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443A -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0443A
KR20130110443A KR1020120032419A KR20120032419A KR20130110443A KR 20130110443 A KR20130110443 A KR 20130110443A KR 1020120032419 A KR1020120032419 A KR 1020120032419A KR 20120032419 A KR20120032419 A KR 20120032419A KR 20130110443 A KR20130110443 A KR 20130110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ugmented reality
code
providing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일영
김유두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32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0443A/ko
Publication of KR20130110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4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 콘텐츠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생성하는 콘텐츠 저작 서버, 및 상기 생성된 QR 코드에 콘텐츠 제공 경로를 매칭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 경로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와 연관된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콘텐츠 배달 서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IQUE}
본 발명은 모바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양한 증강현실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 다양한 휴대 단말기가 급속도로 보급되면서 모바일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탄생하고 있다. 하지만 휴대 단말기의 콘텐츠는 주로 게임이나 메시징 서비스에 의존하고 있어 다양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증강현실기술이 많은 주목을 받으며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게임과 교육에 대한 가능성이 재조명받고 있다. 증강현실기술은 현실 세계에 추가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써, 증강된 현실을 만들어 낸다. 현실세계 위에 정보가 뿌려진다는 점에서, 모든 정보가 다 가상인 가상현실과 구분된다. 증강현실기술은 게임과 교육뿐 아니라 이미 방송에서도 적용되어 시청자들의 이해를 돕는데 사용되고 있다. 기상정보에서 캐스터 뒤로 전국 날씨 정보가 나타나는 것, 스포츠 중계에서의 팀과 선수들의 정보 표현 등이 쉽게 볼 수 있는 증강현실이다. 이러한 기술들이 점차 발전하면서 시청자들에게 정보를 쉽게 인식시킬 수 있고 다양하게 접근되어 이를 응용한 교육의 효과가 증대 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증강현실기술 구현이 가능한 고사양 스마트폰의 보급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래서, 종래기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에 증강현실기술을 적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기존의 교육매체에서의 부족한 설명이나 명확하지 않은 부분들을 증강현실 콘텐츠의 입체적인 모양을 돌려보고 원하는 부분을 자세히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자들에게 습득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위험하거나 비용이 많이 드는 교육 콘텐츠를 간접적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보장되고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증강현실기술을 적용한 가상훈련 시스템의 구현으로 인해 플랫폼으로서의 기반을 갖추게 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각 교육환경이나 과목에 맞도록 확장하며 범용성을 갖춘 플랫폼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저작 도구와 휴대 단말기와 연계되는 교육 시스템과 통합하거나 새롭게 개발되는 분야의 롤모델이 될 수 있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증강현실 콘텐츠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생성하는 콘텐츠 저작 서버, 및 상기 생성된 QR 코드에 콘텐츠 제공 경로를 매칭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 경로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와 연관된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콘텐츠 배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저작 서버는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와 연관된 이름 및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배달 서버는 교재에 인쇄된 상기 QR 코드를 통해 휴대 단말기가 상기 콘텐츠 제공 경로에 접속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로 상기 QR 코드와 연관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구동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가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도록 하고, 인식된 QR 코드와 연관된 상기 콘텐츠 제공 경로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주변 환경과 연관하여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증강시켜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배달 서버는 상기 QR 코드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및 콘텐츠 제공 경로를 저장하고, 상기 콘텐츠 저작 서버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가 변경된 경우, 상기 저장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기 변경된 증강현실 콘텐츠로 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은 증강현실 콘텐츠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QR 코드에 콘텐츠 제공 경로를 매칭하여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와 함께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제공 경로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와 연관된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공학 실습에서의 전자회로 구성에 대한 실습을 증강현실 콘텐츠로 제공한다면, 실제 브레드 보드에 구성하는 실습을 3D를 통해 다양한 각도로 직접 보고 실습할 수 있으므로 학습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기에서 지원되므로 학습자들이 직접 개발된 플레이어를 다운로드하고 이를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자들이 각자의 휴대 단말기를 활용하여 직접 가상훈련 콘텐츠를 체험함으로써, 몰입도가 증가하고, 이해도가 높아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증강현실 콘텐츠에 관련된 웹페이지가 자주 변화하는 경우에 인쇄물로 출판을 하게 되면 수정이 어렵지만,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최신의 증강현실 콘텐츠를 반영하기 쉬워, 항상 최신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생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 코드가 교재에 인쇄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휴대 단말기가 QR 코드를 인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 이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라 함)은 콘텐츠 저작 서버(110), 및 콘텐츠 배달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저작 서버(110)는 교육 관련 콘텐츠를 개발하는 관리자(130)가 쉽게 콘텐츠를 등록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콘텐츠 저작 서버(110)는 관리자(130)로부터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콘텐츠를 등록받으면, 등록된 증강현실 콘텐츠에 대응하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동적으로 생성한다.
실시예로, 콘텐츠 저작 서버(110)는 상기 등록된 증강현실 콘텐츠와 연관된 이름 및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생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콘텐츠 저작 서버(110)는 관리자로부터 증강현실 콘텐츠를 업로드받고, 업로드된 증강현실 콘텐츠에 대한 이름을 의미있는 네이밍으로 입력받는다(210). 콘텐츠 저작 서버(110)에서 지정한 이름은 관리를 위한 것이며, 실제로 콘텐츠 저장을 처리하는 시간을 얻어와 그것을 적절한 파일이름으로 만들어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콘텐츠 저작 서버(110)는 증강현실 콘텐츠의 이름(1_1_Luncher, 1_1_homescreen, 1_1_button_fumc), 설명, 파일크기, 확장자 등의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220).
즉, 콘텐츠 저작 서버(110)는 새로운 증강현실 콘텐츠가 등록되면, 증강현실 콘텐츠의 파일이름을 데이터로 한 QR코드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저작 서버(110)는 내부적으로 조건문을 통하여 모든 데이터가 입력되었는가 확인할 수 있다. 콘텐츠 저작 서버(110)는 상기 파일이름에서 문자열 파싱을 통해서 확장자를 얻어낼 수 있다.
콘텐츠 저작 서버(110)는 상기 새로 등록된 증강현실 콘텐츠와 상기 QR 코드를 콘텐츠 배달 서버(1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된 QR 코드는 교재(140)에 인쇄되어, 배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 코드가 교재에 인쇄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콘텐츠 저작 서버(110)에서 생성된 QR 코드는 전자공학 실습의 일부로서, 교재(140)에 인쇄될 수 있다. 즉, 교재(140)에 포함된 설명 외에 추가 설명이 필요하거나, 실제 모습이나 동영상을 보여주고자 하는 경우, 증강현실 콘텐츠로 만들어 보여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QR 코드는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식별코드로, 교재(140)에 인쇄되어 사용자에게 배포될 수 있다.
콘텐츠 배달 서버(120)는 상기 생성된 QR 코드에 콘텐츠 제공 경로를 매칭한다. 이러한, 콘텐츠 배달 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와 같이,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QR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 제공 경로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공 경로는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서버 네트워크 주소일 수 있으며, 예컨대"http://ngn.kut.ac.kr/project/kutvt/contents"일 수 있다.
실시예로, 콘텐츠 배달 서버(120)는 관리자에 의해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가 수정, 변경되는 경우, 콘텐츠 저작도구와의 연결을 위한 기능을 지원하거나, 상기 변경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수정할 수 있다. 즉, 콘텐츠 배달 서버(120)는 상기 QR 코드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및 콘텐츠 제공 경로를 저장하는데, 콘텐츠 저작 서버(110)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가 변경된 경우, 상기 저장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기 변경된 증강현실 콘텐츠로 수정할 수 있다.
교재(140)에 QR 코드가 인쇄되어 배포된 후,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50)에 교재(140)에 인쇄된 QR 코드를 인식시켜, QR 코드에 매칭되는 콘텐츠 제공 경로에 접속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츠 배달 서버(120)는 휴대 단말기(150)로 상기 QR 코드와 연관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기(150)를 통해 용이하게 증강현실 콘텐츠를 볼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배달 서버(120)는 상기 콘텐츠 제공 경로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와 연관된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상기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공받은 교재를 통해 학습을 하다가 추가적인 멀티미디어 정보가 필요할 때 자신이 소유한 휴대 단말기인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를 통해 QR 코드를 인식하면 그에 대한 증강현실 콘텐츠가 나타나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어 사용되며, 서로 상이한 운영체제(IOS, 안드로이드)의 휴대 단말기에서 모두 실행될 수 있도록, 운영체제별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아이폰과 태블릿 PC인 아이패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으로, 좌측 하단의 표시된 'HRDI' 의 아이콘을 터치하면,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휴대 단말기가 QR 코드를 인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가 작동하면서, 상기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인식된 QR 코드와 연관된 상기 콘텐츠 제공 경로에 접속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초기 라이브러리를 로딩하는 시간에 인트로 화면(도시하지 않음)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휴대 단말기의 성능에 따라 처리가 빠른 경우 인트로 화면이 생략되기도 한다. 인트로 화면이 나타난 후, 라이브러리의 로딩이 완료되면 카메라 촬영 기능을 실행한 것과 같은 화면으로 카메라 렌즈를 통해 촬영되고 있는 현실의 화면이 나타난다. 이 화면을 교재의 QR 코드 부분에 가져다 대면 각 코드에 맞는 증강현실 콘텐츠가 증강되어 표시된다. 표시되는 증강현실 콘텐츠는 정적인 이미지 외에 간략한 동영상 등이 표현되어 사용자가 단순 그림으로 이해하기 힘든 공구 조작 방법 등의 교육에 활용이 가능하다. QR 코드를 통해 매칭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를 활용하므로 휴대 단말기의 네트워크가 가능한 상태에서만 동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접속된 콘텐츠 제공 경로를 통해 상기 인식된 QR 코드와 연관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주변 환경과 연관하여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증강시켜 재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의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해 콘텐츠 제공 방법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고하면, 단계 S10에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증강현실 콘텐츠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생성한다.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증강현실 콘텐츠를 저작한 관리자에 의해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가 등록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와 연관된 이름 및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20에서,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생성된 QR 코드에 콘텐츠 제공 경로를 매칭하여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와 함께 관리한다.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의 등록 및 QR 코드를 생성하는 콘텐츠 저작 서버와,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및 상기 QR 코드를 저장하는 콘텐츠 배달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20의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콘텐츠 배달 서버로서, 상기 QR 코드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 제공 경로를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30에서,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 제공 경로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와 연관된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상기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공받은 교재를 통해 학습을 하다가 추가적인 멀티미디어 정보가 필요할 때 자신이 소유한 휴대 단말기인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를 통해 QR 코드를 인식하면 그에 대한 증강현실 콘텐츠가 나타나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상기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어 사용되며, 서로 상이한 운영체제(IOS, 안드로이드)의 휴대 단말기에서 모두 실행될 수 있도록, 운영체제별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교재에 인쇄된 상기 QR 코드를 통해 휴대 단말기가 상기 콘텐츠 제공 경로에 접속된 경우,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휴대 단말기로 상기 QR 코드와 연관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구동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가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도록 하고, 상기 인식된 QR 코드와 연관된 상기 콘텐츠 제공 경로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주변 환경과 연관하여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증강시켜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콘텐츠 제공 시스템
110: 콘텐츠 저작 서버
120: 콘텐츠 배달 서버
130: 관리자
140: 교재
150: 휴대 단말기

Claims (11)

  1.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콘텐츠에 대응하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생성하는 콘텐츠 저작 서버; 및
    상기 생성된 QR 코드에 콘텐츠 제공 경로를 매칭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 경로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와 연관된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콘텐츠 배달 서버
    를 포함하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저작 서버는,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와 연관된 이름 및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QR 코드를 생성하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배달 서버는,
    교재에 인쇄된 상기 QR 코드를 통해 휴대 단말기가 상기 콘텐츠 제공 경로에 접속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로 상기 QR 코드와 연관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구동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가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도록 하고, 인식된 QR 코드와 연관된 상기 콘텐츠 제공 경로에 접속하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주변 환경과 연관하여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증강시켜 재생하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배달 서버는,
    상기 QR 코드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및 콘텐츠 제공 경로를 저장하고,
    상기 콘텐츠 저작 서버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가 변경된 경우, 상기 저장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기 변경된 증강현실 콘텐츠로 수정하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7. 증강현실 콘텐츠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QR 코드에 콘텐츠 제공 경로를 매칭하여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와 함께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제공 경로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와 연관된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QR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와 연관된 이름 및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QR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교재에 인쇄된 상기 QR 코드를 통해 휴대 단말기가 상기 콘텐츠 제공 경로에 접속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로 상기 QR 코드와 연관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콘텐츠 제공 경로에 접속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구동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가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QR 코드와 연관된 상기 콘텐츠 제공 경로에 접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QR 코드와 연관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주변 환경과 연관하여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증강시켜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120032419A 2012-03-29 2012-03-29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104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419A KR20130110443A (ko) 2012-03-29 2012-03-29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419A KR20130110443A (ko) 2012-03-29 2012-03-29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443A true KR20130110443A (ko) 2013-10-10

Family

ID=49632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419A KR20130110443A (ko) 2012-03-29 2012-03-29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0443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357B1 (ko) * 2014-09-30 2015-05-15 디투이모션 주식회사 감성 qr 코드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컨텐츠 제공 시스템
WO2016133346A1 (ko) * 2015-02-17 2016-08-25 알플러스컴퍼니 주식회사 Qr 코드 인식 처리 시스템
CN108665020A (zh) * 2017-08-25 2018-10-16 深圳安博电子有限公司 一种基板的标记方法及装置
KR102012183B1 (ko) * 2018-02-12 2019-08-20 주식회사 캔디커뮤니케이션 증강현실 기반 코딩교육 옴니에듀 시스템
CN111711341A (zh) * 2020-06-29 2020-09-25 江南大学 一种基于p-d反馈的电力变换器控制方法
KR20210022884A (ko)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티네트웍스 보안성을 높인 ar카드 및 이를 이용한 ar콘텐츠 제공시스템
US11194881B2 (en) 2018-12-13 2021-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web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mode
KR20220019942A (ko) * 2020-08-11 2022-02-18 주식회사 지노시스 오프라인 방식의 스마트 설비 안전관리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357B1 (ko) * 2014-09-30 2015-05-15 디투이모션 주식회사 감성 qr 코드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컨텐츠 제공 시스템
WO2016052828A1 (ko) * 2014-09-30 2016-04-07 김광수 감성 qr 코드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컨텐츠 제공 시스템
WO2016133346A1 (ko) * 2015-02-17 2016-08-25 알플러스컴퍼니 주식회사 Qr 코드 인식 처리 시스템
CN106415593A (zh) * 2015-02-17 2017-02-15 R普洛斯有限公司 Qr码识别处理系统
CN106415593B (zh) * 2015-02-17 2019-09-13 益迪亚威名有限公司 Qr码识别处理系统
CN108665020A (zh) * 2017-08-25 2018-10-16 深圳安博电子有限公司 一种基板的标记方法及装置
KR102012183B1 (ko) * 2018-02-12 2019-08-20 주식회사 캔디커뮤니케이션 증강현실 기반 코딩교육 옴니에듀 시스템
US11194881B2 (en) 2018-12-13 2021-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web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mode
KR20210022884A (ko)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티네트웍스 보안성을 높인 ar카드 및 이를 이용한 ar콘텐츠 제공시스템
CN111711341A (zh) * 2020-06-29 2020-09-25 江南大学 一种基于p-d反馈的电力变换器控制方法
CN111711341B (zh) * 2020-06-29 2021-07-27 江南大学 一种基于p-d反馈的电力变换器控制方法
KR20220019942A (ko) * 2020-08-11 2022-02-18 주식회사 지노시스 오프라인 방식의 스마트 설비 안전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0443A (ko)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MacIntyre et al. The Argon AR Web Browser and standards-based AR application environment
Jeong et al. A content oriented smart education system based on cloud computing
US201701695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ugmented reality using scalable frames to pre-existing media
Butchart Augmented reality for smartphones
US9524587B2 (en) Adapting content to augmented reality virtual objects
US9223750B2 (en) Dynamic tag generating apparatus and dynamic tag generating method thereof for use in display apparatus
CN106164934A (zh) 智能相机用户界面
US201300386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nd interacting with images in a network
WO2014136103A1 (en) Simultaneous local and cloud searching system and method
Kapetanakis et al. HTML5 and WebSockets; challenges in network 3D collaboration
JP2017041780A (ja) 動画を特定の視野で表示する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003707B2 (en) Image processing in a virtual reality (VR) system
Pfeiffer-Leßmann et al. ExProtoVAR: A lightweight tool for experience-focused prototyping of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using virtual reality
CN109636917B (zh) 三维模型的生成方法、装置、硬件装置
KR20150010284A (ko) 템플릿을 이용한 이러닝 콘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Khan The rise of augmented reality browsers: Trend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CN103491087B (zh) 一种多媒体消息的处理方法和装置
Albrecht et al. Medical Students Experience the Mobile Augmented Reality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Marble®): An Attractive Concept for the Net Generation?
Uluyol et al. Augmented reality: A new direction in education
Smith Imagine the possibilities: bringing poster sessions to life through augmented reality
US201701347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izing custom menu, client and server
US20110231514A1 (en) Content delivery apparatus, content delivery method, content playback method, content delivery program, content playback program
Rattanarungrot et al. A Mobile Service Oriented Multiple Object Tracking Augmented Reality Architecture for Education and Learning Experiences.
Shotts PhoneGap 3. x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Hotsh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