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895B1 -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895B1
KR102305895B1 KR1020210058435A KR20210058435A KR102305895B1 KR 102305895 B1 KR102305895 B1 KR 102305895B1 KR 1020210058435 A KR1020210058435 A KR 1020210058435A KR 20210058435 A KR20210058435 A KR 20210058435A KR 102305895 B1 KR102305895 B1 KR 102305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lifting beam
shaft
counterweight
slu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화
Original Assignee
윤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화 filed Critical 윤병화
Priority to KR1020210058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05Lifting beam permitting to depose a load through an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는, 장방형의 바 형상으로 마련되는 수평빔과 수평빔의 양 끝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수직빔을 포함하는 리프팅빔, 리프팅빔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롤러, 리프팅빔의 중앙부에 마련되는 카운터웨이트, 카운터웨이트와 결합되는 와이어슬링, 카운터웨이트의 양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핀결합되는 링크, 링크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핀결합되는 후크부 및 후크부 회전 시, 회전된 상태가 지속되도록 후크부를 고정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 {LIFTING BEAM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HYDRAULIC GATE TRANSFER}
본 발명은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문을 저장고로부터 수로 상부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수로 내부로 하강시켜 수문이 수로를 차단시키게 하는 기능 및 수로 내부 하단에 장착된 수문을 수로 상부로 상승시켜 저장고까지의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문의 개폐 시, 수문 및 리프팅빔의 결합과 해제 기능이 호이스트의 상승과 하강에 의하여 자동으로 작동되게 하는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수문설비를 이용하여 운전 중인 댐, 방조제, 배수펌프장, 수처리 설비 및 취수설비 등에서 사용되는 수문 개폐용 리프팅 장치는 리프팅 장치를 수문 가까이 하강시켜, 리프팅 장치에 결합된 후크를 수문의 인상핀에 걸어 인상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리프팅 장치는 수문을 열고 닫을 때마다 작업자가 수문 위로 이동하여 수동으로 후크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도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자동으로 후크를 회전시켜 수문을 인상할 수 있는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9131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으로 후크를 회전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후크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수문을 인상할 수 있는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토퍼를 마련함으로써, 후크부를 오픈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는, 장방형의 바 형상으로 마련되는 수평빔과 수평빔의 양 끝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수직빔을 포함하는 리프팅빔, 리프팅빔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롤러, 리프팅빔의 중앙부에 마련되는 카운터웨이트, 카운터웨이트와 결합되는 와이어슬링, 카운터웨이트의 양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핀결합되는 링크, 링크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핀결합되는 후크부 및 후크부 회전 시, 회전된 상태가 지속되도록 후크부를 고정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리프팅빔은, 장방형의 바 형상으로 마련되는 수평빔, 수평빔의 양 끝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1 수직빔 및 제2 수직빔, 수평빔의 정면 중앙에 마련되며,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1 고정부, 제1 고정부 양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련되며,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2 고정부 및 수평빔 하부에 마련되고, 후크부의 회전 각도를 고정시키는 후크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카운터웨이트는, 기 설정된 무게를 가지는 웨이트몸체부, 제1 고정부를 관통하는 제1 샤프트, 웨이트몸체부 상부 중앙에 마련되는 원형홀, 제1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웨이트몸체부 중앙부에 마련되는 장공, 제1 샤프트 및 제1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제1 키플레이트 및 웨이트몸체부의 일단에 돌출되어 마련되되, 링크가 회동 가능하도록 핀결합되는 제1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후크부는, 제2 고정부를 관통하는 제2 샤프트, 제2 샤프트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샤프트홀이 마련되는 후크, 제2 샤프트 및 제2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제2 키플레이트, 후크와 연결되고, 기 설정된 두께와 기 설정된 거리를 갖는 제2 레버 및 후크와 연결되고, 링크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핀결합되는 제3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스토퍼부는, 장방형의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3 샤프트, 제3 샤프트의 양단 측면에 마련되고, 제3 샤프트를 리프팅빔에 고정시키는 브라켓, 제3 샤프트의 양단에 마련되고, 제3 샤프트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되며, 기 설정된 거리를 갖는 스토퍼 및 제3 샤프트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 및 구동제어부의 구동력을 인가하도록 제3 샤프트의 중앙부에 마련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례에 따른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는, 장방형의 바 형상으로 마련되는 수평빔, 수평빔의 양 끝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수직빔 및 수평빔의 하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수직지지대를 포함하는 리프팅빔, 리프팅빔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롤러, 리프팅빔에 마련되는 카운터웨이트, 카운터웨이트와 결합되는 와이어슬링, 카운터웨이트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핀결합되는 링크, 링크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핀결합되는 후크부 및 후크부 회전 시, 회전된 상태가 지속되도록 후크부를 고정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으로 후크를 회전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후크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수문을 인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토퍼를 마련함으로써, 후크부를 오픈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에 의한 후크부의 클로즈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에 의한 후크부의 오픈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리프팅빔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리프팅빔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카운터웨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후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스토퍼부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스토퍼부의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를 사용하여 수문을 개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를 사용하여 수문을 폐쇄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후크부가 수문러그핀에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례에 따른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례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례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인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100)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6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100)는 리프팅빔(110), 슬라이드롤러(120), 카운터웨이트(130), 와이어슬링(140), 링크(160), 후크부(170) 및 스토퍼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팅빔(110)은 장방형의 바 형상으로 마련되는 수평빔(112)과 상기 수평빔(112)의 양 끝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수직빔(1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빔(110)는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리프팅빔(110)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리프팅빔(11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리프팅빔(110)은 수평빔(112), 제1 수직빔(111-1), 제2 수직빔(111-2), 제1 고정부(113), 제2 고정부(114-1, 114-2) 및 후크스토퍼(115)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빔(112)은 장방형의 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빔(112)은 평행을 이루는 두 개의 바 형상이 이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는 상단 및 하단에 바깥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긴 플레이트(LP)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에 마련되는 긴 플레이트(LP)와 상기 하단에 마련되는 긴 플레이트(LP)는 기 설정된 거리의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짧은 플레이트(SP)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긴 플레이트(LP)와 상기 짧은 플레이트(SP)는 상기 바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제1 수직빔(111-1) 및 제2 수직빔(111-2)은 상기 수평빔(112)의 양 끝단에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빔(111)은 'H' 형상의 프레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13)는 상기 수평빔(112)의 정면 중앙에 마련되며,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을 통해 후술될 제1 샤프트(131)가 상기 수평빔(112)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고정부(114-1, 114-2)는 상기 제1 고정부(113) 양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련되며,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을 통해 후술될 제2 샤프트(171)가 상기 수평빔(112)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스토퍼(115)는 상기 수평빔(112)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후크부(170)의 회전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후크스토퍼(115)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상기 두 개 바의 각 하단을 연결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크스토퍼(115)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후크부(170) 회전 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 회전하지 않고, 기 설정된 범위 안에서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팅빔(110)은 리브(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브(116)는 상기 수직빔(111) 및 상기 수평빔(112)이 맞닿아 만들어내는 직각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브(116)는 삼각형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리브(116)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리프팅빔(110)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슬라이드롤러(120)는 상기 리프팅빔(11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카운터웨이트(130)는 상기 리프팅빔(110)의 정면 중앙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카운터웨이트(130)는 도 6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카운터웨이트(1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카운터웨이트(130)는 웨이트몸체부(136), 제1 샤프트(131), 원형홀(132), 장공(133), 제1 키플레이트(134) 및 제1 레버(135)를 포함할 수 있다.
웨이트몸체부(136)는 기 설정된 무게를 가지는 무게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웨이트몸체부(134)의 상부는 반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샤프트(131)는 상기 리프팅빔(110)의 상기 제1 고정부(113)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1 샤프트(131)가 상기 제1 고정부(113)에 관통됨으로써, 상기 카운터웨이트(130)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리프팅빔(110)과 결합될 수 있다.
원형홀(132)은 상기 웨이트몸체부(136) 상부 중앙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원형홀(132)이 마련됨으로써, 상기 와이어슬링(140)이 결합될 다른 홀을 구비하지 않고도, 상기 와이어슬링(140) 및 상기 카운터웨이트(13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슬링(140)이 결합될 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홀을 이용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장공(133)은 상기 제1 샤프트(131)가 관통되도록 상기 웨이트몸체부(136) 중앙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장공(133)이 원형홀이 아닌,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마련됨으로써, 상기 카운터웨이트(130)가 상기 리프팅빔(110)보다 넓은 범위로 상하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제1 키플레이트(134)는 상기 제1 샤프트(131) 및 상기 제1 고정부(11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키플레이트(134)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제1 샤프트(131)가 회전하지 않고, 제1 고정부(113)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레버(135)는 상기 웨이트몸체부(136)의 일단에 돌출되어 마련되되, 상기 링크(160)가 회동 가능하도록 핀결합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와이어슬링(140)은 상기 카운터웨이트(13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슬링(140)의 일단은 상기 카운터웨이트(130)와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슬링(140)의 타단은 갠트리 형식의 호이스트와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호이스트를 사용하여 상기 리프팅빔(110)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링크(160)는 상기 카운터웨이트(130)의 양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핀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링크(160)는 상기 카운터웨이트(130)의 상기 제1 레버(135)와 핀결합 될 수 있다.
후크부(170)는 상기 링크(160)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핀결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상기 후크부(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대칭 형상으로 마련되어, 복동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170)는 도 7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후크부(17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후크부(170)는 제2 샤프트(171), 후크(172), 제2 키플레이트(173), 제2 레버(174) 및 제3 레버(1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샤프트(171)는 상기 제2 고정부(114)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2 샤프트(171)가 상기 제2 고정부(114)에 관통됨으로써, 상기 후크부(170)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리프팅빔(110)과 결합될 수 있다.
후크(172)는 상기 제2 샤프트(171)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샤프트홀(176)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크(17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홀(176)이 구비된 원형판에 갈고리 모양 플레이트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172)는 수문(S)에 마련된 수문러그핀(210)에 체결되어 상기 수문(S)을 인상시킬 수 있다.
제2 키플레이트(173)는 상기 제2 샤프트(171) 및 상기 제2 고정부(114)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키플레이트(173)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제2 샤프트(171)가 상기 후크(172)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제2 고정부(114)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레버(174)는 상기 후크(172)와 연결되고, 기 설정된 두께와 기 설정된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제3 레버(175)는 상기 후크(172)와 연결되고, 상기 링크(160)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핀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172), 제2 레버(174) 및 제3 레버(175)는 일체의 부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크(172), 제2 레버(174) 및 제3 레버(175)가 일체의 부품으로 마련됨으로써, 상기 제3 레버(175)에 핀결합되는 상기 링크(16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후크부(170) 전체가 상기 제2 샤프트(171)를 중심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스토퍼부(180)는 상기 후크부(170) 회전 시, 회전된 상태가 지속되도록 상기 후크부(17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180)는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스토퍼부(180)의 정면도이고, 도 9는 스토퍼부(180)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스토퍼부(180)는 제3 샤프트, 브라켓(182), 스토퍼(183), 구동제어부(184) 및 연결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샤프트(181)는 장방형의 막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182)은 상기 제3 샤프트(181)의 양단 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3 샤프트(181)를 상기 리프팅빔(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브라켓(182)은 상기 리프팅빔(110)에 고정될 수 있다.
스토퍼(183)는 상기 제3 샤프트(181)의 양단에 마련되고, 상기 제3 샤프트(18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연결부(185)는 구동제어부(184)가 연결되어 상기 제3 샤프트(18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샤프트(181)의 중앙에 고정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구동제어부(184)에서 입력을 주면, 상기 제3 샤프트(181)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동제어부(18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윈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핸드윈치를 작업자가 작동시키면, 상기 핸드윈치에 연결된 연결부(185)가 잡아당겨져, 상기 제3 샤프트(181) 및 상기 제3 샤프트(181)에 고정된 상기 스토퍼(183)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제어부(184)는 전자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구동제어부(184)에 마련되는 버튼을 누르면, 연결된 상기 연결부(185), 상기 제3 샤프트(181) 및 상기 스토퍼(183)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170)가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클로즈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부(180)가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183)는 잠금 대기 상태가 된다. 상기 잠금 대기 상태란, 상기 스토퍼(183)의 끝단이 후크부(170)에 구비된 제2 레버(174) 상단에 맞닿아 안착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후크부(170)가 회전되어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부(180)가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183)는 잠금 상태가 된다. 상기 잠금 상태는 상기 스토퍼(183)가 상기 리프팅빔(110) 상면으로 안착되어 상기 제2 레버(174)의 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후크부(170)가 오픈 상태에서 다시 클로즈 상태로 돌아가지 못하게 고정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스토퍼부(180)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후크부(170)가 오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170)의 오픈 및 클로즈 상태는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에 의한 후크부(170)의 클로즈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에 의한 후크부(170)의 오픈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카운터웨이트(130)가 상승하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130)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160)가 상승하여 상기 후크부(170)가 클로즈 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카운터웨이트(130)가 하강하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130)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160)가 하강하여 상기 후크부(170)가 오픈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인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100)를 사용하여 수문을 개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100)를 사용하여 수문(S)을 개방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100)를 호이스트를 사용해 하강시킬 수 있다.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100)를 후크(172)와 수문(S)에 마련되는 수문러그핀(210)에 닿을 때까지 하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100)를 리프팅빔(110)의 하단이 수문(S)의 상단 높이인 C라인까지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리프팅빔(110)의 하단이 상기 수문(S)의 상단에 닿아 더 이상 하강할 수 없게되면, 카운터웨이트(130)만 하강할 수 있다. 도 10의 제1 샤프트(131)가 상기 카운터웨이트(130)의 장공(133) 하단에 위치한 것과 달리, 도 11에서는 상기 제1샤프트(131)가 상기 장공(133)의 상단으로 이동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카운터웨이트(130)는 상기 장공(133)의 길이만큼만 더 하강할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운터웨이트(130)의 하단이 B라인에 닿게 된다.
상기 카운터웨이트(130)가 하강하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130)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160)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링크(1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링크(160)의 끝단이 하강하여, 상기 링크(160) 끝단에 연결된 상기 후크(172)의 제3 레버(175)의 끝단이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제3 레버(175) 끝단이 하강하면서 상기 후크(172)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후크(172) 하단의 경사진 부분이 상기 수문러그핀(210) 바깥쪽으로 미끄러지면서 상기 후크(172)가 오픈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100)를 다시 상승시킬 수 있다. 먼저, 상기 카운터웨이트(130)가 상승하여, 다시 제1 샤프트(131)의 위치가 상기 장공(133)의 하단에 위치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카운터웨이트(130)가 상승함과 동시에, 그와 연결된 상기 링크(160)도 상승하면서, 상기 링크(160)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3 레버(175)의 끝단도 다시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제3 레버(175) 끝단이 상승하면서 상기 후크(172)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장공(133)의 하단부가 A라인까지 상승하게되면 회전된 상기 후크(172)는 수문러그핀(210)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끝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100)를 계속 상승시키면, 상기 수문러그핀(210) 하단에 위치하던 상기 후크(172)가 상승하여, 상기 수문러그핀(21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후크(172)가 오픈되어 상기 수문러그핀(210)에 체결되는 과정을 도 19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후크(172)와 상기 수문러그핀(210)이 체결됨에 따라, 상기 수문(S)도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100)와 함께 상승하여, 상기 수문(S)을 개방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100)를 사용하여 수문을 폐쇄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100)를 사용하여 수문(S)을 폐쇄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72)가 수문러그핀(210)에 체결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구동제어부(184)에 입력을 줄 수 있다.
상기 구동제어부(184)가 입력을 받으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83)가 회전하여 잠금 대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잠금 대기 상태란, 상기 스토퍼(183)의 끝단이 후크부(170)에 구비된 제2 레버(174) 상단에 맞닿아 안착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스토퍼(183)를 잠금 대기 상태로 두고, 호이스트를 사용해 수문(S) 및 상기 수문(S)이 체결된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100)를 수로 상부 위로 이동시킨 후, 수로 내부 하단까지 하강시킬 수 있다.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100)를 상기 수문(S)이 수로 내부 바닥에 닿을 때까지 하강시켜 상기 수문(S)이 바닥에 닿으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문(S)은 하강을 멈추고,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100)만 리프팅빔(110)의 하면이 상기 수문(S)의 상면인 C라인에 닿을 때까지 더 하강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빔(110)의 하면이 상기 수문(S)의 상면에 닿으면, 상기 리프팅빔(110)은 하강을 멈추고, 상기 카운터웨이트(130)만 하강할 수 있다.
도 16의 제1 샤프트(131)가 상기 카운터웨이트(130)의 장공(133) 하단에 위치한 것과 달리, 도 17에서는 상기 제1샤프트(131)가 상기 장공(133)의 상단으로 이동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카운터웨이트(130)는 상기 장공(133)의 길이만큼만 더 하강할 수 있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운터웨이트(130)의 하단이 B라인에 닿게 된다.
상기 카운터웨이트(130)가 하강하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130)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160)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링크(1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링크(160)의 끝단이 하강하여, 상기 링크(160) 끝단에 연결된 상기 후크(172)의 제3 레버(175)의 끝단이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제3 레버(175) 끝단이 하강하면서 상기 후크(172)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후크(172) 하단의 경사진 부분이 상기 수문러그핀(210) 바깥쪽으로 미끄러지면서 상기 후크(172)가 오픈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크(172)가 오픈되면서, 상기 제1 레버(174)도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1 레버(174) 상단에 맞닿아 안착되어있던 상기 스토퍼(183)가 지지할 곳을 잃고 상기 리프팅빔(110) 상면으로 안착되어 잠금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잠금 상태는 상기 스토퍼(183)가 상기 리프팅빔(110) 상면으로 안착되어 상기 제2 레버(174)의 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후크부(170)가 오픈 상태에서 다시 클로즈 상태로 돌아가지 못하게 고정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끝으로, 상기 후크부(170)가 오픈된 상태로 호이스트를 작동시켜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100)를 상승시키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문(S)은 폐쇄된 상태로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100)만 상승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례에 따른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100)는 도 20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례에 따른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 장치(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례에 따른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 장치(100)의 후크부(170)는 복동형이 아닌 단동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단동형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 장치(100)는 리프팅빔(110), 슬라이드롤러(120), 카운터웨이트(130), 와이어슬링(140), 링크(160), 후크부(170) 및 스토퍼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팅빔(110)은 복동형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 장치(100)의 리프팅빔(110)과 같이 장방형의 바 형상으로 마련되는 수평빔(112)과 상기 수평빔(112)의 양 끝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수직빔(111)을 포함하고, 복동형과는 다르게 상기 수평빔(112)의 하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수직지지대(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대(117)는 상기 수평빔(112) 하부 중앙에서 기 설정된 거리만큼 대칭 이격된 제1 수직지지대(117-1) 및 제2 수직지지대(117-2)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복동형과 다르게 상기 수평빔(112)의 제1 고정부(113)는 중앙에서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거리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복동형과 다르게 상기 수평빔(112)의 제2 고정부(114)는 상기 수평빔(112)의 정중앙에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드롤러(120)는 상기 리프팅빔(11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카운터웨이트(130)는 상기 리프팅빔(110)에 중앙에 결합되는 복동형과 다르게, 상기 리프팅빔(110)의 중앙에서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거리에 마련되는 제1 고정부(11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카운터웨이트(130)의 제1 레버(135)는 상기 카운터웨이트(130) 양측면에 마련되는 복동형과 다르게, 일측면에만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슬링(140)은 상기 카운터웨이트(130)와 결합될 수 있다.
링크(160)는 상기 카운터웨이트(130)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핀결합될 수 있다.
후크부(170)는 상기 링크(160)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핀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170)는 복동형과 다르게 상기 리프팅빔(110) 정중앙에 마련되는 제2 고정부(114)에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부(180)는 상기 후크부(170) 회전 시, 회전된 상태가 지속되도록 상기 후크부(17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180)의 스토퍼(183)는 제3 샤프트(181)의 양단에 마련되는 복동형과 달리 일단에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단동형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 장치(100)의 동작은 상기 복동형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 장치(100)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르면, 자동으로 후크를 회전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후크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수문을 인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토퍼를 마련함으로써, 후크부를 오픈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
110: 리프팅빔
111: 수직빔
111-1: 제1 수직빔
111-2: 제2 수직빔
112: 수평빔
113: 제1 고정부
114: 제2 고정부
115: 후크스토퍼
116: 리브
117: 수직지지대
117-1: 제1 수직지지대
117-2: 제2 수직지지대
120: 슬라이드롤러
130: 카운터웨이트
131: 제1 샤프트
132: 원형홀
133: 장공
134: 제1 키플레이트
135: 제1 레버
136: 웨이트몸체부
140: 와이어슬링
160: 링크
170: 후크부
171: 제2 샤프트
172: 후크
173: 제2 키플레이트
174: 제2 레버
175: 제3 레버
176: 샤프트홀
180: 스토퍼부
181: 제3 샤프트
182: 브라켓
183: 스토퍼
184: 구동제어부
185: 연결부
210: 수문러그핀
S: 수문

Claims (6)

  1. 장방형의 바 형상으로 마련되는 수평빔(112)과 상기 수평빔(112)의 양 끝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수직빔(111)을 포함하는 리프팅빔(110);
    상기 리프팅빔(11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롤러(120);
    상기 리프팅빔(110)의 중앙부에 마련되는 카운터웨이트(130);
    상기 카운터웨이트(130)와 결합되는 와이어슬링(140);
    상기 카운터웨이트(130)의 양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핀결합되는 링크(160);
    상기 링크(160)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핀결합되는 후크부(170); 및
    상기 후크부(170) 회전 시, 회전된 상태가 지속되도록 상기 후크부(170)를 고정하는 스토퍼부(180);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빔(110)은,
    장방형의 바 형상으로 마련되는 수평빔(112);
    상기 수평빔(112)의 양 끝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1 수직빔(111-1) 및 제2 수직빔(111-2);
    상기 수평빔(112)의 정면 중앙에 마련되며,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1 고정부(113);
    상기 제1 고정부(113) 양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련되며,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2 고정부(114-1, 114-2); 및
    상기 수평빔(112)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후크부(170)의 회전 각도를 고정시키는 후크스토퍼(115);
    를 포함하는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130)는,
    기 설정된 무게를 가지는 웨이트몸체부(136);
    상기 제1 고정부(113)를 관통하는 제1 샤프트(131);
    상기 웨이트몸체부(136) 상부 중앙에 마련되는 원형홀(132);
    상기 제1 샤프트(131)가 관통되도록 상기 웨이트몸체부(136) 중앙부에 마련되는 장공(133);
    상기 제1 샤프트(131) 및 상기 제1 고정부(113)를 고정시키는 제1 키플레이트(134); 및
    상기 웨이트몸체부(136)의 일단에 돌출되어 마련되되, 상기 링크(160)가 회동 가능하도록 핀결합되는 제1 레버(135);
    를 포함하는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170)는,
    상기 제2 고정부(114)를 관통하는 제2 샤프트(171);
    상기 제2 샤프트(171)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샤프트홀(176)이 마련되는 후크(172);
    상기 제2 샤프트(171) 및 상기 제2 고정부(114)를 고정시키는 제2 키플레이트(173);
    상기 후크(172)와 연결되고, 기 설정된 두께와 기 설정된 거리를 갖는 제2 레버(174); 및
    상기 후크(172)와 연결되고, 상기 링크(160)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핀결합되는 제3 레버(175);
    를 포함하는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180)는,
    장방형의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3 샤프트(181);
    상기 제3 샤프트(181)의 양단 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3 샤프트(181)를 상기 리프팅빔(110)에 고정시키는 브라켓(182);
    상기 제3 샤프트(181)의 양단에 마련되고, 상기 제3 샤프트(18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되며, 기 설정된 거리를 갖는 스토퍼(183);
    상기 제3 샤프트(181)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184); 및
    상기 구동제어부(184)의 구동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3 샤프트(181)에 중앙부에 마련되는 연결부(185);
    를 포함하는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
  6. 장방형의 바 형상으로 마련되는 수평빔(112), 상기 수평빔(112)의 양 끝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수직빔(111) 및 상기 수평빔(112)의 하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수직지지대(117)를 포함하는 리프팅빔(110);
    상기 리프팅빔(11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롤러(120);
    상기 리프팅빔(110)에 마련되는 카운터웨이트(130);
    상기 카운터웨이트(130)와 결합되는 와이어슬링(140);
    상기 카운터웨이트(130)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핀결합되는 링크(160);
    상기 링크(160)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핀결합되는 후크부(170); 및
    상기 후크부(170) 회전 시, 회전된 상태가 지속되도록 상기 후크부(170)를 고정하는 스토퍼부(180);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빔(110)은,
    장방형의 바 형상으로 마련되는 수평빔(112);
    상기 수평빔(112)의 양 끝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1 수직빔(111-1) 및 제2 수직빔(111-2);
    상기 수평빔(112)의 정면에 마련되며,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1 고정부(113);
    상기 제1 고정부(113) 일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련되며,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2 고정부(114); 및
    상기 수평빔(112)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후크부(170)의 회전 각도를 고정시키는 후크스토퍼(115);
    를 포함하는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
KR1020210058435A 2021-05-06 2021-05-06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 KR102305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435A KR102305895B1 (ko) 2021-05-06 2021-05-06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435A KR102305895B1 (ko) 2021-05-06 2021-05-06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5895B1 true KR102305895B1 (ko) 2021-09-27

Family

ID=77925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435A KR102305895B1 (ko) 2021-05-06 2021-05-06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7045A1 (zh) * 2022-08-15 2024-02-22 中国长江电力股份有限公司 水电站分层取水生态调度叠梁门提落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2585A (ja) * 1996-01-25 1997-08-05 Atex Co Ltd クランプ装置
KR20010098424A (ko) * 2001-03-26 2001-11-08 방극진 수문 인상장치
KR100491315B1 (ko) 2002-04-18 2005-05-24 장성권 수문용 권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2585A (ja) * 1996-01-25 1997-08-05 Atex Co Ltd クランプ装置
KR20010098424A (ko) * 2001-03-26 2001-11-08 방극진 수문 인상장치
KR100491315B1 (ko) 2002-04-18 2005-05-24 장성권 수문용 권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7045A1 (zh) * 2022-08-15 2024-02-22 中国长江电力股份有限公司 水电站分层取水生态调度叠梁门提落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1280A (en) Bi-elevational platform lift
US2804979A (en) Portable lifting apparatus
US4056203A (en) Platform lift
KR102305895B1 (ko) 수문 이송용 리프팅빔 개폐장치
US3656631A (en) Self-lifting crane
US2106878A (en) Portable elevator
US3111232A (en) Jack for light fixtures
KR100661598B1 (ko)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의 버켓 클램핑 장치
JPH09170599A (ja) 液中で作動する機械ユニットの操作装置
US3666053A (en) Vehicle lift
KR101046404B1 (ko) 유압식 수문의 권양 장치
KR100917405B1 (ko) 차폐룸 입구용 승강장치
JPH01299188A (ja) 吊上げフレーム
US1684607A (en) Hoist
KR100460334B1 (ko) 수문 인상장치
US1356008A (en) Excavating apparatus
KR200398254Y1 (ko)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의 버켓 클램핑 장치
CN217921087U (zh) 一种起重机用多瓣式异步抓斗
US3150389A (en) Boat lift
KR100217546B1 (ko) 지게차를 이용한 승강장치
US2324699A (en) Automatic latch
US1905427A (en) Lifting device
JPH108444A (ja) 水門扉の開閉装置
US1019327A (en) Contractor's elevator.
US950250A (en) Ash-li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