)는 제1 지연부(571)와 연결되며, 제2 스위치(S2)는 제2 선택 노드(Ns2)와 연결된다. 기준 전압 발생부(560)는 제1 기준 출력 전압(Vref1)을 출력한다. 이 때, 제1 기준 출력 전압(Vref1)에 응답하여, 제1 기준 전압(VP1) 및 제1 출력 전압(Vo1)의 전압 레벨은 변동하지 않는다.
한편, 제1 기준 출력 전압(Vref1)에 응답하여, 기준 전압 및 출력 전압의 전압 레벨이 변동하지 않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기준 출력 전압(Vref1)에 응답하여, 기준 전압 및 출력 전압의 전압 레벨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통해 설명된다.
제2 시간(t2a)에서, 과전류 제어 신호(OCP)는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된다. 이 때, 기준 전압 발생부(560)는 제1 기준 출력 전압(Vref1)을 제2 기준 출력 전압(Vref2)으로 상승시킨다. 또한, 제1 스위칭 제어 신호(Sp1)는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되며, 제2 스위칭 제어 신호(Sp2)는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된다. 이 경우, 제1 스위치(S1)는 제1 선택 노드(Ns1) 및 전압 조절부(572)와 연결되고, 제2 스위치(S2)는 제2 지연부(581) 및 제1 비교기(582)와 연결된다.
즉, 기준 전압 발생부(560)로부터 출력되는 제2 기준 출력 전압(Vref2)이 과전류 보호 회로(570)의 제1 스위치(S1) 및 출력 제어부(580)의 제2 지연부(581)에 인가된다. 그 결과, 제2 기준 출력 전압(Vref2)은 제1 스위치(S1)보다 제2 스위치(S2)에 소정 시간만큼 지연되어 인가된다. 소정 시간은 제2 시간(t2a)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소정의 시간인 제2 시간(t2a) 동안, 제2 기준 출력 전압(Vref2)에 응답하여, 과전류 보호 회로(570)는 제1 기준 전압(VP1)을 제2 기준 전압(VP2)만큼 상승시킨다. 이 때, 제1 출력 전압(Vo1)은 상승되지 않는다.
제3 시간(t3a)에서, 제2 지연부(581)로부터 제2 기준 출력 전압(Vref2)이 제2 스위치(S2)를 통해 제1 비교기(582)에 전달된다. 출력 제어부(580)는 제2 기준 출력 전압(Vref2)에 응답하여, 제1 출력 전압(Vo1)을 상승시키기 위한 비교 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로직(585)은 비교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 펄스 신호(Q)를 생성한다. DC-DC 컨버터(510)는 구동 펄스 신호(Q)에 응답하여 제1 출력 전압(Vo1)을 제2 출력 전압(Vo2)만큼 상승시킨다.
예시적으로, 제1 기준 전압(VP1)이 제1 출력 전압(Vo1)보다 동일 또는 늦게 상승될 경우, 정상 동작에서 과전류 현상이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르면, 출력 전압 상승시, 기준 전압이 출력 전압보다 빨리 상승된다.
제4 시간(t4a)에서, 과전류 제어 신호(OCP)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되는 시점까지, 제2 기준 전압(VP2) 및 제2 출력 전압(Vo2)의 전압 레벨은 변동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출력 전압(Vo) 감소시에 따른 구동 제어부(530)의 동작이 설명된다. 제1 시간(t1b)에서, 과전류 제어 신호(OCP)는 하이 레벨로 유지된다. 이 경우, 제1 스위칭 제어 신호(Sp1)는 하이 레벨을 가지며, 제2 스위칭 제어 신호(Sp2)는 로우 레벨을 가진다. 따라서, 제1 스위치(S1)는 제1 선택 노드(Ns1)와 연결되며, 제2 스위치(S2)는 제2 지연부(581)와 연결된다. 기준 전압 발생부(560)는 제2 기준 출력 전압(Vref2)을 출력한다. 이 때, 제2 기준 출력 전압(Vref2)에 응답하여, 제2 기준 전압(VP2) 및 제2 출력 전압(Vo2)의 전압 레벨은 변동하지 않는다.
제2 시간(t2b)에서, 과전류 제어 신호(OCP)는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된다. 이 때, 기준 전압 발생부(560)는 제2 기준 출력 전압(Vref2)을 제1 기준 출력 전압(Vref1)으로 감소하기 시작한다. 또한, 제1 스위칭 제어 신호(Sp1)는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되며, 제2 스위칭 제어 신호(Sp2)는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된다. 이 경우, 제1 스위치(S1)는 제1 지연부(571) 및 전압 조절부(572)와 연결되고, 제2 스위치(S2)는 제1 비교기(582)의 제1 단자(+) 및 제2 선택 노드(Ns2)와 연결된다.
즉, 기준 전압 발생부(560)로부터 출력되는 제1 기준 출력 전압(Vref1)이 제1 지연부(571) 및 제1 비교기(582)에 전달된다. 그 결과, 제1 기준 출력 전압(Vref1)은 제2 스위치(S2)보다 제1 스위치(S1)에 소정 시간만큼 지연되어 인가된다. 소정 시간은 제2 시간(t2b)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소정의 시간인 제2 시간(t2b) 동안, 출력 제어부(580)는 제1 기준 출력 전압(Vref1)에 응답하여, 제2 출력 전압(Vo2)을 감소시키기 위한 비교 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로직(585)은 비교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 펄스 신호(Q)를 생성한다. DC-DC 컨버터(510)는 구동 펄스 신호(Q)에 응답하여 제2 출력 전압(Vo2)을 제1 출력 전압(Vo1)만큼 감소시킨다.
제3 시간(t3b)에서, 제1 기준 출력 전압(Vref1)에 응답하여, 과전류 보호 회로(570)는 제2 기준 전압(VP2)을 제1 기준 전압(VP1)만큼 감소시킨다. 예시적으로, 제2 기준 전압(VP2)이 제2 출력 전압(Vo2)보다 동일 또는 빨리 감소될 경우, 정상 동작에서 과전류 현상이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르면, 출력 전압 감소시, 기준 전압이 출력 전압보다 늦게 감소된다.
제4 시간(t4b)에서, 과전류 제어 신호(OCP)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되는 시점까지, 제1 기준 전압(VP1) 및 제1 출력 전압(Vo1)의 전압 레벨은 변동되지 않는다.
한편, 기준 전압 발생부(560)로부터 제1 및 제2 기준 출력 전압들(Vref1, Vref2)이 출력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기준 전압 발생부(560)는 과전류 제어 신호(OCP)에 응답하여, 다양한 기준 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500)는 출력 전압(Vo)의 변동에 기반하여, 기준 전압(VP)을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2 비교기 동작의 일 예를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비교기(582)는 출력 전압(Vo) 및 기준 출력 전압(Vref)을 비교한다. 여기서, 기준 출력 전압(Vref)은 출력 전압(Vo)보다 높은 것으로 정의된다. 제1 비교기(582)는 비교 결과에 따른 제1 비교 전압(V1)을 출력한다.
제2 비교기(583)는 제1 단자(+)를 통해 제1 비교 전압(V1)을 수신한다. 또한, 제2 비교기(583)는 제2 단자(-)를 통해 전압 발생기(584)로부터 출력되는 톱니파 전압(VR)을 수신한다. 제2 비교기(583)는 제1 비교 전압(V1) 및 톱니파 전압(VR)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른 제1 비교 펄스 신호(D1)를 출력한다.
자세하게, 제2 비교기(583)는 제1 비교 전압(V1)이 톱니파 전압(VR)보다 큰 구간에서, 하이 레벨의 제1 비교 펄스 신호(D1)를 출력한다. 제2 비교기(583)는 제1 비교 전압(V1)이 톱니파 전압(VR)보다 작은 구간에서, 로우 레벨의 제1 비교 펄스 신호(D1)를 출력한다. 즉, 제1 비교 펄스 신호(D1)는 하이 레벨의 제1 펄스 폭(P1a) 및 로우 레벨의 제2 펄스 폭(P2a)을 기반으로 하는 듀티비를 가진다. 제어 로직(585)은 제1 비교 펄스 신호(D1)에 대응하는 구동 펄스 신호를 구동 트랜지스터(M)의 게이트 단자에 제공한다.
이 경우, DC-DC 컨버터(510, 도2 참조)는 출력 전압(Vo)을 상승시킨다. 자세하게, 구동 트랜지스터(M)는 비교 펄스 신호의 하이 레벨 구간 동안, 턴-온될 수 있다. 제1 펄스 폭(P1a) 구간이 제2 펄스 폭(P2a) 구간보다 길기 때문에, 구동 트랜지스터(M)의 턴-온 구간이 턴-오프 구간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전류(IL, 도2 참조)가 상승되는 구간이 감소되는 구간보다 길 수 있다. 그 결과, 출력 전압(Vo)이 상승될 수 있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제2 비교기 동작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비교기(582)는 출력 전압(Vo) 및 기준 출력 전압(Vref)을 비교한다. 여기서, 기준 출력 전압(Vref)은 출력 전압(Vo)보다 높은 것으로 정의된다. 제1 비교기(582)는 비교 결과에 따른 제2 비교 전압(V2)을 출력한다.
제2 비교기(583)는 제1 단자(+)를 통해 제2 비교 전압(V2)을 수신한다. 또한, 제2 비교기(583)는 제2 단자(-)를 통해 전압 발생기(584)로부터 출력되는 톱니파 전압(VR)을 수신한다. 제2 비교기(583)는 제2 비교 전압(V2) 및 톱니파 전압(VR)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른 제2 비교 펄스 신호(D2)를 출력한다.
자세하게, 제2 비교기(583)는 제2 비교 전압(V2)이 톱니파 전압(VR)보다 큰 구간에서, 하이 레벨의 제1 비교 펄스 신호(D1)를 출력한다. 제2 비교기(583)는 제2 비교 전압(V2)이 톱니파 전압(VR)보다 작은 구간에서, 로우 레벨의 제2 비교 펄스 신호(D2)를 출력한다. 즉, 제2 비교 펄스 신호(D2)는 하이 레벨의 제1 펄스 폭(P1b) 및 로우 레벨의 제2 펄스 폭(P2b)을 기반으로 하는 듀티비를 가진다. 제어 로직(585)은 제2 비교 펄스 신호(D2)에 대응하는 구동 펄스 신호를 구동 트랜지스터(M)의 게이트 단자에 제공한다.
이 경우, DC-DC 컨버터(510, 도2 참조)는 출력 전압(Vo)을 감소시킨다. 제1 펄스 폭(P1b) 구간이 제2 펄스 폭(P2b) 구간보다 짧기 때문에, 구동 트랜지스터(M)의 턴-온 구간이 턴-오프 구간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전류(IL, 도2 참조)가 상승되는 구간이 감소되는 구간보다 짧을 수 있다. 그 결과, 출력 전압(Vo)이 감소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500)는 출력 전압(Vo)의 변동에 따라, 구동 트랜지스터(M)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펄스 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한다.
한편, 제1 비교기(582)는 기준 출력 전압(Vref)이 출력 전압(Vo)보다 낮은 경우, 제1 비교기(582)는 음의 비교 전압을 출력한다. 이 경우, 제2 비교기(583)는 로우 레벨의 비교 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타이밍 컨트롤러 560: 기준 전압 발생부
200: 게이트 구동부 570: 과전류 보호 회로
300: 데이터 구동부 580: 출력 제어부
400: 표시패널
500: 백라이트 유닛
510: DC-DC 변환부
530: 구동 제어부

Claims (16)

  1. 구동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전압을 제2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 및
    과전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기준 전압을 조절하며, 상기 제2 전압의 레벨을 조절하는 상기 구동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2 전압이 상승될 경우, 상기 과전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전압이 상기 제2 전압보다 소정 시간 미리 상승되도록 조절하며, 상기 제2 전압이 감소될 경우, 상기 과전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전압이 상기 제2 전압보다 소정 시간 늦게 감소되도록 조절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과전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기준 출력 전압을 발생하는 기준 전압 발생부;
    상기 기준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기준 전압을 조절하는 과전류 보호 회로; 및
    상기 기준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구동 펄스 신호의 듀티를 결정하는 비교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제1 전압을 출력하는 입력 전원;
    상기 입력 전원 및 제1 노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압에 따른 구동 전류를 충전하는 인덕터; 및
    상기 제1 노드 및 제2 노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구동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노드 및 접지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저항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노드의 검출 전압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를 통해 전달되는 전류 및 상기 저항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백라이트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2 노드의 검출 전압을 측정하는 백라이트 유닛.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검출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동작을 턴-오프 시키는 셧 다운 신호를 생성하는 백라이트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셧 다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 펄스 신호는 로우 레벨을 유지하는 백라이트 유닛.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제어 신호는 제1 레벨 및 제2 레벨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출력 전압은 제1 및 제2 기준 출력 전압들을 포함하되,
    상기 기준 전압 발생부는 상기 과전류 제어 신호의 제1 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기준 출력 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과전류 제어 신호의 제2 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기준 출력 전압을 출력하는 백라이트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출력 전압은 상기 제1 기준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높게 설정되는 백라이트 유닛.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보호 회로는,
    제1 스위칭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칭 제어 신호의 제1 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기준 전압 발생부와 연결되고, 상기 기준 전압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기준 출력 전압을 소정 시간 지연시켜 상기 제1 스위치로 전달하는 제1 지연부;
    상기 제1 스위치를 통해 상기 기준 출력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기준 출력 전압을 전압 분배하는 전압 조절부; 및
    상기 전압 분배된 기준 출력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전압을 조절하는 과전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1 스위칭 제어 신호의 제2 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전압 발생부 및 상기 전압 조절부와 연결되어, 상기 기준 출력 전압을 상기 전압 조절부에 전달하는 백라이트 유닛.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는,
    제2 스위칭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제2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칭 제어 신호의 제1 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기준 전압 발생부와 연결되고, 상기 기준 전압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기준 출력 전압을 소정 시간 지연시켜 상기 제2 스위치로 전달하는 제2 지연부;
    상기 제2 스위치를 통해 상기 기준 출력 전압 및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상기 제2 전압을 수신하여 비교 전압을 출력하는 제1 비교기;
    상기 제1 비교기로부터 출력된 상기 비교 전압 및 톱니파 전압을 비교하는 제2 비교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비교기는 상기 비교 전압 및 상기 톱니파 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비교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백라이트 유닛.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톱니파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발생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비교기는 상기 비교 전압이 상기 톱니파 전압보다 높을 경우, 하이 레벨의 비교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백라이트 유닛.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2 스위칭 제어 신호의 제2 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전압 발생부 및 상기 제1 비교기와 연결되어, 상기 기준 출력 전압을 상기 제1 비교기에 전달하는 백라이트 유닛.
  15.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구동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전압을 제2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 및
    과전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기준 전압을 조절하며, 상기 제2 전압의 레벨을 조절하는 상기 구동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2 전압이 상승될 경우, 상기 과전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전압이 상기 제2 전압보다 소정 시간 미리 상승되도록 조절하며, 상기 제2 전압이 감소될 경우, 상기 과전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전압이 상기 제2 전압보다 소정 시간 늦게 감소되도록 조절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과전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기준 출력 전압을 발생하는 기준 전압 발생부;
    상기 기준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기준 전압을 조절하는 과전류 보호 회로; 및
    상기 기준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구동 펄스 신호의 듀티를 결정하는 비교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되,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과전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압을 조절하는 표시장치.
KR1020140080930A 2014-06-30 2014-06-30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306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930A KR102306602B1 (ko) 2014-06-30 2014-06-30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4/614,289 US9504107B2 (en) 2014-06-30 2015-02-04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930A KR102306602B1 (ko) 2014-06-30 2014-06-30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504A KR20160002504A (ko) 2016-01-08
KR102306602B1 true KR102306602B1 (ko) 2021-09-30

Family

ID=54932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930A KR102306602B1 (ko) 2014-06-30 2014-06-30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04107B2 (ko)
KR (1) KR1023066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07590A (zh) * 2017-02-27 2017-05-2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的过温保护系统及过温保护方法
KR102334932B1 (ko) * 2017-04-04 2021-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안정화 모듈 및 그가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
CN108062936B (zh) * 2017-12-08 2020-06-1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驱动电路及驱动方法
KR102433843B1 (ko) * 2017-12-28 2022-08-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압 발생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1404B2 (ja) * 2005-06-24 2011-06-01 三洋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制御回路、自励型dc−dcコンバータ
KR20080046934A (ko) * 2006-11-24 200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JP4895854B2 (ja) 2007-02-16 2012-03-14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ドライバ回路
JP2010129612A (ja) 2008-11-25 2010-06-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点灯装置
KR20100098821A (ko) 2009-03-02 2010-09-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용 과전류 보호장치
CN102143639A (zh) 2011-04-18 2011-08-0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Led驱动电路
KR101897002B1 (ko) * 2011-07-04 2018-09-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5857219B2 (ja) 2011-11-24 2016-02-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Led駆動装置、照明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101957489B1 (ko) * 2012-03-23 2019-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와 그 방법
KR20130123230A (ko) 2012-05-02 2013-11-12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Led 드라이버 ic, 그 구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led 발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04107B2 (en) 2016-11-22
KR20160002504A (ko) 2016-01-08
US20150382430A1 (en)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3604B2 (en) DC-DC convert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448573B2 (en) DC-DC converter control circuit,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8988007B2 (en) Drive voltage generation circuit for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57614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392463B (zh) 发光二极管驱动系统及发光二极管驱动装置
KR102147465B1 (ko) Dc-dc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178732B2 (en) Backlight unit,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665190B2 (en) Power suppl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25823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452518B1 (ko) 전원 공급부 및 그의 구동방법
CN108365742B (zh) 偏压产生电路及其同步双模式升压直流-直流转换器
KR102306602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09474173B (zh) 电压转换器与电压转换器的操作方法
US9668316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light unit with overcurrent protection
KR102663628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전압 제어 방법
KR102479070B1 (ko) 백라이트유닛, 이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285264B1 (ko) 백라이트 구동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60017816A (ko) 광원 장치, 이의 구동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1878175B1 (ko) Dc-dc 컨버터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US9769892B2 (en) Method of operating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light unit
KR102052329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65203B1 (ko) 전원관리집적회로
KR20130072656A (ko) 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용 구동전압생성회로 및 이의 구동방법
JP7267118B2 (ja) Led駆動装置及び表示装置
KR102555061B1 (ko)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