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972B1 - 혈압 맥파 측정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혈압 맥파 측정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972B1
KR102303972B1 KR1020187026608A KR20187026608A KR102303972B1 KR 102303972 B1 KR102303972 B1 KR 102303972B1 KR 1020187026608 A KR1020187026608 A KR 1020187026608A KR 20187026608 A KR20187026608 A KR 20187026608A KR 102303972 B1 KR102303972 B1 KR 102303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pressure
pulse wave
pressure ratio
subject
wave propa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8841A (ko
Inventor
나오키 모리
마유코 가네다
마사히코 유모토
가즈히로 마츠이
Original Assignee
후쿠다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쿠다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쿠다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8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61B5/02225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using the oscillometric meth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07Evaluating blood vessel condition, e.g. elasticity, com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08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from analysis of pulse wave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08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from analysis of pulse wave characteristics
    • A61B5/02125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from analysis of pulse wave characteristics of pulse wave propagation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41Details of apparatus construction, e.g. pump units or housings therefor, cuff pressurising systems, arrangements of fluid conduits or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61B5/0235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6Measuring blood flow
    • A61B5/0285Measuring or recording phase velocity of blood wa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혈압 맥파 측정 장치는, 피험자의 혈관의 경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맥파 전파 속도(baPWV)를 취득한다. 피험자의 혈관의 막힘을 나타내는 지표인 하지 상지 혈압비(ABI)를 취득한다. 피험자의 하지 상지 혈압비(ABI)가 미리 정해진 제1 임곗값을 초과하고 있을 때, 1차원 그래프(46) 상에서, 맥파 전파 속도(baPWV)를 나타내는 점(Px)를 표시하는 한편, 피험자의 하지 상지 혈압비(ABI)가 제1 임곗값 이하일 때, 1차원 그래프(46) 상에서, 맥파 전파 속도(baPWV)를 나타내는 점 대신에, 하지 상지 혈압비(ABI)를 나타내는 점을 표시한다.

Description

혈압 맥파 측정 장치 및 프로그램
이 발명은 혈압 맥파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피험자의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혈관의 경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맥파 전파 속도와, 혈관의 막힘을 나타내는 지표인 하지 상지 혈압비를 취득하여 표시하는 혈압 맥파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이 발명은, 피험자의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맥파 전파 속도와 하지 상지 혈압비를 표시하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혈압 맥파 측정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16821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험자의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혈관의 경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상완-발목 간 맥파 전파 속도(baPWV;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와, 혈관의 막힘을 나타내는 지표인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 Ankle Brachial Index)를 취득한 후에, 전자를 세로축, 후자를 가로축으로 하여, 2개의 지표를 2차원 그래프 상의 1개의 점으로 하여 표시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16821호
상술한 2차원 그래프를 보면, 순환기계(循環器系)의 전문의라면, 환자의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일반적인 환자나, 의료 관계자라도 전문 외의 사람(이하 "일반적인 환자 등"이라고 함)이면,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직감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의 과제는, 일반적인 환자 등에 대하여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직감적으로 알기 쉽게 표시할 수 있는 혈압 맥파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이 발명의 과제는, 일반적인 환자 등에 대하여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직감적으로 알기 쉽게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혈압 맥파 측정 장치는,
피험자의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표시하는 혈압 맥파 측정 장치로서,
상기 피험자의 혈관의 경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맥파 전파 속도를 취득하는 맥파 전파 속도 취득부와,
상기 피험자의 혈관의 막힘을 나타내는 지표인 하지 상지 혈압비를 취득하는 하지 상지 혈압비 취득부와,
상기 피험자의 하지 상지 혈압비가 미리 정해진 제1 임곗값을 초과하고 있을 때, 1차원 그래프 상에서, 상기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을 표시하는 한편, 상기 피험자의 하지 상지 혈압비가 상기 제1 임곗값 이하일 때, 상기 1차원 그래프 상에서, 상기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 대신에, 상기 하지 상지 혈압비를 나타내는 점을 표시하는 처리를 행하는 표시 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맥파 전파 속도란, 전형적으로는, 상완-발목 간 맥파 전파 속도(baPWV)(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를 가리키지만, 심장-족관절 간 동맥 맥파 전파 속도(heart-ankle pulse wave velocity: haPWV), 또는 그것에 근거하는 심장 발목 혈관 지수(cardio-ankle vascular index: CAVI)여도 된다. 또, 하지 상지 혈압비는, 전형적으로는,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Ankle Brachial Index)를 가리킨다.
맥파 전파 속도 취득부는, 맥파 전파 속도를 측정하여 취득해도 되고, 또는 측정된 맥파 전파 속도를 입력하여 취득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하지 상지 혈압비 취득부는, 하지 상지 혈압비를 측정하여 취득해도 되고, 또는 측정된 하지 상지 혈압비를 입력하여 취득해도 된다.
제1 임곗값이 "미리 정해져" 있다는 것은,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규칙, 전형적으로는, "야마시나 아키라 외. 제14회 임상 혈압 맥파 연구회 좌담회 리포트. "Arterial Stiffness 2014",; 20: 36-9" 등에 개시되어 있는 스테노·스티프니스(Steno-Stiffness) 차트에서 정해져 있는 것을 가리킨다.
표시 처리부에 의한 "표시"의 대상이 되는 표시 매체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소자(LCD) 등의 표시 화면이어도 되고, 또는 프린터에 의하여 출력되는 용지여도 된다.
또,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과, 하지 상지 혈압비를 나타내는 "점"은, 실질적으로 1차원 그래프 상의 점, 즉 좌표 위치를 나타내고 있으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그 "점"을 나타내기 위하여, ○표, △표 등의 기호나, 마크 등을 이용해도 된다.
이 발명의 혈압 맥파 측정 장치에서는, 맥파 전파 속도 취득부가 피험자의 혈관의 경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맥파 전파 속도를 취득한다. 또, 하지 상지 혈압비 취득부가, 상기 피험자의 혈관의 막힘을 나타내는 지표인 하지 상지 혈압비를 취득한다. 표시 처리부는, 상기 피험자의 하지 상지 혈압비가 제1 임곗값을 초과하고 있을 때, 1차원 그래프 상에서, 상기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을 표시하는 한편, 상기 피험자의 하지 상지 혈압비가 상기 제1 임곗값 이하일 때, 상기 1차원 그래프 상에서, 상기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 대신에, 상기 하지 상지 혈압비를 나타내는 점을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일반적으로, 의료상의 관점에서, 동맥 경화의 진행의 비교적 초기 단계에서는, 하지 상지 혈압비보다 맥파 전파 속도가 주목받고, 동맥 경화의 진행이 말기 단계에 가까워지면, 맥파 전파 속도보다 하지 상지 혈압비가 주목받는다. 여기에서, 이 발명의 혈압 맥파 측정 장치에서는, 상기 피험자의 하지 상지 혈압비가 제1 임곗값을 초과하고 있을 때, 즉 동맥 경화의 진행의 비교적 초기 단계에서는, 상기 1차원 그래프 상에서,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이 표시된다. 한편, 상기 피험자의 하지 상지 혈압비가 제1 임곗값 이하일 때, 즉 동맥 경화의 진행이 말기 단계에 가까워지면, 상기 1차원 그래프 상에서, 상기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 대신에, 하지 상지 혈압비를 나타내는 점이 표시된다. 즉,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에 맞추어, 주목받아야 할 상기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과 주목받아야 할 상기 하지 상지 혈압비를 나타내는 점이, 상기 1차원 그래프 상에서 전환되어 표시된다. 이 결과, 일반적인 환자 등은, 상기 1차원 그래프 상에서 표시되어 있는 점의 좌표 위치에 따라,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혈압 맥파 측정 장치에 의하면, 일반적인 환자 등에 대하여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직감적으로 알기 쉽게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의 혈압 맥파 측정 장치에서는, 스테노·스티프니스 차트에 근거하여, 상기 하지 상지 혈압비로서의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에 대하여, 상기 제1 임곗값이 0.9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스테노·스티프니스 차트에서는,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에 대하여, 소수점 이하 2자릿수를 유효 숫자로 하여,
1.00≤ABI≤1.40
이 정상 범위라고 되어 있다. 또, ABI=0.90은 경계역의 하한이라고 되어 있다.
이 일 실시형태의 혈압 맥파 측정 장치에서는, 스테노·스티프니스 차트에 근거하여, 상기 하지 상지 혈압비로서의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에 대하여, 상기 제1 임곗값이 0.90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1차원 그래프 상에서의 상기 맥파 전파 속도와 상기 하지 상지 혈압비의 전환을 상기 스테노·스티프니스 차트에 따라 적절히 행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의 혈압 맥파 측정 장치에서는,
상기 피험자의 발목의 맥파의 업스트로크 시간(UT)를 취득하는 업스트로크 시간 취득부와,
상기 피험자의 발목의 맥파의 파형(波形)에 대하여 정규화 맥파 면적(%MAP)를 취득하는 정규화 맥파 면적 취득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가, 상기 제1 임곗값 0.90을 초과하며, 또한 제2 임곗값 1.00 미만인 경우에, 상기 업스트로크 시간(UT)가 180밀리초 이상, 또는 상기 정규화 맥파 면적(%MAP)가 45% 이상일 때, 상기 1차원 그래프 상에서, 상기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 대신에, 상기 하지 상지 혈압비로서의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를 나타내는 점을 표시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업스트로크 시간(UT)(Upstroke Time)란, 도 5(A)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맥파 파형(PW)의 상승으로부터 피크까지의 시간을 가리킨다(단위는 밀리초). 업스트로크 시간(UT)는, 정상이고 날카로운 파형이면 짧지만, 혈관의 협착-폐색이 있으면 길어진다. 또, 정규화 맥파 면적(%MAP)란, 도 5(B)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발목의 맥파 파형(PW)의 면적 평균값(S)를 진폭(A)로 나눈 비율(단위는 %)을 가리킨다. 정규화 맥파 면적(%MAP)는, 정상이고 날카로운 파형이면 낮은 값이 되지만, 혈관의 협착-폐색이 있으면 파형에 높낮이가 없어져 높은 값이 된다.
이 일 실시형태의 혈압 맥파 측정 장치에서는,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가, 상기 제1 임곗값 0.90을 초과하고, 또한 제2 임곗값 1.00 미만인 경우에, 상기 업스트로크 시간(UT)가 180밀리초 이상, 또는 상기 정규화 맥파 면적(%MAP)가 45% 이상일 때, 상기 1차원 그래프 상에서, 상기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 대신에, 상기 하지 상지 혈압비로서의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를 나타내는 점을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따라서, 상기 1차원 그래프 상에서의 상기 맥파 전파 속도와 상기 하지 상지 혈압비의 전환을 상기 스테노·스티프니스 차트에 따라 추가로 적절히 행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의 혈압 맥파 측정 장치에서는,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가, 제3 임곗값 1.40을 초과하고 있으면, 혈관이 석회화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일 실시형태의 혈압 맥파 측정 장치에서는,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가, 제3 임곗값 1.40을 초과하고 있으면, 혈관이 석회화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한다. 따라서, 피험자의 혈관이 석회화되어 있는 특히 심각한 증상에 있는 것을 알릴 수 있다.
일 실시형태의 혈압 맥파 측정 장치에서는, 상기 맥파 전파 속도 및 상기 하지 상지 혈압비의 복수 회 측정의 결과, 상기 하지 상지 혈압비가 상기 제1 임곗값을 횡단하여 전이했을 때,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1차원 그래프 상에서 상기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과 상기 하지 상지 혈압비를 나타내는 점이 동일한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1차원 그래프의 눈금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일 실시형태의 혈압 맥파 측정 장치에서는, 상기 맥파 전파 속도 및 상기 하지 상지 혈압비의 복수 회 측정의 결과, 상기 하지 상지 혈압비가 상기 제1 임곗값을 횡단하여 전이했을 때,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1차원 그래프 상에서 상기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과 상기 하지 상지 혈압비를 나타내는 점이 동일한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1차원 그래프의 눈금을 설정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환자 등에 대하여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더 직감적으로 알기 쉽게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의 혈압 맥파 측정 장치에서는,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1차원 그래프에 아울러,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에 따른 혈관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러스트레이션을 표시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형태의 혈압 맥파 측정 장치에서는,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1차원 그래프에 아울러,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에 따른 혈관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러스트레이션을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환자 등에 대하여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더 직감적으로 알기 쉽게 표시할 수 있다.
다른 국면에서는, 이 발명의 프로그램은,
피험자의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표시하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피험자의 혈관의 경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맥파 전파 속도를 취득함과 함께, 상기 피험자의 혈관의 막힘을 나타내는 지표인 하지 상지 혈압비를 취득하고,
상기 피험자의 하지 상지 혈압비가 미리 정해진 제1 임곗값을 초과하고 있을 때, 1차원 그래프 상에서, 상기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을 표시하는 한편, 상기 피험자의 하지 상지 혈압비가 상기 제1 임곗값 이하일 때, 상기 1차원 그래프 상에서, 상기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 대신에, 상기 하지 상지 혈압비를 나타내는 점을 표시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면, 상기 피험자의 하지 상지 혈압비가 제1 임곗값을 초과하고 있을 때, 즉 동맥 경화의 진행의 비교적 초기 단계에서는, 상기 1차원 그래프 상에서,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이 표시된다. 한편, 상기 피험자의 하지 상지 혈압비가 제1 임곗값 이하일 때, 즉 동맥 경화의 진행이 말기 단계에 가까워지면, 상기 1차원 그래프 상에서, 상기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 대신에, 하지 상지 혈압비를 나타내는 점이 표시된다. 즉,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에 맞추어, 주목받아야 할 상기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과 주목받아야 할 상기 하지 상지 혈압비를 나타내는 점이, 상기 1차원 그래프 상에서 전환되어 표시된다. 이 결과, 일반적인 환자 등은, 상기 1차원 그래프 상에서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점의 좌표 위치에 따라,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발명의 프로그램에 의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면, 일반적인 환자 등에 대하여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직감적으로 알기 쉽게 표시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혈압 맥파 측정 장치에 의하면, 일반적인 환자 등에 대하여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직감적으로 알기 쉽게 표시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의 프로그램에 의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면, 일반적인 환자 등에 대하여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직감적으로 알기 쉽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혈압 맥파 측정 장치가 수납 왜건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혈압 맥파 측정 장치가 사용되는 양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혈압 맥파 측정 장치의 제어계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상기 혈압 맥파 측정 장치에 의한 처리 플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5(A)는 업스트로크 시간(UT)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5(B)는 정규화 맥파 면적(%MAP)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6은 상기 혈압 맥파 측정 장치의 압력 센서에 의하여 검출되는 맥파 파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판정하기 위한 스테노·스티프니스 차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상기 혈압 맥파 측정 장치에 의한 표시예 1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상기 혈압 맥파 측정 장치에 의한 표시예 2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상기 혈압 맥파 측정 장치에 의한 표시예 3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상기 혈압 맥파 측정 장치에 의한 표시예 4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상기 혈압 맥파 측정 장치에 의한 표시예 5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상기 혈압 맥파 측정 장치에 의한 표시예 6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이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혈압 맥파 측정 장치(100)이 수납 왜건(300)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혈압 맥파 측정 장치(100)은, 메인 유닛(101)과, 앵클 유닛(102)와, 4개의 커프(24ar, 24al, 24br, 24bl)을 포함하고 있다. 수납 왜건(300)은, 캐스터가 장착된 다리(301)과, 이 다리(301)에 세워 설치된 지주(支柱)(302)와, 지주(302)의 선단에 장착된 재치대(303)과, 지주(302)의 도중에 장착되고, 상방을 향하여 개구한 수납 박스(304)를 포함하고 있다. 재치대(303)에는, 메인 유닛(101)이 재치되어 있다. 수납 박스(304)에는, 앵클 유닛(102)와, 우측 발목(우측 하지), 좌측 발목(좌측 상지)용 커프(24ar, 24al)이 수용되어 있다. 우측 상완(우측 상지), 좌측 상완(좌측 상지)용 커프(24br, 24bl)은, 메인 유닛(101)의 후측부에 마련된 훅(101e, 101f)(도 2 중에 나타냄)에 걸려 유지되어 있다.
앵클 유닛(102)와, 우측 발목(우측 하지), 좌측 발목(좌측 상지)용 커프(24ar, 24al)은, 커프 가압용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배관(22ar, 22al)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메인 유닛(101)과 우측 상완(우측 상지), 좌측 상완(좌측 상지)용 커프(24br, 24bl)은, 커프 가압용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배관(22br, 22bl)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 메인 유닛(101)은, 앵클 유닛(102)에 대하여, 접속 케이블(23)에 의하여 전력 공급 및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혈압 맥파 측정 장치(100)이 사용되는 양태를 나타내고 있다. 피험자(200)은 베드(310) 상에 위를 향하여 누워있다. 앵클 유닛(102)는, 수납 박스(304)로부터 취출되어, 피험자(200)의 우측 발목과 좌측 발목의 사이의 베드(310) 상에 재치되어 있다.
커프(24ar, 24al, 24br, 24bl)은, 각각 피험자(200)의 지부(肢部)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각각 우측 발목(우측 하지), 좌측 발목(좌측 상지), 우측 상완(우측 상지), 좌측 상완(좌측 상지)에 장착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오로지, 우측 발목, 좌측 발목, 우측 상완, 좌측 상완에 장착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지부"란, 사지에 포함되는 부위를 나타내고, 손목이나 지첨부(指尖部) 등이어도 된다. 커프(24ar, 24al, 24br, 24bl)은,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한, 이들을 총칭하여, "커프(24)"라고 부른다.
도 3은, 혈압 맥파 측정 장치(100)의 제어계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앵클 유닛(102)는, 2개의 검출 유닛(20ar, 20al)을 포함한다. 메인 유닛(101)은, 정보 처리 유닛(1)과, 2개의 검출 유닛(20br, 20bl)을 포함한다.
검출 유닛(20ar, 20al, 20br, 20bl)은, 각각 피험자(200)의 지부의 맥파를 검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검출 유닛(20ar, 20al, 20br, 20bl)의 구성은 모두 동일해도 되기 때문에,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한, 이들을 총칭하여, "검출 유닛(20)"이라고 부른다.
정보 처리 유닛(1)은, 제어부(2)와, 출력부(4)와, 조작부(6)과, 기억 장치(8)을 포함한다.
제어부(2)는, 혈압 맥파 측정 장치(100)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장치이며, 대표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10)과, ROM(Read Only Memory)(12)와, RAM(Random Access Memory)(14)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성된다.
CPU(10)은, 연산 처리부에 상당하고, ROM(12)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독출하며, RAM(14)를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하면서,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 제어부(2)에는, 출력부(4), 조작부(6) 및 기억 장치(8)이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4)는, 측정된 맥파나 맥파 해석 결과 등을 출력한다. 출력부(4)는,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 디바이스여도 되고, 프린터(드라이버)여도 된다. 이 예에서는, 도 1, 도 2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유닛(101)의 상면에, 출력부(4)로서 LCD의 표시 화면(40)이 마련되어 있다.
도 3 중에 나타내는 조작부(6)은,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한다. 이 예에서는, 도 1, 도 2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유닛(101)의 상면에, 조작부(6)으로서 조작 스위치(60)이 마련되어 있다. 유저는 조작 스위치(60)에 의하여 전원 온, 오프, 혈압 측정 개시 등의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도 3 중에 나타내는 기억 장치(8)은,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유지한다. 제어부(2)의 CPU(10)은, 기억 장치(8)에 기록된 데이터나 프로그램의 독출이나 기입을 행한다. 기억 장치(8)은,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불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혹은 착탈 가능한 외부 기록 매체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각 검출 유닛(20)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검출 유닛(20br)은, 피험자(200)의 우측 상완에 장착된 커프(24br)의 내압(이하, "커프압"이라고 함)의 조정 및 검출을 행함으로써, 우측 상완에 있어서의 맥파를 검출한다. 커프(24br)은, 도시하지 않은 유체 주머니(이 예에서는, 공기 주머니)를 내포하고 있다.
검출 유닛(20br)은, 압력 센서(28br)과, 조정 밸브(26br)과, 압력 펌프(25br)과, A/D(Analog to Digital) 변환부(29br)과, 배관(27br)을 포함한다. 커프(24br)과, 압력 센서(28br), 조정 밸브(26br)은, 배관(22br)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압력 센서(28br)은, 배관(22br)을 통하여 전달되는 압력 변동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부위이며, 일례로서, 단결정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칩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센서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압력 센서(28br)에 의하여 검출된 압력 변동 신호는, A/D 변환부(29br)에 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맥파 신호(pbr(t))로서 제어부(2)에 입력된다.
조정 밸브(26br)은, 압력 펌프(25br)과 커프(24br)의 사이에 개재되어, 측정 시에 커프(24br)의 가압에 이용되는 압력을 소정의 범위로 유지한다. 압력 펌프(25br)은, 제어부(2)로부터의 검출 지령에 따라 작동하고, 커프(24br)을 가압하기 위하여 커프(24br) 내의 유체 주머니(도시하지 않음)에 공기를 공급한다.
이 가압에 의하여, 커프(24br)은 측정 부위에 압압되고, 우측 상완의 맥파에 따른 압력 변화가 각각 배관(22br)을 통하여 검출 유닛(20br)에 전달된다. 검출 유닛(20br)은, 이 전달되는 압력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우측 상완의 맥파를 검출한다.
검출 유닛(20bl)도 마찬가지로, 압력 센서(28bl)과, 조정 밸브(26bl)과, 압력 펌프(25bl)과, A/D 변환부(29bl)과, 배관(27bl)을 포함한다. 커프(24bl)과, 압력 센서(28bl), 조정 밸브(26bl)은, 배관(22bl)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 검출 유닛(20ar)은, 압력 센서(28ar)과, 조정 밸브(26ar)과, 압력 펌프(25ar)과, A/D 변환부(29ar)과, 배관(27ar)을 포함한다. 커프(24ar)과, 압력 센서(28ar), 조정 밸브(26ar)은, 배관(22ar)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검출 유닛(20al)도 마찬가지로, 압력 센서(28al)과, 조정 밸브(26al)과, 압력 펌프(25al)과, A/D 변환부(29al)과, 배관(27al)을 포함한다. 커프(24al)과, 압력 센서(28al), 조정 밸브(26al)은, 배관(22al)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검출 유닛(20bl, 20ar, 20al) 내의 각부의 기능은, 검출 유닛(20br)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또, 검출 유닛(20) 내의 각부에 대해서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한, "ar", "br" 등의 기호는 생략하여 설명한다.
이 혈압 맥파 측정 장치(100)은, 제어부(2)(특히 CPU(10))에 의한 제어에 의하여, 도 4의 처리 플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지의 오실로메트릭법에 의한 혈압값 측정을 행한다. 또, 맥파 검출을 행하여, 맥파 전파 속도로서 상완-발목 간 맥파 전파 속도(baPWV)(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를 구함과 함께, 하지 상지 혈압비로서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Ankle Brachial Index)를 구한다.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상완-발목 간 맥파 전파 속도(baPWV)는 혈관의 경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또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는 혈관의 막힘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구체적으로는, 측정을 개시하면, CPU(10)은, 도 4의 스텝 S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검출 유닛(20) 내의 펌프(25)를 구동하여, 각 커프(24)의 승압을 개시한다. 그리고, 스텝 S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력 센서(28)로 커프압을 감시하면서, 커프압을 소정의 압력(피험자(200)의 최고 혈압보다 높은 압력)까지 가압하고 펌프(25)를 정지시킨다(커프 승압 완료). 다음으로, 스텝 S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정 밸브(26)을 제어하고, 각 커프(24)의 강압을 개시하여, 커프압을 서서히 감압해 간다. 이 감압 과정에 있어서, 측정 부위의 동맥에서 발생하는 동맥 용적의 변동을 각 커프(24)를 통하여, 압력 센서(28)로 맥파 신호로서 검출한다. 그리고, 스텝 S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맥파 신호의 진폭에 근거하여, 공지의 오실로메트릭법에 의한 소정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최고 혈압(수축기 혈압: Systolic Blood Pressure)과 최저 혈압(확장기 혈압: Diastolic Blood Pressure)을 산출한다(혈압 측정). 이것과 함께, CPU(10)이 하지 상지 혈압비 취득부로서 작용하여, 피험자(200)의 좌측 반신, 우측 반신에 대하여, 각각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족관절 수축기 혈압)/(상완 수축기 혈압)을 산출한다. 또, 이 예에서는, 맥박(단위; 박/분)도 산출한다. 또한, 혈압의 산출은, 감압 과정에 한정되지 않고, 가압 과정에 있어서 행해져도 된다.
다음으로, 스텝 S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정 밸브(26)을 폐쇄하여, 커프압을 규정압(예를 들면 50mmHg 정도)으로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스텝 S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10)이 맥파 전파 속도 취득부로서 작용하여, 압력 센서(28)에 의하여 맥파를 측정한다. 이때,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맥파 파형이 얻어진다. 이 예에서는, 피험자(200)의 우측 상완의 파형의 상승에 대한 좌측 족관절의 파형의 상승의 지연이 ΔTl로 되어 있다. 또, 피험자(200)의 우측 상완의 파형의 상승에 대한 우측 족관절의 파형의 상승의 지연이 ΔTr로 되어 있다. 이 지연 ΔTl, ΔTr에 근거하여, 피험자(200)의 우측 상완-좌측 족관절 간, 우측 상완-우측 족관절 간에 대하여, 각각 상완-발목 간 맥파 전파 속도(baPWV)를 다음 식에 의하여 산출한다.
baPWV=(La-Lb)/ΔT
여기에서, La는 대동맥 기시부(起始部)로부터 족관절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또 Lb는 대동맥 기시부로부터 상완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ΔT는, ΔTl 또는 ΔTr을 나타내고 있다(간단히 하기 위하여, "l", "r"의 기호를 생략하고 있다). ΔTl, ΔTr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상완-발목 간 맥파 전파 속도(baPWV)를, 각각 좌측 반신에 대한 상완-발목 간 맥파 전파 속도(baPWV), 우측 반신에 대한 상완-발목 간 맥파 전파 속도(baPWV)라고 부른다.
이 예에서는, 또한 CPU(10)이 업스트로크 시간 취득부로서 작용하여,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맥파 파형(PW)의 상승으로부터 피크까지의 업스트로크 시간(UT)(단위는 밀리초; ms)를 취득한다. 또한, CPU(10)이 정규화 맥파 면적 취득부로서 작용하여,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정규화 맥파 면적(%MAP)(단위는 %)를 취득한다.
측정이 완료되면, 도 4의 스텝 S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정 밸브(26)을 전체 개방하여 커프압을 개방한다. 그리고, 스텝 S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10)이 표시 처리부로서 작용하여, 메인 유닛(101)의 상면에 마련된 표시 화면(40)(도 2 참조)에 측정 결과를 표시한다.
도 8~도 13은, 측정 결과로서 표시 화면(40)에 표시되는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화면(40)에는, 좌상측 귀퉁이에 배치된 "동맥 경화 검사"라는 문자열을 게재하는 표제란(41)과, 그 하방에 배치된 피험자 특정란(42)와, 이들 란(41, 42)의 우측에 배치된, 피험자(200)의 혈관 연령을 수치로 나타내는 혈관 연령란(43)과, 추가로 그 우측에 배치된 상완-발목 간 맥파 전파 속도(baPWV) 및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의 측정 결과를 수치로 나타내는 측정 결과란(44)와, 추가로 그 우측에 배치된, 상완, 발목에 대한 최고 혈압, 최저 혈압, 및 맥박을 수치로 표시하는 혈압·맥박란(4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들 란(41~45)의 하측을 따라, 표시 화면(40)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뻗는 1차원 그래프(46)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1차원 그래프(46)의 하측을 따라, 동맥 경화가 진행되는 혈관의 이미지를 일러스트레이션으로 표시하는 이미지란(50)이 마련되어 있다.
피험자 특정란(42)에는, 예를 들면 "59세 163cm 남성"이라고 하는 바와 같이, 피험자(200)의 연령, 신장, 성별이 표시됨과 함께, 예를 들면 "ID: 5611458"이라고 하는 바와 같이, 피험자(200)을 특정하는 식별 번호가 표시된다.
혈관 연령란(43)에는, 예를 들면 "당신의 혈관 연령 59세 실제 연령 상당"이라고 하는 바와 같이, 피험자(200)의 혈관 연령(피험자(200)의 혈관의 상태가, 평균적인 인간의 몇 세의 혈관의 상태에 상당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이 표시된다.
측정 결과란(44)에는, 피험자(200)의 우측 반신, 좌측 반신에 대하여, 각각 도 4의 플로에 의하여 측정된 상완-발목 간 맥파 전파 속도(baPWV),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를 나타내는 수치가 표시된다. 도 8의 예에서는, 상완-발목 간 맥파 전파 속도(baPWV)는, 우측 반신, 좌측 반신에 대하여, "혈관의 경도(baPWV) cm/s (우측) 1398 (좌측) 1296"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또,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는, 우측 반신, 좌측 반신에 대하여, "혈관의 막힘(ABI) (우측) 1.16 (좌측) 1.20"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혈압·맥박란(45)에는, 피험자(200)의 우측 반신, 좌측 반신에 대하여, 각각 도 4의 플로에 의하여 측정된 상완의 최고 혈압, 최저 혈압, 발목의 최고 혈압, 최저 혈압(단위: mmHg), 및 맥박(단위: 박/분)이 수치로 표시된다. 도 8의 예에서는, 상완에 대하여, "최고 (우측) 109 (좌측) 113", "최저 (우측) 77 (좌측) 75", 또 발목에 대하여 "최고 (우측) 131 (좌측) 136", "최저 (우측) 78 (좌측) 73"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1차원 그래프(46)은, "혈관의 경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상완-발목 간 맥파 전파 속도(baPWV)를 나타내기 위한 우측 방향이고 폭이 넓은 화살표(47)과, "혈관의 막힘"을 나타내는 지표인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를 나타내기 위한 우측 방향이고 폭이 넓은 화살표(48)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화살표(47, 48)은, 각각 폭방향(화살표의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관하여 서로 오버랩되어 있다. 화살표(47)의 폭 중에 "혈관의 경도(baPWV) cm/s"라고 표시되고, 또 화살표(48)의 폭 중에 "혈관의 막힘(ABI)"라고 표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화살표(47)을 "baPWV 지표"라고 부르고, 또 화살표(48)을 "ABI 지표"라고 부른다. 도 8~도 10에서는, baPWV 지표(47)이 전면 측에 표시되고, ABI 지표(48)이 배면 측에 대부분 숨겨져 표시되어 있다. 반대로, 도 11~도 13에서는, ABI 지표(48)이 전면 측에 표시되고, baPWV 지표(47)이 배면 측에 대부분 숨겨져 표시되어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8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aPWV 지표(47)은, 화살표의 방향에 관하여, "저리스크", "중리스크", "고리스크"의 3영역(이들 영역을 부호 47-1, 47-2, 47-3으로 나타냄)으로 구분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도 11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BI 지표(48)은, 화살표의 방향에 관하여, "정상", "경계역", "폐색성 동맥 경화증 의심"의 3영역(이들 영역을 부호 48-1, 48-2, 48-3으로 나타냄)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들 영역(47-1~47-3, 48-1~48-3)은,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판정하기 위한 도 7에 나타내는 스테노·스티프니스(Steno-Stiffness) 차트에 있어서의 "판정 조건(오른발)"에 대응하고 있다(또한, 왼발용 판정 조건에서도 동일하다). 즉, 도 8~도 10 중의 baPWV 지표(47)의 "저리스크" 영역(47-1), "중리스크" 영역(47-2), "고리스크" 영역(47-3)은, 도 7 중의 좌하 부분("baPWV 판정" 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상완-발목 간 맥파 전파 속도(baPWV)가 "1399 이하", "1400~1799", "1800 이상"의 범위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도 8에서는, "저리스크" 영역(47-1)과 "중리스크" 영역(47-2)의 경계에 "1400"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또, "중리스크" 영역(47-2)와 "고리스크" 영역(47-3)의 경계에 "1800"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또, 도 11~도 13 중의 ABI 지표(48)의 "정상" 영역(48-1), "경계역" 영역(48-2), "폐색성 동맥 경화증 의심" 영역(48-3)은, 도 7 중의 좌상 부분("ABI 판정" 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가 "1.00~1.40", "0.91~0.99", "0.90 이하"의 범위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도 11에서는, "정상" 영역(48-1)과 "경계역" 영역(48-2)의 경계에 "1.0"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또, "경계역" 영역(48-2)와 "폐색성 동맥 경화증 의심" 영역(48-3)의 경계에 "0.9"라고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7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가 "1.41 이상"이면, 특히 심각한 증상으로서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가 "6 석회화 의심"인 것에 대응한다. 소수점 이하 2자릿수를 유효 숫자로 하여, ABI=0.90, 1.00, 1.40을 각각 제1 임곗값, 제2 임곗값, 제3 임곗값이라고 부른다.
도 8 중의 이미지란(50)은, 1차원 그래프(46)을 따라 4개의 이미지 영역(이들 이미지 영역을 부호 50-1, 50-2, 50-3, 50-4로 나타냄)으로 구분되어 있다. 좌측 단부의 이미지 영역(50-1)에는 "1 ○ 혈관이 부드러움" D1이라고 표시되고, 그 우측 옆의 이미지 영역(50-2)에는 "2 ○ 혈관이 약간 딱딱함" D2라고 표시되며, 그 우측 옆의 이미지 영역(50-3)에는 "3 ○ 혈관이 딱딱함" D3 및 "4 ○ 혈관이 약간 좁음" D4라고 표시되고, 가장 우측의 이미지 영역(50-4)에는 "5 ○ 혈관이 좁음" D5 및 "6 ○ 혈관의 벽이 석회화" D6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이들 표시 D1~D6은, 도 7에 나타내는 스테노·스티프니스(Steno-Stiffness) 차트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도 7의 우측 절반의 "동맥 경화 판정" 부분)에 대응하고 있다. 즉, 도 8 중의 "1 ○ 혈관이 부드러움"이라는 표시 D1, "2 ○ 혈관이 약간 딱딱함"이라는 표시 D2, "3 ○ 혈관이 딱딱함"이라는 표시 D3, "4 ○ 혈관이 약간 좁음"이라는 표시 D4, "5 ○ 혈관이 좁음"이라는 표시 D5, "6 ○ 혈관의 벽이 석회화"라는 표시 D6은, 각각 도 7 중의 판정 결과인 "1 정상 범위 내", "2 생활 습관 개선", "3 장기 장애의 리스크가 높음", "4 ABI 경계역", "5 말초 동맥 질환 의심", "6 석회화 의심"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또, 도 8 중의 이미지란(50)에는, 1차원 그래프(46)을 따른 4개의 이미지 영역(50-1, 50-2, 50-3, 50-4)에 걸쳐, 이들 이미지 영역에 있어서의 표시 D1~D6에 대응한 혈관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러스트레이션(70)과, 이 일러스트레이션(70)에 대한 표제 "동맥 경화가 진행되는 혈관 이미지"(51)이 표시되어 있다. 이 일러스트레이션(70)은, 혈관(61)과, 이 혈관(61)의 내부를 흐르는 적혈구(혈액을 나타냄)(62)를 포함하고 있다. 이미지 영역(50-1)로부터 이미지 영역(50-4)로 진행됨에 따라, 혈관(61)의 내벽에 부착된 LDL 콜레스테롤 또는 중성 지방(63)이 서서히 두꺼워지고 있다. 이로써, 동맥 경화가 진행됨에 따라, 혈관(61)의 내벽에 적혈구(62)가 충돌(69)를 일으켜 서서히 흐르기 어려워지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또한, 이미지 영역(50-4)에서는, 혈관(61)의 내벽에 플라크(64)가 그려져 있다. 이와 같이, 1차원 그래프(46)에 아울러,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에 따른 일러스트레이션(70)이 표시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환자 등에 대하여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직감적으로 알기 쉽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화면(40)에서는, 예를 들면 인체에 있어서의 측정 개소(우측 발목, 좌측 발목, 우측 상완, 좌측 상완)를 나타내는 일러스트레이션 등을 아울러 표시해도 된다. 또, 과거에 측정된 상완-발목 간 맥파 전파 속도(baPWV)의 경과(트랜드 그래프) 등을 아울러 표시해도 된다.
다음으로, 구체적으로, 표시 화면(40)에 표시되는 표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예 1)
도 8은, 그 측정 결과란(44)에 강조 표시(직사각형 테두리로 둘러싸인 표시. 이하 동일)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험자(ID: 5611458)의 우측 반신에 대하여, 혈관의 경도(baPWV)가 1398cm/s, 혈관의 막힘(ABI)가 1.16이었던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도 7 중의 "ABI 판정" 부분에서 ABI가 "1.00~1.40"인 "정상"에 해당한다. 또한, 도 7 중의 "baPWV 판정" 부분에서 baPWV가 1399cm/s 이하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는 "1 정상 범위 내"라고 판정된다.
이 판정 결과에 따라, 특히 ABI가 제1 임곗값 0.90을 초과하고 있는 것에 따라, 도 8 중의 1차원 그래프(46)에서는, baPWV 지표(47)이 전면 측에 표시되고, ABI 지표(48)이 배경 측에 대부분 숨겨져 표시된다. 또한, baPWV 지표(47) 중 "저리스크" 영역(47-1) 상에, baPWV=1398cm/s를 나타내는 점(Px)가 표시된다.
또, 도 8 중의 이미지 영역(50-1)이 판정 결과 표시 프레임(Fx)로 둘러싸인다. 이 판정 결과 표시 프레임(Fx) 내에는, "1 ○ 혈관이 부드러움"이라는 표시 D1과, 일러스트레이션(70) 중의 판정 결과에 대응하는 부분이 포함된다. 또, 그 표시 D1이 포함하는 ○표 개소에 체크가 된다. 또, 강조를 위하여, 판정 결과 표시 프레임(Fx)의 상부에는, "경도 1398cm/s"라고 표시된다.
(표시예 2)
도 9는, 그 측정 결과란(44)에 강조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험자(ID: 11395192)의 우측 반신에 대하여, 혈관의 경도(baPWV)가 1699cm/s, 혈관의 막힘(ABI)가 1.02였던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도, 도 7 중의 "ABI 판정" 부분에서 ABI가 "1.00~1.40"인 "정상"에 해당한다. 또한, 도 7 중의 "baPWV 판정" 부분에서 baPWV가 1400~1799cm/s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는 "2 생활 습관 개선"이라고 판정된다.
이 판정 결과에 따라, 특히 ABI가 제1 임곗값 0.90을 초과하고 있는 것에 따라, 도 9 중의 1차원 그래프(46)에서는, baPWV 지표(47)이 전면 측에 표시되고, ABI 지표(48)이 배경 측에 대부분 숨겨져 표시된다. 또한, baPWV 지표(47) 중 "중리스크" 영역(47-2) 상에, baPWV=1699cm/s를 나타내는 점(Px)가 표시된다. 또, baPWV 지표(47) 중 "저리스크" 영역(47-1) 상에, 피험자(200)과 동일 연령(이 경우, 57세)의 인간의 평균적인 baPWV를 나타내는 점(P0)이 표시된다. 또한, 이 점(P0)의 표시는, 도 8(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가 "1 정상 범위 내"인 경우)에는 생략되었다.
또, 도 9 중의 이미지 영역(50-2)가 판정 결과 표시 프레임(Fx)로 둘러싸인다. 이 판정 결과 표시 프레임(Fx) 내에는, "2 ○ 혈관이 약간 딱딱함"이라는 표시 D2와, 일러스트레이션(70) 중의 판정 결과에 대응하는 부분이 포함된다. 또, 그 표시 D2가 포함하는 ○표 개소에 체크가 된다. 또, 강조를 위하여, 판정 결과 표시 프레임(Fx)의 상부에는, "경도 1699cm/s"라고 표시된다.
(표시예 3)
도 10은, 그 측정 결과란(44)에 강조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험자(ID: 08573450)의 우측 반신에 대하여, 혈관의 경도(baPWV)가 5000cm/s, 혈관의 막힘(ABI)가 1.03이었던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도, 도 7 중의 "ABI 판정" 부분에서 ABI가 "1.00~1.40"인 "정상"에 해당한다. 또, 도 7 중의 "baPWV 판정" 부분에서 baPWV가 1800cm/s 이상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는 "3 장기 장애의 리스크가 높음"이라고 판정된다.
이 판정 결과에 따라, 특히 ABI가 제1 임곗값 0.90을 초과하고 있는 것에 따라, 도 10 중의 1차원 그래프(46)에서는, baPWV 지표(47)이 전면 측에 표시되고, ABI 지표(48)이 배경 측에 대부분 숨겨져 표시된다. 또한, baPWV 지표(47) 중 "고리스크" 영역(47-3) 상에, baPWV=3000cm/s를 나타내는 점(Px)가 표시된다. 또, baPWV 지표(47) 중 "중리스크" 영역(47-2) 상에, 피험자(200)과 동일 연령(이 경우, 77세)의 인간의 평균적인 baPWV를 나타내는 점(P0)이 표시된다.
또, 도 10 중의 이미지 영역(50-3)이 판정 결과 표시 프레임(Fx)로 둘러싸인다. 이 판정 결과 표시 프레임(Fx) 내에는, "3 ○ 혈관이 딱딱함"이라는 표시 D3(및 "4 ○ 혈관이 약간 좁음"이라는 표시 D4)과, 일러스트레이션(70) 중의 판정 결과에 대응하는 부분이 포함된다. 또, 그 표시 D3이 포함하는 ○표 개소에 체크가 된다. 또, 강조를 위하여, 판정 결과 표시 프레임(Fx)의 상부에는, "경도 3000cm/s"라고 표시된다.
(표시예 4)
도 11은, 그 측정 결과란(44)에 강조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험자(ID: 8987726)의 좌측 반신에 대하여, 혈관의 막힘(ABI)가 0.98이었던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도 7 중의 "ABI 판정" 부분에서 ABI가 0.91~0.99(즉, 제1 임곗값 0.90 초과, 제2 임곗값 1.00 미만)에 해당한다. 이때, 정규화 맥파 면적(%MAP)가 45% 이상, 또는 업스트로크 시간(UT)가 180ms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판정 결과가 나뉜다. 이 예에서는, 피험자(200)의 %MAP가 45% 이상, 또는 업스트로크 시간(UT)가 180ms 이상이었던(도시하지 않음) 점에서, 도 7 중의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는 "4 ABI 경계역"이라고 판정된다.
이 판정 결과에 따라, 도 11 중의 1차원 그래프(46)에서는, ABI 지표(48)이 전면 측에 표시되고, baPWV 지표(47)이 배경 측에 대부분 숨겨져 표시된다. 또한, ABI 지표(48) 중 "경계역" 영역(48-2) 상에, ABI=0.98을 나타내는 점(Qx)가 표시된다.
또, 도 11 중의 이미지 영역(50-3)이 판정 결과 표시 프레임(Fx)로 둘러싸인다. 이 판정 결과 표시 프레임(Fx) 내에는, "4 ○ 혈관이 약간 좁음"이라는 표시 D4(및 "3 ○ 혈관이 딱딱함"이라는 표시 D3)와, 일러스트레이션(70) 중의 판정 결과에 대응하는 부분이 포함된다. 또, 그 표시 D4가 포함하는 ○표 개소에 체크가 된다. 또, 강조를 위하여, 판정 결과 표시 프레임(Fx)의 상부에는, "당신의 ABI 0.98"이라고 표시된다.
또한, 이 도 11의 피험자(ID: 8987726)에 대하여, 만일, %MAP가 45% 미만, 또한 업스트로크 시간(UT)가 180ms 미만이면, 도 7 중의 "baPWV 판정" 부분에서 baPWV의 값에 따라,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는 "1 정상 범위 내"~"3 장기 장애의 리스크가 높음" 중 어느 하나로서 판정된다. 그 경우는, 도 8~도 10의 예와 마찬가지로, 1차원 그래프(46)에서는, baPWV 지표(47)이 전면 측에 표시되고, ABI 지표(48)이 배경 측에 대부분 숨겨져 표시된다. 또한, baPWV 지표(47) 상에는, 도 8~도 10의 예와 마찬가지로, baPWV를 나타내는 점(Px)가 표시된다. 이로써, 1차원 그래프(46) 상에서의 baPWV 지표(47)과 ABI 지표(48)의 전환을, 스테노·스티프니스 차트에 따라 적절히 행할 수 있다.
(표시예 5)
도 12는, 그 측정 결과란(44)에 강조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험자(ID: 2215080)의 좌측 반신에 대하여, 혈관의 막힘(ABI)가 0.67이었던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도 7 중의 "ABI 판정" 부분에서 ABI가 제1 임곗값 0.90 이하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는 "5 말초 동맥 질환 의심"이라고 판정된다.
이 판정 결과에 따라, 특히 ABI가 제1 임곗값 0.90 이하인 것에 따라, 도 12 중의 1차원 그래프(46)에서는, ABI 지표(48)이 전면 측에 표시되고, baPWV 지표(47)이 배경 측에 대부분 숨겨져 표시된다. 또한, ABI 지표(48) 중 "폐색성 동맥 경화증 의심" 영역(48-3) 상에, ABI=0.67을 나타내는 점(Qx)가 표시된다.
또, 도 11 중의 이미지 영역(50-4)가 판정 결과 표시 프레임(Fx)로 둘러싸인다. 이 판정 결과 표시 프레임(Fx) 내에는, "5 ○ 혈관이 좁음"이라는 표시 D5(및 "6 ○ 혈관의 벽이 석회화"라는 표시 D6)와, 일러스트레이션(70) 중의 판정 결과에 대응하는 부분이 포함된다. 또, 그 표시 D5가 포함하는 ○표 개소에 체크가 된다. 또, 강조를 위하여, 판정 결과 표시 프레임(Fx)의 상부에는, "당신의 ABI 0.67"이라고 표시된다.
(표시예 6)
도 13은, 그 측정 결과란(44)에 강조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험자(ID: 9015220)의 좌측 반신에 대하여, 혈관의 막힘(ABI)가 1.59였던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도 7 중의 "ABI 판정" 부분에서 ABI가 1.41 이상(즉, 제1 임곗값 1.40 초과)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는 "6 석회화 의심"라고 판정된다.
이 판정 결과에 따라, 특히 ABI가 제1 임곗값 1.40 초과인 것에 따라, 도 13 중의 1차원 그래프(46)에서는, ABI 지표(48)이 전면 측에 표시되고, baPWV 지표(47)이 배경 측에 대부분 숨겨져 표시된다. 또한, ABI 지표(48) 중 "폐색성 동맥 경화증 의심" 영역(48-3) 상에, ABI=1.59를 나타내는 점(Qx)가 표시된다.
또, 도 11 중의 이미지 영역(50-4)가 판정 결과 표시 프레임(Fx)로 둘러싸인다. 이 판정 결과 표시 프레임(Fx) 내에는, "6 ○ 혈관의 벽이 석회화"라는 표시 D6(및 "5 ○ 혈관이 좁음"이라는 표시 D5)과, 일러스트레이션(70) 중의 판정 결과에 대응하는 부분이 포함된다. 또, 그 표시 D5가 포함하는 ○표 개소에 체크가 된다. 또, 강조를 위하여, 판정 결과 표시 프레임(Fx)의 상부에는, "당신의 ABI 1.59"라고 표시된다. 또한, 경고를 위하여, 판정 결과 표시 프레임(Fx)와 1차원 그래프(46)의 사이에, "ABI가 1.4를 초과하고 있습니다"라고 표시된다. 이로써, 피험자(200)의 혈관이 석회화되고 있는 특히 심각한 증상에 있는 것을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혈압 맥파 측정 장치(100)에서는, 피험자(200)의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가 제1 임곗값 0.90을 초과하고 있을 때, 즉 동맥 경화의 진행의 비교적 초기 단계에서는, 1차원 그래프(46) 상에서, 상완-발목 간 맥파 전파 속도(baPWV)를 나타내는 점이 표시된다. 한편, 피험자(200)의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가 제1 임곗값 0.90 이하일 때, 즉 동맥 경화의 진행이 말기 단계에 가까워지면, 1차원 그래프(46) 상에서, 상완-발목 간 맥파 전파 속도(baPWV)를 나타내는 점 대신에,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를 나타내는 점이 표시된다. 즉,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에 맞추어, 주목받아야 할 상완-발목 간 맥파 전파 속도(baPWV)를 나타내는 점(Px)와, 주목받아야 할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를 나타내는 점(Qx)가, 1차원 그래프(46) 상에서 전환되어 표시된다. 이 결과, 일반적인 환자 등은, 1차원 그래프(46) 상에서 표시되어 있는 점(Px, Qx)의 좌표 위치에 따라,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혈압 맥파 측정 장치(100)에 의하면, 일반적인 환자 등에 대하여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직감적으로 알기 쉽게 표시할 수 있다.
또, 이 혈압 맥파 측정 장치(100)에서는,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에 대하여, 제1 임곗값이 0.90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1차원 그래프(46) 상에서의 상완-발목 간 맥파 전파 속도(baPWV)와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의 전환을, 스테노·스티프니스 차트(도 7)에 따라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또, 이 혈압 맥파 측정 장치(100)에서는, 또 baPWV 지표(47) 상의 baPWV를 나타내는 점(Px)와, ABI 지표(48) 상의 ABI를 나타내는 점(Qx)가 동일한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이동하도록, 1차원 그래프(46)의 눈금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환자 등에 대하여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더 직감적으로 알기 쉽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baPWV 지표(47) 상의 baPWV를 나타내는 점(Px)와, ABI 지표(48) 상의 ABI를 나타내는 점(Qx)는, 각각 실질적으로 baPWV 지표(47) 상, ABI 지표(48) 상의 점, 즉 좌표 위치를 나타내고 있으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그 "점"을 나타내기 위하여, ○표나 △표 등의 다양한 기호나, 마크 등을 이용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력 센서(28)을 이용하여 맥파를 검출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동맥 용적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맥파를 검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동맥 용적 센서는, 예를 들면 동맥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는 발광 소자와, 발광 소자에 의하여 조사된 광의 동맥의 투과광 또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를 포함해도 된다. 혹은,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고, 피험자(200)의 측정 부위에 미소한 일정 전류를 흘려 보냄과 함께, 맥파의 전파에 따라 발생하는 임피던스(생체 임피던스)의 변화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압 변화를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완-발목 간 맥파 전파 속도(baPWV)와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를 측정하여 취득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된 상완-발목 간 맥파 전파 속도(baPWV)와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를, 예를 들면 인터넷이나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등의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입력하여 취득해도 된다.
상술한 혈압 맥파 측정 장치(100)이 실행하는 표시의 방법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컴퓨터 프로그램)로서, CD(콤팩트 디스크), DVD(디지털 만능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기억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퍼스널 컴퓨터, PDA(퍼스널-디지털-어시스턴트), 스마트폰 등의 실질적인 컴퓨터 장치에 인스톨 함으로써, 이들 컴퓨터 장치에, 상술한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이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복수의 실시형태는, 각각 단독으로 성립할 수 있는 것이지만, 실시형태끼리의 조합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형태 중의 다양한 특징도, 각각 단독으로 성립할 수 있는 것이지만, 다른 실시형태 중의 특징끼리의 조합도 가능하다.
40 표시 화면
46 1차원 그래프
47 baPWV 지표
48 ABI 지표
70 일러스트레이션
Fx 판정 결과 표시 프레임
Px, Qx 점

Claims (7)

  1. 피험자의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표시하는 혈압 맥파 측정 장치로서,
    상기 피험자의 혈관의 경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맥파 전파 속도를 취득하는 맥파 전파 속도 취득부와,
    상기 피험자의 혈관의 막힘을 나타내는 지표인 하지 상지 혈압비를 취득하는 하지 상지 혈압비 취득부와,
    상기 피험자의 하지 상지 혈압비가 미리 정해진 제1 임곗값을 초과하고 있을 때, 1차원 그래프 상에서, 상기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을 표시하는 한편, 상기 피험자의 하지 상지 혈압비가 상기 제1 임곗값 이하일 때, 상기 1차원 그래프 상에서, 상기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 대신에, 상기 하지 상지 혈압비를 나타내는 점을 표시하는 처리를 행하는 표시 처리부를 구비하고,
    스테노·스티프니스 차트에 근거하여, 상기 하지 상지 혈압비로서의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에 대하여, 상기 제1 임곗값이 0.90으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피험자의 발목의 맥파의 업스트로크 시간(UT)를 취득하는 업스트로크 시간 취득부와,
    상기 피험자의 발목의 맥파의 파형에 대하여 정규화 맥파 면적(%MAP)를 취득하는 정규화 맥파 면적 취득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가, 상기 제1 임곗값 0.90을 초과하며, 또한 제2 임곗값 1.00 미만인 경우에, 상기 업스트로크 시간(UT)가 180밀리초 이상, 또는 상기 정규화 맥파 면적(%MAP)가 45% 이상일 때, 상기 1차원 그래프 상에서, 상기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 대신에, 상기 하지 상지 혈압비로서의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를 나타내는 점을 표시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 맥파 측정 장치.
  2. 피험자의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를 표시하는 혈압 맥파 측정 장치로서,
    상기 피험자의 혈관의 경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맥파 전파 속도를 취득하는 맥파 전파 속도 취득부와,
    상기 피험자의 혈관의 막힘을 나타내는 지표인 하지 상지 혈압비를 취득하는 하지 상지 혈압비 취득부와,
    상기 피험자의 하지 상지 혈압비가 미리 정해진 제1 임곗값을 초과하고 있을 때, 1차원 그래프 상에서, 상기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을 표시하는 한편, 상기 피험자의 하지 상지 혈압비가 상기 제1 임곗값 이하일 때, 상기 1차원 그래프 상에서, 상기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 대신에, 상기 하지 상지 혈압비를 나타내는 점을 표시하는 처리를 행하는 표시 처리부를 구비하고,
    스테노·스티프니스 차트에 근거하여, 상기 하지 상지 혈압비로서의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에 대하여, 상기 제1 임곗값이 0.90으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맥파 전파 속도 및 상기 하지 상지 혈압비의 복수 회 측정의 결과, 상기 하지 상지 혈압비가 상기 제1 임곗값을 횡단하여 전이했을 때,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1차원 그래프 상에서 상기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과 상기 하지 상지 혈압비를 나타내는 점이 동일한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1차원 그래프의 눈금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 맥파 측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가, 제3 임곗값 1.40을 초과하고 있으면, 혈관이 석회화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 맥파 측정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족관절 상완 혈압비(ABI)가, 제3 임곗값 1.40을 초과하고 있으면, 혈관이 석회화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 맥파 측정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1차원 그래프에 아울러, 동맥 경화의 진행 단계에 따른 혈관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러스트레이션을 표시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 맥파 측정 장치.
  6. 피험자의 동맥경화의 진행 단계를 표시하는 혈압 맥파 측정 장치로서,
    상기 피험자의 혈관의 경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맥파 전파 속도를 취득하는 맥파 전파 속도 취득부와,
    상기 피험자의 혈관의 막힘을 나타내는 지표인 하지상지 혈압비를 취득하는 하지상지 혈압비 취득부와,
    상기 피험자의 하지상지 혈압비가 미리 정해진 제1 임곗값을 초과할 때, 1차원 그래프 상에서, 상기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을 표시하는 한편, 상기 피험자의 하지상지 혈압비가 상기 제1 임곗값 이하일 때, 상기 1차원 그래프 상에서, 상기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 대신에, 상기 하지상지 혈압비를 나타내는 점을 표시하는 처리를 행하는 표시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1차원 그래프 상에서 상기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피험자의 동맥경화의 진행 단계에 따라, 상기 피험자와 같은 연령 인간의 평균적인 맥파 전파 속도를 나타내는 점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 맥파 측정 장치.
  7. 삭제
KR1020187026608A 2016-03-16 2016-10-31 혈압 맥파 측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303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52597 2016-03-16
JP2016052597A JP6707372B2 (ja) 2016-03-16 2016-03-16 血圧脈波測定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PCT/JP2016/082320 WO2017158908A1 (ja) 2016-03-16 2016-10-31 血圧脈波測定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841A KR20180108841A (ko) 2018-10-04
KR102303972B1 true KR102303972B1 (ko) 2021-09-24

Family

ID=59850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608A KR102303972B1 (ko) 2016-03-16 2016-10-31 혈압 맥파 측정 장치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32728B2 (ko)
EP (1) EP3430982A4 (ko)
JP (1) JP6707372B2 (ko)
KR (1) KR102303972B1 (ko)
CN (1) CN108778104A (ko)
AU (1) AU2016398145B2 (ko)
WO (1) WO20171589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73090A1 (en) * 2017-10-02 2019-04-11 Cascade Ultrasound Llc Vascular flow diagnostic system
CN109464138B (zh) * 2018-11-29 2021-09-14 东莞市康助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升压式动脉硬度评价方法、系统及装置
CN109464136B (zh) * 2018-11-29 2020-11-13 东莞市康助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动脉硬度显示方法、系统及装置
US11813046B2 (en) * 2021-08-19 2023-11-14 Ke Li Method of cuff storage case for electronic blood pressure monitor
CN115990001B (zh) * 2023-03-21 2024-04-05 首都医科大学宣武医院 一种可穿戴监护系统、可穿戴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1940A1 (en) * 2003-02-28 2004-09-02 Colin Medical Technology Corporation Arteriostenosis diagnosing apparatus
US20120095353A1 (en) * 2009-10-30 2012-04-19 Omron Healthcare Co., Ltd. Pulse wave analysis device and record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0007B2 (ja) 1999-05-06 2001-03-05 日本コーリン株式会社 下肢上肢血圧指数測定装置
JP3533406B2 (ja) * 2001-07-02 2004-05-31 コーリンメディカル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動脈硬化評価装置
JP5228750B2 (ja) * 2008-09-26 2013-07-03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情報測定装置
JP5200881B2 (ja) 2008-11-20 2013-06-05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情報測定装置
JP6276912B2 (ja) * 2012-09-21 2018-02-07 フクダ電子株式会社 生体情報検査結果レポート、生体情報処理装置及び生体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208526B2 (ja) * 2013-10-15 2017-10-04 日本光電工業株式会社 生体情報表示装置及び生体情報表示用プログラム
US10905348B2 (en) * 2014-07-23 2021-02-02 Bard Access Systems, Inc. User interfaces for mobile and wearable medical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1940A1 (en) * 2003-02-28 2004-09-02 Colin Medical Technology Corporation Arteriostenosis diagnosing apparatus
US20120095353A1 (en) * 2009-10-30 2012-04-19 Omron Healthcare Co., Ltd. Pulse wave analysis device and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30982A4 (en) 2019-10-16
AU2016398145A1 (en) 2018-10-04
CN108778104A (zh) 2018-11-09
EP3430982A1 (en) 2019-01-23
WO2017158908A1 (ja) 2017-09-21
AU2016398145B2 (en) 2019-06-27
US20190076034A1 (en) 2019-03-14
JP2017164300A (ja) 2017-09-21
JP6707372B2 (ja) 2020-06-10
KR20180108841A (ko) 2018-10-04
US11432728B2 (en)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3972B1 (ko) 혈압 맥파 측정 장치 및 프로그램
US6338719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vascular conditions using an occlusive arm cuff plethysmograph
JP5176850B2 (ja) 生体情報表示装置、生体情報表示システム、統計処理方法および統計処理プログラム
US105685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flow-mediated dilation to provide an adjusted vascular age as an indicator of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JP2006289088A (ja) 脈拍検出装置および方法
JP3882084B2 (ja) 動脈硬化解析システム、動脈硬化解析方法及び動脈硬化解析プログラム
KR100861337B1 (ko) 혈압 조절기능 측정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13061765A1 (ja) 測定装置、評価方法、および評価プログラム
Wu et al. Assessment of endothelial function using arterial pressure signals
JP4626250B2 (ja) 脈波情報表示装置、脈波情報表示装置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および脈波情報表示方法
CN108778103B (zh) 血压脉搏波测定装置
JP5887836B2 (ja) 測定装置、指標算出方法、および指標算出プログラム
JP2008073087A (ja) 生体頸動脈強度解析方法、生体頸動脈強度解析システム及び生体頸動脈強度解析プログラム
WO2024059311A1 (en) Hemodynamic monitor for triaging patients with aortic stenosis
JP6013111B2 (ja) 生体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