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239B1 -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239B1
KR102304239B1 KR1020200005819A KR20200005819A KR102304239B1 KR 102304239 B1 KR102304239 B1 KR 102304239B1 KR 1020200005819 A KR1020200005819 A KR 1020200005819A KR 20200005819 A KR20200005819 A KR 20200005819A KR 102304239 B1 KR102304239 B1 KR 102304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xtract
cleansing
natural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2439A (ko
Inventor
문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티피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티피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티피엘
Priority to KR1020200005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2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92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2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Abstract

본 발명은 라임오일(lime oil), 로즈마리잎오일(Rosemary Leaf oil), 조조바 오일(jojoba oil), 미네랄 오일(mineral oil), 살구씨 오일(apricot kernel oil) 등을 포함하는 천연오일; 수크로오스라우레이트(sucrose laurate) 등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목화다래 추출물, 알란토인 등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클렌징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표면에 묻어있는 다양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피부를 청결하게 하고, 촉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며, 천연물질에 의한 사용안정성 및 보관용이성을 향상시킨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Cleansing water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라임오일(lime oil), 로즈마리잎오일(Rosemary Leaf oil), 조조바 오일(jojoba oil), 미네랄 오일(mineral oil), 살구씨 오일(apricot kernel oil) 등을 포함하는 천연오일; 수크로오스라우레이트(sucrose laurate) 등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목화다래 추출물, 알란토인 등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클렌징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표면에 묻어있는 다양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피부를 청결하게 하고, 촉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며, 천연물질에 의한 사용안정성 및 보관용이성을 향상시킨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에서 분비되는 피지와 땀, 염분 등의 내사 물질이 존재하며, 피지 등이 장기간 공기 중에 노출되어 있어 산소나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들의 영향을 받아 간단히 산화, 분해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피부 위에 있는 여러 노폐물을 없애는데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클렌저 제품들이 있으며 이러한 오염물질을 제거해 주는 과정을 클렌징이라 한다.
클렌징을 충분히 하지 않으면 피부에 남아 있는 노폐물로 인해 피부의 정상적인 분비작용, 신진대사 등의 생리적 기능이 저하되고, 모공이 막혀 여드름이나 피부 트러블의 원인으로 적용한다.
클렌징 워터(cleansing water)는 액상 형태의 세정제로 끈적임이 없으며 화장수, 계면활성제, 에탄올을 소량으로 배합한 제품이다. 계면활성제의 양을 과도하게 높이게 되면 끈적이고 사용감이 나빠지는 결점이 있어 클렌징 워터에는 보통 3 ~ 5 % 정도의 계면활성제를 배합하고 있다. 사용감은 산뜻하지만 세정력이 약해 진한 화장보다는 가벼운 메이크업을 클렌징 할 때 적합하다.
본 발명은 상기 클렌징 워터에 관한 것으로서,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사용안정성을 높여주며, 세안효과와 함께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108312(공개일자 2019년09월24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29502(등록일자 2016년06월03일)
본 발명은 라임오일(lime oil), 로즈마리잎오일(Rosemary Leaf oil), 조조바 오일(jojoba oil), 미네랄 오일(mineral oil), 살구씨 오일(apricot kernel oil) 등을 포함하는 천연오일; 수크로오스라우레이트(sucrose laurate) 등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목화다래 추출물, 알란토인 등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클렌징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표면에 묻어있는 다양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피부를 청결하게 하고, 촉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며, 천연물질에 의한 사용안정성 및 보관용이성을 향상시킨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라임오일(lime oil) 5.0 ~ 10.0 wt%, 로즈마리잎오일(Rosemary Leaf oil) 5.0 ~ 10.0 wt%, 조조바 오일(jojoba oil) 10.0 ~ 50.0 wt%, 미네랄 오일(mineral oil) 20.0 ~ 60.0 wt%, 살구씨 오일(apricot kernel oil) 5.0 ~ 30.0 wt%, 스위트 아몬드 오일(sweet almond oil) 0.1 ~ 10.0 wt%, 포도씨 오일(grape seed oil) 0.1 ~ 10.0 wt%, 올리브 오일(olive oil) 0.1 ~ 10.0 wt%, 해바라기씨 오일(sunflower oil) 0.1 ~ 10.0 wt%, 라벤더 오일(lavender oil) 0.1 ~ 10.0 wt%, 코코넛 오일(coconut oil) 0.1 ~ 10.0 wt%로 구성되는 100.0 wt%의 천연오일;
수크로오스라우레이트(sucrose laurate) 40.0 ~ 60.0 wt%와,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polyglyceryl-10 oleate) 40.0 ~ 60.0 wt%로 구성되는 100.0 wt%의 계면활성제;
목화다래 추출물 50.0 ~ 80.0 wt%, 알란토인 추출물 5.0 ~ 10.0 wt%, 블루베리 추출물 5.0 ~ 10.0 wt%, 머루 추출물 5.0 ~ 10.0 wt%, 소목 추출물 5.0 ~ 10.0 wt%로 구성되는 100.0 wt%의 천연클렌징추출물;을 포함하는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는,
라임오일(lime oil) 5.0 ~ 10.0 wt%, 로즈마리잎오일(Rosemary Leaf oil) 5.0 ~ 10.0 wt%, 조조바 오일(jojoba oil) 10.0 ~ 50.0 wt%, 미네랄 오일(mineral oil) 20.0 ~ 60.0 wt%, 살구씨 오일(apricot kernel oil) 5.0 ~ 30.0 wt%, 스위트 아몬드 오일(sweet almond oil) 0.1 ~ 10.0 wt%, 포도씨 오일(grape seed oil) 0.1 ~ 10.0 wt%, 올리브 오일(olive oil) 0.1 ~ 10.0 wt%, 해바라기씨 오일(sunflower oil) 0.1 ~ 10.0 wt%, 라벤더 오일(lavender oil) 0.1 ~ 10.0 wt%, 코코넛 오일(coconut oil) 0.1 ~ 10.0 wt%로 구성되는 100.0 wt%의 천연오일 5.0 ~ 20.0 wt%;
수크로오스라우레이트(sucrose laurate) 40.0 ~ 60.0 wt%와,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polyglyceryl-10 oleate) 40.0 ~ 60.0 wt%로 구성되는 100.0 wt%의 계면활성제 0.5 ~ 10.0 wt%;
목화다래 추출물 50.0 ~ 80.0 wt%, 알란토인 추출물 5.0 ~ 10.0 wt%, 블루베리 추출물 5.0 ~ 10.0 wt%, 머루 추출물 5.0 ~ 10.0 wt%, 소목 추출물 5.0 ~ 10.0 wt%로 구성되는 100.0 wt%의 천연클렌징추출물 0.5 ~ 10.0 wt%;
글리세린(Glycerin) 0.4 ~ 3.0 wt%;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0.2 ~ 1.5 wt%;
정제수(water) 잔량;으로 구성되는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은,
라임오일(lime oil), 로즈마리잎오일(Rosemary Leaf oil), 조조바 오일(jojoba oil), 미네랄 오일(mineral oil), 살구씨 오일(apricot kernel oil), 스위트 아몬드 오일(sweet almond oil), 포도씨 오일(grape seed oil), 올리브 오일(olive oil), 해바라기씨 오일(sunflower oil), 라벤더 오일(lavender oil), 코코넛 오일(coconut oil)로 구성되는 천연오일; 수크로오스라우레이트(sucrose laurate),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polyglyceryl-10 oleate)로 구성되는 계면활성제; 목화다래 추출물, 알란토인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머루 추출물, 소목 추출물로 구성되는 천연클렌징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표면에 묻어있는 다양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피부 청결효과가 뛰어나고, 촉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며, 천연물질에 의한 피부자극, 홍반 발생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아 사용안정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천연추출물의 방부제를 사용하여 사용 및 보관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종래 클렌징 워터 화장료 제조시에 사용하던 합성색소, 알콜, 파라벤 등의 물질을 전혀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친환경제품으로서의 기능성이 뛰어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은
라임오일(lime oil) 5.0 ~ 10.0 wt%,
로즈마리잎오일(Rosemary Leaf oil) 5.0 ~ 10.0 wt%,
조조바 오일(jojoba oil) 10.0 ~ 50.0 wt%,
미네랄 오일(mineral oil) 20.0 ~ 60.0 wt%,
살구씨 오일(apricot kernel oil) 5.0 ~ 30.0 wt%,
스위트 아몬드 오일(sweet almond oil) 0.1 ~ 10.0 wt%,
포도씨 오일(grape seed oil) 0.1 ~ 10.0 wt%,
올리브 오일(olive oil) 0.1 ~ 10.0 wt%,
해바라기씨 오일(sunflower oil) 0.1 ~ 10.0 wt%,
라벤더 오일(lavender oil) 0.1 ~ 10.0 wt%,
코코넛 오일(coconut oil) 0.1 ~ 10.0 wt%로 구성되는 100.0 wt%의 천연오일;
수크로오스라우레이트(sucrose laurate) 40.0 ~ 60.0 wt%와,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polyglyceryl-10 oleate) 40.0 ~ 60.0 wt%로 구성되는 100.0 wt%의 계면활성제;
목화다래 추출물 50.0 ~ 80.0 wt%, 알란토인 추출물 5.0 ~ 10.0 wt%, 블루베리 추출물 5.0 ~ 10.0 wt%, 머루 추출물 5.0 ~ 10.0 wt%, 소목 추출물 5.0 ~ 10.0 wt%로 구성되는 100.0 wt%의 천연클렌징추출물;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라임오일(lime oil) 5.0 ~ 10.0 wt%, 로즈마리잎오일(Rosemary Leaf oil) 5.0 ~ 10.0 wt%, 조조바 오일(jojoba oil) 10.0 ~ 50.0 wt%, 미네랄 오일(mineral oil) 20.0 ~ 60.0 wt%, 살구씨 오일(apricot kernel oil) 5.0 ~ 30.0 wt%, 스위트 아몬드 오일(sweet almond oil) 0.1 ~ 10.0 wt%, 포도씨 오일(grape seed oil) 0.1 ~ 10.0 wt%, 올리브 오일(olive oil) 0.1 ~ 10.0 wt%, 해바라기씨 오일(sunflower oil) 0.1 ~ 10.0 wt%, 라벤더 오일(lavender oil) 0.1 ~ 10.0 wt%, 코코넛 오일(coconut oil) 0.1 ~ 10.0 wt%로 구성되는 100.0 wt%의 천연오일 5.0 ~ 20.0 wt%;
수크로오스라우레이트(sucrose laurate) 40.0 ~ 60.0 wt%와,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polyglyceryl-10 oleate) 40.0 ~ 60.0 wt%로 구성되는 100.0 wt%의 계면활성제 0.5 ~ 10.0 wt%;
목화다래 추출물 50.0 ~ 80.0 wt%, 알란토인 추출물 5.0 ~ 10.0 wt%, 블루베리 추출물 5.0 ~ 10.0 wt%, 머루 추출물 5.0 ~ 10.0 wt%, 소목 추출물 5.0 ~ 10.0 wt%로 구성되는 100.0 wt%의 천연클렌징추출물 0.5 ~ 10.0 wt%;
글리세린(Glycerin) 0.4 ~ 3.0 wt%;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0.2 ~ 1.5 wt%;
정제수(water) 잔량;으로 구성된다.
일례로서, 상기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오일 5.0 ~ 20.0 wt%; 계면활성제 0.5 ~ 10.0 wt%; 천연클렌징추출물 0.5 ~ 10.0 wt%; 글리세린(Glycerin) 0.4 ~ 3.0 wt%;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40 Hydrogenated Castor Castor Oil) 0.2 ~ 1.5 wt%; 정제수(water) 60.4 ~ 80.5 wt%;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 및 유통과정에서의 변질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천연방부제를 포함한다.
상기 천연방부제는 소목과 에탄올을 1 : 5 ~ 10 중량비로 혼합한 후, 상온에서 24 시간 침출시킨 후 1차 추출액을 여과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2회 반복하여 여과한 추출액을 혼합하여 58 ~ 63 ℃에서 5 ~ 7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한 소목추출물 10.0 ~ 30.0 wt%,
밤나무 잎과 에탄올을 1 : 10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실온에서 22 ~ 26 시간 동안 침지하여 상징액과 침전물을 분리하고, 동일한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한 추출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58 ~ 63 ℃에서 5 ~ 7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한 밤나무잎 추출물 10.0 ~ 30.0 wt%,
비타민나무잎과 에탄올을 1 : 15 ~ 25 중량비로 혼합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22 ~ 26 시간 동안 침지하여 상징액과 침전물을 분리하고, 동일한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한 추출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58 ~ 63 ℃에서 5 ~ 7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한 비타민나무잎 추출물 10.0 ~ 30.0 wt%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천연방부제를 사용함으로써, 사용 및 보관에 따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0.2 ~ 5.0 wt%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진정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오이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0.1 ~ 3.0 wt%를 더 포함한다.
또한 재스민, 장미, 오렌지꽃, 은방울꽃, 다마스커스 장미, 금잔화, 수선화, 라벤더, 프리지어, 카모마일 또는 일랑일랑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꽃 추출물; 시트로넬라, 제라늄, 오렌지잎, 세이지, 로즈메리, 민트, 파출리 또는 유칼립투스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잎 추출물; 또는 레몬, 라임 또는 오렌지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과피 추출물; 중 선택되는 어느 1종의 식물성 향료 0.05 ~ 0.5 w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기술 구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천연오일은 라임오일(lime oil) 5.0 ~ 10.0 wt%, 로즈마리잎오일(Rosemary Leaf oil) 5.0 ~ 10.0 wt%, 조조바 오일(jojoba oil) 10.0 ~ 50.0 wt%, 미네랄 오일(mineral oil) 20.0 ~ 60.0 wt%, 살구씨 오일(apricot kernel oil) 5.0 ~ 30.0 wt%, 스위트 아몬드 오일(sweet almond oil) 0.1 ~ 10.0 wt%, 포도씨 오일(grape seed oil) 0.1 ~ 10.0 wt%, 올리브 오일(olive oil) 0.1 ~ 10.0 wt%, 해바라기씨 오일(sunflower oil) 0.1 ~ 10.0 wt%, 라벤더 오일(lavender oil) 0.1 ~ 10.0 wt%, 코코넛 오일(coconut oil) 0.1 ~ 10.0 wt%로 구성된다
상기 라임오일(lime oil)은 Limonene 39.9~94.4%, Gamma-Terpinene 0.1~20.6%, Sabinene 0.1~19.6%, Beta-pinene 0.1~19.2%, Geranila 0.1~6.1%, Para-Cymene 0.1~5.6% 외 30종 이상 함유한다. 항바이러스성, 항박테리아, 살균, 소독, 해열, 혈액순환, 항우울증, 진정의 효과를 갖는다.
상기 로즈마리잎오일(Rosemary Leaf oil)은 로즈마리 잎을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한 100% 순수한 오일이다. 로즈마리는 가늘고 긴 바늘 같은 잎을 갖고 있는 다년생의 식물로서 특유의 강한 향기성분을 갖고 있으며, 다양한 약리효과를 갖고 있어 민간요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로즈마리 추출물의 효능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은 항산화능이다. 로즈마리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Phenol성 화합물과 Flavonoids류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피부에 컨디셔닝을 부여하고 피부의 윤기 및 탄력을 유지하는데 관여하며, 피부 면역을 강화하고 긴장시켜 활력 있고 생기 있는 피부를 가꾸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조조바 오일(jojoba oil)은 주요성분으로는 stearic acid 70%, arachic acid 15%, palmitic acid 10% 등과 모노불포화지방산 oleic acid 7%, 지방족 알코올 docosanol 45%, 1-eicosanol 44%, tetracosanol 9% 등이 있다. 건조성 두피, 건선, 습진, 염증 완화와 과도한 피지축적 조정과 증가 억제능이 있고 진정 작용이 있다.
상기 미네랄 오일(mineral oil)은 목욕용 오일, 모발 관리 제품, 피부 관리용 화장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 및 퍼스널 케어 제품에 사용되어 보습 효과 및 피부 연화를 포함한 많은 효과를 제공한다. 미네랄 오일에 대해 보고된 용도로는 헤어컨디셔닝제, 피부 컨디셔닝제용 피부 연화 크림, 피부 컨디셔닝제용 막 형성제, 피부컨디셔닝제 그리고 용매 등의 용도가 포함된다.
상기 살구씨 오일(apricot kernel oil)은 주요 성분으로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 3~7%, stearic acid 0.5~1.5%, 모노불포화지방산 oleic acid 55~67%, palmitoleic acid 1%, 그리고 폴리불포화지방산 linoleic acid 25~33%, 알파-linolenic acid 1% 이하와 비타민 A, E이다. 피부보호에 뛰어난 유연작용과 영양보급에 유효하며, 쉽게 흡수되는 성질을 갖고 있다.
상기 스위트 아몬드 오일(sweet almond oil)은 주요성분으로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 6-8%, stearic acid 1~2%와, 모노불포화지방산 oleic acid 60~80%, palmitoleic acid 0.6%, 그리고 폴리불포화지방산 linoleic acid 17~30%와, 비타민 A, B1, B2, B6, E이다. 건조의 경감, 자양, 염증의 진정, 습진, 건선, 피부염에 의한 가려움 등의 완화작용이 있다.
상기 포도씨 오일(grape seed oil)은 주요 성분으로 포화지방산 palmitic acid 5~11%, stearic acid 3~6%, arachic acid 1% 이하로 포함되어 있고, 모노불포화지방산 oleic acid 12~20%, palmitoleic acid 1%이하와 폴리불포화지방산 linoleic acid 58~80%로 구성되어 있다. 단백질,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고, 피부 흡수력이 좋아 끈적거림이 거의 없다. 콜레스테롤을 함유하지 않으며 독성이 없어 마사지 오일과 크림에도 사용된다.
상기 올리브 오일(olive oil)은 주요 성분으로 모노불포화지방산 oleic acid 55~80%와 폴리불포화지방산 linolic acid 12%, linoleic acid 1%를 가진다.
상기 해바라기씨 오일(sunflower oil)은 주요 성분으로 포화지방산 palmitic acid 1~10%, arachic acid 1% 이하로 포함되어 있고, 모노불포화지방산 oleic acid 15~35%(최고 70~80%), palmitoleic acid 1% 이하로 되어 있다. 폴리불포화지방산 linolic acid 55~77%와 비타민 A, D, E, 미네랄, Ca, Zn, K, Fe, P 등이 포함되어 있다. 피부에 유연성과 윤택함을 부여하는 효과를 가지므로 마사지 오일로도 널리 사용된다.
상기 라벤더 오일(lavender oil)은 테르펜, 에스테르, 알코올, 알데히드, 케톤 등 다양한 생화학적 성분을 가지며, 주요성분은 리날롤(linalool)과 아세트산리날릴(linalyl acetate)이다. 진통, 항우울, 회복 촉진, 진정에도 효과가 있으며 특히 라벤더 에센셜오일의 주요 성분인 linalool이 자율신경계를 조절하여 혈압 감소 효과를 나타내며 중추신경계와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코코넛 오일(coconut oil)은 코코넛에서 추출한 과육을 햇빛에 말린 코프라(copra)를 열을 가한 후 압착하여 기름을 짜내고 정재,표백,탈취의 공정을 거처 생산한 정제 코코넛 오일을 사용하거나, 또는 야자열매의 과육을 간 후 가열이나 화학물질의 사용 없이 기계식 압착으로 코코넛 밀크 상태의 혼합액을 생산하여 이를 정치 또는 원심 분리한 오일을 사용한다.
상기 천연오일은 세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서, 그 함량이 증가할 수록 세정력이 높아지기는 하나, 다른 성분과의 적정 균형 배합을 위해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0 ~ 20.0 wt%로 사용량을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오일의 구체적인 배합예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성 분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라임오일 5.0 wt% 6.0 wt% 7.0 wt% 5.0 wt% 9.0 wt%
로즈마리잎오일 9.0 wt% 8.0 wt% 7.0 wt% 5.0 wt% 5.0 wt%
조조바 오일 12.0 wt% 13.0 wt% 14.0 wt% 13.0 wt% 10.0 wt%
미네랄 오일 50.0 wt% 52.0 wt% 53.0 wt% 56.0 wt% 58.0 wt%
살구씨 오일 6.0 wt% 7.0 wt% 12.0 wt% 12.0 wt% 10.0 wt%
스위트 아몬드 오일 2.0 wt% 2.0 wt% 2.0 wt% 2.0 wt% 2.0 wt%
포도씨 오일 2.0 wt% 2.0 wt% 1.0 wt% 2.0 wt% 2.0 wt%
올리브 오일 5.0 wt% 3.0 wt% 1.0 wt% 2.0 wt% 1.0 wt%
해바라기씨
오일
5.0 wt% 3.0 wt% 1.0 wt% 2.0 wt% 1.0 wt%
라벤더 오일 2.0 wt% 2.0 wt% 1.0 wt% 0.5 wt% 1.0 wt%
코코넛 오일 2.0 wt% 2.0 wt% 1.0 wt% 0.5 wt% 1.0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상기 계면활성제는 수크로오스라우레이트(sucrose laurate) 40.0 ~ 60.0 wt%와,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polyglyceryl-10 oleate) 40.0 ~ 60.0 wt%로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수크로오스라우레이트(sucrose laurate)는 sucrose와 lauric acid를 합성해서 만든 ester 화합물로 물에 접촉하면 미셸구조를 형성하여 가용화 및 유화의 형태를 나타내는 계면활성제의 종류 중 하나이다.
상기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polyglyceryl-10 oleate)는 5 개의 글리세린 단위체로 된 글리세린폴리머와 올레익애씨드의 에스터 성분으로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다. 피부에 컨디셔닝을 부여하고 피부결을 부드럽게 유연화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그리고 화장품에서 서로 섞이지 않는 다른 성분들의 유화 안정에 도움을 주는 원료로 사용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유성과 수성 성분이 잘 섞이도록 도와주고, 먼지와 피지가 쌓인 얼굴에서 오염물질을 씻어내는 역할을 한다.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5 ~ 10.0 wt%의 범위 내로 사용량을 한정하며,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할 경우 클렌징 기능이 뛰어나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배합예는 다음의 표 2와 같다.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수크로오스라우레이트 40.0 wt% 45.0 wt% 50.0 wt% 55.0 wt% 60.0 wt%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 60.0 wt% 55.0 wt% 50.0 wt% 45.0 wt% 40.0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상기 천연클렌징추출물은 목화다래 추출물 50.0 ~ 80.0 wt%, 알란토인 추출물 5.0 ~ 10.0 wt%, 블루베리 추출물 5.0 ~ 10.0 wt%, 머루 추출물 5.0 ~ 10.0 wt%, 소목 추출물 5.0 ~ 10.0 wt%로 구성된다.
목화는 인도 원산의 일년생 초본 식물로 아욱과(Malvaceae), 목화속(Gossypium)에 속한다. 목화의 성분은 gossypol, flavonoid, phenolic acid, salicylic acid, betaine 외에 여러 가지 gossypol유도체와 fatty acids가 알려져 있다. 목화다래 추출물은 catechin, (-)-epigallocatechin, quercetin등의 flavonoid 성분과 (-)-geranyllinalool, methyl caffeate, methyl linolenate, β-sitosterol 및 기타 무기물을 미량 함유하고 있다.
알란토인은 여러해살이 풀인 캄프리(comfrey) 뿌리, 상수리나무, 밀의 배아, 담배의 종자 및 오줌 등 동물, 박테리아 및 식물을 포함하여 다양한 유기체에 의해 생산되는 천연 화합물이다. 상기 알란토인의 화학식은 C4H6N4O3, 밀도 1.45 g/ml, 분자량 158.12 g/mol, 녹는점 130 ℃, 분해점 230~231 ℃이다. 긴 바늘 모양 결정이고, 성상은 무색, 백색의 결정성 분말로 냄새와 맛이 없다.
블루베리는(Vaccinium corybuwum)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온화한 기후의 토양조건에서 성장하는 과실이다. 블루베리에 함유된 안토시아닌, 카로티노이드(Carotinoid),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클로르겐산(Chlorgenic acid), 프로안토시아니딘(Proanthocyanidin)과 같은 페놀화합물은 활성산소를 억제한다.
머루는 쌍떡잎식물 갈매나무목 포도과의 넝쿨성 목본식물이다. 머루는 비타민 C 및 B complex가 풍부하며 무기질의 함량이 높고 특히 antocyanin류와 stilbene류와 같은 polyphenol류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 머루에 함유된 antocyanin류는 cyanidin 3-glucoside, cyanidin 3,5-diglucoside, delphinidin 3-glucoside, delphinidin 3,5-diglucoside, peonidin 3-glucoside, peonidin 3,5-diglucoside, petunidin 3-glucoside, petunidin 3,5-diglucoside, malvidin 3-glucoside, malvidin 3,5-diglucoside가 측정되었으며, stilbene류는 trans-resveratrol, piceatannol, trans-piceid, cis-piceid가 측정되었다).그리고 antocyanin류는 항염증, 항암, 항당뇨, 동맥경화성 지질의 감소,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억제, 시력감소 억제 및 높은 항산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stilbene류 또한 항암, 항염증, 심혈관계 질환에 효과를 나타내며 높은 항산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목(CaesalpiniasappanL.)은 인도 말레이시아, 중국 남부 등의 열대 아시아에 분포하는 낙엽 관목의 콩과 식물이다.
소목 추출물에 관한 생리활성 연구로는, 항통증(analgesic), 항염증(antiinflammatory), 조혈강장(bloodtonic), 거담(expectorant), 통경(emmenagogue), 진정(spasmolyticactivity), 항경련(anticonvulsant), 진 경(spasmolyticactivity), 혈관이완(vasorelaxation), 항동맥경화(antiatherogenic), 항보체활성(anticomplementary), 면역조절(immunomodulation), 면역작용의 유도(induction ofimmunomodulation), 항균(antimicrobial), 세포독성(cytotoxic), 항바이러스(antiviral), 혈당저하(hypoglycemic), 항산화 효과(antioxidation)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상기 천연추출물로 구성된 천연클렌징추출물은 피부에 적용시 자극 없이 피부 세정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천연클렌징추출물의 사용량은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0.5 ~ 10.0 wt%의 범위 내로 한정된다.
상기 사용량이 0.5 wt% 미만인 경우 천연클렌징추출물에 의한 클렌징 효과 상승을 기대하기 어렵고, 1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사용으로 인한 제조 단가의 상승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천연클렌징추출물의 사용량은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0.5 ~ 1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클렌징추출물의 구체적인 배합예는 다음의 표 3과 같다.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목화다래
추출물
70.0 wt% 75.0 wt% 76.0 wt% 77.0 wt% 79.0 wt%
알란토인
추출물
9.0 wt% 9.0 wt% 8.0 wt% 8.0 wt% 7.0 wt%
블루베리
추출물
9.0 wt% 8.0 wt% 7.0 wt% 7.0 wt% 6.0 wt%
머루 추출물 9.0 wt% 5.0 wt% 4.0 wt% 6.0 wt% 6.0 wt%
소목 추출물 3.0 wt% 3.0 wt% 5.0 wt% 2.0 wt% 2.0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상기 천연오일, 계면활성제 및 천연클렌징추출물을 포함하는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배합비를 살펴보면 다음의 표 4와 같다.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천연오일 8.0 wt% 12.0 wt% 15.0 wt% 18.0 wt% 20.0 wt%
계면활성제 7.0 wt% 5.0 wt% 4.0 wt% 5.0 wt% 6.0 wt%
천연클렌징추출물 8.0 wt% 7.5 wt% 7.0 wt% 6.5 wt% 6.0 wt%
글리세린(Glycerin) 1.5 wt% 1.7 wt% 2.0 wt% 2.5 wt% 2.7 wt%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7 wt% 0.8 wt% 1.0 wt% 1.2 wt% 1.4 wt%
정제수(water) 74.8 wt% 73.0 wt% 71.0 wt% 66.8 wt% 63.9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상기 천연오일, 계면활성제, 천연클렌징추출물 및 천연방부제를 포함하는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배합비를 살펴보면 다음의 표 5와 같다.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천연오일 24.5 wt% 25.0 wt% 25.5 wt% 27.0 wt% 30.5 wt%
계면활성제 7.0 wt% 5.0 wt% 4.0 wt% 5.0 wt% 6.0 wt%
천연클렌징추출물 8.0 wt% 7.5 wt% 7.0 wt% 6.5 wt% 6.0 wt%
천연방부제 1.5 wt% 2.0 wt% 2.5 wt% 3.0 wt% 4.5 wt%
글리세린(Glycerin) 1.5 wt% 1.7 wt% 2.0 wt% 2.5 wt% 2.7 wt%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7 wt% 0.8 wt% 1.0 wt% 1.2 wt% 1.4 wt%
정제수(water) 56.8 wt% 58.0 wt% 58.0 wt% 54.8 wt% 48.9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상기 천연오일, 계면활성제, 천연클렌징추출물 및 오이추출물을 포함하는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배합비를 살펴보면 다음의 표 6과 같다.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천연오일 25.5 wt% 26.0 wt% 26.5 wt% 28.0 wt% 32.5 wt%
계면활성제 7.0 wt% 5.0 wt% 4.0 wt% 5.0 wt% 6.0 wt%
천연클렌징추출물 8.0 wt% 7.5 wt% 7.0 wt% 6.5 wt% 6.0 wt%
오이추출물 0.5 wt% 1.0 wt% 1.5 wt% 2.0 wt% 2.5 wt%
글리세린(Glycerin) 1.5 wt% 1.7 wt% 2.0 wt% 2.5 wt% 2.7 wt%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7 wt% 0.8 wt% 1.0 wt% 1.2 wt% 1.4 wt%
정제수(water) 56.8 wt% 58.0 wt% 58.0 wt% 54.8 wt% 48.9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상기 천연오일, 계면활성제, 천연클렌징추출물, 천연방부제 및 식물성 향료를 포함하는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배합비를 살펴보면 다음의 표 7과 같다.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천연오일 24.45 wt% 24.9 wt% 25.3 wt% 26.75 wt% 30.2 wt%
계면활성제 7.0 wt% 5.0 wt% 4.0 wt% 5.0 wt% 6.0 wt%
천연클렌징추출물 8.0 wt% 7.5 wt% 7.0 wt% 6.5 wt% 6.0 wt%
천연방부제 1.5 wt% 2.0 wt% 2.5 wt% 3.0 wt% 4.5 wt%
식물성 향료 0.05 wt% 0.1 wt% 0.2 wt% 0.25 wt% 0.3 wt%
글리세린(Glycerin) 1.5 wt% 1.7 wt% 2.0 wt% 2.5 wt% 2.7 wt%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7 wt% 0.8 wt% 1.0 wt% 1.2 wt% 1.4 wt%
정제수(water) 56.8 wt% 58.0 wt% 58.0 wt% 54.8 wt% 48.9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상기 천연오일, 계면활성제, 천연클렌징추출물, 오이추출물 및 식물성 향료를 포함하는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배합비를 살펴보면 다음의 표 8과 같다.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천연오일 25.45 wt% 25.9 wt% 26.3 wt% 27.75 wt% 32.2 wt%
계면활성제 7.0 wt% 5.0 wt% 4.0 wt% 5.0 wt% 6.0 wt%
천연클렌징추출물 8.0 wt% 7.5 wt% 7.0 wt% 6.5 wt% 6.0 wt%
오이추출물 0.5 wt% 1.0 wt% 1.5 wt% 2.0 wt% 2.5 wt%
식물성 향료 0.05 wt% 0.1 wt% 0.2 wt% 0.25 wt% 0.3 wt%
글리세린(Glycerin) 1.5 wt% 1.7 wt% 2.0 wt% 2.5 wt% 2.7 wt%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7 wt% 0.8 wt% 1.0 wt% 1.2 wt% 1.4 wt%
정제수(water) 56.8 wt% 58.0 wt% 58.0 wt% 54.8 wt% 48.9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상기 천연오일, 계면활성제, 천연클렌징추출물, 천연방부제, 오이추출물 및 식물성 향료를 포함하는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배합비를 살펴보면 다음의 표 9와 같다.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천연오일 23.95 wt% 23.9 wt% 23.8 wt% 24.75 wt% 27.7 wt%
계면활성제 7.0 wt% 5.0 wt% 4.0 wt% 5.0 wt% 6.0 wt%
천연클렌징추출물 8.0 wt% 7.5 wt% 7.0 wt% 6.5 wt% 6.0 wt%
천연방부제 1.5 wt% 2.0 wt% 2.5 wt% 3.0 wt% 4.5 wt%
오이추출물 0.5 wt% 1.0 wt% 1.5 wt% 2.0 wt% 2.5 wt%
식물성 향료 0.05 wt% 0.1 wt% 0.2 wt% 0.25 wt% 0.3 wt%
글리세린(Glycerin) 1.5 wt% 1.7 wt% 2.0 wt% 2.5 wt% 2.7 wt%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7 wt% 0.8 wt% 1.0 wt% 1.2 wt% 1.4 wt%
정제수(water) 56.8 wt% 58.0 wt% 58.0 wt% 54.8 wt% 48.9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시험예]
본 평가는 27 내지 45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상기 표 4 내지 표 9의 배합예 1에 따라 제조된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을 일례로서, 실시예 1 내지 6이라 하고, 클렌징 크림과 폼클렌저를 함께 사용하여 클렌징하는 이중세안을 비교예 1로 하여, 클렌징 효과에 대한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클렌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립스틱을 양 팔에 도포한 후 클렌징워터와 이중세안을 통한 세정력에 대해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때, 세정력, 수분, 자극으로 항목을 구분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 20명 중 15명 이상이 「우수하다」라는 평가.
○ : 20명 중 10 내지 14명 이상이 「우수하다」라는 평가.
△ : 20명 중 6 내지 9명 이상이 「우수하다」라는 평가.
X : 20명 중 5명 이하가 「우수하다」라는 평가.
구분 세정력 수분 자극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상기 표 10을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 방식의 이중세안과 유사 수준의 세정력을 가지면서도 피부당김, 자극 정도가 매우 낮아 그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표면에 묻어있는 다양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피부를 청결효과가 뛰어나고, 촉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며, 천연물질에 의한 피부자극, 홍반 발생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아 사용안정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천연추출물의 방부제를 사용하여 사용 및 보관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짐으로써,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Claims (7)

  1. 라임오일(lime oil) 5.0 ~ 10.0 wt%, 로즈마리잎오일(Rosemary Leaf oil) 5.0 ~ 10.0 wt%, 조조바 오일(jojoba oil) 10.0 ~ 50.0 wt%, 미네랄 오일(mineral oil) 20.0 ~ 60.0 wt%, 살구씨 오일(apricot kernel oil) 5.0 ~ 30.0 wt%, 스위트 아몬드 오일(sweet almond oil) 0.1 ~ 10.0 wt%, 포도씨 오일(grape seed oil) 0.1 ~ 10.0 wt%, 올리브 오일(olive oil) 0.1 ~ 10.0 wt%, 해바라기씨 오일(sunflower oil) 0.1 ~ 10.0 wt%, 라벤더 오일(lavender oil) 0.1 ~ 10.0 wt%, 코코넛 오일(coconut oil)로 구성되는 100.0 wt%의 천연오일;
    수크로오스라우레이트(sucrose laurate) 40.0 ~ 60.0 wt%와,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polyglyceryl-10 oleate) 40.0 ~ 60.0 wt%로 구성되는 100.0 wt%의 계면활성제;
    목화다래 추출물 50.0 ~ 80.0 wt%, 알란토인 추출물 5.0 ~ 10.0 wt%, 블루베리 추출물 5.0 ~ 10.0 wt%, 머루 추출물 5.0 ~ 10.0 wt%, 소목 추출물 5.0 ~ 10.0 wt%로 구성되는 100.0 wt%의 천연클렌징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오이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
  4. 라임오일(lime oil) 5.0 ~ 10.0 wt%, 로즈마리잎오일(Rosemary Leaf oil) 5.0 ~ 10.0 wt%, 조조바 오일(jojoba oil) 10.0 ~ 50.0 wt%, 미네랄 오일(mineral oil) 20.0 ~ 60.0 wt%, 살구씨 오일(apricot kernel oil) 5.0 ~ 30.0 wt%, 스위트 아몬드 오일(sweet almond oil) 0.1 ~ 10.0 wt%, 포도씨 오일(grape seed oil) 0.1 ~ 10.0 wt%, 올리브 오일(olive oil) 0.1 ~ 10.0 wt%, 해바라기씨 오일(sunflower oil) 0.1 ~ 10.0 wt%, 라벤더 오일(lavender oil) 0.1 ~ 10.0 wt%, 코코넛 오일(coconut oil) 0.1 ~ 10.0 wt%로 구성되는 100.0 wt%의 천연오일 8.0 ~ 20.0 wt%;
    수크로오스라우레이트(sucrose laurate) 40.0 ~ 60.0 wt%와,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polyglyceryl-10 oleate) 40.0 ~ 60.0 wt%로 구성되는 100.0 wt%의 계면활성제 0.5 ~ 10.0 wt%;
    목화다래 추출물 50.0 ~ 80.0 wt%, 알란토인 추출물 5.0 ~ 10.0 wt%, 블루베리 추출물 5.0 ~ 10.0 wt%, 머루 추출물 5.0 ~ 10.0 wt%, 소목 추출물 5.0 ~ 10.0 wt%로 구성되는 100.0 wt%의 천연클렌징추출물 0.5 ~ 10.0 wt%;
    글리세린(Glycerin) 0.4 ~ 3.0 wt%;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0.2 ~ 1.5 wt%;
    정제수(water) 잔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05819A 2020-01-16 2020-01-16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 KR102304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819A KR102304239B1 (ko) 2020-01-16 2020-01-16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819A KR102304239B1 (ko) 2020-01-16 2020-01-16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439A KR20210092439A (ko) 2021-07-26
KR102304239B1 true KR102304239B1 (ko) 2021-09-23

Family

ID=7712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819A KR102304239B1 (ko) 2020-01-16 2020-01-16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239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261A (ko) * 2007-11-28 2009-06-0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소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의 개선 및치료용 조성물
KR101694938B1 (ko) * 2013-04-10 2017-01-11 주식회사 유엑스엔 골드비드를 함유한 비누,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누, 화장품 제조방법
KR101508559B1 (ko) * 2013-06-14 2015-04-0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목화다래 및 목화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629502B1 (ko) 2013-10-23 2016-06-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정효과가 우수한 저자극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8312A (ko) 2018-03-14 2019-09-24 그린코스 주식회사 3계열의 계면활성제와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을 포함한 투명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439A (ko) 202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urjai et al. Plants used in cosmetics
KR102460827B1 (ko) 진피-메밀 복합 발효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천연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KR102366247B1 (ko) 물티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48601B1 (ko) 일회용 위생 티슈
KR20180137101A (ko)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78564A (ko) 피부 진정 및 보습 유지 효과가 우수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Desam et al. The importance of natural products in cosmetics
KR101064419B1 (ko) 수세미 열매 속 섬유질을 함유하는 천연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52604B1 (ko) 코코넛 추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천연 샴푸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2675B1 (ko) 천연 비누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79094B1 (ko) 천연 정유 성분 및 그의 하이드로졸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4239B1 (ko)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
KR20160046024A (ko)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비누 조성물
KR102271354B1 (ko) 오일 고함유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CN104946434A (zh) 一种纯天然护肤香皂及其制备方法
KR100892468B1 (ko) 고형의 한방비누를 제조하는 방법
KR101896252B1 (ko) 해조류를 포함하는 천연비누 조성물
KR102293602B1 (ko) 마스카라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0970743B1 (ko) 천연 토코페롤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제조된 천연 토코페롤 비누
Dwivedi et al. Cosmetic potential of selected medicinal plants: A review
KR101790250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KR102323659B1 (ko) 천연오일 성분이 함유된 탈모방지 기능성 비누
KR102212738B1 (ko) 천연성분을 이용한 클렌징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클렌저
KR20110008978A (ko) 대추나무잎을 이용한 비누
JP6651104B1 (ja) 外用組成物の生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