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162B1 - 브러시 홀더장치 - Google Patents

브러시 홀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162B1
KR102304162B1 KR1020200064508A KR20200064508A KR102304162B1 KR 102304162 B1 KR102304162 B1 KR 102304162B1 KR 1020200064508 A KR1020200064508 A KR 1020200064508A KR 20200064508 A KR20200064508 A KR 20200064508A KR 102304162 B1 KR102304162 B1 KR 102304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locking
holder
uni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래훈
Original Assignee
(주)베스트카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스트카본 filed Critical (주)베스트카본
Priority to KR1020200064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7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leaf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38Brush holders
    • H01R39/381Brush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pressure to brus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38Brush holders
    • H01R39/39Brush holders wherein the brush is fixedly mounted in the h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Abstract

브러시 홀더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브러시 홀더장치는: 브러시가 복수개 장착되는 홀더부와, 홀더부에 연이어 설치되며 홀더부에 고정되는 몸체부와, 탄성을 구비한 재질로 성형되며 일측은 홀더부에 장착된 브러시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타측은 몸체부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락킹부와, 몸체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락킹부의 타측과 마주하는 위치에 제어홈부가 구비되는 락킹조절부 및 락킹조절부에 연결되어 회전이 동기화되며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브러시 홀더장치{BRUSH HOLDER DEVICE}
본 발명은 브러시 홀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 발전기의 여자 전류 공급용으로 사용되는 브러시 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기는 크게 고정자와 회전자로 나뉘어지며, 계자역할을 하는 회전자에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브러시를 사용하며, 이러한 브러시는 브러시 홀더장치에 장착된다.
브러시는 중형 또는 대형 발전기의 여자전류 공급용으로 사용되며, 전기기기용 브러시에 리드와이어를 접속하여 전류를 흐르게 한다.
브러시 홀더장치는 브러시 리깅(BRUSH RIGGING)에 취부하여 사용이 이루어진다. 브러시위 교환이나 점검을 위해 수시로 브러시 홀더장치의 착탈 작업이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서는 브러시 홀더장치에 취부된 브러시의 착탈 작업도 이루어진다.
브러시 홀더장치에 복수의 브러시를 장착하지 못하므로 설치공간의 제약이 발생하며, 브러시에 전기가 공급되므로 안전사고의 유지보수 작업 중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37745호(2002.05.10 등록, 발명의 명칭: 브러시홀더)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브러시를 취부하는 홀더부와 브러시의 이동을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핸들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브러시 홀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브러시를 장작할 수 있는 브러시 홀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브러시의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브러시 홀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홀더장치는, 브러시가 복수개 장착되는 홀더부와, 홀더부에 연이어 설치되며 홀더부에 고정되는 몸체부와, 탄성을 구비한 재질로 성형되며 일측은 홀더부에 장착된 브러시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타측은 몸체부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락킹부와, 몸체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락킹부의 타측과 마주하는 위치에 제어홈부가 구비되는 락킹조절부 및 락킹조절부에 연결되어 회전이 동기화되며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홀더부는, 몸체부에 연결되며 몸체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홀더몸체와, 브러시를 관통하는 막대 형상이며 홀더몸체에 고정되는 복수의 가이드핀과, 가이드핀에 장착되는 브러시와 이웃한 브러시의 사이에 격벽을 형성하며 홀더몸체에 고정되는 구획벽 및 구획벽에 고정되며 탄성을 구비하는 재질로 성형되고 가이드핀에 장착된 브러시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탄성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핀은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홀더몸체에 고정되고, 브러시는 가이드핀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탄성가압부는 나선형으로 권선되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탄성가압부의 양측에는 가이드핀이 위치하며, 가이드핀을 따라 이동되는 브러시에 밀려서 탄성가압부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부는, 홀더부에 연결되며 판 형상으로 설치되고 락킹부와 마주하는 내측에 중공부를 형성하는 베이스부재 및 베이스부재에서 연장되며 락킹조절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락킹부는, 베이스부재에 고정되는 락킹플레이트 및 락킹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일측은 브러시를 향하여 굽어지며 타측은 락킹조절부를 향한 방향으로 굽어지며 락킹조절부의 회전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어 브러시의 이동을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잠금부재는, 홀더부를 향한 방향으로 굽어지는 제1돌기부와, 락킹조절부를 향한 방향으로 굽어지는 제2돌기부 및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를 연결하는 잠금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잠금몸체의 일측에 제1돌기부가 연결되며 잠금몸체의 타측에 제2돌기부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잠금몸체를 중심으로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락킹조절부는,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봉 형상의 회전몸체 및 제2돌기부와 마주하는 회전몸체에 홈부를 형성하는 락킹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는, 락킹조절부에 연결되는 커넥터부 및 커넥터부에 연결되며 부도체로 성형되고 손잡이 형상을 구비하는 핸들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홀더장치는, 핸들부와 함께 브러시가 장착된 홀더부가 이동될 수 있으며, 핸들부를 돌리는 동작에 의해 브러시의 이동이 구속되거나 해제되므로 브러시의 유지 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홀더부에 복수의 브러시가 장착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킹조절부의 회전에 의해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락킹부가 이동되어 복수로 설치된 브러시의 착탈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홀더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홀더장치의 핸들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홀더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에 브러시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부가 이동되어 브러시의 이동을 구속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홀더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홀더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홀더장치의 핸들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홀더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홀더장치(1)는, 홀더부(10)와 몸체부(20)와 락킹부(30)와 락킹조절부(40)와 핸들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10)에 브러시(6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부(10)는 브러시(60)가 복수개 장착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10)는, 홀더몸체(12)와 가이드핀(14)과 구회벽과 탄성가압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60)는, 모든 직류모터와 교류모터의 의 발전기용 브러시(60)로 사용될 수 있으며, 지게차와 소형차의 카본브러시(60)와, 교류용 정류자와 슬립링용 카본브러시(60)와, 진공청소기와 믹서기와 쥬스기와 세탁기와 장난감 등을 포함한 가전제품과, 산업용 카본접점과, 전기드릴과 전기대패를 포함한 전동공구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브러시(60)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전기그라인더 및 고속 회전기계 등의 내부에 설치되어 정류자 또는 슬립링의 표면에 접촉되어 통전역할과 정류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60)는 직육면체 형상이며, 가이드핀(14)이 삽입되기 위한 홀부가 가이드핀(14)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된다.
또한 홀더부(10)에 구비된 홀더몸체(12)는, 몸체부(20)에 연결되며 몸체부(20)의 폭방향(W)으로 연장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12)는 몸체부(2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다. 홀더몸체(12)와 몸체부(20)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부재로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홀더몸체(12)는 몸체부(20)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홀더몸체(12)에 가이드핀(14)과 구획벽(16) 등이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핀(14)은 브러시(60)를 관통하는 막대 형상이며 홀더몸체(12)에 고정되는 복수의 부재이다. 또한 가이드핀(14)은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홀더몸체(12)에 고정되고, 브러시(60)는 가이드핀(1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핀(14)은 탄성가압부(18)를 사이에 두고 탄성가압부(18)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된다. 2개가 한 쌍을 이루는 가이드핀(14)은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며, 브러시(60)에 삽입되어 브러시(60)의 측방향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한 쌍을 이루는 가이드핀(14)은 홀더몸체(12)의 폭방향(W)을 따라 복수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총 8개의 가이드핀(14)이 홀더몸체(12)에 설치되므로, 4개의 브러시(60)기 홀더부(10)에 장작될 수 있다.
구획벽(16)은 가이드핀(14)에 장착되는 브러시(60)와 이웃한 브러시(60)의 사이에 격벽을 형성하며, 홀더몸체(12)에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벽(16)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격벽 형상이며, 서로 다른 브러시(60)가 장착되는 가이드핀(14)의 사이에 고정된다. 구회벽의 후방(R)은 홀더몸체(12)에 고정되며, 구획벽(16)의 전방(F) 양측에는 탄성가압부(18)가 설치된다.
탄성가압부(18)는 구획벽(16)에 고정되며, 탄성을 구비하는 재질로 성형된다. 또한 탄성가압부(18)는 가이드핀(14)에 장착된 브러시(60)를 전방(F)으로 가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부(18)는 나선형으로 권선되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가압부(18)의 상하 방향 양측에는 가이드핀(14)이 위치하며, 가이드핀(14)을 따라 이동되는 브러시(60)에 밀려서 탄성가압부(18)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가압부(18)는 나선형으로 권선된 코일 형상으로 설치되며, 브러시(60)의 이동경로에 설치된다. 가이드핀(1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브러시(60)의 단부가 탄성가압부(18)를 밀어내므로, 탄성가압부(18)는 브러시(60)의 이동에 의해 권선된 부분이 펼쳐진다.
탄성가압부(18)는 브러시(60)의 단부에 오목하게 생긴 홈부에 삽입되므로, 가이핀에 삽입되는 브러시(60)의 단부에 탄성가압부(18)가 용이하게 걸릴 수 있다.
몸체부(20)는 홀더부(10)에 연이어 설치되며 홀더부(10)에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20)는 베이스부재(22)와 지지몸체(26)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재(22)는 홀더부(10)에 연결되는 판 형상이며, 락킹부(30)와 마주하는 내측에 중공부(24)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부재(22)는 홀더부(10)의 상측에 평판 형상으로 설치되며, 락킹부(30)의 제2돌기부(37)와 마주하는 부분에는 중공부(24)가 구비된다.
지지몸체(26)는 베이스부재(22)에서 연장되며, 락킹조절부(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몸체(26)는 베이스부재(22)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봉 형상의 락킹조절부(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부(3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부(30)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부(30)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부(30)는 탄성을 구비한 재질로 성형되며, 락킹부(30)의 일측은 홀더부(10)에 장착된 브러시(6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타측은 몸체부(20)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부(30)는, 락킹플레이트(31)와 잠금부재(34)를 포함한다.
락킹플레이트(31)는 베이스부재(22)와 잠금부재(34)의 사이에 위치하며, 베이스부재(22)와 잠금부재(34)에 각각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플레이트(31)는 베이스부재(22)의 폭방향(W)으로 연장되는 제1플레이트(32)와, 제1플레이트(32)에 연결되며 베이스부재(22)의 길이방향(D)으로 연장되는 제2플레이트(33)를 포함한다.
제1플레이트(32)는 베이스부재(22)와 잠금부재(34)에 고정되며, 제2플레이트(33)는 잠금부재(34)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2플레이트(33)는 잠금부재(34)의 형상 변형에 의해 휘어질 수 있다.
잠금부재(34)는 락킹플레이트(31)에 고정되며, 잠금부재(34)의 일측은 브러시(60)를 향하여 굽어지며, 잠금부재(34)의 타측은 락킹조절부(40)를 향한 방향으로 굽어진다. 그리고 잠금부재(34)는 락킹조절부(40)의 회전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어 브러시(60)의 이동을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재(34)는, 제1돌기부(36)와 제2돌기부(37)와 잠금몸체(3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기부(36)는 홀더부(10)를 향한 방향으로 굽어지는 갈퀴 형상이다. 그리고 제2돌기부(37)는 락킹조절부(40)를 향한 방향으로 굽어지는 돌기 형상이다.
잠금몸체(38)는 제1돌기부(36)와 제2돌기부(37)를 연결하는 판 형상이다. 잠금몸체(38)의 일측에 제1돌기부(36)가 연결되며, 잠금몸체(38)의 타측에 제2돌기부(37)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잠금몸체(38)를 중심으로 제1돌기부(36)와 제2돌기부(37)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돌기부(36)는 하측을 향한 방향으로 굽어져서 돌출되며, 제2돌기부(37)는 상측을 향한 방향으로 굽어져서 돌출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조절부(40)는 몸체부(20)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락킹부(30)의 타측과 마주하는 위치에 제어홈부가 구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조절부(40)는 회전몸체(42)와 락킹홈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몸체(42)는 몸체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봉 형상으로, 핸들부(50)와 함께 회전을 한다.
락킹홈부(44)는 제2돌기부(37)와 마주하는 회전몸체(42)에 홈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홈부(44)는 핸들부(50)가 수직으로 설치된 경우에는 제2돌기부(37)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2돌기부(37)는 락킹홈부(44)가 형성된 홈부의 높이 만큼 상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잠금몸체(38)에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제1돌기부(36)는 제2돌기부(37)의 상측 이동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어 브러시(60)의 측면을 가압하므로 가이드핀(14)에 삽입된 브러시(60)의 전방(F)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락킹홈부(44)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회전몸체(42)의 나머지 부분이 제2돌기부(37)에 접하는 경우, 제2돌기부(37)는 회전몸체(42)에 밀려서 하측으로 이동한다. 제2돌기부(37)의 하측 이동에 의해 제1돌기부(36)는 상측으로 이동하므로 브러시(60)에서 이격되므로 브러시(60)는 슬라이드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핸들부(50)는 락킹조절부(40)에 연결되어 회전이 동기화되며,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50)는 커넥터부(52)와 핸들몸체(5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부(52)는 락킹조절부(40)에 연결되어 락킹조절부(40)와 함께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커넥터부(52)는 핸들몸체(54)와 락킹조절부(40)를 연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핸들몸체(54)는 커넥터부(52)에 연결되며, 감전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부도체로 성형된다. 또한 핸들몸체(54)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손잡이 형상을 구비하므로, 브러시 홀더장치(1)의 인출 및 핸들부(50)의 회전에 의한 브러시(60)의 락킹과 락킹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러시 홀더장치(1)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작업자는 핸들부(50)를 파지하여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브러시 홀더장치(1)의 인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50)를 회전시켜 핸들부(50)를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면, 락킹조절부(40)의 락킹홈부(44)가 회전몸체(42)의 측방향에 위치하며, 제2돌기부(37)와 마주하는 회전몸체(42)에 의해 제2돌기부(37)가 하측으로 이동된다.
제2돌기부(37)의 하측 이동으로 제1돌기부(36)는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제1돌기부(36)는 브러시(60)에서 이격된다. 탄성가압부(18)의 탄성에 의해 브러시(60)가 가이드핀(14)을 따라 홀더부(10)의 길이방향(D)으로 이동되어 홀더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홀더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브러시(60)를 교체하는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브러시(60)의 손상이나 마모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브러시(60)의 교체작업이나 유지보수 작업이 완료된 후 가이드핀(14)을 따라 브러시(6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홀더부(10)에 브러시(60)를 장착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부(30)가 이동되어 브러시(60)의 이동을 구속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부(10)에 브러시(60)의 장착이 완료된 후 핸들부(50)를 돌려서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키면, 락킹홈부(44)가 제2돌기부(37)와 마주하는 상측에 위치한다.
제2돌기부(37)의 상측 이동으로 제1돌기부(36)는 하측으로 이동되므로, 제1돌기부(36)는 브러시(60)의 측면을 가압하므로 브러시(60)의 이동을 구속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부(50)와 함께 브러시(60)가 장착된 홀더부(10)가 이동될 수 있으며, 핸들부(50)를 돌리는 동작에 의해 브러시(60)의 이동이 구속되거나 해제되므로 브러시(60)의 유지 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홀더부(10)에 복수의 브러시(60)가 장착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락킹조절부(40)의 회전에 의해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락킹부(30)가 이동되어 복수로 설치된 브러시(60)의 착탈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브러시 홀더장치
10: 홀더부 12: 홀더몸체 14: 가이드핀 16: 구획벽 18: 탄성가압부
20: 몸체부 22: 베이스부재 24: 중공부 26: 지지몸체
30: 락킹부 31: 락킹플레이트 32: 제1플레이트 33: 제2플레이트 34: 잠금부재 36: 제1돌기부 37: 제2돌기부 38: 잠금몸체
40: 락킹조절부 42: 회전몸체 44: 락킹홈부
50: 핸들부 52: 커넥터부 54: 핸들몸체
60: 브러시
W: 폭방향 D: 길이방향
F: 전방 R: 후방

Claims (10)

  1. 브러시가 복수개 장착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에 연이어 설치되며, 상기 홀더부에 고정되는 몸체부;
    탄성을 구비한 재질로 성형되며, 일측은 상기 홀더부에 장착된 상기 브러시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타측은 상기 몸체부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락킹부;
    상기 몸체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락킹부의 타측과 마주하는 위치에 제어홈부가 구비되는 락킹조절부; 및
    상기 락킹조절부에 연결되어 회전이 동기화되며,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브러시 홀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홀더몸체;
    상기 브러시를 관통하는 막대 형상이며, 상기 홀더몸체에 고정되는 복수의 가이드핀;
    상기 가이드핀에 장착되는 상기 브러시와 이웃한 상기 브러시의 사이에 격벽을 형성하며 상기 홀더몸체에 고정되는 구획벽; 및
    상기 구획벽에 고정되며, 탄성을 구비하는 재질로 성형되고, 상기 가이드핀에 장착된 상기 브러시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탄성가압부;를 포함하는 브러시 홀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은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홀더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브러시는 상기 가이드핀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브러시 홀더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는 나선형으로 권선되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브러시 홀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핀이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핀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브러시에 밀려서 상기 탄성가압부의 변형이 이루어지는 브러시 홀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홀더부에 연결되며, 판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락킹부와 마주하는 내측에 중공부를 형성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서 연장되며, 상기 락킹조절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몸체;를 포함하는 브러시 홀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고정되는 락킹플레이트; 및
    상기 락킹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일측은 상기 브러시를 향하여 굽어지며 타측은 상기 락킹조절부를 향한 방향으로 굽어지며, 상기 락킹조절부의 회전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브러시의 이동을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브러시 홀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홀더부를 향한 방향으로 굽어지는 제1돌기부;
    상기 락킹조절부를 향한 방향으로 굽어지는 제2돌기부; 및
    상기 제1돌기부와 상기 제2돌기부를 연결하는 잠금몸체;를 포함하는 브러시 홀더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몸체의 일측에 상기 제1돌기부가 연결되며 상기 잠금몸체의 타측에 상기 제2돌기부가 연결되는 브러시 홀더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락킹조절부에 연결되는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되며, 부도체로 성형되며 손잡이 형상을 구비하는 핸들몸체;를 포함하는 브러시 홀더장치.
KR1020200064508A 2020-05-28 2020-05-28 브러시 홀더장치 KR102304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508A KR102304162B1 (ko) 2020-05-28 2020-05-28 브러시 홀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508A KR102304162B1 (ko) 2020-05-28 2020-05-28 브러시 홀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162B1 true KR102304162B1 (ko) 2021-09-23

Family

ID=77926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508A KR102304162B1 (ko) 2020-05-28 2020-05-28 브러시 홀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1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459A (ko) * 1989-07-03 1991-02-25 황재표 치질(痔疾) 제거용 조성물
KR20120094442A (ko) * 2011-02-16 2012-08-24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브러시 홀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459A (ko) * 1989-07-03 1991-02-25 황재표 치질(痔疾) 제거용 조성물
KR20120094442A (ko) * 2011-02-16 2012-08-24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브러시 홀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98215A (zh) 手持式工具机
CA2471229A1 (en) Brush holder adapted to be removed without stopping the machine
CN111804668A (zh) 一种pcb电路板生产加工用清洁装置及其清洁方法
KR102304162B1 (ko) 브러시 홀더장치
WO2019196916A1 (zh) 弹簧连接的接地端子
CN109366327A (zh) 一种板材表面的氧化物去除装置
CA2142432A1 (en) Dynamoelectric machine with brush having slanted core
US1934350A (en) Brush-holder assembly
CN214922090U (zh) 一种电机换向器自动组装机的高速组装机构
CN219247107U (zh) 一种易更换的碳刷组件
KR200485044Y1 (ko) 단일단자형 전기플러그와 콘센트를 구비한 전원연결장치
US2345428A (en) Electric current collector
US1271793A (en) Brush-holder.
US457358A (en) mailloux
CN216177148U (zh) 一种用于切管机的定位装置
CN215343304U (zh) 一种电机碳刷架
CN214798060U (zh) 一种伸缩式电连接线
CN213843871U (zh) 一种新型弹片机构手摇脉冲发生器
US538617A (en) lundell
CN219046283U (zh) 一种开关盒
CN217167700U (zh) 一种刀具自清洁机构、带自清洁功能的刀具及数控机床
CN210090509U (zh) 一种总成线专用检测仪
JP4319330B2 (ja) 整流子研磨装置
CN220325395U (zh) 电机用降噪刷架结构
CN213011222U (zh) 一种电热合金材料用纺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