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574B1 - 벗김 방지 덧신 - Google Patents

벗김 방지 덧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574B1
KR102306574B1 KR1020200007505A KR20200007505A KR102306574B1 KR 102306574 B1 KR102306574 B1 KR 102306574B1 KR 1020200007505 A KR1020200007505 A KR 1020200007505A KR 20200007505 A KR20200007505 A KR 20200007505A KR 102306574 B1 KR102306574 B1 KR 102306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slip
wall portion
rear wall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3646A (ko
Inventor
김태효
Original Assignee
김태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효 filed Critical 김태효
Priority to KR1020200007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574B1/ko
Publication of KR20210093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0Stocking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3Hosiery with intermediate sections of different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8Hosiery with an anti-slip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20Inserts
    • A41B2300/22Elastic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벗김 방지 덧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덧신은, 착용자의 발바닥과 접하는 바닥부(110)와, 상기 바닥부(110)의 전방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발등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덮개부(120)와, 상기 바닥부(110)의 측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발 측벽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측면벽체부(130)와, 상기 바닥부(110)의 후방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뒷꿈치 상측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후방벽체부(140)와, 상기 덮개부(120), 측면벽체부(130) 및 후방벽체부(140)에 의해 둘러쌓여 착용자의 발이 투입되는 개구부(15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벽체부(130)의 상단은 착용자의 복숭아뼈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후방벽체부(140)의 상단은 착용자의 뒷꿈치 뼈 상부 또는 아킬레스건의 하부 측에 위치하며 실리콘과 접착되는 재질로 이루어진 덧신본체(100)와; 상기 덧신본체(100)의 후방벽체부(140)에 연속되어 직조되거나, 후방벽체부(140)에 덧대여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벽체부(140)와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후방으로 꺾인 채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벽체부(140)로 하여금 착용자의 발을 조이도록 탄성을 갖는 고무사(210)를 포함한 재질로 이루어진 밴드(200)와; 상기 덧신본체(100)의 후방벽체부(140) 내주면에 부착되어 있어 덧신본체(100)가 착용자의 발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되, 상단이 상기 후방벽체부(140)와 밴드(200)가 연결되는 지점까지 연장되어 있는 실리콘 재질의 벗김방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착용자의 발목을 감싸 조여주는 밴드부의 기능과, 덧신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의 기능 모두를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벗김 방지 덧신{outer socks with prevent of undress}
본 발명은 덧신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덧신의 뒷부분에 실리콘이 구비되되, 실리콘의 위치가 덧신의 상단에 위치케 함으로써 덧신의 벗겨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벗김 방지 덧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덧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와, 바닥부 양측에 형성되는 앞꿈치부 및 뒤꿈치부와, 앞꿈치부 및 뒤꿈치부의 끝단(발이 삽입되는 상부 개방부 테두리)에 형성되어 덧신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밴드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밴드부는 신축성을 좋게 하기 위해 직조시 고무사가 사용되고, 통상 신축성을 더욱 좋게 하기 위해 고무사가 내,외부 2겹으로 포개진 구조(Double welt)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종래 덧신 착용시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해 주로 면사 등으로 이루어지는 뒤꿈치부에 미끄럼 방지 실리콘을 부착시키는 경우도 있는데, 실리콘을 뒤꿈치부에 부착하는 경우 신축성이 부족한 면사의 특성상 실리콘이 발을 제대로 잡아주지 못하여 잘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밴드부는 고무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밴드부에 직접 미끄럼 방지 실리콘을 부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이것은 접착성분을 갖는 실리콘 자체가 고무사에는 잘 부착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도 2에는 시중에 판매되는 덧신의 한 종류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보면 덧신 후방측 내주면에 실리콘을 여러 겹 설치하여 착용자의 발목 뒷부분과 덧신 내주면이 여러 위치에서 밀착되게 함으로써 벗겨짐이 방지될 수 있도록 노력함을 알 수 있다.
도 2에서 실리콘 중 최상단에 위치한 것은 밴드부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되고, 밴드부에 약간 중첩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부분은 고무사로 이루어진 밴드부 특성에 따라 실리콘이 금방 떨어져 나가게 된다.
즉, 이러한 문제 때문에라도 그 하부로 여러 개의 실리콘 층을 형성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더블 섬유 밴드 실리콘 덧신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덧신 편직기"(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9173호, 특허문헌 1)
상기 특허문헌 1의 주요 도면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밴드부(B)는 신축성이 뛰어난 고무사로 이루어진 제1실(T1)과, 실리콘 접착 가능한 실로 이루어진 제2실(T2)이 편직기를 통해 직조되어 구성되며, 제2실(T2)이 제1실(T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편직되고, 제2실(T2)의 표면에 실리콘(X)이 부착되는 구조를 취한다.
그런데, 상기 실들은 평평한 평면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단면이 원형 형상을 이루고 있어 이 실들이 연속하여 있더라도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리콘 부착시 상당량의 실리콘은 고무사와 접촉하게 되고, 이때의 접착력은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밴드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한 실리콘은 착용자의 발로부터 덧신이 벗겨지는 현상을 잘 막아주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실제 유통되는 벗김 방지 실리콘이 구비된 덧신은 실리콘 위치가 도 2와 같이 밴드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경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리콘의 위치가 뒷꿈치뼈 상부의 턱진 부분에 위치하지 못하고 뒷꿈치뼈의 평평한 표면 측에 위치하게 되어 비록 여러 겹으로 실리콘을 위치시킨다 하더라도 벗김 방지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즉, 현재까지 공개되어 있는 덧신은 밴드부를 구성하는 고무사와, 벗김 방지를 위한 실리콘의 부착성이 좋지 않은 이유로 인해 착용자의 발목을 감싸 조여주는 밴드부의 기능과, 덧신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의 기능 모두를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 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할 것이다.
KR 20-0479173 (2015.12.21)
본 발명의 벗김 방지 덧신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착용자의 발목을 감싸 조여주는 밴드부의 기능과, 덧신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의 기능 모두를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제공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덧신의 벗겨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 재질의 벗김방지재의 위치를 덧신 후방의 최상단에 위치시켜 벗겨짐 방지 기능을 최대화함과 더불어, 착용자의 발목 부분을 감싸 조이는 밴드를 벗김방지재 상단 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됨으로써 벗김방지재와 밴드가 측면상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 둘의 기능을 모두 최상의 상태로 제공하려는 것이다.
즉, 고무사와 실리콘의 접착 불량 문제를 피하면서도,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벗김방지재와 밴드 모두가 뒷꿈치뼈 상부의 턱진 부분에 위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벗김 방지 기능과 조임 기능 두 가지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하여 밴드를 구성하는 위사를 고무사로 하되, 이 고무사를 감싸는 면사를 구비함으로써 본체로부터 후방으로 접혀 구성된 밴드가 실리콘을 통해 본체에 결합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밴드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박음질 공정을 배제할 수도 있고, 밴드부가 둥글게 말리는 현상을 억제할 수도 있게 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바닥부에 습식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된 논슬립부를 형성함으로써 바닥면에서 미끌림을 방지하여 덧신의 벗김 방지를 보조하도록 함과 더불어, 바닥면의 미끄러짐 및 바닥면과 착용자의 발바닥 사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면서도 착용자 신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벗김 방지 덧신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착용자의 발바닥과 접하는 바닥부(110)와, 상기 바닥부(110)의 전방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발등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덮개부(120)와, 상기 바닥부(110)의 측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발 측벽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측면벽체부(130)와, 상기 바닥부(110)의 후방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뒷꿈치 상측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후방벽체부(140)와, 상기 덮개부(120), 측면벽체부(130) 및 후방벽체부(140)에 의해 둘러쌓여 착용자의 발이 투입되는 개구부(15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벽체부(130)의 상단은 착용자의 복숭아뼈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후방벽체부(140)의 상단은 착용자의 뒷꿈치 뼈 상부 또는 아킬레스건의 하부 측에 위치하며 실리콘과 접착되는 재질로 이루어진 덧신본체(100)와; 상기 덧신본체(100)의 후방벽체부(140)에 연속되어 직조되거나, 후방벽체부(140)에 덧대여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벽체부(140)와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후방으로 꺾인 채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벽체부(140)로 하여금 착용자의 발을 조이도록 탄성을 갖는 고무사(210)를 포함한 재질로 이루어진 밴드(200)와; 상기 덧신본체(100)의 후방벽체부(140) 내주면에 부착되어 있어 덧신본체(100)가 착용자의 발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되, 상단이 상기 후방벽체부(140)와 밴드(200)가 연결되는 지점까지 연장되어 있는 실리콘 재질의 벗김방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밴드(200)는 수직 방향의 제1경사(220)와 수평 방향의 제1위사(210)가 직조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위사(210)는 고무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경사는 면 또는 스판덱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위사(210)는 고무사 둘레를 실리콘과 접착되는 소재의 권취사(211)가 감싸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벗김방지재(300)는 상기 후방벽체부(140)를 통과하여 밴드(200) 내주면에 위치한 제1경사(220) 표면 및 제1위사(210)를 구성하는 권취사(211)에도 접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110)는 착용자의 발과 접촉하는 내측표면부(1a)와, 바닥면과 접하는 외측표면부(1b)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표면부(1b)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일정한 형상으로 패턴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는 외측논슬립부(30)와, 상기 외측논슬립부(30)가 미형성된 부분인 외측슬립부(4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내측표면부(1a)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일정한 형상으로 패턴을 이루어 형성되는 내측논슬립부(10)와, 상기 내측논슬립부(10)가 미형성된 부분인 내측슬립부(20)로 구성되어 있고, 측단면 상에서 상기 내측논슬립부(10)와 외측논슬립부(30)는 수직으로 서로 비 중첩되도록 엇갈려 배치되어 있고, 상기 외측논슬립부(30)와 내측논슬립부(10)는 각각 바닥부에 고정된 부분을 기준으로 원단부의 내경이 근단부의 내경보다 큰 오뚜기 형상을 취하는 기둥셀(71)이 내부에 다수 형성되어 있고, 외측논슬립부(30)와 내측논슬립부(10)는 각각 바닥부(110)에 고정된 부분을 기준으로 원단부 측 표면에는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기둥셀(71)에 연통되는 논슬립홈(72)이 형성되어 있는 습식 폴리우레탄 시트(70)로 이루어져 있으며, 습식 폴리우레탄 시트(70)는 상기 바닥부에 핫멜트접착층(73)을 통해 접착되어 있되, 상기 내측논슬립부(10)를 구성하는 습식 폴리우레탄 시트(70)는 중앙에 핫멜트접착층(73)과 접착된 중앙접착층(11)과, 저부가 핫멜트접착층(73)에 미접착되어 바닥부(110)와 이격된 상부배수공간(90)을 형성하는 외곽미접착층(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논슬립부(30)는 평면상에서 인접한 내측논슬립부(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착용자의 발목을 감싸 조여주는 밴드부의 기능과, 덧신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의 기능 모두를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덧신의 벗겨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 재질의 벗김방지재의 위치를 덧신 후방의 최상단에 위치시켜 벗겨짐 방지 기능을 최대화함과 더불어, 착용자의 발목 부분을 감싸 조이는 밴드를 벗김방지재 상단 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됨으로써 벗김방지재와 밴드가 측면상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 둘의 기능을 모두 최상의 상태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고무사와 실리콘의 접착 불량 문제를 피하면서도,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벗김방지재와 밴드 모두가 뒷꿈치뼈 상부의 턱진 부분에 위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벗김 방지 기능과 조임 기능 두 가지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더하여 밴드를 구성하는 위사를 고무사로 하되, 이 고무사를 감싸는 면사를 구비함으로써 본체로부터 후방으로 접혀 구성된 밴드가 실리콘을 통해 본체에 결합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밴드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박음질 공정을 배제할 수도 있고, 밴드부가 둥글게 말리는 현상을 억제할 수도 있게 된다.
아울러, 바닥부에 습식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된 논슬립부를 형성함으로써 바닥면에서 미끌림을 방지하여 덧신의 벗김 방지를 보조하도록 함과 더불어, 바닥면의 미끄러짐 및 바닥면과 착용자의 발바닥 사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면서도 착용자 신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덧신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시중에 판매되는 실리콘 구비 덧신을 나타낸 사진.
도 3은 벗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종래의 덧신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의 벗김 방지 덧신의 실리콘이 덧신 착용시 위치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벗김 방지 덧신의 후방측을 나타낸 사진.
도 6은 도 5의 덧신 내부 일부를 뒤집은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덧신에 밴드부를 형성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밴드가 덧대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밴드가 뒤로 밴딩되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고무사에 권취사가 권취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덧신의 바닥부에 논슬립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요부 단면도.
도 12는 착용 전의 논슬립부 형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3은 도 12에서 착용 후의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덧신 착용시 땀의 흐름을 나타낸 단면 모식도.
도 15는 본 발명에서 논습립부의 변형 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벗김 방지 덧신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벗김 방지 덧신은 크게 덧신본체(100), 밴드(200) 및 벗김방지재(3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덧신본체(100)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발바닥과 접하는 바닥부(110)와, 상기 바닥부(110)의 전방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발등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덮개부(120)와, 상기 바닥부(110)의 측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발 측벽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측면벽체부(130)와, 상기 바닥부(110)의 후방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뒷꿈치 상측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후방벽체부(140)와, 상기 덮개부(120), 측면벽체부(130) 및 후방벽체부(140)에 의해 둘러쌓여 착용자의 발이 투입되는 개구부(1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부분들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임의적으로 구분지은 것으로, 편직기를 통해 일체화되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덧신본체(100)는 일반적인 덧신과 마찬가지로 도 5,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면벽체부(130)의 상단은 착용자의 복숭아뼈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후방벽체부(140)의 상단은 착용자의 뒷꿈치 뼈 상부 또는 아킬레스건의 하부 측에 위치한다.
더하여, 덧신본체(100)는 면, 스판덱스 등이 단일 또는 함께 편직되는데, 이들은 실리콘과 잘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재질이다.
도 7 내지 10에는 이러한 덧신본체(100)의 후방벽체부(140)의 구성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후방벽체부(140)는 수직 방향의 제2경사(142)와 수평 방향의 제2위사(141)가 직조기 등을 통해 직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밴드(200)는 상기 덧신본체(100)의 후방벽체부(140)에 연속되어 직조되거나, 후방벽체부(140)에 덧대여져 연결되어 있다.
더하여, 밴드(200)는 상기 후방벽체부(140)와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후방으로 꺾인 채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벽체부(140)로 하여금 착용자의 발을 조이도록 탄성을 갖는 고무사(210)를 포함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도 7 내지 10에는 밴드(200)의 구체적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보면, 상기 밴드(200)는 수직 방향의 제1경사(220)와 수평 방향의 제1위사(210)가 직조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위사(210)는 고무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경사는 면 또는 스판덱스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경사(220)는 상기 제2경사(141)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어 연장되어 연속 직조되거나, 덧대어 직조 처리될 수 있다.
제1위사(210)는 제2위사(142)와는 다른 고무사로 이루어져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이 고무사는 실리콘과의 접착성이 불량하다.
한편, 제1위사(210)가 고무사로 이루어짐에 따라 착용자의 발목 뒷부분에 덧신본체(100)를 밀착시켜 조여주게 된다.
도면상의 직조 구조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시한 예외 불과하며, 다양한 방식의 직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또는 고무 패드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이때,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위사(210)는 고무사 둘레를 실리콘과 접착되는 면이나 스판덱스와 같은 소재의 권취사(211)가 감싸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 및 6을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밴드는 고무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면과 같이 둥글게 말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말리는 현상이 발생할 경우 말린 부분이 다른 표면에 비해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신발 등을 착용할 때 신발에 걸리면서 덧신이 벗겨지는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물론 밴드(200)를 후방벽체부(140)에 촘촘하게 박음질 처리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착용시 이물감을 느끼게 될 수 있다.
이때, 고무사를 권취사(211)가 감싼 형태를 취할 경우 벗김방지재(300)를 후방벽체부(140)에 부착할 때 후방벽체부(140)를 구성하는 제2위사(142) 및 제2경사(141)를 통과한 실리콘 벗김방지재(300)가 권취사(211) 및 제1경사(220)에 접착되므로 별도 박음질 처리를 최소화하면서 밴드(200)가 말리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벗김방지재(30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덧신본체(100)의 후방벽체부(140) 내주면에 부착되어 있어 덧신본체(100)가 착용자의 발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때, 벗김방지재(300)는 상단이 상기 후방벽체부(140)와 밴드(200)가 연결되는 지점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에는 벗김방지재(300)가 부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벗김방지재(300)는 덧신본체(100)의 후방벽체부(140)를 구성하는 제2위사(142), 제2경사(141)에 접착되며, 이들은 면사나 스판덱스 이기 때문에 실리콘과 원할하게 접착되고 잘 떨어지지 않게 되다.
이때, 도 10과 같이 권취사(211)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벗김방지재(300)는 상기 후방벽체부(140)를 통과하여 밴드(200) 내주면에 위치한 제1경사(220) 표면 및 제1위사(210)를 구성하는 권취사(211)에도 접착 처리되도록 하여 밴드(200)가 말리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밴드(200)를 후방벽체부(140)에 박음질(230) 처리하는 공정이 배제될 수도 있고, 이 공정이 최소화될 수도 있다.
이러한 벗김방지재(300)는 최상단으로부터 후방벽체부(140) 바닥까지 연장될 수도 있고, 이격된 상태로 될 수도 있고, 이격된 상태로 다수 개가 부착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은 고무사를 이용하여 편기에서 밴드(200)를 편성하고, 편직된 밴드(200)의 내측으로 탄성사를 이용하여 직접 덧대어 편직하면서 덧신본체(100)를 편성한 다음, 실리콘 벗김방지재(300)를 후방벽체부(140) 내측으로 접착시켜 제조될 수도 있다.
또는, 덧신본체(100)를 제조한 후, 편기에서 덧신본체(100)에 밴드(200)를 덧대어 제조한 후 벗김방지재(300)를 점착시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도 4의 구성과 도 10을 통해 비교할 때 측면상에서 벗김방지재(300)와 밴드(200)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게 되어 착용자 발목 부분에 덧신을 밀착시키는 부분과, 이 덧신의 벗겨짐을 방지하는 부분이 모두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힘의 전달이 원할히 이루어진다.
즉, 덧신 후방면의 최상단에서 벗김 방지와 밀착 기능이 동시에 제공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벗김 방지 기능을 고도로 높여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덧신이 벗겨지는 데에는 후방벽체부(140)가 미끄러지는 현상 외에도 바닥부(110)가 바닥이나 신발에 미끄러지는 현상에 의해서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바닥부(110)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7 내지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110)는 착용자의 발과 접촉하는 내측표면부(1a)와, 바닥면과 접하는 외측표면부(1b)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표면부(1b)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일정한 형상으로 패턴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는 외측논슬립부(30)와, 상기 외측논슬립부(30)가 미형성된 부분인 외측슬립부(40)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표면부(1a)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일정한 형상으로 패턴을 이루어 형성되는 내측논슬립부(10)와, 상기 내측논슬립부(10)가 미형성된 부분인 내측슬립부(20)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측단면 상에서 상기 내측논슬립부(10)와 외측논슬립부(30)는 수직으로 서로 비 중첩되도록 엇갈려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논슬립부(30)와 내측논슬립부(10)는 각각 바닥부에 고정된 부분을 기준으로 원단부의 내경이 근단부의 내경보다 큰 오뚜기 형상을 취하는 기둥셀(71)이 내부에 다수 형성되어 있고, 외측논슬립부(30)와 내측논슬립부(10)는 각각 바닥부(110)에 고정된 부분을 기준으로 원단부 측 표면에는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기둥셀(71)에 연통되는 논슬립홈(72)이 형성되어 있는 습식 폴리우레탄 시트(70)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습식 폴리우레탄 시트(70)는 상기 바닥부에 핫멜트접착층(73)을 통해 접착되어 있되, 상기 내측논슬립부(10)를 구성하는 습식 폴리우레탄 시트(70)는 중앙에 핫멜트접착층(73)과 접착된 중앙접착층(11)과, 저부가 핫멜트접착층(73)에 미접착되어 바닥부(110)와 이격된 상부배수공간(90)을 형성하는 외곽미접착층(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논슬립부(30)는 평면상에서 인접한 내측논슬립부(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습식 폴리우레탄 시트(70)에 기둥셀(71), 논슬립홈(72)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폴리우레탄을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켜 캐리어 위에 콤마코팅이나 나이프 코팅으로 도포한 후, 물과 디메틸포름아미드 혼합액이 수용된 응고조에 넣어 응고시킨 후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제거하고 열풍으로 잔류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제거하고 건조시켜 우레탄 시트를 제조한 후, 캐리어를 제거한 후 캐리어가 제거된 표면이 논슬립홈(72)이 형성되도록 가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상기한 제조 방식은 응고 과정에서 오뚜기 형태의 기둥셀(71)이 형성되고, 패브릭이나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캐리어를 제거시키는 과정에서 논슬립홈(72)이 형성되는 구조로, 캐리어가 제거된 면이 논슬립면 즉, 그랩핑 면이 되도록 하여 땀흡수가 원할히 이루어지게 되는 구조이다.
이때, 논슬립홈(72)은 캐리어의 재질에 따라 그 형성이 불확실할 수 있기 때문에 페퍼질 등의 표면 처리를 통해 보조홈(72a)이 형성될 수 있다.
핫멜트 접착제로는 폴리에틸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아마이드나, 아교 등 완전 방수 성능을 가지거나, 방수 성능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더하여,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단면 상에서 상기 내측논슬립부(10)와 외측논슬립부(30)는 수직선상에서 인접한 단부가 서로 이격된 여백부(50)를 형성하도록 엇갈려 배치될 수도 있다.
여백부(50)의 길이(a)는 바닥부(110)의 신축성, 상부 수직 및 수평 하중의 크기 등 다양한 변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만일, 여백부(5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내측논슬립부(10)와 외측논슬립부(30)가 엇갈려만 배치될 경우 바닥부(110) 자체가 갖는 신축성 등의 의해 경우에 따라 수직선상 특정 지점에서 내측논슬립부(10)와 외측논슬립부(30)가 동일하게 배치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부위에는 하중과 마찰력이 하부로 그대로 전달되어 사용자 피부 손상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
즉, 여백부(50)는 내측논슬립부(10)와 외측논슬립부(30)이 부재의 신축성 움직짐으로 수직선상으로 일직선상이 되는 현상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외곽미접착층(12)은 이처럼 신축 움직임에 의해 외측논슬립부(30)와 내측논슬립부(10)의 겹침이 발생하는 영역에서 피부 손상 발생 가능성을 억제하면서도 논슬립 기능은 최대화하여 운동 능력을 최대화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논슬립부 구성에 따른 주요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에서 바닥부(110)는 외부의 하중을 받지 않은 상태로 평평한 상태를 취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바닥이 바닥부(110)를 가압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운동에 따른 마찰력이 작용하는 경우 도 13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개별 내측논슬립부(10)의 직하부는 도면과 같이 외측논슬립부(30)가 위치하지 않고 바닥부(110)의 저부 표면인 외측슬립부(40)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내측논슬립부(10)에 가해지는 압축하중과 마찰력은 그 저부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지 않고 단순히 바닥부(110)의 섬유 조직인 바, 상대적으로 논슬립 기능이 훨씬 적은 슬립 역할을 하게 되어 마찰을 감소시켜주게 된다.
이는 1점에서 집중적으로 마찰을 감소시켜주는 방식이 아니라, 내측논슬립부(10)에서 1차로 마찰을 감소시키고, 직하 영역이 아닌 주변 영역의 외측논슬립부(30)에서 2차로 마찰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하여 착용자의 발(2)에 집중적인 논슬립 기능 부여로 인한 피부 상처 등을 방지하면서도 운동 능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여백부(50)가 형성되는 경우 전술한 것처럼 부재 특성 및 운동방향과 힘의 다양한 변수에 의해 특정 영역에서의 내측논슬립부(10)와 외측논슬립부(30)가 평면상에서 겹치는 현상을 억제하여 피부 상처를 가일층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여백부(50)를 전체적으로 형성할 경우 여백부(50)가 형성되는 부분은 근본적으로 내측논슬립부(10)와 외측논슬립부(30)가 평면상에서 미겹침 상태이기 때문에 슬립이 발생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이때, 내측논슬립부(10)가 도 11과 같이 중앙접착층(11)과 외곽미접착층(12)으로 구성할 경우 이러한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내측논슬립부(10)가 중앙접착층(11)과 외곽미접착층(12)으로 구성되는 경우 외곽미접착층(12)은 저부에 핫멜트접착층(73)이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바닥부(110)와도 이격된 상태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의 하중이 중앙접착층(11)과 외곽미접착층(12)에 동시에 가해지는 상태에서 중앙접착층(11)에서의 마찰력이 훨씬 크고, 외곽미접착층(12)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상태가 된다.
도 15는 내측논슬립부(10)와 외측논슬립부(30)의 경계가 수직선상에서 일직선을 이루는 상태를 취하는데, 만일 핫멜트접착층(73)의 면적이 내측논슬립부(10)와 외측논슬립부(30)와 동일할 경우 전술한 것처럼 외부 변수에 따라 내측논슬립부(10)와 외측논슬립부(30)가 상호 겹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도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내측논슬립부(10)가 중앙접착층(11)과 외곽미접착층(12)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논슬립부(10)와 외측논슬립부(30)의 단부가 서로 조금 겹치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외곽미접착층(12)의 저부는 바닥부(110)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이 영역에서는 논슬립 기능이 극대화되지 않게 된다.
즉, 외곽미접착층(12)의 상부 표면은 사용자의 발과 마찰을 일으켜 논슬립 기능을 발휘하나 외곽미접착층(12)의 저부는 바닥부(110)에 일정 한도 내에서 슬립이 가능한 상태를 취하기 때문에 피부 손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외곽미접착층(12)은 수분의 흡수와 배수를 활성화시키게 된다.
도 14에는 땀(4)의 흡수 및 배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내측논슬립부(10)는 기둥셀(71) 및 논슬립홈(7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발(2)에서 배출된 땀이 흡수된다.
이때, 핫멜트접착층(73)은 통상적으로 방수성에 가까운 소재이기 때문에 핫멜트접착층(73)에서는 땀의 흡수가 지체되며 계속 땀이 발생하게 되면 땀은 외곽미접착층(12)의 저부 및 측벽면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이 부분은 도면과 같이 바닥부(110)의 물결 모양의 단면 변화로 인해 사용자의 발(2) 사이의 빈 공간인 상부배수공간(90)이 형성되어 일시적으로 소량의 땀이 머물러 있게 된다.
더불어,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부(110)는 통상의 스포츠용 양말과 같이 땀흡 배수 기능이 투수성 소재로 천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이 땀은 바닥부(110)에 흡수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지속적인 땀 발생이 이루어질 경우 땀은 신발(3) 바닥면으로 향하게 되는데, 이때 바닥부(110)의 외측표면부(1b)의 외측논슬립부(30)가 부착된 영역에서는 핫멜트접착층(73)에 의해 땀 흡수가 저지되며, 하부배수공간(91)에서 일시적으로 수분이 고이게 된다.
즉, 바닥부(110)의 저부가 신발(3) 또는 인솔 표면에 의해 지지되고, 내측논슬립부(10)와 외측논슬립부(30)가 엇갈려 배치됨에 따라 바닥부(110)가 도시된 것처럼 물결 모양으로 변형됨에 따라 외측논슬립부(30)의 측벽면 측면에 빈 공간인 하부체류공간(91)이 형성됨에 따른다.
이 상태에서 하부체류공간(91)에 고이는 수분은 외측논슬립부(30)의 측벽면이나, 신발(3) 바닥면과 외측논슬립부(30) 단부의 틈을 통해 외측논슬립부(30) 내부의 기둥셀(21)에 흡수되게 된다.
100 : 덧신본체 110 : 바닥부
120 : 덮개부 130 : 측면벽체부
140 : 후방벽체부 141 : 제2경사
142 : 제1경사 150 : 개구부
200 : 밴드 210 : 제1위사
211 : 권취사 220 : 제1경사
230 : 박음질 300 : 벗김방지재
1a : 내측표면부 1b : 외측표면부
2 : 발 3 : 신발
4 : 땀 10 : 내측논슬립부
11 : 중앙접착층 12 : 외곽미접착층
20 : 내측슬립부 30 : 외측논슬립부
40 : 외측슬립부 50 : 여백부
70 : 습식 폴리우레탄 시트 71 : 기둥셀
72 : 논슬립홈 72a : 보조홈
73 : 핫멜트접착층 90 : 상부배수공간
91 : 하부배수공간

Claims (5)

  1. 벗김 방지 덧신에 있어서,
    착용자의 발바닥과 접하는 바닥부(110)와, 상기 바닥부(110)의 전방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발등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덮개부(120)와, 상기 바닥부(110)의 측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발 측벽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측면벽체부(130)와, 상기 바닥부(110)의 후방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뒷꿈치 상측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후방벽체부(140)와, 상기 덮개부(120), 측면벽체부(130) 및 후방벽체부(140)에 의해 둘러쌓여 착용자의 발이 투입되는 개구부(15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벽체부(130)의 상단은 착용자의 복숭아뼈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후방벽체부(140)의 상단은 착용자의 뒷꿈치 뼈 상부 또는 아킬레스건의 하부 측에 위치하며 실리콘과 접착되는 재질로 이루어진 덧신본체(100)와;
    상기 덧신본체(100)의 후방벽체부(140)에 연속되어 직조되거나, 후방벽체부(140)에 덧대여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벽체부(140)와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후방으로 꺾인 채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벽체부(140)로 하여금 착용자의 발을 조이도록 탄성을 갖는 고무사(210)를 포함한 재질로 이루어진 밴드(200)와;
    상기 덧신본체(100)의 후방벽체부(140) 내주면에 부착되어 있어 덧신본체(100)가 착용자의 발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되, 상단이 상기 후방벽체부(140)와 밴드(200)가 연결되는 지점까지 연장되어 있는 실리콘 재질의 벗김방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닥부(110)는 착용자의 발과 접촉하는 내측표면부(1a)와, 바닥면과 접하는 외측표면부(1b)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표면부(1b)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일정한 형상으로 패턴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는 외측논슬립부(30)와, 상기 외측논슬립부(30)가 미형성된 부분인 외측슬립부(4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표면부(1a)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일정한 형상으로 패턴을 이루어 형성되는 내측논슬립부(10)와, 상기 내측논슬립부(10)가 미형성된 부분인 내측슬립부(20)로 구성되어 있고,
    측단면 상에서 상기 내측논슬립부(10)와 외측논슬립부(30)는 수직으로 서로 비 중첩되도록 엇갈려 배치되어 있고,
    상기 외측논슬립부(30)와 내측논슬립부(10)는 각각 바닥부에 고정된 부분을 기준으로 원단부의 내경이 근단부의 내경보다 큰 오뚜기 형상을 취하는 기둥셀(71)이 내부에 다수 형성되어 있고,
    외측논슬립부(30)와 내측논슬립부(10)는 각각 바닥부(110)에 고정된 부분을 기준으로 원단부 측 표면에는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기둥셀(71)에 연통되는 논슬립홈(72)이 형성되어 있는 습식 폴리우레탄 시트(70)로 이루어져 있으며,
    습식 폴리우레탄 시트(70)는 상기 바닥부에 핫멜트접착층(73)을 통해 접착되어 있되,
    상기 내측논슬립부(10)를 구성하는 습식 폴리우레탄 시트(70)는 중앙에 핫멜트접착층(73)과 접착된 중앙접착층(11)과, 저부가 핫멜트접착층(73)에 미접착되어 바닥부(110)와 이격된 상부배수공간(90)을 형성하는 외곽미접착층(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논슬립부(30)는 평면상에서 인접한 내측논슬립부(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벗김 방지 덧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200)는 수직 방향의 제1경사(220)와 수평 방향의 제1위사(210)가 직조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위사(210)는 고무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경사는 면 또는 스판덱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벗김 방지 덧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사(210)는 고무사 둘레를 실리콘과 접착되는 소재의 권취사(211)가 감싸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벗김방지재(300)는 상기 후방벽체부(140)를 통과하여 밴드(200) 내주면에 위치한 제1경사(220) 표면 및 제1위사(210)를 구성하는 권취사(211)에도 접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벗김 방지 덧신.
  4. 삭제
  5. 삭제
KR1020200007505A 2020-01-20 2020-01-20 벗김 방지 덧신 KR102306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505A KR102306574B1 (ko) 2020-01-20 2020-01-20 벗김 방지 덧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505A KR102306574B1 (ko) 2020-01-20 2020-01-20 벗김 방지 덧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646A KR20210093646A (ko) 2021-07-28
KR102306574B1 true KR102306574B1 (ko) 2021-10-08

Family

ID=77126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505A KR102306574B1 (ko) 2020-01-20 2020-01-20 벗김 방지 덧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5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173Y1 (ko) * 2015-08-11 2015-12-28 김재동 더블 섬유 밴드 실리콘 덧버선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덧버선 편직기
KR101686547B1 (ko) 2016-09-01 2016-12-14 김태효 스포츠용 논슬립 양말
KR102002633B1 (ko) * 2018-07-19 2019-07-22 김태효 완충이격부가 구비된 논슬립 발의류
WO2019245281A1 (ko) 2018-06-19 2019-12-26 ㈜렉시 요가용 쿠션 패드 양말
WO2019245279A1 (ko) 2018-06-19 2019-12-26 ㈜렉시 양말의 양면 넌슬립 부착방법 및 그 부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587A (ko) * 2016-05-26 2017-12-06 박철환 슬림밴드를 포함하는 덧버선의 제조방법
KR20180096928A (ko) * 2017-02-22 2018-08-30 고미화 다이어트용 덧신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173Y1 (ko) * 2015-08-11 2015-12-28 김재동 더블 섬유 밴드 실리콘 덧버선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덧버선 편직기
KR101686547B1 (ko) 2016-09-01 2016-12-14 김태효 스포츠용 논슬립 양말
WO2019245281A1 (ko) 2018-06-19 2019-12-26 ㈜렉시 요가용 쿠션 패드 양말
WO2019245279A1 (ko) 2018-06-19 2019-12-26 ㈜렉시 양말의 양면 넌슬립 부착방법 및 그 부착구조
KR102002633B1 (ko) * 2018-07-19 2019-07-22 김태효 완충이격부가 구비된 논슬립 발의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646A (ko) 202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18657B1 (en) Knitted component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two or more material compositions
US10694816B2 (en) Upper for a shoe
EP2446761B1 (en) Article of footwear for snowboarding
US20160324269A1 (en) Footwear Including an Adaptable and Adjustable Lacing System
KR102002633B1 (ko) 완충이격부가 구비된 논슬립 발의류
JP6685976B2 (ja) 靴のためのアッパー
US9974351B2 (en) Shoes including w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pper for shoes
US11129440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multiple layers
CN108208998A (zh) 形成包含修剪的编织鞋面的鞋类物品的方法
KR200486312Y1 (ko) 벗겨짐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신축성 양말
CN110870596B (zh) 鞋面
US20050155137A1 (en) Clog sock
TWM573965U (zh) 用於鞋類物件之編織組件
KR20170006877A (ko) 덧신양말
CN115734720A (zh) 具有连续鞋上部的针织运动鞋
KR101988651B1 (ko) 실리콘사를 이용한 덧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6349B1 (ko) 실리콘 박막 필름을 이용한 벗김 방지 덧신
JP3225930U (ja) フットカバー
KR102306574B1 (ko) 벗김 방지 덧신
JP2024503465A (ja) 履物具、ならびに履物具用アッパ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24804U (ja) 踵抜きフットカバー
CN109744593B (zh) 一种排汗透气的防静脉曲张弹力袜
JP7069462B2 (ja) フットカバーの製造方法
US11172729B2 (en) Non-slip shoe wear
JP5366921B2 (ja) 足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