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560B1 - 아산화질소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아산화질소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560B1
KR102306560B1 KR1020200111560A KR20200111560A KR102306560B1 KR 102306560 B1 KR102306560 B1 KR 102306560B1 KR 1020200111560 A KR1020200111560 A KR 1020200111560A KR 20200111560 A KR20200111560 A KR 20200111560A KR 102306560 B1 KR102306560 B1 KR 102306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le
pin
gas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광
Priority to KR1020200111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6Means to produce beverage with a layer on top, e.g. of cream, foam or fro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3/00Cream; Cream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3/12Cream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40Foaming or whip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more than one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combined with other safety valves, or with pressure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산화질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가스가 유동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일단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가스용기와 연결되는 가스용기연결부와, 일단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휘핑기와 연결되는 휘핑기연결부와, 상기 몸체부의 연통되어 상기 몸체부 내부를 통과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휘핑기연결부로 가스가 이동하는 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 1차밸브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휘핑기연결부로 가스가 이동하는 경로에서 상기 제 1차밸브를 통과한 가스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 2차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산화질소 공급장치{A Nitrous Oxide Dispension Apparatus}
본 발명은 가스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어커리 또는 커피전문점에서 사용하는 휘핑크림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아산화질소를 안전하게 공급할 수 있는 아산화질소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베어커리(bakery) 또는 커피 전문점에 거품을 내어 부피를 증가시킨 크림인 휘핑크림(whipped cream)이 많이 사용된다. 휘핑크림은 우유에서 분리된 유지방인 크림(cream)을 수작업으로 매우 빠르게 휘저어서 만들수 있으나, 베어커리나 커피 전문점에서 소요되는 양을 충족할 수 있도록 대량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휘핑크림 제조기를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의 일 예에 따른 휘핑크림 제조기를 도시한 것으로, 크림과 휘핑가스가 투입되는 컨테이너(1)와, 휘핑가스가 보관되는 가스탱크(2)와, 상기 가스탱크(2)에서 상기 컨테이너(1)로 유입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공급 장치(3)로 구분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휘핑가스로 사용되는 가스가 일반적으로 아산화질소인데, 투입되는 아산화질소의 양을 간단하고 안전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일반적인 밸브조립체를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 10-2014-91930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이 높고 안전하고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는 아산화질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아산화질소 공급 장치는, 내부에 가스가 유동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일단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가스용기와 연결되는 가스용기연결부와, 일단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휘핑기와 연결되는 휘핑기연결부와, 상기 몸체부의 연통되어 상기 몸체부 내부를 통과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휘핑기연결부로 가스가 이동하는 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 1차밸브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휘핑기연결부로 가스가 이동하는 경로에서 상기 제 1차밸브를 통과한 가스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 2차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 내부의 공간의 가스를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안전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차밸브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몸체부와 연통되는 제 1파이프와, 상기 제 1파이프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마련되어 선단에 관통하는 제 1통공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 1핀과, 상기 제 1파이프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1핀이 상기 제 1통공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1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차밸브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제 1파이프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휘핑기연결부와 연통되는 제 2파이프와, 상기 제 2파이프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휘핑기연결부와 연통되는 제 2통공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 2핀과, 상기 제 2파이프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2핀이 상기 휘핑기연결부와 연통되는 제 2통공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2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는, 원기둥형상의 제 1공간과 상기 제 1공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넓은 제 2공간이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외부파이프와, 상기 제 1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내부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내부파이프와, 상기 외부파이프의 제 2공간과 연통되는 상기 내부파이프의 제 3통공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 3핀과, 상기 내부파이프의 유로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3핀을 제 3통공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3스프링과, 상기 제 2공간의 상면을 차폐하는 판상의 차단판과, 상기 제 3통공의 상단과 상기 차단판의 사이에는 상기 제 3핀의 상단을 하방으로 선택적으로 누를 수 있도록 구비되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조절부는, 파이프 형상으로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과 연통되는 압력조절몸체부와, 상기 압력조절몸체부의 상단을 차폐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압력조절몸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압력조절나사와, 상기 압력조절몸체부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압력조절나사의 하부에 연결되어 연동되고 하단이 원뿔모양으로 돌출되는 제 1누름돌기와, 원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누름돌기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 1누름돌기의 원뿔모양의 돌출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는 제 1연결판과, 상기 몸체부의 차단판의 상부에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홈이 형성되는 제 2누름돌기와, 원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연결판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 2누름돌기의 홈에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제 2연결판과, 상기 제 1연결판과 상기 제 2연결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 1연결판과 상기 제 2연결판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4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부는,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관통된 유로가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몸체부의 제 2공간과 연통되는 제 4통공이 형성되는 안전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제 4통공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판상의 안전판과, 관통되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몸체부의 타단을 차폐하는 커버부와, 상기 안전판과 상기 커버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안전판이 상기 제 4통공을 차폐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제 5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아산화질소 공급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아산화질소 가스의 유동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압력조절부와, 안전부가 구성되고, 휘핑기로 제 1차밸브와 제 2차밸브가 서로 연동하여, 간단하게 압력을 조절하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휘핑크림 제조기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아산화질소 공급 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아산화질소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휘핑기연결부를 보인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아산화질소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몸체부를 보인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아산화질소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압력조절부를 보인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아산화질소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안전부를 보인 부분확대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아산화질소 공급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아산화질소 공급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가스가 유동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10)와, 일단은 상기 몸체부(10)와 연결되고, 타단은 가스용기와 연결되는 가스용기연결부(20)와, 일단은 상기 몸체부(10)와 연결되고, 타단은 휘핑기와 연결되는 휘핑기연결부(30)와, 상기 몸체부(10)의 연통되어 상기 몸체부(10) 내부를 통과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40)와, 상기 몸체부(10)에서 상기 휘핑기연결부(30)로 가스가 이동하는 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 1차밸브(50)와, 상기 몸체부(10)에서 상기 휘핑기연결부(30)로 가스가 이동하는 경로에서 상기 제 1차밸브를 통과한 가스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 2차밸브(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인 아산화질소 공급장치에는 몸체부(10)가 마련된다. 상기 몸체부(10)는 본 발명인 아산화질소 공급장치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내부에 가스가 유동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하단은 가스용기와 연결되고, 좌측단은 휘핑기와 연결되고, 상단은 압력조절부(40)와 연결되고, 우측단은 안전부(70)와 연결되어 서로 가스인 아산화질소가 유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부(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는, 원기둥형상의 제 1공간(12a)과 상기 제 1공간(12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넓은 제 2공간(12b)이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외부파이프(12)와, 상기 제 1공간(12a)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내부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내부파이프(14)와, 상기 외부파이프(12)의 제 2공간(12b)과 연통되는 상기 내부파이프(14)의 제 3통공(14a)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 3핀(16)과, 상기 내부파이프(14)의 유로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3핀(16)을 제 3통공(14a)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3스프링(17)과, 상기 제 2공간(12b)의 상면을 차폐하는 판상의 차단판(18)과, 상기 제 3통공(14a)의 상단과 상기 차단판(18)의 사이에는 상기 제 3핀(16)의 상단을 하방으로 선택적으로 누를 수 있도록 구비되는 누름부(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에는 외부파이프(12)가 마련된다. 상기 외부파이프(12)는 상하로 관통된 파이프형상으로 내부에 원기둥형상의 제 1공간(12a)과 상기 제 1공간(12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넓은 제 2공간(12b)이 상기 제 1공간(12a)의 상방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부파이프(12) 내부에는 내부파이프(14)가 마련된다. 상기 내부파이프(14)는 상하로 관통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파이프(12)의 제 1공간(12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내부파이프(14)의 상단에는 상기 외부파이프(12)와 연통되는 제 3통공(14a)이 마련된다. 상기 제 3통공(14a)은 상기 내부파이프(14)의 내부 유로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부파이프(14)에는 제 3핀(16)이 마련된다. 상기 제 3핀(16)은 상기 내부파이프(14)의 유로 내부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하면, 상기 제 3통공(14a)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면서 가스인 아산화질소의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3핀(16)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제 3통공(14a)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원기둥으로 형성되고, 하단은 상기 내부파이프(14)의 내부 유로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3핀(16)의 상단과 하단은 원뿔형상의 경사진 부분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3핀(16)의 경사진 부분이 상기 제 3통공(14a)의 하단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 3통공(14a)을 차폐한다. 상기 제 3통공(14a)의 하단에는 수지재질의 링이 더 마련되어 상기 제 3핀(16)의 기밀성을 더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파이프(14)의 유로 내부에는 제 3스프링(17)이 마련된다. 상기 제 3스프링(17)은 상기 제 3핀(16)이 상기 제 3통공(16)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부(10)의 제 2공간(14b)의 상면에는 차단판(18)이 마련된다. 상기 차단판(18)은 상기 제 2공간(14b)의 상면을 차폐하여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3통공(14a)의 상단과 상기 차단판(18)의 사이에는 누름부(19)가 마련된다. 상기 누름부(19)는 상기 제 3핀(16)의 상단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 3통공(14a)의 열린 범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에는 가스용기연결부(20)가 마련된다. 상기 가스용기연결부(20)는, 상기 몸체부(10)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가스용기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용기의 가스가 상기 몸체부(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에는 휘핑기연결부(30)가 마련된다. 상기 휘핑기연결부(30)는 일단은 상기 몸체부(10)의 측면과 연통되고, 타단은 휘핑기와 연통되어 상기 몸체부(10) 내부의 가스가 상기 휘핑기로 유입되는 것을 안내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휘핑기연결부(30)와 상기 몸체부(10) 사이에는 제 1차밸브(50)와 제 2차밸브(6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차밸브(50)는 상기 몸체부(10)에서 상기 휘핑기연결부(30)로 가스가 이동하는 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차밸브(60)는 상기 몸체부(10)에서 상기 휘핑기연결부(30)로 가스가 이동하는 경로에서 상기 제 1차밸브(50)를 통과한 가스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차밸브(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차밸브(5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몸체부(10)와 연통되는 제 1파이프(52)와, 상기 제 1파이프(52)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마련되어 선단에 관통되는 제 1통공(54)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 1핀(56)과, 상기 제 1파이프(52)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1핀(56)이 상기 제 2파이프(62)와 연통되는 제 1통공(54)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1스프링(5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차밸브(50)에는 제 1파이프(5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파이프(52)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몸체부(10)와 연통되어 내부에 가스가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파이프(52)의 선단에는 제 1통공(54)이 형성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제 2파이프(62)와 연통되어 상기 제 2파이프(62)로 가스가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통공(54)에는 제 1핀(56)이 마련된다 상기 제 1핀(56)은 상기 제 1파이프(52)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 1통공(54)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핀(56)은 상기 제 3핀(16)과 유사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핀(56)은 상기 제 1파이프(52)의 유로 내부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하면, 상기 제 1통공(56)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면서 가스인 아산화질소의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핀(56)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제 1통공(54)에 대응되는 직경의 원기둥으로 형성되고, 하단은 상기 제 1통공(54)보다는 상대적으로 크고 상기 제 1파이프(52)의 내부 유로 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핀(56)의 상단과 하단은 원뿔형상의 경사진 부분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핀(56)의 경사진 부분이 상기 제 1통공(54)의 하단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 1통공(54)을 차폐한다. 상기 제 1통공(54)의 하단에는 수지재질의 링이 더 마련되어 상기 제 1핀(56)의 기밀성을 더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핀(56)의 상단에는 제 1홈(57)이 마련된다. 상기 제 1홈(57)은 상기 제 1핀(56)의 경사진 부분의 바로 위의 부분으로 상기 제 1핀(56)의 상단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통공(54)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홈(57)에는 제 1배출공(57a)이 형성되며, 상기 제 1배출공(57a)은 상기 제 1핀(56)의 선단까지 연통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 1배출공(57a)은 상기 제 1홈(57)으로 유입되는 가스가 상기 제 1배출공(57a)을 통하여 제 1핀(56)의 선단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파이프(52)의 유로 내부에는 제 1스프링(58)이 마련된다. 상기 제 1스프링(58)은 상기 제 1핀(56)이 상기 제 1통공(54)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차밸브(6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제 1파이프(52)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휘핑기연결부와 연통되는 제 2파이프(62)와, 상기 제 2파이프(62)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휘핑기연결부(30)와 연통되는 제 2통공(64)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 2핀(66)과, 상기 제 2파이프(62)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2핀(66)이 상기 휘핑기연결부(30)와 연통되는 제 2통공(64)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2스프링(68)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차밸브(60)에는 제 2파이프(62)가 마련된다. 상기 제 2파이프(62)는 일단이 상기 제 1파이프(52)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휘핑기연결부(30)와 연통된다.
상기 제 2파이프(62)와 상기 휘핑기연결부(30)의 유로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제 2통공(64)이 형성된다.
상기 제 2통공(64)에는 제 2핀(66)이 마련된다 상기 제 2핀(66)은 상기 제 2파이프(62)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 2통공(64)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핀(66)은 상기 제 3핀(16)과 유사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핀(66)은 상기 제 2파이프(62)의 유로 내부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하면, 상기 제 2통공(64)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면서 가스인 아산화질소의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핀(66)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제 2통공(64)에 대응되는 직경의 원기둥으로 형성되고, 하단은 상기 제 2통공(64)보다는 상대적으로 크고 상기 제 2파이프(62)의 내부 유로 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핀(66)의 하단의 단차진 부분이 상기 제 2통공(64)의 하단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 2통공(64)을 차폐한다. 상기 제 2통공(64)의 하단에는 수지재질의 링이 더 마련되어 상기 제 2핀(66)의 기밀성을 더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핀(66)의 상단에는 제 2배출공(66a)이 형성되며, 상기 제 2배출공(66a)의 일단은 상기 제 2핀(66)의 상단 측면을 관통하고, 상기 제 2배출공(66a)의 타단은 상기 제 2핀(66)의 선단까지 연통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 2배출공(66a)은 상기 제 2파이프(62) 내부의 가스가 상기 제 2배출공(66a)을 통하여 제 2핀(66)의 선단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핀(66)의 하단에는 제 1연결공(66b)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연결공(66b)은 일단이 상기 제 2핀(66)의 측면을 관통하여 타단이 상기 제 2핀(66)의 하단을 관통하여 연통되어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 1연결공(66b)은 제 1핀(56)과 밀착될 때, 상기 제 1핀(56)의 제 1배출공(57a)과 연통되어 상기 제 1배출공(57a)을 통해 유동되는 가스가 상기 제 2파이프(62)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파이프(62)의 유로 내부에는 제 2스프링(68)이 마련된다. 상기 제 2스프링(68)은 상기 제 2핀(66)이 상기 제 2통공(64)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핀(56)과 상기 제 2핀(66)은 서로 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핀(56)과 상기 제 2핀(66)이 각각 제 1스프링(58)과 제 2스프링(68)에 의하여 탄성지지될 때, 상기 제 1핀(56)의 상단과 상기 제 2핀(66)의 하단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휘핑기연결부(30)가 상기 제 2파이프(62)의 선단에 결합될 때, 상기 휘핑기연결부(30)의 일단이 상기 제 2핀(66)을 밀게 되면, 상기 제 2핀(66)이 상기 제 2파이프(62)의 유로 내부로 밀리면서 상기 제 2통공(64)이 개방되어 상기 제 2파이프(62)의 내부유로의 가스가 먼저 상기 휘핑기연결부(30)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휘핑기연결부(30)를 상기 제 2파이프(62)의 선단에 완전히 밀착시키면, 상기 휘핑기연결부(30)의 일단이 상기 제 2핀(66)을 완전하게 밀게 되고, 상기 제 2핀(66)의 하단이 상기 제 1핀(56)의 상단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 1핀(56)이 상기 제 1파이프(52)의 내부유로로 밀리면서 상기 제 1통공(54)이 개방되면서 상기 제 1파이프(52)의 내부유로의 가스가 상기 제 2파이프(62) 및 휘핑기연결부(30)의 내부유로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인 아산화질소 공급장치에는 압력조절부(40)가 마련된다. 상기 압력조절부(40)는, 상기 몸체부(10)와 연통되어 상기 몸체부(10) 내부를 통과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력조절부(4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상기 압력조절부(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형상으로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몸체부(10)의 상단과 연통되는 압력조절몸체부(42)와, 상기 압력조절몸체부(42)의 상단을 차폐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압력조절몸체부(42)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압력조절나사(44)와, 상기 압력조절몸체부(42)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압력조절나사(44)의 하부에 연결되어 연동되고 하단이 원뿔모양으로 돌출되는 제 1누름돌기(45)와, 원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누름돌기(45)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 1누름돌기(45)의 원뿔모양의 돌출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는 제 1연결판(46)과, 상기 몸체부(10)의 차단판(18)의 상부에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홈이 형성되는 제 2누름돌기(47)와, 원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연결판(46)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 2누름돌기(47)의 홈에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제 2연결판(48)과, 상기 제 1연결판(46)과 상기 제 2연결판(48)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 1연결판(46)과 상기 제 2연결판(48)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4스프링(49)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인 압력조절부(40)에는 압력조절몸체부(42)가 마련된다. 상기 압력조절몸체부(42)는 파이프 형상으로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몸체부(10)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압력조절몸체부(42)의 상단에는 압력조절나사(44)가 마련된다. 상기 압력조절나사(44)는 상기 압력조절몸체부(42)의 상단을 차폐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압력조절몸체부(42)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압력조절나사(44)의 하방에는 제 1누름돌기(45)가 마련된다. 상기 제 1누름돌기(45)는 상기 압력조절몸체부(42)의 내부유로를 따라 승하강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압력조절나사(44)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 1누름돌기(45)의 하단은 원뿔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누름돌기(45)의 하방에는 제 1연결판(46)이 마련된다. 상기 제 1연결판(46)은 원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누름돌기(45)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 1누름돌기(45)의 원뿔모양의 돌출에 대응되는 홈이 상면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1누름돌기(45)의 힘이 상기 제 1연결판(46)에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압력조절몸체부(42)의 내부유로의 하단에는 제 2누름돌기(47)가 마련된다. 상기 제 2누름돌기(47)는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의 차단판(18)의 상면에 위치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제 2연결판(48)의 힘을 전달받아 하방의 차단판(18)을 눌러 상기 누름부(19)가 하강하도록 힘을 전달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누름돌기(47)의 상부에는 제 2연결판(48)이 마련된다. 상기 제 2연결판(48)은 상기 압력조절몸체부(42) 내부의 유로에 원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연결판(46)의 하방에 마련되어, 하면에는 상기 제 2누름돌기(47)의 상면에 형성된 홈에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2연결판(48)의 힘이 상기 제 2누름돌기(47)에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 1연결판(46)과 상기 제 2연결판(48) 사이에는 제 4스프링(49)이 마련된다. 상기 제 4스프링(49)은 상기 제 1연결판(46)과 상기 제 2연결판(48)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는 안전부(70)가 더 마련된다. 상기 안전부(70)는 상기 몸체부(10) 내부유로의 가스가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몸체부(10) 내부의 가스압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안전부(7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부(70)는,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관통된 유로가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몸체부의 제 2공간(12b)과 연통되는 제 4통공(72a)이 형성되는 안전몸체부(72)와, 상기 몸체부(10)와 연결되는 제 4통공(72a)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판상의 안전판(74)과, 관통되는 배출공(76a)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몸체부(72)의 타단을 차폐하는 커버부(76)와, 상기 안전판(74)과 상기 커버부(76)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안전판(74)이 상기 제 4통공(72a)을 차폐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제 5스프링(78)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안전부(70)에는 안전몸체부(72)가 마련된다. 상기 안전몸체부(72)는 상기 안전부(70)의 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관통된 유로가 형성되며, 일단에 제 4통공(72a)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제 2공간(12b)과 연통된다.
상기 안전몸체부(72)의 내부 유로에는 안전판(74)이 마련된다. 상기 안전판(74)은 상기 제 4통공(72a)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전판(74)은 테프론 등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몸체부(72)의 관통된 내부유로의 타단에는 커버부(76)가 마련된다. 상기 커버부(76)는 상기 안전몸체부(72)의 내부유로의 타단을 차폐하며, 상기 커버부(76)에는 관통되는 배출공(76a)이 형성되어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유로에는 제 5스프링(78)이 마련된다. 상기 제 5스프링(78)은 상기 안전판(74)과 상기 커버부(76)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안전판(74)이 상기 제 4통공(72a)을 차폐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부(10) 내부의 가스압력이 갑자기 변하여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제 4통공(72a)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이 상기 안전판(74)을 밀어 제 4통공(72a)이 개방되어 그 부분으로 가스가 유입되고, 상기 안전몸체부(72) 내부로 유입된 가스는 배출공(76a)을 통하여 안전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몸체부 12: 외부파이프
12a: 제 1공간 12b: 제 2공간
14: 내부파이프 16: 제 3핀
18: 차단판 19: 누름부
20: 가스용기연결부 30: 휘핑기연결부
40: 압력조절부 42: 압력조절몸체부
44: 압력조절나사 45: 제 1누름돌기
46: 제 1연결판 47: 제 2누름돌기
48: 제 2연결판 49: 제 4스프링
50: 제 1차밸브 52: 제 1파이프
54: 제 1통공 56: 제 1핀
57: 제 1홈 57a: 제 1배출공
58: 제 1스프링 60: 제 2차밸브
62: 제 2파이프 64: 제 2통공
66: 제 2핀 66a: 제 2배출공
68: 제 2스프링 70: 안전부
72: 안전몸체부 74: 안전판
76: 커버부 78: 제 5스프링

Claims (5)

  1. 내부에 가스가 유동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일단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가스용기와 연결되는 가스용기연결부;
    일단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휘핑기와 연결되는 휘핑기연결부;
    상기 몸체부의 연통되어 상기 몸체부 내부를 통과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휘핑기연결부로 가스가 이동하는 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 1차밸브;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휘핑기연결부로 가스가 이동하는 경로에서 상기 제 1차밸브를 통과한 가스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 2차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 내부의 공간의 가스를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안전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안전부는,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관통된 유로가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몸체부의 제 2공간과 연통되는 제 4통공이 형성되는 안전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제 4통공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판상의 안전판과, 관통되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몸체부의 타단을 차폐하는 커버부와,
    상기 안전판과 상기 커버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안전판이 상기 제 4통공을 차폐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제 5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산화질소 공급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차밸브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몸체부와 연통되는 제 1파이프;
    상기 제 1파이프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마련되어 선단에 관통하는 제 1통공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 1핀;
    상기 제 1파이프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1핀이 상기 제 1통공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1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차밸브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제 1파이프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휘핑기연결부와 연통되는 제 2파이프;
    상기 제 2파이프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휘핑기연결부와 연통되는 제 2통공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 2핀;
    상기 제 2파이프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2핀이 상기 휘핑기연결부와 연통되는 제 2통공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2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산화질소 공급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원기둥형상의 제 1공간과 상기 제 1공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넓은 제 2공간이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외부파이프;
    상기 제 1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내부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내부파이프;
    상기 외부파이프의 제 2공간과 연통되는 상기 내부파이프의 제 3통공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 3핀;
    상기 내부파이프의 유로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3핀을 제 3통공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3스프링;
    상기 제 2공간의 상면을 차폐하는 판상의 차단판;
    상기 제 3통공의 상단과 상기 차단판의 사이에는 상기 제 3핀의 상단을 하방으로 선택적으로 누를 수 있도록 구비되는 누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산화질소 공급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는,
    파이프 형상으로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과 연통되는 압력조절몸체부;
    상기 압력조절몸체부의 상단을 차폐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압력조절몸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압력조절나사;
    상기 압력조절몸체부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압력조절나사의 하부에 연결되어 연동되고 하단이 원뿔모양으로 돌출되는 제 1누름돌기;
    원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누름돌기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 1누름돌기의 원뿔모양의 돌출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는 제 1연결판;
    상기 몸체부의 차단판의 상부에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홈이 형성되는 제 2누름돌기;
    원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연결판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 2누름돌기의 홈에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제 2연결판;
    상기 제 1연결판과 상기 제 2연결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 1연결판과 상기 제 2연결판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4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산화질소 공급 장치.

KR1020200111560A 2020-09-02 2020-09-02 아산화질소 공급장치 KR102306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560A KR102306560B1 (ko) 2020-09-02 2020-09-02 아산화질소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560A KR102306560B1 (ko) 2020-09-02 2020-09-02 아산화질소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560B1 true KR102306560B1 (ko) 2021-09-30

Family

ID=77920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560A KR102306560B1 (ko) 2020-09-02 2020-09-02 아산화질소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5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95Y1 (ko) * 2005-08-08 2005-11-15 김명환 가스안전 이중밸브
KR100753280B1 (ko) * 2006-12-04 2007-08-29 윤승찬 락킹-플레이트 씰 방식을 이용한 가스압력조정기
KR20140091930A (ko) 2013-01-14 2014-07-23 강정환 휘핑크림 제조기
KR20160147596A (ko) * 2015-06-15 2016-12-23 김청균 고압가스용 개폐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95Y1 (ko) * 2005-08-08 2005-11-15 김명환 가스안전 이중밸브
KR100753280B1 (ko) * 2006-12-04 2007-08-29 윤승찬 락킹-플레이트 씰 방식을 이용한 가스압력조정기
KR20140091930A (ko) 2013-01-14 2014-07-23 강정환 휘핑크림 제조기
KR20160147596A (ko) * 2015-06-15 2016-12-23 김청균 고압가스용 개폐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9043A (en) Automatic flow control and automatic shut off for intravenous feeders
EP1120498A2 (en) Device to deliver and mix water
GB2323657A (en) Pressure-reducing valve
KR102306560B1 (ko) 아산화질소 공급장치
US10040678B2 (en) Filling devices for filling machines for level filling of bottles and filling machines containing such devices
US4060202A (en) Valve for gas lighter
US6932318B2 (en) Flow control device
US3523005A (en) Gas lighter construction
DE3123751C3 (de) Gasbrenner für eine Kochplatte
JP2016140811A (ja) ノズル部材
US3277924A (en) Flow regulator particularly adapted for soft drink mixing and dispensing apparatus
KR20010081556A (ko) 가스압력 조정기
JP3484760B2 (ja) 充填バルブ
EP3718641A1 (en) Powder dispensing container
JP5993281B2 (ja) ビール注出コックの弁構造
KR101857773B1 (ko) 차압유량조절밸브
GB2066932A (en) Pressure regulator and safety valve assembly
US2396603A (en) Header for bottle filling machines
JP2018122897A (ja) 吐出器
JP6684256B2 (ja) ビール注出コック
US1888866A (en) Control means
CN107366773B (zh) 一种饮料机配料阀头
CN220249043U (zh) 一种可调节高精度压力平衡阀
US3610472A (en) Valve for simultaneously dispensing a plurality of fluids
US2664153A (en) Variable outlet gas bur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