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439B1 - 보안성을 높인 ar카드 및 이를 이용한 ar콘텐츠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안성을 높인 ar카드 및 이를 이용한 ar콘텐츠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439B1
KR102305439B1 KR1020190102215A KR20190102215A KR102305439B1 KR 102305439 B1 KR102305439 B1 KR 102305439B1 KR 1020190102215 A KR1020190102215 A KR 1020190102215A KR 20190102215 A KR20190102215 A KR 20190102215A KR 102305439 B1 KR102305439 B1 KR 102305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rd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2884A (ko
Inventor
김태진
이정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90102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4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22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olo Graphy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R카드의 위변조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위변조로 인한 저작권 침해, 제작자의 경제적 손실 등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공정한 수익구조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방식의 인증수단인 NFC 및 홀로그램들을 이용하여 정품인증을 수행하되, NFC 및 홀로그램들의 정품인증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호 관계성을 이용하여 정품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위변조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보안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고, AR 어플리케이션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하여 AR카드의 태그정보를 판독한 후, 태그정보의 카드식별정보를 기 설정된 등록리스트와 비교하여 제1 정품인증을 수행함으로써 AR카드의 정품인증의 신뢰도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으며, AR카드에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복수개의 홀로그램들이 형성됨과 동시에 해당 각 홀로그램의 패턴정보가 NFC 칩에 기 설정되어 저장되고, AR 어플리케이션이 촬영에 의해 획득된 홀로그램 이미지를 판독하여 각 홀로그램의 패턴을 검출한 후, 검출된 패턴정보를 태그정보의 패턴정보와 비교하여 제2 정품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AR카드의 보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AR카드 및 이를 이용한 AR콘텐츠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안성을 높인 AR카드 및 이를 이용한 AR콘텐츠 제공시스템{AR card for enhancing security and system for providing AR contents therewith}
본 발명은 보안성을 높인 AR카드 및 이를 이용한 AR콘텐츠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서로 다른 방식의 인증수단인 NFC 및 홀로그램을 융합하여 AR카드의 위변조를 방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안성을 높임과 동시에 AR카드의 관리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AR카드 및 이를 이용한 AR콘텐츠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은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3차원 가상 이미지 또는 콘텐츠를 합성시켜 전용 단말기 또는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합성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기술이다.
특히 AR 카드는 해당 카드를 소지(구매)한 사용자의 단말기에 AR 콘텐츠가 전시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User)의 흥미 및 관심을 쉽게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정보전달력 및 오락성이 우수한 장점으로 인해 교육, 게임, 검색, 정보제공 등의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공연장에서 출연진, 공연, 안무 및 뮤직비디오 등의 정보를 AR콘텐츠로 제공하기 위한 AR카드가 제작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위변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AR 카드를 제작하여 판매 또는 공급한다고 하더라도, 종래의 AR 카드에는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보안기술이 취약하기 때문에 위변조로 인한 저작권 침해, 제작자의 경제적 손실 등의 피해가 발생하여 AR 카드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고, 이러한 방안 중 하나로서 홀로그램이 사용되고 있다.
홀로그램(Hologram)이란 두 개의 레이저광이 서로 만나 일으키는 빛의 간섭효과를 이용하여 2차원 평면의 필름에 3차원 이미지를 기록한 것을 의미하며, 플라스틱 필름에 구현된 후 필름을 피착체에 직접 부착하거나 전사하는 방법으로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홀로그램은 식별성은 우수하나, 위변조에 취약한 단점을 갖기 때문에 홀로그램 자체의 위변조가 이루어지는 경우, 이를 방지할 수 없어 보안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923503호(발명의 명칭 : 코드화된 패턴을 이용한 보안필름과 그 검출 장치)에 개시된 보안필름 및 검출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의 보안필름(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은 베이스기판의 일면 또는 양면 각각에 형성된 복수개의 코드화된 패턴(101)들을 포함한다.
또한 코드화된 패턴(101)들은 검출 장치(130)에 의해 검출 가능한 기준 크기보다 1배 이하 축소 배율의 작은 크기로 물류 제품(120)의 여러 곳에 배치된다.
이때 코드화된 패턴(101)들은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 홀로그램, 1차원 바코드, QR코드, 2차원 바코드,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검출 장치(130)는 코드화된 패턴(101)들을 확대 및 증폭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31)에 이를 디코딩 및 전시함으로써 물류 제품(120)의 생산이력, 유통경로, 진위여부 등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확인 및 추적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코드화된 패턴(101)의 상면 또는 베이스필름의 일면에 홀로그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정품인증을 위한 수단이 형성됨으로써 물류 제품의 높은 보안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코드화된 패턴(101)을 구성하는 정품인증 수단이 위변조에 취약하기 때문에 코드화된 패턴(101)들 자체의 위변조가 이루어지는 경우, 이에 대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즉 종래기술(100)은 물류 제품(120)의 표면에 복수개의 코드화된 패턴(101)들이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복수개의 코드화된 패턴(101)들의 위변조가 이루어지는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 및 방법이 전혀 기재되지 않았기 때문에 보안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100)을 AR카드에 적용한다고 하더라도, 코드화된 패턴(101)들의 위변조가 이루어지는 경우, AR카드를 구매하지 않은 사용자들로 손쉽게 AR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서로 다른 방식의 인증수단인 NFC 및 홀로그램들을 이용하여 정품인증을 수행하되, NFC 및 홀로그램들의 정품인증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호 관계성을 이용하여 정품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위변조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보안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AR카드 및 이를 이용한 AR콘텐츠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AR 어플리케이션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하여 AR카드의 태그정보를 판독한 후, 태그정보의 카드식별정보를 기 설정된 등록리스트와 비교하여 제1 정품인증을 수행함으로써 AR카드의 정품인증의 신뢰도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AR카드 및 이를 이용한 AR콘텐츠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AR카드에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복수개의 홀로그램들이 형성됨과 동시에 해당 각 홀로그램의 패턴정보가 NFC 칩에 기 설정되어 저장되고, AR 어플리케이션이 촬영에 의해 획득된 홀로그램 이미지를 판독하여 각 홀로그램의 패턴을 검출한 후, 검출된 패턴정보를 태그정보의 패턴정보와 비교하여 제2 정품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AR카드의 보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AR카드 및 이를 이용한 AR콘텐츠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AR카드에 서로 다른 위치를 갖는 복수개의 홀로그램들이 형성됨과 동시에 해당 각 홀로그램의 위치정보가 NFC 칩에 기 설정되어 저장되고, AR 어플리케이션이 촬영에 의해 획득된 홀로그램 이미지를 판독하여 각 홀로그램의 위치를 검출한 후, 검출된 위치정보를 태그정보의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제2 정품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AR카드의 보안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AR카드 및 이를 이용한 AR콘텐츠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기 제작된 AR콘텐츠들과, 상기 AR콘텐츠들 각각의 카드 식별정보, 상기 카드 식별정보들의 리스트인 등록리스트가 기 설정되어 저장되는 AR서비스 관리서버; NFC 통신모듈 및 카메라를 포함하며, AR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AR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기; 외면에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복수개의 정품인증수단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 표시되고, 카드식별정보와 상기 정품인증수단들 각각의 패턴특징정보들, 상기 정품인증수단들 각각의 좌표정보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들이 태그정보로 저장되는 NFC칩을 포함하는 AR카드를 포함하고, 상기 AR 어플리케이션은 실행 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NFC 통신모듈을 활성화 시키는 근거리통신 활성화모듈; 상기 근거리통신 활성화모듈에 의해 접속된 AR카드의 태그정보를 판독한 후, 태그정보에 포함된 카드 식별정보를 상기 AR서비스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등록리스트와 비교하여 제1 인증을 수행하는 제1 인증모듈; 상기 AR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인증모듈에 의해 인증이 이루어질 때 동작하는 제2 인증모듈; 상기 제2 인증모듈에 의해 인증이 이루어질 때 동작하며, 인증된 상기 AR카드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요청데이터를 상기 AR서비스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AR서비스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AR콘텐츠를 수신 받으면, 수신 받은 AR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AR콘텐츠 관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증모듈은 상기 AR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인증모듈에 의해 인증이 성공할 때 실행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AR카드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모듈; 상기 촬영모듈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의 정품인증수단 이미지들을 분석 및 판독하는 정품인증수단 판독모듈; 상기 정품인증수단 판독모듈에 의해 판독된 각 정품인증수단을 분석하여 각 정품인증수단의 특징패턴을 검출하는 특징패턴 검출모듈; 상기 정품인증수단 판독모듈에 의해 판독된 정품인증수단 이미지들을 분석하여 각 정품인증수단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위치정보 검출모듈; 상기 특징패턴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특징패턴들을 상기 제1 인증모듈에 의해 판독된 태그정보의 특징패턴정보들과 각각 비교하며, 상기 위치정보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위치정보들을 상기 제1 인증모듈에 의해 판독된 태그정보의 위치정보들과 각각 비교하는 비교모듈; 상기 비교모듈에서 상기 특징패턴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특징패턴들 및 상기 제1 인증모듈에 의해 판독된 태그정보의 특징패턴정보들이 일치함과 동시에 상기 위치정보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위치정보들을 상기 제1 인증모듈에 의해 판독된 태그정보의 위치정보들이 일치할 때, 제2 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판별하는 패턴 인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태그정보에는 상기 정품인증수단들 각각의 좌표정보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들이 포함되고, 상기 위치정보는 해당 정품인증수단의 기 설정된 방식에 따른 위치인 기준점을 기준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인증모듈은 상기 정품인증수단 판독모듈 이후에 동작하며, 상기 정품인증수단 판독모듈에 의해 판독된 정품인증수단 이미지들을 분석하여 각 정품인증수단의 기준점을 검출하는 패턴 기준점 검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 검출모듈은 상기 패턴 기준점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기준점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AR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인증모듈을 통해 상기 AR서비스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제1 인증을 수행하되, 상기 제2 인증모듈을 통해 상기 AR서비스 관리서버와 연동하지 않고 제2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정품인증수단은 홀로그램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AR카드의 위변조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위변조로 인한 저작권 침해, 제작자의 경제적 손실 등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공정한 수익구조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방식의 인증수단인 NFC 및 홀로그램들을 이용하여 정품인증을 수행하되, NFC 및 홀로그램들의 정품인증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호 관계성을 이용하여 정품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위변조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보안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AR 어플리케이션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하여 AR카드의 태그정보를 판독한 후, 태그정보의 카드식별정보를 기 설정된 등록리스트와 비교하여 제1 정품인증을 수행함으로써 AR카드의 정품인증의 신뢰도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AR카드에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복수개의 홀로그램들이 형성됨과 동시에 해당 각 홀로그램의 패턴정보가 NFC 칩에 기 설정되어 저장되고, AR 어플리케이션이 촬영에 의해 획득된 홀로그램 이미지를 판독하여 각 홀로그램의 패턴을 검출한 후, 검출된 패턴정보를 태그정보의 패턴정보와 비교하여 제2 정품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AR카드의 보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AR카드에 서로 다른 위치를 갖는 복수개의 홀로그램들이 형성됨과 동시에 해당 각 홀로그램의 위치정보가 NFC 칩에 기 설정되어 저장되고, AR 어플리케이션이 촬영에 의해 획득된 홀로그램 이미지를 판독하여 각 홀로그램의 위치를 검출한 후, 검출된 위치정보를 태그정보의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제2 정품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AR카드의 보안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923503호(발명의 명칭 : 코드화된 패턴을 이용한 보안필름과 그 검출 장치)에 개시된 보안필름 및 검출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AR콘텐츠 제공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AR카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AR카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AR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제1 인증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제2 인증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비교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AR콘텐츠 제공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AR콘텐츠 제공시스템(1)은 1)AR카드(5) 및 AR 어플리케이션(3)을 이용하여 AR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4)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함과 동시에 2)AR카드(5)의 위변조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보안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AR콘텐츠 제공시스템(1)은 사용자에게 판매/지급되는 AR카드(5)와, 사용자(User)가 소지한 단말기인 사용자 단말기(4)와, 사용자 단말기(4)에 설치되어 AR카드(5)의 위변조를 판별하여 정품인증 시 사용자 단말기(4)에 기 제작된 AR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AR 어플리케이션(3)과, AR 어플리케이션(3) 및 AR카드(5)를 관리 및 제어하며 AR서비스를 제공하는 AR서비스 관리서버(7)와, AR서비스 관리서버(7), 사용자 단말기(4) 및 AR카드(5)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10)과, AR카드(5) 및 사용자 단말기(4)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망(20)으로 이루어진다.
통신망(10)은 접속된 AR서비스 관리서버(7), 사용자 단말기(4) 및 AR카드(5)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며, 상세하게로는 광역통신망(WAN), 이동통신망, 유선통신망, 데이터통신망, LTE, 3G, 4G, 5G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망(20)은 AR카드(5) 및 사용자 단말기(4)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며, 상세하게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기(4)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이며, 상세하게로는 데스크톱-PC(Desktop-PC), 노트북(Notebool), 태블릿PC(Tablet PC), 스마트폰(Smart-phone), PDA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4)에는 후술되는 도 6의 AR 어플리케이션(3)이 설치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4)는 AR 어플리케이션(3)의 제어에 따라 AR서비스 관리서버(7)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41)와, AR 어플리케이션(3)에서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익스피어런스(GUX, Graphic User Experience)들이 디스플레이 되는 모니터(42)와,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43)와, 통신망(10)에 접속하여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모듈(44)과, 근거리 통신망(20)에 접속하여 AR카드(5)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모듈(45)과, 사용자 단말기(4)의 O.S(Operating System)를 담당하는 제어모듈(46)과, AR 어플리케이션(3)과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연동모듈(47)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2의 AR카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4의 AR카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AR카드(5)는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정보가 저장되는 NFC칩(51)과, AR카드(5)의 외면에 표시되어 AR콘텐츠의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워터마킹(53)과, 서로 다른 코드화된 패턴들로 이루어져 AR카드(5)의 외면에 표시되는 홀로그램(55)들로 이루어진다.
NFC칩(51)은 태그정보가 저장되며, 근거리 통신망(20)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4)에 의해 판독된다.
이때 태그정보는 AR카드(5)의 카드식별정보와, 홀로그램(55)들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패턴정보들과, 해당 AR카드(5)에 표시된 홀로그램(55)들 각각의 위치정보들로 이루어지고, 패턴정보는 형성된 홀로그램(55)의 패턴특징을 의미한다.
워터마킹(53)은 해당 AR카드(5)에 대응되는 AR콘텐츠의 식별정보를 제공하고, 이러한 워터마킹 기술은 각종 다양한 이미지 및 동영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홀로그램(55)들은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 홀로그램으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 패턴들로 형성된다.
또한 홀로그램(55)들은 AR카드(5)의 외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AR카드(5)는 제작 시, AR카드(5)에 형성되는 홀로그램(55)들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패턴정보들이 부여될 뿐만 아니라 AR카드(5)에 형성되는 홀로그램(55)들 각각의 기준점의 위치정보(좌표정보)들이 설정되고, 패턴정보들 및 위치정보들은 NFC칩의 태그정보로 저장된다. 이때 기준점은 홀로그램(55)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점이고, 예를 들어 해당 홀로그램(55)의 좌상측 또는 우상측이 기준점으로 적용될 수 있다.
관리서버(7)는 기 제작된 AR콘텐츠들과, AR콘텐츠들 각각의 카드 식별정보들이 저장된다.
또한 관리서버(7)는 카드 식별정보들의 리스트인 등록리스트를 생성 및 갱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관리서버(7)는 AR 어플리케이션(3)으로부터 AR콘텐츠를 요청받으면, 해당 AR콘텐츠를 AR 어플리케이션(3)으로 전송한다.
도 6은 도 2의 AR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7은 도 6의 예시도이다.
AR 어플리케이션(3)은 사용자 단말기(4)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기(4)의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에게 AR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다.
또한 AR 어플리케이션(3)은 제어모듈(30)과, 데이터입출력모듈(31), 인터페이스 처리모듈(32), 근거리통신 활성화모듈(33), 제1 인증모듈(34), 제2 인증모듈(35), 워터마킹 판독모듈(36), AR콘텐츠 관리모듈(37)로 이루어진다.
제어모듈(30)은 AR 어플리케이션(3)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31), (32), (33), (34), (35), (36), (37)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데이터입출력모듈(31)은 해당 AR 어플리케이션(3)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4)와 데이터를 입출력한다.
인터페이스 처리모듈(32)은 기 제작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익스피어런스(GUX, Graphic User Experience)를 사용자 단말기(4)의 모니터(42)에 전시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요청(명령)에 따라 연산을 처리한 후, 결과데이터를 이에 대응되는 GUI 또는 GUIX를 통해 유저에게 제공한다.
근거리통신 활성화모듈(33)은 AR 어플리케이션(3)이 실행될 때, 제어모듈(3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또한 근거리통신 활성화모듈(33)은 사용자 단말기(4)를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기(4)의 근거리 통신모듈(45)을 활성화 시킨다.
도 8은 도 6의 제1 인증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1 인증모듈(3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정보 판독모듈(341)과, 데이터 파싱모듈(343), 카드 식별정보 인증모듈(345)로 이루어진다.
태그정보 판독모듈(341)은 사용자 단말기(4)로부터 기 설정된 통신거리 이내에 위치하여 근거리 통신망(20)에 접속된 AR카드(5)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판독한다.
데이터 파싱모듈(343)은 태그정보 판독모듈(341)에 의해 판독된 태그정보로부터 카드 식별정보, 각 홀로그램의 패턴정보 및 위치정보를 파싱한다.
카드 식별정보 인증모듈(345)은 기 등록된 등록리스트를 참조하여 데이터 파싱모듈(343)에 의해 추출된 카드 식별정보가 등록리스트에 포함되는지를 비교한다. 이때 등록리스트는 제작된 AR카드(5)의 카드 식별정보가 등록된 리스트이고, AR 어플리케이션(3)은 주기적으로 AR서비스 관리서버(7)로부터 등록리스트를 수신 받아 해당 사용자 단말기(4)의 메모리(41)에 저장한다.
또한 카드 식별정보 인증모듈(345)은 만약 등록리스트에 해당 카드 식별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1 정품인증이 실패하였다고 판단한다. 이때 제어모듈(30)은 카드 식별정보 인증모듈(345)에 의해 제1 정품인증이 실패하였다고 판단되면, 제1 정품인증이 실패하였다는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4)를 통해 외부로 표출되도록 사용자 단말기(4)를 제어한다.
또한 카드 식별정보 인증모듈(345)은 만약 등록리스트에 해당 카드 식별정보가 존재하면, 제1 정품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판단한다. 이때 제어모듈(30)은 카드 식별정보 인증모듈(345)에 의해 제1 정품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판단되면, 제2 인증모듈(35)이 동작하도록 이를 제어한다.
도 9는 도 6의 제2 인증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2 인증모듈(35)은 도 8의 제1 인증모듈(34)에서 제1 정품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판단될 때, 제어모듈(30)의 제어에 따라 실행된다.
또한 제2 인증모듈(35)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모듈(351)과, 패턴판독모듈(352), 패턴정보 검출모듈(353), 패턴 기준점 검출모듈(354), 위치정보 검출모듈(355), 비교모듈(356), 패턴 인증모듈(357)로 이루어진다.
촬영모듈(351)은 사용자 단말기(4)의 카메라(43)를 통해 AR카드(5)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때 촬영모듈(351)은 촬영 시, AR카드(5)를 기 설정된 각도 및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 후, 소정의 조명이 출력되도록 사용자 단말기(4)를 제어하고, 이러한 홀로그램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및 기술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패턴판독모듈(352)은 촬영모듈(351)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홀로그램 이미지들을 각각 추출한다.
또한 패턴판독모듈(352)은 추출된 각 홀로그램 이미지의 패턴을 판독하여 검출한다.
패턴정보 검출모듈(353)은 기 설정된 제1 기준테이블을 참조하여 패턴판독모듈(352)에 의해 검출된 패턴데이터에 대응되는 패턴정보를 검출한다. 이때 제1 기준테이블은 패턴별로 패턴정보가 매칭된 데이터로 정의된다.
패턴 기준점 검출모듈(354)은 기 설정된 기준점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패턴판독모듈(352)에 의해 추출된 각 홀로그램 이미지를 분석하여 각 홀로그램 이미지의 기준점을 검출한다. 이때 기준점 검출 알고리즘은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해당 홀로그램의 기준점을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방식이 홀로그램 이미지의 좌측 및 상부라고 할 때, 기준점 검출 알고리즘은 홀로그램 이미지의 좌상측 지점을 기준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
위치정보 검출모듈(355)은 패턴 기준점 검출모듈(354)에 의해 검출된 각 홀로그램 이미지의 기준점이 AR카드 상에서의 좌표정보를 검출한다.
도 10은 도 9의 비교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비교모듈(356)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모듈(3561)과, 제1 비교모듈(3563), 제2 비교모듈(3565)로 이루어진다.
입력모듈(3561)은 전술하였던 도 8의 제1 인증모듈(34)의 데이터0 파싱모듈(343)에 의해 추출된 각 홀로그램의 패턴정보 및 위치정보를 입력받는다.
제1 비교모듈(3563)은 입력모듈(3561)에 의해 입력된 각 홀로그램의 패턴정보와, 전술하였던 도 9의 패턴정보 검출모듈(353)에 의해 검출된 패턴정보를 비교한다.
제2 비교모듈(3565)은 입력모듈(3561)에 의해 입력된 각 홀로그램의 위치정보와, 전술하였던 도 9의 위치정보 검출모듈(355)에 의해 검출된 위치정보를 비교한다.
다시 도 9로 돌아가서 패턴 인증모듈(357)을 살펴보면, 패턴 인증모듈(357)은 제1 비교모듈(3563) 및 제2 비교모듈(3565)에서 모두 데이터들이 일치하는 경우, 제2 정품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판단한다. 이때 제어모듈(30)은 패턴 인증모듈(357)에 의해 제2 정품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판단되면, 도 6의 워터마킹 판독모듈(36)이 동작하도록 이를 제어한다.
또한 패턴 인증모듈(357)은 제1 비교모듈(3563) 및 제2 비교모듈(356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일치하지 않는 데이터들이 존재하는 경우, 제2 정품인증이 실패하였다고 판단한다. 이때 제어모듈(30)은 패턴 인증모듈(357)에 의해 제2 정품인증이 실패하였다고 판단되면, 제2 정품인증이 실패하였다는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4)를 통해 외부로 표출되도록 사용자 단말기(4)를 제어한다.
다시 도 6으로 돌아가서, 워터마킹 판독모듈(36)은 촬영모듈(351)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워터마킹을 추출한 후, 추출된 워터마킹을 판독하여 재생대상인 AR콘텐츠(C)의 식별정보를 검출한다.
AR콘텐츠 관리모듈(37)은 워터마킹 판독모듈(36)에 의해 검출된 콘텐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요청데이터를 AR서비스 관리서버(7)로 전송한다. 이때 AR서비스 관리서버(7)는 콘텐츠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콘텐츠 요청데이터의 콘텐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AR콘텐츠(C)를 해당 AR 어플리케이션(3)으로 전송한다.
또한 AR콘텐츠 관리모듈(37)은 AR서비스 관리서버(7)로부터 전송받은 AR콘텐츠(C)를 사용자 단말기(4)의 모니터(42)를 통해 디스플레이 시킴으로써 사용자가 AR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AR콘텐츠 제공시스템(1)은 AR카드(5)의 위변조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위변조로 인한 저작권 침해, 제작자의 경제적 손실 등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공정한 수익구조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AR콘텐츠 제공시스템(1)은 서로 다른 방식의 인증수단인 NFC 및 홀로그램들을 이용하여 정품인증을 수행하되, NFC 및 홀로그램들의 정품인증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호 관계성을 이용하여 정품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위변조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보안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AR콘텐츠 제공시스템(1)은 AR 어플리케이션(3)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하여 AR카드의 태그정보를 판독한 후, 태그정보의 카드식별정보를 기 설정된 등록리스트와 비교하여 제1 정품인증을 수행함으로써 AR카드의 정품인증의 신뢰도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AR콘텐츠 제공시스템(1)은 AR카드(5)에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복수개의 홀로그램들이 형성됨과 동시에 해당 각 홀로그램의 패턴정보가 NFC 칩에 기 설정되어 저장되고, AR 어플리케이션(3)이 촬영에 의해 획득된 홀로그램 이미지를 판독하여 각 홀로그램의 패턴을 검출한 후, 검출된 패턴정보를 태그정보의 패턴정보와 비교하여 제2 정품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AR카드(5)의 보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AR콘텐츠 제공시스템(1)은 AR카드(5)에 서로 다른 위치를 갖는 복수개의 홀로그램들이 형성됨과 동시에 해당 각 홀로그램의 위치정보가 NFC 칩에 기 설정되어 저장되고, AR 어플리케이션(3)이 촬영에 의해 획득된 홀로그램 이미지를 판독하여 각 홀로그램의 위치를 검출한 후, 검출된 위치정보를 태그정보의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제2 정품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AR카드(5)의 보안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1:AR콘텐츠 제공시스템 3:AR 어플리케이션 4:사용자 단말기
5:AR카드 7:AR서비스 관리서버 10:통신망
20:근거리 통신망 30:제어모듈 31:데이터 입출력모듈
32:인터페이스 처리모듈 33:근거리통신 활성화모듈
34:제1 인증모듈 35:제2 인증모듈 36:워터마킹 판독모듈
37:AR콘텐츠 관리모듈 41:메모리 42:모니터
43:카메라 44:통신 인터페이스모듈
45:근거리 통신모듈 46:제어모듈
47:어플리케이션 연동모듈 51:NFC칩
53:워터마킹 55:홀로그램 341:태그정보 판독모듈
343:데이터 파싱모듈 345:카드 식별정보 인증모듈
351:촬영모듈 352:패턴판독모듈 353:패턴정보 검출모듈
354:패턴 기준점 검출모듈 355:위치정보 검출모듈
356:비교모듈 357:패턴 인증모듈
3561:입력모듈 3562:제1 비교모듈 3563:제2 비교모듈

Claims (5)

  1. 기 제작된 AR콘텐츠들과, 상기 AR콘텐츠들 각각의 카드 식별정보, 상기 카드 식별정보들의 리스트인 등록리스트가 기 설정되어 저장되는 AR서비스 관리서버;
    NFC 통신모듈 및 카메라를 포함하며, AR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AR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기;
    외면에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복수개의 정품인증수단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 표시되고, 카드식별정보와 상기 정품인증수단들 각각의 패턴특징정보들, 상기 정품인증수단들 각각의 좌표정보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들이 태그정보로 저장되는 NFC칩을 포함하는 AR카드를 포함하고,
    상기 AR 어플리케이션은
    실행 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NFC 통신모듈을 활성화 시키는 근거리통신 활성화모듈;
    상기 근거리통신 활성화모듈에 의해 접속된 AR카드의 태그정보를 판독한 후, 태그정보에 포함된 카드 식별정보를 상기 AR서비스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등록리스트와 비교하여 제1 인증을 수행하는 제1 인증모듈;
    상기 AR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인증모듈에 의해 인증이 이루어질 때 동작하는 제2 인증모듈;
    상기 제2 인증모듈에 의해 인증이 이루어질 때 동작하며, 인증된 상기 AR카드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요청데이터를 상기 AR서비스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AR서비스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AR콘텐츠를 수신 받으면, 수신 받은 AR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AR콘텐츠 관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증모듈은
    상기 AR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인증모듈에 의해 인증이 성공할 때 실행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AR카드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모듈;
    상기 촬영모듈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의 정품인증수단 이미지들을 분석 및 판독하는 정품인증수단 판독모듈;
    상기 정품인증수단 판독모듈에 의해 판독된 각 정품인증수단을 분석하여 각 정품인증수단의 특징패턴을 검출하는 특징패턴 검출모듈;
    상기 정품인증수단 판독모듈에 의해 판독된 정품인증수단 이미지들을 분석하여 각 정품인증수단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위치정보 검출모듈;
    상기 특징패턴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특징패턴들을 상기 제1 인증모듈에 의해 판독된 태그정보의 특징패턴정보들과 각각 비교하며, 상기 위치정보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위치정보들을 상기 제1 인증모듈에 의해 판독된 태그정보의 위치정보들과 각각 비교하는 비교모듈;
    상기 비교모듈에서 상기 특징패턴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특징패턴들 및 상기 제1 인증모듈에 의해 판독된 태그정보의 특징패턴정보들이 일치함과 동시에 상기 위치정보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위치정보들을 상기 제1 인증모듈에 의해 판독된 태그정보의 위치정보들이 일치할 때, 제2 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판별하는 패턴 인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태그정보에는 상기 정품인증수단들 각각의 좌표정보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들이 포함되고,
    상기 위치정보는 해당 정품인증수단의 기 설정된 방식에 따른 위치인 기준점을 기준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인증모듈은
    상기 정품인증수단 판독모듈 이후에 동작하며, 상기 정품인증수단 판독모듈에 의해 판독된 정품인증수단 이미지들을 분석하여 각 정품인증수단의 기준점을 검출하는 패턴 기준점 검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 검출모듈은 상기 패턴 기준점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기준점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AR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인증모듈을 통해 상기 AR서비스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제1 인증을 수행하되, 상기 제2 인증모듈을 통해 상기 AR서비스 관리서버와 연동하지 않고 제2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콘텐츠 제공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품인증수단은 홀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콘텐츠 제공시스템.
KR1020190102215A 2019-08-21 2019-08-21 보안성을 높인 ar카드 및 이를 이용한 ar콘텐츠 제공시스템 KR102305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215A KR102305439B1 (ko) 2019-08-21 2019-08-21 보안성을 높인 ar카드 및 이를 이용한 ar콘텐츠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215A KR102305439B1 (ko) 2019-08-21 2019-08-21 보안성을 높인 ar카드 및 이를 이용한 ar콘텐츠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884A KR20210022884A (ko) 2021-03-04
KR102305439B1 true KR102305439B1 (ko) 2021-09-27

Family

ID=75175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215A KR102305439B1 (ko) 2019-08-21 2019-08-21 보안성을 높인 ar카드 및 이를 이용한 ar콘텐츠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439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0443A (ko) * 2012-03-29 2013-10-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31088A (ko) * 2012-05-23 2013-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서버, 상기 전자 기기 제어 방법 및 상기 서버 제어 방법
KR101420361B1 (ko) * 2012-07-17 2014-07-21 석인수 큐알코드를 이용한 정품인증시스템과 방법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70001849A (ko) * 2015-06-26 2017-01-05 아이크래프트 (주) 정품인증 수단, 정품인증 시스템
KR20180127841A (ko) * 2017-05-22 2018-11-30 권형석 상품의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884A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61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ty and age verification
JP6417467B1 (ja) 仮想又は拡張現実空間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EP4007968A1 (en) Systems and methods of identification verification using hybrid near-field communication and optical authentication
CN106980983A (zh) 基于虚拟现实场景的业务认证方法及装置
AU2004254431A1 (en) Random-type identifying material, 3-D identify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049090B1 (ko) 증강 현실 마커 및 증강 현실을 이용한 콘텐츠 유통 방법
EP42108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and tokens
US202103599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content based on articles properly presented and verifiably owned by or in possession of user
CN113794569B (zh) 基于区块链的物资盘点数据提供方法、装置及系统
KR101274098B1 (ko) 물리적 특징정보를 활용한 원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N205068462U (zh) 嵌入有机器可读图像的卡、附接卡的产品和连接卡的产品
KR20140087084A (ko) 라벨을 이용한 인증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KR20220050870A (ko) 블록체인 기반의 진품 여부 확인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170001849A (ko) 정품인증 수단, 정품인증 시스템
US11556629B2 (en) Method for authenticating a three-dimensional signature
KR102033621B1 (ko) Qr 코드 위변조 탐지 시스템
CN114692802A (zh) 一种利用二维码标签作为元宇宙生态入口的方法及系统
KR101595766B1 (ko) 정품 인증용 라벨 및 그 라벨을 이용한 인증방법
CN111429194B (zh) 用户轨迹确定系统、方法、装置及服务器
KR102305439B1 (ko) 보안성을 높인 ar카드 및 이를 이용한 ar콘텐츠 제공시스템
JP2005522793A (ja) アイテムを認証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6040035A (ja) 情報取得装置及び撮影画像中の撮影対象物の位置を判別する判別方法、撮影画像中の撮影対象物を特定する対象物特定方法
CN105452007A (zh) 用于验证文件真实性的方法
KR20220037995A (ko) 시각적 인코딩 등록 및 프로세싱 플랫폼
KR20180016313A (ko) 통합 이미지의 인식에 기초하여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