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295B1 - 피아노 건반용 비접촉식 동작 감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피아노 건반용 비접촉식 동작 감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295B1
KR102305295B1 KR1020190156626A KR20190156626A KR102305295B1 KR 102305295 B1 KR102305295 B1 KR 102305295B1 KR 1020190156626 A KR1020190156626 A KR 1020190156626A KR 20190156626 A KR20190156626 A KR 20190156626A KR 102305295 B1 KR102305295 B1 KR 102305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ano
sensors
separation distance
sensor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7233A (ko
Inventor
김은호
김보성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56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295B1/ko
Priority to PCT/KR2020/016598 priority patent/WO2021107537A1/ko
Publication of KR20210067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2Keyboards; Key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65Key design details; Speci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keys of a keyboard; Key-like musical input devices, e.g. finger sensors, pedals, potentiometers, select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405Beam sensing or control, i.e. input interfaces involving substantially immaterial beams, radiation, or fields of any nature, used, e.g. as a switch as in a light barrier, or as a control device, e.g. using the theremin electric field sensing princip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아노 건반에 대한 비접촉식 동작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동작 감지장치는 복수의 피아노 건반 각각의 연장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할 때, 피아노 건반에 대한 이격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IR 센서; 상기 복수의 IR 센서가 장착되는 장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IR 센서는 피아노 건반 각각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행으로 배치되는 IR 센서 군으로 그룹화되고, 상기 IR 센서 군 각각은 이에 대응되는 피아노 건반 각각의 누름 동작시 그 이격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단위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장치는 하나의 IR 센서 군에서 선택되는 2개의 IR 센서 상호간 높이차와 피아노 건반 누름 동작시 상기 기준 이격거리에 도달하는 시간차를 이용해 계산되는 건반의 이동속도를 피아노 건반의 누름세기로 결정함으로써, 개별 IR 센서의 비선형적인 응답특성에 불구하고 건반의 누름세기에 대한 우수한 측정 정밀도를 구현할 수 있고, 초기 세팅이 작업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피아노 건반용 비접촉식 동작 감지장치 및 방법{NON-CONTACT MOTION DETECTING DEVICE AND METHOD FOR FOR PIANO KEYBOARD}
본 발명은 피아노 건반에 대한 비접촉식 동작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쿠스틱 피아노를 디지털 피아노로 전용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피아노 건반용 비접촉식 동작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에 관련된다.
대표적인 건반 악기로서 어쿠스틱 피아노는 건반 누름시 물리적, 기계적인 작용에 의해 내부의 현을 때려서 소리를 내는 방식으로 동작하며, 우수한 터치감과 함께 연주자의 숙련도에 따라 다양한 음색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어쿠스틱 피아노는 음량에 대한 임의 조절이 어렵고 공동 주택 등에서는 소음 문제로 인해 사용시 장소적 및 시간적 제약이 있기 때문에, 별도의 구매 비용이 발생하더라도 헤드폰 등을 이용하거나 음량 조절이 용이하여 이러한 사용상의 제약을 극복 내지 완화할 수 있는 디지탈 피아노에 대한 니즈가 상존한다.
최근 이러한 배경하에 고가의 디지탈 피아노를 별도로 구매하는 대신에 액세사리 또는 키트(kit) 형태로 제공되는 건반용 동작 감지장치를 어쿠스틱 피아노에 장착하고, 해당 건반용 동작 감지장치를 통해 인식되는 건반의 누름 동작에 기초해 샘플링된 전자음을 발생시키는 디지털 피아노로 전용하는 방식의 하이브리드 피아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관련 연구도 활발하다. 일반적으로 건반용 동작 감지장치는 접촉식과 비접촉식이 있으나 어쿠스틱 피아노 본연의 우수한 건반 터치감을 유지하기 위해 비접촉식이 채택되고 있는 상황이며, 대부분의 비접촉식 건반용 동작 감지장치는 건반의 이동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IR 센서를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IR 센서는 IR을 발광하여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IR의 세기를 수광부에서 측정하여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한편 IR 센서를 이용한 비접촉식 건반용 동작 감지장치에 있어서는 누름 동작에 대한 우수한 출력 감도를 구현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IR 센서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전류)/거리 응답특성이 선형적이지 않기 때문에 건반 누름동작에 수반되는 시간 및 이동거리를 단순 측정하여 건반의 이동속도 내지 누름세기를 정확히 산정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연주자의 누름세기에 상응하는 정확한 출력 감도를 구현할 수 없다. 나아가 동일 규격의 IR 센서 간에도 서로 다른 전압(전류)/거리 응답특성을 갖기 때문에 개별 IR 센서의 정확한 전압(전류)/거리 응답특성을 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현재 IR 센서의 응답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저가 제품의 경우 건반의 누름 세기를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고가 제품의 경우에도 초기 세팅시 고난이의 숙련도를 요하는 복잡한 세팅 작업을 거쳐 실험적으로 응답특성을 구하여 반영하고 있으나 초기위치 및 환경에 따라 특성이 상이하여 정확히 반영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특허 제10-1367800호 특허 제10-0218124호
본 발명의 목적은, 건반의 누름세기 측정 정밀도가 우수하고 초기 세팅이 용이한 비접촉식 건반용 동작 감지장치와 이를 이용한 동작 감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주제에 따르면, 피아노 건반의 하부에서 비접촉식으로 설치되어 피아노 건반의 누름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피아노 건반용 비접촉식 동작 감지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동작 감지장치는 복수의 피아노 건반 각각의 연장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할 때, 피아노 건반에 대한 이격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IR 센서; 상기 복수의 IR 센서가 장착되는 장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IR 센서는 피아노 건반 각각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행으로 배치되는 IR 센서 군으로 그룹화되고, 상기 IR 센서 군 각각은 이에 대응되는 피아노 건반 각각의 누름 동작시 그 이격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단위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IR 센서 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IR 센서들은 전후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플레이트는 PCB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피아노 건반용 비접촉식 동작 감지장치는 상기 장착플레이트를 장착하여 높낮이와 전후방향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마운트 지그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주제에 따르면, 상기한 피아노 건반용 비접촉식 동작 감지장치를 이용한 장치의 세팅 및 동작 감지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동작 감지방법은, (a) 피아노 건반과 기준 이격거리에 놓여진 상태에서 복수의 IR 센서 각각에 대해 측정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표준값으로 할당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IR 센서가 상기 기준 이격거리보다 멀게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IR 센서 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IR 센서로부터 선택되는 2개의 IR 센서를 선정한 상태에서, (c-1) 누름 동작시 하강하는 피아노 건반과 상기 선정된 2개의 IR센서 각각과의 이격거리가 상기 기준 이격거리에 도달하는 시간차를 측정하고, (c-2) 2개의 IR 센서의 높이차를 상기 시간차로 나누어 피아노 건반의 이동 속도를 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산정된 이동 속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건반의 누름 세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IR 센서 군을 구성하는 일군의 IR 센서들은 전후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아노 건반용 비접촉식 동작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에 따르면, 하나의 IR 센서 군에서 선택되는 2개의 IR 센서 상호간 높이차와 피아노 건반 누름 동작시 상기 기준 이격거리에 도달하는 시간차를 이용해 계산되는 건반의 이동속도를 피아노 건반의 누름세기로 결정함으로써, 개별 IR 센서의 비선형적인 응답특성에 불구하고 건반의 누름세기에 대한 우수한 측정 정밀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작 감지장치의 경우 피아노 건반별 높이 공차나 센서 열을 탑재한 장착플레이트의 기울어짐 공차에 상관없이 건반용 동작 감지장치의 초기 세팅이 작업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IR 센서의 전압(전류)/거리 응답특성에 관한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아노 건반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시된 동작 감지장치의 평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아노 건반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도시된 IR 센서 군의 측면 배치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아노 건반에 대해 기준 이격거리에 놓여진 상태에서 도시된 IR 센서 군의 측면 배치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마운트 지그 어셈블리를 포함한 동작 감지장치의 사시도.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도면에서 동일 또는 균등물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동작 감지장치(10)의 기본 구성요소 및 설치 개념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시된 동작 감지장치(10)의 평면 구성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도시된 IR 센서 군(110, 110A, 110B, 110C)의 측면 배치도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동작 감지장치(10)는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의 하부에서 비접촉식으로 설치되어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의 누름 동작을 감지하는 것을 예정하며, 복수의 IR 센서(100);와 장착플레이트(20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 각각의 연장방향을 '전후방향'으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상기 IR 센서(100)는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의 이격거리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IR을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의 바닥 표면으로 IR을 발광하여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IR의 세기에 관련되는 전류값 또는 전압값을 측정하여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IR 센서(100)는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 각각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행으로 배치되는 IR 센서 군(110, 110A, 110B, 110C)으로 그룹화된다. 실시예에서 각각의 IR 센서 군(110, 110A, 110B, 110C)은 2개의 센서, 즉 전방에 위치하는 제1 IR 센서(100a)와 후방에 위치하는 제2 IR 센서(100b)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IR 센서 군(110, 110A, 110B, 110C) 각각은 이에 대응되는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 각각의 누름 동작시 그 이격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최소 단위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하나의 IR 센서 군(110, 110A, 110B, 110C)을 구성하는 센서의 개수는 실시예에서는 제1 IR 센서(100a)와 제2 IR 센서(100b) 2개로 예시되어 있지만 이에 불구하고 2개를 초과하여 예컨대 3개 이상의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 각각의 누름 동작시 그 이격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최소 단위의 센서 개수는 2개로 충분하며 당장 활용되지 않은 여분의 센서는 사용 불능 상태의 다른 센서를 대체하거나 또는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의 전후방향 길이가 달라짐으로써 센서 간 거리를 달리 설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장착플레이트(200)는 기본적으로 IR 센서(100)를 피아노의 부속물(도면 미도시)에 물리적으로 실장 고정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복수의 IR 센서 군(110, 110A, 110B, 110C)이 하나의 장착플레이트(200)에 실장되어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의 하면에서 일체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장착플레이트(200)는 IR 센서(100)를 물리적으로 실장하는 역할 외에 IR 센서(100)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PC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할 때, 도면 도시된 것과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해당 IR 센서 군(110, 110A, 110B, 110C)은 이에 대응되는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 각각의 누름 동작을 감지하게 된다. 즉, 누름 동작에 따른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과 센서 간 이격거리 변화량과 이러한 이격거리 변화량에 소요되는 시간 변화량에 기초해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의 누름세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한 이격거리 변화량은 상수값으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IR 센서 군(110, 110A, 110B, 110C)을 구성하되 경사지게 배치된 제1 IR 센서(100a)와 제2 IR 센서(100b) 간 높이차에 대응될 수 있고, 시간 변화량은 제1 IR 센서(100a)와 제2 IR 센서(100b) 각각과 누름 동작시 하강하는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과의 이격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격거리에 도달하는 시간차에 대응된다.
한편 상기 IR 센서 군(110, 110A, 110B, 110C)을 구성하는 복수의 IR 센서(100)들, 즉 제1 IR 센서(100a) 및 제2 IR 센서(100b) 등은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이는 상술한 누름세기 측정 원리에 따라 동작하는 동작 감지장치(10)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하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IR 센서 군(110, 110A, 110B, 110C)을 구성하는 복수의 IR 센서(100)들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P는 피아노 건반(20)의 회동 동작의 기준이 되는 힌지축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동작 감지장치(10)의 세팅 방법과, 이러한 동작 감지장치(10)의 동작 개념 내지 감지방법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에 대해 기준 이격거리(D)에 놓여진 상태에서 도시된 IR 센서 군(110, 110A, 110B, 110C)의 측면 배치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마운트 지그 어셈블리(300)를 포함한 동작 감지장치(1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동작 감지장치(10)의 세팅은 (a)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과 기준 이격거리(D)에 놓여진 상태에서 복수의 IR 센서(100) 각각에 대한 표준값을 할당 내지 설정한 후, (b) 동작 내지 설치상태로 복수의 IR 센서(100)에 대한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2단의 단계를 거쳐 수행된다. 상기 표준값은 기준 이격거리(D)에 놓여진 장태에서 각각의 IR 센서(100)에서 계측되는 전류값 또는 전압값일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플레이트(200)가 수평하게 배치 형태에서 수행되고, 상기 (b) 단계를 수행한 결과의 일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a) 단계에서의 기준 이격거리(D)는 설치 가능공간을 고려해 임의 선택될 수 있는 값이고, 상기 (b) 단계 수행 후 설치된 이격거리도 설치 가능공간을 고려해 임의 선택될 수 있는 값이나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에 대한 하강동작을 감지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적어도 상기 기준 이격거리(D)보다 크게 또는 멀게 설정되어야 한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b) 단계 수행 후 IR 센서 군(110, 110A, 110B, 110C)을 구성하는 복수의 IR 센서(100)들, 즉 제1 IR 센서(100a) 및 제2 IR 센서(100b) 등을 전후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 아래 공간에서 동작 감지장치(10)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감지장치(10)의 세팅은 동작 감지장치(10)의 선택적 구성으로 제공되는 마운트 지그 어셈블리(30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마운트 지그 어셈블리(300)가 장착플레이트(200)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며, 마운트 지그 어셈블리(300)는 서포트 지그(310)와 엘리베이팅 지그(320)가 결합된 형태로 예시되어 있다. 서포트 지그(310)는 피아노 전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복수로 분할된 장착플레이트(200)들을 그 위에 마운트하고, 서포트 지그(310)의 폭 양단에 제공되어 결합되는 엘리베이팅 지그(320)는 나사 등의 높이 조절수단(도면 미도시)를 구비하며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 아래에서 피아노 부속물(도면 미도시)에 고정된 상태에서 서포트 지그(310)의 전후방향 경사각도와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 하단으로부터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동작 감지장치(10)의 동작 개념 내지 감지방법은 궁극적으로 (c) 하강하는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의 이동 속도를 산정한 후, (d) 산정된 이동 속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건반의 누름세기를 결정하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c-1) 누름 동작시 하강하는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과 2개의 제1 IR센서 및 제2 IR 센서(100b) 각각과의 이격거리가 상기 기준 이격거리(D)에 도달하는 시간차(t2-t1)를 측정하고, (c-2) 2개의 IR 센서(100)의 높이차(d*tan(θ)를 상기 시간차(t2-t1)로 나누어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의 이동 속도를 산정하게 된다. 여기서, 'd'는 IR 센서 군(110, 110A, 110B, 110C)을 구성하는 센서들 중 선택된 제1 센서와 제2 센서 간 이격거리이고, 'θ'는 제1 센서와 제2 센서 간 전후방향 경사각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아노 건반용 비접촉식 동작 감지장치(10) 및 감지방법에 따르면, 하나의 IR 센서 군(110, 110A, 110B, 110C)에서 선택되는 2개의 IR 센서(100, 100a, 100b) 상호간 높이차와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 누름 동작시 상기 기준 이격거리에 도달하는 시간차를 이용해 계산되는 건반의 이동속도를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의 누름세기로 결정함으로써, 개별 IR 센서(100)의 비선형적인 응답특성에 불구하고 건반의 누름세기에 대한 우수한 측정 정밀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작 감지장치(10)의 경우 피아노 건반(20, 20A, 20B, 20C)별 높이 공차나 센서 열을 탑재한 장착플레이트(200)의 기울어짐 공차에 상관없이 건반용 동작 감지장치(10)의 초기 세팅이 작업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으로 개시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아니하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수정과 변경은 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범위 또는 이들의 균등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10: 동작 감지장치
100: IR 센서
100a: 제1 IR 센서
100b: 제2 IR 센서
110, 110A, 110B, 110C: IR 센서 군
200: 장착플레이트
300: 마운트 지그 어셈블리
310: 서포트 지그
320: 엘리베이팅 지그
20, 20A, 20B, 20C: 피아노 건반
D: 기준 이격거리
d: 센서 간 이격거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피아노 건반의 하부에서 비접촉식으로 설치되어 피아노 건반의 누름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피아노 건반용 비접촉식 동작 감지장치를 이용한 동작 감지방법으로서,
    (a) 피아노 건반과 기준 이격거리에 놓여진 상태에서 복수의 IR 센서 각각에 대해 측정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표준값으로 할당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IR 센서가 상기 기준 이격거리보다 멀게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IR 센서 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IR 센서로부터 선택되는 2개의 IR 센서를 선정한 상태에서, (c-1) 누름 동작시 하강하는 피아노 건반과 상기 선정된 2개의 IR센서 각각과의 이격거리가 상기 기준 이격거리에 도달하는 시간차를 측정하고, (c-2) 2개의 IR 센서의 높이차를 상기 시간차로 나누어 피아노 건반의 이동 속도를 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산정된 이동 속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건반의 누름 세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아노 건반용 비접촉식 동작 감지장치는 복수의 피아노 건반 각각의 연장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할 때, 피아노 건반에 대한 이격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IR 센서; 상기 복수의 IR 센서가 장착되는 장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IR 센서는 피아노 건반 각각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행으로 배치되는 IR 센서 군으로 그룹화되고, 상기 IR 센서 군 각각은 이에 대응되는 피아노 건반 각각의 누름 동작시 그 이격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단위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감지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IR 센서 군을 구성하는 일군의 IR 센서들은 전후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감지방법.
KR1020190156626A 2019-11-29 2019-11-29 피아노 건반용 비접촉식 동작 감지장치 및 방법 KR102305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626A KR102305295B1 (ko) 2019-11-29 2019-11-29 피아노 건반용 비접촉식 동작 감지장치 및 방법
PCT/KR2020/016598 WO2021107537A1 (ko) 2019-11-29 2020-11-23 피아노 건반용 비접촉식 동작 감지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626A KR102305295B1 (ko) 2019-11-29 2019-11-29 피아노 건반용 비접촉식 동작 감지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233A KR20210067233A (ko) 2021-06-08
KR102305295B1 true KR102305295B1 (ko) 2021-09-27

Family

ID=76130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626A KR102305295B1 (ko) 2019-11-29 2019-11-29 피아노 건반용 비접촉식 동작 감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05295B1 (ko)
WO (1) WO202110753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8956A (ja) * 2005-09-13 2007-03-29 Casio Comput Co Ltd 演奏教習装置および演奏教習処理のプログラム
JP2016148603A (ja) * 2015-02-13 2016-08-18 ヤマハ株式会社 位置測定センサ、振動波形出力装置、鍵盤装置、および位置測定センサの取付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8871B2 (ja) * 1993-10-29 2004-06-14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情報センサ
KR100218124B1 (ko) 1996-05-07 1999-09-01 정락원 피아노용 건반 동작 감지 장치
KR101367800B1 (ko) 2013-09-02 2014-03-05 주식회사 다이나톤 피아노 건반의 비접촉식 동작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8956A (ja) * 2005-09-13 2007-03-29 Casio Comput Co Ltd 演奏教習装置および演奏教習処理のプログラム
JP2016148603A (ja) * 2015-02-13 2016-08-18 ヤマハ株式会社 位置測定センサ、振動波形出力装置、鍵盤装置、および位置測定センサの取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7537A1 (ko) 2021-06-03
KR20210067233A (ko)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8268B2 (ja) 寸法測定装置
US5001339A (en) Opto-electronic sensing method and device for an acoustic piano
JP4694484B2 (ja) 対象物により反射された光を測定することによって対象物の位置を光学的に検出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20061217A1 (en) Electronic input device
US20060218805A1 (en) Laser transmitter with thermally induced error compensation and method of transmitter compensation
WO2006001756A1 (en) Measurement probe for use in coordinate measuring machines
US20020005954A1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transmission and reflection properties of objects and surfaces
US5231283A (en) Opto-electronic sensing method and device for an acoustic piano
GB2179148A (en) Determining headlamp beam alignment
WO2017143358A2 (en) Height measuring device
KR102305295B1 (ko) 피아노 건반용 비접촉식 동작 감지장치 및 방법
US201502096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selected exercise resistance
KR102211225B1 (ko) 건반악기 방음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캘리브레이션 방법
WO1996029121A1 (fr) Systeme de mesure d'un deplacement (position initiale et course), notamment pour appareil d'exercices sportifs ou reeducation
CN109683168A (zh) 一种几何法激光成像测距装置及其测量方法
KR20100106015A (ko) 휴대폰 카메라의 액츄에이터 측정시스템
US20120293792A1 (en) Optical angular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5883718A (en) Optical sensing system for detecting displacements of a slidable frame along an elongated plate
US6628373B2 (en) Laser transmitter with thermally induced error compensation and method of transmitter compensation
JPH0875413A (ja) 測距装置
CN108709568B (zh) 倾斜仪检测装置
JP4712175B2 (ja) 基準計測方法
CN112985548A (zh) 一种跟踪式水位仪校验装置和利用其进行校验的方法
JP3377114B2 (ja) 鍵盤装置
JP2727719B2 (ja) 自動ピアノの鍵変位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