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649B1 -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649B1
KR102303649B1 KR1020190073805A KR20190073805A KR102303649B1 KR 102303649 B1 KR102303649 B1 KR 102303649B1 KR 1020190073805 A KR1020190073805 A KR 1020190073805A KR 20190073805 A KR20190073805 A KR 20190073805A KR 102303649 B1 KR102303649 B1 KR 102303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vegetable
fermentation
weight
turme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5168A (ko
Inventor
백양
유효중
Original Assignee
백양
유효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양, 유효중 filed Critical 백양
Priority to KR1020190073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649B1/ko
Publication of KR20200145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울금 추출물에 정제수를 첨가한 후 0 내지 10℃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0일간 발효시키는 1차 발효 단계; b) 1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식물성 오일을 첨가한 후 10 내지 20℃의 온도에서 2차 발효시키는 2차 발효 단계; 및 c)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식물성 추출물을 첨가한 후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1년 이상 발효 하는 3차 발효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ORAL COMPOSITION COMPRISING VEGETABLE EXTRACT AND TUMERIC EXTRACT BY MULTIPLE FERMENTATION STEPS}
본 발명은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아건강의 개념이 사회생활개념으로 변화되면서 구강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구강질환의 예방과 치료 및 기능 상실 재활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 중요한 대인관계의 장애가 되는 구취(口臭)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치아건강을 악화시키는데 일조하는 기호성 식품은 기호도를 증진하기 위해 많은 양의 당분을 첨가하는데 대표적인 것이 액상과당과 백설탕이다. 특히 액상과당은 설탕보다 1.7 배의 단맛을 내면서도 값이 저렴하여 식품회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성분이다. 상기 언근된 당분과 세균이 서로 유착되어 플라그를 형성하면, 플라그 속의 세균에 의해 산이 생성되며, 이는 에나멜 표면을 탈회하여 충치를 야기한다.
울금은 최근 여러 나라 연구에 따르면, 울금의 주성분인 황색 색소 커큐민(Curcumin)은 항산화와 세포보호 역할을 수행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고(Chatcrjrr et al., 1999), 생체 내에서 항산화 활성은 여러 가지 과산화 관련 질병을 방어하는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Prriyadarsini, 1997). 이러한 커큐민에 대하여는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다수의 논문이 발표되어 있다. 그 중, 울금은 구강질환에 대해 효능이 있다고 밝혀졌다. 이에 따라서, 종래의 기술은 울금 또는 울금 추출물을 배합함으로써, 구장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해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구강질환을 유발하는 균주를 현저하게 억제하기 위한 구체적인 공정 조건의 확립이 실질적으로 용이하지 않고, 공정 설비에 추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이용하여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구강질환을 유발하는 균주의 생육을 현저하게 저해하고자 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공보 10-1481371 (2015.01.05.)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공보 10-1354923 (2014.01.17.)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공보 10-0500271 (2005.06.30.) [특허문헌 4] 일본공개특허공보 2008-266247 (2008.11.06.)
본 발명은 울금 추출물을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쳐 발효시킴으로써, 향균력이 현저하게 증대된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울금의 발효에 있어서, 식물성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식물성 추출물의 유효성분에 의해서, 항염 및 구강 향균 효과를 증진시키고, 치아 미백 효과를 보이도록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은 a) 울금 추출물에 정제수를 첨가한 후 0 내지 10℃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0일간 발효시키는 1차 발효 단계; b) 1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식물성 오일을 첨가한 후 10 내지 20℃의 온도에서 2차 발효시키는 2차 발효 단계; 및 c)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식물성 추출물을 첨가한 후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1년 이상 발효 하는 3차 발효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계 a)의 정제수는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500 내지 250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계 b)의 식물성 오일은 1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의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1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유, 파슬리유, 아몬드씨유, 아보카도유, 코코넛유 및 팜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식물성 추출물은 상기 식물성 추출물은 상기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2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식물성 추출물은 박하 추출물 10~40 중량%, 어성초 추출물 10~30 중량%, 허브 추출물 10~30 중량%, 작두콩 추출물 5~20 중량%, 오미자 추출물 5~10 중량%, 녹차 추출물 1~10중량%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어느 한 가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구강용 조성물의 제형은 치약, 가글링 제품, 껌, 구강 스프레이, 구강용 연고, 구강세정제 및 구강 청정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울금 추출물을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쳐 발효시킴으로써, 향균력이 현저하게 증대되고, 이를 통해 치주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울금의 발효에 있어서, 식물성 오일이 첨가되어 함께 발효됨으로써, 기름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 내 유해세균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저한 구취 제거 효율을 보이도록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울금의 발효에 있어서, 식물성 추출물을 더 첨가함으로써, 구강 향균 효과를 증진시키고, 치아 미백 효과를 보이도록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재료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하거나 화학 물질에 예민한 사람이 사용하여도 화학적 자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2는 실험예 1의 결과로서, 치아우식 및 구강 질환의 원인균인 스트렙코커스 뮤탄스에 대한 향균 기능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3은 실험예 3의 결과로서,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의 치아 미백 효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4은 실험예 4의 결과로서,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의 시간 경과에 따른 구취억제 효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에 있어서, a) 울금 추출물에 정제수를 첨가한 후 0 내지 10℃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0일간 발효시키는 1차 발효 단계; b) 1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식물성 오일을 첨가한 후 10 내지 20℃의 온도에서 2차 발효시키는 2차 발효 단계; 및 c)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식물성 추출물을 첨가한 후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1년 이상 발효 하는 3차 발효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있어서, 울금의 주성분인 황색 색소 커큐민(Curcumin)은 항산화와 세포보호 역할을 수행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고(Chatcrjrr et al., 1999), 생체 내에서 항산화 활성은 여러 가지 과산화 관련 질병을 방어하는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Prriyadarsini, 1997). 이러한 커큐민에 대하여는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다수의 논문이 발표되어 있다. 그 중 대표적인 논문에서는 울금의 항산화(Kang et al., 1998; Selvam et al., 1995; Jeong et al., 2004), 항암(Ryu et al., 2005; Khar et al., 1995), 항바이러스(Mazumder et al., 1995), 항염증(Ammon & Wahl, 1991;Gupta & Gahsh, 1999) 기능을 소개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울금은 혈중 지질 강하 작용 및 소염작용, 암세포 증식과 관련한 혈관 신행 억제 작용, 간에 축적된 콜레스테롤 수치를 저하시켜 간과 신경계에 효능이 있다는 사실이 다수의 논문에 소개되고 있다. 특히, 울금은 잇몸 질환에도 효능이 있다고 밝혀졌다.
발효는 유기물이 미생물작용에 의해 분해 및 변화하여 유용한 물질이 생산되는 것을 의미한다. 발효는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일어날 수 있는데, 전형적으로는 효모의 알코올발효, 글리세롤발효, 젖산균의 젖산발효, 헤테로젖산발효, 메탄세균의 메탄발효, 및 대장균 등에 의한 혼합유기산발효가 있다. 산화발효는 기질의 불완전산화에 의한 중간대사물의 축적을 이용하는 것으로 아세트산균에 의한 아세트산발효, 글루콘산발효, 소르보오스발효나 사상균에 의한 시트르산, 글루콘산, 푸마르산, 옥살산 등의 유기산발효가 있다.
본 발명은 울금 추출물이 복수의 발효 단계를 거쳐 발효 될 경우, 발효 과정에서 인체에 유용한 유기산 및 에탄올과 같은 발효산물 뿐만 아니라 박테리오신(bacteriocin)의 함량을 더욱 증진시켜, 우수한 항산화 및 향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서, 구강질환에 효능이 있는 울금을 구강용 조성물로서 이용하였다. 또한, 발효에 있어서, 상기 울금 추출물이 복수의 단계로 발효됨으로써, 복수의 단계로 발효된 울금 추출물에 의해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의 향균 활성이 현저하게 증진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1차 발효 단계에서는 a) 울금 추출물에 정제수를 첨가한 후 0 내지 10℃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0일간 발효시킨다.
상기 1차 발효 단계의 주요 목적은 비교적 저온인 0 내지 10℃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0일간 발효시키는 것은 저온에서 활성을 보이는 울금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발효 과정에서 참여하여 초산균에 총 균수증대와 울금 추출물의 총 향균력에 기여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1차 발효단계에 이용되는 상기 울금 추출물은 a1) 황토방에서 35~45℃의 온도로 30~65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분말화 하는 단계; a2) 황토방에서 35~45℃의 온도로 30~65시간 동안 건조한 울금을 미세하게 분쇄하는 단계; a3) 분쇄된 울금 분말과 물을 1:150~250의 중량비로 농축기에 넣고 110~130℃의 온도에서 2~5시간 동안 가열한 후 냉각시켜 울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울금이 황토방에서 건조되는 이유는, 상기 황토방에서 방사되는 황토의 원적외선에 의한 효과를 기대함과 더불어 상기 울금의 차가운 성질을 황토의 따뜻한 성질에 의해 보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울금을 35~45℃의 온도로 30~65시간 동안 햇빛이 들지 않는 황토방에서 건조하는 이유는, 상기 울금에 함유되어 있는 커큐민을 포함한 유효성분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분쇄된 울금 분말과 물을 1:150~250의 중량비로 농축기에 넣고 110~130℃의 온도에서 2~5시간 동안 가열한 후 냉각시켜 울금추출물을 제조함으로써, 울금이 살균되고 울금의 성분이 강화되며, 울금분말이 물에 완전히 희석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울금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울금 추출물에 물, 탄소 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더욱 바람직하게는 프레타놀 A(prethanol A)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울금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상온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추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단계 a)의 정제수는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500 내지 250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정제수는 사람에게 무해한 것으로서, 당업자들에게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정제수를 사용한다. 상기 정제수가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50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면, 구강 질환에 약리 활성을 갖는 유효성분의 추출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고, 상기 정제수가 250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되면, 추출시간이 길어져 추출효율이 저감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울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발효하는 것이 향균력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2차 발효 단계에서는 b) 1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식물성 오일을 첨가한 후 10 내지 20℃의 온도에서 2차 발효시킨다.
상기 2차 발효 단계의 주요목적은 구강용 조성물이 최적의 양친매성을 갖도록 함에 있다. 구강 내 유해세균의 대부분은 기름 성분을 가지고 있어 수용성 성분으로는 잘 씻기지 않는다. 이는 친유성기를 갖는 조성물이 첨가하여 유해세균을 저감시킬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식물성 오일을 울금 발효단계에서 첨가하여 구강 조성물이 양친매성을 갖게 함으로써, 구강 내 독소를 유발하는 노폐물이나 유해세균을 흡착하여 배출해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식물성 오일이 2차 발효단계에 첨가될 때, 별다른 합성유화제의 첨가 없이도, 최적의 양친매성을 갖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울금 2차 발효 단계에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유, 파슬리유, 아몬드씨유, 아보카도유, 코코넛유 및 팜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올리브유 및 파슬리유가 1:7 중량비로 혼합되어 제조된 식물성 오일은 구취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b)의 식물성 오일은 1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의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1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의 전체 중량 대비 7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이 5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식물성 오일에 의한 양친매성 활성효과가 미흡하며, 상기 식물성 추출물이 10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첨가량 초과에 따른 이익이 없어 경제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식물성 오일은 상기 기재된 범위로 1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첨가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울금의 발효에 있어서, 식물성 오일이 첨가되어 함께 발효됨으로써, 기름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 내 유해세균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저한 구취 제거 효율을 보이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3차 발효단계는 c)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식물성 추출물을 첨가한 후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1년 이상 발효 시킨다.
상기 3차 발효 단계의 주요 목적은 울금 추출물 및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발효물이 상온과 비슷한 온도에서 발효되어, 상온에서 향균, 항‘m, 미백 및 구취제거에 유효한 활성을 보이는 성분을 다량 함유한 조성물이 제조도록 함에 있다.
또한, 상기 식물성 추출물은 상기 식물성 추출물은 상기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2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물성 추출물이 5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식물성 추출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활성효과가 미흡하며, 상기 식물성 추출물이 20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첨가량 초과에 따른 이익이 없어 경제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식물성 추출물은 상기 기재된 범위로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첨가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상기 식물성 추출물은 박하, 당귀, 허브, 쑥, 차조기, 우엉, 어성초, 허브, 작두콩, 오미자 및 녹차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실험 결과, 상기 식물성 추출물은 박하 추출물 10~40 중량%, 어성초 추출물 10~30 중량%, 허브 추출물 10~30 중량%, 작두콩 추출물 5~20 중량%, 오미자 추출물 5~10 중량%, 녹차 추출물 1~10중량%로 제조된 식물성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이 울금 추출물과 함께 최적의 시너지 작용을 보였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박하 추출물 20 중량%, 어성초 추출물 15 중량%, 허브 추출물 15 중량%, 작두콩 추출물 30 중량%, 오미자 추출물 10 중량%, 녹차 추출물 10중량%로 구성된 식물성 추출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울금 추출물 함께 시너지 작용으로 구강 향균 효과를 증진시키고, 치아 미백 효과를 보이기 위해서, 식물성 추출물을 더 첨가하여 울금 추출물과 함께 발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단계 b) 및 상기 단계 c) 사이에,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을 1,000 rpm 내지 2,000 rpm의 속도로 20분간 교반한 후, 40℃ 내지 70℃ 온도조건 및 600 bar 내지 1500 bar 압력조건에서 나노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이 1,000 rpm 미만의 속도로 교반되면, 불균일한 조성을 갖게 될 수 있고, 2,000 rpm 초과의 속도로 교반되면, 고속 회전에 의한 마찰열 발생, 안정도의 저하 등이 발생 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rpm의 속도로 20분간 교반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교반 시간보다 작을 경우에는 수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의 시간보다 많을 경우에는 발효물의 가수분해가 촉진되어 안정도가 좋지 못한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이 교반 된 후, 고압 균질화기에 투입 할 수 있다. 상기 고압 균질화기의 온도가 40℃ 미만이면, 발효물의 유화 온도보다 낮아 고압 균질화기에서 처리할 수 없을 수 있다. 70℃를 초과하면 고압 균질화기에서 가해지는 에너지와 더불어 높은 온도로 발효물 자체가 변성되거나, 고에너지로 인해 겔(Gel)화 되어 나노화로 밀집된 입자를 얻을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이 교반 된 후, 상기 고압 균질화기에 투입하였을 경우, 압력이 약 600 bar 내지 약 1,500 bar, 약 700 bar 내지 약 1,500 bar, 약 800 bar 내지 약 1,500 bar, 약 900 bar 내지 약 1,500 bar, 약 1,000 bar 내지 약 1,500 bar, 약 1,100 bar 내지 약 1,400 bar, 또는 약 1,200 bar 내지 약 1,300 bar의 압력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압력이 600 bar 미만이면, 나노 크기의 균질한 입자를 형성하기 어렵고, 1,500 bar를 초과하는 경우 너무 강한 힘에 의한 마찰로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활성물질인 발효물에 손상을 일으켜 안정도가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나노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시킴으로써, 구강용 조성물의 표면적이 증가하고, 울금 추출물 및 식물성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구강 내에 더 효율적으로 전달되는 효과가 있어, 항염, 향균, 구강질환 및 미백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어느 한 가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강용 조성물의 제형은 치약, 가글링 제품, 껌, 구강 스프레이, 구강용 연고, 구강세정제 및 구강 청정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3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하도록 첨가하여 구강용 조성물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3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미만이면 효과가 미미하고, 1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함량에 비해 상승효과를 가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 제조예1. 발효 단계에 따른 울금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내지 실시예 3은 발효 단계를 달리하여 제조된 울금 추출물 시료이며, 비교예1은 별도의 발효 단계를 거치지 않은 울금 추출물 시료이다.
단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1차발효단계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에 2000 중량부의 정제수를 가한 후,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1년 이상 발효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에 2000 중량부의 정제수를 가한 후, 10 내지 20℃의 온도에서 일주일간 발효.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에 2000 중량부의 정제수를 가한 후, 0 내지 10℃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0일간 발효. x
(별도의 발효단계를 거치치 않음)
2차발효단계 x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1년 이상 발효 10 내지 20℃의 온도에서 일주일간 발효.
3차발효단계 x x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1년 이상 발효
■ 제조예2. 발효단계에서 추출물을 더 첨가하여 울금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발효단계에서 추가로 첨가되는 추출물의 유무에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5의 시료로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4 내지 5에 첨가된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유 및 파슬리 유가 1:7 중량비로 혼합되어 제조된 식물성 오일을 이용하였고, 1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의 전체 중량 대비 7 중량%가 첨가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5에 첨가된 식물성 추출물은 박하 추출물 20 중량%, 어성초 추출물 15 중량%, 허브 추출물 15 중량%, 작두콩 추출물 30 중량%, 오미자 추출물 10 중량%, 녹차 추출물 10중량%로 구성된 식물성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단계 실시예4 실시예5
1차발효단계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에 2000 중량부의 정제수를 가한 후, 0 내지 10℃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0일간 발효.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에 2000 중량부의 정제수를 가한 후, 0 내지 10℃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0일간 발효.
2차발효단계 식물성 오일을 첨가한 후,
10 내지 20℃의 온도에서 일주일간 발효.
식물성 오일을 첨가한 후,
10 내지 20℃의 온도에서 일주일간 발효.
3차발효단계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1년 이상 발효. 식물성 추출물을 첨가한 후,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1년 이상 발효.
■ 실험예 1.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의 향균성 평가.
1.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바라스험 및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균주
1.1. 실험방법
구취 및 치주질환 원인균인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바리스는 10% sheep blood와 0.1% hemin 및 비타민 K1이 첨가된 trypticase soy agar 배지를 사용하여 37˚C에서 혐기적 상태로 배양하였다. 또한 치주질환 원인균인 악티노바실루스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는 5% horse serum이 첨가된 trypticase soy agar 배지를 사용하여 37˚C에서 혐기적 상태로 배양하였다.
평판배지확산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바리스 또는 악티노바실루스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를 평판배지에 도말 한 후, 직경 8mm의 멸균 paper disk(ADVANTEC, Toyo Roshi Kaisha, Ltd., Japan)를 평판배지표면에 밀착시켰다. 제조예1 및 제조예2의 시료를 100mg/ml로 정제수에 희석하고 이 용액을 멸균 paper disk에 20ul 씩 각각 흡수시키거나 1:1 비율로 혼합 한 후 흡수시켰다. 48시간 배양하여 생성된 억제대(inhibition zone)를 측정한 결과 하기에 나타내었다.
균주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바리스
(Porphyromonas gingivalis)
5.1±0.3mm 4.1±0.1mm 3.2±0.2mm 2.5±0.3mm 1.9±0.4mm 6.4±0.2mm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6.1±0.1mm 5.1±0.3mm 4.2±0.1mm 3.4±0.2mm 2.1±0.5mm 7.7±0.3mm
1.2. 실험결과
상기 실험예 1에 결과에 의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는 별도의 발효과정을 거치지 않고 울금 추출물을 제조한 비교예 1에 비해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바리스 (Porphyromonas gingivalis) 및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현저하게 감소됨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발효 단계에 따라서 울금 추출물을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3에 에 있어서, 울금 추출물을 3단계로 구분하여 발효시킨 실시예 3이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바리스 (Porphyromonas gingivalis) 및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한 향균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발효단계에서 추출물을 추가로 더 첨가한 실시예 4(식물성 오일 첨가)와 실시예5(식물성오일 및 식물성 추출물 첨가)의 경우, 향균력이 더 증대 되는 것을확인 할 수 있다.
2. 스트렙코커스 뮤탄스균주
2.1. 실험방법
치아우식 및 구강 질환의 또 다른 원인균인 스트렙코커스 뮤탄스에 대한 울금 추출물의 향균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스트렙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ATCC 25175로 Brain heart infusion(BHI, Difco, USA) 액체배지에 1-2차 계대배양 후 같은 배지에 식균하여 37℃의 항온기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50% 에탄올을 이용하여 90℃에서 추출한 오미자 추출물은 각각 0.5, 1, 2 mg/mL 농도로 처리함으로써, 오미자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향균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 증류수를 첨가하여 울금 추출물의 향균력을 비교하였다.
2.1. 실험결과
도 2에 의하면, 발효 단계에 따라서 울금 추출물을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3에 에 있어서, 울금 추출물을 3단계로 구분하여 발효시킨 실시예 3이 스트렙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향균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발효단계에서 추출물을 추가로 더 첨가한 실시예 4(식물성 오일 첨가)와 실시예5(식물성오일 및 식물성 추출물 첨가)의 경우, 향균력이 더 증대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발효과정을 거치지 않고 울금 추출물을 제조한 비교예 1에 비해 치아우식 및 구강 질환 유발균에 대해 현저한 향균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실험예 2.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의 구취억제 효과 측정.
1) 실험방법,
본 발명의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이 구취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최근 6개월 이내 특별한 투약경력이 없는 건강한 사람 5명을 대상으로 하여 구취측정을 하였다.
상기 측정에는 3 mM의 시스테인용액,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각각의 2% 울금 추출물, 비교예 1의 2% 울금 추출물과 양성 대조군인 가그린 민트용액을 사용하였으며 구취측정을 위해 오랄크로마 (CHM-1, ABILITO, Japan)를 사용하였고, 구취 측정기 처리조건은 하기 표와 같다.
Model Oral Chroma
타입 CHM-1
분석 시스템 Simplified gas chromatograph method using a semiconductor gas sensor
샘플 가스 양 0.5cc
탐지 가능한 가스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디메틸설파이드
측정 시간 8분
분석 단위 ng/10ml and ppb
측정 방법 실린지 흡입 방법(Manual aspiration system using a syringe)
측정 습도 상대습도 80% 이하(no condensation)
측정 온도 10 - 30℃
저장 습도 상대습도 20 - 90%(no condensation)
저장 온도 -20 -60℃
각각의 실험에 앞서 5분 간격으로 2회의 기본적인 구취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저 구취값(baseline)을 설정하였으며 먼저 대조군은 구취 유발을 위해 3mM 시스테인 용액 10ml을 30초간 가글하게한 뒤, 실린지에 구강 내 가스를 모으게 하여구강 내 가스를 모은 실린지를 오랄크로마의 주입구에 끼우고 포집한 가스 0.5cc를 주입한 뒤VSC (volatile sulfur compound)의 농도를 기록하였다. 또한, 실험군은 3mM의 시스테인 용액으로 대조군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였고, 4분 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각각의 2% 울금 추출물, 비교예 1의 2% 울금 추출물, 가그린 민트용액중 하나를 택하여 가글하게한 후 구취를 포집하여 황화수소(H2S), 메틸머캅탄(CH3SH), 황화디메틸(CH3)2S)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개별 실험은 5명의 실험참가자가 3회씩 반복 측정하였고, 결과는 VSC의 농도를 각 실험에 앞서 측정해둔 기준치로 나누어 VSC relative ratio로 표시하였고, 구취 억체 효과 측정 결과는 하기의 표에 나타내었다.
Model 황화수소 메틸 머캅탄 황화디메틸
대조군
(시스테인용액)
3.38 0.48 0.94
실시예1 1.61 0.35 0.81
실시예2 1.50 0.32 0.78
실시예3 0.98 0.28 0.55
실시예4 0.39 0.10 0.10
실시예5 0.35 0.00 0.00
비교예1 1.97 0.40 0.85
가그린 민트 1.20 0.09 0.52
2) 실험결과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울금 추출물은 별도의 발효단계를 거치지 않은 일반적인 울금 추출물인 비교예1에 비해, 구취를 더 개선하였음을 확인 할 수 있다. 특히 발효단계에 있어서, 식물성 오일이 추가로 첨가된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5가 구취의 주성분인 황화수소(H2S), 메틸머캅탄(CH3SH), 황화디메틸(CH3)2S)에 대해 현저한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이 나타났으며 이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구강청결제 가그린 민트 보다도 뛰어난 구취 억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 제형예 1.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의 제조 (치약)
구강용 조성물에 있어서, 치약 제제의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울금 추출물을 첨가하여 하기제조예1, 제조예2 제조하였고, 별도로 발효단계를 거치지 않은 울금 추출물을 첨가하여 비교예 2의 치약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비교예2
성분 함량 성분 함량 성분 함량 성분 함량
실시예3
울금 추출물
0.1 실시예4
울금 추출물
0.1 실시예5
울금 추출물
0.1 비교예1 울금 추출물 0.1
솔비톨액 31.4 솔비톨액 31.4 솔비톨액 31.4 솔비톨액 31.4
실리카 18 실리카 18 실리카 18 실리카 18
크리실톨 10 크리실톨 10 크리실톨 10 크리실톨 10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0
테트라 포타슘 피로포스페이트 2.5 테트라 포타슘 피로포스페이트 2.5 테트라 포타슘 피로포스페이트 2.5 테트라 포타슘 피로포스페이트 2.5
인산칼륨염 1.5 인산칼륨염 1.5 인산칼륨염 1.5 인산칼륨염 1.5
산탄검 0.5 산탄검 0.5 산탄검 0.5 산탄검 0.5
플로오르나트륨 0.2 플로오르나트륨 0.2 플로오르나트륨 0.2 플로오르나트륨 0.2
사카린 0.15 사카린 0.15 사카린 0.15 사카린 0.15
정제수 Up to 100 정제수 Up to 100 정제수 Up to 100 정제수 Up to 100
■ 실험예 3.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의 치아 미백 효과 측정.
1. 실험방법
치아의 외인성 착색을 일으킬 수 있는 담배진, 커피, 홍차 분말 및 설탕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얻은 젤 상태의 혼합물을 회전판이 하부에 장착된 용기에 넣고, 다음 10~20대의 건강한 사람으로부터 얻은 치아 표본을 상기 회전판이 고정시킨 후에 72시간 동안 회전판을 회전시켜 치아 표본의 착색을 유도하였다. 그 후에 착색이 유도된 치아 표본을 음지에서 2일 동안 건조시킨 후에, 상기 제조예 및 비교예의 치약을 사용하여 분당 90회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운동축에 고정된 칫솔에 바르고 상기 착색된 치아 표본을 20분 동안 인위적으로 연마시켰다. 상기 인위적인 연마 전·후에 색차계(SZ, Nippon Denshoku 사)를 이용하여 백색도를 측정하고 연마 전·후 백색도가 증가 정도(△L)를 하기의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백색도의 증가 정도(△L)
제조예1 32.5
제조예2 35.5
제조예3 50.6
비교예2 28.7
2. 실험결과
상기 방법을 통하여 치아 미백 효과를 확인한 결과, 별도의 발효 단계를 거치지 않은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교예 2에 비해, 복수의 발효 단계를 거친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의 치아 백색도의 증가 정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발효 과정에 있어서, 식물성 추출물이 첨가된 제조예 3의 치아 백색도 증가 점도가 현저하게 높은 50.6의 실험적 결과를 통해서, 울금 추출물 함께 시너지 작용으로 식물성 추출물을 더 첨가할 경우, 울금 추출물과 함께 현저한 치아 미백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실험예 4.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의 구취억제 효과 측정.
1. 실험방법
구취 관리가 필요한 환자 20명을 선정하여 제조예 1, 제조예 2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치약을 이용하였고, 각 5명씩 실험대상으로 하였다. 동일한 식사를 하게 한 후 구취 및 구강 관리를 위한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못하게 하였다.
치약을 사용하기 전과 치약을 사용하게 한 30분과 3시간 후 휘발성 황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할 수있는 할리메터(Halimeter) 기기를 이용하여 구취를 측정하였다. 측정 전 2분 동안 입을 다물고 코로만 호흡하도록 하였으며 측정시에는 할리메터에 연결되어 있는 1회용 튜브를 이용하여 1분가량 입을 다물고 있도록 하였다. 할리메터의 측정결과 최고치를 나타.날 때 기록 후 튜브를 제거하도록 하였으며 측정값을 평균하여 각 구강세정제에 의하여 변화된 구취 정도를 비교하였다. 구취 감소 및 지속 정도는 다음과 같은 식을 통하여 산출가능하며 하기의 표 8에 결과를 기재하였다.
식: 구취 감소 및 지속 정도(%) = (치약 사용 후 측정값÷초기 측정값)×100
구분 초기 측정값 30 분경과 3 시간 경과
제조예1 100 22 35
제조예2 100 12 15
제조예3 100 10 11
비교예2 100 52 54
2. 실험결과
상기 방법을 통하여 구취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치약 사용 30분 경과 52%로 구취가 감소한 비교예 2의 치약에 비해, 제조예1의 치약에 의해 초기 측정값에 비하여 22%로 구취가 억제되었으며, 식물성 오일이 첨가된 제조예2 내지 제조예 3의 치약에 경우, 구취가 12% 내지 10%로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이에 따라서,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은 구취를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으며, 발효단계에 있어서, 식물성 오일 더 첨가한 울금 추출물을 이용하여 치약을 조제할 경우, 구취억제의 지속력을 현저하게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제형예 2.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의 제조 (구강용 청정제)
상기 실시예 3 내지 실시예5에서 얻은 울금 추출물을 이용하여 구강용 청정제를 제조할 경우, 하기표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서 제조한다.
제조예5
성분 함량
울금 추출물
(실시예 3 내지 5)
0.1
불화나트륨 0.2
에탄올 6.6
글리세린 6.0
구연산 0.005
색소 적량
페퍼민트 에센스 0.1
스피아민트 에센스 0.1
정제수 적량
■ 제형예 3.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의 제조 (껌)
상기 실시예 3 내지 실시예5에서 얻은 울금 추출물을 이용하여 껌을 제조할 경우, 하기 표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서 제조한다.
성분 중량
울금 추출물
(실시예 3 내지 5)
0.2 중량%
감미제 71.8 중량%
껌베이스 25 중량%
향미제 1 중량%
2 중량%

Claims (8)

  1.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에 있어서,
    a) 울금 추출물에 정제수를 첨가한 후 0 내지 10℃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0일간 발효시키는 1차 발효 단계;
    b) 1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식물성 오일을 첨가한 후 10 내지 20℃의 온도에서 2차 발효시키는 2차 발효 단계;
    c)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식물성 추출물을 첨가한 후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발효 하는 3차 발효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정제수는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500 내지 250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식물성 오일은 1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의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1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유, 파슬리유, 아몬드씨유, 아보카도유, 코코넛유 및 팜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추출물은 상기 식물성 추출물은 상기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2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추출물은 박하 추출물 10~40 중량%, 어성초 추출물 10~30 중량%, 허브 추출물 10~30 중량%, 작두콩 추출물 5~20 중량%, 오미자 추출물 5~10 중량%, 녹차 추출물 1~10중량%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제조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용 조성물의 제형은 치약, 가글링 제품, 껌, 구강 스프레이, 구강용 연고, 구강세정제 및 구강 청정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0190073805A 2019-06-21 2019-06-21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3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805A KR102303649B1 (ko) 2019-06-21 2019-06-21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805A KR102303649B1 (ko) 2019-06-21 2019-06-21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168A KR20200145168A (ko) 2020-12-30
KR102303649B1 true KR102303649B1 (ko) 2021-09-17

Family

ID=7408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805A KR102303649B1 (ko) 2019-06-21 2019-06-21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6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923B1 (ko) 2013-02-27 2014-02-07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울금 추출물과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1481371B1 (ko) 2014-04-02 2015-01-14 유한회사 비엔트리니티 울금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34743B1 (es) 1998-02-06 2000-05-01 Biocosmetics Sl Composicion para el tratamiento de la halitosis.
JP2008266247A (ja) 2007-04-24 2008-11-06 Yukie Kato 練り歯磨き剤
KR100955085B1 (ko) * 2008-01-09 2010-04-28 윤종림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447337B1 (ko) * 2012-12-31 2014-10-06 이용현 식물성 오일과 생약추출물을 이용한 세안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79828B1 (ko) * 2013-08-09 2015-12-23 이용현 식물성 피부 영양 보습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923B1 (ko) 2013-02-27 2014-02-07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울금 추출물과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1481371B1 (ko) 2014-04-02 2015-01-14 유한회사 비엔트리니티 울금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168A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gata et al. Effect of eucalyptus extract chewing gum on periodontal health: a double‐masked, randomized trial
CN107427454B (zh) 包含山茶叶提取物的口腔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638137B1 (ko) 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54923B1 (ko) 울금 추출물과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1601022B1 (ko) 인삼꽃 정유를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
KR100881143B1 (ko) 녹차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
KR101474340B1 (ko)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KR101292274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40646B1 (ko) 벌노랑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9980013946A (ko) 구강용 액체 조성물(Oral composition of liquid type)
KR100834484B1 (ko) 식물 혼합 추출물인 셀리언스를 함유하는 오일형 화장료조성물
KR102303649B1 (ko)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03269B1 (ko) 후박 추출물 및 중탄산염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용 조성물
KR101660467B1 (ko) 구기자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CN107320368B (zh) 一种含艾灰的成人用牙膏及其制备方法
KR20110088978A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0637653B1 (ko) 구취억제용 구강용 조성물
KR101675062B1 (ko) 멜라토닌을 이용한 이중 코팅된 순수 비타민 c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94518A (ko) 무독성 구강 보건 기능을 갖는 천연물을 활용한 항균 칫솔모 조성물과 그 칫솔모 및 그 제조방법
JP5047511B2 (ja)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gm−csf)産生抑制剤i
KR101214344B1 (ko)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68397A (ko) 두피 보호 및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83076B1 (ko) 피부 크림 화장용 조성물
CN105726402B (zh) 龙须藤提取物在制备口腔护理品中的应用
KR102305942B1 (ko)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